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11Y1 - 살수차용 살수바 - Google Patents

살수차용 살수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11Y1
KR200287211Y1 KR2020020014917U KR20020014917U KR200287211Y1 KR 200287211 Y1 KR200287211 Y1 KR 200287211Y1 KR 2020020014917 U KR2020020014917 U KR 2020020014917U KR 20020014917 U KR20020014917 U KR 20020014917U KR 200287211 Y1 KR200287211 Y1 KR 200287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inkler
bar
fixed
sprink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욱
Original Assignee
하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욱 filed Critical 하재욱
Priority to KR2020020014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11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바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물을 임시저장하고 분배 해주며, 타측면에 물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토출부가 설치는 분배공급부와 상기 분배공급부 중간에 형성되고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과 범퍼 내부에 취부되며 분배공급부를 지지 해주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제2 연결부로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체결부와 결합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유동패널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수차용 살수바{Water sprinkling of bar in water sprinkling of vehicles's}
본 고안은 살수차용 살수바 {Water sprinkling of bar in water sprinkling of vehicles's}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방수방향 및 방수거리 또는 방수높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살수차용 살수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 특장차(特殊 特裝車)라 함은 특수한 장비(裝備)를 갖추고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그 일 예로 소방차, 살수차, 제설차, 청소차, 믹서 트럭 및 탱크 롤리 등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특수 특장차는 대분이 하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용도에 맞는 특수장비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나, 하나 이상의 목적을 수행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에 인해 근래에는 급속한 산업발달과 고도의 기술발달로 인하여 상기한 하나의 특수 특장차에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특수 특장차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즉 차량에 설치되어 유압이면 유압을 공급하고 동력이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필요한 용도에 따라 특수장비를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특수장비를 운전석으로 설치된 통상적인 조작부를 통하여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더 편리성을 갖는 장점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특장차의 적재함에는 제설장비를 설치하여 제설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그 적재함으로 물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살수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으로 살수부를 설치하여 살수용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 적재함으로 청소용 적재함을 설치하면 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차(10), 물탱크(20), 후방 노즐(30), 후방 송수관(40), 전방 송수관(50), 전방 노즐(6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의 전방과 후방에 노즐(30,60)을 포함하는 송수관(40,50)에 노즐에서 살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차(10)의 후방에 물탱크(20)를 탑재하며, 상기 물탱크(20) 하부 전, 후방에 각각 물탱크(20) 폭과 같은 길이의 후방 송수관(40)과 전방 송수관(50)을 연결시킨 후, 상기 송수관(40,5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노즐(30,60)이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20)에 담겨진 물은 노즐(30,60)을 통하여 분사되게 되므로 살수차(10)를 먼지 발생 장소에서 이동시키면 도로나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송수관에 구성되는 분사노즐은 차량의 전방, 후방 범퍼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분사되는 물이 도로와 직교되도록 분사됨에 따라 오히려 도로에 쌓여 있던 이물질 등을 비산시키게 되어 그에 따른 번거러운 후처리 작업을 더욱 심화시키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분사관이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전술한 문제점을 더욱 크게 유발시키는 문제점 및 분사노즐을 통하여 물이 항시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됨에 따라 도로면으로 많은 양의 이물질 등이 쌓여 있을 경우에는 그 많은량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살수차의 하부에 설치 가능하며, 좌, 우로 회동 가능하고, 파손 방지를 위해 범퍼 내부로 수납 가능하게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살수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에 살수바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의 전, 후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의 취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와 살수노즐이 동시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살수차 20,200 : 물탱크
30 : 후방 노즐 40 : 후방 송수관
50 : 전방 송수관 60 : 전방 노즐
300 : 송수관 400 : 살수바
500 : 살수노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살수차의 살수노즐은,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바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물을 임시저장하고 분배 해주며, 타측면에 물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토출부가 설치는 분배공급부와 상기 분배공급부 중간에 형성되고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과 범퍼 내부에 취부되며 분배공급부를 지지 해주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제2 연결부로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체결부와 결합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유동패널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패널의 유동부를 축으로 회동되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살수바는 살수차 전방범퍼와 후방범퍼의 하부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수바와 차량일측에 송수관과 연결되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며, 전방에 물을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후방에 전,후 및 좌,우로 유동되게 에어실린더 장치가 구성되고 차량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살수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차에 살수바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차(100), 운전석(102), 전방 범퍼(104), 후방 범퍼(106), 물탱크(200), 송수관(300), 전방 송수관(302), 살수바(400), 전방 살수바(402)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의 전방과 후방에 원통막대 형상의 살수바(400)를 포함하는 송수관(300)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차(100)는 탑승자가 승차하여 작동하는 운전석(102)과 물탱크(200)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200) 부분은 물을 강제적으로 토출 시키기 위해 고압펌프와 살수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살수차(100) 전방에 구성되는 전방 범퍼(104) 하부에 물탱크(200) 일측에 구비되는 살수펌프와 일반적인 배관으로 전방 송수관(30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송수관(302)은 전방 살수바(402) 중간에 배관된다.
