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827A - 골절술 가이드 - Google Patents

골절술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827A
KR20210149827A KR1020217036574A KR20217036574A KR20210149827A KR 20210149827 A KR20210149827 A KR 20210149827A KR 1020217036574 A KR1020217036574 A KR 1020217036574A KR 20217036574 A KR20217036574 A KR 20217036574A KR 20210149827 A KR20210149827 A KR 20210149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guide
along
osteotomy
osteotom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준 장
퀴앙 쑤
웬하오 퀴
웨이웨이 시앙
시아오롱 왕
Original Assignee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1Guides therefor for corrective osteo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5Cutting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7Cutting tib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95Wedge osteo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68Joint distractors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oduced with shape and dimensions specific for an individual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절술 가이드(100, 500, 600)가 뼈(300)의 절단을 안내한다. 가이드(100, 500, 600)는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106, 506, 606) 및 후방 단부(108, 508, 608)를 갖는다. 가이드(100, 500, 600)는 뼈(300)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102, 502, 602), 및 외부 방향(DO)을 따라 내부 표면(102, 502, 602)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104, 504, 604)을 갖는다. 가이드(100, 500, 600)는 뼈(300)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한정하도록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AT)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안내 표면(138, 538, 638)을 포함한다. 가이드(100, 500, 600)는 뼈(300)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한정하도록 상승 방향을 따른 상승 축(AA)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안내 표면(134, 534, 634)을 포함한다. 횡방향 및 상승 축들(AT, AA)은 서로 교차한다.

Description

골절술 가이드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교시 내용이 마치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9년 4월 12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CN2019/08242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골절술(osteotomy) 동안 뼈를 절단하기 위한 수술용 가이드(surgical guide),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릎과 같은 관절 내의 연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거나 신체 활동과 관련된 부상으로 인해 손상되어, 골관절염(osteoarthritis)을 초래할 수 있다. 연골의 마모는 일상 생활의 활동을 제한하는 통증을 초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골관절염은 본래의 관절을 대체하도록 인공 관절을 이식함으로써 치료되었다. 그러나, 완전 관절 대체물에 대한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관절 대체물은 흔히 금속 또는 중합체 관절 이식체의 고정을 수용하기 위해 제거될 관절의 관절면(articular surface)의 큰 부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대체 관절은 흔히 최대 20년의 제한된 수명을 가지며, 따라서 후속 대체 수술이 종종 요구된다. 또한 추가로, 관절 대체물은 흔히 수술후 감염, 골용해, 및 골다공증에 의해 악화되며, 이는 추가 수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골관절염의 초기 발병을 갖는 일부 환자는 관절의 구획들 전부보다 적은 구획의 연골 마모와 같은, 관절면의 일부분만의 연골 마모를 겪는다. 예를 들어, 일부 환자는 관절의 2개의 구획의 2-구획성 골관절염 또는 관절의 단일 구획의 1-구획성 골관절염을 겪을 수 있다. 구획성 골관절염을 갖는 환자의 경우, 전체 관절면을 제거 및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경골고위골절술(high tibial osteotomy)과 같은 골절술이 제한된 연골 마모를 갖는 환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medial) 경골고위골절술은 내측 구획성 골관절염을 갖는 환자에 대해 수행되어 무릎 관절을 재정렬시킬 수 있다.
내측 경골고위골절술은 경골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고 내측면 상에 있는 위치에서 환자의 경골 내로 절단부를 만듦으로써 수행된다. 환자의 경골의 근위 단부는 체중 지지 라인(weight bearing line)을 재정렬시키도록 절단부를 확대시키기 위해 피봇되어, 무릎 내의 압력의 균형을 맞춘다. 경골의 근위 단부는 이어서 경골에 골판(bone plate)을 부착함으로써 확대된 절단부를 유지하도록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골판은 확대된 절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절단부의 대향측들 상에서 경골에 부착된다. 일부 시술에서, 절단부는 골판이 부착되기 전 또는 후에 골이식편(bone graft) 또는 인공 뼈로 충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osteotomy guide)가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는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는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방향을 따라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각각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부 표면은 i) 제1 뼈 접촉 영역(bone contacting region), 및 ii) 제2 뼈 접촉 영역으로서,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뼈 접촉 영역과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 간극(gap)을 한정하는, 제2 뼈 접촉 영역을 한정한다. 간극은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제2 뼈 접촉 영역까지 연장되고,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을 따라 외부 표면을 향해 연장된다. 골절술 가이드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을 따라 배향되어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transverse cutting path)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transverse guide surface)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간극으로부터 원위 방향을 따라 오프셋(offset)된다. 골절술 가이드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ascending guide surface)을 포함한다. 상승 안내부는 상승 방향(ascending direction)을 따른 상승 축을 따라 배향되어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ascending cutting path)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상승 방향은 원위 방향 및 횡방향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되고,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가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골절술 가이드는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골절술 가이드는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뼈에 대면하도록 윤곽형성된다(contoured). 골절술 가이드는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으로서,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홈(transverse groove)을 제1 횡방향 안내 표면과 제2 횡방향 안내 표면 사이에 한정하여 횡방향 절단 경로를 한정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골절술 가이드는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제2 상승 안내 표면으로서, 상승 방향을 따른 상승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홈(ascending groove)을 제1 상승 안내 표면과 제2 상승 안내 표면 사이에 한정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가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골절술 가이드는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골절술 가이드는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방향을 따라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각각은 골절술 가이드의 후방 단부와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부 표면은 i) 제1 뼈 접촉 영역, ii) 제2 뼈 접촉 영역으로서,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을 따라 외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간극을 제1 뼈 접촉 영역과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 한정하는, 제2 뼈 접촉 영역, 및 iii) 제1 뼈 접촉 영역과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고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3 뼈 접촉 영역을 한정한다. 골절술 가이드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을 따라 배향되어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골절술 가이드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승 방향을 따른 상승 축을 따라 배향되어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의 잠재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근위 단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원위 단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측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측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단부의 정면도.
도 8은 도 1의 골절술 가이드의 후방 단부의 정면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방법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10은 도 1의 골절술 가이드가 경골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경골 및 비골의 사시도.
도 11은 후방 방향을 따른, 도 10의 경골, 비골, 및 골절술 가이드의 사시도.
도 12는 전방 방향을 따른, 도 10의 경골, 비골, 및 골절술 가이드의 사시도.
도 13은 절단 기구가 뼈 내에 상승 절단부(ascending cut)를 만드는 상태에서의, 도 10의 경골, 비골, 및 골절술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절단 기구가 뼈 내에 횡방향 절단부(transverse cut)를 만드는 상태에서의, 도 10의 경골, 비골, 및 골절술 가이드의 사시도.
도 15는 절단부가 경골 내에 형성되고 고정 판이 경골에 부착된 후의, 도 10의 경골 및 비골의 전방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근위 단부의 평면도.
도 19는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원위 단부의 평면도.
도 20은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측의 정면도.
도 21은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측의 정면도.
도 22는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단부의 정면도.
도 23은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의 후방 단부의 정면도.
도 24는 경골에 부착된 도 16의 골절술 가이드와 함께인, 경골의 사시도.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근위 단부의 평면도.
도 28은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원위 단부의 평면도.
도 29는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외부측의 정면도.
도 30은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내부측의 정면도.
도 31은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후방 단부의 정면도.
도 32는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단부의 정면도.
도 33은 경골에 부착된 도 25의 골절술 가이드와 함께인, 경골의 사시도.
도 34는 경골 내의 골절술 절단부(osteotomy cut)가 확대된 상태에서의, 도 33의 경골 및 가이드의 사시도.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spacer)의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스페이서의 일 측면의 정면도.
도 37은 도 35의 스페이서의 다른 측면의 정면도.
도 38은 도 35의 스페이서의 전방 단부의 정면도.
도 39는 도 35의 스페이서의 후방 단부의 정면도.
도 40은 도 35의 스페이서가 경골 내의 골절술 절단부 내로 이식되고 골판이 경골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경골의 제1 사시도.
도 41은 도 35의 스페이서가 경골 내의 골절술 절단부 내로 이식되고 뼈 고정 판이 경골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경골의 제2 사시도.
도 4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제1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스페이서의 제2 사시도.
도 44는 도 42의 스페이서의 상부의 평면도.
도 45는 도 42의 스페이서의 저부의 평면도.
도 46은 도 42의 스페이서의 일 측면의 정면도.
도 47은 도 42의 스페이서의 다른 측면의 정면도.
도 48은 도 42의 스페이서가 경골 내의 골절술 절단부 내로 이식된 상태에서의, 경골의 사시도.
도 49는 뼈 고정 판이 경골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도 42의 경골 및 스페이서를 도시한 도면.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골절술 시술을 위해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특정 환자의 뼈에 정합하도록 맞춤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골절술 가이드(100)는 환자 특이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3차원(3-D)으로 인쇄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단일편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경골, 대퇴골, 비골, 상완골, 척골, 요골, 또는 다른 뼈와 같은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톱날(saw blade)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134) 및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138)(둘 모두 도 5 및 도 6에 표기됨)을 한정한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관절에 인접한 뼈 내로 절단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절단부는 뼈를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bone segment)로 분할하고, 제1 뼈 세그먼트가 관절에 더 가깝다. 절단부는 이어서 뼈를 재정렬시키도록 환자의 뼈의 제1 세그먼트를 뼈의 제2 세그먼트에 대해 피봇시킴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는 체중 지지 라인을 재정렬시키도록 확대되어, 무릎 내의 압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다른 정렬 절차가 고려된다. 확대된 절단부는 이어서, 확대된 절단부의 대향측들 상에서 뼈에 부착되도록 제1 뼈 세그먼트로부터 제2 뼈 세그먼트까지 절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골판을 부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가이드(100)는 경골 내에 절단부를 만드는 그의 사용에 대해 기술되고 도시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100)는 내부 표면(102), 및 외향 방향(Do)에 대해 내부 표면(102)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104)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내부 표면(102)은 내향 방향(Di)에 대해 외부 표면(104)으로부터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내향 방향(Di)은 외향 방향(Do)에 반대이다. 내부 표면(102)은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뼈 대면 표면(bone facing surfac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표면(102)의 적어도 일부분은 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뼈 접촉 표면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내부 표면(102)은 뼈의 표면에 정합하도록 윤곽형성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외부 표면(104)은 뼈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부 표면(104)은 실질적으로 볼록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전방 단부(106), 및 후방 방향(Dpo)에 대해 전방 단부(106) 반대편에 있는 후방 단부(108)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전방 단부(106)는 전방 방향(Da)에 대해 후방 단부(108)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전방 방향(Da)과 후방 방향(Dpo)은 서로 반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은 함께 횡방향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전방 단부(106)가 뼈의 전방측에 인접하고 후방 단부(108)가 뼈의 후방측에 인접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골절술 가이드(100)가 달리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은 내향 및 외향 방향들(Din 및 Do) 둘 모두에 수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근위 단부(110), 및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단부(110) 반대편에 있는 원위 단부(112)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근위 단부(110)는 근위 방향(Dpr)에 대해 원위 단부(112)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근위 방향(Dpr)과 원위 방향(Dd)은 서로 반대이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근위 단부(110)가 뼈의 근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고 후방 단부(112)가 뼈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근위 방향(Dpr) 및 원위 방향(Dd)은 내향 방향(Din), 외향 방향(Do),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에 수직일 수 있다.
