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199A -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199A
KR20210148199A KR1020217033947A KR20217033947A KR20210148199A KR 20210148199 A KR20210148199 A KR 20210148199A KR 1020217033947 A KR1020217033947 A KR 1020217033947A KR 20217033947 A KR20217033947 A KR 20217033947A KR 20210148199 A KR20210148199 A KR 2021014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resin composition
polyester resin
thermoplast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시미즈
다쿠야 시모하라이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7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mixed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interpenetrating networ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20∼35 질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 5∼12 질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 1∼6 질량부, 섬유계 강화재(F) 45∼60 질량부 및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 0.05∼2 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A), (B), (C), (D), (E) 및 (F) 성분의 합계가 100 질량부인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고강성(굽힘 탄성률이 30 ㎬를 초과함), 고강도로 강화재의 부유 등의 외관 불량이 적고, 불균일이 없는 텍스처 외관의 성형품을 넓은 성형 조건으로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섬유계 강화재를 함유하는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고강성, 고강도이면서 성형품의 섬유계 강화재의 부유 등에 의한 외관 불량이 적고, 또한 불균일이 없이 균일한 텍스처 외관이나 경면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가정 잡화품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리 섬유 등의 무기 강화재로 강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강성, 강도 및 내열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하며, 특히 강성에 관해서는 무기 강화재의 첨가량에 따라 향상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리 섬유 등의 무기 강화재의 첨가량이 많아지면, 무기 강화재가 성형품의 표면에 부유하기 쉬워져, 표면 광택이 요구되는 성형품에 있어서는, 표면 광택 저하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무광택 표면의 성형품에 있어서는, 텍스처 외관 불량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결정화 속도가 빠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성형 시의 결정화에 따른, 금형에의 전사성이 나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외관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한편, 양호한 텍스처 외관을 얻는 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아크릴계 에스테르 고무형 중합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비닐 중합체를 그라프트한 공중합체를 블렌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고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단순히 블렌드하는 것만으로는 양호하게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텍스처 전사성이 한결같이 나빠지는 텍스처 불균일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2의 방법은, 이 텍스처 불균일 억제에는 효과가 있지만, 앞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은 기계적 특성, 유동성이 낮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예컨대 특허문헌 3, 4)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서는, 높은 기계적 강도나 고강성을 얻기 위해 충전량을 증량해 가면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배합량이 다량인 것이 필요하기 때문인지, 성형 안정성이나 성형 사이클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5가 제안되었지만, 고강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강성이 부족하고, 강성을 높이고자 강화재를 증량하면 외관이 저하하며, 게다가 성형 조건의 폭이 매우 좁아 안정적으로 양품을 얻기 어려운 것 등의 결점이 인정되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최근, 성형품의 박육화·장척화가 진행되고 있어, 추가적인 고강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외관은 지금까지와 동등 이상의 품질이 요구되고 있어, 이들의 품질 밸런스를 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특허문헌 6과 같이, 굽힘 탄성률이 20 ㎬를 초과하는 재료의 제안도 있지만, 30 ㎬를 초과하는 것 같은 초고강성 또한 외관이 좋은 폴리에스테르 재료는,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5541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403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7-9200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20925호 공보 특허문헌 5: 국제 공개 제2015/008831호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17-39878호 공보
본 발명은 고강성(굽힘 탄성률이 30 ㎬를 초과함), 고강도이면서 성형품의 무기 강화재의 부유 등에 의한 외관 불량 및 휨 변형이 적고, 또한 불균일이 없이 균일한 텍스처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양호한 성형 사이클을 확보할 수 있는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구성과 특성을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수지를 적정량 함유하고, 각 성분의 비율을 적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20∼35 질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 5∼12 질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 1∼6 질량부, 섬유계 강화재(F) 45∼60 질량부 및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 0.05∼2 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A), (B), (C), (D), (E) 및 (F) 성분의 합계가 100 질량부인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요건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굽힘 탄성률이 30 ㎬를 초과한다.
(2)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구해지는 강온 결정화 온도를 TC2(℃)로 할 때, TC2가 165℃ 이상 190℃ 미만이다.
