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085A -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085A
KR20220005085A KR1020217039942A KR20217039942A KR20220005085A KR 20220005085 A KR20220005085 A KR 20220005085A KR 1020217039942 A KR1020217039942 A KR 1020217039942A KR 20217039942 A KR20217039942 A KR 20217039942A KR 20220005085 A KR20220005085 A KR 2022000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gas
val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타 요시와라
다케히로 시라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장치는, 음료 이송로(7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이송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90)와, 가스 공급로(60)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공급로를 개폐하는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과,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제1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하고,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한다.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짧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1822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17-43385호 공보). 이러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사용자는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용기(글라스 등)에 음료를 따름으로써 원하는 양의 음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음료 공급 시스템에 의한 음료의 공급이 종료된 후에는, 음료의 유로에 음료가 남겨진다. 남겨진 음료는, 음료의 열화, 미생물의 번식 등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음료의 맛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을 정기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1822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17-43385호 공보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에서는, 물에 탄산 가스를 혼입시킨 것으로 음료 공급 시스템을 세정함으로써 세정력이 높아진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에는, 한층 더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음료의 유로를 높은 세정력으로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와,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와, 상기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공급로를 개폐하는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2)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린스 제어와 상기 워터샷 제어 사이에, 제4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4 시간은 상기 제3 시간보다 긴, 상기 (1)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3)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린스 제어 전에, 제5 시간만큼 상기 물 개폐 밸브 및 상기 가스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4) 상기 물 공급로에 설치된 유량 센서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5)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린스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값이 제1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6)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값이 제2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 시간을 결정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7)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료는 맥주 또는 맥주맛 음료이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상기 음료와 상기 음료의 거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린스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추정값이 제3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8)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워터샷 제어를 개시할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상기 (7)에 기재된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9)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음료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으로서, 제1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를 개폐하는 물 개폐 밸브와,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하는 것과, 상기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음료의 유로를 높은 세정력으로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가 적용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서의 린스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에서의 워터샷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음료 디스펜서의 콕(cock)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서의 린스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6 실시형태에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인다.
<제1 실시형태>
최초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 공급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가 적용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 음료 수용 용기(20) 및 음료 디스펜서(30)를 구비한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에 공급한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사용자(이하, 간단히 「사용자」라고 칭함)는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용기에 음료를 따름으로써 원하는 양의 음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은, 가스 공급원(10)과 음료 수용 용기(20)를 접속하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수용 용기(20)와 음료 디스펜서(30)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70)를 더 구비한다. 가스 공급로(60)는, 예컨대, 가스 공급 호스로서 구성되고, 가스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로 형성된다. 음료 이송로(70)는, 예컨대, 음료 이송 호스로서 구성되고, 음료 및 가스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로 형성된다.
이하, 음료 공급 시스템(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가스 공급원(10)은, 탄산 가스(이산화탄소 가스), 질소 가스, 압축 공기 등의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 공급원(10)은 가스 감압 밸브(11)를 포함하고,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은 가스 감압 밸브(11)에 의해 조정된다. 가스 공급원(10)은 예컨대 가스 봄베로서 구성된다. 가스 공급원(10)은 가스 공급로(60)에 접속되고,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가스 공급로(6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공급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음료를 수용한다. 예컨대, 음료 수용 용기(20)는 발포성 음료를 수용한다. 발포성 음료에는, 맥주, 맥주맛 음료, 츄하이, 위스키 함유 음료(위스키, 하이볼 등), 탄산 주스 등이 포함된다. 맥주맛 음료에는, 발포주, 맥아 이외의 원료로부터 생성되거나 또는 발포주에 보리 유래의 알코올 음료가 혼합된 맥주 풍미의 발포 알코올 음료(이른바 제3 맥주), 무알코올 맥주 등이 포함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예컨대, 발포성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통으로서 구성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구금(口金)으로서 기능하는 공지된 스피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스피어 밸브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정상부로부터 음료 수용 용기(20)의 바닥부 부근까지 연장된다.
또한, 음료 공급 시스템(1)은 디스펜스 헤드(50)를 더 구비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음료 수용 용기(20), 구체적으로는 음료 수용 용기(20)의 스피어 밸브에 부착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유체 유입구(51) 및 유체 유출구(52)를 포함한다. 가스 공급로(60)는, 유체 유입구(51)에 접속되고, 디스펜스 헤드(50) 및 스피어 밸브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 유체 연통(連通)한다. 따라서, 가스 공급로(60)는 디스펜스 헤드(5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료 이송로(70)는, 유체 유출구(52)에 접속되고, 디스펜스 헤드(50) 및 스피어 밸브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음료 이송로(70)는 디스펜스 헤드(50)를 통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접속되어 있다. 음료 수용 용기(20)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가스에 의해 음료의 액면이 밀려 내려가고, 음료가 스피어 밸브를 통해 상승하여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압출된다.
