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740A -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 - Google Patents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740A
KR20210156740A KR1020210059919A KR20210059919A KR20210156740A KR 20210156740 A KR20210156740 A KR 20210156740A KR 1020210059919 A KR1020210059919 A KR 1020210059919A KR 20210059919 A KR20210059919 A KR 20210059919A KR 20210156740 A KR20210156740 A KR 2021015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member
winding
rotation
angle adjuster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663B1 (ko
Inventor
마사노부 야마시타
타케시 야마와키
아키후미 사와다
Original Assignee
코요 기켄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요 기켄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코요 기켄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clamps or friction 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과제]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하고, 과하중의 제거 후에 재이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일단부에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압접하는 권체부재(50)와, 일단측에 마련한 부착부(32)를 상기 권체부재(50)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40)에 연결한 요동체(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동체(30)에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상기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대한 권체부재(50)의 마찰력의 증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40)의 외주면(46)을 권체부재(50)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ANGLE ADJUSTER AND FURNITURE I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구류 등에 이용되는 각도 조정기, 특히, 가구류에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구성 부품의 파괴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각도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구류에 이용되는 각도 조정기로서는, 예를 들면, 소파의 헤드 레스트나 암 레스트의 경사각도를, 사용자 기호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의 관절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특허 문헌 1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판(3)의 교합 허용부(3a) 내에 폴편(爪片)(4)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제1 금구(1)에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경우, 그 하중을 교합 저지부(3b)와 교합 저지부(3b)의 경계 단부(32)에서 폴편(4)에 받아들여진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451955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관절 장치에서는, 제1 금구(1)에 극히 큰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구성 부품인 캠판(3), 폴편(4) 등에도 과하중이 부하된다. 결과로서, 캠판(3) 등이 파단하여 파괴되고, 또는, 캠판(3) 등에 소성 변형이 생겨서 파손된다. 이와 같은 파괴나 파손이, 예를 들면, 소파에 끼워 넣은 관절 장치에 생기면, 소파를 분해하여 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수리에 수고가 들고, 수리 대금이 높은 경우에는, 소파 전체를 폐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각도 조정기의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하고, 과하중의 제거 후에 재이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단부에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권체부재(卷締め部材)와,
일단측에 마련한 부착부를 상기 권체부재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에 연결한 요동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체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압접하는 권체부재 본체와, 상기 권체부재 본체로부터 연재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개략 J자형상의 권체부와, 및, 상기 권체부의 자유단부터 연재되고, 또한,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체의 정회전 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체결력이 감소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권체부재의 권체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함에 의해, 상기 요동체의 정회전 방향의 회동이 허용되는 한편,
상기 요동체의 역회전 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체결력이 증대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권체부재의 권체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증대함에 의해, 상기 요동체의 역회전 방향의 회동을 저지함과 함께,
상기 요동체에 과하중이 역회전 방향에서 부하된 경우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 부품에 소성 변형이 생기기 전에 권체부재가 회동함에 의해, 구성 부품의 파괴나 파손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하중의 제거 후에 재이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정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한 쌍의 상기 권체부재로,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를 끼어지지(挾持)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권체부재로 요동체를 끼어지지하기 때문에, 지지 강도가 증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돌설한 환형상(環牀) 차양부를, 한 쌍의 상기 권체부재로 끼어지지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권체부재로 회전축의 환형상 차양부를 끼어지지하기 때문에, 지지 강도가 증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권체부재 본체에 마련한 위치 규제 돌기부에,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축을 당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과하중에 의해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기 전에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한다. 