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96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96A
KR20210142896A KR1020200059653A KR20200059653A KR20210142896A KR 20210142896 A KR20210142896 A KR 20210142896A KR 1020200059653 A KR1020200059653 A KR 1020200059653A KR 20200059653 A KR20200059653 A KR 20200059653A KR 20210142896 A KR20210142896 A KR 2021014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pray
nozzle
outle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615B1 (ko
Inventor
박인묵
박예지
박노을
Original Assignee
박인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묵 filed Critical 박인묵
Priority to KR102020005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6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2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jet can be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5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supplying cleaning fluid to windscreen cleaners, e.g.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어 차량의 윈드쉴드에 와셔액을 분사하여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서 유체가 경유하도록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이동통로를 가지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된 분사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 있어서; 상기 분사본체는,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이동통로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출공이 상기 회동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되; 상기 회동부의 외측부에는, 상기 분출공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유체를 펼쳐지는 상태로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분사하도록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의 단폭은, 상기 분출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공에서의 유체압력에너지가 최소화되면서 운동에너지가 극대화되어 분사되도록 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Car Spray Washer Nozzle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어 차량의 윈드쉴드에 와셔액을 분사하여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와셔액)를 압력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통해 공급하여 분사하는 중에 분사토출공간에 대하여 압력에너지는 0상태(제로상태)로 형성하여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와의 충돌압을 향상시키어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의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윈드쉴드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에 불어오는 바람을 막거나,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윈드실드(windshield)'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윈드실드의 표면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자주 오염되기 때문에 전방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묻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상기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 등의 제거를 위하여 와이퍼 시스템과 함께 와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와셔노즐이 구비된다.
즉, 운전자가 시야를 맑게 하기 위해 운전석에 설치된 와셔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와셔 스위치와 연계된 와셔 모터가 작동하고, 와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셔액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와셔액은 와셔노즐을 통해 윈드실드에 분사되며, 이렇게 분사된 와셔액과 와이퍼 작동을 통해 운전에 방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차량용으로 적합한 와셔노즐은, 단시간에 적은 양의 세정액으로 넓은 영역을 세정하는 성능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근자에는 '스프레이 타입의 와셔노즐'을 제안하여 세정영역 증대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스프레이 타입의 와셔노즐'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14111호(명칭: 분사노즐/2007.11.09.)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후드 상면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된 와셔액이 유로내부로 유입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유로내부로 수렴하는 측면유로부가 형성된 단면을 가지는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유로내부의 연결부는 상기 입구부의 단면보다 좁은 단면을 가지는 협로부로 구성되는 분사노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사노즐은, 와셔액의 분사영역이 협소하여 중대형 차종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스프레이 타입 와셔노즐이 제안되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스프레이 타입 와셔노즐에서, 센터류가 피드백 유로를 통해 돌아와 입구부를 지하는 센터류의 유동을 유발시키는 방식은, 분사각이 40∼45°정도로 매우 좁게 형성되며; 좁은 공간을 통해 들어온 2개의 유동이 서로 충돌하며 3개의 정체류를 형성함으로써 정체류의 유동에 의해 출구로 나가는 유동을 형성하는 방식은, 분사각이 60∼70°정도로 충분하지 못해 중대형 차종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센터류와 정체류의 서로 간의 유동을 이용하여 출구부에서 분사되는 와셔액이 넓은 분사각을 가지며 퍼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프레이 와셔노즐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56179호(명칭: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 노즐/2013.12.16.)