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126A -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126A
KR20210156126A KR1020200073870A KR20200073870A KR20210156126A KR 20210156126 A KR20210156126 A KR 20210156126A KR 1020200073870 A KR1020200073870 A KR 1020200073870A KR 20200073870 A KR20200073870 A KR 20200073870A KR 20210156126 A KR20210156126 A KR 2021015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isplay
touch input
process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김경훈
안성준
최명빈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126A/ko
Priority to US17/350,420 priority patent/US11531412B2/en
Publication of KR2021015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126A/ko
Priority to US17/985,541 priority patent/US202300826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Securing stora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8Axially displace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5Instrument input by combination of touch screen and hardwar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6Navigation
    • B60K2370/143
    • B60K2370/152
    • B60K2370/166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터치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본 발명은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입력장치(노브)를 이용하여 차량 내 기능을 실행시킨다(온도 조절, 풍량 조절 등).
그런데, 이러한 노브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탈거가 불가능하여, 사용성 측면에서 조작하고자 하는 화면과 제어기 간의 공간 양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보다 다양한 사용자 편익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노브를 통해서 쉽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의 위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복수 개의 노브를 통해 개별적 기능을 제어하는 대신 각 기능에 대한 터치 시 노브를 이동시킴으로써, 상황에 따라 탑승자에게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터치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는 제한된 노브 이동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하부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 및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을 비교하여,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이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내 시트 배치 정보 및 각 시트의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표출시키고, 해당 기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노브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내의 좌표를 계산하여 노브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줌 인 및 줌 아웃을 노브를 통해 제어하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경로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다음 경로 및 관련 도로 정보 표시가 노브를 통해 제어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조작을 통해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노브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탈부착형 노브를 이용하여 차량 내 어느 위치에서든 노브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브를 이동시키며 차량 내 기능 실행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노브 수로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며 버튼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UI 변경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틸팅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에서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레이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및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화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배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공조기 제어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볼륨 제어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ASCC 제어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사용자 지정 기능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작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윈도우 전환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노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노브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기능 제어 탭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운전석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보조석 디스플레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석 디스플레이 영역에 주행과 관련성이 적은 편의 기능에 대한 제어 탭을 표출시키고, 운전석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주행과 관련성이 높은 기능에 대한 제어 탭을 표출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을 변경시키고, 영역 구분의 변경에 따라 표출되는 콘텐츠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내의 기설정된 기능에 대한 화면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이동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한 표출 영역으로 유지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위치 변경 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의 개수를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 영역의 개수에 따라 표출되는 콘텐츠의 종류를 변경시킨다.
프로세서(130)는 콘솔에서 노브가 탈거되는 경우, 탈거된 노브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운전석 영역에서 보조석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보조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로 보조석 승객에 제공되는 개인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주행 관련 기능 화면을 운전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한다.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보조석 영역에서 운전석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보조석 승객에 제공되는 개인화 화면을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하되, 운전 방해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노브의 현재 위치에서의 사용자 시선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를 틸팅시키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터치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제한된 노브 이동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하부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 및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을 비교하여,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이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노브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내 시트 배치 정보 및 각 시트의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표출시키고, 해당 기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노브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내의 좌표를 계산하여 노브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줌 인 및 줌 아웃을 노브를 통해 제어하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경로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다음 경로 및 관련 도로 정보 표시가 노브를 통해 제어되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의 이동 범위 내에서의 노브의 위치 정보 및 기설정된 평면 영역에서의 노브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노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 및 노브의 동작 정보를 고려하여 차량 내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표출되는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 범위 내에서 노브가 이동하는 경우, 노브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기능 메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프로세서(130)는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노브에 대한 탭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해당 기능에 대한 팝업 화면을 호출한다.
프로세서(130)는 음량 조절 기능 메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노브에 대한 조작이 인식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중이면 미디어 볼륨을 제어하고, 미디어가 재생중이지 않을 경우 전체 시스템 볼륨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노브의 회전, 누름, 누름 유지 시간을 고려하여 기능 메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즐겨찾기 기능 메뉴 영역으로 노브가 이동되는 경우, 즐겨찾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출시키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선택된 기능을 주 화면에 표출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노브가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의 이동 범위 내에서 탈착되어 기설정된 평면 영역인 콘솔에 장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과 동일한 비례의 콘솔 영역 내에서의 노브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콘솔 영역 내에서의 노브의 이동에 따라 커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출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내 구획 영역에 대한 노브 조작에 따른 커서 이동 시, 윈도우 전환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운전석 디스플레이(D1)에는 드라이브 모드, ADAS, 공조, 볼륨 메뉴가 현출되고,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항목이 없는 상태에서, 노브(200)가 운전석 디스플레이(D1) 하단으로부터 보조석 디스플레이(D2) 하단으로 이동된다.
