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828A -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828A
KR20210158828A KR1020210181741A KR20210181741A KR20210158828A KR 20210158828 A KR20210158828 A KR 20210158828A KR 1020210181741 A KR1020210181741 A KR 1020210181741A KR 20210181741 A KR20210181741 A KR 20210181741A KR 20210158828 A KR20210158828 A KR 2021015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user
charge
person
cycl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1018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828A/ko
Publication of KR2021015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할일을 나타내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상기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업무 생성자의 지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서 담당한 하나의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다른 상기 할일을 담당하도록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하며,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업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WORK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업무 처리 시스템 및 장치와 관련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무 참여자 그룹을 형성하는 2 이상의 사용자가 세부 업무를 담당하여 처리하는 업무 처리 시스템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2 이상의 사용자 간 하나의 업무 처리를 위해 세부 업무를 분업하여 업무의 진행과 커뮤니케이션을 병행할 수 있는 업무 처리 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2 이상의 담당자가 관여하는 업무 처리 등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담당자 별 업무 처리, 업무 확인 및 담당자 변경 기능이 제공되는 업무 시스템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위 업무의 진행에 따라 담당자를 변경할 수 있는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263590호(2013.05.06) 통합 업무 지원 시스템 발명은, 멀티브라우징을 지원하는 통합업무지원 시스템(100)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에 탑재되어 있는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웹브라우저(11)(12)를 사용하여 웹에 접속하면 인증절차를 거쳐 위 통합업무지원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위 통합업무지원 시스템(100)은 미들웨어(middleware)를 기반으로 하며, 인터넷이 기업 내부망(19) 및 기업 외부망(20)과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 유클라우드(ucloud)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시공간의 제한없이, 인증절차를 거친 모든 사용자에게 위 통합업무지원 시스템(100)을 갖춘 개인 또는 단체(이하 '단체'라 함)기 지정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지원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며, 위 통합업무지원 시스템(100) 내부의 각각의 기능은 모듈형식으로 구현되어 각 모듈(180)은 서로 독립적으로 업데이트, 추가, 삭제가 가능하며, 화면 구성방식으로는 MDI(multi documents interface) 방식을 채택하여 한 화면 내에서 다수개의 화면이 열릴 수 있는 통합업무지원 시스템으로서, 체 내부망(19) 또는 외부망(20)에서 특정의 웹브라우저(11)(12)(13)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연결되며 특정의 인증절차를 통해 업무지원 서비스 사용 인증을 받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 단체의 각종 업무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자원들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10); 위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0)의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서버(120); 위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PC용 웹브라우저(web browser)(11) 또는 모바일용 웹브라우저(mobile browser)(12)를 통해 통합업무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30); 위 다수의 단말기 사용자들이 해당 단말기(10) 자체에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지 않아도 단말기(10)에서 해당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클라우드서버(140); 사용자가 요청한 큰 용량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힙 메모리(heap memory)(150); 및 위 단말기(10), 데이터베이스(110), 인증서버(120), 웹서버(130), 유클라우드서버(140) 및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자체 시스템 운영 소프트웨어(170)를 이용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하며 인증을 받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관리서버(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국출원특허 제2010-0068003호(2010.07.14)는 본 발명에서 개인별 업무 처리 현황을 전산화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업무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개인별, 팀별, 회사별 업무 내용을 항목별로 입력하는 잡 카드;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관리하는 잡 카드 등록모듈; 업무 내용을 날짜별, 담당자별로 스케줄을 생성하는 스케줄 관리모듈; 개인별 업무 지연상태, 업무 처리상태, 근무상태를 수치적으로 산출하는 근태관리 모듈; 회사별 또는 개인별 업무에 대한 날짜별 처리현황, 관리자별 처리현황, 공개/비공개 별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관리 모듈; 개인별 업무처리 및 근태현황에 근거하여 개인별 포인트를 산출하고, 회사별 평균 포인트, 팀별 평균 포인트를 산출하는 포인트 연산모듈; 및 이를 운용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모듈로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263590호(2013.05.06) 한국출원특허 제2010-0068003호(2010.07.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업무에 대한 담당자가 변경되는 경우 현재 기준에서 담당자로 지정되어 있는 적합한 사용자에게 해당 하위 업무에 대한 알림이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전용의 유저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제공되는 업무 처리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할일을 나타내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상기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업무 생성자의 지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서 담당한 하나의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다른 상기 할일을 담당하도록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하며,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업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실시예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할일을 나타내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상기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무 생성자의 지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담당한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은 공유 파일 또는 공유 폴더를 통해 2 이상의 사용자가 업무에 공동으로 관여하는 경우, 또는 여러 명의 담당자가 하나의 상위 업무 처리를 위해 2 이상의 하위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하나의 하위 업무 처리 후 확인에 이어 연속적으로 다음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사용자가 2 이상의 하위 업무를 하나의 객체 내에서 처리와 결재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하위 업무들이 모두 처리되고 최초 지시자가 소환되면 하위 업무를 포함하는 상위 업무가 최종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업무의 진행을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 업무에 대한 담당자가 변경되는 경우 현재 기준에서 담당자로 지정되어 있는 적합한 사용자에게 해당 하위 업무에 대한 알림이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위 업무는 할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담당자가 변경되는 여러 할일을 포함하는 객체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연관된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어서,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알림이나 메시지는 해당 대화방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전용의 유저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제공된다.
