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566A -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566A
KR20020039566A KR1020000069471A KR20000069471A KR20020039566A KR 20020039566 A KR20020039566 A KR 20020039566A KR 1020000069471 A KR1020000069471 A KR 1020000069471A KR 20000069471 A KR20000069471 A KR 20000069471A KR 20020039566 A KR20020039566 A KR 2002003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transport
chute
prevention device
dam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6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566A/ko
Publication of KR2002003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56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에서 부터 하역되어 불출위치까지 이송되는 제철소의 연,원료인 수송물이 이송루트의 변경에 따라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될 때, 수송물들이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분이 아닌 한쪽으로 몰리면서 적재되는 편적상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송물의 낙하에 따른 환경오염을 피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의 수송물 낙하위치에 설치된 슈트(30)내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 (10)를 통하여 운반되는 수송물(C)의 입도크기 및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회 운동토록 설치되는 가변형 댐퍼(40)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 댐퍼(40)에는 수송물 (30)의 운반량 및 입도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0)이 연결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 CARRIAGES FROM LOADING EDGE PORTION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수송물 즉, 제철공장의 연,원료인 석탄, 광석등을 운반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박에서 부터 하역되어 불출위치까지 이송되는 제철소의 연,원료인 수송물이 이송루트의 변경에 따라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될 때, 수송물들이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분이 아닌 한쪽으로 몰리면서 적재되는 편적상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가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송물의 낙하에 따른 환경오염을 피하도록 한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원,연료인 광석 및 석탄은 공장의 불출장소까지 선박하역후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반되는데, 이와 같은 제철공장의 수송물 운반라인은 통상 다단으로 이루어 지면서 상,하부라인으로 구성되다.
이와 같은 수송물 운반용 벨트 컨베이어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단으로 대차 이동토록 설치된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0)의 하측으로 다수의 병렬설치된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10)가 설치되어 있고, 이때 상,하부 라인(100)(110)의 변경에 따른 수송물(120)의 원활한 적재 즉, 낙하작동을 위하여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0a)(100b) 단부에는 수송물 낙하용 슈트(13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슈트(130)내에는 수송물의방향 전환을 위한 댐퍼(140)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1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스트류바아(142)로서 각도 회전토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연속하여 슈트(130)를 통하여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10)상에 수송물 즉, 광석 또는 석탄등의 수송물이 방향이 전환되면서 운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100)(110)에 있어서 라인변경에 따른 수송물 적재작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의 조건 예를 들어 원료의 입도상태와 비중 및 원료의 종류등에 따라, 상부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하부 벨트컨베이어(110)로의 적재시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에 낙하하지 않고 벨트의 가장자리로 몰리면서 적재되는 편적 현상이 손쉽게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130)를 통하여 댐퍼(140)로서 원,연료인 수송물(120)을 하부라인에 낙하 적재시키만,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송되는 수송물(120)의 양이 급증하면 상기 댐퍼(14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한쪽으로 몰리면서 수송물(120)의 편적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송물의 편적이 발생되면 운반중에 벨트 컨베이어(110)에서 부터 외측으로 낙하하여 인체에 유해한 광석 및 석탄등의 수송물로 이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는 것이다.
