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75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758A
KR20210156758A KR1020210072931A KR20210072931A KR20210156758A KR 20210156758 A KR20210156758 A KR 20210156758A KR 1020210072931 A KR1020210072931 A KR 1020210072931A KR 20210072931 A KR20210072931 A KR 20210072931A KR 20210156758 A KR20210156758 A KR 2021015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now removal
user
mobility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교치카
리호 마츠오
겐타 미야하라
료타로 가키하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15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 (200) 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201)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 (201) 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 (300) 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제설용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설을 실시하기 위한 기술에 이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9628호에는, 제설차의 제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국제 공개 제2009/090729호에는, 도로에 있어서의 제설 상황에 입각하여 경로 탐색을 실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의 제설을 바람직한 타이밍에 실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있어서의 적설량 또는 예상 강설량의 적어도 어느 것에 관한 눈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눈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의 넓이에 관한 넓이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넓이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제설한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억된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상기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각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상기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다.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있어서의 적설량 또는 예상 강설량의 적어도 어느 것에 관한 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상기 눈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장소의 넓이에 관한 넓이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상기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넓이 정보가 취득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제설한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해도 되고, 상기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에는,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는,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은, 자율 주행 가능한 제설용 모빌리티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결정한 상기 파견 스케줄에 관한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며 또한 제설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어도 된다.
상기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상기 제 1 양태, 상기 제 2 양태, 상기 제 3 양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의 제설을 바람직한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관리 서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사용자 단말, 관리 서버, 및 제설용 모빌리티 각각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사용자 정보의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의 플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6 은, 스케줄 정보의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이 필요한 지역에 있어서는, 공공의 도로를 대상으로 한 제설이 제설차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나, 제설이 필요시되는 장소는 공공의 도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소유지 또는 소정 시설의 부지 등, 다양한 장소의 제설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하여, 제설용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설을 실시하는 것이 생각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설 의뢰에 기초하여 파견되는 제설용 모빌리티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어부가, 제설을 희망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대상 장소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유지 (자택 등), 또는 사용자에 관련된 시설의 부지 등이다. 또, 사용자 정보에는,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를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한다. 여기서, 파견 스케줄에는, 예를 들어, 제설용 모빌리티가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각 대상 장소에서의 제설용 모빌리티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이 포함된다.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파견 스케줄이 결정됨으로써, 각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타이밍에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의 제설이 완료되도록 제설용 모빌리티를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의뢰에 따라, 다양한 장소의 제설을, 제설용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은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로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시스템의 개략)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설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지역 내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제설 의뢰에 따라 제설용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설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제설 관리 시스템 (1) 은, 각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 (100), 관리 서버 (200), 및 제설용 모빌리티 (300) (이하, 간단히 「모빌리티」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 (1) 의 사용자는, 소정의 지역 (E1) 내에 존재하는 대상 장소의 제설을 희망하는 자이다. 대상 장소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자택, 또는 사용자가 관리하는 소정 시설의 부지이다. 도 1 에 있어서는, 대상 장소를 P1 ∼ P3 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제설 관리 시스템 (1) 에 있어서는, 각 사용자 단말 (100) 과 관리 서버 (200) 가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이 네트워크로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세계 규모의 공중 통신망인 WAN (Wide Area Network), 또는 휴대 전화 등의 전화 통신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 사용자 단말 (100) 로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 (200) 는, 각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의 제설 의뢰에 관한 정보인 사용자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이로써, 관리 서버 (200) 는, 각 사용자로부터의 제설 의뢰를 받아들인다.
관리 서버 (200) 는, 모빌리티 (300) 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다. 도 2 는, 관리 서버 (200)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서버 (200) 는, 일반적인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 서버 (200) 를 구성하는 컴퓨터는, 프로세서 (201), 주기억부 (202), 보조 기억부 (203), 및 통신 인터페이스 (204) 를 갖는다.
