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87A -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87A
KR20220001287A KR1020200079473A KR20200079473A KR20220001287A KR 20220001287 A KR20220001287 A KR 20220001287A KR 1020200079473 A KR1020200079473 A KR 1020200079473A KR 20200079473 A KR20200079473 A KR 20200079473A KR 20220001287 A KR20220001287 A KR 2022000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lm
loading
main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718B1 (ko
Inventor
안종이
Original Assignee
안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이 filed Critical 안종이
Priority to KR102020007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7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32B2041/04Detecting wrong registration, misalignment, deviation,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로딩부에 의해 기판이 지나가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기판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와 상기 기판 위치 감지 센서에서 상기 기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로딩부에 의한 기판의 이송 위치와 이송 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다.

Description

라미네이팅 장치{LA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기판에 필름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발전 및 소비자의 요구로 인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는 고사양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두께는 더욱 얇아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다양한 회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표면을 코팅 또는 식각하는 제조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또한, 내장된 카메라 렌즈가 별도 위치에 분리되었던 디자인에서 터치 스크린 글라스 패널 내측에 위치하는 디자인 및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 향상을 위해 기판에 ITO 필름(Indium Tin Oxide film) 내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의 피적층물을 적층하거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과정 중 부분 코팅 및 부분 식각이 요구되는 경우 보호 필름을 글라스 등의 기판 양면에 라미네이팅 한 후 다음 공정을 진행하는 제조 과정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는 점차 그 크기가 소형화되면서 이와 같은 보호필름을 정확한 위치에 접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고, 불량률이 높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라스 등의 기판에 필름을 정밀하게 압착하는 다수의 라미네이팅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1509660호(2015.04.01.)에 기재된 전자동 라미네이팅 장치는 비전 카메라로 필름을 촬영하여 정위치로부터 틀어진 정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기판이 흡착된 에어 플레이트를 서보 모터로 회전시켜 틀어진 정도를 보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필름의 틀어진 정도에 대응하여 기판을 회전시키므로 기판과 필름을 정위치에서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에서는 낱장의 필름과 낱장의 기판만 정위치에서 라미네이팅 할 수 있을 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과 다수의 기판을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팅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과 다수의 기판을 순차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구성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와 기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판의 이송 위치와 이송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방향에서 필름과 기판의 위치를 정밀하게 정렬하여 필름과 기판을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필름의 커팅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로딩부에 의해 기판이 지나가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기판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와 상기 기판 위치 감지 센서에서 상기 기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로딩부에 의한 기판의 이송 위치와 이송 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다.
상기 로딩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다수의 로딩 롤러;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는 로딩 레일; 및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의 아래에서 양측의 상기 로딩 레일을 연결하는 로딩 레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로딩 레일 연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딩 레일 위를 지나가는 기판의 이송 경로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로딩부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의 제2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 정렬 스토퍼에 의한 상기 기판의 제2 방향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기판 정렬 스토퍼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 지지축; 및 상기 다수의 회전 지지축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판 정렬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방향의 일 측에 설치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와 상기 제2 방향의 타 측에 설치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에 의해 라미네이팅 처리된 기판 필름 결합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언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언로딩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에서 상기 언로딩부로 이송되는 상기 결합체의 필름을 상기 기판 단위로 절단하도록 형성되는 필름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필름 커팅부에 의한 필름 커팅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언로딩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다수의 언로딩 롤러; 및 상기 다수의 언로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언로딩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언로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커팅부는 상기 언로딩 레일의 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름 커팅부는, 상기 언로딩 레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필름 커팅부 레일; 상기 필름 커팅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언로딩 롤러와의 사이 공간을 통해 기판 필름 결합체를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언로딩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체의 필름을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메인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두 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는, 상기 두 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지지 로드; 상기 지지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축 링크; 및 상기 다축 링크에 연결되는 비전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의 표시는 상기 메인 롤러로 공급되는 필름의 공급 방향에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정렬 홀로 구성되고, 상기 비전 센서는 상기 정렬 홀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전 센서에서 감지되는 필름의 표시에 근거하여 상기 필름과 라미네이팅 처리될 기판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이 정위치에서 기판과 정밀하게 라미네이팅 처리될 수 있다.