내부 표면(102) 및 그에 따라 골절술 가이드(100)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뼈를 따라 위치될 때 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뼈 접촉 영역은 특정 환자의 뼈의 윤곽에 대해 특정하게 크기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그들 사이에 간극(124)을 한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제1 뼈 접촉 영역(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제2 뼈 접촉 영역(120)(아래에서 논의됨)보다 근위 단부(11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근위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그것이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전방 단부(106)로부터 후방 단부(10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118)의 적어도 일부분, 최대로 전부는 그것이 뼈에 정합하도록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118)의 후방 단부, 예컨대 자유 단부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뼈에 부착될 때 뼈의 유지 지점을 후킹하도록(hook)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지 지점은 뼈의 내측면 상의 뼈의 돌출부를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제2 뼈 접촉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제1 뼈 접촉 영역(118)으로부터 원위 방향(Dd)을 따라 오프셋되어 그들 사이에 간극(124)을 한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제2 뼈 접촉 영역(120)으로부터 근위 방향(Dpr)을 따라 오프셋되어 그들 사이에 간극(124)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제1 뼈 접촉 영역(118)보다 원위 단부(112)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뼈 접촉 영역(122)은 원위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그것이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전방 단부(106)로부터 후방 단부(10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120)의 적어도 일부분, 최대로 전부는 그것이 뼈에 정합하도록 전방 단부(106)와 후방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오목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120)의 후방 단부, 예컨대 자유 단부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뼈에 부착될 때 뼈의 후방 리지(ridge)를 후킹하도록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뼈 대면 표면은 제3 뼈 접촉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제1 뼈 접촉 영역(118)으로부터 제2 뼈 접촉 영역(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그것이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전방 단부(106)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전방 단부(106)에서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전방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122)은 그것이 후방 단부(108)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오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가 제3 뼈 접촉 영역(122) 없이 구현될 수 있거나, 제3 뼈 대면 표면이 전방 단부(106)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하나의 더 큰 뼈 접촉 표면보다 뼈 상에서 더 양호한 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의 간극(124)은 뼈 돌출부가 제1 뼈 접촉 영역(118)과 제2 뼈 접촉 영역(120) 사이에서 연장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전방 몸체 부분(126),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전방 몸체 부분(126)으로부터 오프셋된 후방 몸체 부분(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몸체 부분(126)은 전방 단부(10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고, 전방 단부(106)로부터 후방 단부(108)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방 몸체 부분(128)은 후방 단부(10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고, 후방 단부(108)로부터 전방 단부(106)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제1 뼈 접촉 영역(118)을 한정하는 근위 벽(119)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제2 뼈 접촉 영역(120)을 한정하는 원위 벽(121)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벽(121)은 근위 벽(119)으로부터 원위 방향(Dd)을 따라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간극(124)을 한정할 수 있다. 전방 몸체 부분(126) 및 그에 따라 골절술 가이드(100)는 제3 뼈 접촉 영역(122)을 한정하는 제3 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벽(123)은 근위 벽(119)과 원위 벽(121) 사이에서, 예컨대 근위 벽(119)으로부터 원위 벽(121)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간극(124)은 간극(124)이 후방 단부(124)에서 개방되도록 전방 단부(106)를 향해 후방 단부(108)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간극(124)은 예를 들어 제3 뼈 접촉 영역(122)을 향해 연장되고 제3 뼈 접촉 영역에서, 예컨대 제3 뼈 접촉 영역(122)을 한정하는 제3 벽(123)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124)이 후방 단부(124)에서 폐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간극(124)은 외부 표면(104)을 향해 내부 표면(102) 내로 연장된다. 간극(124)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 표면(1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극(124)은 후방 몸체 부분(128)에서 외부 표면(1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간극(124)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전방 부분이 내부 표면(102) 및 외부 표면(104)에서 개방될 수 있다. 간극(124)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 표면(104)에서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극(124)은 전방 몸체 부분(126)에서 외부 표면(104)에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간극(124)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전방 부분이 내부 표면(102)에서 개방되고 외부 표면(104)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124)의 전방 부분이 외부 표면(104)에서 개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124)의 후방 부분은 외부 표면(104)에서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124)은 동일한 방향을 따른 제1 뼈 접촉 영역(118) 및 제2 뼈 접촉 영역(118)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둘 모두의 치수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한, 근위 방향(Dpr) 또는 원위 방향(Dd)을 따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간극(124)이 내부 표면(102) 및 외부 표면(104)을 통해 연장되는 실시예에서, 후방 몸체 부분(128) 및 그에 따라 골절술 가이드(100)는 근위 아암(proximal arm)(130), 및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아암(130)으로부터 오프셋된 원위 아암(distal arm)(132)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아암(130)과 원위 아암(132)은 간극(124)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근위 아암(130)은 전방 몸체 부분(126)으로부터 후방 단부(108)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아암(130)은 전방 몸체 부분(1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2 단부는 근위 아암(130)의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유사하게, 원위 아암(132)은 전방 몸체 부분(126)으로부터 후방 단부(108)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아암(132)은 전방 몸체 부분(1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제2 단부는 원위 아암(132)의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아암(130)이 후방 단부(108)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근위 아암(130)은 원위 아암(132)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아암들 각각의 정확한 형상이 환자의 뼈의 특정 곡률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근위 아암(130)은 제1 뼈 접촉 영역(118)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후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아암(132)은 제2 뼈 접촉 영역(120)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후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118)은 제1 곡률을 갖고,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뼈 접촉 영역(120)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뼈 접촉 영역(118)보다 더 내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곡률이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고, 특정 환자의 뼈의 곡률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100)는 뼈 내로 상승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100)에 상승 안내 표면이 없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승 절단부는, 예를 들어 슬개건(patellar tendon) 뒤의 경골 조면(tuberosity) 둘레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뼈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이 경골 조면과 정렬되도록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전방 단부(106)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은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상승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축(A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승 방향은 근위 방향(Dpr) 및 횡방향에 대해 각도 오프셋된다. 예를 들어, 상승 방향은 근위 방향(Dpr)과 횡방향 사이에 있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은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이 근위 단부(11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전방 방향(D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3 벽(123)은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을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상승 홈(114)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은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상승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축(A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은 제2 상승 안내 표면(134)이 근위 단부(11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전방 방향(D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에 대면하여 그들 사이에 상승 홈(114)을 한정할 수 있다. 상승 홈(114)은 뼈 내로 상승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은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134)은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의 길이보다 큰 상승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을 갖는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제2 상승 안내 표면(136)을 한정하는 상승 레그(ascending leg)(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 레그(135)는 전방 몸체 부분(1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승 방향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승 레그(135)는 전방 몸체 부분(126)과 일체형이고 모놀리식(monolithic)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단부는 전방 몸체 부분(126) 또는 골절술 가이드(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부착이 없는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상승 홈(114)은 상승 방향에 반대인 하강 방향(descending direction)을 따라 골절술 가이드(1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 홈(114)의 근위 단부가 개방될 수 있고, 상승 홈(116)의 원위 단부가 폐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원위 단부는 하강 방향을 따라 근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승 홈(114)이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종료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단부들 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뼈 내로 횡방향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원위 단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원위 방향(Do)에 대해 간극(124)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원위 방향(Do)에 대해 제2 뼈 접촉 영역(120)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은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횡방향으로 지칭됨)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축(AT)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승 축(AA)과 횡방향 축(AT)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을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횡방향 홈(116)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은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축(AT)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에 대면하여 그들 사이에 횡방향 홈(116)을 한정할 수 있다. 횡방향 홈(116)은 뼈 내로 횡방향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절단 기구는 상승 절단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절단 기구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은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의 길이보다 큰 후방 방향(Dpo)을 따른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을 갖는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제2 횡방향 안내 표면(140)을 한정하는 횡방향 레그(transverse leg)(139)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레그(139)는 브리지(bridge)(137)에서 전방 몸체 부분(1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 레그(139)는 전방 몸체 부분(126)과 일체형이고 모놀리식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단부는 전방 몸체 부분(126) 또는 골절술 가이드(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부착이 없는 자유 단부일 수 있다. 횡방향 홈(116)은 전방 방향을 따라 골절술 가이드(1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 홈(116)의 후방 단부가 개방될 수 있고, 횡방향 홈(116)의 전방 단부가 폐쇄될 수 있는데, 여기서 후방 단부는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전방 단부로부터 오프셋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횡방향 홈(116)이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종료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단부들 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리지(137)는 상승 홈(114)을 횡방향 홈(11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상승 절단부 및 횡방향 절단부가 뼈 내에 만들어질 때, 브리지(137)는, 상승 절단부와 횡방향 절단부를 결합시키고 브리지(137) 아래에 놓이는 뼈의 세그먼트의 절단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브리지(137)는 횡방향 절단부를 방해한다. 