또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2 이상의 할일과 담당자 정보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객체로 압축된 것이므로, 대화방 내 하나의 대화 메시지로서 전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을 통해 대화 메시지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각종 알림이 누적되는 경우, 누적된 안읽음수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한 할일의 처리, 처리된 할일의 확인과 평가, 피드백 등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현황 파악에도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업무가 담당자 그룹 내에서 순환한 후 최초 업무 생성자에게 다시 회수 또는 복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해당 업무에 대한 후속 처리나 평가가 지체없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 내 프로세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을 통해 제공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시스템 (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 처리 시스템(100)은 업무 처리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메모리 및 해당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2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과 연관된 사용자가 구성원으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는 하나 이상의 업무 생성자, 하나의 업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하위 업무, 즉 할일을 담당하는 담당자, 그리고 그 외의 사용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무 생성자, 담당자 및 해당 업무에 대한 관련성 또는 접근 권한 등을 가지는 사용자를 모두 포함하여 업무 참여자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업무 생성자 단말(120a)에 상응하는 업무 생성자와 담당자 단말(120b, 120c)에 상응하는 담당자와 그 외의 사용자들은 업무 처리 장치(110)에 공동으로 또는 동시에 접속하여 업무를 지시하거나, 업무에 대한 지시를 수령하거나,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 참여자들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업무 참여자들 중 누군가가 공유 폴더에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업무 참여자들은 본인이 가지는 권한의 범위 내에서 공유 폴더와 공유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에는 업무 생성자의 사용자 단말인 업무 생성자 단말(120a),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인 담당자 단말(120b, 120c) 그리고 이 외의 사용자 또는 업무 관련자 등의 사용자 단말(120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고,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20)과 업무 처리 장치(11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업무 처리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 지시자 단말(120a)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업무 처리 장치(11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업무 처리자 단말(120b, 120c)은 데스크탑 또는 랩탑 컴퓨터일 수 있고, 업무 처리 장치(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1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무 처리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적 업무 처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 처리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 처리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업무 처리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30)는 각종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신호 또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업무 처리 장치(11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사용자 신호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업무 처리 장치(1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110) 내 프로세서(2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110)의 프로세서(210)는 업무관리 정보 처리부(310), 업무일정 생성부(320), 할일 관리부(330) 및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관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위의 구성부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업무관리 정보 처리부(310)는 업무에 참여하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대한 정보, 업무 생성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일정이나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할일들에 대한 정보도 업무관리 정보 처리부(310)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관리 정보 처리부(310)는 담당자로 지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업무 생성자 또는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이 담당자를 지정할 때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업무관리 정보 처리부(310)가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에는 각 사용자별 권한의 상세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담당자를 포함하여 업무 참여자에 해당되는 사용자들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및/또는 이에 포함된 각각의 할일들에 대해 서로 다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담당자로 지정된 상태인지 또는 담당자는 아니지만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업무 참여자로서 참여 중인지 여부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할일 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대해 가지는 접근, 열람, 수정, 삭제 등에 대한 권한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담당자로 지정된 사용자는 해당 할일에 대하여 수정, 삭제, 편집 등의 권한을 가질 수 있으나, 담당자 이외의 업무 참여자들은 해당 할일에 대하여 열람의 권한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담당자가 지정한 사용자는 예외적으로 해당 할일에 대한 수정, 편집 등의 권한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대하여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라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연관되어 생성된 대화방에 대해서는 동일한 내용을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업무일정 생성부(320)는 업무 생성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또는 업무일정 생성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업무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업무일정의 생성은 앞서 설명한 업무 생성자의 요청 또는 업무생성에 관한 설정과 함께, 업무일정의 개시일 및/또는 마감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이 반드시 모두 확정되어야만 업무일정의 생성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이 모두 확정된 경우는 물론 둘 중 하나 이상이 일시적으로 미확정된 상태에서도 업무일정은 생성 가능하다.
