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779A -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779A
KR20210134779A KR1020217032578A KR20217032578A KR20210134779A KR 20210134779 A KR20210134779 A KR 20210134779A KR 1020217032578 A KR1020217032578 A KR 1020217032578A KR 20217032578 A KR20217032578 A KR 20217032578A KR 20210134779 A KR20210134779 A KR 2021013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ver
steering wheel
recess
attachmen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포그나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3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moulding interconnected elements which are mov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e.g. chains or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Coating ann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7Steer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10), 및 프레임(10)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21)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에 의해 형성된 커버(20)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커버(2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 및 - 커버의 몸체(21)와 삽입체(27)의 조립이 리세스(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하도록 상기 삽입체(27)를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27)는 커버의 몸체(21)와 단일편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차량의 분야, 특히, 예를 들어, 모터 차량을 위한 스티어링 휠과 같은 스티어링 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휠은 전형적으로 허브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허브로부터 연장되는 스포크가 허브를 코어 또는 림에 연결시키고, 코어 또는 림은 스티어링 휠의 원형 또는 본질적으로 원형인 부분을 형성한다. 스티어링 휠의 백본(backbone) 또는 스켈레톤(skeleton)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경금속의 압력 하에서 사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프레임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PU, PUR)로부터 얻어지는 우레탄 폼에 의해 오버몰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에서, 프레임의 오버몰딩은 스티어링 휠의 포밍(foaming) 작업을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은 프레임을 대체로 2개의 부품, 즉 하나는 하부 부품, 다른 하나는 상부 부품으로 형성된 주형 내에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주형은, 미리정의된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공급 채널을 통해 압력 하에서 주입되는 캐스팅(액체 형태의 하나 또는 수 개의 화학물질)으로 충전될 수 있는 스티어링 휠 공동을 포함한다. 화학 반응에 의해, 이들 조건은 프레임의 거친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캐스팅이 폼으로 변화되게 하고, 소정 시간 후에 고형화 및 경화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커버는 본질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부분을 덮을 것이지만, 또한 스포크로 연장될 수 있다. 일단 주형 밖으로 나오면, 이러한 커버는, 특히 스티어링 휠 둘레에 캐스팅된 과잉 폼을 제거하기 위해 디버링(deburring)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티어링 휠은 이어서,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천연 또는 인공 피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시스(sheath)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러한 마지막 작업은 대체적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지며, 작업자는 커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피혁의 시딩(sheathing)을 신장시키고, 이를 재봉하여 폐쇄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특히 스티어링 휠을 해제하지 않고서 소정 기능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운전 동안의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은 현재 제어 버튼, 종종 심지어 센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 버튼 및 다른 장비는, 스티어링 휠 내에, 특히 그의 커버 내에,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의 오버몰딩의 작업(포밍)에 의해 커버의 표면 상에 남아 있는 채널들 내에 은폐된 전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공급 및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들 채널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는, 시딩이 스티어링 휠에 적용될 때, 이들 채널 내에 배열된 전선이 스티어링 휠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의도적으로 신장된 시딩을 통해 느껴질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전선 또는 케이블이 채널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또는 역으로, 이것이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너무 멀리 삽입되거나 또는 이것이 배치되는 채널을 완전히 충전하지 않는 경우, 융기부(ridge) 또는 변형부가 시스의 적용 후에 느껴질 수 있다.
더욱이, 사출 방법 및 사출 작업 동안의 2개의 주형 부품의 이동은 스티어링 휠 상의 채널의 위치설정을 제한하여, 채널이 가장 관심을 끌지 않을 곳에 반드시 배열되지는 않게 한다. 그것의 위치는 스티어링 휠의 탈형(demoulding)을 허용하여야 하며, 최소 사출 두께가 준수되어야 한다.
