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692A -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 Google Patents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692A
KR20210141692A KR1020217034557A KR20217034557A KR20210141692A KR 20210141692 A KR20210141692 A KR 20210141692A KR 1020217034557 A KR1020217034557 A KR 1020217034557A KR 20217034557 A KR20217034557 A KR 20217034557A KR 20210141692 A KR20210141692 A KR 2021014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forming element
recess
stitch forming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스팅엘
예르크 자우터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4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스티치 형성을 위해, 길이 방향 축(102) 및 수직축(104)과, 하부 가장자리(115), 상부 가장자리(117), 개방된 제1 단부(146) 및 폐쇄된 제2 단부(148)를 가지는 제1 오목부(14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이 있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를 가지는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128)를 위한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가 개시되며,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를 세정하기 위하여 하부 가장자리(124), 상부 가장자리(126), 개방된 제1 단부(120) 및 폐쇄된 제2 단부(122)를 가지는 제2 오목부(118)를 가지며,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이 있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를 포함하며, 직물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스티칭 요소(100)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그 제2 오목부(118)가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서 안내된다.

Description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본 발명은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를 위한 스티치 형성 요소에 관한 것으로,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을 가지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를 가지며, 스티치 형성 요소는 스티치 형성을 위해, 길이 방향 축 및 수직축, 및 하부 가장자리, 상부 가장자리, 개방된 제1 단부. 및 폐쇄된 제2 단부가 있는 제1 오목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을 가지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를 가지는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에 관한 것이다.
싱커(sinker)의 수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교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환편기가 문헌 US 6 176 107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환편기는 프리스트레스된 제한 구성요소가 있는 실린더 배열을 가진다. 사전 인장된 제한 구성요소는 복합 수용 채널에 위치되며, 싱커가 맞물리는 베어링형 표면을 제공하고, 그러므로 싱커의 원치 않는 수직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싱커들은 상단 표면, 바닥 표면 및 전면 가장자리가 있는 하부 노즈를 각각 가진다. 싱커들은 상단 표면, 바닥 표면 및 전면 가장자리가 있는 상부 노즈를 각각 가진다. 하부 노즈의 상단 표면과 상부 노즈의 바닥 표면은 갭의 경계를 정한다. 싱커들은 또한 유지 돌출부를 가진다.
문헌 DE 3325103 A1로부터, 전방 부분을 가지는 편직 또는 경편기를 위한 유지 싱커가 공지되었으며, 여기에서, 안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녹-오버 가장자리(knock-over edge)를 가지는 전방 부분은, 그루부에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고, 제어를 위해 제어 발(control foot)들이 있는 싱커 록에 의해 싱커 지지부에 제공되고, 그루브에 접촉하는 그 밑의 영역이 예리한 가장자리의 단차에 의해 양측부에서 경계가 정해지고, 싱커 스토로크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하나의 단차는 중앙 영역에서 제어 발까지 연장되는 가장자리 오목부에 속하고, 싱커의 상단 측면 상의 가장자리 오목부가 상부 측면에서 전방 부분에 할당되며, 가장자리 오목부는 중앙 영역의 제어 발로부터 전면 싱커부의 내부 단부까지 연장되어서, 2개의 가장자리 오목부 사이에는, 중앙 영역의 제어 발에 길이 방향 변위 방향으로의 탄성을 제공하는 싱커의 좁은 웨브가 있다.
문헌 DE 3325103 A1에 따른 유지 싱커에서, 유지 싱커의 접촉 영역은, 날카로운 가장자리에서 경계가 정해지며, 스티치 형성 과정 동안 바늘과 상호 작용하는 전방 부분을 위한 안내 그루브에서 오물이 쌓이지 않고 그루브의 한쪽 또는 다른쪽 단부를 향해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단차에 의해 밀리는 것을 보장하도록, 유지 싱커의 길이 방향 조정 운동 동안 2개의 경계 단차의 조정 경로가 중첩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문헌 EP 1 793 023 A1로부터, 편직 도구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을 가지는 침상(needle bed), 침상의 채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작업부를 가지는 다수의 편직 도구, 편직 도구를 구동하도록 설정되고, 침상과 편직 캠 박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 안내 공간이 한정되도록 침상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편직 캠 박스, 및 작업부로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공기 안내 공간에 연결되는 공기 컨베이어 디바이스를 가지는 편직기가 공지되어 있다.