상기 살수바(400)는 좌, 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미사용 시에는 수납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살수차(100) 후방에 구성되는 후방 범퍼(106) 하부에도 살수펌프와 일반적인 배관으로 미도시된 후방 송수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관은 미도시된 후방 살수바 중간에 배관된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의 살수바는 분배공급부(404), 토출부(406), 제1 연결부(408), 제2 연결부(410), 고정패널(412)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의 전방과 후방에 원통막대 형상의 분배공급부(404)에 다수의 토출부(406)를 포함하고, 송수관(300)에 취부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차(100)의 전방범퍼(104)나 후방범퍼(106) 하부에 취부되는 살수바(400)는 물을 분배 해주는 분배공급부(404)에 타측면으로 다수의 토출부(406)가 설치되며, 범퍼 내부에 취부되는 고정패널(412)과 결합되는 연결부(408,410)가 형성된다.
상기 분배공급부(404)는 원통막대형 형상으로 살수차(100)의 폭만큼 구성되며,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토출부(4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공급부(404)의 양쪽 일측에 차량에 취부되는 고정패널(412)과 결합되는 연결부(408,410)가 형성된다.
상기 송수관(302)의 중간 일면에 개폐밸브와 연결호스로 연결되며, 개폐밸브의 작동에 의해 토출부(406)를 통하여 살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출부(406)는 분배공급부(404)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며, 물의세기와 토출되는 물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408,410)는 우측 일측에는 제1 연결부(408)가 좌측 일측에는 제2 연결부(410)가 구성되며, 각각의 연결부(408,410)는 고정패널(412)과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의 전, 후 유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의 살수바는 에어실린더(414), 실린더 로드(416), 체결부(418), 연결고리(420), 후방 입수부(422), 전방 입수부(424), 고정판(426), 유동부(428), 유동패널(43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 전방범퍼 하부에 구성되는 살수바 회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바(400)는 제2 연결부(410)와 결합되는 고정패널(412) 중간에 구성되는 유동부(428)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 연결부(408)와 결합되는 유동패널(430) 타단부에 구성되는 에어실린더(414)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414)는 에어가 공급되는 전방 입수부(424)와 후방 입수부(422)가 호수에 연결되며, 에어실린더(414)는 차체에 취부되는 고정판(42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414)는 실린더 로드(416)가 에어의 힘으로 유동하며, 실린더 로드(416) 타단부에는 유동패널(430) 타단부에 구성되는 연결고리(420)와 결합되는 체결부(418)가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414)는 차체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426)에 고정되며, 차체에 구비되는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에어실린더(414)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통해 입수부(422,424)로 에어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는 전방 입수부(424)로 에어를 공급하면, 실린더 로드(416)가 전방으로 유동되어 살수바(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후방 입수부(422)로 에어를 공급하면 실린더 로드(416)가 후방으로 유동되어 살수바(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실린더 로드(416)는 실린더 내부에서 에어의 힘으로 왕복운동을 하며, 타단부에 체결부(418)가 구성되며, 전진, 후진하면서 살수바(40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418)는 실린더 로드(416)와 연결고리(420)를 결합하는 중간체역할을 하며, 착, 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420)는 유동패널(430) 후방 타단부에 구성되며, 체결부(418)와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416)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유동패널(430)을 동작시킨다.