이 때문에, 구성 부품의 파괴나 파손을 회피할 수 있고, 과하중의 제거 후에 재이용할 수 있는 각도 조정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권체부재 본체에 마련한 위치 규제 돌기부에, 상기 권체부를 당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권체부재 본체에 마련한 위치 규제 돌기부에, 상기 권체부를 당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 조립공수가 적은 각도 조정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권체부재의 지지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 긴구멍의 일단부에,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축을 압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과하중에 대한 마찰력을 권체 규제 긴구멍의 위치, 형상, 크기, 개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제조가 용이한 각도 조정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구로서는, 전술(前述)에 기재된 각도 조정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 조정기의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과하중의 제거 후에 재이용할 수 있는 가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과하중에 의한 구성 부품의 파괴나 파손을 원인으로 하는 수리가 불필요해지고, 가구 전체를 폐기하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를, 예를 들면, 소파에 적용한 경우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파의 요부(要部)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초기 위치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로부터 커버 및 보강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초기 상태(제1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초기 상태(제1 상태)로부터 변위한 제2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상태로부터 과하중의 부하로 변위한 제3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15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변위한 제4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17은 도 15의 상태로부터 변위한 제5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도 17의 상태로부터 변위한 제6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제2 실시 형태의 초기 상태(제1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에 과하중을 부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제3 실시 형태의 초기 상태(제1 상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에 과하중을 부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의 요부 확대도.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28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도 조정기(10)는, 소파(1)의 암 레스트(2) 및 헤드 레스트(3)에 적용한 경우이다. 예를 들면, 헤드 레스트(3)는, 병설한 한 쌍의 각도 조정기(10, 10)의 사이에 건너지른 심재(4)에, 쿠션재(도시 생략)를 부착하고, 피혁, 천(布地) 등의 까는 천(張地)(5)으로 피복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도 조정기(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지지체(20)와 요동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봉재를 개략 L자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체(20)는, 그 하단부에 마련한 암나사부(21)에, 빠짐방지 와셔(22)와 와셔(23)을 삽통시켜, 양자의 사이에 배치한 기재(基材)(도시 생략)를 육각너트(24)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는, 그 수평 단부에 마련한 육각구멍(25)에 삽통시킨 플랜지붙음 육각너트(28)에, 와셔(26)을 통하여, 볼트(27)을 나사결합함에 의해, 요동체(30)를 연결할 수 있다(도 7).
요동체(30)는, 그 일단측에 심재(4)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리브(31)을 구부려 일으키고 있는 한편, 그 타단부에 부착부(32)를 마련하고 있다. 부착부(3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의 중앙에 축받이 오목부(33)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부착부(32)는, 그 선단의 하방 연부에 하방 받이부(34)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선단의 상방 연부에 상방 돌기부(35)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부착부(32)는, 코킹구멍(36)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축구멍(37)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요동체(30)의 부착부(32)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의 환형상 차양부(42)를 끼어지지하도록 배치한 권체부재(50, 50)를, 한 쌍의 보강판(62, 62)을 통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은, 요동체(30)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4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구멍(41)을 가지고, 그 외주면(46)에 돌설한 환형상 차양부(42)에 제1, 제2, 제3 폴부(43, 44, 45)를 소정의 피치로 돌설하고 있다.
권체부재(50)는,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재 본체(51)로부터 연재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계합 가능한 형상을 갖는 개략 J자형상의 권체부(52)와, 권체부(52)의 자유단부터 연재된 지지부(5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이 면접촉 가능해진다(도 7). 또한, 권체부재 본체(51)에는, 코킹구멍(55)와, 긴구멍(56)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위치 규제 돌기부(57)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53)에는 코킹구멍(58)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도 조정기(10)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회전축(40)의 양측에서 권체부재(50, 50)를 조립한 후, 권체부재(50, 50)의 지지부(53, 53)의 사이에, 요동체(30)의 부착부(32)를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부착부(32)의 축구멍(37)에 권체 규제축(60)을 감합함과 함께, 권체부재(50)의 긴구멍(56)에 해제축(61)을 감합한다.