그리고 업무일정 생성부(320)는 업무 생성자 단말(120a)로부터 업무 내용, 업무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더 입력받아 업무일정을 생성하거나, 수정,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할일 관리부(330)는 업무일정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할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할일들을 담당하는 담당자에 대한 정보도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할일 관리부(330)는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할일의 명칭과 내용, 해당 할일을 담당할 담당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처리될 할일의 순서와 처리 기한에 대한 정보도 입력받거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할일의 순서에 따른 담당자의 리스트와 담당자 설정 순서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할일의 종류와 명칭, 내용 등은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업무일정의 진행과 함께 업무 생성자 등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추후에 추가, 삭제되거나 수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할일 관리부(330)는 특정 업무일정 내에 3개의 할일이 수행되어야 할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3개의 할일 즉 제1 할일, 제2 할일, 제3 할일에 대한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할일 관리부(330)는 제1 할일을 담당할 담당자는 제1 사용자, 제2 할일을 담당할 담당자는 제2 사용자, 제3 할일을 담당할 담당자는 제3 사용자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담당자는 업무 생성자가 업무일정 생성 시에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업무일정의 진행에 따라서 또는 할일의 처리 상황에 따라 업무 생성자에 의해 사후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담당자는 업무 생성자가 지정할 수도 있고, 권한을 가진 다른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현재의 담당자가 다음 담당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담당자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업무 생성자 또는 현재의 담당자는 다음 할일의 내용과 현재 업무 참여자들의 업무 처리 현황 등을 고려하여 다음 담당자를 선택하거나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할일 관리부(330)는 제1 할일, 제2 할일, 제3 할일이 처리될 기간은 각각 언제부터 언제까지인지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할일의 처리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월 31일, 제2 할일의 처리 기간은 2020년 2월 1일부터 2020년 2월 28일, 제3 할일의 처리 기간은 2020년 3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는 제1 사용자가, 2020년 2월 1일부터 2020년 2월 28일까지는 제2 사용자가, 2020년 3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는 제3 사용자가 담당자로 설정된다.
또는 예컨대 제1 할일의 처리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월 31일 이전까지, 제2 할일의 처리 기간은 제1 할일 종료시부터 2020년 2월 28일 이전까지, 제3 할일의 처리 기간은 제2 할일 종료시부터 2020년 3월 31일 이전까지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관리부(340)는 업무 참여자에 포함되는 사용자들의 정보, 업무일정 정보, 할일 정보, 할일 별 담당자 정보, 처리된 할일의 처리 내역에 상응하는 업무 결과물 및/또는 처리 예정인 할일들의 업무 지시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란, 업무 일정 내에 처리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할일을 포함하며, 해당 할일들에 의해 지시된 업무의 처리결과, 해당 할일들의 담당자 정보 및 할일의 처리 결과에 대한 담당자의 결재 정보, 확인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된 업무객체의 일종일 수 있다. 각 할일 별 업무처리의 결과물, 해당 할일들의 담당자 정보 및 할일의 처리 결과에 대한 담당자의 결재 정보, 확인 정보 등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시간순으로 축적될 수 있다.
할일의 시작과 진행, 완료에 따라 하나의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내에서 2 이상의 할일이 연쇄적으로 처리될 수 있고, 각 할일들에는 담당자가 지정되며 할일의 진행에 따라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도 변동된다. 그리고 2 이상의 담당자를 거쳐, 즉 사용자 그룹 내에서 담당이 순환한 후, 처음 업무일정을 생성한 업무 생성자에게 담당이 돌아가면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정이 생성되고, 해당 업무일정 내에 처리되어야 할 2 이상의 할일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할일들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업무일정이 개시됨에 따라, 할일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연쇄적으로 진행되는데, 각 할일들의 담당자는 서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할일의 담당자가 상이함으로 인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도 순차적 또는 연쇄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현재 진행중인 할일의 담당자가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되기 때문이다.
담당자는 해당 할일을 직접 수행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수행을 지시하여 해당 할일이 완료되기까지 업무를 진행하고 관리하며 책임지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업무일정이 개시됨에 따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포함된 첫번째 할일이 개시되고 진행된 후 완료되면, 해당 첫번째 할일의 담당자에 의해 전자 결재 등의 방법으로 첫번째 할일의 완료가 확인되고, 다음에 수행될 두번째 할일이 개시되면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두번째 할일의 담당자로 변경된다. 물론, 첫번째 할일과 두번째 할일의 담당자가 동일하다면 이 경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두번째 할일의 개시에 따라, 두번째 할일이 진행된 후 완료되면 두번째 할일의 담당자에 의해 전자 결재 등의 방법으로 두번째 할일의 완료가 확인되고, 세번째 할일이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세번째 할일의 담당자로 변경된다.
여기서 각 할일의 전자 결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업무일정 내에 처리될 하나 이상의 할일을 포함하며 각 할일의 진행 상황을 업무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차례로 진행되는 할일들의 처리 결과, 처리 일정, 할일의 처리나 확인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대화방 등 업무 참여자들 간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업무일정 내에 처리될 할일이 제1 할일, 제2 할일, 제3 할일로 3개인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해당 업무일정에 대해 업무 생성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업무일정이 개시된 후 제1 할일이 진행 중인 동안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제1 사용자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1 할일에 상응하는 할일 내용에 상응하는 업무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제1 할일이 진행된다.
그리고 제1 할일이 종료되면 제2 할일이 개시되고, 제2 할일이 개시됨에 따라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장치의 담당자는 제2 사용자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할일 종료 후 제3 할일이 개시되면 순환적 업무처리장치의 담당자는 제3 사용자로 변경된다.
