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068B1 -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 Google Patents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068B1
KR100288068B1 KR1019970071225A KR19970071225A KR100288068B1 KR 100288068 B1 KR100288068 B1 KR 100288068B1 KR 1019970071225 A KR1019970071225 A KR 1019970071225A KR 19970071225 A KR19970071225 A KR 19970071225A KR 100288068 B1 KR100288068 B1 KR 10028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shell
lower shell
upper shell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427A (ko
Inventor
마틴 크뢰저
빈프리드 체홉
우도 리센펠트
Original Assignee
롤프 호흐 및 클라우스 그로테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 호흐 및 클라우스 그로테,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롤프 호흐 및 클라우스 그로테
Publication of KR1998006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휘일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형 에어백과, 외측에서 스티어링 휘일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을 연결하는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 에어백 영역을 위한 커버링을 포함하며, 최종 조립중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는 완성형 구조 유니트를 형성하는 모든 악세사리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과, 2개의 쉘형 외피(2, 3)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스티어링 컬럼(4)에 고정되는 허브 영역(5)을 가지며, 에어백 모듈(6)은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고정되며, 상기 외피는 에어백 커버링(2a)을 갖는 상부 쉘(2)과 허브 영역(5)의 중앙 개구(8)를 갖는 하부 쉘(3)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분리선을 따라 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본 발명은 일체형 에어백과, 스티어링 휘일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을 위해 외측상에서 연결하는 외피를 갖는 한쪽 부재에 형성된 중앙 에어백 영역을 위한 커버링(covering)과, 최종 조립중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될 수 있는 최종 구조를 형 성하는 모든 악세사리 부품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휘일을 갖는 차량용 스티어링 휘 일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의 도입 이래로, 이러한 스티어링 휘일은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어 왔다. 초기에는 기본적으로 스티어링 휘일을 생산하기 위한 공지의 기법이 사용되 었으며, 이러한 기법은 스티어링 휘일 림상에 있는 스티어링 휘일의 금속 스켈리턴 (skeleton)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스켈리턴은 이른바 일체형 발 포제로서 촉감이 양호한 불투명한 외층을 갖거나 또는 가죽이나 가죽과 유사한 플 라스틱층을 갖는 발포성 플라스틱 외피를 갖는다. 그후, 에어백 모듈을 수용하는 스티어링 휘일의 중앙 영역이 유사한 방법으로 디자인되는데, 이러한 방법에 따르 면 에어백을 위한 커버 캡의 피복과, 생산 기법이라는 관점에서 기능적으로 만족스 럽고 양호한 방식으로 모순적인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한 시도가 기재되어 있다.
전세계적으로, 차량 제조업자들은 공급자들에게 조립작업은 적지만 보다 많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복잡한 완성 부품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스티어링 휘일은 구동자가 스티어링 휘일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서도 라디오나 조명 시스템이나 창문 자동개폐기 등과 같은 모든 작동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모든 스위 치와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스티어링 휘일의 설계시에는 이러한 모든 스위치와 버튼이 고려되어야 하며, 그 외피는 이동 자유도를 가져야 하며 외관과 촉감이 만족되면서 일체가 되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첫번째 실시예(EP 0 648 661 A1)의 경우, 허브와 스포크 스터브와 에어백과 기타 다른 기능적인 부품을 갖는 중앙 스티어링 휘일은 제일 먼저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며, 그후 후방 커버링(covering)은 상기 스티어링 휘일 부분에 연결되며, 마 지막으로 에어백 모듈용 커버링과 외측 스포크 스터브와 스티어링 휘일 림을 갖는 원주 스티어링 휘일 부분은 중앙의 스티어링 휘일 부분에 연결되며, 스포크 스터 브의 중첩 단부들은 후방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중 앙의 스티어링 휘일 부분과 후방 커버링이 제일 먼저 연결되어야 하며, 그후에 스 티어링 컬럼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과 스티어링 휘일의 발생될 수도 있는 분해중, 고정수단은 후방 커버링의 개구를 통하여 공구(tool)에 도달될 수가 있 다.
상기 두 실시예에서는 조립에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며 그 최종 형태가 이송및 저장을 위해 서로 양호하게 결합되는 2개의 스티어링 휘일부분은 먼저 조립을 위해 다시 분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ES-U-9303374)의 경우에, 이에 고정되지만 특수한 후방 플라스 틱 커버링이 없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중앙의 허브 부분은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 며, 스티어링 휘일은 내측 링과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과 외피 등과 일체형 부 재로 형성되고, 에어백 모듈은 후방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허브 부분에 연결된 다. 최종 조립까지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분해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요구 된다.