또한, 권체부재(50, 50)의 외향면에 보강판(62, 62)을 각각 조립하고, 보강판(62)의 감합구멍(62a)을 권체 규제축(60)에 감합한다. 계속해서, 제1 리벳(63)을, 보강판(62)의 코킹구멍(62b), 권체부재(50)의 코킹구멍(58) 및 요동체(30)의 코킹구멍(36)에 삽통시켜, 코킹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제2 리벳(64)을, 보강판(62)의 코킹구멍(62c), 권체부재(50)의 코킹구멍(55)에 삽통시킴과 함께, 요동체(30)의 축받이 오목부(33)에 감합하고, 코킹 고정함에 의해, 요동체(30)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제1, 제2 리벳(63, 64) 및 권체 규제축(60)의 각각의 지점 사이 거리는, 일정하다. 또한, 해제축(61)은 탈락하는 일 없이 유지된다.
그리고, 권체부재(50) 전체를 피복 가능한 정면 형상을 갖는 커버(70, 72)를 전후에서 조합시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계합 일체화한다. 계속해서, 커버(70)의 감합구멍(71)으로부터 플랜지붙음 육각너트(28)를 삽통시켜, 회전축(40)의 육각구멍(41)에 삽통시킨 후, 커버(72)의 감합구멍(73)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감합구멍(73)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붙음 육각너트(28)의 선단을 지지체(20)의 육각구멍(25)에 삽통시켜, 와셔(26)을 통하여 볼트(27)를 나사결합한다. 이 결과, 지지체(20)와 요동체(30)가 연결 일체화되고, 지지체(20)에 대해 회전축(40)이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조작 공정을, 도 9 내지 도 2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초기 위치인 제1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스프링 탄성을 갖는 권체부재(50)가 감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권체부재 본체(51)와 개략 J자형상의 권체부(52)가 소정의 압력으로 면접촉하고, 마찰력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요동체(30)에 덜커덕거림은 없다. 이때,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거리는 l0이다.
제2 상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의 요동체(30)를 화살표(P방향)(정회전 방향)로 일으켜서 회동시키면, 제2 리벳(64)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체(30)가 회동한다. 이때, 제2 리벳(64)을 통하여 권체부재 본체(51)는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가압되어 변위하지 않지만, 권체부(52)가 제1 리벳(63)을 통하여 끌어올려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사이가 거리(l1)(>l0)로 확대하고,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50)의 권체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의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요동체(30)를 사용자 기호의 경사각도까지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2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3)에 머리를 올려놓아, 요동체(30)에 소정의 하중을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로 부하하면, 요동체(30)는 제2 리벳(64)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제2 리벳(64)을 통하여 권체부재 본체(51)는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가압되어 변위하지 않지만, 제1 리벳(63)을 통하여 권체부(52)가 끌어내려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재 본체(51)에 권체부(52)가 접근하고, 양자의 사이가 거리(l2)(<l0)로 줄어들어,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50)의 체결력이 증대한다. 따라서,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증대하고, 요동체(30)는 회동할 수 없고, 헤드 레스트(3)는 사용자의 기호의 경사각도를 유지한다. 암 레스트(2)에 적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상태에서, 극히 큰 과하중이 Q방향(역회전 방향)으로 부하된 경우,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제3 상태가 된다.
즉, 요동체(30)가 제2 리벳(64)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2 상태보다도 권체부(52)가 더욱 끌어내려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거리가 거리(l3)(<l2)로 줄어드는데, 권체 규제축(60)이 권체부재 본체(51)의 위치 규제 돌기부(57)에 당접하여, 요동체(30)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최대 마찰력이 되고, 마찰력은 그 이상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요동체(30)에 부하된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의 과하중이 전술한 최대 마찰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권체부재(50)는 회전축(40)의 외주면(46)상을 미끄러져서 회동한다. 이 때문에, 권체부재(50)뿐만 아니라, 회전축(40), 요동체(30) 등의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지 않고, 각도 조정기(10)는 파괴되지 않고, 파손되지 않는다.
요컨대,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에 의하면,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는, 권체부재(50) 등의 구성 부품에 파괴나 파손이 생기지 않고, 각도 조정기(10)의 파괴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제4 상태는, 제2 상태로부터 요동체(30)를 화살표(P방향)(정회전 방향)에 더욱 회동하여,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최대 범위까지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해제축(61)이 회전축(40)의 제2 폴부(44)에 계지하고 있음과 함께, 하방 받이부(34)에 압접하고 있다. 또한,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사이는 거리(l1)이다.