따라서, 제1 횡방향 안내 표면(138) 및 그에 따라 횡방향 절단 홈(116)은 그것이 상승 절단 홈(114)과 교차하지 않도록 종료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 절단부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횡방향 절단부를 상승 절단부에 결합시키도록 제거된 후에 연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골절술 가이드(100)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100)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해 그것을 통해, 키르쉬너 와이어(Kirschner wire)와 같은 고정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내부 표면(102) 및 외부 표면(1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 구멍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례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근위 방향(Dpr)에 대해 제1 뼈 접촉 영역(118)으로부터 오프셋된 근위 고정 구멍(142)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전방 몸체 부분(126)으로부터 근위 방향(Dpr)을 따라 연장되는 목부(neck)(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고정 구멍(142)은 목부(14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목부(144)는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145)을 가질 수 있다. 목부(144)의 내부 표면(145)은 외향 방향(DO)에 대해 근위 뼈 대면 표면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근위 뼈 대면 표면이 뼈와 정렬될 때, 목부(144)의 내부 표면(145)은 내부 표면(145)과 뼈 사이의 연조직을 수용하도록 뼈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근위 고정 구멍(142)은 뼈에 부착될 뼈 고정 판의 구멍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고정 구멍(142)은 (i) 골절술 가이드(100)를 뼈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 및 (ii) 뼈 내의 절단부가 확대된 후에 뼈 고정 판을 뼈에 부착시키는 뼈 앵커(anchor)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구멍을 뼈 내에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적어도 하나, 예컨대 2개의 원위 뼈 고정 구멍(146, 14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146, 148)은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뼈 고정 구멍(142)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146, 148)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전방 몸체 부분(126)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146, 148)을 갖는 실시예에서, 제1 원위 뼈 고정 구멍(146)은 전방 방향(Da)을 따라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14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146, 148)은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138)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는 전방 몸체 부분(126), 근위 아암(130), 원위 아암(132), 상승 레그(135), 및 횡방향 레그(139)를 갖는 단일 몸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몸체 부분(126), 근위 아암(130), 원위 아암(132), 상승 레그(135), 및 횡방향 레그(139)는 서로 일체형이고 모놀리식일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3-D 인쇄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를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형성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100)를 3-D 인쇄하는 비용을 제한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전방 몸체 부분(126)에 부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를 단일 몸체로서 제공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취급을 단순화할 수 있고, 가동 부품의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는 2개 이상의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종래의 가이드에 비해 절단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컴퓨터에서 3-D 컴퓨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CT 또는 MRI 스캔과 같은, 이미징 기계를 사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예컨대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미지로부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정합하는 골절술 가이드(100)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골절술 가이드(100)의 3-D 컴퓨터 모델에 기초하여 골절술 가이드(100)를 3-D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수술 방법(300)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수술 방법의 다양한 단계가 상이한 건강 관리 전문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수술 방법은 서로 별개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하위 방법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방법은 환자의 뼈(300)에 접근하기 위해 환자에 절개부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개 단계(402)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골절술 가이드(100)를 뼈(300) 상으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렬 단계(4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단계(404)는 뼈(300)의 유지 지점(304) 둘레에서 제1 뼈 접촉 영역(118)의 후방 단부(예컨대, 자유 단부)를 덮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단계(404)는 뼈(300)의 후방 리지(302) 둘레에서 제2 뼈 접촉 영역(120)의 후방 단부(예컨대, 자유 단부)를 후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단계(404)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134) 및/또는 홈(114)을 경골 조면(306)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뼈 대면 표면이 뼈(300)와 정렬될 때, 목부(144)의 내부 표면(145)은 내부 표면(145)과 뼈(300) 사이의 연조직을 수용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3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가 정렬된 상태에서, 골절술 가이드(100)는 단계(406)에서 뼈(300)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단계(406)는 골절술 가이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을 통해 뼈 내로 키르쉬너 와이어와 같은 고정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단계(406)는 적어도 하나의 근위 고정 구멍(142)을 통해 뼈(300) 내로 고정 핀(202)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계(406)는 적어도 하나의 원위 고정 구멍을 통해 뼈(300) 내로 고정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단계(406)는 제1 원위 고정 구멍(146)을 통해 뼈(300) 내로 고정 핀(204)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계(406)는 제2 원위 고정 구멍(148)을 통해 뼈(300) 내로 고정 핀(206)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골절술 가이드(100)가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408)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하는 단계(408)는 골절술 가이드(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형광투시법을 위한 x-선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 내로 절단부(307)의 상승 부분(308)(도 15에 표기됨)을 만드는 단계(단계(4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300) 내로 절단부(307)의 횡방향 부분(310)(도 15에 표기됨)을 만드는 단계(단계(412))를 포함한다. 단계(410)는 단계(412)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상승 절단부(308) 및 횡방향 절단부(310)는 각각 톱날(208)과 같은 절단 기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동일한 절단 기구로 또는 상이한 절단 기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톱날(208)은 톱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도시되지 않음), 및 톱으로부터 삽입 방향(Din)을 따라 오프셋된 원위 단부(210)를 가질 수 있다. 톱날(208)은 그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210)까지 세장형일 수 있고, 그의 원위 단부(210)에서 절단 에지(cutting edge)를 가질 수 있다. 톱은 삽입 방향(Din)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톱날(208)을 진동시킬 수 있고, 삽입 방향(Din)을 따라 뼈(300) 내로 절단할 수 있다. 톱날(208)의 깊이는 톱날(208) 상의 깊이 마킹을 사용하여, 톱날(208)에 부착된 멈춤부를 사용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절단 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원위 고정 핀(204, 20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기구의 경로 외부로 구부러질 수 있다. 고정 핀(204, 206)의 굽힘부는 골절술 가이드(100)를 뼈(300)에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방법은, 뼈(300)를 절단한 후에, 골절술 가이드(100)를 제거하는 단계(41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14)는 골절술 가이드(100)를 제거하기 전 또는 후에 적어도 하나의 원위 고정 핀(204, 206)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고정 핀(202)은 선택적으로 제위치에 남겨질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100)를 제거한 후에, 방법은 뼈를 재정렬시키기 위해 뼈 내의 절단부(307)를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는 체중 지지 라인을 재정렬시키도록 확대되어, 무릎 내의 압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다른 정렬 절차가 고려된다. 확대시키는 단계(416)는 끌(chisel) 또는 톱과 같은 절단 기구를 사용하여 절단부(307)를 추가로 확대시켜 뼈(300)의 근위 부분(312)이 뼈의 원위 부분(314)에 대해 피봇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뼈(300)의 근위 및 원위 부분(312, 314)은 절단부(307)에 의해 분리된다. 예를 들어, 절단부(307)의 상승 부분(308) 및 횡방향 부분(310)을 절단할 때, 절단부는 골절술 가이드(100)의 브리지(137) 아래에 놓이는 뼈의 부분을 통해서는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골절술 가이드(100)가 제거된 후에, 절단 기구가 사용되어 절단부(307)의 횡방향 부분(310)을 절단부(307)의 상승 부분(308)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일단 절단이 완료되면, 절단부는 뼈를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300a, 300b)로 분할하고, 제1 뼈 세그먼트(300a)가 제2 뼈 세그먼트(300b)보다 관절에 더 가깝다. 확대시키는 단계(414)는 제1 뼈 세그먼트(300a)를 제2 뼈 세그먼트(300b)에 대해 멀어지게 이동, 예컨대 회전 또는 병진시킴으로써 절단부(307)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307)를 확대시키는 단계는 관절의 관절면의 원하는 교정 각도를 달성하도록 웨지(wedge)(아래에서 논의됨) 또는 다른 기구, 예컨대 견인기(distractor) 기구를 절단부(307)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307)를 확대시킨 후에, 절단부(307)를 확대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단계(418)에서 뼈 고정 판(250)이 뼈(300)의 근위 부분(312) 및 원위 부분(314)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418)는 (고정 핀(202)이 전술된 바와 같이 제위치에 남아있다면) 근위 고정 핀(202) 위로 뼈 고정 판(250)의 고정 구멍(252)을 수용함으로써 뼈 고정 판(250)을 뼈(300)와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뼈 고정 판(250)은 뼈 앵커를 뼈 고정 판(250)을 통해 뼈(300)의 근위 부분(312) 및 원위 부분(314) 내로 삽입함으로써 뼈(300)에 부착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절개부가 폐쇄될 수 있다.
이제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500)가 도시되어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골절술 시술을 위해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특정 환자의 뼈에 정합하도록 맞춤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골절술 가이드(500)는 환자 특이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3차원(3-D)으로 인쇄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단일편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경골, 대퇴골, 비골, 상완골, 척골, 요골, 또는 다른 뼈와 같은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톱날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534) 및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538)(둘 모두 도 20 및 도 21에 표기됨)을 한정한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관절에 인접한 뼈 내로 절단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절단부는 뼈를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제1 뼈 세그먼트가 관절에 더 가깝다. 절단부는 이어서 뼈를 재정렬시키도록 환자의 뼈의 제1 세그먼트를 뼈의 제2 세그먼트에 대해 피봇시킴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는 체중 지지 라인을 재정렬시키도록 확대되어, 무릎 내의 압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다른 정렬 절차가 고려된다. 확대된 절단부는 이어서, 확대된 절단부의 대향측들 상에서 뼈에 부착되도록 제1 뼈 세그먼트로부터 제2 뼈 세그먼트까지 절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골판을 부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가이드(500)는 경골 내에 절단부를 만드는 그의 사용에 대해 기술되고 도시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500)는 내부 표면(502), 및 외향 방향(Do)에 대해 내부 표면(502)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504)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내부 표면(502)은 내향 방향(Di)에 대해 외부 표면(504)으로부터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내향 방향(Di)은 외향 방향(Do)에 반대이다. 내부 표면(502)은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뼈 대면 표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표면(502)의 적어도 일부분은 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뼈 접촉 표면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내부 표면(502)은 뼈의 표면에 정합하도록 윤곽형성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외부 표면(504)은 뼈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부 표면(504)은 실질적으로 볼록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전방 단부(506), 및 후방 방향(Dpo)에 대해 전방 단부(506) 반대편에 있는 후방 단부(508)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전방 단부(506)는 전방 방향(Da)에 대해 후방 단부(508)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전방 방향(Da)과 후방 방향(Dpo)은 서로 반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은 함께 횡방향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전방 단부(506)가 뼈의 전방측에 인접하고 후방 단부(508)가 뼈의 후방측에 인접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골절술 가이드(500)가 달리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은 내향 및 외향 방향들(Din 및 Do) 둘 모두에 수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근위 단부(510), 및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단부(510) 반대편에 있는 원위 단부(512)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근위 단부(510)는 근위 방향(Dpr)에 대해 원위 단부(512)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근위 방향(Dpr)과 원위 방향(Dd)은 서로 반대이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근위 단부(510)가 뼈의 근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고 후방 단부(512)가 뼈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근위 방향(Dpr) 및 원위 방향(Dd)은 내향 방향(Din), 외향 방향(Do),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에 수직일 수 있다.