음료 디스펜서(30)는, 가스 공급원(10)으로부터 공급된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외부[음료 디스펜서(30)의 외부]에 공급한다. 도 1에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음료 디스펜서(30)가 도시된다. 음료 디스펜서(30)는, 코일형의 음료 도입관(31)과, 콕(32)과, 냉각 수조(33)와, 냉각 장치(34)를 포함한다. 콕(32)은 탭이라고도 칭해진다.
음료 도입관(31)의 한쪽의 단부는 음료 이송로(70)에 접속되고, 음료 도입관(31)의 다른쪽의 단부는 콕(32)에 접속된다.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는 음료 도입관(31)을 통해 콕(32)에 도달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콕(32)의 핸들(321)이 조작되면[예컨대 핸들(321)이 앞쪽으로 당겨지면], 콕(32)으로부터 용기[조끼(jug), 글라스 등]에 음료가 따라진다. 용기는, 사용자에 의해 콕(32)의 하방에 미리 설치된다.
사용자는 냉각 수조(33)에 물을 미리 공급하여, 냉각 수조(33)는 물로 채워진다. 냉각 장치(34)는, 냉동기(도시하지 않음)와, 코일형의 냉매 유통관(35)과, 교반기(36)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34)는, 냉동기로부터 냉매 유통관(35)에 공급된 냉매에 의해 냉매 유통관(35)의 주위에 얼음을 생성하고, 얼음에 의해 냉각 수조(33) 내의 물을 냉각한다. 교반기(36)는, 냉각 수조(33) 내의 물의 온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냉각 수조(33) 내의 물을 교반한다. 음료 디스펜서(30)에 이송된 음료는, 음료 도입관(31)을 통과할 때, 냉각 수조(33) 내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 때문에, 음료 공급 시스템(1)은,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가 상온이었다고 해도, 원하는 차가운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외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음료 공급 시스템(1)에 의한 음료의 공급이 종료된 후에는, 음료의 유로에 음료가 남겨진다. 남겨진 음료는, 음료의 열화, 미생물의 번식 등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음료의 맛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을 정기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장치(이하, 간단히 「세정 장치」라고 칭함)가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장치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음료의 유로, 즉 음료 이송로(70) 및 음료 디스펜서(30)[음료 도입관(31) 및 콕(32)]를 세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도 1의 제어 박스(4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 공급 시스템(1)의 구성 요소의 일부는 세정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도 기능한다.
세정 장치는, 음료 이송로(7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60)와, 음료 이송로(7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90)와, 제어 박스(40)와, 디스펜스 헤드(50)를 구비한다. 가스 공급로(60)의 일부 및 물 공급로(90)의 일부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진다.
물 공급로(90)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원(100)에 접속된다. 물 공급로(90)에는 물 감압 밸브(110)가 설치되고, 물 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물 감압 밸브(110)에 의해 조정된다. 물 공급원(100)은 예컨대 수도전(水道栓)으로서 구성된다.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은 세정액으로서 기능한다.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는, 제어 박스(40) 내에서 하나의 공유 유로로 통합되고, 공유 유로를 통해 디스펜스 헤드(50)에 접속된다. 가스 공급로(60)는 제1 조인트(41)를 통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제1 조인트(41)는 제어 박스(40)의 가스 유입구로서 기능한다. 물 공급로(90)는 제2 조인트(42)를 통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제2 조인트(42)는 제어 박스(40)의 물 유입구로서 기능한다.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는 제3 조인트(43)를 통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제3 조인트(43)는 제어 박스(40)의 유체 유출구로서 기능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에 접속된 유체 유입구(51)와, 음료 이송로(70)에 접속된 유체 유출구(52)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도 1 참조)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 레버(53)가 조작되었을 때에 유체 유입구(51)와 유체 유출구(52)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예컨대, 조작 레버(53)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3개의 위치(상방 위치, 중간 위치 및 하방 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하방 위치에 있을 때에, 유체 유입구(51)와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를 접속하고,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와 유체 유출구(52)를 접속한다. 즉,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하방 위치에 있을 때에,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를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를 통해 음료 이송로(70)에 접속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 유체 유입구(51)와 유체 유출구(52)를 직접 접속하고, 유체 유입구(51) 및 유체 유출구(52)를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로부터 차단한다. 즉,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를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한다.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에, 유체 유입구(51),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 및 유체 유출구(52)를 서로로부터 차단한다. 즉, 디스펜스 헤드(50)는, 조작 레버(53)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에,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를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 및 음료 이송로(70)에 접속하지 않는다.
세정 장치는 제어 장치(80)를 더 구비한다. 제어 장치(80)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진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장치(8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장치(80)는, 메모리(81), 주변 회로(82) 및 프로세서(83)를 포함한다. 메모리(81) 및 주변 회로(82)는 신호선을 통해 프로세서(83)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시퀀서로서 구성된다.