특히 비전 센서에서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와 기판 위치 감지 센서에서 기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필름의 이송 방향 또는 전진 방향에서 기판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의 이송 방향 또는 전진 방향에서 기판과 필름이 정밀하게 라미네이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비전 센서에서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판의 좌우 방향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의 좌우 방향에서 기판과 필름이 정밀하게 라미네이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전 센서에서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필름 커팅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단위의 정밀한 절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의 사시도다.
도 2는 압착부의 단면도다.
도 3은 라미네이팅 장치에 의해 기판의 양면에 필름이 압착되는 공정을 보인 개념도다.
도 4는 비전 센서의 사시도다.
도 5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설치된 기판 위치 감지 센서 및 기판 정렬 스토퍼의 단면도다.
도 6은 언로딩부와 상기 언로딩부에 설치된 필름 커팅부의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라미네이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1000)의 사시도다. 도 2는 압착부(200)의 단면도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팅 장치(1000)는 로딩부(100), 압착부(200), 및 언로딩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라미네이팅 장치(1000)는 본질적으로 기판(G, 도 3 참조)의 양면에 필름(F1, F2)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는 양면 라미네이팅 장치(1000)에 해당한다.
로딩부(100)는 기판(G)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여 압착부(200)로 기판(G)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G)이란 필름(F1, F2)이 압착될 대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예컨대 글라스가 기판(G)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G)의 종류가 반드시 글라스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 방향이란 기판(G)이 이송되면서 자동으로 라미네이팅 처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기 일 방향이란 수평 방향일 수 있으며, 다른 방향과의 구분을 위해 제1 방향(1)으로 명명될 수 있다.
로딩부(10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 로딩 레일(120), 로딩 레일 연결부(130), 지지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로딩 롤러(110)는 기판(G)을 이송하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다수의 로딩 롤러(110)가 기판(G)을 이송하는 방향은 제1 방향(1)이다. 다수의 로딩 롤러(110)는 제1 방향(10)으로 기판(G)을 이송하도록 상기 제1 방향(1)에 교차 내지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제1 방향(1)에 교차 내지 직교하는 방향은 제2 방향(2)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방향(1)에 직교하는 제2 방향(2)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로딩 롤러(110)가 배열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로딩 롤러(110)는 상기 제1 방향(1)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수의 로딩 롤러(11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위에 놓인 기판(G)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전진이란 압착부(200)를 향하는 방향이다.
로딩 레일(120)은 다수의 로딩 롤러(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로딩 레일(120)은 제2 방향(2)에서 다수의 로딩 롤러(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로딩 레일(120)은 제1 방향(1)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로딩 롤러(1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1)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로딩 레일 연결부(13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의 아래에서 양측 로딩 레일(1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로딩 레일 연결부(130)는 바(bar) 또는 판(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대(140)는 양측의 로딩 레일(120) 또는 로딩 레일 연결부(130)를 지면에 지지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지면이란 라미네이팅 장치(1000)가 설치되는 바닥을 가리킨다. 지지대(14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압착부(200)는 로딩부(100)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기판(G)에 차례대로 필름(F1, F2)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라미네이팅이란 사전적으로 기판(G)의 표면에 필름(F1, F2)을 입혀 코팅 처리하는 기법을 가리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판(G)의 일면에만 필름(F1, F2)을 압착하는 것이 아니라 기판(G)의 양면에 각각 필름(F1, F2)을 압착한다.
라미네이팅을 위해 압착부(200)에는 다수의 롤러가 구비된다.