그리고, 요동체(30)에 하중을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로 부하하는 경우에는, 요동체(30)는 제2 리벳(64)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때, 제2 리벳(64)을 통하여 권체부재 본체(51)가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가압되어 변위하지 않지만, 제1 리벳(63)을 통하여 권체부(52)가 당겨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재 본체(51)에 권체부(52)가 접근하여 거리(l2)(<l0)로 줄어들고,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50)의 체결력이 증대한다. 이 결과,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증대하고, 요동체(30)는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3)는 사용자의 기호의 경사각도를 유지한다.
제5 상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상태로부터 더욱 P방향(정회전 방향)으로 요동체(30)를 회동한 경우이다.
즉, 요동체(30)를 회동하면, 제2 폴부(44)에 계지하는 해제축(61)에 하방 받이부(34)가 타올라, 로크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해제축(61)이 권체부재 본체(51)을 통하여 회전축(40)에 압접하고, 권체부재 본체(51)의 변위를 규제한다. 동시에, 상방 돌기부(35)가 제3 폴부(45)에 당접하여 위치 규제된다. 이 결과,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사이는 거리(l4)(>l0)가 되고,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50)의 권체력이 감소하다. 따라서,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한 상태가 유지되고, 요동체(30)를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로 회동할 수 있다.
제6 상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상태로부터 요동체(30)를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 리벳(64)을 지점으로 하여 권체부재 본체(51)가 역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해제축(61)이 제1 폴부(43)에 계지하여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해제축(61)에 올라타 있던 하방 받이부(34)가 해제축(61)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요동체(30)를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초기 상태인 제1 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같은 조작을 행함에 의해, 요동체(3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제2 실시 형태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즉,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에서, 요동체(30)를 화살표(P방향)(정회전 방향)로 회동시키면,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 사이의 거리(l0)가 거리(l1)(도시 생략)로 넓어진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에 의한 체결력이 감소하고,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이 결과, 요동체(30)를 소망하는 경사각도까지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체(30)에 통상의 하중이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로 부하된 경우에는, 제2 리벳(64)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요동체(30)가 회동한다. 이때, 제2 리벳(64)을 통하여 권체부재 본체(51)가 회전축(40)의 외주면(46)에 가압되어 변위하지 않지만, 제1 리벳(63)을 통하여 권체부(52)가 끌어내려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52)와 권체부재 본체(5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에 의한 체결력이 증대한다. 이 결과,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증대하고, 요동체(30)는 사용자 기호의 경사각도로 유지된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체(30)에 극히 큰 과하중이 부하된 경우에는, 권체부(52)가 위치 규제 돌기부(57)에 직접, 당접하여 위치 규제되고, 요동체(30)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최대 마찰력이 되고, 그 이상으로 마찰력은 증대하지 않는다. 이 결과, 최대 마찰력을 초과하는 과하중이 요동체(30)에 부하된 경우에는, 권체부재(50)가 회전축(40)의 외주면(46)상을 미끄러져, 요동체(30)가 회동한다. 따라서, 권체부재(50)뿐만 아니라, 회전축(40), 요동체(30) 등의 구성 부품이 파괴되지 않고,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각도 조정기(10)의 파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권체 규제축(60)이 불필요해지고,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부품 점수, 조립공수가 적은 각도 조정기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각도 조정기의 제3 실시 형태는,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다른 점은, 권체부재(50)의 지지부(53)에 마련한 권체 규제 긴구멍(59)에, 요동체(30)의 부착부(32)에 마련한 권체 규제축(65)을, 감합한 점이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제1 상태(초기 상태)에서, 요동체(30)를 화살표(P방향)(정회전 방향)로 회동시키면,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의 사이는 거리(l0)로부터 거리(l1)(도시 생략)로 넓어진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에 대한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와의 체결력이 감소하고,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감소한다. 이 결과, 요동체(30)를 사용자 기호의 경사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요동체(30)에 통상의 하중이 화살표(Q방향)로 부하된 경우에는, 제2 리벳(64)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요동체(30)가 회동한다. 이때, 권체부재 본체(51)는 회전축(40)에 압접하여 변위하지 않지만, 제1 리벳(63)을 통하여 권체부(52)가 끌어내려진다. 이 때문에, 권체부(52)와 권체부재 본체(5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권체부재 본체(51)와 권체부(52)에 의한 체결력이 증대한다. 이 결과,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증대하고, 요동체(30)는 사용자 기호의 경사각도로 유지된다.