메모리(81)는, 예컨대,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RAM) 및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예컨대, ROM)를 갖는다. 메모리(81)는, 프로세서(83)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프로세서(83)에 의해 각종 처리가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주변 회로(82)는, 프로세서(83)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추가의 요소(예컨대 타이머 등)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3)는, 하나 또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갖고,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장치는, 가스 개폐 밸브(61), 가스 역지 밸브(62), 물 개폐 밸브(91) 및 물 역지 밸브(92)를 더 구비한다. 가스 개폐 밸브(61)는, 가스 공급로(60)에 배치되고, 가스 공급로(60)를 개폐한다. 가스 개폐 밸브(61)는, 예컨대, 가스 공급로(60) 내에 배치된 전자 밸브이다.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는, 가스 공급로(60)의 주위에 배치된 핀치 밸브여도 좋다. 가스 개폐 밸브(61)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 장치(80)는 가스 개폐 밸브(61)를 제어한다.
가스 역지 밸브(62)는, 가스 공급로(60)에 배치되고, 가스의 역류[가스 공급원(10)으로의 흐름]를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역지 밸브(62)는 가스 개폐 밸브(61)보다 하류측의 가스 공급로(60)에 배치된다.
물 개폐 밸브(91)는, 물 공급로(90)에 배치되고, 물 공급로(90)를 개폐한다. 물 개폐 밸브(91)는, 예컨대, 물 공급로(90) 내에 배치된 전자 밸브이다. 또한, 물 개폐 밸브(91)는, 물 공급로(90)의 주위에 배치된 핀치 밸브여도 좋다. 물 개폐 밸브(91)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를 제어한다.
물 역지 밸브(92)는, 물 공급로(90)에 배치되고, 물의 역류[물 공급원(100)으로의 흐름]를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 역지 밸브(92)는 물 개폐 밸브(91)보다 하류측의 물 공급로(90)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개폐 밸브(61)는 비통전 시에 가스 공급로(60)를 개방하고 또한 통전 시에 가스 공급로(60)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물 개폐 밸브(91)는 비통전 시에 물 공급로(90)를 폐쇄하고 또한 통전 시에 물 공급로(90)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음료를 공급할 때, 디스펜스 헤드(50)의 조작 레버(53)를 하방 위치로 설정한다. 조작 레버(53)가 하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가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를 통해 음료 이송로(70)에 접속된다. 이때,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에는 전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스 개폐 밸브(61)는 가스 공급로(60)를 개방하고, 물 개폐 밸브(91)는 물 공급로(90)를 폐쇄한다. 이 때문에, 가스 공급로(60)로부터 음료 수용 용기(20)에 가스가 공급되고, 음료가 가스에 의해 음료 이송로(70)를 통해 음료 디스펜서(30)에 이송된다.
또한, 사용자는, 음료 수용 용기(20)를 교환할 때, 디스펜스 헤드(50)의 교환 레버를 상방 위치로 설정한다. 조작 레버(53)가 상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가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 및 음료 이송로(70)에 접속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를 교환할 때의 가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을 세정할 때, 디스펜스 헤드(50)의 조작 레버(53)를 중간 위치로 설정하고, 음료 디스펜서(30)의 콕(32)을 개방한다. 조작 레버(53)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가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된다. 이 때문에, 물 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음료 이송로(70) 및 음료 디스펜서(30)를 세정할 때에, 물이 음료 수용 용기(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 이송로(70) 및 음료 디스펜서(30)를 세정한 물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치된 회수 용기(200)(양동이 등)에 회수된다.
종래,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에서는, 한번에 다량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정력이 높아진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한편, 본원의 발명자는, 예의 검토의 결과, 물의 선속(線速)을 빠르게 하여 물의 에너지를 높임으로써, 세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물의 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한번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저항에 의해 음료 이송로(70) 내에 물을 흘릴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물과 가스가 음료 이송로(70)에 교대로 공급되도록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이때,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가스는 물을 압출하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탄산 음료와 같은 음료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음료뿐만이 아니라 음료의 거품도 음료의 유로에 남겨진다. 이 경우, 가스에 의해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했다고 해도, 물의 흐름이 거품에 의해 방해된다. 이것은, 음료가 맥주인 경우에 특히 현저해진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세정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 장치(80)는 이하의 제어를 실행한다. 최초로, 제어 장치(80)는, 제1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한다. 제1 시간은, 미리 정해지고, 예컨대 10초∼180초로 설정된다. 예컨대, 제1 시간은, 물 공급로(90)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료의 유로[음료 이송로(70) 및 음료 디스펜서(30)]를 채우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한다. 제2 시간은, 미리 정해지고, 제1 시간보다 짧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3 시간은, 미리 정해지고, 제1 시간보다 짧은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1 시간은, 제2 시간과 제3 시간의 합계 시간, 즉 워터샷 제어의 주기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각각, 1초∼10초로 설정된다.
린스 제어에서는, 음료 이송로(70)에 물만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수압을 높일 수 있고, 음료의 유로에 남겨진 거품을 씻어낼 수 있다. 이 결과,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물이 흐를 때의 저항이 작아진다. 워터샷 제어에서는, 음료 이송로(70)에 물과 가스가 간헐적으로 공급되어, 이른바 워터샷 세정이 행해진다. 워터샷 제어에서는, 린스 제어에 비해 물의 선속을 빠르게 하여 물의 에너지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정력을 높일 수 있고, 유로 내의 미세한 오염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린스 제어 및 워터샷 제어의 양방을 실행함으로써, 음료의 유로를 높은 세정력으로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세정 처리>
이하,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해서 실행된다.