먼저, 압착부(200)에는 기판(G)의 양면에 필름(F1, F2)을 압착하기 위한 메인 롤러(210)가 구비된다. 메인 롤러(210)는 기판(G)의 제1 면에 제1 필름(F1)을 압착하는 제1 메인 롤러(211), 기판(G)의 제2 면에 제2 필름(F2)을 압착하는 제2 메인 롤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을 기판(G)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판(G)의 양면에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을 압착하기 위해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는 상기 제1 방향(1)에 교차 내지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방향(1)에 교차 내지 직교하는 방향이란 앞서 제2 방향(2)과는 다른 방향이며, 제3 방향(3)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3 방향(3)은 제1 방향(1)과 제2 방향(2) 모두에 직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1)과 제2 방향(2)을 3차원 좌표상의 X 방향과 Y 방향이라 한다면, 제3 방향(3)은 Z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가 제3 방향(3)에서 위 아래에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 그리고 기판(G)이 공급되면, 기판(G)의 양면에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이 압착될 수 있다.
또한, 압착부(200)에는 제1 필름 공급 롤러(221), 제1 필름 이형지 회수 롤러(222), 제2 필름 공급 롤러(231), 제2 필름 이형지 회수 롤러(222), 가이드 롤러(241, 244, 251, 254), 장력 검출 롤러(242, 252), 이형지 분리 롤러(243a, 243b)(253a, 253b) 등이 구비된다. 제1 필름(F1)이 지나가는 롤러를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제1 필름 공급 롤러(221), 가이드 롤러(241), 장력 검출 롤러(242), 한 쌍의 이형지 분리 롤러(243a, 243b), 그리고 메인 롤러(210)와 제1 필름 이형지 회수 롤러(222)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필름(F2)을 공급하는 롤러들의 순서로 마찬가지로, 다만 제1 필름(F1)을 공급하는 롤러들과 상하 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것이라 이해될 수 있다.
제1 필름 공급 롤러(221)와 제2 필름 공급 롤러(231)에는 각각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이 감겨 있다. 라미네이팅 처리를 위해 필요 시 제1 필름 공급 롤러(221)와 제2 필름 공급 롤러(231)가 회전하면서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이 풀려 메인 롤러(210)로 공급된다.
제1 필름(F1)의 일면과 제2 필름(F2)의 일면에는 각각 이형지(F1', F2')가 붙어 있는데 이형지(F1', F2')는 장력 검출 롤러(242, 252)를 지나 한 쌍의 이형지 분리 롤러(243a, 243b)(253a, 253b)에서 제1 필름(F1)이나 제2 필름(F2)으로부터 박리된다.
이형지(F1', F2')란 필름(F1, F2)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붙인 보호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압착 전 제1 필름(F1)이나 제2 필름(F2)으로부터 박리되어 제1 필름 이형지 회수 롤러(222)와 제2 필름 이형지 회수 롤러(232)에 회수된다. 그리고 이형지(F1', F2')가 박리된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만 메인 롤러(21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롤러에 의해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은 연속적으로 메인 롤러(210)에 공급될 수 있다.
기판(G)에 필름(F1, F2)이 라미네이팅 처리된 기판 필름 결합체(A, 도 6 참조)는 기판(G)의 이송 방향에서 메인 롤러(210)의 뒤에 배치되는 결합체 이송 롤러(260)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언로딩부(300) 쪽으로 이송된다.
두 측판(271, 272)은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압착부(2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롤러는 두 측판(271, 2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언로딩부(300)는 압착부(200)의 메인 롤러(210)에 의해 라미네이팅 처리된 기판 필름 결합체(A)를 제1 방향(1)으로 계속하여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언로딩부(300)는 실질적으로 로딩부(100)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언로딩부(300)는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 언로딩 레일(320), 언로딩 레일 연결부(330), 지지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는 기판 필름 결합체(A)를 이송하도록 형성 및 배열된다.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가 기판(G)을 이송하는 방향은 제1 방향(1)이다.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는 제1 방향(1)으로 기판(G)을 이송하도록 제2 방향(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1에는 제1 방향(1)에 직교하는 제2 방향 회전축(2)을 중심으로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가 배열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는 상기 제1 방향(1)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위에 놓인 기판 필름 결합체(A)는 상기 제1 방향(1)을 따라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여기서 전진이란 압착부(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언로딩 레일(320)은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언로딩 레일(320)은 제2 방향(2)에서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언로딩 레일(320)은 제1 방향(1)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1)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언로딩 레일 연결부(330)는 다수의 언로딩 롤러(310)의 아래에서 양측 언로딩 레일(3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언로딩 레일 연결부(330)는 바(bar) 또는 판(plate)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대(340)는 양측의 언로딩 레일(320) 또는 언로딩 레일 연결부(330)를 지면에 지지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지면이란 라미네이팅 장치(1000)가 설치되는 바닥을 가리킨다. 지지대(340)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반면, 기판(G)에 해당하는 글라스는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이 기판(G)에 압착된다면,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은 기판(G)과 라미네이팅 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구획되게 된다. 두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기판(G)과 라미네이팅 되는 영역을 기판-필름 라미네이팅 영역(L), 그렇지 않은 영역을 필름-필름 라미네이팅 영역(N)으로 명명한다.
