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09Y1 - 살수차용 살수노즐 - Google Patents

살수차용 살수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09Y1
KR200287209Y1 KR2020020014916U KR20020014916U KR200287209Y1 KR 200287209 Y1 KR200287209 Y1 KR 200287209Y1 KR 2020020014916 U KR2020020014916 U KR 2020020014916U KR 20020014916 U KR20020014916 U KR 20020014916U KR 200287209 Y1 KR200287209 Y1 KR 200287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sprinkler
spray nozzl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욱
Original Assignee
하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욱 filed Critical 하재욱
Priority to KR2020020014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0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노즐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되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에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송수관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고 앞측 타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살수노즐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유수를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다수의 볼트, 너트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살수노즐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힌지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가 구성되며, 상기 송수관과 송수관 중간에 연결되며, 살수노즐의 상, 하 유동을 원활히 해주는 홀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수차용 살수노즐{Water sprinkling of nozzle in water sprinkling of vehicles's}
본 고안은 살수차용 살수노즐 {Water sprinkling of nozzle in water sprinkling of vehicles's}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방수방향 및 방수거리 또는 방수높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살수차용 살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 특장차(特殊 特裝車)라 함은 특수한 장비(裝備)를 갖추고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그 일 예로 소방차, 살수차, 제설차, 청소차, 믹서 트럭 및 탱크 롤리 등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특수 특장차는 대분이 하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용도에 맞는 특수장비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하나 이상의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에 인해 근래에는 급속한 산업발달과 고도의 기술발달로 인하여 상기한 하나의 특수 특장차에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특수 특장차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즉 차량에 설치되어 유압이면 유압을 공급하고 동력이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필요한 용도에 따라 특수장비를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특수장비를 운전석으로 설치된 통상적인 조작부를 통하여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더 편리성을 갖는 장점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특장차의 적재함에는 제설장비를 설치하여 제설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그 적재함으로 물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살수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으로 살수부를 설치하여 살수용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적재함으로 청소용 적재함을 설치하면 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차(10), 물탱크(20), 후방 노즐(30), 후방 송수관(40), 전방 송수관(50), 전방 노즐(6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의 전방과 후방에 노즐(30,60)을 포함하는 송수관(40,50)에 노즐에서 살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차(10)의 후방에 물탱크(20)를 탑재하며, 상기 물탱크(20) 하부 전, 후방에 각각 물탱크(20) 폭과 같은 길이의 후방 송수관(40)과 전방 송수관(50)을 연결시킨 후, 상기 송수관(40,5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노즐(30,60)이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20)에 담겨진 물은 노즐(30,60)을 통하여 분사되게 되므로 살수차(10)를 먼지 발생 장소에서 이동시키면 도로나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송수관에 구성되는 살수노즐은 차량의 전방, 후방 범퍼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살수되는 물이 도로와 직교되도록 살수됨에 따라 오히려 도로에 쌓여 있던 이물질 등을 비산시키게 되어 그에 따른 번거러운 후처리 작업을 더욱 심화시키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살수관이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전술한 문제점을 더욱 크게 유발시키는 문제점 및 살수노즐을 통하여 물이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살수됨에 따라 도로면으로 많은 양의 이물질 등이 쌓여 있을 경우에는 그 많은량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살수차의 하부에 다수 설치 가능하며, 상, 하 및 좌, 우로 회동 가능하고 토출되는 물량을 조절하고 한곳을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는 살수 노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에 살수노즐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의 상, 하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의 좌, 우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와 살수노즐이 동시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살수차 20,200 : 물탱크
30 : 후방 노즐 40 : 후방 송수관
50 : 전방 송수관 60 : 전방 노즐
300 : 송수관 400 : 살수노즐