상기 후방 입수부(422)와 전방 입수부(424)는 에어실린더(414) 일측에 구비되며, 에어호수로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에어는 제어부에서 조절하며, 살수바(400)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부(428)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실린더 로드(416)의 왕복운동으로 살수바(400)가 유동할 때 기준점으로 회동한다.
상기 유동패널(430)은 전방 일측에는 살수바(400)와 체결되는 제1 연결부(408) 결합되고, 후방 일측에는 체결부(418)와 체결되는 연결고리(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패널(430)은 실린더 로드(416)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살수바(400)를 유동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의 취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바의 취부구조는 회전기어(440), 회동기어(442), 회동축(444), 제1 호수연결부(446), 제2 호수연결부(448), 자바라 호수(450), 오목부(452), 걸림쇠(454), 손잡이(456)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바(400)를 포함하는 고정패널(412)이 펌퍼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의 회전으로 살수바(400)가 펌퍼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 전방범퍼(104) 내부에 차량 엔진의 일측과 구동축이 연결되는 회전기어(440)가 구비되고, 회전기어(440)와 맞물려서 구동되는 회동기어(442)는 일체형으로 회동축(4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444) 타단부에는 토출부(406)를 포함하는 분배공급부(404)가 결합된 고정패널(412)이 굴절되게 구성되며, 고정패널(412) 일측에는 살수부(400)가 수납되었을 때 고정시켜 주는 걸림쇠(454)가 삽입되는 오목부(45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공급부(404) 일측에 구비되는 송수관(300)은 중간부분이 자바라 호수(450)로 구성되어 살수부(400)가 수납되기 위해 회동될 때 자바라 호수(450)가 자동적으로 접히고, 자바라 호수(450) 양쪽 타단부는 송수관(300)에 결합되어 하부는 제1 호수연결부(446)와 상부는 제2 호수연결부(448)로 유수가 되지 않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기어(440)는 스퍼기어 형상으로 구성되며, 엔진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440)는 회동기어(442)와 맞물려서 구동되며, 운전석에서 동작을 조절한다.
상기 회동기어(442)는 스퍼 기어 형상으로 구성되며, 회전기어(440)와 맞물려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기어(442)는 회동축(44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회동기어(442)와 회동축(444)이 같이 유동된다.
상기 회동축(444)은 회동기어(442) 일측에 구비되며, 하부에는 오목부(452)가 형성되는 고정패널(412)이 직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호수연결부(446)와 제2 호수연결부(448)는 원형형상으로 볼트부분을 돌리면 조여지도록 구성되며, 자바라 호수(450)와 송수관(300)을 유수가 안되도록 체결된다.
상기 자바라호수(450)는 나사모양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압축과 인장이 가능하여 살수부(400)가 회동해도 송수관(300)의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오목부(452)는 고정패널(412) 후방에 사각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구성되며, 걸림쇠(454)가 삽입되어 살수바(4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걸림쇠(454)는 살수차(100)의 전방범퍼(104)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걸림쇠(454) 일측에 손잡이(4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454)는 살수부(400)가 전방범퍼(104)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오목부(452)에 삽입시켜 살수차(100)의 운행에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걸림쇠(454)는 살수부(400)를 사용할 때 걸림쇠(454)를 오목부(452)에서 이탈시켜 살수부(400)가 회동 되도록 한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수바와 살수노즐이 동시에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수차는 살수노즐(5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살수차(100)의 전방범퍼(104) 하부에 살수바(400)가 구비되고, 살수바(400) 양쪽에 살수노즐(50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살수바(400)는 원통형 형상으로 차량의 폭만큼 구성되고 살수바(400) 일측에 다수의 토출구(406)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살수바(400)를 지지하는 고정패널(412)이 양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살수바(400) 중간에는송수관(300)이 연결되며, 살수노즐(500)보다 상측에 구성된다.
