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066A -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066A
KR20210143066A KR1020200060008A KR20200060008A KR20210143066A KR 20210143066 A KR20210143066 A KR 20210143066A KR 1020200060008 A KR1020200060008 A KR 1020200060008A KR 20200060008 A KR20200060008 A KR 20200060008A KR 20210143066 A KR20210143066 A KR 2021014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in
loading
mov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820B1 (ko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20006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8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출고장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물품이 탑재되어 적재부로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된 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및 하역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창고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는데, 다수의 적재 공간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수의 적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및 개수 등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저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에는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단순히 체인 위에 놓여지는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중량물이 아닌 경우에는 체인과 팔레트(pallet) 사이의 마찰력이 크지 않아 체인 상에서 물품 또는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물품이 적재되는 팔렛트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을 운반시에 물품이 적재되어 이동하는 이동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품을 이송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물품이 탑재되어 적재부로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된 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부는 체인이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체인이 삽입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이동부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폭의 크기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재부는, 상기 물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적재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적재부 및 제2 적재부 사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인은 다수의 베어링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체인이 그 외주를 따라 선회하는 체인 선회부; 상기 체인 선회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인 선회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물품을 이송시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동력전달부에 고정하여 물품 이송시에 미끄러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체인의 장력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체인의 장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체인이 선회하는 체인 선회부에 체인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체인의 베어링이 원활하게 체인 선회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이동부의 걸림 전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이동부의 걸림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및 체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송부(130)에 의해 보다 확실히 견인될 수 있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가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도 1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이동부(120)의 걸림 전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이동부(120)의 걸림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이하 '입출고장치(100)'라고 칭하기로 한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30) 및 적재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고장치(100)는 다수의 연결프레임(139)(도 4 참조)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층(1101,1102,1103,1104,1105)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부(110)와, 상기 적재부(110)에 인접하여 구비되었다가 상기 적재부(110)로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120)와, 상기 이동부(12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부(110)로 이동시키는 이송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2에서는 적재부(110b)에 대해서 1101,1102,1103,1104,1105만 도시하였으나, 적재부(110a)에도 다수의 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꼭대기까지 5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부(120)는 물품을 적재부(110)로 적재하거나 적재부(110)로부터 반출하기 위하여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을 한다. 상기 이동부(120)의 수직 이동은 이송부(13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포스트(101) 및 수직 포스트(101)에 형성되는 벨트(109) 또는 체인 등에 의해 가능하며,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은 동력전달부(131)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송부(130)는 걸림돌기(133)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120)의 단부에는 걸림고리(12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33)에 걸림된 채 이동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131)는 체인(132)이고, 상기 걸림고리(121)는 한 쌍(1211,1212)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고리(1211,1212)는 상기 체인(132)이 삽입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걸림고리(1211,1212)의 간격이 d라면 상기 체인(132)의 폭은 d보다는 작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고리(1211,1212)는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1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상기 이동부(120)에 물품이 적재되어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은 적재부(110)를 향한 방향을 의미하고 이를 제1 방향이라 칭하고, 이동부(120)의 수직 이동 방향은 이송부(130) 내에서 다수의 층(1101,1102,1103,1104,1105)으로 이루어진 적재부(110)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반출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를 제2 방향이라 칭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체인(13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33)는 상기 체인(132)에 형성되면서 상기 체인(132)의 형성 방향과 수직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걸림고리(121)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고리(121)의 내부는 대략 'ㄷ'형상의 수용부(1213)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33)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즉, 내부 단면이 동그란 'C'형상이라기보다는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33)는 보다 견고하게 상기 걸림고리(121)에 걸림되도록 체인(132)의 2개의 베어링(132a)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133)의 제1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상기 수용부(1213)의 내부 폭과 대응된다.