메인 롤러(210)로 공급되는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수의 노출 홀(H)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필름(F2)에 다수의 노출 홀(H)이 기판-필름 라미네이팅 영역(L)에 형성되어 있다. 이 노출 홀(H)은 기판(G)을 노출시키는 영역으로, 후속 공정에서 노출 홀(H)을 통해 노출되는 기판(G)의 영역만 식각액 등에 의해 식각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기판(G)의 정위치가 식각 되려면 제2 필름(F2)의 기판-필름 라미네이팅 영역(L)에 기판(G)이 정확하게 압착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2 필름(F2)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판(G)과 제2 필름(F2) 간에 위치가 틀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기판(G)과 제2 필름(F2) 간의 위치가 틀어지게 된다는 것은, 메인 롤러(210)에서 기판(G)과 제2 필름(F2)이 압착될 때, 기판(G)과 제2 필름(F2)이 제1 방향(1)에서 혹은 제2 방향(2)에서 본래의 위치해야 할 상대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판(G)이 기판-필름 라미네이팅 영역(L)의 경계를 넘어 제2 필름(F2)에 압착되는 결과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1000)는 필름(F1, F2)의 표시(M)를 감지하는 비전 센서(400),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 기판 정렬 스토퍼(600), 그리고 필름 커팅부(700)를 이용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며, 그 전에 도 3에서는 라미네이팅 장치(1000)에 의해 기판(G)의 양면에 필름(F1, F2)이 압착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라미네이팅 장치(1000)에 의해 기판(G)의 양면에 필름(F1, F2)이 압착되는 공정을 보인 개념도다.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은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의 사이를 지나가게 된다.
기판(G)을 사이에 두고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이 각각 기판(G)의 제1 면과 제2 면을 마주보도록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가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을 기판(G)쪽으로 압착하게 되면 라미네이팅 처리되어 기판 필름 결합체(A)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필름(F1)은 청보호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필름(F1)과 기판(G) 사이에는 접착력이 없는 간지(I)가 공급될 수 있다. 간지(I)는 기판(G)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필름(F1)은 기판(G)의 테두리에만 접착되므로, 후속 공정에서 제1 필름(F1)을 기판(G)으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해진다.
제2 필름(F2)은 UV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UV 필름은 자외선(UV)을 조사하면 기판(G)으로부터 박리된다. 다만,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비전 센서(400) 등을 이용하여 제2 필름(F2)을 기판(G)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압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비전 센서(400)의 사시도다.
비전 센서(400)는 센싱 대상 영역의 표시(M)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를 가리킨다. 예컨대 비전 센서(400)는 비전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렬 홀과 같이 필름(F1, F2)의 공급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는 촬영 대상 영역의 표시(M)를 감지할 수 있다.