여기서, 프로세서 (201) 는, 예를 들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다. 주기억부 (202) 는, 예를 들어, RAM (Random Access Memory) 이다. 보조 기억부 (203) 는, 예를 들어, ROM (Read Only Memory), HDD (Hard Disk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이다. 또, 보조 기억부 (203) 는, 리무버블 미디어 (가반 (可搬) 기록 매체) 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어, USB 메모리, SD 카드, 또는, CD-ROM, DVD 디스크, 혹은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이다. 통신 인터페이스 (204) 는, 예를 들어, LAN (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보드,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보조 기억부 (203) 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OS),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 테이블 등이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 (201) 가, 보조 기억부 (203) 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주기억부 (202) 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모빌리티 (300) 의 파견 스케줄의 결정 등의 제어가 실현된다. 단, 관리 서버 (200) 에 있어서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ASIC 나 FPGA 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 (200) 는, 반드시 단일의 물리적 구성에 의해 실현될 필요는 없고, 서로 제휴되는 복수 대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리 서버 (200) 가, 본 개시에 관련된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각 사용자로부터의 제설 의뢰를 받아들인 관리 서버 (200) 는, 각 대상 장소에 모빌리티 (300) 를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설 관리 시스템 (1) 에 있어서는, 각 사용자 단말 (100) 과 관리 서버 (200) 사이의 접속과 마찬가지로, 모빌리티 (300) 와 관리 서버 (200) 의 사이도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관리 서버 (200) 는, 결정한 파견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빌리티 (300) 에 송신한다.
모빌리티 (300) 는, 예를 들어, 제설 작업에 필요한 장비 (예를 들어, 스노 플라우 등의 눈 치우기 도구) 를 구비한 차량이다. 모빌리티 (300) 는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 또, 모빌리티 (300) 는, 제설 작업도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빌리티 (300) 는, 관리 서버 (200) 로부터 수신한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기 위해서 자율 주행한다. 또한, 모빌리티 (300) 는,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 제설 작업을 실행한다.
(기능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 (1) 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 (100), 관리 서버 (200), 및 모빌리티 (300) 각각의 기능 구성에 대해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사용자 단말 (100), 관리 서버 (200), 및 모빌리티 (300) 각각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 (100) 은, 제어부 (110), 통신부 (120), 및 입력부 (130) 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 (110) 는, 사용자 단말 (100) 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 (110) 는, 사용자 단말 (100) 이 구비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120) 는, 사용자 단말 (100) 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 (120) 는, 사용자 단말 (100) 이 구비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120) 는, 예를 들어, 3G (3rd Generation), 또는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 서버 (200) 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11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설을 의뢰할 때에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 (120) 를 통해 관리 서버 (200) 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입력부 (130) 는,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 (130) 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제설을 의뢰할 때에, 사용자 단말 (100) 에 있어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이로써, 입력부 (130) 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어부 (110) 는, 입력부 (130) 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한다. 도 4 는, 사용자 단말 (100) 에 있어서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의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 필드, 대상 장소 필드, 및 완료 타이밍 필드를 갖는다. 사용자 ID 필드에는,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인 사용자 ID 가 입력된다. 대상 장소 필드에는,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이 대상 장소 필드에 입력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장소의 주소이다. 완료 타이밍 필드에는,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서, 대상 장소가 사용자의 자택인 경우, 사용자는, 자택으로부터의 외출 예정 시각 (또는 그 직전) 에 제설이 완료되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 대상 장소가, 사용자의 목적지가 되는 소정의 시설인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시설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각 (또는 그 직전) 에 제설이 완료되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 생각된다. 완료 타이밍 필드에는, 이들과 같은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관리 서버)
관리 서버 (200) 는, 제어부 (210), 통신부 (22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및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 (210) 는, 관리 서버 (200) 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 (210) 는, 프로세서 (201) 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220) 는, 관리 서버 (200) 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 (220) 는, 통신 인터페이스 (204) 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210) 는, 각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 (220) 를 통해 수신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 제어부 (210) 는, 각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에 격납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는, 프로세서 (201) 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atabase Management System) 의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관리 서버 (200) 의 보조 기억부 (203) 에 구축된다.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에는, 각 대상 장소가 포함되는 소정의 지역 (E1) 에 대한 지도 정보가 미리 격납되어 있다. 이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에 격납되어 있는 지도 정보에는, 모빌리티 (300) 의 주행 경로가 될 수 있는 도로에 관한 정보 외에, 대상 장소가 될 수 있는 주택 또는 시설 등의 각 장소의 넓이에 관한 넓이 정보 (예를 들어, 부지 면적) 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 (210) 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에 격납된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300) 를 제설을 위해서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 (210) 는, 결정한 파견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를, 통신부 (220) 를 통해, 모빌리티 (300) 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관리 서버 (200) 에 있어서의 파견 스케줄의 결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설용 모빌리티)