상기 걸림고리(121)는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133)는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폭의 크기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고리(121)를 제1 걸림고리(121a)라 할 때, 이동부(120)의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고리(121)는 제2 걸림고리(121b)가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20)가 직사각형이라고 할 때 상기 이동부(120)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폭의 크기(가로)가 L이라면 상기 걸림돌기(133)간의 이격 간격은 L이어야 한다. 상기 걸림돌기(133)를 2개 이상으로 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133)간의 이격 간격은 L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131)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132) 및 체인 지지부(137)의 사시도인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걸림돌기(133a), 제2 걸림돌기(133b) 및 제3 걸림돌기(133c)는 서로 일정한 간격(L)으로 이격 형성된다. 만약, 상기 이동부(12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고리(121) 중 이동 방향을 따르는 선단부의 걸림고리(121a)에만 걸림돌기(133)가 걸림되는 경우에는 적재부(110)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이동부(120)를 적재부(110)의 내측으로 더 운반할 수가 없게 된다. 이는 이송부(130) 특히, 동력전달부(131)는 상하로 이동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체인(132)이 적재부(110)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다수의 층에 이동부(120)가 적재되어 있을 경우 상기 체인(132)은 각각의 이동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한 쌍의 걸림고리(1211,1212) 사이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동부(120)의 선단부를 걸림돌기(133)가 이끌고 온 다음에는 이동부(120)의 선단부가 적재부(110)에 도착할 때에는 선단부의 걸림돌기(133)와 걸림고리(121)는 결합이 해제되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부터는 상기 체인(132)이 이동부(120)를 더 이상 이동시킬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이동부(1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걸림고리(121a,121b)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즉, 선단부의 걸림고리(121a)는 적재부(110)에 도착할 때까지 이동부(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송하고, 후단부의 걸림고리(121b)는 체인(132)이 계속하여 회전함으로써 적재부(110)에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부(120)의 후단부가 적재부(110)에 이송되게 되면 후단부의 걸림고리(121b)도 걸림돌기(133)와 걸림 해제되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선단부가 적재부(110)에 도착하게 되면 이동부(12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는 접촉부(123)가 적재부(110)의 이동가이드(115a,115b)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가이드(115a,115b)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이루어져 질기고 잘 미끄러지도록 하였다. 상기 이동가이드(115a,115b)는 제1 적재부(110a)에 구비되는 제1 이동가이드(115a)와 제2 적재부(110b)에 구비되는 제2 이동가이드(115b)를 포함한다.
다만, 테프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력이 크지 않은 나일론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면 가능하다. 나아가, 롤러와 같은 마찰력 저감부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선단부의 걸림고리(121a)가 제1 걸림고리(121a)라면 후단부의 걸림고리(121b)는 제2 걸림고리(121b)라 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후단부의 걸림고리(121a)가 제1 걸림고리(121a)가 되고, 선단부의 걸림고리(121b)가 제2 걸림고리(121b)가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폭의 길이가 L일 때, 상기 체인(132)에 걸림돌기(133a,133b,133c)를 3개 배치하고자 한다면 상기 체인(132)의 전체 길이는 3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인(132)에 걸림돌기(133)를 4개 배치하고자 한다면 상기 체인(132)의 전체 길이는 4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걸림돌기(133) 간의 이격 간격이 상기 이동부(120)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아니라면 상기 걸림돌기(133)와 걸림고리(121)는 서로 걸림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120)가 적재부(110)와 이송부(130)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걸림고리(121) 및 걸림돌기(133)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야 한다. 도 5는 걸림고리(121)가 걸림돌기(133)에 걸림되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6은 걸림고리(121)가 걸림돌기(133)에 걸림된 이후 이동 중인 상태의 상태도이다. 즉, 도 5는 이동부(120)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6은 이동부(120)가 이동중인 경우의 상태도이다. 이동부(12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부(12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로 있다가 이동부(120)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인(132)이 체인 선회부(135)의 외곽을 따라 선회하게 되며 인접해 있는 걸림돌기(133b)가 걸림고리(121)에 걸림되게 된다. 즉, 도 5의 상태에서 체인(132)이 회전하게 되면 근처에 있는 걸림돌기(133b)가 이동부(120)의 선단부의 걸림고리(121a)에 걸리게 되고 계속하여 체인(132)이 회전하게 되면 선단부의 걸림고리(121a)에 의해 이동부(120)가 이동하게 된다. 계속하여 체인(132)가 체인 선회부(135)를 따라 선회하게 되면 이동부(120)의 후단부의 걸림고리(121b)에는 걸림돌기(133c)가 걸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재부(1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제1 적재부(110a)와 상기 제1 적재부(110a)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적재부(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적재부(11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외부에서 입출고장치(100)로 입고되거나 외부로 반출되기 위한 반출부(103)의 기능을 한다. 작업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대부분의 입출고장치(100)는 케이스(105)에 의해 덮여 있으나, 상기 반출부(103)는 물품 입출고시에 커버(104)가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입출고의 조작은 입출고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07)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제1 적재부(110a) 및 제2 적재부(110b) 사이에 위치해 있다가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120)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적재부(110a) 및 제2 적재부(110b) 사이를 이동하면서 물품을 원하는 층의 적재부(110)에 쌓거나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31)인 체인(132)은 다수의 베어링(132a)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베어링(132a)은 연결링크(132b)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체인(132)이 그 외주를 따라 선회하는 체인 선회부(135)와 상기 체인 선회부(135)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135)를 지지하는 지지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 선회부(135)는 대략 타원 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상기 체인(132)의 베어링(132a)이 체인 선회부(135)의 외주를 따라 접촉하면서 굴러가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37)는 다수의 지지대(137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지지대(137a)의 일 단부는 상기 체인 선회부(135)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이송부(130)의 연결프레임(139)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체인 선회부(135) 상에 놓여지는 이동부(12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송부(130)는 상기 체인 선회부(135)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135)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1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38)은 이송부(130)의 프레임에 일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 단부에 상기 체인(132)이 구름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인(132)이 항시 상기 지지브라켓(138)에 접촉되는 것은 아니고 장기간 사용에 따라 체인 선회부(135)가 미세하게 아래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체인 선회부(135)를 받치면서 체인(132)이 계속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체인(132)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체인(132)의 장력이 변하게 될 수 있으며, 체인(132)의 장력이 작아져서 느슨해지면 이동부(120)를 제대로 이송시킬 수 없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132)은 톱니가 형성된 스프로켓(sprocket)을 따라 회전하게 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인 선회부(135)는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 선회부(135)의 외곽을 베어링(132a)을 통해 굴러서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상기 체인(132)의 장력이 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132)의 경로에 상기 체인(13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150)를 배치하였다.