문헌 GB 2 177 125 A는 환편기를 위한 강칼 싱커에 관한 것이다. 유지 싱커는 2개의 훅과 3개의 녹-오버 가장자리가 있는 헤드를 가진다. 훅과 녹-오버 가장자리는 제1 오목부를 형성하고, 훅과 녹-오버 가장자리는 제2 오목부를 형성한다. 녹-오버 싱커가 빗 링(comb ring)의 안내 채널에 배열될 때 두 컷아웃은 빗 링 위에 놓인다.
문헌 GB 2 066 861 A는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하부 가장자리, 노즈, 및 비스듬하게 상승하는 상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전방 부분을 가지는 환편기를 위한 싱커를 개시한다. 노즈 아래로부터, 하부 가장자리는 출구 반경만큼 계속된다. 싱커는 싱커 링에 장착되며, 싱커 링은 도시되지 않았으며 또한 상세히 설명되지도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스티치 형성을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를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스티치 형성 요소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8항의 특징을 가지는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로 달성된다. 유리한 디자인 및/또는 추가 개발은 종속항의 요지이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플레이트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길이 방향 축에 직각으로 적어도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길이 방향 축과 수직축은 서로 직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길이 방향 축 및 수직축에 대해 배열된 폭 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길이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길이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또한 길이 방향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수직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수직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또한 수직 방향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폭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폭을 가질 수 있다. 폭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또한 폭 방향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의 높이는 폭의 배수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의 길이는 높이의 배수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에서 안내 및/또는 변위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 및/또는 변위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길이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헤드 섹션, 제1 샤프트 섹션, 제2 샤프트 섹션 및/또는 발 섹션(foot section)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얀 안내 섹션(yarn guide section)을 가질 수 있다. 얀 안내 섹션은 돌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얀 안내 섹션은 얀 안내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얀 안내 섹션은 헤드 섹션에 할당될 수 있다. 얀 안내 섹션은 안내 채널 위로 돌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샤프트 섹션 및/또는 발 섹션을 통해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제1 안내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내 섹션은 헤드 섹션에 할당될 수 있다. 제1 안내 섹션은 스티치 형성 요소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에서 사용하기 위해 배열될 때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 내로 안내되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그 섹션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제1 안내 섹션에 인접하고 및/또는 제1 안내 섹션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샤프트 섹션 및/또는 발 섹션에 할당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실을 파지 및/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또한 스티치 형성 오목부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슬릿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그 짧은 측면에서 개방된 세장형 구멍과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U자형 방식으로 경계가 정해질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수평의 U에 대응하거나 유사하게 경계가 정해질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제1 단부는 헤드측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제2 단부는 샤프트 섹션 및/또는 발 섹션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라는 용어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티치 형성 요소의 배열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또한 제1 가장자리라고 할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는 또한 제2 가장자리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 축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서로에 대해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복수의 제1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로부터 마모된 섬유와 같은 오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또한 세정 오목부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슬릿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그 짧은 측면에서 개방된 세장형 구멍과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U자형 방식으로 경계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수평의 U에 대응하거나 유사하게 경계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1 단부는 헤드측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는 샤프트 섹션 및/또는 발 섹션을 향해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는 제1 단부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얀 안내 섹션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는 적어도 대략 얀 안내 섹션의 영역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라는 용어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티치 형성 요소의 배열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또한 제1 가장자리라고 할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는 또한 제2 가장자리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제2 단부에서보다 제1 단부에서 서로로부터 더 큰 간격을 가진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제1 단부에서보다 제2 단부에서 서로로부터 더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를 향해 넓어질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시스템 부품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편직 도구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날실 편직 도구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싱커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유지 및 녹-오버 싱커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전달 부품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선택 부품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결합 부품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유지 부품이 있는 시스템 부품일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서로 예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는 그 연장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제1 단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α > 5°, 특히 α > 10°, 특히 α = 대략 12°의 개방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 축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하부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 축에 적어도 대략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는 헤드 섹션측의 제1 오목부의 제2 단부의 상류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제2 오목부의 제1 단부에서 적어도 대략 겹쳐서 끝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제2 오목부의 제1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대략 겹쳐서 끝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는 제2 오목부의 제1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대략 동일한 곳에서 끝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화될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화될 수 있다. 