그러나,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체(30)에 과하중이 화살표(Q방향)(역회전 방향)로 부하된 경우에는, 권체 규제 긴구멍(59)의 일단부에 권체 규제축(65)가 압접하고 위치 규제된다. 이때, 권체부(52)와 권체부재 본체(51)가 접근하고, 거리(l3)(<l0)가 되어도, 그 이상으로 줄어드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회전축(40)의 외주면(46)과 권체부(52)의 내측면(54)과의 마찰력이 최대 마찰력이 되고, 그 이상으로 마찰력은 증대하지 않는다. 이 결과, 최대 마찰력을 초과한 과하중이 요동체(30)에 부하된 경우에는, 권체부재(50)가 회전축(40)의 외주면(46)상을 미끄러져, 요동체(30)가 회동한다. 따라서, 권체부재(50)뿐만 아니라, 회전축(40), 요동체(30) 등을 포함하는 구성 부품이 파괴되지 않고,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각도 조정기(10)의 파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최대 마찰력은, 권체 규제 긴구멍(59) 및 권체 규제축(65)의 형상 및 위치 관계 등을 조정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 동작하는 각도 조정기의 설계, 제조가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술한 소파의 헤드 레스트, 암 레스트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절첩식(折り疊み式)의 베드 등의 가구, 차 및 비행기 등의 좌석에도 적용 가능하다.
1: 소파
2: 암 레스트
3: 헤드 레스트
4: 심재
5: 까는 천
10: 각도 조정기
20: 지지체
21: 암나사부
22: 빠짐방지 와셔
23: 와셔
24: 육각너트
25: 육각구멍
27: 볼트
28: 플랜지붙음 육각너트
30: 요동체
31: 리브
32: 부착부
33: 축받이 오목부
34: 하방 받이부
35: 상방 돌기부
36: 코킹구멍
37: 축구멍
40: 회전축
41: 육각구멍
42: 환형상 차양부
43: 제1 폴부
44: 제2 폴부
45: 제3 폴부
46: 외주면
50: 권체부재
51: 권체부재 본체
52: 권체부
53: 지지부
54: 내측면
55: 코킹구멍
56: 긴구멍
57: 위치 규제 돌기부
58: 코킹구멍
59: 권체 규제 긴구멍
60: 권체 규제축
61: 해제축
62: 보강판
62a: 감합구멍
62b: 코킹구멍
62c: 코킹구멍
63: 제1 리벳
64: 제2 리벳
65: 권체 규제축
70: 커버
71: 감합구멍
72: 커버
73: 감합구멍
P방향: 정회전 방향
Q방향: 역회전 방향

Claims (7)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일단부에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권체부재와,
    일단측에 마련한 부착부를 상기 권체부재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에 연결한 요동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체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압접하는 권체부재 본체와, 상기 권체부재 본체로부터 연재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개략 J자형상의 권체부와, 및, 상기 권체부의 자유단부터 연재되고, 또한,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체의 정회전 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체결력이 감소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권체부재의 권체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감소함에 의해, 상기 요동체의 정회전 방향의 회동이 허용되는 한편,
    상기 요동체의 역회전 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체결력이 증대하고, 회전축의 외주면과 권체부재의 권체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증대함에 의해, 상기 요동체의 역회전 방향의 회동을 저지함과 함께,
    상기 요동체에 과하중이 역회전 방향에서 부하된 경우에,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권체부재로,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를 끼어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돌설한 환형상 차양부를, 한 쌍의 상기 권체부재로 끼어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체부재 본체에 마련한 위치 규제 돌기부에,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축을 당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체부재 본체에 마련한 위치 규제 돌기부에, 상기 권체부를 당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체부재의 지지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 긴구멍의 일단부에, 상기 요동체의 부착부에 마련한 권체 규제축을 압접시켜서 요동체의 회동을 규제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대한 권체부재의 마찰력의 증가를 제한함에 의해, 과하중에 의해 회전축의 외주면을 권체부재가 미끄러져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정기.