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와셔액의 유입을 위한 입구부와, 내부의 유로와, 와셔액의 분사를 위한 출구부와, 상기 유로 내에서 입구부의 앞쪽에 형성되는 협로부를 포함하며, 특히 유로의 내부 가장자리 영역 양편에는 앞뒤로 2곳씩의 정체류 형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앞뒤 2곳의 정체류 형성공간은 유로 폭 중심쪽으로 돌출되는 양쪽의 경계벽에 의해 구획되는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와셔노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와셔노즐은, 유체(와셔액)의 분사공간에서의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하지 못하여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에 대한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유체의 분사각도를 조절하지 못하여 윈드쉴드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지 못함으로써, 사용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14111호(2007.11.0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56179호(2013.1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와셔액)를 압력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통해 공급하여 분사하는 중에 분사토출공간에 대하여 압력에너지는 0상태(제로상태)로 형성하여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와의 충돌압을 향상시키어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의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윈드쉴드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서 유체가 경유하도록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이동통로를 가지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된 분사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 있어서; 상기 분사본체는,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이동통로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출공이 상기 회동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되; 상기 회동부의 외측부에는, 상기 분출공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유체를 펼쳐지는 상태로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분사하도록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의 단폭은, 상기 분출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공에서의 유체압력에너지가 최소화되면서 운동에너지가 극대화되어 분사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은, 유체(와셔액)를 압력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통해 공급하여 분사하는 중에 분사본체의 분출공과 분사공을 통해 분사토출공간에 대하여 압력에너지는 0상태(제로상태)로 형성하고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와의 충돌압을 향상시키어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노블본체에서 분사노즐의 회동부를 통해 분사공의 분사방향을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유체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다양한 윈드쉴드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의 작용상태를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서의 유체이동상태와 압력의 변화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은, 차량(미도시됨)에 적용되어 차량의 윈드쉴드(미도시됨)에 와셔액(유체)을 분사하여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되는 것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배출되는 배출구(22)와, 상기 유입구(21)와 상기 배출구(22)의 사이에서 유체가 경유하도록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이동통로(23)를 가지는 노즐본체(2)와; 상기 노즐본체(2)의 상기 배출구(22)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23)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된 분사본체(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적용예의 하나로, 운전자가 시야를 맑게 하기 위해 운전석에 설치된 와셔스위치(미도시됨)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와셔스위치와 연계된 와셔모터(미도시됨)가 작동하고, 상기 와셔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셔액저장탱크(미도시됨)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와셔액이 차량(미도시됨)에 설치된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을 통해 상기 윈드실드에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된 와셔액과 와이퍼(미도시됨)의 작동을 통해 운전에 방해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상기에서 노즐본체(3)는, 차량의 윈드실드의 외측하단의 지정된 위치에 시설되어 사용되며; 상기 유입구(21)에는, 유체의 유입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로(23)를 차단하고, 유체의 유입압력이 형성될 때에는 상기 이동통로(23)의 폐쇄하도록 상기 이동통로(23)에 배치되는 노즐스프링(4)의 탄성압을 통해 탄성지지하도록 된 노즐볼(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노즐볼(5)은,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상기 이동통로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21)에는, 상기 노즐볼(5)이 외부로 무단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노즐캡(6)이 