최초로, 단계 S101에서, 제어 장치(80)는, 사용자에 의해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를 통해 세정 모드를 선택한다. 입력 장치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예컨대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설치된 버튼(44)(도 1 참조)으로서 구성된다. 제어 장치(80)는 입력 장치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세정 모드의 선택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계 S101에서 세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101에서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102로 진행한다. 단계 S102에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제1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1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제1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속해서, 단계 S103에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제2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2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3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하는 것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제2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 단계 S103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본 제어 루틴에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를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의 종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워터샷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 사이에,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즉,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 사이에,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물 개폐 밸브(9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터샷 제어가 개시될 때에, 물의 공급이 가스의 공급보다 먼저 행해진다. 그러나, 워터샷 제어가 개시될 때에, 가스의 공급이 물의 공급보다 먼저 행해져도 좋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장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린스 제어 및 워터샷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워터샷 제어의 개시 시에는,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이용된 물이 음료의 유로에 남겨진다. 이 경우, 유로에 남겨진 물은,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음료의 유로에 공급되는 물 및 가스에 의해 배출된다. 이때에 공급되는 물 및 가스는 유로의 세정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세정이 실질적으로 개시되는 타이밍이 늦어져, 세정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그래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 사이에 가스를 연속적으로 음료의 유로에 공급함으로써,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이용된 물을 신속히 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 사이에, 제4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한다. 제4 시간은, 미리 정해지고, 워터샷 제어에서의 제3 시간보다 긴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제4 시간은 1초∼10초로 설정된다.
린스 제어와 워터샷 제어 사이에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워터샷 제어의 개시 시로부터 음료의 유로의 세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음료의 유로의 세정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세정 처리>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해서 실행된다.
최초로, 단계 S201에서, 도 4의 단계 S101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사용자에 의해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세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2에서는, 도 4의 단계 S102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3에서, 제어 장치(80)는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제4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4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제4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단계 S204에서, 도 4의 단계 S103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204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장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을 세정할 때, 디스펜스 헤드(50)의 조작 레버(53)를 중간 위치로 설정하고, 음료 디스펜서(30)의 콕(32)을 개방한다. 이 결과, 가스 공급로(60) 및 물 공급로(90)의 공유 유로가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된다. 이때,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는 전력은 공급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세정 모드가 선택되고 나서 린스 제어가 개시될 때까지, 음료의 유로에는 가스가 공급된다. 이 결과, 유로에 남겨진 음료가 배출된다.
그러나, 이 경우, 린스 제어의 개시 시에는, 가스가 음료의 유로에 남겨진다. 유로에 남겨진 가스는,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이 흐를 때의 저항이 되어, 린스 제어에 의해 음료의 거품을 씻어내는 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
그래서, 제3 실시형태에서는, 린스 제어 전에 가스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가스를 자연스럽게 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 전에 제5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하는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한다. 제5 시간은, 미리 정해지고, 예컨대 1초∼10초로 설정된다.
린스 제어 전에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음료의 유로 내의 압력을 저감할 수 있고,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음료의 거품을 효율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 따라서,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음료의 유로의 세정이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세정 처리>
도 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해서 실행된다.
최초로, 단계 S301에서, 도 4의 단계 S101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사용자에 의해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세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세정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302로 진행한다.
단계 S302에서는, 제어 장치(80)는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제5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제5 시간만큼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물 개폐 밸브(9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단계 S303에서, 도 4의 단계 S102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단계 S304에서, 도 4의 단계 S103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304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장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제어 박스(4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장치는 유량 센서(45)를 더 구비한다. 유량 센서(45)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진다. 구체적으로는, 유량 센서(45)는, 물 공급로(90)에 배치되고, 물 공급로(90)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센서(45)는 물 개폐 밸브(91) 및 물 역지 밸브(92)보다 하류측의 물 공급로(90)에 배치된다. 유량 센서(45)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유량 센서(45)의 출력은 제어 장치(80)에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린스 제어에서는, 음료 이송로(70)에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음료의 거품을 씻어낸다. 그러나, 린스 제어의 실행 시간(제1 시간)이 일정한 경우,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물 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변동한다. 이 때문에, 린스 제어에 있어서 원하는 양의 물을 음료 이송로(70)에 공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추정값이 제1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제1 시간을 결정한다. 즉,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이 제1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에 린스 제어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음료의 거품을 효율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워터샷 제어에서의 1회당의 물의 공급 시간(제2 시간)이 일정한 경우,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물 공급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변동한다. 이 때문에,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원하는 양의 물을 음료 이송로(70)에 공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추정값이 제2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제2 시간을 결정한다. 즉,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이 제2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에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세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도, 도 4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이 실행된다. 이때, 도 4의 단계 S102에서, 도 8에 도시된 서브 루틴이 실행되고, 도 4의 단계 S103에서, 도 9에 도시된 서브 루틴이 실행된다.