  7. 제1한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도 조정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가구.
KR1020210059919A 2020-06-18 2021-05-10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 KR102523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5274A JP6830703B1 (ja) 2020-06-18 2020-06-18 角度調整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家具
JPJP-P-2020-105274 202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40A true KR20210156740A (ko) 2021-12-27
KR102523663B1 KR102523663B1 (ko) 2023-04-20

Family

ID=7456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19A KR102523663B1 (ko) 2020-06-18 2021-05-10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25488B1 (ko)
JP (1) JP6830703B1 (ko)
KR (1) KR102523663B1 (ko)
CN (2) CN215959129U (ko)
ES (1) ES2968611T3 (ko)
PL (1) PL3925488T3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555B2 (ja) 2004-07-28 2010-08-04 株式会社ヒカリ 関節装置
JP2013231487A (ja) * 2012-05-01 2013-11-14 Hikari:Kk 角度調節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28113B1 (pl) * 2014-07-18 2018-02-28 Stalmot & Wolmet Społka Akcyjna Przegub bezstopniowy, zwłaszcza do mebli tapicerowanych
PL3031357T3 (pl) * 2014-12-09 2017-12-29 Schätti Ag Okucie wychylne
JP2018000381A (ja) * 2016-06-29 2018-01-11 向陽技研株式会社 角度調整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ソファ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9555B2 (ja) 2004-07-28 2010-08-04 株式会社ヒカリ 関節装置
JP2013231487A (ja) * 2012-05-01 2013-11-14 Hikari:Kk 角度調節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959129U (zh) 2022-03-08
ES2968611T3 (es) 2024-05-13
JP6830703B1 (ja) 2021-02-17
KR102523663B1 (ko) 2023-04-20
CN113812800A (zh) 2021-12-21
EP3925488B1 (en) 2023-11-15
JP2021194461A (ja) 2021-12-27
PL3925488T3 (pl) 2024-05-13
EP3925488A1 (en)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2317B1 (ja) 角度調節器
EP1754927B1 (en) Support for electrical display device
US7284799B2 (en) Armrest tilting device
JP562084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935487B2 (ja) 車載装置の脱落機構付き取付構造
JP2004147791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H084740A (ja) 固定装置
CN111911751B (zh) 摄像机支架
US20150300399A1 (en) Ring nut
WO2020031624A1 (ja) スライド装置
KR20210156740A (ko) 각도 조정기 및 이것을 이용한 가구
US9795220B1 (en) Quickly released and fastened adjustment mechanism
JP4945785B2 (ja) 係合機構
US7175292B2 (en) 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JP5598976B2 (ja) サイドスタンドスイッチおよびサイドスタンド装置
JP2000038070A (ja) 自動車用ヘッドレスト構造
JP2013230354A (ja) 角度調節器
JPH09236195A (ja) 機器用調整脚
JP2001096080A (ja) 理容鋏
JP2003254316A (ja) 合成樹脂製ワッシャー
JP3209923B2 (ja) 螺着部材の脱落防止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KR102109116B1 (ko) 도어트림용 베젤과 윈도우스위치의 마운팅 장치
JPH0852285A (ja) 理容鋏
JPH07315119A (ja) 車両用灯具の取付構造
JP2004202079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