KR20220002657A -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57A
KR20220002657A KR1020217039816A KR20217039816A KR20220002657A KR 20220002657 A KR20220002657 A KR 20220002657A KR 1020217039816 A KR1020217039816 A KR 1020217039816A KR 20217039816 A KR20217039816 A KR 20217039816A KR 20220002657 A KR20220002657 A KR 2022000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rning
container
transfer pat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요시와라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 시스템(1)은, 음료 수용 용기(20)와, 가스 공급원(10)과,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30)와, 가스 공급원과 음료 수용 용기를 접속하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수용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70)와, 음료 이송로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를 검지하는 정전용량식 센서(43)와,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44)와, 정전용량식 센서의 출력이 입력됨과 더불어 경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된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7317호 공보). 이러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사용자는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용기(글라스 등)에 음료를 따름으로써 원하는 양의 음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음료 수용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되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음료 디스펜서에 가스가 공급되고,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가스가 분출된다. 이 결과, 용기에 담겨 있던 음료가 주위로 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7317호 공보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에서는, 음료 수용 용기와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유로 내를 흐르는 음료의 유무가 광학 센서에 의해 검지되고, 광학 센서에 의해 음료가 검지되지 않을 때에 개폐 밸브에 의해 유로가 차단된다. 이것에 따라, 가스가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분출되기 전에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문제가 해결된다.
그러나, 음료의 유로에 설치된 개폐 밸브의 세정은 곤란하며, 개폐 밸브에 의해 음료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유로 내에서 음료에 거품이 생기면, 광학 센서로부터 발생된 광이 거품에 조사되어,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될 우려가 있다. 즉, 유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음료가 맥주일 경우에 현저해진다.
또한,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되었을 때에 음료의 유로가 개폐 밸브에 의해 차단되면, 음료 수용 용기에 음료가 남겨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료 디스펜서로부터의 음료 공급이 방해된다. 예컨대 음료 공급 시스템이 음식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손님에게 음료 제공을 곤란하게 하여, 음식점에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되었을 때에 음료의 공급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유로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한 번잡한 조작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되었을 때에 음료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쾌감을 증대시킨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수용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함과 더불어, 오검지에 의해 생기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수용 용기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원과, 상기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상기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와, 상기 가스 공급원과 상기 음료 수용 용기를 접속하는 가스 공급로와,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를 검지하는 정전용량식 센서와,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와,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의 출력이 입력됨과 더불어 상기 경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음료 공급 시스템.
(2)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임계치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
(3)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통지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를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과,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경고 장치에 의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
(4)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임계치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의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음료 고갈 통지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수용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함과 더불어, 오검지에 의해 생기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박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제1 실시형태>
처음에,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 음료 수용 용기(20), 음료 디스펜서(30) 및 제어 박스(40)를 구비한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로 공급한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사용자(이하, 단순히 「사용자」라고 부름)는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용기(100)에 음료를 따름으로써 원하는 양의 음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과 음료 수용 용기(20)를 접속하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수용 용기(20)와 음료 디스펜서(30)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70)를 더 구비한다. 가스 공급로(60)는, 예컨대, 가스 공급 호스로서 구성되며, 가스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로 형성된다. 음료 이송로(70)는, 예컨대, 음료 이송 호스로서 구성되며, 음료 및 가스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다양한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로 형성된다.
이하, 음료 공급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스 공급원(10)은, 탄산 가스(이산화탄소 가스), 질소 가스, 압축 공기 등의 가스를 음료 수용 용기(20)에 공급한다. 가스 공급원(10)은 감압 밸브(11)를 포함하고,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은 감압 밸브(11)에 의해 조정된다. 가스 공급원(10)은 예컨대 가스 봄베로서 구성된다.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가스 공급로(6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공급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음료를 수용한다. 예컨대, 음료 수용 용기(20)는 발포성 음료를 수용한다. 발포성 음료에는, 맥주, 맥주맛 음료, 츄하이, 위스키 함유 음료(위스키, 하이볼 등), 탄산 쥬스 등이 포함된다. 맥주맛 음료에는, 발포주, 맥아 이외의 원료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발포주에 보리 유래의 알코올 음료가 섞인 맥주 풍미의 발포 알코올 음료(소위 제3 맥주), 논알코올 맥주 등이 포함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예컨대, 발포성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통으로서 구성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입구 부재로서 기능하는 공지된 스피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피어 밸브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정상부로부터 음료 수용 용기(20)의 바닥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음료 공급 시스템(1)은 디스펜스 헤드(50)를 더 구비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음료 수용 용기(20), 구체적으로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스피어 밸브에 부착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가스 유입구(51) 및 음료 유출구(52)를 포함한다. 가스 공급로(60)는, 가스 유입구(51)에 접속되고, 디스펜스 헤드(50) 및 스피어 밸브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가스 공급로(60)는 디스펜스 헤드(5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료 이송로(70)는, 음료 유출구(52)에 접속되고, 디스펜스 헤드(50) 및 스피어 밸브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음료 이송로(70)는 디스펜스 헤드(5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를 포함한다. 조작 레버(5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위쪽 위치와 아래쪽 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조작 레버(53)가 위쪽 위치에 있을 때, 디스펜스 헤드(50)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고, 음료 수용 용기(20) 내로의 가스의 공급을 금지한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되어 음료 수용 용기(20)가 새로운 음료 수용 용기로 교환될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레버(53)의 위치가 위쪽 위치에 설정된다.
