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857A -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857A
KR20120025857A KR1020100088024A KR20100088024A KR20120025857A KR 20120025857 A KR20120025857 A KR 20120025857A KR 1020100088024 A KR1020100088024 A KR 1020100088024A KR 20100088024 A KR20100088024 A KR 20100088024A KR 20120025857 A KR20120025857 A KR 2012002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bstrate
coverlay
carrier bel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187B1 (ko
Inventor
이문효
Original Assignee
이문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효 filed Critical 이문효
Priority to KR102010008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1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의 이물질을 크린롤러를 통하여 제거한 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커버레이 시트의 상부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시키는 합지롤러와, 상기 합지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롤러와,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가접되는 기판을 이송시키는 가접 테이블과, 상기 회수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와 상기 가접 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기판이 가접되는 메인 스테이지와,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신축률을 보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과,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결과에 따라 기판을 이송시키고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수단과,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상기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가접시키는 가접롤러와,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서 기판과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커버레이 테이프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롤러에서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상기 합지롤러로 순환시키는 EPC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b)상기 캐리어 벨트가 합지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와, (c)상기 이형지가 박리된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이송하는 단계와, (d)상기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한 후,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와, (e)상기 촬영된 결과에 따라 기판과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f)상기 커버레이 시트를 기판의 상부에 가접하는 단계와, (g)상기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를 회수하는 단계 및 (h)상기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순환시키며, 캐리어 벨트의 위치와 점착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촬영수단에 의해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정렬상태를 촬영해 정렬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판을 이송시키는 가접 테이블을 구동부를 이용해 자세를 조절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상기 기판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게 하여 가접롤러를 이용하여 가접하도록 하며, 상기 합지롤러와 상기 EPC를 통해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상기 캐리어 벨트의 신축률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이형지를 제거할 수 있고, 촬영수단을 이용해 가접 정밀도를 높이며, 공정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면서 균일한 상태의 커버레이 가접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턴이 인쇄된 기판에 타발된 커버레이 시트를 정확한 위치와 자세로 부착하기 위한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rint circuit board),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 circuit board)등의 기판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도전성을 갖는 패턴(Pattern)이 인쇄되어 있다.
기판의 제조 공정 및 사용 중에 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과 같은 커버레이 필름을 기판의 표면에 가접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이 실장되어야 하는 기판의 자리에는 커버레이를 부착하지 않고 있다.
커버레이의 일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 점착제는 열이 가해지면 녹아 기판의 표면에 부착된다.
커버레이의 점착제는 이형지에 의하여 보호되어 있으며, 커버레이 필름, 점착제와 이형지로 구성되는 커버레이 시트는 롤(Roll)로 감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레이 가접 장치는 롤 방식과 단책 방식이 있으며, 롤 방식의 커버레이 가접 장치는 롤형태로 감겨 있는 기판이 언와인더에서 풀려나와 커버레이 필름이 가접된 후 리와인더에 다시 감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롤 방식의 커버레이 가접 장치는 상기 언와인더와 리와인더 사이에 기판 테이블이 배치되고, 그 기판 테이블 위에 놓인 기판에 대해 커버레이 필름을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커버레이 가접 장치는 커버레이 시트를 핀 또는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커버레이 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시킨 후 커버레이 시트를 기판으로 이송시켜 가접을 진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레이 필름을 기판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기판 테이블 또는 커버레이 시트를 움직여서 커버레이 필름과 기판 사이의 위치를 각각 분리해서 확인/보정한 후 부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커버레이 가접 장치의 1회 가접을 위해 이형지가 제거된 커버레이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간과 기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포함되어 작업성이 높지 못하였고, 이를 구성하기 위하여 장치의 크기도 필요 이상으로 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접을 위한 커버레이 시트의 타발 형상이 복잡하거나 커버레이 필름의 두께가 얇은 경우는 이형지의 제거가 원활히 되지 않아 이형지의 제거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였고, 또한 커버레이 필름 파손 등에 의한 기판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커버레이 필름과 이형지 제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의 구조와 방법을 개선하고,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동시 인식을 통하여 가접 작업의 속도와 정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레이 시트와 공정 중 변화된 기판의 