동시에, 계속적으로 수송물을 편적상태에서 운반하게 되면 벨트 컨베이어의 과하중이 가해지고 이는 결국, 벨트 컨베이어(200)의 손상 또는 절손까지 발생하여수송물 운반 자체가 불가능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이는 원,연료의 원활한 공급이 지연되어 제철소 설비 가동율을 낮추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슈트(130)를 통하여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10)상에 수송물(120)이 적재되기 때문에, 과도한 수송물이 슈트(130)를 통과하면서 슈트를 파손시키고, 또는 슈트(130)의 내부에 수송물의 잔여분들이 누적되면서 슈트(130) 자체가 막히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 및 하부라인으로 이루어 져 수송물의 운반라인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동하는 가변형 댐퍼로서 수송물을 항상 벨트 컨베이어상에 중앙에 적재되도록 한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반되는 수송물의 입도크기 및 양에 따른 가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가 슈트내에 설치됨으로서 수송물의 편적현상에 따른 슈트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설비손상을 줄일수 있도록 한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송물의 벨트 컨베이어 편적이 방지되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수송물의 운반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은 물론, 수송물을 필요로 하는 공장의 가동율도 향상되는 한편,수송물의 낙하에 따른 환경오염도 차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수송물의 벨트 컨베이어 연속 적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의 (a) 및 (b)는 종래 수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에 편적상태로 적재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편적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송물 편적방지장치10,20.... 벨트 컨베이어
18.... 작동바아30....슈트
40.... 가변형 댐퍼42.... 수직바아
60.... 수송물 감지수단70.... 가이드판
C.... 수송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부라인(P1)(P2)의 라인 변경구간에 설치되어 수송물을 운반토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낙하위치에 설치된 슈트내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하여 운반되는 수송물의 입도크기 및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회 운동토록 설치되는 가변형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 댐퍼에는 수송물의 운반량 및 입도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연결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편적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소송물 편적방지장치(1)는 크게 수송물(C)의 수송량또는 그 입도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회 작동하면서 하부라인(P2)의 벨트 컨베이어(20) 중앙에 항상 수송물(C)을 적재하도록 하는 가변형 댐퍼(40)를 갖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1)는 수송물(C)의 운반라인이 상,하부라인(P1)(P2)으로 그 변경구간에 설치되는데, 상기 두개의 상,하부라인에는 각각 수송물(C)을 운반토록 하는 2개의 벨트 컨베이어(10)(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라인(P1)의 벨트 컨베이어(10)의 수송물 낙하위치에 설치된 슈트(30)내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0)를 통하여 운반되는 수송물(C)의 입도크기 및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회 운동토록 설치되는 가변형 댐퍼(40)에는 수송물(C)의 운반량 및 입도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0)이 연결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60)은 상부 벨트 컨베이어(10)의 베드(12) 양측에 수직 고정된 고정대(14)에 수평하게 피봇(16) 고정된 작동바아(18)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아(18)의 후단부는 상기 가변형 댐퍼(40)가 연결되는 수직바아(4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댐퍼(40)는 상기 수직바아 (42)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경사지게 피봇(44) 고정된 연결바아(46)의 단부에 중앙 모서리부분이 핀(48) 고정되고, 상기 가변형 댐퍼(40)의 상부 모서리는 상기 슈트 (30)의 내측벽(30a)(30b)에 피봇(50)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롤(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댐퍼(40)는 가변 작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라인(P2)의 벨트 컨베이어(20)상측으로 양단부에는 슈트(30)를 통하여 낙하하는 수송물(C)의 안정적인 벨트 적재를 위한 가이드판(7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에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등을 선박 하역위치에서 불출장소까지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 (10)(20)는 통상 복수라인으로 설치되는데, 상부라인(P1)의 벨트 컨베이어(10)에서 운반된 수송물(C)은 다수개의 하부라인(P2)을 통하여 제철공장의 임의의 장소까지 각각 운반되고, 결국 수송물(C)은 라인 변경구간을 통하게 되는데, 이때 수송물(C)의 라인 변경시 하부라인(P2)의 벨트 컨베이어(20) 중앙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라인(P1)의 벨트 컨베이어(10)를 따라 수송물(C) 즉, 도면에서와 같이 제철공장의 연료인 석탄이 운반되어 그 끝단부분에 도달하면, 상기 상부라인 벨트 컨베이어(10)의 베이스(12)에 수직 설치된 고정대(14)에 피봇(16) 고정되어 피봇(16) 지점을 축으로 선회 운동하는 작동바아(18)의 단부에 설치된 감지수단 즉, 가이드롤(60)은 수송물(C)의 수송량 즉, 적층높이 또는 수송물(C)의 입도크기에 따라 위로 올라가서나 또는 아래로 내려간다.