한편, 조작 레버(53)가 아래쪽 위치에 있을 때, 디스펜스 헤드(50)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를 유체 연통시키고, 음료 수용 용기(20) 내로의 가스의 공급을 허가한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로 음료가 이송될 때, 즉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로 음료를 공급할 때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레버(53)의 위치가 아래쪽 위치에 설정된다. 음료 수용 용기(20)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가스에 의해 음료의 액면이 눌리고, 음료가 스피어 밸브를 통해 상승하여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이송로(70)로 압출된다.
음료 디스펜서(30)는,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외부[음료 디스펜서(30)의 외부]로 공급한다. 도 1에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음료 디스펜서(30)가 도시된다. 음료 디스펜서(30)는, 코일형의 음료 도입관(31)과, 코크(32)와, 냉각 수조(33)와, 냉각 장치(34)를 포함한다. 코크(32)는 탭이라고도 부른다.
음료 도입관(31)의 한쪽 단부는 음료 이송로(70)에 접속되고, 음료 도입관(31)의 다른 쪽 단부는 코크(32)에 접속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는 음료 도입관(31)을 통해 코크(32)에 도달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코크(32)의 핸들이 조작되면(예컨대 핸들이 앞쪽으로 당겨지면), 코크(32)로부터 용기(100)(맥주잔, 유리컵 등)에 음료가 따라진다. 용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코크(32)의 아래쪽에 미리 설치된다. 또한, 음료가 맥주인 경우, 코크(32)는, 핸들이 앞쪽으로 당겨졌을 때에는 맥주를 공급하고, 핸들이 안쪽으로 밀어졌을 때에는 거품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용자는 냉각 수조(33)에 물을 미리 공급하고, 냉각 수조(33)는 물로 채워진다. 냉각 장치(34)는, 냉동기(도시하지 않음)와, 코일형의 냉매 유통관(35)과, 교반기(36)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34)는, 냉동기로부터 냉매 유통관(35)에 공급된 냉매에 의해 냉매 유통관(35)의 주위에 얼음을 생성하고, 얼음에 의해 냉각 수조(33) 내의 물을 냉각한다. 교반기(36)는, 냉각 수조(33) 내의 물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냉각 수조(33) 내의 물을 교반한다. 음료 디스펜서(30)로 이송된 음료는, 음료 도입관(31)을 통과할 때, 냉각 수조(33) 내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 때문에, 음료 공급 시스템(1)은,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가 상온이었다고 해도, 원하는 차가워진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 박스(4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로(60)의 일부 및 음료 이송로(70)의 일부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진다. 가스 공급로(60)는 한 쌍의 조인트(41)에 의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음료 이송로(70)는 한 쌍의 조인트(42)에 의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제어 장치(80)를 더 구비한다. 제어 장치(80)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진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장치(8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 장치(80)는, 메모리(81), 주변 회로(82) 및 프로세서(83)를 포함한다. 메모리(81) 및 주변 회로(82)는 신호선을 통해 프로세서(83)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시퀀서로서 구성된다.
메모리(81)는, 예컨대,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RAM) 및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ROM)를 갖는다. 메모리(81)는, 프로세서(8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프로세서(83)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주변 회로(82)는, 프로세서(83)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요소(예컨대 타이머 등)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3)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가지며,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시스템(1)은 정전용량식 센서(43)를 더 구비한다.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진다. 구체적으로는,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음료 수용 용기(20)와 음료 디스펜서(30) 사이의 음료 이송로(70) 상에 배치된다.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를 검지하고, 구체적으로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액체의 유무를 검지한다.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소위 비접촉식 센서로서, 예컨대 음료 이송로(70) 주위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음료 이송로(70) 내의 센서에 의해 음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가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로 이송되고 있을 때에는, 음료 이송로(70) 내를 음료가 통과한다. 한편,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되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로 가스가 공급되고, 음료 이송로(70) 내를 가스가 통과한다. 음료와 가스는 서로 상이한 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정전용량식 센서(43)가 배치된 위치에서 음료 이송로(70) 내의 유체가 음료에서 가스로 변화했을 때에는,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출되는 정전용량의 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이송로(70) 내에서 음료에 거품이 생겼다고 해도, 거품의 발생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음료에서 가스로의 전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보다 훨씬 작다. 이 때문에, 정전용량식 센서(43)를 이용함으로써, 음료에 거품이 발생했을 때에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은 제어 장치(80)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경고 장치(44)를 더 구비한다. 경고 장치(44)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진다. 경고 장치(44)는 경고를 출력한다. 예컨대, 경고 장치(44)는, 압전 발음 부품과 같은 발음 부품으로서 구성되며, 경고로서 경고음을 출력한다.