[2] 섬유계 강화재(F)가, 섬유 단면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가 1.3∼8인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 및 탄소 섬유(F-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가,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가, (C)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이소프탈산 10∼40 몰%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가,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가, (D)를 구성하는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네오펜틸글리콜 20∼60 몰%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표면 텍스처 외관을 갖는 성형품.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계 강화재가 다량으로 배합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도, 금형 내에서의 수지 조성물의 고화(결정화) 속도(TC2가 대체 척도가 됨)를 특정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성형품 표면의 섬유계 강화재의 부유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품의 외관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섬유계 강화재를 특정한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성형 사이클의 대폭적인 증가를 가져오는 일없이, 고강도·고강성이면서 양호한 경면 외관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데다가, 텍스처가 있는 성형품에 관해서, 칠흑감이 있는 저휘도(글로스)이며 또한 텍스처 불균일이 없는, 매우 의장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함유량은 질량부로 기재하며, (A), (B), (C), (D), (E) 및 (F) 성분의 합계를 100 질량부로 하였을 때의 질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의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주요 성분인 수지이다.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가장 함유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테레프탈산과 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호모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성형성, 결정성, 표면 광택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다른 성분을 5 몰% 정도까지 공중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에 이용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의 분자량의 척도로서는, 환원 점도(0.1 g의 샘플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6/4)의 혼합 용매 25 ㎖에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가, 0.5∼0.8 ㎗/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7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7 ㎗/g의 범위이다. 0.5 ㎗/g 미만의 경우는, 수지의 터프니스성이 저하하여,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음으로써 버(burr)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0.8 ㎗/g을 초과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유동성이 저하하는 영향으로, 텍스처 성형품에 대하여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양호한 텍스처 외관을 얻기 어려워지는(성형 조건폭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의 함유량은, 20∼35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0∼3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7 질량부이다. 이 범위 내에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를 배합함으로써, 각종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는, 기본적으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의 호모 중합체이다. 또한, 각종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다른 성분을 5 몰% 정도까지 공중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에 이용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중합 시에 에틸렌글리콜이 축합하여 생성된 디에틸렌글리콜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의 분자량의 척도로서는, 환원 점도(0.1 g의 샘플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6/4)의 혼합 용매 25 ㎖에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가 0.4∼1.0 ㎗/g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9 ㎗/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4 ㎗/g 미만에서는, 수지의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1.0 ㎗/g을 초과하면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의 함유량은, 1∼1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3∼8 질량부이다. 이 범위 내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를 배합함으로써 각종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는,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 구성하는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1,4-부탄디올이 80 몰% 이상 또한, 테레프탈산과 1,4-부탄디올의 합계가 120∼190 몰%를 차지하는 수지이다.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이소프탈산이다. 이 경우,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이소프탈산의 공중합 비율은 10∼40 몰%가 바람직하고, 20∼40 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 비율이 10 몰% 미만에서는, 금형에의 전사성이 뒤떨어져, 충분한 외관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공중합량이 40 몰%를 초과하면, 성형 사이클의 저하, 이형성의 저하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의 분자량의 척도로서는, 구체적인 공중합 조성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환원 점도(0.1 g의 샘플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6/4)의 혼합 용매 25 ㎖에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가 0.4∼1.5 ㎗/g인 것이 바람직하고, 0.4∼1.3 ㎗/g이 보다 바람직하다. 0.4 ㎗/g 미만에서는 터프니스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1.5 ㎗/g을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의 함유량은, 1∼1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8 질량부이다. 