모빌리티 (300) 는, 제어부 (310), 통신부 (320), 및 기억부 (330) 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모빌리티 (300) 는, 원동기인 모터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300) 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빌리티 (300) 는, 눈 치우기 도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310) 는, 이들 구동 기구 및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 (310) 는, 모빌리티 (300) 가 구비하는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모빌리티 (300) 는, 주위의 상황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및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빌리티 (300) 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취득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310) 는, 모빌리티 (300) 가 대상 장소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이들 각종 기기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모빌리티 (300) 를 자율 주행시킨다. 또, 제어부 (310) 는, 대상 장소에 있어서, 이들 각종 기기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모빌리티 (300) 에 제설 작업을 실행시킨다. 또한, 모빌리티 (300) 를 자율 주행시키거나, 모빌리티 (300) 에 제설 작업을 실행시키거나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통신부 (320) 는, 모빌리티 (300) 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 (320) 는, 모빌리티 (300) 가 구비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부 (320) 는, 사용자 단말 (100) 의 통신부 (120) 와 마찬가지로,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관리 서버 (200) 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 (310) 는, 관리 서버 (200) 로부터 송신된 스케줄 정보를, 통신부 (320) 를 통해 수신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기억부 (330) 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 (330) 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리무버블 미디어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 (310) 는, 관리 서버 (200) 로부터 수신한 스케줄 정보를 기억부 (330) 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제어부 (310) 는, 기억부 (330) 에 기억된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300) 를 각 대상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 계획, 및,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 제설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계획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 (310) 는, 생성한 주행 계획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300) 를 자율 주행시킨다. 또, 제어부 (310) 는, 생성한 작업 계획에 기초하여,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 제설 작업을 실행한다.
(스케줄 정보의 생성)
다음으로, 관리 서버 (200) 에 있어서 실행되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의 플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플로는 관리 서버 (200) 의 제어부 (210) 에 의해 실행된다.
본 플로에서는, 먼저 S101 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에 격납되어 있는 각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정보가 취득된다. 이로써, 소정의 지역 (E1) 내에 있어서, 제설을 희망하고 있는 각 사용자에 대한 대상 장소와 완료 타이밍이 취득된다. 다음으로, S102 에 있어서, 눈 정보가 취득된다. 여기서, 눈 정보는, 각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 (E1) 에 있어서의 적설량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 눈 정보는, 소정의 지역 (E1) 에 있어서의 예상 강설량을 포함하는 정보여도 된다. 이와 같은 눈 정보는, 관리 서버 (200) 와는 상이한, 날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3 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각 대상 장소에 대한 넓이 정보가 취득된다. 여기서, 각 대상 장소에 대한 넓이 정보는,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에 격납되어 있는 지도 정보로부터 취득된다. 다음으로, S104 에 있어서, 대상 장소에 있어서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이 예측된다. 여기서, 각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은, S102 에서 취득된 눈 정보, 및, S103 에서 취득된 각 대상 장소에 대한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다. 예를 들어, 눈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지역 (E1) 에 있어서의 적설량 또는 예상 강설량이 많을수록, 각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은 길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 대상 장소가 넓을수록, 즉, 제설을 실시하는 부지가 클수록, 그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은 길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눈 정보 및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5 에 있어서, 모빌리티 (300) 를 제설을 위해서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이 결정된다. 여기서, 파견 스케줄은,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각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요컨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완료 타이밍에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의 제설 작업이 완료되도록, 모빌리티 (300) 가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순번이 결정된다. 또, 모빌리티 (300) 가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각 대상 장소에서의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대해서도, 파견 스케줄로서 결정된다.