이러한 것은 제 3 및 제 4 실시예(WO 95/23712A1 및 EP 0691245A1)에도 적용되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내측링과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과 외피와 에어백 모듈용 일체형 커버링을 구비한 일체형 스티어링 휘일과 에어백 모듈을 갖는 허브부가 제공되며, 차이점으로는 스티어링 휘일과 스티어링 컬럼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다르다는 점이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부분이 제조 기법상 상당히 양호하게 설계되었다 하더라도, 이것은 최종 조립에 중요한 요소인 고정부분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았으며, 그 결과 공지의 그 어떤 기술도 시리즈 생산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것은 상기 고정부분은 촉감에 관련된 스티어링 휘일의 간단한 생산을 위하여 개발의 뒷전으로 물러난 것에 기인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표준이 유지될 수 있고, 스티어링 휘일상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여러 부품의 조립이 간단하게 될 수 있으며, 특히 다시 조립될 경우 전체 스티어링 휘일이 단일의 부품으로 이송 및 저장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상에 조립될 수 있는 스티어링 휘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어링 휘일은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과 2개의 쉘형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은 스티어링 컬럼에 고정되는 허브 영역을 가지며, 에어백 모듈은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에 고정되며, 상기 외피는 에어백 커버링을 갖는 상부 쉘과 허브 영역의 중앙 개구를 갖는 하부 쉘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쉘과 하부 쉘은 분리선을 따라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과 3부분 스티어링 휘일 형태가 제공될 경우 스티어링 휘일에 삽입되는 기타 다른 기능적인 부품의 배치와 조립에 대해 상당한 자유도를 가지며, 상기 스켈리턴은 조립될 모든 부품과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스티어링 휘일과 샌드위치 형태로 이에 고정되는 모든 부품을 둘러싸는 상부 및 하부 쉘을 위한 이송 캐리어로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티어링 휘일 허브와 스티어링 컬럼 사이의 경사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스티어링 컬럼에 삽입된후 유니온 너트로 최종적으로 조립되는 완성된 스티어링 휘일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에 민감한 부품들이 고정될 수도 있는 금속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은 더 이상 사출주형에 위치되지 않으며, 상부 및 하부 쉘은 그 각각 의 부품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플라스틱 생산에 자유도를 제공하며, 그 결과 여러 플라스틱과 부품들은 상이한 플라스틱 부품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성형대신에, 쉘과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 사이의 기계 적 고정이라는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부가적으로 쉘의 형태에 대한 자유도를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쉘의 상호연결과 스티어링 휘일 스켈 리턴에의 연결에 있어서, 모든 통상적인 형태의 연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최적인 형태인 연결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 22 항에 서술되어 있다.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확대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와 좌우측면도.
제3도는 스티어링 휘일 림의 실시예의 확대도.
제4도는 스티어링 휘일 림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제5도는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스티어링 휘일 림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 2,3 : 쉘
4 : 스티어링 컬럼 7 : 유니온 너트
8 : 개구 9 : 스티어링 휘일 림
10 : 스포크 11 : 나사
도 1 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은 허브 영역(5)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과 스포크(10)와 스티어링 휘일 림(9)과, 에어백 모듈과, 에어백 커버링(2a)을 갖는 상부 쉘(2)과 중앙 개구(8)를 갖는 하부 쉘(3)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다이캐스팅의 형태를 취하며,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는 형태를 취한다. 또한, 하부 쉘(3)과 상부 쉘(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나사(11)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은 2개의 쉘 사이에 서 대응의 형성 삽입 형태로 지지 및 고정되거나 또는 나사(11)를 위한 관통 보어에 의해 쉘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티어링 휘일 림(9)으로부터 허브 영역(5)까지 깔때기형으로 연장되는 4개의 스포크(10)가 제공되며, 쉘(2, 3)에는 4개의 스포크형 영역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영역에서는 조립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의 스포크(10)를 둘러싸는 동시에 4개의 파지 관통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운전자는 스티어링 휘일 림(9)을 파지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쉘(2, 3) 사이의 분리선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평면에서 배타적으로 놓이며, 즉 하부 쉘의 벽 영역은 스포크(10)의 양측상에서 스티어링 휘일 림(9)의 높이측으로 인출된다. 