비전 센서(400)는 메인 롤러(21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필름(F2)에 정렬 홀이 형성된 경우, 제2 필름(F2)은 제2 메인 롤러(212)의 우측 반원에 해당하는 외주면 부분을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비전 센서(400)가 제2 메인 롤러(212)를 기준으로 제1 메인 롤러(211)의 반대쪽 위치 부근에 배치된다면, 제2 필름(F2)이 기판(G)에 압착되기 전에 비전 센서(400)가 제2 필름(F2)의 정렬 홀 등 표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비전 센서(400)가 제2 메인 롤러(212)를 기준으로 제3 방향에서 제1 메인 롤러(211)와 정확하게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비전 센서(400)의 설치 위치 조건은 제2 필름(F2)이 제2 메인 롤러(212)에 의해 기판(G)에 압착되기 전 제2 필름(F2)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여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정확하게 중첩되는 위치나, 그 인접한 위치에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제2 메인 롤러(212)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 어느 것도 무방하다.
라미네이팅 장치(1000)는 두 측판(271, 27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지지 로드(41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로드(410)는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두 측판(271, 27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로드(410)는 두 측판(271, 27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연결 로드(420)를 통해 두 측판(271, 27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 로드(420)는 측판(2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연결 로드(420)의 일 측이 측판(272)에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 로드(4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 로드(420)가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지지 로드(410) 또한 연결 로드(420)에 의해 정의되는 원주를 따라 회전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원주의 지름은 상기 연결 로드(4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그리고 지지 로드(410)에는 다축 링크(4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축 링크(430)란 양 단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다른 링크와 공유하도록 구성된 링크들(431, 432, 433)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조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단 링크 혹은 다관절 링크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비전 카메라(441)(442)는 상기 다축 링크(430)에 연결된다. 따라서 다축 링크(430)의 수와 장공의 크기에 따라 비전 센서(400)의 위치나 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축 링크(430)의 여러 링크들(431, 432, 433) 중 비전 카메라(441)(442)와 직접 연결되는 링크(433)의 안쪽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비전 카메라(441)와의 상대적인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비전 카메라(441)(442)의 위치는 지지 로드(410)를 따라 제2 방향에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비전 카메라(441, 442))의 위치는 다축 링크(430)에 의해 제1 방향과 제3 방향에서도 입체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비전 카메라(441)(442)는 제2 메인 필름(F1, F2)의 정중앙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혹은 제2 메인 필름(F1, F2)의 정중앙 하측에서 벗어나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비전 카메라(441)(442)의 위치는 제2 메인 롤러(212)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조절될 수도 있고, 멀어지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비전 센서(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필름(F2)의 필름-필름 라미네이팅 영역(N)에는 제2 필름(F2)의 공급 방향과 그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총 4개의 정렬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비전 카메라(441)와 제2 비전 카메라(442)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면 4개의 정렬 홀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감지력을 갖게 된다.
비전 센서(400)가 제2 필름(F2)에 형성된 정렬 홀을 감지하게 된다면, 기판(G)에 대한 제2 필름(F2)의 상대적인 위치가 감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G)과 제2 필름(F2)의 상대적인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기판(G)이나 제2 필름(F2)을 정렬시켜 상대적인 위치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 중 기판(G)과 제2 필름(F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정렬되어야 하는 방향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다. 제3 방향은 제1 메인 롤러(211)와 제2 메인 롤러(21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렬을 벗어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G)의 위치를 정렬시키게 되며, 제1 방향에서는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와 로딩부(100)를 이용하게 되고, 제2 방향에서는 기판 정렬 스토퍼(600)를 이용하게 된다. 이들 구성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설치된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 및 기판 정렬 스토퍼(600)의 단면도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로딩부(100)에 의해 기판(G)이 지나가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로딩부(100)의 로딩 레일 연결부(130)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로딩 레일(120) 위를 지나가는 기판(G)의 이송 경로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 중 메인 롤러(210)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롤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G)이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송되므로,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제1 방향에서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의 앞단을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로딩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여러 방식 중 임의의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가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지면,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이 접촉식 센서에 접촉됨에 따라 기판(G)의 위치가 감지된다.
다른 예로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근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가 근접 센서로 이루어진다면, 기판(G)이 근접 센서에 접근하여 근접 센서를 가리게 됨에 따라 기판(G)의 위치가 감지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들은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지지부(510), 연결부(520), 감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10)는 로딩부(100)에 연결된다. 예컨대 지지부(510)는 로딩 레일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10)는 상기 로딩 레일 연결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부(520)를 지지한다.