신축률을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가접시키기 위한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의 이물을 크린롤러를 통하여 제거한 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커버레이 시트의 상부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시키는 합지롤러와, 상기 합지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롤러와,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가접되는 기판을 이송시키는 가접 테이블과, 상기 회수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와 상기 가접 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기판이 가접되는 메인 스테이지와,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신축률을 보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과,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결과에 따라 기판을 이송시키고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수단과,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상기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가접시키는 가접롤러와,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서 기판과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커버레이 테이프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롤러에서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상기 합지롤러로 순환시키는 EPC(Edge position controller)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접 테이블에는 제1서보모터와 제1이송축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과, 제2서보모터와 제2이송축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과, 제3서보모터을 이용하여 회전각 및 제4서보모터와 승하강 이송축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합지롤러와 상기 EPC(Edge position controller), 상기 장력 조절수단 및 상기 자세 조절수단은 촬영수단에 의해 측정된 커버레이의 신축률에 따라 커버레이 시트 및 캐리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b)상기 캐리어 벨트가 합지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와, (c)상기 이형지가 박리된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이송하는 단계와, (d)상기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한 후,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와, (e)상기 촬영된 결과에 따라 기판과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f)상기 커버레이 시트를 기판의 상부에 가접하는 단계와, (g)상기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를 회수하는 단계 및 (h)상기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순환시키며, 캐리어 벨트의 위치와 점착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크기 차이를 미리 추정하고 그에 따라 캐리어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커버레이 시트의 크기를 기판의 크기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e)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의 흡착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e)는, 상기 촬영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e)는,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에 구비된 위치측정홀을 촬영하여 상기 위치측정홀의 위치와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의 위치 저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이 가접될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저장 정보는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 (e)를 수행하여 획득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커버레이 시트의 이형지를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촬영수단을 이용해 커버레이 픽업 및 기판과의 가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캐리어 벨트를 순환시켜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커버레이 시트 및 캐리어 벨트의 신축률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레이 가접 장치의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장력조절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가접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버레이 시트와 캐리어 벨트가 합지된 커버레이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커버레이 시트에 기판이 가접된 상태와 기판이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단계 (e)의 위치조절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장치(1)는, 공급부(110)와, 합지롤러(120)와, 이형지 회수롤러(130)와, 가접 테이블(140)과, 메인 스테이지(150)와, 장력 조절수단(160)과, 촬영수단(170)과, 자세 조절수단(180)과, 가접롤러(190)와, 박리롤러(200) 및 EPC(210)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커버레이(114)와 점착제(116) 및 이형지(118)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112)의 이물질을 크린 롤러(미도시)를 통하여 제거한 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공급부(110)는 롤(Roll)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레이(114)는 기판의 회로도를 구성하는 도전성을 갖는 패턴(Pattern)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커버레이(114)와 상기 이형지(118)는 상기 점착제(116)에 의해 서로 붙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합지롤러(120)로 공급되고, 상기 합지롤러(120)를 지나 상기 기판(142)과 가접되는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된다.
상기 합지롤러(120)에서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 캐리어 벨트(119)가 합지된다. 상기 합지롤러(120)에서 상기 캐리어 벨트(119)를 합지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는 상기 합지롤러(120)를 지난 후,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서 이형지(118)를 박리한 후, 분리된 이형지(118)는 이형지 회수롤러(130)로 회수된다.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서 상기 이형지(118)의 박리는 상기 이형지 회수롤러(130)가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분리수단(132)를 이용하여 이형지(118)를 박리시키게 된다.
상기 이형지(118)를 박리시킨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는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되고,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에서 가접 테이블(14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기판(141)과 가접롤러(190)에 의해 가접된다.