다음으로, S106 에 있어서, S105 에서 결정된 파견 스케줄을 포함하는 스케줄 정보가 생성된다. 도 6 은, 스케줄 정보의 테이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는, 순번 필드, 사용자 ID 필드, 대상 장소 필드, 방문 타이밍 필드, 및 작업 시간 필드를 갖는다. 순번 필드에는, 모빌리티 (300) 가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순번이 입력된다. 사용자 ID 필드 및 대상 장소 필드에는, 각각,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던 사용자 ID, 및,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방문 타이밍 필드에는, 모빌리티 (300) 가 각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작업 시간 필드에는, 각 대상 장소에서의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S106 에 있어서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면, 본 플로의 실행이 종료된다. 그리고, 생성된 스케줄 정보가 모빌리티 (300) 에 송신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케줄 정보가 모빌리티 (300) 에 송신됨으로써, 각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타이밍에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의 제설이 완료되도록 모빌리티 (300) 를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어느 대상 장소에 있어서의 제설이 완료되고 나서, 사용자가 희망한 완료 타이밍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비면, 이 사이에 눈이 내린 경우에, 그 대상 장소에 다시 눈이 쌓여 버린다. 그 결과, 본래의 완료 타이밍에 있어서는, 대상 장소에 눈이 쌓인 상태가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의 제설은 각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타이밍에 완료되는 것이 요망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 (1) 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의뢰에 따라, 다양한 장소의 제설을, 모빌리티 (300) 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변형예 1)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 모빌리티 (300) 가 제설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제설한 눈의 폐기 장소 (이하, 간단히 「폐기 장소」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가 필요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관리 서버 (200) 에 있어서, 제어부 (210) 는, 파견 스케줄을 결정할 때에, 각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정보로서 각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관리 서버 (200) 에 송신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 (100) 에,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폐기 장소가 입력된다. 또, 관리 서버 (200) 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에,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함께, 대응하는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가 격납된다. 그리고, 제어부 (210) 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로부터,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함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 관리 서버 (200) 의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에, 대상 장소가 될 수 있는 장소마다, 대응하는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가 미리 격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 (210) 는,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로부터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폐기 장소의 위치에 따라, 대상 장소에 있어서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이 상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대상 장소의 땅의 부지 내에 폐기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상 장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폐기 장소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그 대상 장소에 대한 소요 시간은 짧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어부 (210) 가, 상기와 같은 눈 정보 및 넓이 정보에 더하여,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요 시간을 예측한다. 이로써, 각 대상 장소에 있어서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예측할 수 있다.
(변형예 2)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설 관리 시스템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관리 서버 (200) 에 있어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에,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ID 와, 각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서로 연관된 상태로 미리 격납되어 있다. 이 때, 제설을 희망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100) 의 입력부 (130) 에 대해 완료 타이밍만을 입력한다. 이와 같은 경우, 관리 서버 (200) 의 제어부 (210) 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 및, 각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개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나 수단은, 기술적인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1 개의 장치가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혹은, 상이한 장치가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1 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능을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 (서버 구성) 에 의해 실현할지는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고, 당해 컴퓨터가 갖는 1 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 출력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에 접속 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의해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플로피 (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등), 광 디스크 (CD-ROM,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 등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판독 입력 전용 메모리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EPROM, EEPROM, 자기 카드, 플래시 메모리, 또는 광학식 카드와 같은, 전자적 명령을 격납하기 위해서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20)

  1. 정보 처리 장치 (200) 로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201)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 (201) 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 (300) 를 각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있어서의 적설량과 예상 강설량의 적어도 어느 것에 관한 눈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눈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의 넓이에 관한 넓이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넓이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제설한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각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억된 기억 장치 (203)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201) 는,
    상기 기억 장치 (203) 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상기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각 사용자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 (100) 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상기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인, 정보 처리 장치.
  10.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인, 상기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는 것 ;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설용 모빌리티 (300) 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에 있어서의 적설량과 예상 강설량의 적어도 어느 것에 관한 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눈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대상 장소의 넓이에 관한 넓이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넓이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대상 장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지역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넓이 정보가 취득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 장소에 대응하는, 제설한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눈의 폐기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이 예측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인, 정보 처리 방법.
