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36A -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 Google Patents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36A
KR20210050136A KR1020190134383A KR20190134383A KR20210050136A KR 20210050136 A KR20210050136 A KR 20210050136A KR 1020190134383 A KR1020190134383 A KR 1020190134383A KR 20190134383 A KR20190134383 A KR 20190134383A KR 20210050136 A KR20210050136 A KR 2021005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quid
flow path
cen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335B1 (ko
Inventor
박성영
황준환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수차의 물탱크로부터 전, 후방 송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일정 수압을 가진 물을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유로가 형성된 액체 공급관을 통해 물을 효과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는 살수차의 하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이 유동되는 전, 후방 송수관; 및 상기 전, 후방 송수관으로부터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을 제공받아 도로 상에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전, 후방 분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 후방 분무부는 각각, 일단에 물의 유입을 위한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액체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 및 상기 액체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유로관 및 선회 유로관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관; 일단에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물이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으로 분무구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연결구를 지나 상기 분무구를 통과하면서 무화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가압된 물이 수용되는 액체 챔버가 형성되는 수용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유로관은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토출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회 유로관은 상기 센터 유로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3D LIQUID SPRAY DEVICE FOR SPRINKLER}
본 발명은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수차의 물탱크로부터 전, 후방 송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일정 수압을 가진 물을 복수 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유로가 형성된 액체 공급관을 통해 물을 효과적으로 분무할 수 있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살수차는 도로 등을 청소하기 위해 일정 압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주로 트럭에 물탱크를 적재하는 적재장치와 호스로 물을 뿌리는 살수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고압으로 터널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차도 있다.
살수차는 물탱크를 탑재하며, 물탱크 하부 전, 후방에는 물탱크의 폭과 같은 길이의 전, 후방 송수관을 연결시킨 후 송수관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 후방 노즐이 구성되어 있다.
전, 후방 노즐은 상, 하, 좌, 우로 회동 가능하여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분부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살수차의 전, 후방 노즐은 상, 하, 좌, 우로 회동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209호(2002년 08월 14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분무하는 전, 후방 노즐의 회동이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물의 분무시 분무 각도가 증대되는 것과 동시에 액체의 분무 액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는 살수차의 하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이 유동되도록 구성된 전, 후방 송수관; 및 상기 전, 후방 송수관으로부터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을 제공받아 도로 상에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전, 후방 분무부;를 포함하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로서, 상기 전, 후방 분무부는 각각, 일단에 물의 유입을 위한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액체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 및 상기 액체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유로관 및 선회 유로관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관; 일단에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물이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으로 분무구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연결구를 지나 상기 분무구를 통과하면서 무화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가압된 물이 수용되는 액체 챔버가 형성되는 수용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유로관은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토출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회 유로관은 상기 센터 유로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로관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로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구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유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의 단면적은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센터 유로관의 타단의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에서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으로 향할수록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의하면, 전, 후방 송수관으로부터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을 제공받아 도로 상에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전, 후방 분무부는 각각, 일단에 물의 유입을 위한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액체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 및 상기 액체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유로관 및 선회 유로관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관; 일단에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물이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으로 분무구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연결구를 지나 상기 분무구를 통과하면서 무화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가압된 물이 수용되는 액체 챔버가 형성되는 수용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유로관은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토출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회 유로관은 상기 센터 유로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물을 분무하는 전, 후방 노즐의 회동이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물의 분무시 분무 각도가 증대되는 것과 동시에 액체의 분무 액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가 살수차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의 유동해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가 살수차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 송수관(50, 50') 및 전, 후방 분무부(60, 60')를 포함한다.
전, 후방 송수관(50, 50')은 살수차(10)의 하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이 유동되어 전, 후방 분무부(60, 60')로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 후방 분무부(60, 60')는 액체 공급관(100)을 구비한다. 액체 공급관(100)에는 액체 유입구(101) 및 액체 토출구(103)가 구비된다.
액체 유입구(101)는 아래에서 설명될 액체 챔버(301)로부터 전달받은 물이 유입되는 부분이고, 액체 토출구(103)는 액체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센터 유로관(110) 및 선회 유로관(120)은 액체 유입구(101)와 액체 토출구(103) 사이에 구비된다.
액체 공급관(100)의 길이 대 직경 비율은 5:1 내지 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이 액체 공급관(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동이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액체 공급관(100)은 센터 유로관(110) 및 선회 유로관(120)을 포함한다.
센터 유로관(110)은 액체 유입구(101)로부터 액체 토출구(103)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은 액체 유입구(101)와 연결되고, 타단(110b)은 액체 토출구(103)와 연결된다.