제3 할일도 처리가 완료되면,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다시 업무 생성자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업무 생성자를 포함하는 업무 참여자들 내에서 담당자가 순환한 후 다시 업무 생성자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이 돌아오면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 할일의 담당자는 다음 담당자를 업무 생성자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마지막 할일의 담당자가 담당한 할일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자동으로 다음 담당자는 업무 생성자로 변경되도록 업무 처리 장치(110)에 설정될 수 있다.
업무일정이 진행되고 할일이 처리됨에 따라 할일의 처리 내용이 축적되고, 담당자도 변경된다. 이와 같은 업데이트 내역은 모두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제1 할일의 지시 내용과 이에 상응하는 처리 내용 및 제1 담당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 그리고 제1 할일이 완료된 후 제2 할일, 제3 할일이 개시되고 처리된 후 담당자가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로 변경된 각 할일 별 업데이트 내역과 할일 별 담당자 정보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추가된 후 다시 캡슐화되어 하나의 객체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대화방 내에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전송되는 경우,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버전의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라 함은, 각 할일의 내용에 상응하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해 공유되는 파일 객체를 추가, 수정, 변경하거나, 편집하거나, 일부 내용을 추가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할일 별 담당자나 업무일정에 변동이 있는 경우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담당자 정보나 업무일정 정보를 수정하는 것 역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데이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파일 객체 자체를 추가하기 위해 기존의 파일 객체에 또 다른 파일 객체를 새로이 생성하여 캡슐화 하는 것,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해 공유되는 폴더 객체 내에 새로운 파일 객체를 생성하여 추가하는 것 등도 업데이트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공유된 파일 객체 및/또는 폴더 객체에 대한 내용 추가, 수정, 편집, 변경, 노트 추가, 보완 등이 모두 할일의 처리 및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대한 업데이트에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초기 설정 또는 업무 생성자의 요청 등에 의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생성한다(S410).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을 위해, 업무일정의 개시일이나 마감일, 업무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인 업무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 업무일정 내에 처리될 할일에 대한 정보 등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 장치(110)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를 설정하고, 할일의 변경에 상응하여 담당자도 변경할 수 있다(S420). 할일 별 담당자는 업무 생성자가 일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각 담당자가 다음 할일에 대한 담당자를 정당한 권한에 기초하여 선택,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의 진행에 따라 할일의 변경 정보 및/또는 담당자 정보, 담당자 변경 히스토리 정보, 담당자 별 담당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할 수 있다(S43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일정의 개시일 또는 마감일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업무일정을 생성할 수 있다(S510). 여기서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업무에 참여하는 업무 참여자 정보도 업무일정 등에 반영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업무일정 별로 업무 참여자가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업무일정에는 업무 참여자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 등으로부터 업무일정 내 처리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할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520). 할일에 대한 정보에는 각각의 할일의 명칭, 할일의 내용, 해당 할일의 수행에 참여할 사용자, 할일의 총 책임자인 담당자, 할일의 처리 기한 등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할일의 내용은 업무 생성자가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음 할일의 내용은 현재 할일을 담당한 담당자가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업무 생성자 또는 업무 참여자에 포함되는 사용자가 담당자를 지정할 때, 담당자를 지정하는 자가 다음번 할일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업무 처리 장치(110)는 담당자를 지정하는 업무 생성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다음번 담당자가 수행할 할일의 내용을 입력받게 된다.
또는 업무 생성자가 할일의 종료시마다 다음 할일의 내용을 작성하고 해당 할일에 대한 담당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는 추가로 수행된 할일의 명칭과 내용만 작성하고, 담당자는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할일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S530).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업무일정 내에 진행될 업무, 즉 하나 이상의 할일에 대한 처리자, 담당자, 업무 생성자 등을 포함하는 업무 참여자 정보, 그리고 할일 별 처리 기간이나 담당자 정보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객체로 캡슐화된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할일 별 담당자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할일에 대해 담당자를 설정할 수 있다(S540). 이 경우, 해당 할일의 진행 시기가 도래하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해당 할일의 담당자로 변경된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할일이 완료되는 경우, 다음 할일을 담당할 다른 사용자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가 변경될 수 있다(S550).
할일의 처리 내용과 할일 별 담당자 정보, 그리고 할일의 진행에 따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가 변경 설정된 히스토리 정보 등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될 수 있다(S560). 즉 할일의 처리 과정과 처리 결과가 저장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되는데, 예컨대 할일 별 담당자 정보와 담당자 별 할일의 처리 결과, 할일의 처리 결과물로서의 텍스트, 음성,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파일객체나 파일 경로 등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할일의 처리 결과에 대한 담당자의 확인 또는 결재 내역 역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해당 업데이트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추가하여 재캡슐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처리 장치(110)가 포함된 업무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업무 처리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업무 생성자 단말(120a)은 순환적 업무처리장치의 생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업무 처리 장치(110)에 입력할 수 있다(S600).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업무일정 내에서 하나 이상의 업무 참여자에 의해 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할일을 포함하므로, 업무 생성자 단말(120a)이 입력하는 정보에는 업무일정 괸련 정보, 할일에 관한 정보와 업무 참여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 단말(120a)의 요청에 상응하여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S605). 즉 업무 처리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해 수행되는 할일의 담당자는 제1 사용자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업무일정이 개시되고 할일이 진행되면,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는 제1 사용자로 설정된다. 담당자는 업무 생성자가 지정할 수 있다.