도 5a에서와 같이 수송물(C)의 입도가 작거나 그 양이 작으면, 상기 가이드롤(60)은 작동바아(18)의 단부 즉, 상기 벨트 컨베이어(10)의 끝단부에 설치된 슈트(30)측 단부를 수평하게 유지시키고, 반대로 상기 소송물(C)의 이송량이 많거나 수송물(C)의 입도자체가 크면 상기 가이드롤(60)은 위로 올라가고 작동바아(18)의 단부는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아(18)의 단부에 수직 연결된 수직바아(42)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수직바아(42)의 하단에는 피봇(44) 연결된 2개의 연결바아(46)는 상기 작동바아(18) 및 수직바아(42)의 이동시 상기 슈트(30)의 내측벽(30a)(30b)에 상부 모서리부분이 피봇(50) 연결된 댐퍼(40)를 중앙을 중심으로 이격시키거나 좁혀지게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가이드롤(60)은 수송물(C)의 입도크기 및 운반량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가변형 댐퍼(40)는 선회 운동하면서 수송물(C)의 양이 적거나 입도가 작을 때에는 중앙으로 좁혀지고 반대인 경우에는 중앙에서 외곽으로 멀어지면서 수송물(C)을 항상 하부라인(P2)의 벨트(20) 중앙에서 부터 외곽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에서 하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 (20)로 수송물(C)이 낙하할 때에는 상기 하부라인(P2)의 벨트 컨베이어 (20)상부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판(70)을 통하여 외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1)는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설치작업은 용이하면서도 수송물(C)을 항상 벨트 컨베이어(20)의 중앙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에 의하면, 수송물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동하는 가변형 댐퍼로서 수송물을 항상 벨트 컨베이어상에 중앙에 적재되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운반되는 수송물의 입도크기 및 양에 따른 가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가 슈트내에 설치됨으로서 수송물의 편적현상에 따른 슈트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설비손상을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송물의 벨트 컨베이어 편적이 방지되어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수송물의 운반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가동율은 물론, 수송물을 필요로 하는 공장의 가동율도 향상되는 한편, 수송물의 낙하에 따른 환경오염도 차단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상,하부라인(P1)(P2)의 라인 변경구간에 설치되어 수송물(C)을 운반토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10)(20)에 있어서,
    상기 상부라인의 벨트 컨베이어(10)의 수송물 낙하위치에 설치된 슈트(30)내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10)를 통하여 운반되는 수송물(C)의 입도크기 및 운반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회 운동토록 설치되는 가변형 댐퍼(40)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 댐퍼(40)에는 수송물(C)의 운반량 및 입도크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60)은 상부 벨트 컨베이어(10)의 베드(12) 양측에 수직 고정된 고정대(14)에 수평하게 피봇(16) 고정된 작동바아(18)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바아(18)의 후단부는 상기 가변형 댐퍼(40)가 연결되는 수직바아(4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댐퍼(40)는 상기 수직바아 (42)의 하단부에 양측으로 경사지게 피봇(44) 고정된 연결바아(46)의 단부에 중앙 모서리부분이 핀(48) 고정되고, 상기 가변형 댐퍼(40)의 상부 모서리는 상기 슈트 (30)의 내측벽(30a)(30b)에 피봇(50)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롤(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댐퍼(40)는 가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1020000069471A 2000-11-22 2000-11-22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Withdrawn KR20020039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471A KR20020039566A (ko) 2000-11-22 2000-11-22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471A KR20020039566A (ko) 2000-11-22 2000-11-22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566A true KR20020039566A (ko) 2002-05-27

Family

ID=1970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471A Withdrawn KR20020039566A (ko) 2000-11-22 2000-11-22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5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9469A (zh) * 2012-10-10 2013-01-02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翟镇煤矿 煤炭成分均匀混合处理装置
KR101225784B1 (ko) * 2010-07-29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330554B1 (ko) * 2012-01-31 2013-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의 제어방법
KR20150113336A (ko) * 2014-03-27 2015-10-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050314B1 (ko) * 2019-07-16 2019-11-29 김태일 판넬용 파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784B1 (ko) * 2010-07-29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KR101330554B1 (ko) * 2012-01-31 2013-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의 제어방법
CN102849469A (zh) * 2012-10-10 2013-01-02 新汶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翟镇煤矿 煤炭成分均匀混合处理装置
KR20150113336A (ko) * 2014-03-27 2015-10-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050314B1 (ko) * 2019-07-16 2019-11-29 김태일 판넬용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57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storing articles
JP4469912B2 (ja) 果菜搬送方法、果菜搬送装置
US4811830A (en) Sorting installation for piece goods
CN210709371U (zh) 传输机及运货小车
JP3228266B2 (ja) パレット搬送方向変更装置
CN110606347A (zh) 传输机及运货小车
KR20020039566A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JPH0423727A (ja) 搬送装置
JPH07267352A (ja) コンベヤ装置
KR20030048587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JP2001240241A (ja) パレット搬送方向変更装置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100723133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장치
KR102090734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센트럴슈트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415831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JP2016179895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H07267353A (ja) ストレージコンベヤ装置
JP5342894B2 (ja) 荷搬送棚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US3690439A (en) Accumulating conveyor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WO2019148686A1 (zh) 复合分拣设备及其工作方法以及装卸货物设备
JP2001240226A (ja) パレット段積み商品の搬送方向変更方法
KR200169343Y1 (ko) 원료이송용 컨베어벨트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