하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차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는 작은 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제2 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고, 제2 오목부는 큰 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제2 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은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은 제1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에 비해 클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은 제1 오목부의 제2 단부에서의 반경의 대략 1.5배 내지 대략 3배, 특히 대략 2배일 수 있다.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각각 제2 단부에서 원호로 폐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각각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제 2 단부에서의 전환부로 폐쇄될 수 있다.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각각 가장자리가 없는 전환부로 하부 가장자리와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제2 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헤드 섹션의 하부 절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헤드 부분을 대략 3개로 나눌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안내 섹션에 인접하고 및/또는 제1 안내 섹션으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제1 안내 섹션 아래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안내 섹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다리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환형 그루브에 할당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스티치 형성 요소를 유지하기 위해 환형 그루브에 맞물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섹션은 스티치 형성 요소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에서 사용을 위해 배치될 때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 내로 안내되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그 섹션 아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편직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환편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횡편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경편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환편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는 평탄 경편기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길이 방향 축을 가지는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 기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는 빗 링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는 싱커 링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는 바늘 캐리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단부면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는 환형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환형 그루브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환형 그루브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동심으로 진행할 수 있다. 환형 그루브는 스티치 형성 요소를 유지하고,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의 원주 방향으로 스티칭 형성 요소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에 직각으로 적어도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 수직축을 가질 수 있다.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과 안내 채널의 수직축은 서로 직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 및 안내 채널의 수직축에 대해 배열된 안내 채널 폭 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안내 채널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채널의 길이 방향으로서 또한 지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 수직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안내 채널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안내 채널 수직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또한 채널 수직 방향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안내 채널 폭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으로 안내 채널 폭을 가질 수 있다. 안내 채널 폭 방향 축의 연장부의 방향은 또한 채널 폭 방향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안내 채널 높이는 안내 채널 폭의 배수일 수 있다. 안내 채널 길이는 안내 채널 높이의 배수일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의 길이 방향 축과 안내 채널의 길이 방향 축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의 안내 섹션의 높이와 안내 채널 높이는 적어도 대략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안내 채널의 길이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안내 섹션의 길이에 스티치 형성 요소의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와 후퇴된 제2 단부 위치 사이의 거리를 더한 것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가능한 적은 유격으로 폭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바닥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2개의 벽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은 바닥 섹션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 및/또는 변위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는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와 후퇴된 제2 단부 위치 사이에서 안내 및/또는 변위 가능할 수 있다. 제2 단부 위치에서, 제2 오목부는 제1 단부가 안내 채널 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또한 제2 단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오목부의 제2 단부는 또한 길이 방향으로 안내 채널의 전방에서 있는 제2 단부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자가 세정이 가능하게 된다. 오물이 제거된다. 둔한 작동이 감소되거나 방지된다. 마모가 감소된다. 유지 보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시간 소모, 유지 보수, 세정 및/또는 비용과 같은 지출이 감소된다. 생산성 및/또는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식적으로 및 예로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세정 오목부를 가지는 스티치 형성 요소를 도시하고,
도 2는 스티치 형성 요소의 세정 오목부에서 축적된 오물을 도시하고,
도 3은 스티치 형성 요소가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스티치 형성 요소의 세정 오목부의 도움에 의한 오물의 운반을 도시하고,
도 4는 스티치 형성 요소가 후퇴된 제2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스티치 형성 요소의 세정 오목부로부터 오물의 배출을 도시하고,
도 5는 외부에서 볼 때 스티치 형성 요소가 제1 단부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안내 채널의 분출을 도시하고,
도 6은 내부에서 볼 때 스티치 형성 요소가 제1 단부 위치로 변위된 상태에서 안내 채널의 분출을 도시한다.