1 질량부 미만이면, 섬유계 강화재의 부유나 금형 전사 불량에 의한 외관 불량이 눈에 띄게 되고, 10 질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외관은 양호해지지만, 성형 사이클이 길어져 버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는,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 구성하는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에틸렌글리콜이 40 몰% 이상 또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합계가 80∼180 몰%를 차지하는 수지이다.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고, 비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으로서, 1,4-부탄디올은 20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각종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네오펜틸글리콜 및 이소프탈산의 병용이다.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를 구성하는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네오펜틸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20∼60 몰%가 바람직하고, 25∼50 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이소프탈산의 공중합 비율은 20∼60 몰%가 바람직하고, 25∼50 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의 분자량의 척도로서는, 구체적인 공중합 조성에 따라 약간 다르지만, 환원 점도(0.1 g의 샘플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6/4)의 혼합 용매 25 ㎖에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가 0.4∼1.5 ㎗/g인 것이 바람직하고, 0.4∼1.3 ㎗/g이 보다 바람직하다. 0.4 ㎗/g 미만에서는 터프니스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1.5 ㎗/g을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의 함유량은, 5∼12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6∼11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11 질량부이다. 5 질량부 미만이면, 섬유계 강화재의 부유에 의한 외관 불량이 눈에 띄게 되고, 12 질량부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외관은 양호해지지만, 성형 사이클이 길어져 버린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 중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제법, 즉, 염화메틸렌 등의 용제 중에서 공지의 산수용체, 분자량 조정제의 존재 하, 2가 페놀과 포스겐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반응 또는 2가 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와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2가 페놀로서는 비스페놀류가 있고, 특히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즉 비스페놀 A가 있다. 또한, 비스페놀 A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2가 페놀로 치환한 것이어도 좋다. 비스페놀 A 이외의 2가 페놀로서는, 예컨대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알칸과 같은 화합물이나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할로겐화비스페놀류를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2가 페놀을 1종 이용한 호모폴리머 또는 2종 이상 이용한 코폴리머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는, 폴리카보네이트만을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20 질량% 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이외의 성분(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공중합한 수지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는, 특히 고유동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300℃, 하중 1.2 ㎏에서 측정한 멜트 볼륨 레이트(단위: ㎤/10 min)가 20∼100인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9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90이다. 20 미만의 것을 이용하면 유동성의 대폭적인 저하를 초래하여, 스트랜드 안정성이 저하하거나, 성형성이 악화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멜트 볼륨 레이트가 100 초과에서는,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음으로써 물성 저하를 초래하거나,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의 함유량은, 1∼6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이다. 1 질량부 미만이면, 텍스처 외관에 대한 개선 효과가 적고, 6 질량부를 초과하면 결정성의 저하에 의한 성형 사이클의 악화나, 유동성의 저하에 의한 외관 불량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계 강화재(F)로서는, 섬유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지르코니아 섬유, 금속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리 섬유,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로서는, 평균 섬유 직경 4∼20 ㎛ 정도이며, 컷트 길이 30∼150 ㎛ 정도의 유리 단섬유인 밀드 파이버, 평균 섬유 직경 1∼20 ㎛ 정도이며, 섬유 길이 1∼20 ㎜ 정도로 절단된 촙드 스트랜드형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 단면 및 비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원형 단면 형상의 유리 섬유로서는, 평균 섬유 직경이 4∼20 ㎛ 정도, 컷트 길이가 2∼6 ㎜ 정도이며, 극히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원형 단면의 유리 섬유로서는, 섬유 길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대략 타원형, 대략 장원형, 대략 고치형인 것도 포함하고, 편평도가 1.3∼8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평도란, 유리 섬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외접하는 최소 면적의 직사각형을 상정하여, 이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를 장직경으로 하고, 단변의 길이를 단직경으로 하였을 때의, 장직경/단직경의 비이다. 유리 섬유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직경이 1∼20 ㎛, 장직경 2∼100 ㎛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섬유 직경이 3∼10 ㎛이며, 또한 인장 강도 3.0 ㎬ 이상의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제조 방법에 관해서도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면 제한은 없지만, 기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AN계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의 강도로서 4.5 ㎬ 이상, 섬유 직경이 4.5∼7.