경고 장치(44)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지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지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가스는 음료 디스펜서(30)에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다. 사용자에게는 경고의 의미가 미리 알려져 있고, 경고는 사용자에게 음료 디스펜서(30)의 코크(32)를 닫을 것을 재촉한다. 경고를 받은 사용자가 코크(32)를 닫았을 경우에는, 가스는 코크(32)로부터 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킴으로써, 코크(32)로부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용기(100)에 담겨 있던 음료가 주위로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음료의 공급이 정지된다. 즉,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음료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해 개폐 밸브 등에 의해 음료 이송로(70)가 자동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료 이송로(70) 내에 배치된 개폐 밸브 등에 의해 음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정전용량식 센서(43)가 음료 이송로(70) 내의 음료의 유무를 오검지했다고 해도, 음료의 공급을 정지할지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에게 맡겨진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가 교환된 직후에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 등에는, 사용자는 경고를 무시하고 음료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 등에 의한 음료 이송로(70)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경고에 의해 사용자에게 음료의 고갈을 통지함으로써, 음료의 유무의 오검지에 의해 생기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경고 처리>
이하,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 실행된다.
처음에, 단계 S101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을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102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정전용량의 값을 출력하여,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라고 판정되고,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비검지 상태라고 판정된다. 임계치는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102에 있어서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3에서는,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4)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 것에 따라,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단계 S103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또한,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를 검지하고 있을 때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를 검지하지 않을 때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온 신호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라고 판정되고,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이 오프 신호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비검지 상태라고 판정된다.
또한, 경고 장치(44)는, 액정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며, 경고로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경고 장치(44)는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배치되고, 단계 S103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경고 장치(44)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또한, 경고 장치(44)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발광체로서 구성되며, 경고로서 광을 출력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경고 장치(44)는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배치되고, 단계 S103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경고 장치(44)에 소정 시간만큼 광을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버튼 등의 입력 장치가 설치되고, 제어 장치(8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조작할 때까지,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에 있어서,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통지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이 도 4의 제어 루틴에 따라 행해진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시스템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음료 디스펜서(30)의 코크(32)가 열렸을 때에만, 음료가 외부로 공급된다. 사용자가 코크(32)를 여는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동일한 음료 수용 용기(20)가 장기간 사용되게 되어,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가 열화할 우려가 있다.
디스펜스 헤드(50)의 조작 레버(53)가 아래쪽 위치에 있는 경우,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가 고갈될 때까지, 음료 이송로(70)는 음료에 의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음료 이송로(70) 내의 음료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써 음료 수용 용기(20)의 사용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음료 수용 용기(20)의 사용 시간이, 음료가 열화하는 기간에 도달했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음료 수용 용기(20)의 교환을 재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임계치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이것에 따라, 음료 수용 용기(20)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어, 열화한 음료가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로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경고 처리>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 실행된다.
처음에, 단계 S201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의 출력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2에 있어서, 도 4의 단계 S102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정전용량식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 T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현재의 시간 T에 미소 시간 ΔT를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시간 T를 산출한다. 미소 시간 ΔT는, 본 제어 루틴의 실행 간격에 상당하는 값이다. 시간 T는 제어 장치(80)의 메모리(81)에 기억되고, 시간 T의 초기값은 0이다.