결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상기 이동통로(23)에 상기 노즐스프링(4)과 상기 노즐볼(5)을 시설한 후, 상기 노즐캡(6)을 상기 유입구(21)에 결속하여 상기 노즐볼(5)이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유체의 유입에 따른 유체압이 형성되면, 상기 노즐볼(5)이 상기 노즐스프링(4)의 탄성압을 극복하면서 상기 이동통로(23)를 개방하여 유체가 상기 배출구(22)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에서 노즐볼(5)의 외경은, 상기 노즐캡(6)의 내경보다는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로(23)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캡(6)의 내경에 대한 밀착 및 이격에 따라 유체의 유입을 개폐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에서, 상기 분사본체(3)는, 상기 노즐본체(2)의 상기 배출구(22)에 대하여 상하회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회동부(31)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2)의 상기 이동통로(23)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출공(32)이 상기 회동부(31)를 관통하면서 형성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회동부(31)가 상기 노즐본체(2)의 상기 배출구(22)에서 유체의 분사각도가 조절되면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윈드쉴드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각각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회동부(31)의 외측면은, '구(球;ball)'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31)가 설치되는 상기 배출구(22)의 내주면은, '구(球;ball)' 형상의 상기 회동부(31)의 외측면이 맞춤되면서 밀착 결속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31)와 상기 배출구(22)는, 억지끼움결속되어 설치각도가 조절된 상기 분사본체(3)가 무단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조절된 상기 분사본체(3)에서의 유체의 분사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체의 분사구동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동부(31)와 상기 배출구(22)는, '고관절(股關節;coxa)"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잇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에서, 상기 회동부(31)의 외측부에는, 상기 분출공(32)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유체를 펼쳐지는 상태로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분사하도록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사공(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출공(32)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는 유체가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분사각도 및 분사형태를 가지면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이 수평상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공'의 장폭(L)과 단폭(D)을 통해 넓이를 가지며서 그 두께가 작은 부채살(방사상형태)로 분사되어, 윈드쉴드의 표면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충돌하여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에서, 상기 분사공(33)의 단폭(D)은, 상기 분출공(32)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출공(32)을 통해 분출되는 유체가 상기 분사공(33)에서 분사될 때 유체압력에너지가 최소화('0':zero)되면서 운동에너지가 극대화되어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와의 충돌압을 향상시키어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은, 상기 분출공(32)에서 상기 분사공(33)과 연결되면서 접하는 내측면은, 상기 분사공(33)측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유체가 상기 분출공(32)에서 상기 분사공(33)으로 이동할 때, 상기 분출공(32)의 종단부에서는 유체압력이 증대되고 상기 분사공(33)의 종단부에서는 운동에너지가 극대화되면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유체의 분사에 따른 윈드쉴드와의 충돌압력이 극대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유체가 상기 유입구(21)를 통해 공급되면 유체의 유입 압력에 따라 상기 노즐볼(5)이 상기 노즐캡(6)의 내부를 개방하면서 유체가 상기 배출구(22)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유체가 상기 배출구(22)로 이동되어 상기 분사본체(3)의 상기 분출공(32)을 경유하면서 종단부에서는 유체압력이 증대된 상태로 분출되고, 상기 분사공(33)에서 외부로 분사되는 중에 운동에너지가 극대화되면서 분사된다.
이때, 유체는 상기 분사공(33)의 형상(장공)에 따라, 그 두께가 작은 부채살(방사상형태)로 분사되어, 상기 윈드쉴드의 표면에 대하여 넓은면적으로 충돌하여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에서, 상기 분사본체(3)에는, 상기 분사공(33)의 내측상단과 내측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와 넓이를 가지는 분사면(34)을 각각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분사돌기(35)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돌기(35)들의 상기 확산면(34)들을 통해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유체가 수직상으로는 산란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적으로는 안정적으로 바산하도록 되어, 유체가 윈드쉴드의 표면에 대하여 넓은면적과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돌기(35)들은, 종단으로 갈수록 상기 분사면(34)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돌기(35)들이 종단으로 갈수록 상기 분사면(34)들의 사이간격이 점차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체가 상기 분사돌기(35)들의 사이공간에서 분사될 때, 그 형상이 두께가 작고 폭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부채살(방사상형태)로 분사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분사돌기(35)의 