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혼련 가공을 행하는 데 있어서, 탄소 섬유는 커플링제, 집속제로 처리된 섬유 다발을 3∼8 ㎜로 컷트한 촙드 스트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의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6.0 ㎬ 이하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섬유계 강화재(F)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섬유계 강화재(F)는,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이 경우, 섬유계 강화재(F)의 합계량을 100 질량%로 하면, 유리 섬유가 10∼50 질량%, 탄소 섬유가 5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를 병용하는 경우, 유리 섬유로서 편평 단면 유리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섬유계 강화재(F)는, 외관, 탄성률의 관점에서 섬유 단면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가 1.3∼8인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와, 강성의 관점에서 탄소 섬유(F-2)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이 경우, 섬유계 강화재(F)의 합계량을 100 질량%로 하면,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가 10∼50 질량%, 탄소 섬유(F-2)가 5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가 15∼50 질량%, 탄소 섬유(F-2)가 50∼85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가 30∼50 질량%, 탄소 섬유(F-2)가 50∼70 질량%이다.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평균 섬유 길이는 전자 현미경 관찰로 측정할 수 있다.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는, 유기 실란계 화합물, 유기 티탄계 화합물, 유기 보란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등의, 종래 공지의 커플링제로 미리 처리를 해 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목적에 따라, 또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섬유계 강화재(F) 이외의 무기 강화재를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운모, 규회석, 침상 규회석, 유리 플레이크, 유리 비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공지의 커플링제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섬유계 강화재(F) 이외의 무기 강화재를 병용한 경우,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생각할 때, 섬유계 강화재(F)와 그 이외의 무기 강화재를 합한 양을 섬유계 강화재(F)의 함유량으로 한다. 섬유계 강화재(F)와 그 이외의 무기 강화재를 병용하는 경우, 섬유계 강화재(F)는 50 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무기 강화재로서는, 큰 핵제 효과를 발현하는(예컨대 탈크와 같은) 것은, 소량의 첨가라도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하고 있는 재료의 강온 결정화 온도(TC2)의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계 강화재(F)의 함유량은, 강성·강도·외관의 관점에서 45∼6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50∼6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섬유계 강화재(F)의 합계량을 100 질량%로 하면,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 10∼50 질량%, 탄소 섬유(F-2) 50∼90 질량%로 함으로써,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샤르피 충격 강도를 10 kJ/㎡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계 강화재(F)를 이 구성비로 함으로써, 높은 기계 특성을 가지면서, 양호한 외관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란, 그 이름대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방지하는 안정제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끼리의 얼로이 등에서는, 제조 시의 조건을 어느 정도 적정화하고자 하여도, 열이력이 가해짐으로써 에스테르 교환은 적잖이 발생하고 있다. 그 정도가 매우 커지면, 얼로이에 의해 기대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간다.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교환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이 경우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결정성이 크게 저하하여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G)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특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적절한 결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촉매 실활 효과를 갖는 인계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주식회사 ADEKA 제조 「아데카 스탭 AX-71」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의 첨가(함유)량은, 0.05∼2 질량부이고, 0.1∼1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0.05 질량부 미만의 경우는, 요구하는 에스테르 교환 방지 성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반대로 2 질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여도 그 효과의 향상은 그다지 인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가스 등을 늘리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의 구성을 가지며, 섬유계 강화재(F)를 45∼60 질량부 함유하기 때문에,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굽힘 탄성률이 30 ㎬를 초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구해지는 강온 결정화 온도를 TC2라고 할 때, 이 값이 165℃ 이상 190℃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C2란,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하고, 그 온도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속도로 100℃까지 강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서모그램의 결정화 피크의 탑온도이다. TC2가 190℃ 이상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가 빨라져 금형 내에서의 결정화가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섬유계 강화재를 많이 포함하는 조성에서는 사출 압력의 전파 속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되어, 사출물과 금형의 밀착이 불충분해지는 것이나 결정화 수축의 영향에 의해, 섬유계 강화재가 성형품 표면에서 눈에 띄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나빠져 버린다. 그 경우, 금형 온도를 120∼130℃로 고온으로 하여 성형품의 고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이 생각되는데, 이 방법에서는 금형 내에서 사출 압력이 높은 중심 부분에서는 표면 광택, 외관이 개선되지만, 사출 압력이 가해지기 어려운 말단 부분에서는, 섬유계 강화재의 부유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균일하게 양호한 외관을 얻기 어렵다. 또한 금형으로부터 추출된 후의 성형품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성형품의 휘어짐이 커져 버린다.