액체 유입구(101)의 단면적은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의 단면적보다 작다. 즉, 액체 유입구(101)의 폭은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의 폭보다 작다. 그리고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의 단면적은 센터 유로관(110)의 중심(110c)의 단면적보다 작다.
센터 유로관(110)의 중심(110c)의 단면적은 액체 토출구(103)와 연결되는 센터 유로관(110)의 타단(110b)의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센터 유로관(110)의 중심(110c) 폭은 액체 토출구(103)의 폭과 같거나 소폭으로 또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유입구(101)의 단면적은 선회 유로관(120)의 단면적보다 작다. 즉, 액체 유입구(101)의 폭은 선회 유로관(120)의 일단(120a)의 폭보다 작다.
선회 유로관(120)의 일단(120a)의 단면적은 선회 유로관(120)의 중심(120c)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선회 유로관(120)의 중심(120c)의 단면적은 액체 토출구(103)와 연결되는 선회 유로관(120)의 타단(120b)의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에서 센터 유로관(110)의 중심(110c)으로 향할수록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을 수 있다.
선회 유로관(120)은 센터 유로관(110)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선회 유로관(120)은 센터 유로관(1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회 유로관(120)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선회 유로관(120)을 통해 물이 소정의 시간 정체되면서 넓게 퍼져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센터 유로관(110)의 중심(110c) 단면적은 선회 유로관(120)의 중심(120c)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물이 선회 유로관(120)보다 센터 유로관(110)을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회 유로관(120)은 두 개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회 유로관(120)은 센터 유로관(1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회 유로관(12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회 유로관(1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액체가 분무되는 각도와 유동되는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액체 공급관(100)에 의하면, 액체 유입구(101)에서 물이 유입되면서 센터 유로관(110)을 지나는 것과 동시에 선회 유로관(120)을 지나면서 좌우 유동이 유발되고, 이 유동을 통해 센터 유로관(110)의 내부에서도 물이 좌우 유동하며 퍼지면서 액체 토출구(103)로 나가게 됨으로써 물의 분무각이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이 센터 유로관(110)의 타단(110b) 및 선회 유로관(120)의 타단(120b)을 통과함과 아울러 액체 토출구(103)로 배출되므로, 즉, 센터 유로관(110)을 통과하는 물이 액체 토출구(103)에서 선회 유로관(120)을 통과한 물과 만나면서 크게 유동되므로 서로 충돌하여 미립화가 일어나면서 분무각이 더욱 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입구(101)를 지나 센터 유로관(110)의 일단(110a) 및 선회 유로관(120)의 일단(120b)을 통과하면서 센터 유로관(110)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센터 유로관(110)을 통과하는 물이 액체 토출구(103)에서 선회 유로관(120)을 통과한 물과 만나면서 크게 유동되므로 유동 각도를 크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이 액체 공급관(100)을 통해 유동하여 분무되므로 분무각이 커지게 되며, 서로 충돌하면서 최종적인 미립화가 일어나 액체의 액적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 분무부(60, 60')에는 분무 노즐(200)이 구비된다. 분무 노즐(200)은 액체가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무 노즐(200)의 일단에는 연결구(201)가 구비된다. 연결구(201)는 액체 토출구(130)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분무 노즐(200)의 타단에는 분무구(203)가 형성된다. 분무구(203)는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 즉, 도로를 향해 분무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무구(203)의 단면적은 연결구(20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액체 유입구(101)는 수용 탱크(300)의 일측과 연통된다. 수용 탱크(300)는 액체 유입구(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탱크(300)의 내부에는 액체 챔버(301)가 형성된다. 액체 챔버(301)에는 가압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방 송수관(50, 5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B)가 설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B)는 전, 후방 송수관(50, 5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B)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 노즐(200)의 연결구(201)의 내측에는 압력감지 센서(500)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감지 센서(500)는 연결구(201)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 측정값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 후방 분무부(60, 60')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 값과 비교하였을 때 기 설정 값보다 낮은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B)를 제어하여 수용 탱크(300)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 공기만을 수용 탱크(30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분무 노즐(200)의 연결구(201) 또는 분무구(203)가 막힌 경우 압축 공기만을 공급하여 분무 노즐(2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에 의하면, 전, 후방 송수관으로부터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을 제공받아 도로 상에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전, 후방 분무부는 각각, 일단에 물의 유입을 위한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액체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 및 상기 액체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유로관 및 선회 유로관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관; 일단에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 물이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으로 분무구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연결구를 지나 상기 분무구를 통과하면서 무화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가압된 물이 수용되는 액체 챔버가 형성되는 수용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유로관은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토출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회 유로관은 상기 센터 유로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물을 분무하는 전, 후방 노즐의 회동이 필요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물의 분무시 분무 각도가 증대되는 것과 동시에 액체의 분무 액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살수차