<린스 제어>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서의 린스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최초로, 단계 S401에서,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고,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속해서, 단계 S402에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403에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에 의해 검출된 물의 유량을 적산함으로써 물의 양의 추정값(EA1)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단계 S404에서, 제어 장치(80)는,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1 임계값(TH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임계값(TH1)은, 미리 정해지고, 예컨대 물 공급로(90)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료의 유로[음료 이송로(70) 및 음료 디스펜서(30)]를 채우는 데 필요한 양으로 설정된다.
단계 S4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1 임계값(TH1)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402로 되돌아간다. 즉, 린스 제어가 계속된다.
한편, 단계 S4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1 임계값(TH1)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즉, 린스 제어가 종료된다. 단계 S401에서 물 개폐 밸브(91)가 개방되고 나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1 임계값(TH1)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제1 시간에 상당한다.
<워터샷 제어>
도 9는 제4 실시형태에서의 워터샷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최초로, 단계 S501에서,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고,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속해서, 단계 S502에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503에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EA2)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에 의해 검출된 물의 유량을 적산함으로써 물의 양의 추정값(EA2)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단계 S504에서, 제어 장치(80)는, 물의 양의 추정값(EA2)이 제2 임계값(TH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임계값(TH2)은, 미리 정해지고, 제1 임계값(TH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단계 S5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2)이 제2 임계값(TH2)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502로 되돌아간다. 즉, 물의 공급이 계속된다.
한편, 단계 S5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2)이 제2 임계값(TH2)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505로 진행한다. 단계 S501에서 물 개폐 밸브(91)가 개방되고 나서 물의 양의 추정값(EA2)이 제2 임계값(TH2)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제2 시간에 상당한다.
단계 S505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제3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하고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제3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단계 S506에서, 제어 장치(80)는 실행 횟수(N)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현재의 실행 횟수(N)에 1을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실행 횟수(N)를 산출한다. 본 제어 루틴이 개시될 때의 실행 횟수(N)의 초기값은 제로이다.
계속해서, 단계 S507에서, 제어 장치(80)는, 실행 횟수(N)가 임계값 횟수(Nth)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임계값 횟수(Nth)는 미리 정해진다. 단계 S507에서 실행 횟수(N)가 임계값 횟수(Nth)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501로 되돌아간다. 즉, 워터샷 제어가 계속된다.
한편, 단계 S507에서 실행 횟수(N)가 임계값 횟수(Nth)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즉, 워터샷 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단계 S501∼단계 S504가 단계 S505와 단계 S506 사이에 실행되어도 좋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장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제어 박스(4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세정 장치는 유량 센서(45)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장치는 경고 장치(46)를 더 구비한다. 경고 장치(46)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진다. 경고 장치(46)는 경고를 출력한다. 예컨대, 경고 장치(46)는, 압전 발음 부품과 같은 발음 부품으로서 구성되고, 경고로서 경고음을 출력한다. 경고 장치(46)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6)를 제어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에 있어서 이용되는 음료는 맥주 또는 맥주맛 음료이다. 또한, 음료 디스펜서(30)는 음료와 음료의 거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 기능은 음료 디스펜서(30)의 공지된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도 11은 음료 디스펜서(30)의 콕(32)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콕(32)은, 핸들(321)(도 1 참조)과, 콕 본체(322)와, 콕 본체(322)에 삽입된 밸브봉(323)을 포함한다. 또한, 콕(32)은,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유로(324)와, 음료의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 유로(32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유로(324)는 밸브봉(323)과 콕 본체(322) 사이의 공간이고, 거품 유로(325)는, 밸브봉(323)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이다. 음료가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음료 유로(324)의 단면적은 거품 유로(325)의 단면적보다 크다.
음료 디스펜서(30)는 음료 유로(324)와 거품 유로(325)로부터 선택적으로 음료를 외부에 공급한다. 사용자는 핸들(321)을 조작함으로써 콕(32)의 유로를 음료 유로(324)와 거품 유로(325)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콕(32)의 유로는, 핸들(321)이 앞쪽으로 당겨졌을 때에는 음료 유로(324)로 설정되고, 핸들(321)이 안쪽으로 밀어졌을 때에는 거품 유로(325)로 설정된다.