반대로, TC2가 165℃ 미만인 경우는, 결정화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져, 결정화가 늦기 때문에 금형에의 달라붙음 등에 의한 이형 불량이 발생하거나, 돌출 시에 변형이 일어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성형 시의 압력에 의해 텍스처의 더욱 깊숙이까지 수지가 들어가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금형 내의 수지의 수축 시나 이형 시에 텍스처가 어긋나거나 함으로써 텍스처의 깊이가 불균일해지기 쉬워져, 양호한 텍스처 외관을 얻기 어렵게 되어 간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이들 성형 시의 염려점을 감안하여, 알맞은 TC2가 되도록 조정을 실시한 것이기 때문에, 금형 온도가 100℃ 이하여도 양호한 외관과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TC2의 조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의 함유량의 조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수축률이나 이형성 등에도 크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들 조정으로 TC2를 목표의 범위로 하여도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는 성형 조건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호한 외관이 얻어져도, 이형성이 악화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TC2를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의 특정한 함유량으로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는 성형 조건폭이 매우 넓어, 타특성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성형이 가능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질량% 중에, 섬유계 강화재(F)를 50 질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섬유 강화재의 부유가 매우 생기기 쉬운 조성에 있어서도,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의 배합 효과에 의해 넓은 성형 조건폭으로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금형 온도 100℃ 정도로 성형하면, 폭넓은 사출 속도, 폭넓은 성형 조건으로 양호한 표면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텍스처 가공을 실시한 금형에 대하여, 매우 칠흑감이 있는, 텍스처 불균일이 없이 균일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으로서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공지의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안료 등의 착색제, 이형제, 내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가소제, 변성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첨가제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100 질량%로 하였을 때, 합계로 5 질량%까지 함유시킬 수 있다. 즉,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A), (B), (C), (D), (E), (F) 및 (G)의 합계는 95∼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로서는, 장쇄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나 금속염, 아마이드계 화합물,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장쇄 지방산으로서는, 특히 탄소수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베헨산, 몬탄산 등을 들 수 있고, 부분적 또는 전체 카르복실산이, 모노글리콜이나 폴리글리콜에 의해 에스테르화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금속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아마이드계 화합물로서는, 에틸렌비스테레프탈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형제는, 단독이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각 성분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안정제나 안료 등을 혼합하고,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용융 혼련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의 어떤 방법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가압 니더, 밴버리 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용융 혼련 조건으로서는, 이축 압출기에서는 실린더 온도는 240∼290℃, 혼련 시간은 2∼15분이다. 단, 각 성분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켜, 분산 불량 응집 이물수가 없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혼련 장치의 메인 피드 위치로부터 다이스까지의 배럴의 길이를 100으로 하였을 때, 최상류의 메인 피드를 혼련 개시 위치로서 0으로 한 경우, 유리 섬유 등의 섬유계 강화재의 표준적인 공급 방법인 50∼80의 배럴 위치로부터의 사이드 피드 공급에 의해 1개소의 니딩 존에서만 용융 혼련하는 것이 아니라, 탄소 섬유(F2)를, 보다 상류측의 30∼45의 배럴 위치로부터 사이드 피드 공급하여, 2개소 이상의 니딩 존에서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값은, 이하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환원 점도
0.1 g의 샘플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질량비 6/4)의 혼합 용매 25 ㎖에 용해하고, 우베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30℃에서 측정하였다.(단위: ㎗/g)
(2) 강온 결정화 온도(TC2)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하고, 그 온도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속도로 100℃까지 강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서모그램의 결정화 피크의 탑온도로 구하였다.
(3) 성형품 외관
실린더 온도 275℃, 금형 온도 100℃에서, 100 ㎜×100 ㎜×3 ㎜의 성형품을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할 때, 충전 시간이 1초가 되는 사출 속도 범위에서 성형한 성형품의 경면 및 텍스처 외관을,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였다. 텍스처는 깊이 15 ㎛의 새틴 피니시형으로 텍스처 마무리된 금형을 이용하였다. 「○」, 「△」이면, 특별히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 표면에 유리 섬유 등의 부유나 싱크 마크에 의한 외관 불량이 없고, 또한 텍스처 외관도 양호
△: 일부(특히 성형품의 말단 부분 등)에, 약간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텍스처의 어긋남이 발생하였으며, 각도를 바꾸어 관찰하면 희게 보이거나 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 성형품 전체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였다
(4) 이형성
상기 (3)의 조건에서 성형을 실시할 때, 사출 공정 종료 후의 냉각 시간을 5초로 설정하였을 때의 이형성으로 판정을 실시하였다(토탈 성형 사이클은 17초). 「○」, 「△」이면, 특별히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 이형도 문제없고, 연속 성형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 수 샷에 1회 이형 불량이 발생하였지만, 연속 성형은 가능
×: 매샷 이형 불량이 발생하여, 연속 성형이 불가능
(5) 굽힘 강도, 굽힘 탄성률
ISO-17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실린더 온도 270℃, 금형 온도 100℃의 조건에서 사출 성형하였다.