즉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 단말(120a)로부터 제1 사용자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업무 처리 장치(110)는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의 다음 담당자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 역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를 담당자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는 업무 생성자 단말(120a) 또는 제1 사용자 단말 (120b)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담당자 지정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제3의 사용자로부터 담당자 지정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를 담당자로 지정하는 시기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 시, 할일의 생성 시,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 설정되는 기간이 끝나는 시점 등 그 시기에 제한이 없다.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 지정되면, 담당자의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120b)로 할일과 관련된 알림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S610). 제1 사용자가 담당한 할일에 대한 알림 신호는 해당 할일이 진행중이거나,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 지정되어 있는 동안 제1 사용자 단말(120b)로 전송될 수 있다.
할일과 관련된 알림 신호는 동시에 해당 할일이 포함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알림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신호란 특정 사용자가 할일의 담당자로 지정되었음을 알리는 담당자 지정 알림 신호, 담당한 할일 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하여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대화 메시지 등일 수 있다.
또한, 할일 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대해 업데이트가 발생된 경우, 해당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 예컨대 누가 어떤 내용의 업데이트를 하였는지 등이 알림 신호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할일이 수행이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노트를 작성하거나 특정 파일 객체를 추가, 수정 또는 보완하는 등 파일 객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인 경우, 특히 이러한 업데이트에 주기나 기한이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 주기 또는 업데이트 기한이 도래함을 알리는 리마인더 역시 알림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할일과 관련된 알림 신호는 대화방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된 기간 동안,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알림 신호는 담당자의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알림 신호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독립적 또는 종속적 대화방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은 해당 담당자가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으로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연관되고 종속된 대화방일 수도 있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독립적인 별개의 대화방일 수도 있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연관되는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별개로 생성된 대화방을 편의상 독립적 대화방이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독립적 대화방을 생성할 수 있다. 독립적 대화방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별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보다 먼저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독립적 대화방 내에서 대화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전송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알림 신호가 발생된 경우, 독립적 대화방 내에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전송된 이후에 발생된 알림 신호나 메시지 역시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서 전송 가능하다.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알림 신호의 전송을 위한 독립적 대화방의 접근 경로나 대화방 식별 정보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적 대화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는,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아직 독출되지 않은 알림 신호의 개수, 즉 알림 신호 안읽음수를 각 사용자별로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알림 신호나 메시지는 예컨대 해당 사용자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된 경우에 전송되는 담당자 알림 신호,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하여 전송된 대화 메시지나 입력된 노트, 업무의 완료를 확인했거나 완료된 업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담당자는 할일 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또는 독립적 또는 종속적 대화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그룹 내에 서브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브 그룹과 서브 사용자가 사용자 그룹 내에 생성될 수 있다. 서브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는 서브 사용자라 지칭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중 담당자가 관리하는 서브그룹에 포함되며 해당 담당자에게 종속되는 서브 사용자가 사용자 또는 담당자에 의해 지정 가능하다.
서브 사용자는, 해당 서브 사용자가 소속된 서브 그룹을 관리하는 담당자가 현재 담당한 할일에 관한 노트를 생성하거나 작성할 수 있는 권한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브 사용자는, 해당 서브 사용자가 소속된 서브 그룹을 관리하는 담당자 또는 다른 서브 사용자가 현재 담당한 할일에 관해 작성한 노트를 수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업무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가 아직 확인하거나 독출하지 않은 알림 신호나 메시지의 개수를 사용자 별로 산출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독출되지 않은 알림 신호 등은, 독립적 대화방을 통해 전송되었으나 아직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의 개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해당 대화방에 접근하여 해당 대화방을 오픈하기 전까지 누적된 미확인 메시지의 총합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는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인 사용자와 담당자 이외의 업무 참여자인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신호 안읽음수와 상기 담당자를 제외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신호 안읽음수는 색상, 크기, 폰트, 밝기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림 신호 안읽음수가 제공되는 표시 양식에 따라, 누적된 미확인 메시지가 담당한 할일에 관한 것인지, 담당은 아니나 참여 중인 할일에 관한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담당자와 담당자 아닌 사용자는 이 밖에도 다양한 권한 설정에 있어서도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담당자는 현재 담당한 할일에 관하여 노트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참여하는 사용자 중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는 담당자가 생성한 노트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즉 수정 편집 권한은 담당자 이외에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담당자와 일반 사용자 또는 담당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는 담당자와 노트 작성이나 접근에 있어서도 상이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업무 처리 장치(110)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연관되고 종속되는 대화방도 생성할 수 있다. 종속적 대화방을 통해서도, 담당자 및 업무 참여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대화방을 통해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 처리,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환전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알림 신호나 메시지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로부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사용자의 유터 인터페이스 생성 요청 신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속적 대화방에서도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대화 메시지의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종속적 대화방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도 참여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종속적 대화방의 참여 여부에 따라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로의 접근 권한이 제어될 수 있으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 참여자에게는 종속적 대화방으로의 접근 권한이 허용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종속적 대화방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아직 독출되지 않은 알림 신호의 개수를 사용자별로 산출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 안읽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업무 처리 장치(110)는 담당자에게 제공되는 알림 신호 안읽음수와 해당 담당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신호 안읽음수는 색상, 크기, 폰트, 밝기 중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가 담당한 할일은 제1 사용자 및/또는 다른 업무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지시 내용에 상응하여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으며, 할일이 처리되거나 완료되었음을 제1 사용자 단말(120b)이 확인할 수 있다(S615).