연결부(520)는 지지부(510)로부터 상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또는 연장된다. 연결부(520)는 기판의 이송 위치까지 돌출 또는 연장된다.
감지부(530)는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부(530)가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의 예는 앞서 설명하였다.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는 제1 방향에서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비전 센서(400)에서 필름(F1, F2)의 표시(M)를 감지한 결과와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에서 기판(G)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로딩부(100)에 의한 기판(G)의 이송 위치 및/또는 이송 시기가 제어되면, 제1 방향에서 기판(G)과 제2 필름(F2)을 서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란 다수의 로딩 롤러(11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시기를 결정하는 전기적/전자적 구성을 가리킨다. 예컨대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G)이나 상기 인쇄회로기판(G)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로딩부(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로딩부(100)의 양측이란 제2 방향에서 로딩 롤러(110)의 양 단부 쪽을 가리킨다.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의 제2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송 중인 기판(G)의 제2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회전 지지축(610)과 기판 정렬 롤러(620)를 포함한다.
회전 지지축(610)은 제3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앞서 제3 방향은 수직 방향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회전 지지축(610)은 로딩 레일(120)의 바로 안 쪽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축(610)은 복수로 구비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에서 회전 지지축(610)이 로딩 롤러(110)와 1:1 또는 1:2 등의 규칙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면 서로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배치를 갖게된다.
기판 정렬 롤러(620)는 다수의 회전 지지축(610)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회전 지지축(6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기판 정렬 롤러(62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과 제3 방향에서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된다.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제2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G)의 양측에서 기판(G)을 상대방 기판 정렬 스토퍼(600) 쪽으로 제2 방향을 따라 밀 수 있게 된다.
기판 정렬 스토퍼(600)의 제2 방향 이동은 회전 지지축(610)의 제2 방향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지지축(610)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면, 회전 지지축(610)의 제2 방향 이동에 따라 기판 정렬 롤러(620)도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기판 정렬 스토퍼(600)의 이동은 다른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판 정렬 롤러(620)는 제3 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기판(G)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단지 기판(G)의 제2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다수의 로딩 롤러(1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에서 일측의 기판 정렬 스토퍼(600)와 타측의 기판 정렬 스토퍼(6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테면, 일측 기판 정렬 스토퍼(600)가 한쪽으로 움직인다고 하여, 타측 기판 정렬 스토퍼(600)가 따라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비전 센서(400)에서 필름(F1, F2)의 표시(M)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기판 정렬 스토퍼(600)에 의한 기판(G)의 제2 방향 위치가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로딩 롤러(110)에 의해 기판(G)이 메인 롤러(210)로 이송되었을 때 제2 방향에서 기판(G)과 제2 필름(F2)이 서로 정렬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다수의 로딩 롤러(110)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시기뿐만 아니라 기판 정렬 스토퍼(600)의 제2 방향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에 의하면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서 제2 필름(F2)과 기판(G)의 위치를 정밀하게 정렬하여 제2 필름(F2)과 기판(G)을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압착되게 할 수 있다. 다만, 정밀한 정렬의 대상은 제2 필름(F2)과 기판(G)뿐만 아니라, 제1 필름(F1)과 기판(G)이 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비전 센서(400)가 제1 필름(F1)의 표시(M)를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F1, F2)과 다수의 기판(G)이 순차적으로 압착되면, 기판(G)과 기판(G) 사이에서 필름(F1, F2)이 절단되어야 한다. 필름(F1, F2)의 절단은 필름 커팅부(70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필름 커팅부(700)에 대하여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언로딩부(300)와 상기 언로딩부(300)에 설치된 필름 커팅부(700)의 사시도다.
필름 커팅부(700)는 언로딩부(300)에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필름 커팅부(700)는 압착부(200)의 메인 롤러(210)에서 라미네이팅 처리된 기판 필름 결합체(A)의 필름(F1, F2)을 기판(G) 단위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기판(G) 단위란 긴 필름(F1, F2)에 짧은 기판(G)이 다수 압착됨에 따라 기판(G)과 기판(G) 사이에서 필름(F1, F2)만 존재하는 영역을 절단하고 기판(G)은 절단되지 않는다.