500 : 살수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살수차의 살수노즐은,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노즐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되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에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송수관과 결합되는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고 앞측 타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살수노즐과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유수를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다수의 볼트, 너트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살수노즐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힌지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가 구성되며, 상기 송수관과 송수관 중간에 연결되며, 살수노즐의 상, 하 유동을 원활히 해주는 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노즐이 살수차 하부 일측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살수노즐과 원통형 형상으로 차량의 폭만큼 구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중간에 송수관이 연결되고 양쪽 일측에 지지 해주는 고정패널이 구성되는 살수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에 살수노즐이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차(100), 운전석(102), 전방 범퍼(104), 후방 범퍼(106), 물탱크(200), 송수관(300), 전방 제1송수관(302), 전방 제2송수관(304), 측방 제1송수관(306), 후방 제1송수관(310), 살수노즐(400), 전방 제1 노즐(402), 전방 제2 노즐(404), 측방 제1노즐(406), 후방 제1노즐(41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의 전방과 후방에 오리발 형상의 살수노즐(400)을 포함하는 송수관(300)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차(100)는 탑승자가 승차하여 작동하는 운전석(102)과 물탱크(200)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200) 부분은 물을 강제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고압펌프와 살수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살수차(100) 전방에 구성되는 전방 범퍼(104) 하부에 물탱크(200) 일측에 구비되는 살수펌프와 일반적인 배관으로 송수관(3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관(300)은 좌, 우로 배관이 구성되어 전방 제1송수관(302)에는 전방 제1노즐(402)이 구비되고, 전방 제2송수관(304)에는 전방 제2노즐(404)이 구비된다.
상기 살수노즐(400)은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각의 살수노즐(400)은 독립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살수차(100) 중간부분의 일측 하부에도 살수펌프와 일반적인 배관으로 송수관(3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관(300)은 좌, 우로 배관이 구성되어측방 제1송수관(306)에는 측방 제1노즐(406)이 구비되고, (미도시된) 측방 제2송수관에는 측방 제2노즐이 구비된다.
상기 살수차(100) 후방에 구성되는 후방 범퍼(106) 하부에도 살수펌프와 일반적인 배관으로 송수관(3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관(300)은 좌, 우로 배관이 구성되어 후방 제1송수관(310)에는 후방 제1노즐(410)이 구비되고, 미도시된 후방 제2송수관에는 후방 제2노즐이 구비된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노즐은 결합부(420), 체결부(422), 상부커버(424), 하부커버(426), 토출부(428), 내부공간(430), 가스켓(432), 연결부(444)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상부에 송수관(300)이 연결되는 살수노즐(400)로 살수차(100)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노즐(400)은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로 구성되며,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의 양측에 구성되는 다수의 볼트, 너트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424)는 일측면에는 송수관(300)과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구성되고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연결부(44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살수노즐(400)의 앞측 타단부에는 물을 배출되는 토출구(428)가 형성되며,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 중간에는 방수용 가스켓(432)이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20)는 돌출되게 구성되며, 내측에는 송수관(300)과 결합되게나사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420) 하부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볼록 형상의 내부공간(4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422)는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를 결합해 주며,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422)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되며, 토출부(428)의 물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상기 상부커버(424)는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상부면 일측에 결합부(420)가 구성되며, 양측 타단부는 단차가 구성되어 결합부(420)가 조립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426)도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양측 타단부는 단차가 구성되어 결합부(420)가 조립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428)는 고압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며,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44)는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살수노즐(400)을 상, 하 또는 좌, 우로 유동시키기 위한 동작 밸브와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의 상, 하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노즐은 에어실린더(320), 실린더 로드(322), 전방 입력부(324), 후방 입력부(326), 홀드부(328), 힌지부(34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 전방범퍼(104) 하부에 구성되는 살수노즐(400)에 에어 실린더(320)가 구비되어 살수노즐(400)이 좌, 우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노즐(400)의 상부에 송수관(300)이 연결되고, 송수관(300)을 삽입하는 홀드부(328)가 상부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노즐(400) 후단부에는 에어실린더(320)와 결합되는 연결고리(444)가 구비되고, 연결고리(444)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힌지부(3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340)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322)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322)는 에어 실린더(320)에 의해 좌, 우로 유동된다.