  17. 시스템 (1) 으로서,
    자율 주행 가능한 제설용 모빌리티 (300) ; 및
    정보 처리 장치 (2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 (200) 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201)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가 제설을 희망하는 장소인 대상 장소에 관한 정보와, 각 사용자가 제설의 완료를 희망하는 타이밍인 완료 타이밍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 (201) 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를 대상 장소에 파견하기 위한 파견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결정한 상기 파견 스케줄에 관한 스케줄 정보를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200) 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케줄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하며 또한 제설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201) 는, 대상 장소에 있어서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해 제설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요 시간을 예측하도록 구성되고,
    예측된 대상 장소에 대한 상기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파견 스케줄이 결정되는,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인,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파견 스케줄은,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가 대상 장소를 방문하는 타이밍, 및, 대상 장소에서의 상기 제설용 모빌리티 (300) 에 의한 제설의 작업 시간에 관한 스케줄인, 시스템.
KR1020210072931A 2020-06-18 2021-06-0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6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5155A JP7388298B2 (ja) 2020-06-18 2020-06-1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JP-P-2020-105155 2020-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58A true KR20210156758A (ko) 2021-12-27

Family

ID=7644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931A KR20210156758A (ko) 2020-06-18 2021-06-0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98047A1 (ko)
EP (1) EP3926560A1 (ko)
JP (1) JP7388298B2 (ko)
KR (1) KR20210156758A (ko)
CN (1) CN113822520A (ko)
BR (1) BR102021011620A2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628A (ja) 2000-03-30 2001-10-10 Nissan Diesel Motor Co Ltd 除雪車
JP2002099983A (ja) 2000-09-21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配車指示装置、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328021A (ja) * 2001-04-27 2002-11-15 Hayashi Katsuyoshi ヘリコプター撮影による災害の被災量計測方法
JP2008269254A (ja) 2007-04-19 2008-11-06 Kandenko Co Ltd 融雪サービス提供のための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4652472B2 (ja) 2008-01-15 2011-03-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3090473A1 (en) * 2011-12-12 2013-06-20 Moose Loop Holdings, LLC Task scheduling and rescheduling
KR101581299B1 (ko) * 2015-08-03 2016-01-04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도로 제설작업을 위한 스마트 종합관제시스템
JP2017041777A (ja) * 2015-08-20 2017-02-23 株式会社Axseed 防災情報配信サーバ、携帯情報端末、防災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07836B2 (ja) 2017-08-18 2022-01-25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作業状況表示制御装置、作業状況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48060B2 (ja) 2017-10-12 2021-10-13 興和ビルメンテナンス株式会社 空港施設及び空港関連施設での作業を行うための車両を運用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空港施設及び空港関連施設内で地産地消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90114595A1 (en) * 2017-10-17 2019-04-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t Control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s
JP7013868B2 (ja) * 2017-12-28 2022-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ンクシェア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90220036A1 (en) * 2018-01-17 2019-07-18 Ube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Vehicle Assignments us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CN110241769A (zh) * 2019-06-21 2019-09-17 山东浪潮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除雪车及除雪方法
JP7191794B2 (ja) * 2019-09-04 2022-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律除雪機
US20210241230A1 (en) * 2020-01-30 2021-08-05 Tulbelt,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services marketplace
WO2022035441A1 (en) * 2020-08-14 2022-02-17 Hitachi, Ltd. Dynamic dispatching with robustness for large-scale heterogeneous mining fleet via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8047A1 (en) 2021-12-23
CN113822520A (zh) 2021-12-21
JP2021197056A (ja) 2021-12-27
EP3926560A1 (en) 2021-12-22
JP7388298B2 (ja) 2023-11-29
BR102021011620A2 (pt)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92B1 (ko) 국부화된 환경과 결합한 이동 디바이스 로케이팅
JP4912973B2 (ja) 端末及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721544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007668A (zh) 移动体系统及移动体系统的控制方法
JP2008299371A (ja) 移動履歴調査システム、サーバ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7199627A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
CN114012740B (zh) 一种基于机器人的目标地点引领方法、装置和机器人
JP5919403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2741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1401805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156758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7269A (ko) 경로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227983A (ja) 作業者配置支援装置、作業者配置支援方法、作業者配置支援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18146794A1 (ja) 行先提案システム
JP7279656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Hossain Crowdsourced indoor mapping
JP456448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00049562A (ko) 표시 제어 방법,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록 매체, 및 표시 제어 시스템
KR101980904B1 (ko)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3648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WO2014174648A1 (ja)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取得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94640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20220130054A1 (en) Position finding method and position finding system
JP72486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523266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点データ更新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