상기 기판(141)은 상기 가접 테이블(140)에 의해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되는데, 상기 기판(141)을 작업자가 상기 가접 테이블(140) 위에 놓으면, 상기 가접 테이블(140)이 구동부(142)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기판(141)을 메인 스테이지(150)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접 테이블(14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2)는 상기 가접 테이블(14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서보모터(143)와 제1이송축(144), 상기 가접 테이블(140)을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서보모터(145)와 제2이송축(146), 상기 가접 테이블(1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제3서보모터(미도시) 및 상기 가접 테이블(140)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4서보모터(미도시)와 승하강 이송축(147)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42)는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에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촬영수단(170)의 결과에 따라 상기 기판(141)을 이송시키는 상기 가접 테이블(1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수단(180)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되어 공급되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는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하여 상기 기판(141)과의 정렬을 하기 전 장력 조절수단(160)에 의하여 신축률 보정을 진행하고, 신축률 보정을 위한 장력 수준은 바로 전 작업의 기판(141)과 커버레이 시트(112)의 정보를 활용한다.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되어 공급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은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해 정렬상태를 확인받게 된다. 상기 촬영수단(170)은 카메라가 주로 이용되며, 카메라를 제외한 기타의 촬영 장비 역시 사용 가능하며,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촬영수단(170)은 상기 기판(141)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 형성된 위치측정홀(미도시)을 촬영해, 상기 기판(141)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의 흡착 위치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영수단(170)의 촬영 결과에 따라 상기 기판(141)을 이송시키는 상기 가접 테이블(140)은 위치를 조절하는데, 상기 가접 테이블(140)의 위치 조절은 전술한 구동부(14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42)에 의해 상기 가접 테이블(140)의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기판(141)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가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 상에서 위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의 상부에 구비된 가접롤러(190)에 의해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이 가접되게 된다.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에서 상기 기판(141)과 가접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서 상기 캐리어 벨트(119)를 박리시키는 과정을 거치며 분리된 상기 캐리어 벨트(119)는 박리롤러(200)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의 상부면에 합지된 상기 캐리어 벨트(119)는 상기 박리롤러(200)에 의해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캐리어 벨트(119)는 EPC(210)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를 거치면서 상기 합지롤러(120)로 순환된다.
상기 EPC(210)와 상기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는 상기 합지롤러(120)와 함께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회수되는 상기 캐리어 벨트(119)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EPC(210)와 상기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 및 상기 합지롤러(120)에 의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캐리어 벨트(119)의 장력 조절 방법은,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캐리어 벨트(119)의 신축률을 제어부(미도시)가 판정하여 상기 EPC(210)와 상기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 및 상기 합지롤러(120)의 캐리어 벨트(119) 이송 거리를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캐리어 벨트(119)의 이송 방향에 대한 신축률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의 장력 조절은 메인 스테이지(150) 내부에서 캐리어 벨트(119)의 양쪽 측면을 고정 클램프(164)와 장력 클램프(162)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캐리어 벨트(119)의 신축률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장치는, 촬영수단(170)에 의해 커버레이 시트(112)와 기판(141)의 정렬상태를 촬영해 정렬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판(141)을 이송시키는 가접 테이블(140)을 구동부(142)를 이용해 자세 조절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게 하여 가접롤러(190)를 이용하여 가접하도록 하며, 상기 EPC(210)와 상기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 및 상기 합지롤러(120)의 이송거리를 서로 다르게 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164)와 상기 장력 클램프(162)의 이송거리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캐리어 벨트(119)의 신축률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를 제공하며, 커버레이 시트(112)를 캐리어 벨트(119)에 완전히 합지한 후 이형지(118)를 제거하므로 안정적으로 이형지(118)를 제거할 수 있고, 촬영수단(170)을 이용해 가접 정밀도를 높이며, 공정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하면서 균일한 상태의 커버레이 가접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방법은, (a)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하는 단계(S10)와, (b)상기 캐리어 벨트가 