기능적 관점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스티어링 휠이 양호하게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스티어링 휠은 또한 운전자의 쾌감 및 편안함을 위해 터치에 대해 만족이 있어야 하고, 흠없는 심미감 및 인체공학을 만족시켜야 한다. 어떤 경우든,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스티어링 메커니즘과 운전자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중요한 요소를 구성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075003호는 스티어링 휠이 시각적 태양뿐만 아니라 촉각적 감촉 둘 모두로부터 자연스러운 목재의 패턴 및 텍스처로 형성된다는 인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문헌의 스티어링 휠의 커버는 2개의 부품으로부터 제조된다. 제1 부품은 프레임의 코어 또는 림 상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C-형상의 단면을 채택하는 주 부분이다. 이러한 제1 부품은 커버의 전면을 구성한다. 제2 부품은 후면 상에 위치되고, 제1 부품에 의해 남겨진 C-형상의 개방 부분을 폐쇄하도록 의도된 삽입체를 포함한다.
운전자가 잡기에 만족스럽도록 스티어링 휠의 편안한 감촉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지만,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전선과 같은 부재를 그 내부에 배열하기 위해 리세스 또는 채널이 제조된 커버 상에 적용되는 시딩으로부터 초래되는 융기부 또는 변형부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더 적절하고 효율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프레임, 및 프레임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에 의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 커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 및
- 커버의 몸체와 삽입체의 조립이 리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하도록 상기 삽입체를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커버의 몸체와 단일편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커버에 제공된 리세스는, 예를 들어, 전선과 같은 하나 또는 수 개의 비구조적 부재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유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 공간은 또한 완전히 점유되거나 비어 있는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부재에 의한 공간의 점유 또는 충전의 정도와 무관하게, 조립 동안 삽입체에 의한 공간의 커버리지(coverage)는 연속 또는 균질한 표면을 구비한 커버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표면은, 일단 시스가 적용되어 커버 상으로 신장되면 임의의 융기부, 절첩부, 만입부 또는 다른 변형부가 없는 최적의 시딩이 보장되게 한다.
더욱 유리하게는, 이러한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은, 그것이 최소 비용 또는 노력으로 예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특히 효율적이다. 실제로, 삽입체와 커버의 몸체가 단일편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커버의 모든 부품을 얻기 위해 하나 초과의 성형 작업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프레임의 오버몰딩 및 이러한 오버몰딩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주형 내로 주입되는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채널들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커버의 몸체 및 삽입체가 단일편의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반드시 서로 연결되어, 그에 따라 주형 내의 하나의 동일한 공동을 구성한다. 더욱이, 삽입체가 포밍의 나머지와 동시에 주입되기 때문에, 포밍으로부터의 모든 요소가 동일한 유연성을 가질 것이고 유사한 사출 특성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취급 또는 수송 동안, 유리하게는, 커버의 몸체로부터 의도적으로 탈착되지 않고서 삽입체를 잘못 배치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이는 단지 하나의 부품만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단지 하나의 부품 레퍼런스만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체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브리지에 의해 커버의 몸체에 부착됨으로써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함몰부는 커버의 몸체 및/또는 삽입체의 주연부 내에 추가로 제공되고, 부착 브리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방법의 하나의 특정 단계에 따르면, 부착 브리지는 삽입체로부터 그리고/또는 커버의 몸체로부터 탈착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브리지는 상기 함몰부 내로 삽입된다. 예를 들어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부착 브리지는 커버의 몸체에 대해 삽입체를 절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동으로 함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함몰부는 부착 브리지의 전방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브리지를 절삭하는 작업을 제한하여, 이에 의해 시간, 재료를 절약하고 스크랩을 관리해야 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브리지는 몸체와 삽입체 사이에 힌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조 방법은 힌지를 형성하는 부착 브리지를 절첩함으로써 삽입체를 리세스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부착 브리지를 절단하는 작업을 제거하고, 이는 조립 작업을 단순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는 커버의 몸체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세스는 삽입체 내에, 또는 심지어 부분적으로 커버의 몸체 내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삽입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삽입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함몰부 및/또는 리세스는 커버의 성형 동안 얻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는 리세스의 형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칭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는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는, 삽입체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이한 부품들의 더 양호한 결합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삽입체와 커버의 몸체의 상기 조립 전에, 상기 리세스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는 전기 부재이다. 따라서, 본 방법은 스티어링 휠의 포밍에 있어서 하나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들의 세트와 같은 전기 부재를 간단하게 그리고 큰 설계 자유도로 통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수 개의 삽입체를 포함한다. 수 개의 삽입체의 사용은 림의 일반적인 곡률로 인해 사출 주형의 크기를 제한하면서 커버의 더 큰 표면적을 덮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 또는 삽입체들은 커버의 몸체와 단일편으로 그들의 제조 동안 커버의 주연부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몸체는 조인트 평면(joint plane)을 갖고, 상기 부착 브리지는 상기 조인트 평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커버를 위한 사출 주형의 설계를 단순화한다.