계속해서, 단계 S204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시간 T가 임계치 시간 Tth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임계치 시간 Tth는,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지며, 음료가 열화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 시간으로 설정된다. 단계 S204에 있어서 시간 T가 임계치 시간 Tth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202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단계 S204에서 시간 T가 임계치 시간 Tth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는,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4)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4)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계속해서, 단계 S206에 있어서, 제어 장치(80)는 시간 T를 0으로 리셋한다. 단계 S206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또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에서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출력되는 경고와, 시간 T가 임계치 시간 Tth에 도달했을 때에 출력되는 경고는, 서로 상이한 경고 양태(경고의 길이, 경고음의 음량, 경고음의 주파수 등)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5의 제어 루틴은 도 4의 제어 루틴과 마찬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에 있어서,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통지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이 도 5의 제어 루틴에 따라 행해진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스 공급로(60)는 전체적으로 제어 박스(40)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음료 이송로(70)는 전체적으로 제어 박스(40)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전용량식 센서(43)는 예컨대 음료 이송로(70)에 인접하도록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음료 수용 용기(20) 내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디스펜스 헤드(50)는 생략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음료 수용 용기(20)가 교환될 때에는, 예컨대 가스 공급원(10)의 원밸브를 닫음으로써 음료 수용 용기(20) 내로의 가스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음료 디스펜서(30)는,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음료 디스펜서(30)는 코크(32)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1 : 음료 공급 시스템 10 : 가스 공급원
20 : 음료 수용 용기 30 : 음료 디스펜서
43 : 정전용량식 센서 44 : 경고 장치
60 : 가스 공급로 70 : 음료 이송로
80 : 제어 장치

Claims (4)

  1.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수용 용기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원과,
    상기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상기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와,
    상기 가스 공급원과 상기 음료 수용 용기를 접속하는 가스 공급로와,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를 검지하는 정전용량식 센서와,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와,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의 출력이 입력됨과 더불어 상기 경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임계치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
  3.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통지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으로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를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하는 것과,
    상기 정전용량식 센서에 의해 검지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에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에 음료가 존재하지 않는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경고 장치에 의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송로 내의 상태가 상기 음료 검지 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임계치 시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의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음료 고갈 통지 방법.
KR1020217039816A 2019-06-07 2020-06-05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KR20220002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7205 2019-06-07
JP2019107205A JP6640402B1 (ja) 2019-06-07 2019-06-07 飲料供給システム及び飲料枯渇通知方法
PCT/JP2020/022409 WO2020246604A1 (ja) 2019-06-07 2020-06-05 飲料供給システム及び飲料枯渇通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57A true KR20220002657A (ko) 2022-01-06

Family

ID=6932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816A KR20220002657A (ko) 2019-06-07 2020-06-05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40402B1 (ko)
KR (1) KR20220002657A (ko)
CN (1) CN114206770A (ko)
WO (1) WO20202466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6Y2 (ja) * 1990-06-19 1996-01-10 健次 佐野 生ビール等の注出装置および生ビール等の注出限界検出装置
JPH05290267A (ja) * 1992-04-09 1993-11-05 Fuji Electric Co Ltd 氷詰まり検出・解除装置
JP2592442Y2 (ja) * 1992-12-24 1999-03-24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泡切り装置及び該泡切り装置を備えたサーバ
JPH092589A (ja) * 1995-06-14 1997-01-07 Ckd Corp 液体供給装置
JP2895466B1 (ja) * 1998-02-10 1999-05-24 有限会社さつき電子 ビールの泡検出警報器
JP2006044761A (ja) * 2004-08-06 2006-02-16 Suteikkusu Kk 注出限界検出装置
ITMI20051224A1 (it) * 2005-06-29 2006-12-30 De Longhi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 base di caffe'
JP4703457B2 (ja) * 2006-03-28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N102985352B (zh) * 2010-07-21 2016-08-03 嘉士伯酿酒有限公司 饮料的体积测量
JP2012250767A (ja) * 2011-05-06 2012-12-20 Takashi Nitta 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5980487B2 (ja) * 2011-09-20 2016-08-31 株式会社リード 流路の遮断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飲料サーバシステム
JP2013087178A (ja) * 2011-10-17 2013-05-13 Kankyo Koken:Kk 飲料容器の洗浄剤及び飲料注出装置の洗浄方法
JP6023609B2 (ja) * 2013-02-26 2016-11-09 株式会社リード 飲料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飲料注出制御装置
JP3191408U (ja) * 2014-04-10 2014-06-19 ハイネケン・キリン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及びビールサーバ装置
EP3422914A1 (en) * 2016-03-03 2019-01-09 Nestec S.A. Liquid container, beverage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iquid filling level of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06770A (zh) 2022-03-18
JP6640402B1 (ja) 2020-02-05
WO2020246604A1 (ja) 2020-12-10
JP2020200066A (ja)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2942A1 (ja) 液体販売管理装置
KR20220002657A (ko) 음료 공급 시스템 및 음료 고갈 통지 방법
AU2018384966B2 (en) Liquid quality control device
KR20220088470A (ko) 디스펜스 헤드 및 음료 공급 시스템
JP7349905B2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KR20220005085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US20230365394A1 (en) Liquid supply system
KR101672966B1 (ko) 음료주입시스템 및 음료주입방법
KR20220062391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KR20220002599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JP7263394B2 (ja) 飲料サーバーの洗浄装置
KR20210092809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JP2002173196A (ja) 炭酸飲料注出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37613A (ja) 飲料注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