(6) 샤르피 충격 강도
ISO-179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은, 실린더 온도 270℃, 금형 온도 100℃의 조건에서 사출 성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배합 성분을 다음에 나타낸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A-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도요보사 제조 환원 점도 0.58 ㎗/g
(A-2)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도요보사 제조 환원 점도 0.68 ㎗/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
(B)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도요보사 제조 환원 점도 0.63 ㎗/g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
(C-1)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TPA/IPA//1,4-BD=70/30//100(몰%)의 조성비의 공중합체, 도요보사 제조, 도요보 바일론(등록 상표)의 시작품, 환원 점도 0.73 ㎗/g
(C-2)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TPA/IPA//1,4-BD=80/20//100(몰%)의 조성비의 공중합체, 도요보사 제조, 도요보 바일론(등록 상표)의 시작품, 환원 점도 0.80 ㎗/g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
(D)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TPA//EG/NPG=100//70/30(몰%)의 조성비의 공중합체, 도요보사 제조, 도요보 바일론(등록 상표)의 시작품, 환원 점도 0.83 ㎗/g(약호는 각각, TPA: 테레프탈산, IPA: 이소프탈산, 1,4-BD: 1,4-부탄디올, EG: 에틸렌글리콜, NPG: 네오펜틸글리콜 성분을 나타낸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
(E) 폴리카보네이트: 스미카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사 제조, 「칼리버 200-80」, 멜트 볼륨 레이트(300℃, 하중 1.2 ㎏) 80 ㎤/10 min
섬유계 강화재(F); (섬유 직경, 섬유 길이는 전자 현미경 관찰에 의한 측정값)
(F-1) 유리 섬유: 닛토보사 제조 「CSG3PL830S」, 편평 단면,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 2(단직경 10 ㎛, 장직경 20 ㎛), 평균 섬유 길이 3 ㎜
(F-2) 탄소 섬유: 니혼 폴리머 산교사 제조 「CFUW-LC-HS」, 섬유 직경 5.5 ㎛, 컷트 길이 6 ㎜, 인장 강도 5.5 ㎬
(F-3) 유리 섬유: 니혼 덴키 가라스사 제조 「T-120H」, 원형 단면, 평균 섬유 길이 3 ㎜, 평균 섬유 직경 11 ㎛
섬유계 강화재 이외의 강화재;
운모: 야마구치 마이카사 제조 「A-21S」, 평균 입자 직경 23 ㎛(레이저 회절법에 따른 MV값)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
(G)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 ADEKA사 제조 「아데카 스탭 AX-71」
첨가제;
안정제(산화 방지제): 치바 재팬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이형제: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 「LICOWAX-OP」
흑안료: 레지노 컬러사 제조 「ABF-T-9534」
실시예 1∼9, 비교예 1∼8
실시예, 비교예의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원료를 표 1에 나타낸 배합 비율(질량부)에 따라 계량하여, 35φ 이축 압출기(도시바 기카기사 제조)로 실린더 온도 270℃, 스크류 회전수 200 rpm으로 용융 혼련하였다. 강화재 이외의 원료는 호퍼로부터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강화재는 벤트구로부터 사이드 피드로 투입하였다(강화재를 2종 이상 사용한 경우는 각각의 사이드 피드로부터 투입함). 얻어진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펠릿은, 건조 후, 사출 성형기로 각종 평가용 샘플을 성형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9에서는, 굽힘 탄성률 30 ㎬ 이상의 고강성이면서, TC2가 165℃≤TC2<190℃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양호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1, 실시예 6은, 다른 실시예에 비해서, 약간 외관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비교예 1∼8에서는, 어느 하나의 특성, 특히 외관이 실시예에 비해서 뒤떨어져 있었다. 즉, 양호한 외관이 되는 성형 조건을 발견할 수 없거나, 또는 매우 핀 포인트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형상에 대한 자유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고강성(굽힘 탄성률 30 ㎬를 초과함)이며, 또한 양호한 표면 외관의 성형품을 넓은 성형 조건폭으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산업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Claims (7)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20∼35 질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B)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 1∼10 질량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 5∼12 질량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E) 1∼6 질량부, 섬유계 강화재(F) 45∼60 질량부 및 에스테르 교환 방지제(G) 0.05∼2 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A), (B), (C), (D), (E) 및 (F) 성분의 합계가 100 질량부인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서, 하기 요건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굽힘 탄성률이 30 ㎬를 초과한다.