노브(200)를 운전석 디스플레이(D1) 하단으로부터 보조석 디스플레이(D2) 하단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조작 가능한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데, 예컨대 운전석 디스플레이(D1)에서는 ADAS, 드라이브 모드 등 운전과 직접 연관되는 기능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고,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서는 내부 램프, 공조, 볼륨 등 주행과 직접 관련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기능에 대한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제한된다.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운전석 디스플레이(D1) 및 보조석 디스플레이(D2)에 현출되는 기능 제어 탭을 제어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브(200)가 특정 기능 제어 탭 영역의 하단 또는 특정 기능 제어 탭 영역 상부에서 회전 또는 누름 조작됨에 따라,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 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UI 변경을 도시한다.
대화면 디스플레이(D)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운전석에서 조수석 방향으로 이동된다.
대화면 디스플레이(D)가 이동됨에 따라 노브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노브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대화면 디스플레이(D)가 이동됨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D)에 표출되는 정보 및 UI가 변경되는데, 예컨대 운전석에는 클러스터와 AVN이, 보조석에는 미니클러스터와 AVN 3 화면이 표출된다.
노브(200)의 이동은 기구적으로 제한된 영역 내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발생되거나, 센터페시아로부터 탈부착되는 형태로서,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공간 상에서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대화면 디스플레이(D)의 정보 및 UI 현출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D) 하단의 콘솔에 위치한 노브(200)가 콘솔 밖으로 탈거됨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노브(200)의 탈거 및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D)를 이동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브(200)가 콘솔 밖으로 탈거되며, 운전석에서 보조석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운전석 및 보조석에서 모두 디스플레이(D)를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조정된다.
운전석에서 보조석으로 노브(200)가 이동 시, 보조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D)에는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이 표시되고, 주행 관련 화면은 운전석 전방 윈드쉴드에서 HUD 등으로 표시된다.
보조석에서 운전석으로 노브(200)가 이동 시, 주행 관련 화면이 운전석으로 이동된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고, 보조석의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은 보조석 전방 윈드쉴드에 표시된다. 이 때, 보조석 전방 윌드쉴드에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운전 방해가 유발되는 경우, 보조석의 승객 관련 개인화 화면의 표출이 오프(off)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탈거에 따른 디스플레이(D) 틸팅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D) 하단의 콘솔에 위치한 노브(200)가 콘솔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D)는 노브(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틸팅된다.
후석 탑승자가 노브(200, 조작계)를 가져간 경우, 디스플레이(D)를 틸팅시켜 후석의 노브를 가지고 있는 탑승자의 자리에서 디스플레이(D)의 화면을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차량 내 노브의 위치와 관련하여, UWB(ultra wide band) 기술을 통해 그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LBS(Local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GPS,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정밀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반면, UWB(6~8GHz, 500MHz 이상의 대역폭)는 넓은 주파수 대역, 저전력 통신, 수십 센티미터 내외의 높은 정확도로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GPS와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 추적 기술은 각각 5 내지 50m, 50 내지 200m의 오차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GPS의 경우 도심 빌딩 숲에서는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가 도달하는데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의 경우 저비용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사용 주파수 대역이 좁으므로 위치 추적 대상이 많아질 경우 채널 분할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을 가진 단말은 고정된 와이파이 AP(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는 다수의 센서를 저렴한 비용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신 레이턴시(latency)가 크기 때문에 동적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UWB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는 다르게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낮은 전력으로 높은 전송 속도를 통해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UWB 기술을 이용한 측위는 20센티미터 내외의 낮은 오차율을 보이며, 장애물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와이파이 등의 다른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VN/클러스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에 따라, 터치가 입력된 영역으로 노브가 자동 이동되고, 노브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에서 기능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AVN에서 노브는 “재생 음량”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누름 동작을 통해 음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a)에서 사용자가 AVN에서 공조 온도를 터치함에 따라, 노브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온도의 영역 밑으로 자동 이동된다.