콕(32)의 유로가 음료 유로(324)로 설정된 경우, 음료가 외부에 공급된다. 한편, 콕(32)의 유로가 거품 유로(325)로 설정된 경우, 음료는 거품 유로(325)를 통과할 때에 거품으로 변화하여, 거품이 외부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콕(32)이 2개의 유로를 갖는 경우, 양방의 유로를 세정할 필요가 있다. 양방의 유로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중에 사용자가 콕(32)의 유로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콕(32)의 거품 유로(325)에는 다량의 거품이 남겨진다. 이 때문에, 거품이 저항이 되어, 물이 거품 유로(325)를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이 커진다. 이 경우,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가스에 의해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했다고 해도, 물의 흐름이 거품에 의해 방해된다. 따라서, 린스 제어에 있어서 음료 유로(324)가 씻겨진 후에 거품 유로(325)를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콕(32)의 유로를 음료 유로(324)로부터 거품 유로(325)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잘못 알거나, 또는 사용자가 콕(32)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추정값이 제3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에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사용자에게는 경고의 의미가 미리 알려져 있고, 경고는 콕(32)의 유로를 음료 유로(324)로부터 거품 유로(325)로 전환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킴으로써, 음료 디스펜서(30)의 세정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도, 도 4의 세정 처리의 제어 루틴이 실행된다. 이때, 도 4의 단계 S102에서, 도 12에 도시된 서브 루틴이 실행된다.
<린스 제어>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서의 린스 제어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최초로, 단계 S601에서,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고,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물 개폐 밸브(91) 및 가스 개폐 밸브(61)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속해서, 단계 S602에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603에서, 도 8의 단계 S403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80)는, 유량 센서(45)의 출력에 기초하여, 린스 제어에 있어서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단계 S604에서, 제어 장치(80)는,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3 임계값(TH3)은, 미리 정해지고, 예컨대 물 공급로(90)로부터 공급된 물로 음료 유로(324)를 채우는 데 필요한 양으로 설정된다.
단계 S6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602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604에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605로 진행한다.
단계 S605에서는,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6)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에 의해, 콕(32)의 유로를 음료 유로(324)로부터 거품 유로(325)로 전환하는 타이밍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계속해서, 단계 S606에서,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제1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시간 및 제3 임계값(TH3)은, 제1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에 도달하도록 설정된다.
제1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606이 반복해서 실행되어, 린스 제어가 계속된다. 한편, 단계 S606에서 제1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즉, 린스 제어가 종료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에 도달하고 나서 린스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켜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경고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 콕(32)의 유로를 거품 유로(325)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를 개시할 때에도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켜도 좋다. 사용자에게는 경고의 의미가 미리 알려져 있고, 경고는 콕(32)의 유로를 거품 유로(325)로부터 음료 유로(324)로 되돌리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킴으로써, 워터샷 제어 중에 음료 유로(324)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양의 추정값(EA1)이 제3 임계값(TH3)에 도달했을 때에 출력되는 경고와, 워터샷 제어가 개시될 때에 출력되는 경고는, 서로 상이한 경고 양태(경고의 길이, 경고음의 음량, 경고음의 주파수 등)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제6 실시형태>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세정 장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세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제어 박스(40)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이송로(70)는 한 쌍의 조인트(47)에 의해 제어 박스(40)에 접속된다.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세정 장치는 경고 장치(46)를 더 구비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장치는 정전 용량식 센서(48)를 더 구비한다.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되고, 제어 박스(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숨겨진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음료 수용 용기(20)와 음료 디스펜서(30) 사이의 음료 이송로(70) 상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는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용기에 음료를 따름으로써 원하는 양의 음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되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에 가스가 공급되고, 음료 디스펜서(30)로부터 가스가 분출된다. 이 결과, 용기에 따라지고 있던 음료가 주위로 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를 검지하고, 구체적으로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액체의 유무를 검지한다.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이른바 비접촉식 센서이고, 예컨대 음료 이송로(70)의 주위에 부착된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음료에 접촉하지 않고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료 이송로(70) 내의 센서에 의해 음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가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에 이송되고 있을 때에는, 음료 이송로(70) 내를 음료가 통과한다. 한편,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되면,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음료 디스펜서(30)에 가스가 공급되고, 음료 이송로(70) 내를 가스가 통과한다. 음료와 가스는 서로 상이한 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48)가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 내의 유체가 음료로부터 가스로 변화했을 때에는, 정전 용량식 센서(48)에 의해 검출되는 정전 용량의 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음료 수용 용기(20) 내의 음료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이송로(70) 내에서 음료에 거품이 발생했다고 해도, 거품의 발생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는 음료로부터 가스로의 전환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보다 훨씬 작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센서(48)를 이용함으로써, 음료에 거품이 발생했을 때에 음료의 유무가 오검지(誤檢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을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제어 장치(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은 제어 장치(80)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80)는, 정전 용량식 센서(48)에 의해 검지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는 음료 검지 상태로부터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정전 용량식 센서(48)에 의해 검지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로부터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을 때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가스는 음료 디스펜서(30)에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다. 사용자에게는 경고의 의미가 미리 알려져 있고, 경고는 사용자에게 음료 디스펜서(30)의 콕(32)을 폐쇄하는 것을 재촉한다. 경고를 받은 사용자가 콕(32)을 폐쇄한 경우에는, 가스는 콕(32)으로부터 분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킴으로써, 콕(32)으로부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용기에 따라지고 있던 음료가 주위로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음료의 공급이 정지된다. 즉, 음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에, 음료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해서 개폐 밸브 등에 의해 음료 이송로(70)가 자동적으로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료 이송로(70) 내에 배치된 개폐 밸브 등에 의해 음료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정전 용량식 센서(48)가 음료 이송로(70) 내의 음료의 유무를 오검지했다고 해도, 음료의 공급을 정지할지의 여부의 판단은 사용자에게 맡겨진다. 이 때문에, 음료 수용 용기(20)가 교환된 직후에 음료의 고갈이 검지되었을 때 등에는, 사용자는 경고를 무시하고 음료의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밸브 등에 의한 음료 이송로(70)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경고에 의해 사용자에게 음료의 고갈을 통지함으로써, 음료의 유무의 오검지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경고 처리>
이하,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제6 실시형태에서의 경고 처리의 제어 루틴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제어 루틴은 제어 장치(80)[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3)]에 의해 반복해서 실행된다.