도 1은 유지 및 녹-오버 싱커로서 설계된 스티치 형성 요소(100)를 도시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편직기로서 설계된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에 사용되며, 안내 채널에서 안내 및 변위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길이 방향 축(102) 및 수직축(104), 제1 헤드 섹션(106), 제2 헤드 섹션(107), 제1 샤프트 섹션(108), 및 제2 샤프트 섹션(110)을 가진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제1 헤드 섹션(106) 및 샤프트 섹션(108, 110)에서보다 제2 헤드 섹션(107)에서 더 작은 폭을 가진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구동 섹션(112), 구동 가장자리(113), 녹-오버 가장자리(115), 얀 안내 가장자리(117)가지는 돌출 얀 안내 섹션(114), 및 안내 섹션(116)을 가진다. 구동 섹션(112) 및 구동 가장자리(113)는 길이 방향으로 스티치 형성 요소(100)를 변위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가장자리(113)는 헤드 섹션(106)과 제1 샤프트 섹션(108) 사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동 섹션(112)은 제1 샤프트 섹션(108)과 제2 샤프트 섹션(110) 사이에 배열된다. 얀 안내 가장자리(117)를 가지는 얀 안내 섹션(114)은 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헤드 섹션(106)에 할당된다. 안내 섹션(116)은 스티치 형성 요소가 안내 채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고 헤드 섹션(106)에 할당될 수 있도록 스티치 형성 요소(1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스티치 형성 오목부(144)를 가진다. 스티치 형성 오목부(144)는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실을 파지하고 및/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스티치 형성 오목부(144)는 안내 섹션(116) 위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제1 단부(120) 및 폐쇄된 제2 단부(122), 및 수직 방향으로 하부 가장자리(115) 및 상부 가장자리(117)를 가진다. 하부 가장자리(115) 및 상부 가장자리(117)는 각각 직선이고, 서로 그리고 길이 방향 축(102)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스티치 형성 오목부(144)는 비교적 작은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제2 단부(122)에서 폐쇄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세정 오목부(118)를 가진다. 세정 오목부(118)는 직물 기계의 작동 동안 안내 채널로부터 마모된 섬유와 같은 오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 오목부(118)는 안내 섹션(116) 상에 배열되고,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제1 단부(120) 및 폐쇄된 제2 단부(122), 및 수직 방향으로 하부 가장자리(124) 및 상부 가장자리(126)를 가진다.
하부 가장자리(124) 및 상부 가장자리(126)는 각각 직선이고, 제1 단부(120)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보다 큰 거리를 갖고 제2 단부(122)에서 서로로부터 보다 작은 거리를 가지며, 제1 단부(120)를 향해 α= 대략 12°의 개방 각도로 서로를 향해 개방되도록 배열되어서, 세정 오목부(118)는 제2 단부(122)로부터 제1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넓어진다. 세정 오목부(118)는 비교적 큰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제2 단부(122)에서 폐쇄된다. 하부 가장자리(124)는 길이 방향 축(102)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되고, 상부 가장자리(126)는 길이 방향 축(102)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2 단부(122)는 제1 단부(120)의 방향으로 길이 방향(102)으로 얀 안내 섹션(114)의 상류에 있다.
도 2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를 가지는 편직기로서 설계된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128)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를 도시한다.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는 132와 같은 안내 채널을 가지는 빗 링을 가진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안내 채널에서 길이 방향(102)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안내 채널(132)들은 전방에서 빗 링의 상단에 배열되고,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진행한다.
안내 채널(132)들의 각각은 바닥 섹션 및 2개의 벽 섹션을 가지며, 바닥 섹션의 상단을 향해 개방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그 안내 섹션(116)이 바닥 섹션 상에서 안내 채널의 벽 섹션들 사이에서 안내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의 길이 방향 축(102)과 길이 방향 안내 채널 축은 서로 일치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의 안내 섹션(116)의 높이와 안내 채널 높이는 서로 일치한다. 녹-오버 가장자리(115), 및 얀 안내 가장자리(117)를 가지는 얀 안내 섹션(114)은 수직 방향(104)으로 안내 채널(132) 위로 돌출되고, 하부 가장자리(124) 및 상부 가장자리(126)를 가지는 세정 오목부(118)는 안내 채널(132) 내부에 배열된다.