사용자는 공조 온도의 영역 밑으로 이동된 노브를 조작하여, 공조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위에 노브가 있는 경우, 터치보다 노브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터치 입력을 고려하여 노브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노브가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AVN의 공조 온도 설정 영역을 터치한 경우, 온도 설정은 터치보다 노브로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복수의 버튼 누름보다 회전 동작을 통한 온도 설정이 보다 편리함),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가 공조 온도 설정 영역 위로 이동되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설정 온도가 세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에서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위에 노브가 있는 경우, 노브는 재생 음량 위에 위치하며, 노브의 조작을 통해 음량의 크고 작음이 제어된다.
이 때,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공조 온도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노브를 터치 영역인 공조 온도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노브는 공조 온도 영역 위에서 로터리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조 장치를 통한 설정 온도가 세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내 터치 영역으로의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차량 내 좌석 배치 이미지 및 각 좌석으로 제공되는 기능 메뉴를 표출한다.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기능 수행이 가능한 영역에 대해 터치가 입력되면(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공조 장치 영역), 터치 신호가 입력된 영역으로 노브가 이동된다.
즉, 공조 영역에 대한 화면이 터치되는 경우, 해당 화면으로 노브가 이동되어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화면에서 온도 설정 영역이 터치됨에 따라, 노브가 온도 설정 영역 위로 이동하여, 노브 조작에 따라 설정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 플레이어 제어를 도시한다.
재생 플레이어에서 곡 화면 및 재생 바가 구분되며, 프로세서(130)는 터치 신호 입력 별로 노브의 이동을 제어하고, 각 기능에 적합한 하위 기능을 노브의 동작을 고려하여 제어한다(연속적인 제어가 필요한 기능 제어).
즉, 화면 터치에 따라 노브가 이동되면, 곡 내부 이동에 대한 노브 회전에 따라 회전된 곡이 재생되고, 재생 바 피드백 화면 확인을 위해 재생 바를 터치하더라도 좌측에 노브 버튼이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전 및 노브 이동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하단에는 공조 온도, 주행 안전 모드, 볼륨, 내비, 공조 온도 영역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설정에서 세로 설정으로 회전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 메뉴 영역을 고려하여 기존에 위치하였던 메뉴 영역의 좌표로 노브를 이동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화면 제어를 도시한다.
내비게이션의 화면을 터치하면, 줌 인/아웃은 화면의 피드백 확인을 위해, 화면 옆에 배치된다. 이 때, 노브의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제어에 따라 줌인 또는 줌 아웃이 실행된다.
도 11에서 경로 안내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로터리 버튼(노브) 이동 시, 관련 화면을 우측에 표시한다.
로터리 버튼(노브)를 회전시키면, 다음 경로를 표시하고, 경로 관련 도로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배치를 도시한다.
상단 디스플레이에는 온도 정보, 현재 재생 음악 정보, 현재 시각 정보가 표출되고, 하단 디스플레이에는 메뉴, 미디어, 배터리 정보 등이 표시되고, 노브는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되어, ASCC, 음량, 운전석 온도 설정, 풍량, 조수석 온도 설정 영역 내에서 이동되며, 각 영역에서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설정 영역의 메뉴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기사용 히스토리에 따라 주로 운용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고려하여, 추천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가 표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공조기 제어를 도시한다.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서 현재 시각 정보를 노브의 외부 면을 통해 표출한다.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노브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온도 설정 영역에 대한 기능 제어가 수행되어, 공조를 활성화시키고 노브 회전 방향에 따라 설정 온도가 조절된다.
노브가 디스플레이 하단에서 풍량 제어 영역으로 이동되고, 조수석 온도 설정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설정된 노브 조작에 따른 기능 제어가 수행된다.
이 때, 노브가 이동됨에 따라 각 기능 제어가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능 제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노브가 해당 영역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자동 이동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공조 관련 터치 버튼 탭(tap) 시 공조 팝업이 호출되며, 팝업 화면에서는 각 시트의 영역 별 현재 온도 및 설정 온도 정보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예: 운전자 후석)에 대한 터치를 통해 영역이 선택되고, 노브 조작을 통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설정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볼륨 제어를 도시한다.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노브가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로부터 볼륨 제어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미디어 재생 중이면 미디어 볼륨 정보가 표출되고, 미디어 재생 중이나 기능이 없을 경우 위젯을 표시하고, 미디어가 재생되고 있지 않을 경우 시스템 볼륨을 조절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ASCC 제어를 도시한다.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노브가 ASCC 영역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ASCC 기능 제어가 활성화되며, 노브에는 현재 ASCC 설정 속도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ASCC의 설정 속도 정보가 표출된다.