상기 장력조절부(150)는 상기 체인 선회부(135)의 아래에 형성되는 우회경로에 형성되며, 장력조절부(150)는 상기 체인(132)에 체결되는 스프로켓(151a,151b,151c)의 위치를 위아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체인(13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스프로켓(151a,151b,151c)에는 각각의 축(153a,153b,15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로켓(151a)에 연결되는 축(151c)에 의해 상기 체인(132)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축(153a,153b,153c)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체인(13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입출고장치, 101: 수직 포스트, 103: 반출부, 104: 커버, 105: 케이스, 107: 제어부, 109: 체인, 110: 적재부, 110a: 제1 적재부, 110b: 제2 적재부, 113: 적재 플레이트, 115a, 115b: 가이드, 120: 이동부, 121: 걸림고리, 121a: 제1 걸림고리, 121b: 제2 걸림고리, 123: 접촉부, 130: 이송부, 131: 동력전달부, 132: 체인, 132a: 베어링, 132b: 연결링크, 133: 걸림돌기, 135: 체인 선회부, 137: 지지부, 137a: 지지대, 138: 지지브라켓, 139: 연결프레임, 150: 장력조절부,151a,151b,151c: 스프로켓,

Claims (5)

  1. 다수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에 물품을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물품이 탑재되어 적재부로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된 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체인이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체인이 삽입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이동부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양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부의 수평 이동 방향을 따르는 폭의 크기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물품의 입출고가 이루어지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적재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적재부 및 제2 적재부 사이를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다수의 베어링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체인이 그 외주를 따라 선회하는 체인 선회부;
    상기 체인 선회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인 선회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 선회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0200060008A 2020-05-19 2020-05-19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36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08A KR102362820B1 (ko) 2020-05-19 2020-05-19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008A KR102362820B1 (ko) 2020-05-19 2020-05-19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66A true KR20210143066A (ko) 2021-11-26
KR102362820B1 KR102362820B1 (ko) 2022-02-11

Family

ID=7870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008A KR102362820B1 (ko) 2020-05-19 2020-05-19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8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17U (ja) * 1991-02-27 1993-03-3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ラツク移送装置
JPH06227613A (ja) * 1993-02-04 1994-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搬送装置
JP2002120906A (ja) * 2000-10-13 2002-04-23 Kongo Co Ltd 荷移載装置
KR20160119828A (ko) * 2014-02-10 2016-10-14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픽킹 스테이션을 위한 중간 유지 설비
KR20160127506A (ko) * 2015-04-27 2016-11-04 하림 엔지니어링(주) 체인형 이송 장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17U (ja) * 1991-02-27 1993-03-3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ラツク移送装置
JPH06227613A (ja) * 1993-02-04 1994-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搬送装置
JP2002120906A (ja) * 2000-10-13 2002-04-23 Kongo Co Ltd 荷移載装置
KR20160119828A (ko) * 2014-02-10 2016-10-14 오카도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픽킹 스테이션을 위한 중간 유지 설비
KR20160127506A (ko) * 2015-04-27 2016-11-04 하림 엔지니어링(주) 체인형 이송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820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867B2 (en) Conveyor with a gentle retractable stop
KR0183454B1 (ko) 실어서 이송하는 장치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102362820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US20120247916A1 (en) Roller conveyor module
KR100682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KR870007827A (ko) 컨베이어 장치용 저장 유닛
US5735389A (en) Conveying system
US6059520A (en) Process of loading rolls of roofing material onto a pallet
JP4941162B2 (ja) 物品移載装置
JP3485153B2 (ja) 物品移載装置
JP3361906B2 (ja) 搬送コンベア
JP3539989B2 (ja) 搬送装置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0333750B1 (ko) 타이어운반장치
JPH0442284B2 (ko)
JPH0731709U (ja) 保管装置
KR102367804B1 (ko) 과일 공급 장치
KR20020039566A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CN216104331U (zh) 送料装置与包装机
WO2021140705A1 (ja) 物品移載装置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3568021B2 (ja) コンベア装置
JP2911803B2 (ja) ハンガー商品搬送装置
JPH0330325Y2 (ko)
JPH09226932A (ja) 垂直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