상기 살수노즐(400)의 좌, 우 유동은 에어실린더(320)에 구비되는 전방 입력부(324)에 에어를 공급하여 살수차(100)의 안쪽으로 유동되고, 에어실린더(320)의 후방 입력부(326)에서 에어를 공급하면 살수노즐(400)이 살수차(100)의 바깥으로 유동된다.
상기 홀드부(328)는 송수관(300)과 송수관(300) 중간에 연결되며, 살수노즐(400)의 좌, 우 유동을 원활히 해준다, 그리고, 상기 홀드부(328)는 내부에 송수관(300)과 상면하는 부분은 회동이 가능하며, 회동에도 유수가 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340)는 중앙 부위에 실린더 로드(322)를 삽입하고, 양 타단부는 실린더 로드(322)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지지대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340)는 실린더 로드(322)의 좌, 우 유동으로 살수노즐(400)을 유동시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 준다.
상기 에어실린더(320)는 살수차(100) 일측에 구비되는 에어탱크에서 연장된호스를 에어실린더(320) 제어부에서 전방 입력부(324)와 후방 입력부(326)를 분리하여 에어실린더(32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20)는 운전석에서 살수노즐(4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에어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의 좌, 우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노즐은 고정판(342)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 전방범퍼(104) 하부에 구성되는 살수노즐(400)에 에어 실린더(320)가 고정판(342)에 구비되어 살수노즐(400)이 상, 하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노즐(400)의 상부에 송수관(300)이 2단 굴절되어 연결되고, 송수관(300)을 삽입하는 홀드부(328)가 굴절부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노즐(400) 후단부에는 에어실린더(320)와 결합되는 연결고리(444)가 구비되고, 연결고리(444)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힌지부(3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340)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322)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322)는 에어 실린더(320)에 의해 상, 하로 유동된다.
상기 살수노즐(400)의 상, 하 유동은 에어실린더(320)에 구비되는 전방 입력부(324)에 에어를 공급하여 살수차(100)의 상부로 유동되고, 에어실린더(320)의 후방 입력부(326)에서 에어를 공급하면 살수노즐(400)이 살수차(100)의 하부로 유동된다.
상기 홀드부(328)는 송수관(300)과 송수관(300) 중간에 연결되며, 살수노즐(400)의 상, 하 유동을 원활히 해준다, 그리고, 상기 홀드부(328)는 내부에 송수관(300)과 상면하는 부분은 회동이 가능하며, 회동에도 유수가 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실린더(320)는 살수차(100) 일측에 구비되는 에어탱크에서 연장된 호스를 에어실린더(320) 제어부에서 전방 입력부(324)와 후방 입력부(326)를 분리하여 에어실린더(32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20)는 운전석에서 살수노즐(400)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에어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는 송수관(300)이 상부커버(424)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여유공간이 없어 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살수 작업시간을 연장해 주는 살수노즐(40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노즐(400)은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로 구성되며,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의 양측에 구성되는 다수의 볼트, 너트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424)는 일측면에는 송수관(30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322)와 결합되는 연결부(44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살수노즐(400)의 앞측 타단부에는 물을 배출되는 토출구(428)가 형성되며,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 중간에는 방수용가스켓(432)이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422)는 상부커버(424)와 하부커버(426)를 결합해 주며,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422)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되며, 토출부(428)의 물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상기 연결부(444)는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살수노즐(400)을 상, 하 또는 좌, 우로 유동시키기 위한 동작 밸브와 결합된다.
도 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와 살수노즐이 동시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바(500), 배출구(502), 고정패널(504)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의 전방범퍼(104) 하부에 살수바(500)가 구비되고, 살수바(500) 양쪽에 살수노즐(40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바(500)는 원통형 형상으로 차량의 폭만큼 구성되고 살수바(500) 일측에 다수의 배출구(502)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살수바(500)를 지지하는 고정패널(504)이 양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바(500) 중간에는 송수관(300)이 연결되며, 살수노즐(400)보다 상측에 구성된다.