다시 말하면, 삽입체와 커버의 몸체는 본 방법의 동일한 단계에서 제조되어, 따라서 단일편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삽입체와 커버의 몸체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삽입체 및 커버의 몸체를 제조하는 단일 단계의 완료 시에, 삽입체와 커버의 몸체 사이에 재료가 연속적인 부분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제조가 성형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주형의 출구에서, 삽입체 및 커버의 몸체는 하나의 동일한 부품이고, 이때 제1 부분은 삽입체를 형성하도록 의도되고, 제2 부분은 커버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의도되며, 두 부분들 모두는 예를 들어, 브리지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2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대한, 그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본 방법의 구현에 의해 얻어지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 태양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에 의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은, 커버의 오버몰딩된 몸체 및 삽입체가 단일편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의 일 단부는 커버의 시딩 홈에 인접한다. 시딩 홈은,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피혁으로 제조되고, 커버의 주연부에서 접착되고/되거나 재봉되는, 시스의 시임(seam)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중공 형상이다. 삽입체의 단부가 그러한 홈에 인접할 때, 이는 시스의 시임이 이러한 영역 내에 있기 때문에 접합부의 가시성의 위험을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의 2개의 단부는 커버의 2개의 상이한 시딩 홈에 인접한다.
제3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제4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방법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또는 이들 실시예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대상인, 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사출 주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삽입체가 여전히 커버의 몸체에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삽입체들 중 하나의 삽입체 전방의 스티어링 휠의 더 상세한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것과 유사한 도면에서의, 그러나 리세스를 덮기 위해 삽입체가 커버의 몸체 상에 조립된 이후의 단계에서의 스티어링 휠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은 프레임(10) 및 커버(20)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은 전형적으로 커버(20)에 의해 프레임(10)을 오버몰딩함으로써 얻어진다. 합금 또는 경금속, 예컨대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프레임(10)은 전형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스켈레톤 또는 백본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허브(11)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스포크(13)가 연장되고, 스포크(13)는 허브(11)를 코어 또는 림(15)에 연결시킨다. 상기 림은 스티어링 휠에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제공하는 구조물의 부분을 구성한다.
커버(20)는 본질적으로 프레임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21),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에 대한 커버의 적어도 부분적인 오버몰딩은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를 위해, 프레임(10)은 스티어링 휠(1)을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주형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주형은 대체적으로 2개의 부품, 전형적으로 상부 반부 및 하부 반부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우레탄 폼(PU, PUR)과 같은 재료가 주입될 수 있게 하는 사출 채널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을 성형하는 작업, 즉 그의 프레임의 적어도 부분적인 오버몰딩은 또한 당업자에 의해 포밍으로 불린다. 소정 시간 후에 그리고 소정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주입된 폼은 고형화되고, 이어서 경화될 것이다.