스티치 형성 요소(100)는 작동 동안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와 후퇴된 제2 단부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된 섬유와 같은 오물(134)은 세정 오목부(118)에서 수집된다. 또한, 특히 도 1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제1 단부 위치에서, 세정 오목부(118)는 제1 단부(120)가 안내 채널(132) 위에서 길이 방향(102)으로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물(134)은 스티치 형성 요소(100)가 화살표(136)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세정 오목부(118)의 도움으로 내측으로 운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 형성 요소(100)가 화살표(138) 방향으로 제2 단부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세정 오목부(118)로부터 배출된다. 하부 가장자리(124)의 각진 배열은 아래로의 배출을 지원한다. 또한, 특히 도 1 및 도 2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세정 오목부(118)의 제2 단부(122)가 안내 채널(132)의 전방에서 길이 방향(102)으로 제2 단부 위치에 배열되어서, 스티치 형성 요소(100)의 제2 단부 위치에 있는 세정 오목부(118)는 안내 채널(132)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치 형성 요소(100)의 제2 단부 위치에 있는 안내 채널(132)은 작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정 공기(140)로 세정될 수 있다. 도 5는 외부에서 볼 때 스티치 형성 요소(100)가 제2 단부 위치로 변위된 안내 채널(132)의 분출을 도시하며, 도 6은 내부에서 볼 때 스티치 형성 요소(100)가 제2 단부 위치 내로 변위된 안내 채널(132)의 분출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또한 제1 단부 위치로 변위된 스티치 형성 요소(142)를 도시한다. 또한, 특히 도 1 내지 도 4 및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할 수 있다"라는 단어는 특히 본 발명의 선택적 특징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각각의 특징부 또는 각각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지는 본 발명의 추가 개발 및/또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또한 존재한다.
필요한 경우에, 분리된 특징부들은 또한 본 경우에 개시된 특징부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청구범위의 요지를 한정하는 동시에 특징부들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관계를 해결하도록 다른 특징부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100 : 스티치 형성 요소 102 : 길이 방향 축, 길이 방향
104 : 수직축, 수직 방향 106 : 제1 헤드 섹션
107 : 제2 헤드 섹션 108 : 제1 샤프트 섹션
110 : 제2 샤프트 섹션 112 : 구동 섹션
113 : 구동 가장자리 114 : 얀 안내 섹션
115 : 하부 가장자리, 녹-오버 가장자리 116 : 안내 섹션
117 : 상부 가장자리, 실 안내 가장자리 118 : 제2 오목부, 세정 오목부
120 : 제1 단부 122 : 제2 단부
124 : 하부 가장자리 126 : 상부 가장자리
128 : 직물 기계 130 :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
132 : 안내 채널 134 : 오물
136 : 화살표 방향 138 : 화살표 방향
140 : 세정 공기 142 : 스티치 형성 요소
144 : 제1 오목부, 스티치 형성 오목부 146 : 제1 단부
148 : 제2 단부

Claims (9)

  1. 스티치 형성을 위해, 길이 방향 축(102) 및 수직축(104)과, 하부 가장자리(115), 상부 가장자리(117), 개방된 제1 단부(146) 및 폐쇄된 제2 단부(148)를 가지는 제1 오목부(14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이 있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를 가지는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128)를 위한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를 세정하기 위하여 하부 가장자리(124), 상부 가장자리(126), 개방된 제1 단부(120) 및 폐쇄된 제2 단부(122)를 가지는 제2 오목부(1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118)의 하부 가장자리(124)는 상기 길이 방향 축(102)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118)는 α > 5°, 특히 α > 10°, 특히 α = 대략 12°의 개방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오목부(118)의 제2 단부(122)는 헤드 섹션측 상에서 상기 제1 오목부(144)의 제2 단부(148)의 상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118)의 제1 단부(120)에 있는 상기 하부 가장자리(124) 및/또는 상기 상부 가장자리(126)는 적어도 대략 겹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144)는 작은 반경을 가진 호 형상으로 상기 제2 단부(148)에서 폐쇄되며, 상기 제2 오목부(118)는 큰 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상기 제2 단부(122)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118)는 상기 스티치 형성 요소의 헤드 섹션(106, 107)의 하부 절반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
  8.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이 있는 스티치 형성 요소 캐리어(130)를 가지는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128)에 있어서,
    상기 직물 기계(128)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는 제2 오목부(118)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기계(128).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티치 형성 요소(100, 142)는 연장된 제1 단부 위치와 후퇴된 제2 단부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102)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에서 안내되며, 상기 제2 단부 위치에 있는 제2 오목부(11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채널(132)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기계(128).