만일 제1 방향에서 기판(G)의 위치가 기판 위치 감지 센서(500)와 로딩부(100)에 의해 정렬되었다면, 필름 커팅부(700)는 정렬 결과를 반영한 위치에서 필름(F1, F2)을 절단해야 기판(G) 단위의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방향에서 필름 커팅부(700)의 위치가 조절되거나, 필름 커팅부(700)의 절단 시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제1 방향에서 필름 커팅부(700)의 위치 조절을 위해 필름 커팅부(700)는 언로딩 레일(320)의 일 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언로딩 레일(320)의 일 면이란 측면, 상면, 하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필름 커팅부(700)는 언로딩 레일(320)의 측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필름 커팅부(700)는 필름 커팅부 레일(710), 이동부(720), 지지 플레이트(730), 그리고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필름 커팅부 레일(710)은 언로딩 레일(320)의 일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필름 커팅부 레일(710)은 언로딩 레일(320)의 측면에 설치된다. 필름 커팅부 레일(710)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동부(720)는 필름 커팅부(70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부(720)는 필름 커팅부 레일(7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730)는 이동부(720)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7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부(720)가 필름 커팅부 레일(710)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되면, 지지 플레이트(730)도 이동부(720)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730)는 언로딩 롤러(310)와의 사이 공간을 통해 기판 필름 결합체(A)를 지나가게 하도록 언로딩 롤러(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를테면 지지 플레이트(730)는 언로딩 롤러(310)의 상측에 배치되되, 제3 방향에서 언로딩 롤러(31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퍼 플레이트(740)는 제3 방향에서 지지 플레이트(7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어퍼 플레이트(740)와 지지 플레이트(730)는 제3 방향에서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731, 741)을 구비한다. 슬릿(731, 741)은 커팅 유닛(760)의 제2 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은 어퍼 플레이트(74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은 어퍼 플레이트(740)와 마찬가지로 제3 방향에서 지지 플레이트(7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은 제1 방향에서 어퍼 플레이트(74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은 커팅 유닛(760)과 결합되어 커팅 유닛(760)의 제2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한다.
커팅 유닛(760)은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팅 유닛(760)은 커팅 유닛 가이드 레일(750)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커팅 유닛(760)은 나이프(761)를 구비한다. 나이프(761)는 슬릿(731, 741)에 삽입되며, 나이프(761)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판 필름 결합체(A)의 필름(F1, F2)을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나이프(761)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판 필름 결합체(A)의 필름(F1, F2)을 절단하게 된다. 특히 비전 센서(400)에서 필름(F1, F2)의 표시(M)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제1 방향에서 필름 커팅부(700)에 의한 필름(F1, F2) 커팅 위치가 제어된다. 따라서 필름(F1, F2)의 필름-필름 라미네이팅 영역(N)에서만 제1 필름(F1)과 제2 필름(F2)의 커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필름 커팅부(700)의 제1 방향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로딩부에 의해 기판이 지나가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기판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와 상기 기판 위치 감지 센서에서 상기 기판의 위치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로딩부에 의한 기판의 이송 위치와 이송 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다수의 로딩 롤러;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는 로딩 레일; 및
    상기 다수의 로딩 롤러의 아래에서 양측의 상기 로딩 레일을 연결하는 로딩 레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치 감지 센서는 상기 로딩 레일 연결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딩 레일 위를 지나가는 기판의 이송 경로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3.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로딩부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의 제2 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 정렬 스토퍼에 의한 상기 기판의 제2 방향 위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정렬 스토퍼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 지지축; 및
    상기 다수의 회전 지지축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판 정렬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일 측에 설치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와 상기 제2 방향의 타 측에 설치되는 기판 정렬 스토퍼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6.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기판에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롤러;
    상기 메인 롤러를 향해 기판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에 의해 라미네이팅 처리된 기판 필름 결합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는 언로딩부;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필름에 형성된 표시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비전 센서; 및