도 1에서는 커버(20)가 몸체(21)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삽입체로 형성되고, 이 예에서는 삽입체들 중 4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삽입체(27)는 커버의 몸체의 정합 부품을 구성하며, 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의 제조 방법은 특히:
- 커버(2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 및
- 커버의 몸체(21)와 삽입체(27)의 조립이 리세스(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를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삽입체(27)는 커버의 몸체(21)와 단일편으로 얻어진다. 이러한 특징부는 도 2에 더 잘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휠(1)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더 구체적으로는 삽입체(27)들 중 하나의 전방에서 스티어링 휠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리세스(22)(도 2에서 더 잘 볼 수 있음)는 스티어링 휠의 커버의 몸체(21)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32)의 배열을 허용할 것이다. 도 1의 예에서, 이러한 부재(32)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1)의 제어 버튼(35)(도 3)에 연결될 수 있는 전선들, 특히 전선들의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그러한 제어 버튼(35)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오디오 기능, 원격 무선 연결, 속도 조절기, 온보드 컴퓨터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차량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커버(20) 내에 제공된 리세스(22)는 자유롭게 남겨둘 수 있는 공간, 또는 커버(20)의 바람직하지 않은 표면 효과를 생성하지 않고서 적어도 하나의 부재(32)에 의해 점유될 수 있는, 다시 말하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점유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커버(20) 상으로 연신된 상태로 적용된 임의의 시스(41)(도 4)는 융기부, 틈새(crevice) 또는 절첩부와 같은 어떠한 변형부도 느낄 수 있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결과로서, 전술한 이점은 특히 효율적으로 추가로 얻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커버의 각각의 삽입체(27)가 프레임의 오버몰딩 동안, 즉 하나의 동일한 작업에서 프레임의 몸체와 단일편으로 유리하게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더욱이, 단일편으로 프레임의 커버를 얻는 것은 재료의 추가적인 사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 유리하게는, 몸체(21)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삽입체(27)를 포함하여, 이러한 커버를 단일편으로 얻는 것은 생산 라인에서 커버의 요소의 수송, 취급, 보관 및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삽입체(또는 삽입체들) 및 몸체를 단일편으로 얻는 것은 성형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27)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브리지(25)에 의해 커버(20)의 몸체(21)에 부착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브리지는, 몸체(21) 및 이 몸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로 형성된 커버를 단일편으로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이부 또는 연결 요소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착 브리지(25)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삽입체를 이러한 몸체와 함께 제조하는 동안 커버의 몸체에 각각의 상보적인 부품 또는 삽입체(27)를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착 브리지(25)는 2개의 단부를 포함하는데, 하나는 몸체에 접하고 다른 하나는 삽입체에 접한다. 대안적으로, 2개 초과의 단부를 갖는 연결 브리지, 예를 들어 3개의 단부를 포함하는 Y 자형 부착 브리지, 또는 4개의 단부를 갖는 H 자형 부착 브리지를 얻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상기 브리지가 I의 형상으로 된 경우 일 단부를 갖는 부착 브리지를 고려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며, 단순하게는 몸체 및 그에 연결된 삽입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와이어일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가장 잘 보이는 일 실시예에서, 함몰부(24)가 몸체(21)의 주연부 내에 제조되고, 부착 브리지(25)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거나 그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20) 내에 부착 브리지들이 있는 것만큼 많은 함몰부들(24)이 존재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함몰부는 부착 브리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만입부일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리세스(22)를 덮기 위해 삽입체(27)가 몸체(21) 상에 조립될 때 부착 브리지(25)가 몸체(21)와 (바람직하게는 자유롭게) 매칭되고 통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만입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함몰부(24)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삽입체(27)의 주연부 내에, 심지어 부분적으로 몸체(21)의 주연부 내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삽입체(27)의 주연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부착 브리지(25)가 삽입체(27)로부터 그리고/또는 커버의 몸체(21)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제로, 삽입체(27)와 몸체(21)를 조립할 수 있기 위해, 몇몇 시나리오가 고려될 수 있다.