제1 사용자 단말의 확인 또는 결재에 따라 해당 할일은 종료되게 되며, 업무 처리 장치(110)도 해당 할일의 종료를 인지할 수 있다 (S620). 그리고 업무일정 내의 다음 할일이 개시되고, 할일의 변경에 상응하여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도 변경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담당자는 제2 사용자로 변경된다.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서 담당한 하나의 할일이 완료되면, 업무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들 중에서 다른 할일을 담당하도록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첫번째 할일이 종료됨에 따라, 업무 생성자 또는 제1 사용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두번째 담당자를 제2 사용자로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치(110)는 제1 사용자가 담당한 할일이 완료되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를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가 담당한 할일이 완료되면 제1 사용자로부터 해당 할일의 완료를 알리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가 담당한 할일이 완료되면 제1 사용자로부터 담당자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업무 처리 장치(110)는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신호에 상응하여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가 변경되면, 업무 처리 장치(110)는 새로이 변경된 담당자인 제2 사용자에게 담당자 지정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된 담당자 정보를 업무 처리 장치(110)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할 수 있다(S625).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두번째 할일이 개시되고, 담당자가 제2 사용자로 변경되면, 해당 할일에 대한 알림 신호 등은 제2 사용자 단말(120c)로 전송될 수 있다(S630).
업무일정 내에서 두번째 진행되는 할일의 담당자인 제2 사용자는 해당 할일을 처리하거나, 제2 사용자 및/또는 다른 업무 참여자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한 할일의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두번째 할일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635).
그리고 두번째 할일도 모두 완료되었고, 더 이상 수행될 할일이 남아 있지 않다면, 제2 사용자는 업무 생성자를 담당자로 지정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업무 생성자가 새로운 담당자로 지정된다(S640).
업무 처리 장치(110)는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 지정된 이후에 업무 생성자가 다시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되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업무 생성자의 담당자 설정시부터 실제 업무일정 종료 전까지 할일 등에 대한 업무 생성자의 확인 또는 평가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업무 처리 장지(110)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담당자 변경과 각각의 할일 별 담당자 정보, 또는 할일의 처리 결과 등에 대한 업데이트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S645).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가 다시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장치의 담당자로 지정되거나, 할일의 처리가 모두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650). 업무 생성자의 확인이 있은 후,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일정은 종료될 수 있다(S655).
즉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른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 및 업무일정의 개시된 후부터, 제1 사용자가 담당자로 지정된 이후에 업무 생성자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지정되면,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 생성자 단말(120a)로부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일정을 최종 종료할 것인지,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업무 생성자 단말(120a)로부터 업무일정을 종료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일정을 최종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업무일정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즉 업무 생성자 단말(120a)로부터 업무를 종료하지 않고 더 진행하겠다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거나, 업무를 종료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업무 처리 장치(110)는 업무일정을 종료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업무 생성자는 다음 담당자를 다시 지정하여 다른 할일이 더 수행되게 할 수 있으며, 업무의 종료를 연기하고 업무 진행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화방(700, 800)을 통해 제공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연관되어 생성된 종속적 대화방을 나타낸다. 따라서 여기서 대화방(700)은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종속된 대화방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대화방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내용, 즉, 생성된 업무일정에 의해 처리될 전체 업무의 업무명(710), 업무일정(720) 그리고 해당 업무일정 내에 수행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할일(730)들의 할일내용이 대화방(700)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종속적 대화방(700)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 참여자들의 리스트(740) 역시 대화방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 참여자들은 종속적 대화방에 대해서도 대화 참여자로서 동일한 권한을 유지할 수 있다.
대화방(700)을 통해서는 대화 메시지(750)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화 메시지들은 사용자에 의해 독출되기 전까지 미확인 메시지로서 안읽음수 산출 시 카운트된다. 이 경우, 현재 진행중인 할일을 담당하고 있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에게 표시되는 안읽음수와, 담당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 또는 대화 참여자에게 표시되는 안읽음수는 폰트, 강조, 색깔 등이 상이한 양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대화방(700)은 메시지 입력창(770)을 통해 대화 메시지를 입력하고, 할일 생성 버튼(760)을 통해 대화방 상에서 할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외에도, 사용자는 대화방을 통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또는 이에 포함된 할일과 관련된 이미지나 문서 파일을 전송하거나 열람할 수 있는 기타 인터페이스(780, 790)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무관하게 생성된 독립적 대화방(800)이 도시된다.