최초로, 단계 S701에서, 제어 장치(80)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 또는 워터샷 제어가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01에서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701에서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702로 진행한다. 단계 S702에서는, 제어 장치(80)는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을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703에서, 제어 장치(80)는, 정전 용량식 센서(48)에 의해 검출된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로부터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정전 용량의 값을 출력하고,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라고 판정되고,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비검지 상태라고 판정된다. 임계값은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단계 S703에서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음료 검지 상태로부터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703에서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음료 검지 상태로부터 음료 비검지 상태로 변화했다고 판정된 경우, 본 제어 루틴은 단계 S704로 진행한다.
단계 S704에서는,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제어 장치(80)는 경고 장치(46)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20)에 수용된 음료가 고갈된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단계 S704 후, 본 제어 루틴은 종료된다.
또한,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를 검지하고 있을 때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음료 이송로(70) 내에 음료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온 신호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검지 상태라고 판정되고, 정전 용량식 센서(48)의 출력이 오프 신호인 경우에는 음료 이송로(70) 내의 상태가 음료 비검지 상태라고 판정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사용자가 버튼(44)과 같은 입력 장치를 조작할 때까지, 경고 장치(46)에 경고를 출력시켜도 좋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음료 이송로(70)는 전체적으로 제어 박스(40)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전 용량식 센서(48)는 예컨대 음료 이송로(70)에 인접하도록 제어 박스(40) 내에 배치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가스 공급로(6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의 양방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 물이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 린스 제어, 워터샷 제어 및 물 배출 제어에 있어서, 가스 개폐 밸브(61)가 항상 개방되고, 물 개폐 밸브(91)의 개폐만이 제어 장치(80)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가스 개폐 밸브(61)는 생략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에 있어서, 제1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1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제2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2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개방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3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물 배출 제어에 있어서, 제4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4 시간만큼 물 개폐 밸브(91)를 폐쇄한다.
또한, 가스 공급로(6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물 공급로(90)로부터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스 개폐 밸브(61) 및 물 개폐 밸브(91)의 양방이 개방되어 있을 때에 가스가 음료 이송로(70)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 린스 제어, 워터샷 제어 및 물 배출 제어에 있어서, 물 개폐 밸브(91)가 항상 개방되고, 가스 개폐 밸브(61)의 개폐만이 제어 장치(80)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물 개폐 밸브(91)는 생략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80)는, 린스 제어에 있어서, 제1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1 시간만큼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제2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물이 공급되도록 제2 시간만큼 가스 개폐 밸브(61)를 폐쇄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3 시간만큼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한다. 또한, 제어 장치(80)는, 물 배출 제어에 있어서, 제4 시간만큼 음료 이송로(70)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제4 시간만큼 가스 개폐 밸브(61)를 개방한다.
또한, 물 공급로(90)는 음료 이송로(70)[예컨대 디스펜스 헤드(50) 근방의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물 공급로(90)는,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시에만, 가스 공급로(60)와 통합되거나 또는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가스 공급로(60)는, 음료의 공급 시에 디스펜스 헤드(50)에 접속되고,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시에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음료를 이송하기 위해서 음료 수용 용기(2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60)와는 별도의 가스 공급로가 음료 공급 시스템(1)의 세정 시에 음료 이송로(70)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가스 역지 밸브(62), 물 역지 밸브(92) 및 물 감압 밸브(11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음료 디스펜서(30)는, 음료 수용 용기(20)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음료 디스펜서(30)는 콕(32)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가스 개폐 밸브(61)는 비통전 시에 가스 공급로(60)를 폐쇄하고 또한 통전 시에 가스 공급로(60)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물 개폐 밸브(91)는 비통전 시에 물 공급로(90)를 개방하고 또한 통전 시에 물 공급로(90)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경고 장치(46)는, 액정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고, 경고로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해도 좋다. 이 경우, 경고 장치(46)는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배치되고, 도 12의 단계 S605 및 도 14의 단계 S704에서,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경고 장치(46)에 소정 시간만큼 경고 메시지를 출력시킨다.