합지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S20)와, (c)상기 이형지가 박리된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이송하는 단계(S30)와, (d)상기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한 후,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S40)와, (e)상기 촬영된 결과에 따라 기판과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S50)와, (f)상기 커버레이 시트를 기판의 상부에 가접하는 단계(S60)와, (g)상기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를 박리/회수하는 단계(S70) 및 (h)상기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순환시키며, 캐리어 벨트의 위치와 점착력을 유지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는, 커버레이(114)와 점착제(116) 및 이형지(118)가 적층되어 형성된 커버레이 시트(112)가 롤(Roll)에서 풀리면서 공급되며, 공급되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가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합지롤러(120)를 지날 때, 상기 합지롤러(120)의 상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캐리어 벨트(119)와 상기 합지롤러(120)에서 합지(S10)된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합지롤러(120)에서 상기 캐리어 벨트(119)와 합지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의 하부에 부착된 이형지(118)를 박리하는 과정으로, 별도로 구비되는 분리수단(132)을 이용해,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로부터 상기 이형지(118)를 분리시킨 후, 분리된 이형지(118)는 이형지 회수롤러(130)로 회수(S20)된다.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서 상기 이형지(118)를 제거하는 과정이 상기 캐리어 벨트(119)가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에 완전히 합지된 이후에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형지(118)의 제거에 의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가 받게되는 물리적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형지(118)의 제거에 따른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가 파손되는 경우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이형지(118)가 박리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가접되는 기판(141)을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시키는 과정(S30)으로, 상기 기판(141)은 가접테이블(140)에 의해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되며, 상기 가접테이블(140)은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서보모터(143)와 제1이송축(144),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서보모터(145)와 제2이송축(146),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제3서보모터(147) 및 상기 가접테이블(140)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제4서보모터(148) 및 승하강 이송축(149)으로 구성된 구동부(142)에 의해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된다.
상기 단계 (d)는,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를 바로 직전에 작업된 상기 기판(141)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의 신축률 정보를 바탕으로 EPC(210)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 및 합지롤러(120), 고정 클램프(164)와 장력 클램프(162)로 장력을 조절한 후,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의 상부에 위치한 촬영수단(170)에 의해 상기 기판(141)과의 위치 정보를 비교/촬영하는 과정(S40)으로, 상기 촬영수단(170)은 일반적인 카메라 등이 주로 이용된다.
상기 캐리어 벨트(119) 및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의 이송방향에 대한 장력은 상기 EPC(210)와 상기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220) 및 상기 합지롤러(120)의 회전력(이송거리)에 의해 조절되며, 이송방향의 직교방향에 대한 장력은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 고정 클램프(164)와 장력 클램프(162)의 이동거리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 중 적용하여야 할 장력의 수준은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하여 직전에 분석된 기판(141)의 위치 정보와 커버레이 시트(112)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추정/적용될 수 있다.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한 촬영은,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로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에 형성된 위치측정홀(미도시)을 촬영하여, 입력된 정보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단계 (d)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기판(141)의 크기 차이를 미리 추정하고 그에 따라 캐리어 벨트(119)의 장력을 조정하여 커버레이 시트(112)의 크기를 기판(141)의 크기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e)는,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를 기존에 입력된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판(141)을 이송시키는 상기 가접 테이블(140)의 위치를 상기 구동부(142)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과정(S50)이다.
상기 단계 (e)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 및 상기 기판(141)를 촬영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 및 상기 기판(141)의 로딩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S52)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 위치의 분석(S52)은 기존에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e)는, 상기 촬영수단(170)의 촬영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 및 상기 기판(141)를 회동시키는 단계(S54)를 포함하는데, 상기 회동수단으로는 상기 기판(141)을 이송시키는 상기 가접 테이블(140)에 구비된 구동부(142)가 이용된다.