독립적 대화방(800)에도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업무 참여자들의 리스트(740)가 대화방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전송된 독립적 대화방 내 대화 참여자들은 해당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대한 업무 참여자들과 동일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대화방(800)을 통해서 대화 메시지(810)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화 메시지들은 사용자에 의해 독출되기 전까지 미확인 메시지로서 안읽음수 산출 시 카운트된다. 이 경우, 현재 진행중인 할일을 담당하고 있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에게 표시되는 안읽음수와, 담당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 또는 대화 참여자에게 표시되는 안읽음수는 폰트, 강조, 색깔 등이 상이한 양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대화방(800)에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820)가 하나의 대화 메시지처럼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업무일정 내에 수행되어야 할 하나 이상의 할일들의 할일내용 등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대화 메시지처럼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통한 업무 진행의 편의를 위해 순환적 업무처리객체 전용의 유저 인터페이스(830)가 대화방(8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해서 업무 참여자들은 할일 처리내용을 확인 또는 열람하거나, 할일에 의해 지시된 내용을 처리하기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사용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고, 할일의 처리나 수행이 완료된 경우 완료 버튼을 통해 해당 할일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노트나 대화 메시지를 통해 지시된 내용을 수행하거나 이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할 때에도 유저 인터페이스(830)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독립적 대화방(800)이 메시지 입력창(770)을 통해 대화 메시지를 입력하고, 할일 생성 버튼(760)을 통해 대화방 상에서 할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업무 처리 시스템
110: 업무 처리 장치
12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 사용자 입출력부
240 : 네트워크 입출력부

Claims (25)

  1. 하나 이상의 할일을 나타내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상기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업무 생성자의 지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서 담당한 하나의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다른 상기 할일을 담당하도록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하며,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업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담당자가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로 지정된 기간 동안,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하여 발생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며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연관되는 대화방을 생성하며,
    상기 알림 신호를 상기 대화방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화방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에게 각각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아직 독출되지 않은 상기 알림 신호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별로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 안읽음수를 제공하며,
    상기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알림 신호 안읽음수와 상기 담당자를 제외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알림 신호 안읽음수는 색상, 크기, 폰트, 밝기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을 생성하되,
    여기서 상기 대화방은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별도로 생성되고,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는 상기 대화방 내에서 대화 메시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내에서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전송된 이후에 발생된 상기 알림 신호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에게 각각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아직 독출되지 않은 상기 알림 신호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별로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 안읽음수를 제공하며,
    상기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알림 신호 안읽음수와 상기 담당자를 제외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알림 신호 안읽음수는 색상, 크기, 폰트, 밝기 중 하나 이상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는 상기 담당자가 현재 담당한 상기 할일에 관하여 노트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 중 상기 담당자를 제외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담당자가 생성한 상기 노트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을 생성하며,
    상기 대화방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 처리,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신호의 입출력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업무처리객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업무처리객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업무 생성자로부터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생성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사용자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상기 대화방을 통해 대화 메시지의 하나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대화방에 참여하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도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중 상기 담당자가 관리하는 서브그룹에 포함되며 상기 담당자에게 종속되는 서브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서브 사용자는 상기 담당자가 현재 담당한 상기 할일에 관하여 상기 노트를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사용자는 상기 담당자가 현재 담당한 상기 할일에 관하여 상기 서브 사용자가 생성한 노트에 대하여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업무 생성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담당한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할일의 완료를 알리거나, 상기 담당자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를 상기 제2 사용자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로 지정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담당자 지정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호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담당자로 지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업무 생성자 또는 상기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담당자를 지정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 지정된 상태인지 또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참여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할일 또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로의 접근 권한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 지정된 이후에 상기 업무 생성자가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로 지정되면,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업무일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담당자로 지정된 이후에 상기 업무 생성자가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로 지정되면,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업무일정을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업무일정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무 생성자에 의해 지정된 다른 상기 사용자를 상기 담당자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 생성자 또는 상기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담당자를 지정할 때, 상기 담당자를 지정하는 상기 업무 생성자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다음 번의 상기 담당자가 수행할 상기 할일의 내용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와 상기 담당자 별 상기 할일의 처리 결과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무 생성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들을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를 상기 담당자로 지정한 후,
    상기 제2 사용자가 담당하는 상기 할일이 개시되기 전에 제3 사용자를 담당자로 지정하는 상기 사용자 신호를 상기 업무 생성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에 앞서 상기 제3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상기 담당자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 처리 장치.
  25. 하나 이상의 할일을 나타내며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업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업무일정의 시작일과 마감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업무일정 내에 수행될 하나 이상의 상기 할일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를 업무 생성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업무 생성자의 지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제1 사용자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의 담당자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담당한 상기 할일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들 중에서 지정된 제2 사용자로 상기 담당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할일 별 상기 담당자 정보를 상기 순환적 업무처리객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처리 방법.