제1 시나리오에서, 몸체(21)는, 예를 들어 몸체(21)에 접해 있는 이러한 브리지의 단부(들)를 절단함으로써 부착 브리지(25)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시나리오에서, 유리하게는, 몸체(21)가 특히 삽입체(27)와 일체로 유지되는 부착 브리지(25)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함몰부(24)를 포함하기 때문에, 부착 브리지(25)를 삽입체(27)로부터 분리해야 할 필요가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부착 브리지(25)의 단일 단부, 이 경우에 몸체(21)에 접하는 단부의 절단이 삽입체(27)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화살표 F에 의해 제공된 예시에 따르면, 삽입체와 몸체의 조립을 수행하기 위해 몸체(21)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어서, 함몰부(24)는 바람직하게는, 삽입체(27)와 일체로 유지되는 부착 브리지(25)와 매칭하도록 제공될 것이다.
제2 시나리오에서, 삽입체(27)는, 예를 들어 삽입체(27)에 접해 있는 이러한 브리지의 단부(들)를 절단함으로써 부착 브리지(25)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시나리오에서, 부착 브리지(25)에 인접한 위치에서 몸체(21) 내에 함몰부(24)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브리지는, 특히 스티어링 휠을 시딩하는 후속 작업 동안 이들 함몰부(24) 내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각각의 부착 브리지에는 커버의 몸체의 주연부에서, 그의 함몰부에 대하여 절첩되도록 하기 위해 그의 절첩, 전형적으로 매칭을 용이하게 하는 넥킹(necking) 또는 취약선(line of weakness)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시나리오에서, 삽입체(27) 및 몸체(21) 둘 모두가 부착 브리지(25)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부착 브리지(25)의 완전한 분리를 얻기 위해 2개의 절단부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들 부착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폐기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몰부(24)가 그 목적을 위해 커버 몸체 내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함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4 시나리오에서, 삽입체(27) 및 몸체(21)가 부착 브리지(25)로부터 탈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들 브리지는, 한편으로는 삽입체가 몸체와의 그들의 조립 동안 몸체(21) 상으로 절첩되거나 접어 젖혀질(turned down)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조립 위치에서 각각의 부착 브리지(25)가 매칭 함몰부(2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것이다. 따라서, 부착 브리지(25)가, 예를 들어 삽입체(27)를 커버의 몸체(21)에 대하여 절첩하거나 접어 젖히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동에 의해 함몰부(24) 내로 삽입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일 실시예에서, 부착 브리지(25)는 몸체(21)와 삽입체(27) 사이에 힌지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본 방법은 힌지를 형성하는 부착 브리지를 절첩함으로써 삽입체(27)를 리세스(22)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포함할 것이다.
이들 시나리오 각각은 삽입체의 표면이 몸체의 표면의 연장부에 위치되도록 몸체(21)와 삽입체(27)의 조립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들 각각에서, 부착 브리지가 그 목적을 위해 제공된 함몰부(24) 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몸체(21)의 표면에 대한 부착 브리지(25)의 표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몸체, 삽입체 및 적용가능하다면 부착 브리지의 표면들은 유리하게는, 서로 일렬로 될 수 있어서, 커버(20)가 그러한 조립 후에, 일단 스티어링 휠을 시딩하는 후속 작업이 수행되었으면 시스 상에 변형을 남기지 않고서 리세스(22)를 은폐하는 단일화된 또는 균일한 표면을 갖게 한다.