내부 표면(502) 및 그에 따라 골절술 가이드(500)는 골절술 가이드(500)가 뼈를 따라 위치될 때 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을 갖는다. 각각의 뼈 접촉 영역은 특정 환자의 뼈의 윤곽에 대해 특정하게 크기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그들 사이에 간극(524)을 한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제1 뼈 접촉 영역(5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518)은 제2 뼈 접촉 영역(520)(아래에서 논의됨)보다 전방 단부(506)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뼈 접촉 영역(518)은 전방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518)은 근위 단부(510)와 원위 단부(5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뼈 접촉 영역(518)은 그것이 근위 단부(510)와 원위 단부(512)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제1 뼈 접촉 영역(518)의 적어도 일부분, 최대로 전부는 그것이 뼈에 정합하도록 전방 단부(506)와 후방 단부(508)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제2 뼈 접촉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520)은 제1 뼈 접촉 영역(518)으로부터 후방 방향(Dpo)을 따라 오프셋되어 그들 사이에 간극(524)을 한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뼈 접촉 영역(518)은 제2 뼈 접촉 영역(520)으로부터 전방 방향(Da)을 따라 오프셋되어 그들 사이에 간극(524)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520)은 제1 뼈 접촉 영역(518)보다 후방 단부(508)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뼈 접촉 영역(520)은 후방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520)은 근위 단부(510)와 원위 단부(5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뼈 접촉 영역(520)은 그것이 근위 단부(510)와 원위 단부(512)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제2 뼈 접촉 영역(520)의 적어도 일부분, 최대로 전부는 그것이 뼈에 정합하도록 근위 단부(510)와 원위 단부(512)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오목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뼈 대면 표면은 제3 뼈 접촉 영역(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후방 방향(Dpo)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그것이 후방 방향(Dpo)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세장형일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제1 뼈 접촉 영역(518)과 제2 뼈 접촉 영역(5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제1 뼈 접촉 영역(518)으로부터 적어도 제2 뼈 접촉 영역(520)으로, 그리고 일부 예에서, 제1 뼈 접촉 영역(518)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근위 단부(510)보다 골절술 가이드(100)의 원위 단부(51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제2 뼈 접촉 영역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은 그것이 전방 단부(506)로부터 후방 단부(508)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오목할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제3 뼈 접촉 영역(522)의 후방 단부, 예컨대 자유 단부는 골절술 가이드(100)가 뼈에 부착될 때 뼈의 유지 지점을 후킹하도록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은 하나의 더 큰 뼈 접촉 표면보다 뼈 상에서 더 양호한 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뼈 접촉 영역(518)과 제2 뼈 접촉 영역(520) 사이의 간극(524)은 뼈 돌출부가 제1 뼈 접촉 영역(518)과 제2 뼈 접촉 영역(520) 사이에서 연장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전방 몸체 부분(526),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전방 몸체 부분(526)으로부터 오프셋된 후방 몸체 부분(52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몸체 부분(526)은 전방 단부(50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고, 전방 단부(506)로부터 후방 단부(508)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방 몸체 부분(528)은 후방 단부(50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고, 후방 단부(508)로부터 전방 단부(506)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전방 몸체 부분(526)은 제1 뼈 접촉 영역(518)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몸체 부분(528)은 제2 뼈 접촉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제1 뼈 접촉 영역(518)과 제2 뼈 접촉 영역(520) 사이의 간극(524)을 한정할 수 있다. 간극(524)은 근위 단부(510)로부터 원위 단부(5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간극(524)은 예를 들어 제3 뼈 접촉 영역(522)을 향해 연장되고 제3 뼈 접촉 영역에서 종료될 수 있다. 간극(524)은 간극(524)이 근위 단부(510)에서 개방되도록 근위 단부(510) 내로 연장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간극(524)이 근위 단부(510)에서 폐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간극(524)은 외부 표면(504)을 향해 내부 표면(502) 내로 연장된다. 간극(524)의 적어도 일부분, 예컨대 제1 부분이 외부 표면(5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간극(524)의 적어도 제1 부분이 내부 표면(502) 및 외부 표면(504)에서 개방될 수 있다. 간극(524)의 제1 부분은 근위 단부(510)로부터 원위 단부(5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간극(524)의 제1 부분은 또한 간극(524)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방향(Da)을 따라 간극(524)의 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간극(524)이 외부 표면(504)에서 폐쇄되도록 간극(524)의 제2 부분이 외부 표면(504)에서 종료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간극(524)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방향(Dpo)을 따라 간극(524)의 후방 단부를 향해, 예컨대 제1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또한 간극(524)의 원위 단부로부터 간극(524)의 근위 단부를 향해, 예컨대 제1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간극(524)이 대안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간극(524)의 전부가 외부 표면(504)에서 개방되거나 외부 표면(504)에서 폐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간극(524)의 제1 및 제2 부분은 도시된 것 이외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간극(524)이 내부 표면(502) 및 외부 표면(504)을 통해 연장되는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제1 아암(530), 및 후방 방향(Dpo)에 대해 제1 아암(530)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아암(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530)과 제2 아암(532)은 간극(524)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전방 몸체 부분(526)은 제1 아암(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530)은 제1 뼈 접촉 영역(518)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몸체 부분(528)은 제2 아암(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암(532)은 제2 뼈 접촉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암(532)은 후방 단부(508)와 간극(52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아암(532)은 근위 단부(510)로부터 원위 단부(5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아암(532)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에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533)는 간극(52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에지(533)는 근위 단부(510)로부터 원위 단부(512)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에지(533)는 골절술 가이드(500)가 뼈를 따라 적절하게 위치될 때 뼈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지(533)는 에지(533)가 뼈에 맞닿고 에지(533)와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해 간극(524)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계속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500)는 뼈 내로 상승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100)에 상승 안내 표면이 없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승 절단부는, 예를 들어 슬개건 뒤의 경골 조면 둘레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골절술 가이드(500)가 뼈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이 경골 조면과 정렬되도록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전방 단부(506)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은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상승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축(A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승 방향은 근위 방향(Dpr) 및 횡방향(예컨대,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에 대해 각도 오프셋된다. 예를 들어, 상승 방향은 근위 방향(Dpr)과 횡방향 사이에 있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이 근위 단부(51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전방 방향(D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1 아암(530)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을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상승 홈(514)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은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상승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축(A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은 제2 상승 안내 표면(534)이 근위 단부(51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전방 방향(D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에 대면하여 그들 사이에 상승 홈(514)을 한정할 수 있다. 상승 홈(514)은 뼈 내로 상승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은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의 길이보다 큰 상승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을 갖는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제2 상승 안내 표면(536)을 한정하는 상승 레그(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 레그(535)는 브리지(537)에서 전방 몸체 부분(5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승 방향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승 레그(535)는 전방 몸체 부분(526)과 일체형이고 모놀리식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단부는 전방 몸체 부분(526) 또는 골절술 가이드(5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부착이 없는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상승 홈(514)은 상승 방향에 반대인 하강 방향을 따라 골절술 가이드(5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 홈(514)의 근위 단부가 개방될 수 있고, 상승 홈(516)의 원위 단부가 폐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원위 단부는 하강 방향을 따라 근위 단부로부터 오프셋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승 홈(514)이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종료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단부들 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뼈 내로 횡방향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원위 단부(512)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원위 방향(Do)에 대해 간극(524)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원위 방향(Do)에 대해 제3 뼈 접촉 영역(522)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은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횡방향으로 지칭됨)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축(AT)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승 축(AA)과 횡방향 축(AT)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을 포함하여 그들 사이에 횡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홈(516)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은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축(AT)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에 대면하여 그들 사이에 횡방향 홈(516)을 한정할 수 있다. 횡방향 홈(516)은 뼈 내로 횡방향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절단 기구는 상승 절단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절단 기구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은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의 길이보다 큰 후방 방향(Dpo)을 따른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을 갖는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40)을 한정하는 횡방향 레그(539)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레그(539)는 전방 몸체 부분(526)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 레그(539)는 전방 몸체 부분(526)과 일체형이고 모놀리식일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단부는 전방 몸체 부분(526) 또는 골절술 가이드(5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대한 부착이 없는 자유 단부일 수 있다. 횡방향 홈(516)은 전방 방향(Da)을 따라 골절술 가이드(5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 홈(516)의 후방 단부가 개방될 수 있고, 횡방향 홈(516)의 전방 단부가 폐쇄될 수 있는데, 여기서 후방 단부는 후방 방향(Dpo)을 따라 전방 단부로부터 오프셋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횡방향 홈(516)이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종료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단부들 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횡방향 레그(539)는 골절술 가이드(500)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에지(541)를 가질 수 있다. 에지(541)는 가이드(500)의 최원위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에지(541)는 전방 단부(606)와 후방 단부(508) 사이에서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에지(541)는 골절술 가이드(500)가 뼈를 따라 적절하게 위치될 때 뼈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500)의 적절한 위치설정은 에지(541)가 뼈에 맞닿고 에지(541)와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리지(537)는 상승 홈(514)을 횡방향 홈(51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상승 절단부 및 횡방향 절단부가 뼈 내에 만들어질 때, 브리지(537)는, 상승 절단부와 횡방향 절단부를 결합시키고 브리지(537) 아래에 놓이는 뼈의 세그먼트의 절단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브리지(537)는 상승 절단부를 방해한다. 