    (2)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로 구해지는 강온 결정화 온도를 TC2(℃)로 할 때, TC2가 165℃ 이상 190℃ 미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계 강화재(F)가, 섬유 단면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가 1.3∼8인 편평 단면 유리 섬유(F-1) 및 탄소 섬유(F-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가,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C)가, (C)를 구성하는 전체 산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이소프탈산 10∼40 몰%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가, 이소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및 2-메틸-1,3-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D)가, (D)를 구성하는 전체 글리콜 성분을 100 몰%로 하였을 때, 네오펜틸글리콜 20∼60 몰%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표면 텍스처 외관을 갖는 성형품.
KR1020217033947A 2019-03-28 2020-03-25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210148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3699 2019-03-28
JP2019063699 2019-03-28
PCT/JP2020/013251 WO2020196598A1 (ja) 2019-03-28 2020-03-25 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199A true KR20210148199A (ko) 2021-12-07

Family

ID=7260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947A KR20210148199A (ko) 2019-03-28 2020-03-25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6022A1 (ko)
EP (1) EP3950812A4 (ko)
JP (1) JP7302653B2 (ko)
KR (1) KR20210148199A (ko)
CN (1) CN113646375B (ko)
WO (1) WO2020196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5624B (zh) * 2020-12-22 2022-08-19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型周期短的acs/pet基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034A (ja) 2000-12-25 2002-07-10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こ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型物
JP2003055414A (ja) 2001-08-10 2003-02-26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成形品
JP2007092005A (ja) 2005-09-30 2007-04-12 Toray Ind Inc 艶消し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2008120925A (ja) 2006-11-13 2008-05-29 Wintech Polymer Ltd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15008831A1 (ja) 2013-07-19 2015-01-22 東洋紡株式会社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17039878A (ja) 2015-08-21 2017-02-23 東洋紡株式会社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0385B2 (ja) * 1996-01-16 2006-05-31 大塚化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制振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3292746A (ja) * 2002-03-29 2003-10-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制振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4281313B2 (ja) * 2002-09-02 2009-06-17 東レ株式会社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6668174B2 (ja) * 2015-11-13 2020-03-18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樹脂金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034A (ja) 2000-12-25 2002-07-10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及びこ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型物
JP2003055414A (ja) 2001-08-10 2003-02-26 Mitsubishi Rayon Co Ltd 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成形品
JP2007092005A (ja) 2005-09-30 2007-04-12 Toray Ind Inc 艶消し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2008120925A (ja) 2006-11-13 2008-05-29 Wintech Polymer Ltd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15008831A1 (ja) 2013-07-19 2015-01-22 東洋紡株式会社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17039878A (ja) 2015-08-21 2017-02-23 東洋紡株式会社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46375B (zh) 2023-01-31
JPWO2020196598A1 (ko) 2020-10-01
EP3950812A4 (en) 2023-01-04
WO2020196598A1 (ja) 2020-10-01
EP3950812A1 (en) 2022-02-09
CN113646375A (zh) 2021-11-12
JP7302653B2 (ja) 2023-07-04
US20220186022A1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662B2 (ja)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6414467B2 (ja)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7145306B2 (ja) レーザー溶着用部材及び成形品
JP2008214558A (ja) 無機強化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の表面外観改良方法。
JP2016155939A (ja) レーザー溶着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溶着体
US20020134771A1 (en) Flame-retarded laser-markable polyester composition
JP728877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210148199A (ko) 강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728875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WO2016117493A1 (ja) レーザー溶着用部材及び成形品
JP7397418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ホットスタンプ箔による加飾が施された成形品
JP726228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28878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120212B2 (ja)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7409372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CN114341265B (zh) 无机增强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成形品
WO2022107715A1 (ja) 無機強化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4198081A1 (en) Inorganic material-reinforce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28875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0465452A (ja) 表面平滑性繊維強化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