20: 물탱크
50, 50': 전, 후방 송수관
60, 60': 전, 후방 분무부
100: 액체 공급관
101: 액체 유입구
103: 액체 토출구
110; 센터 유로관
120: 선회 유로관
200: 분무 노즐
201: 연결구
203: 분무구
300: 수용 탱크
301: 액체 챔버
500: 압력감지 센서
B: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5)

  1. 살수차(10)의 하부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이 유동되도록 구성된 전, 후방 송수관(50, 50'); 및 상기 전, 후방 송수관으로부터 일정 압력을 가진 물을 제공받아 도로 상에 무화(atomization)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전, 후방 분무부(60, 60');를 포함하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로서,
    상기 전, 후방 분무부는 각각,
    일단에 물의 유입을 위한 액체 유입구(101)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액체 토출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 유입구 및 상기 액체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터 유로관(110) 및 선회 유로관(120)을 포함하는 액체 공급관(100);
    일단에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결구(201)가 형성되고, 타단에 물이 외부로 분무되는 방향으로 분무구(203)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연결구를 지나 상기 분무구를 통과하면서 무화되도록 액체를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200); 및
    일측이 상기 액체 유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가압된 물이 수용되는 액체 챔버(301)가 형성되는 수용 탱크(30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유로관은 상기 액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액체 토출구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선회 유로관은 상기 센터 유로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로관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로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구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유입구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의 단면적은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토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센터 유로관의 타단의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유로관의 일단에서 상기 센터 유로관의 중심으로 향할수록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KR1020190134383A 2019-10-28 2019-10-28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KR10228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83A KR102289335B1 (ko) 2019-10-28 2019-10-28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83A KR102289335B1 (ko) 2019-10-28 2019-10-28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36A true KR20210050136A (ko) 2021-05-07
KR102289335B1 KR102289335B1 (ko) 2021-08-12

Family

ID=7591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83A KR102289335B1 (ko) 2019-10-28 2019-10-28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127U (ja) * 1991-03-18 1992-09-2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散水車
KR200287209Y1 (ko) 2002-05-16 2002-08-27 하재욱 살수차용 살수노즐
KR100906639B1 (ko) * 2007-11-09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사노즐
KR20170109262A (ko) * 2016-03-21 2017-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셔 노즐
KR20180127421A (ko) * 2016-03-23 2018-11-28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유체 내에 입자를 분산시키는 장치 그리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127U (ja) * 1991-03-18 1992-09-2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散水車
KR200287209Y1 (ko) 2002-05-16 2002-08-27 하재욱 살수차용 살수노즐
KR100906639B1 (ko) * 2007-11-09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사노즐
KR20170109262A (ko) * 2016-03-21 2017-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셔 노즐
KR20180127421A (ko) * 2016-03-23 2018-11-28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유체 내에 입자를 분산시키는 장치 그리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335B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732B2 (en) Multiple discharge orifice spray nozzle
US5199644A (en) HVLP paint spray gun
EP0904842A2 (en) Improved air assisted spray system
KR101185064B1 (ko) 약액 미세분사노즐
CA2668587A1 (en) Dual extinguishment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high velocity low pressure emitters
RU2474452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US20180133726A1 (en) Pressure washer gun with chemical injection and foaming capabilities
CN108636625B (zh) 多模式流体喷嘴
KR101232340B1 (ko) 에어포그 발생장치
CN104428056A (zh) 多组分筒、用于多组分筒的分配装置以及用于混合和喷射可流动组分的系统
EP2744598B1 (en) Multiple discharge air induction spray nozzle assembly
KR102646878B1 (ko) 사전-분무화 협폭부를 구비한 스프레이 노즐,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헤드 및 스프레이 장치
JP5336763B2 (ja) 内面塗装用スプレーガン。
KR20210050136A (ko) 살수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US5295628A (en) Discharge nozzle for media
EP0855938B1 (en) Agricultural and other spraying systems
US6036103A (en) Agricultural spraying systems
CN110167682A (zh) 用于使冲洗液雾化的设备
KR102275396B1 (ko) 액상 염화칼슘 살포차용 3차원 액체 분무 장치
CN101312789B (zh) 多排出孔喷射喷嘴
US10866500B2 (en) Projection apparatus
JP3905752B2 (ja) 吹き付け装置
JP3574048B2 (ja) 塗料流路の洗浄方法及び塗料流路の洗浄装置
CN208912343U (zh) 喷枪本体及喷枪
WO2022186031A1 (ja) 噴霧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