따라서, 제1 상승 안내 표면(534) 및 그에 따라 상승 절단 홈(514)은 그것이 횡방향 절단 홈(516)과 교차하지 않도록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승 절단부는 골절술 가이드(500)가 상승 절단부를 횡방향 절단부에 결합시키도록 제거된 후에 연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승 절단부를 연장시키는 것은 횡방향 절단부를 연장시키는 것보다 용이할 수 있는데, 이는 상승 절단부가 뼈 내로 연장되는 거리가 횡방향 절단부가 뼈 내로 연장되는 거리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절단을 수용하기 위해,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40)은 후방 방향(Dpo)에 대해 적어도 제1 상승 안내 표면(534)까지,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상승 안내 표면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40)은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의해 교차된다. 제1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538, 540)을 채용하는 실시예에서, 제1 상승 안내 표면(534)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은 횡방향 홈(516)과 교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골절술 가이드(500)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500)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해 그것을 통해, 키르쉬너 와이어와 같은 고정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내부 표면(502) 및 외부 표면(5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 구멍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례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근위 고정 구멍(542)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고정 구멍(542)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근위 단부(510)에 인접하여 제1 아암(53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전방 몸체 부분(526)으로부터 근위 방향(Dpr)을 따라 연장되는 목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고정 구멍(542)은 목부(54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근위 고정 구멍(542)은 뼈에 부착될 뼈 고정 판의 구멍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고정 구멍(542)은 (i) 골절술 가이드(500)를 뼈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 및 (ii) 뼈 내의 절단부가 확대된 후에 뼈 고정 판을 뼈에 부착시키는 뼈 앵커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구멍을 뼈 내에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적어도 하나, 예컨대 2개의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은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뼈 고정 구멍(542)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 및 횡방향 홈(516)에 인접한 위치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은 횡방향 홈(516)으로 개방되는 것과 같이,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을 갖는 실시예에서, 제1 원위 뼈 고정 구멍(546)은 전방 방향(Da)을 따라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54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546, 548)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538)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제1 아암(530), 제2 아암(532), 상승 레그(535), 및 횡방향 레그(539)를 갖는 단일 몸체일 수 있다. 일례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는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3-D 인쇄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를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형성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500)를 3-D 인쇄하는 비용을 제한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서로 부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를 단일 몸체로서 제공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취급을 단순화할 수 있고, 가동 부품의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는 2개 이상의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종래의 가이드에 비해 절단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5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컴퓨터에서 3-D 컴퓨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CT 또는 MRI 스캔과 같은, 이미징 기계를 사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예컨대 복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미지로부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정합하는 골절술 가이드(500)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골절술 가이드(500)의 3-D 컴퓨터 모델에 기초하여 골절술 가이드(500)를 3-D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500)는 뼈 상에서의 가이드(500)의 위치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가이드(500)를 뼈에 대해 위치시킬 때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푸시 위치(push posi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절술 가이드(500)는 근위 및 원위 방향(Dpr 및 Dd)을 따라 가이드(500)의 위치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가이드(500)를 뼈에 대해 위치시킬 때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제1 푸시 위치(5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암(532)은 제1 푸시 위치(531)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푸시 위치(531)는 탭(tab)으로서 한정될 수 있다. 제1 푸시 위치(531)는 제1 푸시 위치(531)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푸시 위치(531)는 가이드(500)의 외부 표면(50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리지는 동심인 원형 또는 타원형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표면(50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표지를 포함하는, 리지 이외의 표지가 고려됨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골절술 가이드(500)는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을 따라 가이드(500)의 위치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가이드(500)를 뼈에 대해 위치시킬 때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제2 푸시 위치(5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푸시 위치(543)는 원위 방향(Dd)에 대해 제1 푸시 위치(531)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2 푸시 위치(543)는 전방 방향(Da)에 대해 제1 푸시 위치(531)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2 푸시 위치(543)는 외향 방향(Do)에 대해 제1 푸시 위치(531)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2 푸시 위치(543)는 탭으로서 한정될 수 있다. 제2 푸시 위치(543)는 제2 푸시 위치(543)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푸시 위치(543)는 가이드(500)의 외부 표면(50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리지는 동심인 원형 또는 타원형 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표면(50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표지를 포함하는, 리지 이외의 표지가 고려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16 내지 도 24의 골절술 가이드(500)를 채용하는 수술 방법이, 몇몇 주목할 만한 차이를 갖고서, 도 9 내지 도 14의 방법의 그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렬 단계(404)에서, 의료 전문가는 (i) 근위 및 원위 방향(Dpr 및 Dd)을 따라 가이드(500)를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한 제1 푸시 위치(531), 및 (ii)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을 따라 가이드(500)를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한 제2 푸시 위치(543)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다. 확인하는 단계(408)에서, 의료 전문가는 에지(533, 541)가 뼈에 맞닿고 에지(533)와 뼈 사이에 또는 에지(541)와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뼈에 정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확대시키는 단계(416)는 끌 또는 톱과 같은 절단 기구를 사용하여, 횡방향 부분보다는, 절단부의 상승 부분을 추가로 확대시켜, 절단부의 상승 부분을 절단부의 횡방향 부분까지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5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술 가이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골절술 시술을 위해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특정 환자의 뼈에 정합하도록 맞춤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골절술 가이드(600)는 환자 특이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3차원(3-D)으로 인쇄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600)는 단일편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경골, 대퇴골, 비골, 상완골, 척골, 요골, 또는 다른 뼈와 같은 뼈 내로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톱날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634) 및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638)(둘 모두 도 29 및 도 30에 표기됨)을 한정한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관절에 인접한 뼈 내로 절단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절단부는 뼈를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제1 뼈 세그먼트가 관절에 더 가깝다. 절단부는 이어서 뼈를 재정렬시키도록 환자의 뼈의 제1 세그먼트를 뼈의 제2 세그먼트에 대해 피봇시킴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는 체중 지지 라인을 재정렬시키도록 확대되어, 무릎 내의 압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다른 정렬 절차가 고려된다. 확대된 절단부는 이어서, 확대된 절단부의 대향측들 상에서 뼈에 부착되도록 제1 뼈 세그먼트로부터 제2 뼈 세그먼트까지 절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골판을 부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가이드(600)는 경골 내에 절단부를 만드는 그의 사용에 대해 기술되고 도시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600)는 내부 표면(602), 및 외향 방향(Do)에 대해 내부 표면(602)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604)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내부 표면(602)은 내향 방향(Di)에 대해 외부 표면(604)으로부터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내향 방향(Di)은 외향 방향(Do)에 반대이다. 내부 표면(602)은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뼈 대면 표면일 수 있다. 내부 표면(602)의 적어도 일부분은 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뼈 접촉 표면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표면(602)은 뼈의 표면에 정합하도록 윤곽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뼈 접촉 영역(618)을 가질 수 있다. 윤곽은 대체로 오목할 수 있거나, 뼈의 표면과 일치하는 임의의 적합한 윤곽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표면(602)은 도 1 내지 도 15 및 도 16 내지 도 24에 대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2개의 뼈 접촉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표면(604)은 뼈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외부 표면(604)은 실질적으로 볼록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전방 단부(606), 및 후방 방향(Dpo)에 대해 전방 단부(606) 반대편에 있는 후방 단부(608)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전방 단부(606)는 전방 방향(Da)에 대해 후방 단부(608)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전방 방향(Da)과 후방 방향(Dpo)은 서로 반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은 함께 횡방향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전방 단부(606)가 뼈의 전방측에 인접하고 후방 단부(608)가 뼈의 후방측에 인접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골절술 가이드(600)가 달리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은 내향 및 외향 방향들(Din 및 Do) 둘 모두에 수직일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근위 단부(610), 및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단부(610) 반대편에 있는 원위 단부(612)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근위 단부(610)는 근위 방향(Dpr)에 대해 원위 단부(612) 반대편에 있는데, 여기서 근위 방향(Dpr)과 원위 방향(Dd)은 서로 반대이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근위 몸체 부분(626), 및 원위 방향(Dd)을 따라 근위 몸체 부분(626)으로부터 오프셋된 원위 몸체 부분(628)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몸체 부분(628)은 내부 표면(602)의 적어도 하나의 뼈 접촉 영역(618)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근위 단부(610)가 뼈의 근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고 후방 단부(612)가 뼈의 원위 단부를 향해 배향되도록 뼈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근위 방향(Dpr) 및 원위 방향(Dd)은 내향 방향(Din), 외향 방향(Do),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에 수직일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600)는 뼈 내로 상승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상승 절단 경로를 따라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100)에 상승 안내 표면이 없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승 절단부는, 예를 들어 슬개건 뒤의 경골 조면 둘레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골절술 가이드(600)는 골절술 가이드(600)가 뼈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이 경골 조면과 정렬되도록 구성(예컨대, 크기설정 및 형상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 각각은 골절술 가이드(600)의 전방 단부(606)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은 근위 방향(Dpr) 및 횡방향(예컨대, 전방 및 후방 방향(Da 및 Dpo))에 대해 각도 오프셋된 상승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승 방향은 근위 방향(Dpr)과 횡방향 사이에 있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은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이 근위 단부(610)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전방 방향(Da)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원위 몸체 부분(628)은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을 한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634)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들 사이에 상승 홈을 한정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뼈 내로 횡방향 절단부를 만들기 위해 횡방향 절단 경로를 따라 절단 기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골절술 가이드(600)의 원위 단부(612)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6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안내 표면(638)은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도록 전방 방향(Da) 및 후방 방향(Dpo)(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으로 횡방향으로 지칭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승 및 횡방향 절단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원위 몸체 부분(628)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638)을 한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638)으로부터 오프셋된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하여 위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들 사이에 횡방향 홈을 한정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골절술 가이드(600)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600)를 뼈에 부착시키기 위해 그것을 통해, 키르쉬너 와이어와 같은 고정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구멍은 골절술 가이드(600)의 내부 표면(602) 및 외부 표면(6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 구멍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례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근위 고정 구멍(642)을 포함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 예컨대 근위 몸체 부분(626)은 원위 몸체 부분(628)으로부터 근위 방향(Dpr)을 따라 연장되는 목부(6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고정 구멍(642)은 목부(64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목부(644)는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645)을 가질 수 있다. 