KR1020217034557A 2019-04-02 2020-04-01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KR20210141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6731.0 2019-04-02
EP19166731 2019-04-02
PCT/EP2020/059304 WO2020201380A1 (de) 2019-04-02 2020-04-01 Maschenbildungselement und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692A true KR20210141692A (ko) 2021-11-23

Family

ID=6609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557A KR20210141692A (ko) 2019-04-02 2020-04-01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46451B2 (ko)
EP (1) EP3947799B1 (ko)
JP (1) JP2022528537A (ko)
KR (1) KR20210141692A (ko)
CN (1) CN113710842B (ko)
BR (1) BR112021018745A2 (ko)
ES (1) ES2955016T3 (ko)
TW (1) TW202104703A (ko)
WO (1) WO2020201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7886B (zh) * 2021-01-11 2022-05-17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针织横机的压纱装置及其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3864A (en) 1945-08-18 1946-07-09 Fidelity Machine Company Inc Sinker guide for knitting machines
DE1180876B (de) 1960-07-18 1964-11-05 Benjamin Fried Rundstrickmaschine mit ausserhalb des Nadelkreises gelagerten Einschliessplatinen
US3377823A (en) * 1966-02-16 1968-04-16 Scott & Williams Inc Needle cylinder assembly for knitting machines
CS212389B1 (en) * 1980-01-02 1982-03-26 Otokar Chladek Sinker of the knitting machine
DE3325103A1 (de) * 1983-07-12 1985-01-31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470 Albstadt Einschliessplatine fuer strick- oder wirkmaschinen
GB2177125B (en) * 1985-05-17 1988-09-01 Orizio Paolo Spa Improved knocking-over sink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2928405B2 (ja) * 1991-04-19 1999-08-03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除塵装置
DE4129845A1 (de) * 1991-09-07 1993-03-11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ueschwaren
US5477707A (en) * 1994-12-08 1995-12-26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High speed sink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5564291A (en) 1995-05-11 1996-10-15 Tsai; Ji-Tsair Round knitting machine sinker with scraper
US6176107B1 (en) * 1999-05-27 2001-01-23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replaceable member for restricting vertical movement of sinkers
TW435455U (en) * 1999-09-23 2001-05-16 Chen Ho Shou Sinker for double face raising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743525A (zh) * 2004-08-30 2006-03-08 株式会社福原精机制作所 使用圆型针织机的绒布织物的针织方法以及其所使用的沉降片
DE102005057354B3 (de) * 2005-12-01 2007-06-21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 mit Luftzuführung
CN202181418U (zh) * 2011-07-17 2012-04-04 赵信祥 一种织袜机用生克片
CN102817168B (zh) * 2012-04-12 2016-04-06 洪荣豪 圆编毛巾编织机的剪毛装置
CN207878001U (zh) * 2018-01-31 2018-09-18 泉州市旺达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单面机型生克片
CN207878000U (zh) * 2018-01-31 2018-09-18 泉州市旺达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单面机型生克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537A (ja) 2022-06-14
CN113710842B (zh) 2023-07-14
TW202104703A (zh) 2021-02-01
BR112021018745A2 (pt) 2022-02-15
WO2020201380A1 (de) 2020-10-08
CN113710842A (zh) 2021-11-26
US20220195643A1 (en) 2022-06-23
ES2955016T3 (es) 2023-11-28
EP3947799B1 (de) 2023-06-07
EP3947799A1 (de) 2022-02-09
US11746451B2 (en) 2023-09-05
EP3947799C0 (de)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103957A1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US5138849A (en) Flat knitting machine
CN107109728A (zh) 用于添纱针织的导纱器的圆形袜类针织机、特别是双筒型针织机
US20070144219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with interspacing
US20040172981A1 (en) Method for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KR20210141692A (ko) 스티치 형성 요소 및 스티치 형성 직물 기계
SU1591817A3 (ru) Вязальная машина
US4314461A (en) Knitting machine with latchless needles cooperating with external hook-type elements
EP0717797B1 (en) Device for holding down the stitches being formed in a flat knitting machine
KR20160124893A (ko) 환편기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GB2182951A (en) Knitting machine
US5231854A (en)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needles and sinkers
US20220195644A1 (en) Support and control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20220186413A1 (en) Support and control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101118028B1 (ko) 홀딩 다운 싱커들이 없는 편물기
US2721461A (en) Yarn carrier for full-fashioned knitting machines
JP7499792B2 (ja) 丸編み機において複合針でプレーティングを行う方法及び編み機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KR970000032Y1 (ko) 단일 니트 이중 테리천 원형 편물기
JP2023064006A (ja) パイル編成用横編機およびシンカー、ならびに横編機でのパイル編成方法
SU739152A1 (ru) Движкова игла дл в зально-прошивных и основов зальных машин
WO2005035850A1 (en) System for changing the level of gauge of fabric obtained with rectilinear knitting machines and releva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