    상기 언로딩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롤러에서 상기 언로딩부로 이송되는 상기 결합체의 필름을 상기 기판 단위로 절단하도록 형성되는 필름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에서 상기 필름의 표시를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필름 커팅부에 의한 필름 커팅 위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다수의 언로딩 롤러; 및
    상기 다수의 언로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언로딩 롤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언로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커팅부는 상기 언로딩 레일의 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커팅부는,
    상기 언로딩 레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필름 커팅부 레일;
    상기 필름 커팅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언로딩 롤러와의 사이 공간을 통해 기판 필름 결합체를 지나가게 하도록 상기 언로딩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일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체의 필름을 절단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메인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두 측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는,
    상기 두 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지지 로드;
    상기 지지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축 링크; 및
    상기 다축 링크에 연결되는 비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표시는 상기 메인 롤러로 공급되는 필름의 공급 방향에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정렬 홀로 구성되고,
    상기 비전 센서는 상기 정렬 홀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200079473A 2020-06-29 2020-06-29 라미네이팅 장치 KR10244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73A KR102449718B1 (ko) 2020-06-29 2020-06-29 라미네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73A KR102449718B1 (ko) 2020-06-29 2020-06-29 라미네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87A true KR20220001287A (ko) 2022-01-05
KR102449718B1 KR102449718B1 (ko) 2022-09-30

Family

ID=7934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473A KR102449718B1 (ko) 2020-06-29 2020-06-29 라미네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7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869B1 (ko) * 2005-05-04 2005-09-06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로봇비젼을 이용한 수동노광기의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6378A (ko) * 2010-02-22 2011-08-30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보강부재의 부착장치
KR101416490B1 (ko) * 2013-01-16 2014-07-09 주식회사 윌럭스 필름과 패널의 부착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KR101652065B1 (ko) * 2015-06-23 2016-08-30 (주) 대화산기 전자석과 진공 흡착부를 구비한 시트 부재 적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869B1 (ko) * 2005-05-04 2005-09-06 주식회사 윈텍오토메이션 로봇비젼을 이용한 수동노광기의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6378A (ko) * 2010-02-22 2011-08-30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보강부재의 부착장치
KR101416490B1 (ko) * 2013-01-16 2014-07-09 주식회사 윌럭스 필름과 패널의 부착위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KR101652065B1 (ko) * 2015-06-23 2016-08-30 (주) 대화산기 전자석과 진공 흡착부를 구비한 시트 부재 적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718B1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3163B (zh) 证件基板层压机及层压证件基板的方法
KR101512590B1 (ko)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CN105321866B (zh) 向挠性薄膜结构的显示元件贴合光学功能膜的方法
JP4922071B2 (ja) 露光描画装置
KR100981053B1 (ko) 커버레이 가접 장치
CN109143642B (zh) 保持装置、定位装置以及贴合装置
JP2007062321A (ja) 積層フィルム貼合せ装置
KR100884916B1 (ko)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TW201506501A (zh) 用於附接薄膜的系統
KR101509660B1 (ko) 고정밀도 전자동 라미네이팅 장치
KR100815437B1 (ko) 인쇄회로기판 가접장치 및 가접방법
TWI545016B (zh) 用於層壓第一與第二疊片之裝置及方法
KR20120025857A (ko)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KR102449718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102166696B1 (ko) 광학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장치
JP2008175846A (ja) 基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
JP6404586B2 (ja) 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120312461A1 (en) Tape adhering apparatus and tape adhering method
KR20140072600A (ko) 기판 이송 장치
JP2007266393A (ja) 基板の位置決め方法、基板の位置決め装置、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背面板の製造装置。
KR20060090907A (ko) 평판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및 이를 사용한 라미네이팅방법
KR102375376B1 (ko) 라미네이팅 장치
JP5793821B2 (ja) 検出装置、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装置及び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方法
KR102375377B1 (ko) 라미네이팅 방법
JP6490963B2 (ja) 光学表示部品のアライメント装置及び光学表示部品のアライメン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