목부(644)의 내부 표면(645)은 외향 방향(DO)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뼈 접촉 표면(618)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뼈 대면 표면(618)이 뼈와 정렬될 때, 목부(644)의 내부 표면(645)은 내부 표면(645)과 뼈 사이의 연조직을 수용하도록 뼈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근위 고정 구멍(642)은 뼈에 부착될 뼈 고정 판의 구멍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고정 구멍(642)은 (i) 골절술 가이드(600)를 뼈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 및 (ii) 뼈 내의 절단부가 확대된 후에 뼈 고정 판을 뼈에 부착시키는 뼈 앵커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구멍을 뼈 내에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은 적어도 하나, 예컨대 2개의 원위 뼈 고정 구멍(646, 64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646, 648)은 원위 방향(Dd)에 대해 근위 뼈 고정 구멍(642)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원위 뼈 고정 구멍(646, 648)은 골절술 가이드(600)를 통해, 예컨대 원위 몸체 부분(62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646, 648)을 갖는 실시예에서, 제1 원위 뼈 고정 구멍(646)은 전방 방향(Da)을 따라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64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원위 뼈 고정 구멍(646, 648)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638)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도 29, 도 30,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골절술 가이드(600)는 일단 절단부가 뼈를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로 분할하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예컨대, 도 34의 300a 및 300b)의 재정렬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정렬 가이드(alignment guide)(6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가이드(650)는 원위 방향(Dd)을 따라 원위 몸체 부분(628)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정렬 가이드(650)는 아암 이외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650)는 가이드(600)의 전방 단부(606)에 인접하여 원위 몸체 부분(62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650)는 골절술 가이드(600)가 뼈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절단 기구가 정렬 가이드(650) 아래에 놓인 위치에서 뼈를 절단하기 위해 정렬 가이드(650)와 뼈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향 방향(Do)에 대해 내부 표면(602)으로부터 오프셋되어, 골절술 가이드(600)를 제거하지 않고서 횡방향 및 상승 절단부가 결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정렬 가이드(650)는 그것을 통해, 내부 및 외부 방향(Di 및 Do)을 따라 연장되는 개구(654)를 한정할 수 있다. 개구(654)는 키르쉬너 와이어, 샤프트, 바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재와 같은 정렬 부재(2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650)는, 골절술 가이드(600)가 제1 뼈 세그먼트(300a)에 부착되고 정렬 부재(212)가 개구(654) 내에 수용될 때, 제1 뼈 세그먼트(300a)가 뼈의 원하는 재정렬을 달성하도록 이동될 때에 정렬 부재(212)가 제2 뼈 세그먼트(300b)의 내부 표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뼈 세그먼트(300b)의 내부 표면은 횡방향 절단부(310)에 의해 형성된 제2 뼈 세그먼트(300b)의 표면일 수 있다. 제1 뼈 세그먼트(300a)의 원하는 정렬은 정렬 부재(212)가 제2 뼈 세그먼트(300b)의 내부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골절술 절단부(307)를 확대시키도록 제1 뼈 세그먼트(300a)를 이동시킴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도 1 내지 도 24의 실시예가 정렬 가이드(65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정렬 가이드를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골절술 가이드(600)는 근위 몸체 부분(626), 원위 몸체 부분(628), 및 정렬 가이드(650)를 갖는 단일 몸체일 수 있다. 일례에서, 골절술 가이드(600)는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3-D 인쇄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를 단일 모놀리식 몸체로서 형성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600)를 3-D 인쇄하는 비용을 제한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600)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서로 부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접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체결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600)를 단일 몸체로서 제공하는 것은 골절술 가이드(600)의 취급을 단순화할 수 있고, 가동 부품의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는 2개 이상의 가동 부품을 포함하는 종래의 가이드에 비해 절단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골절술 가이드(600)를 제조하는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컴퓨터에서 3-D 컴퓨터 모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획득하는 단계는 이미징 기계를 사용하여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미지로부터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정합하는 골절술 가이드(600)의 3-D 컴퓨터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골절술 가이드(600)의 3-D 컴퓨터 모델에 기초하여 골절술 가이드(600)를 3-D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4의 골절술 가이드(600)를 채용하는 수술 방법이, 몇몇 주목할 만한 차이를 갖고서, 도 9 내지 도 14의 방법의 그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절단하는 단계(410, 412)에서, 절단 기구는 상승 및 횡방향 절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해 뼈 내로 절단되도록 정렬 가이드(650) 아래로 통과될 수 있다. 골절술 가이드를 제거하는 단계(414)는 생략될 수 있고, 확대시키는 단계(416)는 골절술 가이드(600)가 뼈(3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정렬 부재(212)가 제2 뼈 세그먼트(300b)의 내부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단계(416)에서 절단부(307)를 확대시키기 위해 견인기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될 수 있다. 절단부(307)를 확대시킨 후에, 견인기 기구는 골절술 가이드(6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300a, 300b)를 원하는 상대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고, 단계(418)에서 판이 부착된다.
이제 도 35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700)가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7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뼈 세그먼트(300a)와 제2 뼈 세그먼트(300b) 사이에서 뼈 내의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700)는 횡방향 절단부(310) 및 상승 절단부(308)가 (예컨대, 위의 도 9의 단계(416)에서) 만들어진 후에 골절술 절단부(30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7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는 제1 단부(702) 및 제2 단부(704)를 갖는다. 스페이서(700)는 손잡이 부분(706) 및 웨지 부분(708)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 부분(706)은 제1 단부(702)로부터 제2 단부(704)를 향해, 예컨대 웨지 부분(70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손잡이 부분(706)은 의료 전문가에 의한 파지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70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웨지 부분(708)은 제2 단부(704)로부터 제1 단부(702)를 향해, 예컨대 손잡이 부분(70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웨지 부분(708)은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있는 제1 뼈 대면 표면(710) 및 제2 뼈 대면 표면(712)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뼈 대면 표면(710, 712)은 그들이 제2 단부(704)를 향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를 향해 테이퍼질(taper) 수 있다. 제1 및 제2 뼈 대면 표면(712)은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을 서로 이격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300a, 300b)의 대향 표면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지 부분(708)은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는 제1 측면(714) 및 제2 측면(716)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714, 716)은 제1 및 제2 뼈 대면 표면들(710, 7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면(716)은 제2 측면(716)이 제1 단부(702)를 향해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제1 측면(714)을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일례에서, 제2 측면(716)은 제2 측면(716)이 제1 단부(702)를 향해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제1 측면(714)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제2 측면(716)의 곡률은 웨지 부분(708)이 뼈(300) 내의 절단부(307) 내에 안착될 때 뼈의 곡률에 정합할 수 있다. 제1 측면(714)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700)는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7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700)는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7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1 멈춤부(7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멈춤부(718)는 웨지 부분(708)의 근위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제1 멈춤부(718)는 제2 방향(D2)을 따른 웨지 부분(708)의 폭보다 큰 제2 방향(D2)을 따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멈춤부(718)는 제2 방향(D2)에 대해, 제1 및 제2 뼈 대면 표면들(710, 712)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둘 모두에 대해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멈춤부(718)는 한 쌍의 견부(shoulder)(720)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견부(720)를 한정할 수 있고, 각각의 견부(720)는 스페이서(700)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 상에 얹혀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견부(720)는 제2 단부(704)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1 방향(D1))으로 향할 수 있다. 제1 측면(714) 및/또는 제1 멈춤부(718)는 뼈(300)를 따라 뼈 고정 판(250)을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제1 멈춤부(718)가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 고정 판(250)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멈춤부(718)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페이서(700)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따른 뼈(300)에 대한 스페이서(7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2 멈춤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멈춤부(722)는 웨지 부분(7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멈춤부(722)는 스페이서(700)의 손잡이(706)와 제2 단부(704) 사이에서 제2 측면(716)을 따라 지지될 수 있다. 제2 멈춤부(722)는 제3 방향(D3)에 대해 제2 측면(716)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멈춤부(722)는 제2 방향(D2)을 따른 웨지 부분(708)의 폭보다 큰 제2 방향(D2)을 따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멈춤부(722)는 제2 방향(D2)에 대해, 제1 및 제2 뼈 대면 표면들(710, 712) 중 적어도 하나, 예컨대 둘 모두에 대해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멈춤부(722)는 한 쌍의 견부(72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견부(724)를 한정할 수 있고, 각각의 견부(724)는 스페이서(700)가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 상에 얹혀 있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견부(724)는 제1 측면(714)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예컨대, 제2 방향(D2))으로 향할 수 있다. 스페이서(700)는, 제2 멈춤부(722)가 뼈(300)에 맞닿을 때, 멈춤부(722)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단부(706) 내로의 스페이서(70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42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800)가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8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사이의 원하는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뼈 세그먼트(300a)와 제2 뼈 세그먼트(300b) 사이에서 뼈 내의 절단부(307)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800)는 횡방향 절단부(310) 및 상승 절단부(308)가 (예컨대, 위의 도 9의 단계(416)에서) 만들어진 후에 골절술 절단부(30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페이서(8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는 제1 단부(802) 및 제2 단부(804)를 갖는다. 스페이서(800)는 제1 방향(D1)에 수직인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오프셋된 제1 웨지 부분(806) 및 제2 웨지 부분(808)을 갖는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웨지 부분(806)은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및 제2 웨지 부분들(806, 808) 사이의 공간을 한정하도록 제2 웨지 부분(80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800)는 제1 및 제2 웨지 부분들(806, 808)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810)를 가질 수 있다.