상기 살수바(500)는 차량의 폭만큼 살수를 하며, 살수바(500) 양쪽에 구성되는 살수노즐(400)은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살수를 한다. 그리고 상기 살수차(100)의 이동으로 살수바(500)의 넓은 범위의 살수와 일정부분의 집중적인 살수가 동시에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살수차의 살수노즐은 상, 하 및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하여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살수를 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살수차에 넓은 범위를 살수하는 살수바와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는 살수노즐이 함께 구성되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살수차에 구비되는 살수노즐과 살수바는 적은 인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인건비 및 청소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노즐에 있어서,
    상기 살수차에 장착되는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에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송수관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고 앞측 타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살수노즐;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유수를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다수의 볼트, 너트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살수노즐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힌지부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 및
    상기 송수관과 송수관 중간에 연결되며, 살수노즐의 상, 하 유동을 원활히 해주는 홀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노즐이 살수차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노즐과 원통형 형상으로 차량의 폭만큼 구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배출구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중간에 송수관이 연결되고 양쪽 일측에 지지 해주는 고정패널이 구성되는 살수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노즐.
KR2020020014916U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노즐 KR200287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16U KR200287209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16U KR200287209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09Y1 true KR200287209Y1 (ko) 2002-08-27

Family

ID=730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916U KR200287209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0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552A (ko) * 2002-05-16 2003-11-22 하재욱 살수차
KR100768343B1 (ko) * 2006-11-24 2007-10-17 주식회사 아진산업기술 살수겸용의 노면 청소 시스템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KR102128823B1 (ko) * 2019-11-22 2020-07-01 계백자동차 주식회사 가변형 살수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물청소차
KR20210050136A (ko) 2019-10-28 2021-05-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552A (ko) * 2002-05-16 2003-11-22 하재욱 살수차
KR100768343B1 (ko) * 2006-11-24 2007-10-17 주식회사 아진산업기술 살수겸용의 노면 청소 시스템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KR20210050136A (ko) 2019-10-28 2021-05-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KR102128823B1 (ko) * 2019-11-22 2020-07-01 계백자동차 주식회사 가변형 살수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물청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807B1 (ko) 보조엔진 및 후방 브러쉬가 구비된 살수차
KR20180135697A (ko) 공기중의 먼지 제거용 미스트 분사 차량
US10232830B2 (en) Integrated truck bed washing
KR200287209Y1 (ko) 살수차용 살수노즐
US20180105146A1 (en) Washing system
CN112502079A (zh) 一种集道路吹扫高压清洗洒水消防为一体的多功能环卫车
CN214832249U (zh) 一种清洗系统和一种车辆
US5820037A (en) Portable automobile undercarriage washer
US6152384A (en) Spraying device for jets of windscreen washers in motor vehicles
KR200287211Y1 (ko) 살수차용 살수바
KR200421046Y1 (ko) 자동차용 하부 세차 장치
KR20030089552A (ko) 살수차
US6948566B2 (en) Spraying apparatus
CN210238398U (zh) 具有安全装置的路面养护车
CN212575494U (zh) 防疫消防车
JP2529711Y2 (ja) 散水車
CN219011079U (zh) 一种路面洒水车
KR100492457B1 (ko) 방음벽 청소장치
KR200427521Y1 (ko) 방음벽 세척장치
KR0132735Y1 (ko) 살수차의 먼지 제거 장치
JPS6140361Y2 (ko)
KR100466220B1 (ko) 도로청소차의 부유먼지 비산방지장치
CN217710512U (zh) 用于清洁车辆的高压和低压喷水集成系统及清洁车辆
CN215210797U (zh) 一种小型园林洒水车
CN215669247U (zh) 一种清洁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