노브를 누르고(press) 회전 시키는 동작(rotate) 후 기설정된 시간(예: 수 초)동안 노브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ASCC 세팅이 변경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단에 배치된 노브를 이용한 사용자 지정 기능을 도시한다.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부에 배치된 노브는 기본 화면으로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한다.
노브가 즐겨찾기 영역 하부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많이 재생시킨) 메뉴를 표출하고, 노브가 회전됨에 따라 메뉴 선택이 수행된다.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예: 뮤직)에 대해 노브 누름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메뉴(예: 뮤직)은 디스플레이 메인 화면에 표출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작을 도시한다.
특정 영역(예: 암 래스트)에 노브를 두는 경우, 사용자가 노브를 마우스처럼 조작함으로써, 멀티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노브가 운전석 온도 설정 영역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가(기본 화면은 현재 시각 정보를 표출함), 탈착되어 콘솔에 장착되면, 화면과 동일한 비례의 마우스 패드 영역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노브를 마우스처럼 사용하여, 특정 기능 위에 커서가 올라가는 경우, 해당 기능에서 노브로 조작 가능한 아이콘(예: 음량)으로 커서가 변경된다.
특정 기능에 위치하여 노브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내비게이션의 경우 지도 확대/축소를, 미디어 볼륨의 경우 음량 업/다운을 제어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윈도우 전환을 도시한다.
콘솔 상부에 배치된 노브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간 기능(윈도우) 전환 및 조절이 가능하다.
노브는 콘솔 영역 내에서 마우스의 기능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콘솔 위 노브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중 미디어를 내비게이션이 표출되는 영역으로 드래그 시키면, “미디어” 영역과 “내비게이션” 영역이 교체된다. 이를 통해, 윈도우 전환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노브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한된 노브 이동 영역 내에서 상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영역의 하부로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 및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을 비교하여, 상기 노브 조작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이 상기 터치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의 용이성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된 디스플레이 영역 위로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내 시트 배치 정보 및 각 시트의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표출시키고, 해당 기능 영역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노브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내의 좌표를 계산하여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줌 인 및 줌 아웃을 상기 노브의 동작에 따라 제어하고,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경로 정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노브의 동작에 따라 다음 경로 및 관련 도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0200073870A 2020-06-17 2020-06-17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20210156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70A KR20210156126A (ko) 2020-06-17 2020-06-17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17/350,420 US11531412B2 (en) 2020-06-17 2021-06-17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US17/985,541 US20230082698A1 (en) 2020-06-17 2022-11-11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70A KR20210156126A (ko) 2020-06-17 2020-06-17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26A true KR20210156126A (ko) 2021-12-24

Family

ID=7902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70A KR20210156126A (ko) 2020-06-17 2020-06-17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531412B2 (ko)
KR (1) KR202101561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826S1 (en) 2018-01-04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shboard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7037S1 (en) * 2018-09-28 2022-10-18 Southwire Company, Llc Surge protector apparatus
USD990484S1 (en) * 2021-06-08 2023-06-27 Feed Media Inc. Computer display panel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ES2956982A1 (es) * 2022-05-27 2024-01-05 Seat Sa Sistema de control
CN115104874B (zh) * 2022-07-26 2023-01-03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智能椅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JP2002343193A (ja) * 2001-05-17 2002-11-29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搭載機器用操作装置
JP2007326491A (ja) * 2006-06-08 2007-12-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入力装置
JP4960127B2 (ja) * 2007-03-28 2012-06-27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デバイス
US8198994B2 (en) * 2009-04-13 2012-06-12 Applied Minds, Llc Customizable and reconfigurable virtual instrument panel
JP2011113345A (ja) * 2009-11-27 2011-06-09 Fujitsu Ten Ltd 車載表示システム
DE102010013170A1 (de) * 2010-03-27 2011-09-29 Audi Ag Vorrichtung zur Bedienung unterschiedlicher Funktionen eines Kraftfahrzeugs
US20130241720A1 (en) * 2012-03-14 2013-09-19 Christopher P. Ricci Configurable vehicle console
US9063644B2 (en) * 2012-03-26 2015-06-23 The Boeing Company Adjustment mechanisms for virtual knobs on a touchscreen interface
DE112012006801T5 (de) * 2012-08-10 2015-04-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onsschnittstellenvorrichtung und Operationsschnittstellenverfahren
US20140095029A1 (en) * 2012-09-28 2014-04-03 Tesla Motors, Inc. Sunroof Control Interface