만약, 커버레이 시트(112)와 캐리어 벨트(119)의 장력 수준이 적합하지 않아 장력의 재 조정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촬영수단(170)에 의해 촬영/분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커버레이 시트(112)와 캐리어 벨트(119)의 장력을 재 조정하여 상기 단계 (e)를 재진행하게 된다. 이때, 분석된 장력 수준의 데이터는 직후 작업에 적용된다.
상기 단계 (f)는, 상기 단계 (e)를 거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 및 상기 기판(141)을 상기 가접롤러(190)에 의해 가접시키는 과정(S60)으로, 가접 테이블(140)이 상승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를 밀착시킨 후,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의 상부에 구비된 가접롤러(19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를 상기 기판(141)의 상부에 가접시키게 된다.
상기 단계 (g)는, 상기 기판(141)의 상부에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112)에서 캐리어 벨트(119)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과정(S70)으로, 상기 기판(141)의 상부에 가접된 캐리어 벨트(119)는 박리롤러(200)를 통해 회수시키게 된다.
상기 캐리어 벨트(119)를 분리한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은 가접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스테이지(150)에 의해 작업자에게 회수되게 된다.
상기 단계 (h)는, 상기 회수된 캐리어 벨트(119)를 상기 합지롤러(120)로 순환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EPC(210)로 캐리어 벨트(119)의 위치를 재정렬하고 벨트 크린 롤러(220)로 캐리어 벨트(119)의 점착제 층을 이물질 등으로부터 복원하는 과정(S80)이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레이 가접 방법은, 상기 단계(a)와 단계 (b) 및 단계 (c)를 거침으로 인하여 이형지(118) 제거에 안정성이 확보되어 그에 따른 커버레이 시트(112)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단계 (d)와 단계 (e) 및 단계 (f)를 거침으로 인하여 신축률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112)와 상기 기판(141)의 가접 정밀도를 높여 가접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단계 (g) 및 상기 단계 (h)를 거침으로 인하여 상기 캐리어 벨트(119)를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공정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와 공정 불량을 절감하면서 균일한 상태의 커버레이 가접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공급부 120 : 합지롤러
130 : 이형지 회수롤러 140 : 가접테이블
150 : 메인 스테이지 160 : 장력조절수단
170 : 촬영수단 180 : 자세조절수단
190 : 가접롤러 200 : 박리롤러
210 : EPC 220 :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

Claims (9)

  1. 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의 이물질을 크린롤러를 통하여 제거한 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커버레이 시트의 상부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시키는 합지롤러;
    상기 합지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롤러;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가접되는 기판을 이송시키는 가접 테이블;
    상기 회수롤러를 통과한 커버레이 시트와 상기 가접 테이블에 의해 이송된 기판이 가접되는 메인 스테이지;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신축률을 보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정렬상태를 검사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의 결과에 따라 기판을 이송시키고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세 조절수단;
    상기 메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 이송된 상기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가접시키는 가접롤러;
    상기 메인 스테이지에서 기판과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를 박리시켜 회수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롤러에서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상기 합지롤러로 순환시키는 EPC와 캐리어 벨트 크린 롤러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접 테이블에는 제1서보모터와 제1이송축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과, 제2서보모터와 제2이송축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과, 제3서보모터을 이용하여 회전각 및 제4서보모터와 승하강 이송축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커버레이 가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지롤러와 상기 EPC, 상기 장력 조절수단 및 상기 자세 조절수단은 촬영수단에 의해 측정된 커버레이의 신축률에 따라 커버레이 시트 및 캐리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커버레이 가접 장치.