KR1020210181741A 2020-01-31 2021-12-17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58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741A KR20210158828A (ko) 2020-01-31 2021-12-17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514A KR20210097921A (ko) 2020-01-31 2020-01-31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0181741A KR20210158828A (ko) 2020-01-31 2021-12-17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14A Division KR20210097921A (ko) 2020-01-31 2020-01-31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828A true KR20210158828A (ko) 2021-12-31

Family

ID=770626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14A KR20210097921A (ko) 2020-01-31 2020-01-31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0181741A KR20210158828A (ko) 2020-01-31 2021-12-17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514A KR20210097921A (ko) 2020-01-31 2020-01-31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41206A1 (ko)
JP (1) JP7161732B2 (ko)
KR (2) KR202100979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3356B2 (en) * 2020-09-11 2023-02-28 ForgeRock, Inc. Never stale caching of effective properties
KR20230016855A (ko) * 2021-07-27 2023-02-0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003A (ko) 2008-12-12 201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연성 수지 조성물
KR101263590B1 (ko) 2011-10-19 2013-05-13 박기주 통합업무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518A (ja) * 2001-06-18 2003-01-08 Seitaro Shimizu 秤量システム
JP2003030388A (ja) * 2001-06-28 2003-01-3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ワークフローの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4240486A (ja) * 2003-02-03 2004-08-26 Hitachi Ltd プロジェクトの変更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WO2005103971A1 (ja) 2004-03-31 200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ークフロー管理装置
US20060047558A1 (en) * 2004-08-31 2006-03-02 Norimasa Uchiyama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ssigning personnel to project tasks
JP4813821B2 (ja) * 2005-05-13 2011-11-09 エスアーペー アーゲー 担当割当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84333B1 (ko) * 2006-03-31 2007-02-22 김길웅 시간에 기반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는비즈니스용 소프트웨어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비즈니스용소프트웨어 통합 운영 방법
JP2009271660A (ja) 2008-05-02 2009-11-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74577A1 (en) * 2009-01-07 2010-07-08 Red Hat, Inc. Automated Task Delegation Based on Skills
US8805713B2 (en) * 2009-01-07 2014-08-12 Red Hat, Inc. Interface for project and task submission for automated delegation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KR102481687B1 (ko) * 2015-10-02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무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215292B2 (ja) * 2015-12-22 2017-10-18 Line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20999A1 (en) 2016-02-02 2017-08-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ocument management workflows
JP6844197B2 (ja) 2016-10-25 2021-03-1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処理実行方法
KR102103750B1 (ko) 2017-01-13 2020-04-24 최재호 업무 객체 기반의 업무활동 처리장치 및 방법
JP6831537B2 (ja) 2017-03-10 2021-02-17 株式会社サテライトオフィス チャ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1934338B1 (ko) * 2017-08-25 2019-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업무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US11631056B2 (en) * 2018-02-05 2023-04-18 Google Llc Electronic event management system
KR20200003764A (ko) * 2019-12-30 2020-01-10 최재호 업무객체 기반 업무처리장치 및 방법
CN116648948A (zh) * 2020-09-30 2023-08-2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任务责任协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003A (ko) 2008-12-12 201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연성 수지 조성물
KR101263590B1 (ko) 2011-10-19 2013-05-13 박기주 통합업무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21A (ko) 2021-08-10
JP7161732B2 (ja) 2022-10-27
JP2021125247A (ja) 2021-08-30
US20210241206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82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folder chat room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ame
US20120150577A1 (en) Meeting lifecycle management
KR20210158828A (ko) 업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20101242A1 (en) Ad Hoc Group Management Within A Collaboration Project Sharing Workflow
US20150142895A1 (en) Real Life Presence and Dynamic Meeting Scheduling
CN101998009B (zh) 控制服务器和多功能外设的显示屏幕控制系统
WO2022202062A1 (ja) 日程調整装置、日程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20194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WO2022186005A1 (ja) 日程調整装置、日程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95439A1 (ja) 日程調整装置、日程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38349A2 (en) Server, inter-business enterprise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9160062A (ja) 店舗の営業支援方法、サーバ
JP6694983B1 (ja) ファイル連係型業務管理装置
CN114041275B (zh) 无服务器平台上的机密的生命周期管理
JP2020177655A (ja) イベント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200020656A (ko) 대화방 기반의 업무관리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20240169323A1 (en) Time/date adjustment apparatus, time/date adjust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for
KR20220108754A (ko) 회의록 객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85213B1 (ko) 파일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37071B1 (ko) 업무객체 기반의 파일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406854B1 (ko) 파일 연계형 업무 관리 장치
JP7401044B1 (ja) 企業に対するユーザの問合せを処理する方法
JP7402274B1 (ja) 予約システム、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06335A1 (en) Approval object-based work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2308810B1 (ko)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