특히, 몸체(21) 및 삽입체(27)가 부착 브리지(25)로부터 탈착되지 않을 때, 함몰부(24)는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몸체와 삽입체의 조립 동안 부착 브리지가 그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부착 브리지의 전방에 제조될 것이라는 점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22)는 커버의 몸체(21)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세스(22)는 삽입체(27) 내에, 또는 부분적으로 몸체(21) 내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삽입체(27)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세스가 삽입체(2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체(27)는 리세스(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체와 몸체의 조립은 인터로킹(interlocking) 및/또는 접합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커버의 몸체 및 삽입체는 서로 조립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체(27)는 리세스(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몸체(21)는 삽입체(27)와 일체형인 매칭 핀 또는 다른 돌출부(28)(도 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막힌 구멍(23)(도 1, 도 2 및 도 4)을 포함할 수 있다. 막힌 구멍(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리세스(22)의 에지에서 삽입체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몸체(21)의 호스트 표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막힌 구멍은 또한 삽입체 내에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핀은 커버의 몸체의 일부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삽입체와 몸체의 조립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인터로킹 수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상보적인 형상들은 삽입체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이한 부품들의 더 양호한 결합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22)는 커버의 성형 동안, 즉 포밍 작업 동안 얻어진다. 유리하게는,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는, 예를 들어 그 내에 리세스를 생성하기 위해 커버(20)의 일부분을 밀링하는 것과 같은 후속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동일한 이유로, 이는 또한 함몰부(24)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삽입체를 커버의 몸체와 조립하기 전에 리세스(22)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32)를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부재(32)는 전기 부재,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수 개의 전기 도체 또는 와이어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휠(1)은 바람직하게는 수 개의 삽입체(27)를 포함한다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리세스(22) 내에 부재(32)를 배열하고 삽입체(27)와 몸체(21)의 조립을 진행한 후에, 스티어링 휠(1), 특히 커버(20)를 시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이러한 시딩 단계는 시스(41)(도 4)에 의해 얻어진 커버 또는 그 일부를 시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는 전형적으로 커버(20) 둘레에서, 다시 말하면 몸체(21)와 삽입체(27)의 조립체 둘레에서 또는 이러한 조립체의 일부 둘레에서 신장된다. 그러한 시스(41)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피혁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부터 생성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41)를 시딩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 또는 존재 센서와 같은 다른 요소를 시딩함으로써 선행될 수 있다. 커버와 외부 시스 사이의 이러한 요소의 존재는 삽입체와 커버 사이의 접합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임의의 결함을 숨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제1 태양의 방법의 구현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방법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또는 이들 실시예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얻어지는 스티어링 휠(1)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 태양은 프레임(10), 및 이러한 프레임(10)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21)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에 의해 형성된 커버(20)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스티어링 휠(1)은, 커버(20)의 오버몰딩된 몸체(21) 및 삽입체(27)가 단일편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스티어링 휠(1)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 태양에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방법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또는 이들 실시예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사출 주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5)

  1. 프레임(10), 및 상기 프레임(10) 상에 오버몰딩된 몸체(21) 및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27)에 의해 형성된 커버(covering)(20)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커버(2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2)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 및
    - 상기 삽입체(27)와 상기 커버의 몸체(21)의 조립이 상기 리세스(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게 하도록 상기 삽입체(27)를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27)는 상기 커버의 몸체(21)와 단일편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27)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브리지(25)에 의해 상기 커버의 몸체(21)에 부착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함몰부(24)는 상기 커버의 몸체(21) 및/또는 상기 삽입체(27)의 주연부 내에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부착 브리지(25)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브리지(25)는 상기 삽입체(27)로부터 그리고/또는 상기 커버의 몸체(21)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브리지(25)는 상기 함몰부(24) 내로 삽입되는 것을 추가로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브리지(25)는 상기 몸체(21)와 상기 삽입체(27) 사이에 힌지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조 방법은 힌지를 형성하는 상기 부착 브리지(25)를 절첩함으로써 상기 삽입체(27)를 상기 리세스(22) 내로 삽입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는 상기 커버의 몸체(21)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22)는 상기 삽입체(2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27)는 상기 리세스(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몸체(21)와 상기 삽입체(27)의 상기 조립 전에, 상기 리세스(22)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부재(32)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32)는 전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1)은 수 개의 삽입체들(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몸체(21)는 조인트 평면(joint plane)을 갖고, 상기 부착 브리지(25)는 상기 조인트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 의해 얻어지는 스티어링 휠(1).