크기 및 상기 분사면(34)들의 '경사각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분사돌기(35)들은, 상기 분사노즐(3)의 전면에서, 상기 분사공(33)들과 사이간격을 가지는 일위치에서 전면측 방향으로 길이와 넓이를 가지는 상기 분사면(34)을 각각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사돌기(35)들의 사이간격(F)이 상기 분사공(33)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상기 분사공(33)에서 분사죄는 유체가 상기 분사돌기(35)들의 사이공간에서 확산되면서 유체압력을 극소화하면서 분사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유체의 유체압력에너지가 극소화될 때,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이에 역비례하면서 증대되어 유체의 충돌압이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1)은, 유체(와셔액)를 압력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통해 공급하여 분사하는 중에 상기 분사본체(3)의 상기 분출공(32)과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분사토출공간에 대하여 압력에너지는 '0'상태(제로상태)로 형성하고 운동에너지를 극대화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와셔노즐 2 : 노즐본체
21 : 유입구 22 : 배출구
23 : 이동통로 3 : 분사본체
31 : 회동부 32 : 분출공
33 : 분사공 34 : 분사면
35 : 분사돌기 4 : 노즐스프링
5 : 노즐볼 6 : 노즐캡
L : 분사공의 장폭
D : 분사공의 단폭
F : 분사돌기들의 사이간격

Claims (1)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서 유체가 경유하도록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이동통로를 가지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된 분사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에 있어서;
    상기 분사본체는,
    상기 노즐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상하회동가능하게 결속되는 회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본체의 이동통로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분출공이 상기 회동부를 관통하면서 형성되되;
    상기 회동부의 외측부에는,
    상기 분출공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유체를 펼쳐지는 상태로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분사하도록 수평상 길이를 가지는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의 단폭은,
    상기 분출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KR1020200059653A 2020-05-19 2020-05-1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KR10236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53A KR102366615B1 (ko) 2020-05-19 2020-05-1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53A KR102366615B1 (ko) 2020-05-19 2020-05-1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96A true KR20210142896A (ko) 2021-11-26
KR102366615B1 KR102366615B1 (ko) 2022-02-23

Family

ID=7870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653A KR102366615B1 (ko) 2020-05-19 2020-05-1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6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718A (ja) * 2000-09-26 2002-04-02 Mitsuba Corp ウォッシャ液噴射装置におけるノズル構造
KR20070114111A (ko) 2004-11-30 2007-11-29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척추경 추간판 접근방법 및 그 장치
JP6257341B2 (ja) * 2014-01-16 2018-01-10 株式会社ミツバ ノズ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ウォッシャノズ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718A (ja) * 2000-09-26 2002-04-02 Mitsuba Corp ウォッシャ液噴射装置におけるノズル構造
KR20070114111A (ko) 2004-11-30 2007-11-29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척추경 추간판 접근방법 및 그 장치
JP6257341B2 (ja) * 2014-01-16 2018-01-10 株式会社ミツバ ノズ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ウォッシャ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615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6906B1 (en) Wiper blade
US20170225661A1 (en) Wiper apparatus and nozzle unit
EP1286871B1 (en) Fluid spray nozzle
KR20160096554A (ko)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용 노즐
JP3647735B2 (ja) ウォッシャ液噴射装置におけるノズル構造
KR10236661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WO2007004736A1 (en) Method of washing paint gun
JP3076549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
WO2024078052A1 (zh) 雨刮臂喷嘴、雨刮器及汽车
JP4347036B2 (ja) 回転霧化塗装装置
KR20070074579A (ko) 특히 차량에 부착되는 앞유리용 유리 세척 장치의 분사노즐 장치
CN215612413U (zh) 一种水气共用摄像头清洗喷嘴
JP3217984B2 (ja) ウォッシャノズル
KR200287209Y1 (ko) 살수차용 살수노즐
KR200364288Y1 (ko) 와셔액 분사노즐 구조
JP4188280B2 (ja) 食器洗浄機
CN217048457U (zh) 一种外后视镜底座结构及汽车
JP3905505B2 (ja) 横型回転ノズル装置
JP2558997Y2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の水滴除去装置
JPS63242359A (ja) ヘツドランプクリ−ナ用広角ノズル
JP4153332B2 (ja) 回転霧化塗装装置
KR200296284Y1 (ko) 와셔액분사각도조절이가능한와셔노즐기
JPH11180264A (ja) カウルパネル
JP2005096720A (ja) 車両用ウォッシャノズル
JP2002079918A (ja) 車両におけるウォッシャ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