제1 웨지 부분(806)은 제1 단부(802)로부터 제2 단부(80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웨지 부분(806)은 제1 및 제2 방향(D1 및 D2)에 수직인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는 상부 표면(812) 및 하부 표면(814)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표면(812) 및 하부 표면(814) 중 적어도 하나는 그것이 제2 단부(804)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다른 하나를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제1 웨지 부분(806)은 외부 표면(8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지 부분(806)이 제2 웨지 부분(808)으로부터 이격된 실시예에서, 제1 웨지 부분(806)은 제2 방향(D2)을 따라 외부 표면(816) 반대편에 있는 내부 표면(8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웨지 부분(808)은 제1 단부(802)로부터 제2 단부(80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웨지 부분(808)은 제1 및 제2 방향(D1 및 D2)에 수직인 제3 방향(D3)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있는 상부 표면(824) 및 하부 표면(826)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표면(824) 및 하부 표면(826) 중 적어도 하나는 그것이 제2 단부(804)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다른 하나를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제2 웨지 부분(808)은 외부 표면(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웨지 부분(808)이 제1 웨지 부분(806)으로부터 이격된 실시예에서, 제2 웨지 부분(808)은 제2 방향(D2)을 따라 외부 표면(820) 반대편에 있는 내부 표면(82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800)는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지 부분(806) 및 제2 웨지 부분(808) 중 적어도 하나는 그러한 멈춤부(예컨대, 812a, 814a, 824a, 826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및 제2 웨지 부분들(806, 808) 각각이 그러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및 제2 웨지 부분들(806, 808)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예컨대 한 쌍의 그러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페이서(800)는 제1 뼈 세그먼트(300a)에 맞닿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예컨대, 812a, 824a) 및 제2 뼈 세그먼트(300b)에 맞닿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예컨대, 814a, 826a)를 가질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9는 4개의 멈춤부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스페이서(800)가 멈춤부들 중 하나만큼 적은 것 또는 멈춤부들 중 2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웨지 부분(806)의 상부 표면(812) 및 하부 표면(814) 중 적어도 하나는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표면(812)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면(812)은 뼈 접촉 영역(812b) 및 비-뼈 접촉 영역(812c)을 포함할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12b)은 비-뼈-접촉 영역(812c)과 제2 단부(80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비-뼈-접촉 영역(812c)은 제1 단부(802)와 뼈 접촉 영역(812b)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12b)은 제3 방향(D3)에 대해 비-뼈-접촉 영역(812c)으로부터 내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멈춤부(812a)는 스페이서(800)가 뼈(300) 내의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의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하나에 맞닿도록 구성된 견부를 한정하기 위해 뼈 접촉 영역(812b)으로부터 비-뼈-접촉 영역(812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12a)는 외부 표면(816)과 내부 표면(81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12a)는 그것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하나에 정합하도록 외부 표면(816)과 내부 표면(818) 사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예컨대,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웨지 부분(806)의 하부 표면(814)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표면(814)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면(814)은 뼈 접촉 영역(814b) 및 비-뼈-접촉 영역(814c)을 포함할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14b)은 비-뼈-접촉 영역(814c)과 제2 단부(80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비-뼈-접촉 영역(814c)은 제1 단부(802)와 뼈 접촉 영역(814b)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14b)은 제3 방향(D3)에 대해 비-뼈 접촉 영역(814c)으로부터 내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멈춤부(814a)는 스페이서(800)가 뼈(300) 내의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의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다른 하나에 맞닿도록 구성된 견부를 한정하기 위해 뼈 접촉 영역(814b)으로부터 비-뼈-접촉 영역(814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14a)는 외부 표면(816)과 내부 표면(81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14a)는 그것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다른 하나에 정합하도록 외부 표면(816)과 내부 표면(818) 사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예컨대,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웨지 부분(808)의 상부 표면(824)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2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면(824a)은 뼈 접촉 영역(824b) 및 비-뼈-접촉 영역(824c)을 포함할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24b)은 비-뼈-접촉 영역(824c)과 제2 단부(80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비-뼈-접촉 영역(824c)은 제1 단부(802)와 뼈 접촉 영역(824b)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24b)은 제3 방향(D3)에 대해 비-뼈-접촉 영역(824c)으로부터 내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멈춤부(824a)는 스페이서(800)가 뼈(300) 내의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의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하나에 맞닿도록 구성된 견부를 한정하기 위해 뼈 접촉 영역(824b)으로부터 비-뼈-접촉 영역(824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24a)는 외부 표면(820)과 내부 표면(82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24a)는 그것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하나에 정합하도록 외부 표면(820)과 내부 표면(822) 사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예컨대,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웨지 부분(808)의 하부 표면(826)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26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표면(826)은 제1 방향(D1)을 따른 뼈(300) 내로의 스페이서(800)의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부(826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표면(826)은 뼈 접촉 영역(826b) 및 비-뼈-접촉 영역(826c)을 포함할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26b)은 비-뼈-접촉 영역(826c)과 제2 단부(80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비-뼈-접촉 영역(826c)은 제1 단부(802)와 뼈 접촉 영역(826b)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뼈 접촉 영역(826b)은 제3 방향(D3)에 대해 비-뼈-접촉 영역(826c)으로부터 내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멈춤부(826a)는 스페이서(800)가 뼈(300) 내의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 수용될 때 뼈(300)의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다른 하나에 맞닿도록 구성된 견부를 한정하기 위해 뼈 접촉 영역(826b)으로부터 비-뼈-접촉 영역(826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26a)는 외부 표면(820)과 내부 표면(82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멈춤부(826a)는 그것이 제1 및 제2 뼈 세그먼트들(300a, 300b) 중 다른 하나에 정합하도록 외부 표면(820)과 내부 표면(822) 사이에서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윤곽형성될(예컨대, 만곡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제1 웨지 부분(806)은 제3 방향(D3)을 따라 상부 표면(812)의 뼈 접촉 영역(812b)으로부터 하부 표면(814)의 뼈 접촉 영역(814b)까지의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웨지 부분(808)은 제3 방향(D3)을 따라 상부 표면(824)의 뼈 접촉 영역(824b)으로부터 하부 표면(826)의 뼈 접촉 영역(826b)까지의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높이(H1)는 제1 및 제2 웨지 부분(806, 808)이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서 동일한 간격을 제공하도록 제2 높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스페이서(800)는 관상면의 변형을 교정하도록(즉, 제1 뼈 세그먼트(300a)의 평면 조절)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높이(H1)는 골절술 절단부(307) 내에서 상이한 간격을 제공하도록 제2 높이(H2)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스페이서(800)는 관상면 및 시상면 둘 모두의 변형을 교정하도록(즉, 제1 뼈 세그먼트(300a)의 이중-평면 조절)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810)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제1 웨지 부분(806)으로부터 제2 웨지 부분(80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810)는 제1 단부(802)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웨지 부분(806, 80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넥터(810)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와 커넥터(810) 사이에 공간(828)이 한정되도록 제1 방향(D1)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 각각으로부터 제1 단부(802)를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828)은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가 뼈(300)에 맞닿을 때 뼈 고정 판(250)을 커넥터(810)와 뼈(300) 사이에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제시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중 어느 것도 임의의 특정 특징부, 특성, 단계, 모듈, 또는 블록이 필요하거나 필수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신규한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시스템의 형태에서의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의 발명의 범주 및 사상 내에 속할 바와 같은 그러한 형태 또는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사용된 바와 같은 문맥 내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조건부 언어, 예컨대, 그 중에서도, "할 수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등은 일반적으로, 소정 실시예가 소정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실시예가 소정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음을 전달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포함되는지 또는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수행될 것인지 여부를, 입안자 입력 또는 촉구를 가지고 또는 이를 가짐이 없이,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필연적으로 포함한다는 것, 또는 이들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있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은 동의어이고, 포괄적으로 개방형 방식으로 사용되며, 추가의 요소, 특징부, 작용, 작동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또는"은 그의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어(그리고 그의 배타적인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예를 들어 요소의 목록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이 목록 내의 요소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하도록 한다.

Claims (53)

  1.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osteotomy guide)로서,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으로서, 상기 내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각각은 상기 전방 단부와 상기 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표면은,
    i) 제1 뼈 접촉 영역(bone contacting region); 및
    ii) 제2 뼈 접촉 영역을 한정하고,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1)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까지 연장되고 2)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간극(gap)을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 한정하는, 상기 내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축을 따라 배향되어 상기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transverse cutting path)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transverse guide surface)으로서, 상기 간극으로부터 원위 방향을 따라 오프셋(offset)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승 방향(ascending direction)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축을 따라 배향되어 상기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ascending cutting path)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ascending guide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 방향은 상기 원위 방향 및 상기 횡방향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되고, 상기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하는, 골절술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은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 사이에 상승 홈(ascending groove)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상승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상승 레그(ascending leg)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레그는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홈은 상기 상승 홈의 근위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승 홈의 원위 단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상승 방향에 반대인 하강 방향(descending direction)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은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 사이에 횡방향 홈(transverse groove)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후방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횡방향 레그(transverse leg)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레그는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홈은 상기 횡방향 홈의 후방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횡방향 홈의 전방 단부가 폐쇄되도록, 후방 방향에 반대인 전방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레그는 상기 전방 몸체 부분과 모놀리식(monolithic)인, 골절술 가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뼈 대면 표면(bone facing surface)과 제2 뼈 대면 표면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서로 오프셋되는, 골절술 가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뼈 대면 표면은 제1 뼈 대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원위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골절술 가이드.