JP6193561B2 (ja) * 2012-12-04 2017-09-0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US10655979B2 (en) * 2013-06-08 2020-05-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predicted destinations
JP6315456B2 (ja) * 2013-05-21 2018-04-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の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6136627B2 (ja) * 2013-06-24 2017-05-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101611205B1 (ko) * 2013-11-11 2016-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6156087B2 (ja) * 2013-11-15 2017-07-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構造
JP6167893B2 (ja) * 2013-12-26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
JPWO2015174092A1 (ja) * 2014-05-15 2017-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つま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DE102014008040A1 (de) * 2014-05-28 2015-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Ein-/Aus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KR101700714B1 (ko) * 2014-09-17 2017-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116748B2 (en) * 2014-11-20 2018-10-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ehicle-based multi-modal interface
KR101664038B1 (ko) * 2014-12-09 2016-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DE102015200036A1 (de) * 2015-01-05 2016-07-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zur Eingabe von Daten mit zwei Eingabearten und haptischer Rückkopplung
WO2016182159A1 (en) * 2015-05-08 2016-11-17 Lg Electronics Inc. Center fasci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050521A1 (en) * 2015-08-19 2017-02-23 Faraday&Future Inc. Data transferring system for a vehicle
US20170102788A1 (en) * 2015-10-12 2017-04-1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etachable operational device
KR102594718B1 (ko) * 2015-11-20 2023-10-26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동적 재구성가능 디스플레이 노브
US10234968B2 (en) * 2015-12-01 2019-03-1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Position-based reconfigurable control knob
US20170314959A1 (en) * 2016-04-27 2017-11-02 Bell Helicopter Textron Inc. Center Pedestal Display
KR101806892B1 (ko) * 2016-05-09 201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US9916032B2 (en) * 2016-05-18 2018-03-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knob oper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EP3266640B1 (en) * 2016-07-06 2019-06-19 Volvo Car Corporation Multi mode screen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ulti mode screen device in a vehicle
JP6342453B2 (ja) * 2016-07-07 2018-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US10705629B1 (en) * 2016-08-03 2020-07-07 Apple Inc. Customizable control system
JP6851482B2 (ja) * 2017-07-21 2021-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支援装置および操作支援方法
EP3456577B1 (en) * 2017-09-13 2022-01-2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WO2019193379A1 (en) * 2018-04-06 2019-10-10 Flex Ltd. Method for detecting events on a touch screen using mechanical input
US11003262B2 (en) * 2018-06-25 2021-05-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nput knob for a touch-sensitive surface in a display system
US10838523B2 (en) * 2018-10-16 2020-11-1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identifying an input knob of a touch screen device
US10754526B2 (en) * 2018-12-20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viewing system
US11188161B2 (en) * 2019-08-20 2021-11-30 Synaptics Incorporated Automative knob s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2698A1 (en) 2023-03-16
US11531412B2 (en) 2022-12-20
US20210397275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6126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6539289B2 (e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9604542B2 (en) 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O device
US6819990B2 (en) Touch panel input for automotive devices
WO2009128148A1 (ja) 遠隔操作装置
US20110187675A1 (en) Image display device
US9904467B2 (en) Display device
KR101664037B1 (ko) 차량용 제어 패널
US10031592B2 (en) Contextual knobs for in-vehicle system control
JPH10214543A (ja) システムスイッチ
US20180107320A1 (en) Center fasci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231977A1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15125783A (ja) 注視追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042029A (ja)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28077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6097928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CN109558057A (zh) 输入设备和该输入设备的控制方法
KR20220005947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20220005946A (ko)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20150134200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specific task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620006B2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
US20230009427A1 (en)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knobs
JPH07257231A (ja) 車両用機器の操作系選択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