  15. 제14항에 따른 스티어링 휠(1)을 포함하는 모터 차량.
KR1020217032578A 2019-03-15 2020-03-11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KR20210134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2704A FR3093696B1 (fr) 2019-03-15 2019-03-15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olant de direction
FRFR1902704 2019-03-15
PCT/EP2020/056439 WO2020187655A1 (fr) 2019-03-15 2020-03-11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olant de dir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779A true KR20210134779A (ko) 2021-11-10

Family

ID=6787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578A KR20210134779A (ko) 2019-03-15 2020-03-11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85357A1 (ko)
JP (1) JP2022525229A (ko)
KR (1) KR20210134779A (ko)
CN (1) CN113544042B (ko)
DE (1) DE112020000858T5 (ko)
FR (1) FR3093696B1 (ko)
WO (1) WO2020187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3134A1 (de) * 2016-11-30 2018-05-30 Dalphi Metal Espana, S.A. Lenkrad, Bedieneinheit für ein solches 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und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266A (ja) * 1985-06-19 1986-12-22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2114872U (ko) * 1986-01-13 1987-07-21
JP2001001910A (ja) 1999-04-19 2001-01-09 Cubic:Kk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2567102Y (zh) * 2002-07-04 2003-08-20 全兴方向盘股份有限公司 具有透明效果的方向盘
US20050050981A1 (en) * 2003-09-04 2005-03-10 Key Safety Systems, Inc.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12008003023A5 (de) * 2007-09-06 2010-08-19 Takata-Petri Ag Lenkrad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JP5415125B2 (ja) * 2009-04-02 2014-02-12 タカタ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ステアリング装置
JP5216671B2 (ja) * 2009-04-06 2013-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2012023671A1 (de) * 2012-12-04 2014-06-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edieneinrichtung, Lenkrad, Kraftfahrzeug und Verfahren hierzu
JP2017128273A (ja) * 2016-01-21 2017-07-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8008640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加飾部材
JP6770366B2 (ja) * 2016-08-12 2020-10-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加飾部材
CN107323515A (zh) * 2017-07-05 2017-11-07 天台瑞达汽车用品厂 一种安装方便的合式方向盘内圈及其方向盘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0858T5 (de) 2021-11-25
WO2020187655A1 (fr) 2020-09-24
CN113544042B (zh) 2023-07-25
CN113544042A (zh) 2021-10-22
FR3093696B1 (fr) 2021-02-19
US20220185357A1 (en) 2022-06-16
JP2022525229A (ja) 2022-05-11
FR3093696A1 (fr)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278B1 (en) Splash guard and method of making
US9669791B2 (en) Airbag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irbag cover
JP4851194B2 (ja) 車両用内装材及び該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CZ2003286A3 (cs) Způsob výroby povrchové vrstvy z plastového materiálu a povrchová vrstva
US20040224130A1 (en) Customizable universal elastomeric mat
JP6998782B2 (ja) ハンドル用被覆部材、ハンドル、及びハンドルの製造方法
KR20210134779A (ko) 스티어링 휠의 제조방법
KR100288068B1 (ko)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US10858031B2 (en)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steering wheel
JP534231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00411931C (zh) 汽车方向盘及其制造方法
US11981367B2 (en) Steering wheel
US7914037B2 (en) Gas bag cove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gas bag cover
WO2016059834A1 (ja) ステアリング用加飾品
JP2009533274A (ja) 中間コルク・カバーを有するハンドルと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工程
JP597999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230020432A (ko) 자전거 안장 제조 공정
US5706707A (en) Steering wheel armature with stabilizers
US20220017173A1 (en) Decorative molded article
HU229661B1 (hu) Alkatrész gépjármûhöz
US20230061692A1 (en)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220359A (ja) 発泡成形品
EP2687413A1 (en) Cover for a gas bag module, a bag module with said cover,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cover
US11912330B1 (en) Modular steering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JP5500723B2 (ja) 自動車用運転ハン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