상기 살수바(400)는 차량의 폭만큼 살수를 하며, 살수바(400) 양쪽에 구성되는 살수노즐(500)은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살수를 한다. 그리고 상기 살수차(100)의 이동으로 살수바(500)의 넓은 범위의 살수와 일정부분의 집중적인 살수가 동시에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된 살수차의 살수바는 좌, 우로 유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일정각도로 살수를 할 수 있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살수차에 넓은 범위를 살수하는 살수바와 일정부분을 집중적으로 살수할 수 있는 살수노즐이 함께 구성되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살수차에 구비되는 살수노즐과 살수바는 적은 인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인건비 및 청소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살수차가 살수 지역으로 이동시 살수바를 차량의 범퍼 내부에 수납 할 수 있어 외관미가 향상되고, 살수차의 미미한 충돌에도 살수바의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살수차에 탑재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차용 살수바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물을 임시저장하고 분배 해주며, 타측면에 물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토출부가 설치는 분배공급부;
    상기 분배공급부 중간에 형성되고 물탱크와 연결되는 송수관과 범퍼 내부에 취부되며 분배공급부를 지지 해주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제2 연결부로 고정되는 고정패널;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며, 후측 타단부에는 실린더 로드와 결합되는 체결부와 결합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유동패널; 및
    상기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을 제어하고, 일측에 에어를 공급받는 전방입력부와 후방입력부를 포함하고 차체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의 유동부를 축으로 회동되며, 에어실린더의 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에어실린더의 전방입력부에 에어를 공급하며 살수노즐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바는 살수차 전방범퍼와 후방범퍼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바와 차량일측에 송수관과 연결되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며, 전방에 물을 배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후방에 전,후 및 좌,우로 유동되게 에어실린더 장치가 구성되고 차량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살수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차의 살수바.
KR2020020014917U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바 KR200287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17U KR200287211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917U KR200287211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11Y1 true KR200287211Y1 (ko) 2002-08-27

Family

ID=7312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917U KR200287211Y1 (ko) 2002-05-16 2002-05-16 살수차용 살수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552A (ko) * 2002-05-16 2003-11-22 하재욱 살수차
KR200471759Y1 (ko) 2013-06-28 2014-03-25 (주)금강차체 탈부착형 측면 살수바
KR102475342B1 (ko) * 2022-08-18 2022-12-0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견인모듈을 갖춘 지하 주차장용 전기차 화재 진압 소방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552A (ko) * 2002-05-16 2003-11-22 하재욱 살수차
KR200471759Y1 (ko) 2013-06-28 2014-03-25 (주)금강차체 탈부착형 측면 살수바
KR102475342B1 (ko) * 2022-08-18 2022-12-0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견인모듈을 갖춘 지하 주차장용 전기차 화재 진압 소방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06028A1 (en) Drywall spraying assembly
US20070186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dust and odors
US2009021160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uilt-in vehicle washing and other operations
US20060222438A1 (en) Water floor broom with clean-up squeegee
JPH0451381B2 (ko)
US20080099588A1 (en) Underbody car wash for home use
US8960648B2 (en) Wet dust suppression floor cleaning system
US4009967A (en) Road roller vehicle with water applicator
CN107930889A (zh) 清洗系统
CN115803117A (zh) 用于流体喷射系统的支架和模块化组件
KR200287211Y1 (ko) 살수차용 살수바
KR101664332B1 (ko) 도로 바닥 살수차용 살수구 회전 작동장치
JP5459981B2 (ja) 道路維持車両
KR200287209Y1 (ko) 살수차용 살수노즐
KR20030089552A (ko) 살수차
KR200428523Y1 (ko) 회전노즐을 이용한 세차장치
JP2002081035A (ja) 路面清掃車及び路面の清掃方法
JP2529711Y2 (ja) 散水車
KR100492457B1 (ko) 방음벽 청소장치
CN219753121U (zh) 养护车
JP4109386B2 (ja) 転圧車両における路面用散水タンクの構造
KR102584951B1 (ko) 간이 살수 장치
KR0110808Y1 (ko) 액상물 분무기
EP213171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airborne dust in floor maintenance machines
CN218395159U (zh) 工程机械料斗清洗设备和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