  4. (a)커버레이와 점착제 및 이형지가 적층된 커버레이 시트에 캐리어 벨트를 합지하는 단계;
    (b)상기 캐리어 벨트가 합지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이형지를 박리하는 단계;
    (c)상기 이형지가 박리된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을 이송하는 단계;
    (d)상기 커버레이 시트의 장력을 조정한 후,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
    (e)상기 촬영된 결과에 따라 기판과 가접 테이블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f)상기 커버레이 시트를 기판의 상부에 가접하는 단계;
    (g)상기 가접된 커버레이 시트에서 캐리어 벨트를 회수하는 단계; 및
    (h)상기 회수된 캐리어 벨트를 순환시키며, 캐리어 벨트의 위치와 점착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의 크기 차이를 미리 추정하고 그에 따라 캐리어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커버레이 시트의 크기를 기판의 크기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레이 시트 가접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촬영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의 흡착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촬영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레이 시트에 구비된 위치측정홀을 촬영하여 상기 위치측정홀의 위치와 상기 커버레이 시트 및 기판의 위치 저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커버레이 시트와 기판이 가접될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저장 정보는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이거나, 또는 상기 단계 (e)를 수행하여 획득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 방법.
KR1020100088024A 2010-09-08 2010-09-08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KR10114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24A KR101145187B1 (ko) 2010-09-08 2010-09-08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24A KR101145187B1 (ko) 2010-09-08 2010-09-08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57A true KR20120025857A (ko) 2012-03-16
KR101145187B1 KR101145187B1 (ko) 2012-05-14

Family

ID=4613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24A KR101145187B1 (ko) 2010-09-08 2010-09-08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1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66B1 (ko) * 2012-05-18 2014-01-23 (주)우리엔지니어링 커버레이 가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CN108471676A (zh) * 2018-02-10 2018-08-31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手动翻转的半自动贴合机
CN112947197A (zh) * 2021-02-22 2021-06-11 安徽祥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易于清理的电气自动化控制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84B1 (ko) 2012-12-11 2014-05-30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커버레이 필름 부착 장치
KR101562058B1 (ko) * 2013-08-28 2015-10-20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버레이 가접장치
KR101597179B1 (ko) * 2014-07-07 2016-02-25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부자재 부착장치
KR101597180B1 (ko) * 2014-12-08 2016-02-25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부자재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57B1 (ko) * 2003-10-20 2006-04-19 주식회사 쎄크 칩본딩용 테이핑장치 및 칩본딩용 테이핑방법
KR100981053B1 (ko) * 2008-03-18 2010-09-08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커버레이 가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66B1 (ko) * 2012-05-18 2014-01-23 (주)우리엔지니어링 커버레이 가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CN108471676A (zh) * 2018-02-10 2018-08-31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手动翻转的半自动贴合机
CN112947197A (zh) * 2021-02-22 2021-06-11 安徽祥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易于清理的电气自动化控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187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187B1 (ko)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KR100853342B1 (ko) 커버레이 필름 접합 장치
JP2012084688A (ja) 両面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KR101257621B1 (ko) Fpc에 부재플레이트를 부착하기 위한 부재플레이트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WO2010082441A1 (ja) 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小片部材の移載定置装置及びそのヘッド装置
TW201203408A (en) FPD module assembling apparatus
KR100673962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광학적 검사장치
KR100815437B1 (ko) 인쇄회로기판 가접장치 및 가접방법
JP2007302398A (ja) 接合シート貼付装置及び方法
JP669477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1079950B1 (ko) 인쇄회로기판의 가접장치
JP2008139523A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CN114287173B (zh) 复合基板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WO2007138687A1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TW2009315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1496776B1 (ko) Fpc에 부재플레이트를 탑재하기 위한 부재플레이트 탑재장치
JP6177907B2 (ja) 部品実装機
KR101724093B1 (ko) 양면테이프 라미네이팅 장치
KR102221149B1 (ko) 다층기판의 접합 장치
KR20200081219A (ko) 시트형 점착재의 첩부 방법 및 시트형 점착재의 첩부 장치
JP4913642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検査方法
KR101753695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용 필름공급 장치
JP5408183B2 (ja) Acf貼着装置、部品実装システム、acf貼着方法及び部品実装方法
JP7057174B2 (ja) 位置確認方法、位置調整方法、位置確認装置及び位置調整装置
JP5510395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