또한, 경고 장치(46)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발광체로서 구성되고, 경고로서 광을 출력해도 좋다. 이 경우, 경고 장치(46)는 제어 박스(40)의 외면에 배치되고, 도 12의 단계 S605 및 도 14의 단계 S704에서,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경고 장치(46)에 소정 시간만큼 광을 출력시킨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임의로 조합하여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제4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가 조합되는 경우, 도 12의 제어 루틴에 있어서, 단계 S606 대신에 도 8의 단계 S402∼단계 S404가 실행된다. 이 경우, 제3 임계값(TH3)은 제1 임계값(TH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1: 음료 공급 시스템 10: 가스 공급원
20: 음료 수용 용기 30: 음료 디스펜서
60: 가스 공급로 61: 가스 개폐 밸브
70: 음료 이송로 80: 제어 장치
90: 물 공급로 91: 물 개폐 밸브

Claims (9)

  1.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로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와 상기 음료 디스펜서를 접속하는 음료 이송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와,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와,
    상기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공급로를 개폐하는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린스 제어와 상기 워터샷 제어 사이에, 제4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물 배출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4 시간은 상기 제3 시간보다 긴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린스 제어 전에, 제5 시간만큼 상기 물 개폐 밸브 및 상기 가스 개폐 밸브를 폐쇄하는 내압 저감 제어를 실행하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에 설치된 유량 센서
    를 더 구비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린스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값이 제1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워터샷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값이 제2 임계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 시간을 결정하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료는 맥주 또는 맥주맛 음료이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상기 음료와 상기 음료의 거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린스 제어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로로부터 상기 음료 이송로에 공급된 물의 양의 추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값이 제3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워터샷 제어를 개시할 때에 상기 경고 장치에 경고를 출력시키는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9. 가스에 의해 음료 수용 용기로부터 음료 이송로를 통해 이송된 음료를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외부에 공급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으로서,
    제1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로를 개폐하는 물 개폐 밸브와,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린스 제어를 실행하는 것과,
    상기 린스 제어 후에, 제2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과, 제3 시간만큼 상기 음료 이송로에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스 개폐 밸브 및 상기 물 개폐 밸브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워터샷 제어를 실행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것인,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KR1020217039942A 2019-06-07 2020-06-05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KR20220005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07245 2019-06-07
JPJP-P-2019-107245 2019-06-07
PCT/JP2020/022408 WO2020246603A1 (ja) 2019-06-07 2020-06-05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085A true KR20220005085A (ko) 2022-01-12

Family

ID=7365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942A KR20220005085A (ko) 2019-06-07 2020-06-05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76589B2 (ko)
KR (1) KR20220005085A (ko)
CN (1) CN114206769A (ko)
WO (1) WO20202466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0024C3 (sv) * 1992-08-31 1999-05-03 Alfa Laval Food Eng Ab Anordning avsedd att ingaa i en utrustning foer diskning av olika foermaal i en livsmedelsanlaeggning
JPH0796998A (ja) * 1993-09-24 1995-04-11 Tokyo Koka Cola Botoringu Kk 飲料供給装置における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DE10337735A1 (de) * 2003-08-11 2005-03-10 Sparkasse Buehl Zapfanlage für Getränke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Zapfanlage
EP2192077A1 (en) * 2008-11-27 2010-06-02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5529680B2 (ja) * 2010-08-30 2014-06-25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ナノバブル水の浸漬による機器洗浄方法
JP2012213708A (ja) * 2011-03-31 2012-11-08 Michihisa Tsutahara 洗浄ノズル、これを用いた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12250767A (ja) * 2011-05-06 2012-12-20 Takashi Nitta 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2218579B1 (ko) * 2015-12-08 2021-02-22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CN107473169B (zh) * 2016-06-08 2020-08-04 三国总业株式会社 饮料供给路径的清洗方法以及清洗装置
JP6808030B2 (ja) * 2017-05-19 2021-01-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それを利用した飲料注出路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603A1 (ja) 2020-12-10
CN114206769A (zh) 2022-03-18
JP7376589B2 (ja) 2023-11-08
JPWO2020246603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22841A (ja) 洗浄装置
JP2006264716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飲料通路洗浄装置
JP2007015766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泡性飲料供給装置
KR20220005085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JP2012144272A (ja) 飲料供給ノズル
JP7330882B2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飲料供給システム
JP7349905B2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JP5980375B2 (ja) 液体注出装置、開閉弁、及び遮断部材
JP6640402B1 (ja) 飲料供給システム及び飲料枯渇通知方法
KR101556176B1 (ko)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02599A (ko)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장치 및 음료 공급 시스템의 세정 방법
WO2021132664A1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JP2007308172A (ja) 生ビールディスペンサー洗浄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置
WO2020130149A1 (ja) 飲料サーバーの洗浄装置
JP2003054696A (ja) 発泡飲料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発泡飲料注出装置
JP443674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WO2020138102A1 (ja) 飲料供給システムの洗浄装置
JP2009137613A (ja) 飲料注出装置
JP2004238052A (ja) 飲料供給装置
JP2022105831A (ja) 衛生洗浄装置のスケール除去液供給構造
JP200603622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3246396A (ja) 飲料供給機
JP2006075778A (ja) 気液混合流噴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