  12. 제1항에 있어서, 제1 뼈 대면 표면과 제2 뼈 대면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뼈 대면 표면을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제3 뼈 대면 표면에서 종료되는, 골절술 가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전방 몸체 부분;
    상기 전방 몸체 부분으로부터 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뼈 대면 표면의 적어도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근위 아암(proximal arm); 및
    상기 전방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뼈 대면 표면의 적어도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원위 아암(distal arm)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아암과 원위 아암은 상기 간극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골절술 가이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상기 횡방향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지나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골절술 가이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제1 아암 및 상기 횡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상기 간극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골절술 가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골절술 가이드가 상기 뼈를 따라 적절히 위치될 때 상기 뼈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에지(edge)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는 상기 에지가 상기 뼈에 맞닿고 상기 에지와 상기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방향 및 상기 원위 방향에 반대인 근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1 푸시 위치(push position)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2 푸시 위치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21.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로서,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상기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상기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으로서, 상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뼈에 대면하도록 윤곽형성되는(contoured), 상기 내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으로서, 상기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횡방향 홈을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 사이에 한정하여 횡방향 절단 경로를 한정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제2 상승 안내 표면으로서, 상승 방향을 따른 상승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승 홈을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 사이에 한정하여 상승 절단 경로를 한정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하는, 골절술 가이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전방 몸체 부분; 및
    상기 전방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상승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상승 레그로서,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상승 레그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홈은 상기 상승 홈의 근위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승 홈의 원위 단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상승 방향에 반대인 하강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24. 제21항에 있어서,
    전방 몸체 부분; 및
    상기 전방 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후방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횡방향 레그로서,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횡방향 레그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홈은 상기 횡방향 홈의 후방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횡방향 홈의 전방 단부가 폐쇄되도록 전방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레그는 상기 전방 몸체 부분과 모놀리식인, 골절술 가이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홈은 상기 횡방향에 대해 상기 상승 홈을 지나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홈은 상기 상승 홈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골절술 가이드.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면은,
    제1 뼈 접촉 영역;
    제2 뼈 접촉 영역으로서,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 간극을 한정하는,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및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과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뼈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전방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뼈 접촉 영역에서 종료되는, 골절술 가이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원위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근위 단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뼈 접촉 영역에서 종료되는, 골절술 가이드.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전방 몸체 부분;
    상기 전방 몸체 부분으로부터 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의 적어도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근위 아암; 및
    상기 전방 몸체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의 적어도 후방 부분을 한정하는 원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근위 아암과 원위 아암은 상기 간극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골절술 가이드.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제1 아암 및 상기 횡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상기 간극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골절술 가이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골절술 가이드가 상기 뼈를 따라 적절히 위치될 때 상기 뼈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는 상기 에지가 상기 뼈에 맞닿고 상기 에지와 상기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
  35. 제21항에 있어서, 원위 방향 및 상기 원위 방향에 반대인 근위 방향을 따라 상기 뼈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1 푸시 위치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뼈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2 푸시 위치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3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뼈를 제1 뼈 세그먼트(bone segment) 및 제2 뼈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해 상기 뼈 내의 골절술 절단부(osteotomy cut)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뼈 세그먼트는 관절의 관절면(articular surface)을 한정하고;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외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하는 개구를 한정하는 정렬 가이드(alignment guide)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뼈 세그먼트가 상기 뼈의 원하는 재정렬로 조절될 때 상기 골절술 절단부 내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뼈 세그먼트의 내부 표면에 맞닿는 정렬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
  38. 뼈의 절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로서,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뼈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표면 및 외부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표면 반대편에 있는 외부 표면으로서, 상기 내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각각은 상기 후방 단부와 상기 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표면은,
    i) 제1 뼈 접촉 영역;
    ii) 제2 뼈 접촉 영역으로서,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표면을 향해 연장되는 간극을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 한정하는,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및
    iii)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제3 뼈 접촉 영역을 한정하는, 상기 내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 및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을 따른 횡방향 축을 따라 배향되어 상기 뼈 내로의 횡방향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뼈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뼈 접촉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뼈 접촉 영역까지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승 방향을 따른 상승 축을 따라 배향되어 상기 뼈 내로의 상승 절단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승 축과 횡방향 축은 서로 교차하는, 골절술 가이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승 안내 표면은 제1 상승 안내 표면 및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은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1 상승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 사이에 상승 홈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전방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상승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상승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레그는 상기 제2 상승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홈은 상기 상승 홈의 근위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승 홈의 원위 단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상승 방향에 반대인 하강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안내 표면은 제1 횡방향 안내 표면 및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은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제1 횡방향 안내 표면과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 사이에 횡방향 홈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전방 몸체 부분, 및 상기 전방 몸체 부분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후방 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횡방향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레그는 상기 제2 횡방향 안내 표면을 한정하는, 골절술 가이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홈은 상기 횡방향 홈의 후방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횡방향 홈의 전방 단부가 폐쇄되도록, 후방 방향에 반대인 전방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 내로 연장되는, 골절술 가이드.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레그는 상기 전방 몸체 부분과 모놀리식인, 골절술 가이드.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전방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되고 제3 뼈 대면 표면에서 종료되는, 골절술 가이드.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원위 방향을 따라 상기 골절술 가이드의 근위 단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뼈 접촉 영역에서 종료되는, 골절술 가이드.
  5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골절술 가이드는 제1 아암 및 상기 횡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상기 간극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골절술 가이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골절술 가이드가 상기 뼈를 따라 적절히 위치될 때 상기 뼈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는 상기 에지가 상기 뼈에 맞닿고 상기 에지와 상기 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되는, 골절술 가이드.
  52. 제38항에 있어서, 원위 방향 및 상기 원위 방향에 반대인 근위 방향을 따라 상기 뼈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1 푸시 위치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5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뼈 상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제2 푸시 위치를 포함하는, 골절술 가이드.
KR1020217036574A 2019-04-12 2019-08-23 골절술 가이드 KR20210149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2425 WO2020206674A1 (en) 2019-04-12 2019-04-12 Osteotomy guide
CNPCT/CN2019/082425 2019-04-12
PCT/CN2019/102153 WO2020206902A1 (en) 2019-04-12 2019-08-23 Osteotomy g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827A true KR20210149827A (ko) 2021-12-09

Family

ID=72750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70A KR20210149825A (ko) 2019-04-12 2019-04-12 골절술 가이드
KR1020217036574A KR20210149827A (ko) 2019-04-12 2019-08-23 골절술 가이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70A KR20210149825A (ko) 2019-04-12 2019-04-12 골절술 가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167992A1 (ko)
EP (2) EP3952758A4 (ko)
JP (2) JP7297926B2 (ko)
KR (2) KR20210149825A (ko)
CN (2) CN114206237B (ko)
WO (2) WO20202066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455B2 (ja) * 1992-03-13 2000-10-16 富久 腰野 骨切除部の固定および癒合促進用くさび状スペーサ材料
GB0219342D0 (en) 2002-08-20 2002-09-25 Depuy Int Ltd A guide block for use in surgery
US7309339B2 (en) * 2003-02-04 2007-12-18 Howmedica Osteonics Corp. Apparatus for aligning an instrument during a surgical procedure
WO2006086476A2 (en) 2005-02-08 2006-08-17 Ibalance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wedge-like opening in a bone for an open wedge osteotomy
US8241292B2 (en) * 2006-06-30 2012-08-14 Howmedica Osteonics Corp. High tibial osteotomy system
ES2839091T3 (es) * 2007-09-30 2021-07-05 Depuy Products Inc Sierra de hueso ortopédica con guía integral
GB0913674D0 (en) 2009-08-06 2009-09-16 Depuy Ireland Surgical instrument and system of surgical instrument
KR101687926B1 (ko) * 2013-11-03 2016-12-19 리오스 메디칼 아게 절골술 임플란트
US10282488B2 (en) 2014-04-25 2019-05-07 Biomet Manufacturing, Llc HTO guide with optional guided ACL/PCL tunnels
US9833245B2 (en) * 2014-09-29 2017-12-05 Biomet Sports Medicine, Llc Tibial tubercule osteotomy
EP3217893B1 (en) 2014-11-13 2019-11-06 Episurf IP-Management AB Surgical kit for repair of articular surfaces in the talocrural joint including surgical saw guide
CN104825214B (zh) * 2015-05-22 2017-12-19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截骨定位导向器
CN104825215B (zh) * 2015-05-22 2017-03-15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截骨导板
CN105193475B (zh) * 2015-08-18 2017-07-07 长沙市第三医院 个体化截骨导板套件及其设计方法
CN205359552U (zh) * 2015-12-11 2016-07-06 陈俊名 一种高位胫骨截骨手术器械
CN205339051U (zh) * 2016-01-25 2016-06-29 上海昕健医疗技术有限公司 截骨引导件
CA2969998A1 (en) * 2016-06-17 2017-12-17 Socovar, L.P. Limb sparing in mammals using patient-specific endoprostheses and cutting guides
TWI638634B (zh) 2016-08-19 2018-10-21 愛派司生技股份有限公司 截骨手術器械
EP3400888B1 (en) * 2016-08-19 2020-05-13 A Plus Biotechnology Company Limited Surgical device for osteotomy
CN207532417U (zh) * 2017-05-18 2018-06-26 聂宇 胫骨单髁截骨装置
CN107320153B (zh) 2017-08-17 2023-11-07 苏州中科生物医用材料有限公司 一种胫骨内侧高位截骨术辅助工具
FR3070249B1 (fr) * 2017-08-22 2023-01-27 Newclip Int Dispositif chirurgical de guidage, pour assister une technique d'osteotomie d'ouverture
TWI638633B (zh) * 2017-11-22 2018-10-21 愛派司生技股份有限公司 具體外瞄準器之截骨手術器械
TWI655926B (zh) * 2018-05-25 2019-04-11 光原科技股份有限公司 截骨手術治具
CN109512484B (zh) * 2018-09-20 2021-03-16 上海昕健医疗技术有限公司 胫骨矫形截骨引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83726B2 (ja) 2023-11-20
WO2020206902A1 (en) 2020-10-15
CN114206237B (zh) 2024-05-03
EP3952758A4 (en) 2022-12-07
CN114206238A (zh) 2022-03-18
CN114206237A (zh) 2022-03-18
EP3952758A1 (en) 2022-02-16
KR20210149825A (ko) 2021-12-09
JP2022528939A (ja) 2022-06-16
EP3952757A4 (en) 2023-01-04
JP2022530325A (ja) 2022-06-29
JP7297926B2 (ja) 2023-06-26
WO2020206674A1 (en) 2020-10-15
US20220167992A1 (en) 2022-06-02
EP3952757A1 (en) 2022-02-16
US20220211388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732B2 (en) Tibial guides, tools and techniques for resecting the tibial plateau
US11696767B2 (en) Alignment guides, cut guid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US11026699B2 (en) Tibial tubercule osteotomy
CN107753088B (zh) 一种截骨手术器械
US11980373B2 (en) Surgical assembly, stabilisation plate and methods
EP3096694B1 (en) Skin-referencing surgical guides
US10251654B2 (en) Customized patient-specific surgical instrument with metallic insert
KR102140052B1 (ko) 체외 정렬 컴포넌트를 구비한 골절술 디바이스
US20160374698A1 (en) Patient specific soft tissue protectors and retractors
JP6792595B2 (ja) 骨切り術器械
KR20210149827A (ko) 골절술 가이드
CN115474986A (zh) 截骨导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