하부 쉘(3)이 전체적으로 깔때기형이고 스티어링 컬럼(4)의 방향으로 스티어링 휘일 림 (9)의 평면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에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의 외피를 책임 지기 때문에, 상부 쉘(2)은 매우 평탄한 형태를 취하며, 분리면은 스티어링 휘일 림의 높이에 배치되게 된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기본적인 형태에서의 조립된 스티어링 휘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 는 평면도이며, 도 2b 및 도 2c 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고 도 2a의 평면에 대해서도 수직으로 작동하는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6)은 허브 영역(5)과 스포크(10)와 스티어링 휘일 림(9)을 갖는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고정된다.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상부 및 하부 쉘(2, 3)로 피복되며, 상기 하부 쉘은 중앙 개구(8)를 포함하며, 상부 쉘(2)은 에어백 커버링(2a)을 포함한다. 허브 영역(5)은 세레이션과 테이퍼를 가지 며, 스티어링 컬럼의 대응 부분에 삽입된다. 축방향 브레이싱(bracing)은 스티어링 컬럼(4)의 원주 정지부상에 지지되고 허브 영역(5)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 너트(7)에 의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2개 쉘형 외피(2, 3)와 결합되는 이러한 형태의 고정은 스티 어링 휘일이 전체적으로 일체형 부품의 형태를 취하게 하며, 이러한 일체형 부품은 이송 및 저장에 따른 취급이 용이하며 특별한 보호수단도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일체형 스티어링 휘일은 최종 조립체로 진행되며, 매우 쉽게 고정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모든 부품이 장착되고 이와 동시에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의 취급과 분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3 은 하부 쉘(3)과 상부 쉘(2)이 서로 연결될 때 스티어링 휘일 림(9)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영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베이스 영역(16c)과 약간 외측으로 분기되는 2개의 레그(16a,16b)가 구비되는 U 형 단면을 포함하며, 일련의 관통구멍(9a)을 갖는다. 2개의 상부 및 하부 쉘(2, 3)은 상이한 해칭에 따라 여러가지 플라스틱 부품으로 제조되며, 이에 따라 외관 및 촉감에 대한 요구사항과 강도에 대한 상이한 요구사항에 대해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들은 분리면에서 텅과 홈 조인트(tongue-and groove joint)처럼 서로에 대해 형태 삽입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상부 쉘(2)은 이러한 영역에서 스티어링 휘일 림(9)에 대해 견디며, 나사(11)를 위한 대응의 구멍을 갖는다. 하부 쉘(3)은 U 형 단면의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사다리꼴 단면 부분(17)과 결합된다. 또한, 나사 헤드(11a)가 카운터싱크되고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플라스틱층으로 피복되는 간극(18)도 제공된다. 그러나, 이들은 스티어링 휘일의 하부측상에서 시각적으로나 촉감적으로 강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로 남게 된다.
도 4 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스티어링 휘일림(9)의 영역에서 미세하게 분기된 레그가 구비된 U 형태를 취한다. 이 경우 하부 쉘(3)과 상부 쉘(2)은 형태 삽입 방식으로 스냅 연결부(20)와 상기 스냅 연결부 (20)가 영구적으로 인장 응력하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 탄성변형가능한 몸체(20a)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5 는 스포크(10)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쉘(3)과 상부 쉘(2)은 단지 그러한 영역에서만 웨브를 통하여 스티어링 휘일 스켈 리턴에 대해 견디며, 오목부(13, 14)에 의해 보장되는 반원형 단면의 가요성 링 (12)에 의해 서로 지지되며, 상기 링(12)은 2개의 쉘(2, 3)의 영역을 내측으로 연결하는 동일한 면에서 종료된다.
도 6 은 상부 쉘(2)과 하부 쉘(3)이 가죽 등의 커버링 층(15)에 의해 적어도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영역에서 둘러싸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커버링 층(15) 의 경계(15a, 15b)는 분리면의 영역에서 내측으로 회전하며, 2개의 쉘(2, 3) 사이 에서 클램핑된다. 상기 쉘(2, 3) 사이에는 나사(도시않음)에 의해 서로 지지되는 텅과 홈 조인트가 제공된다.
도 7 은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이 스티어링 휘일 림(9)과 스포크(10)의 영역에서 하부 쉘(3)에 완전히 매립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쉘(2)은 텅 과 홈 조인트(19) 및 나사(11)에 의해 하부 쉘(3)에 연결되며, 나사 헤드(11a)는 간극(18)에서 카운터싱크된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은 절반 쉘의 형태로 플라스틱 부분 사 이에서 모든 기능적인 부품들에 매립될 수 있는 최종 조립체에 적절한 일체형 스티 어링 휘일도 가능하다.

Claims (22)

  1. 일체형 에어백과, 외측에서 스티어링 휘일 스포크와 스티어링 휘일 림을 연결하는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 에어백 영역을 위한 커버링을 포함하며, 최종 조립중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는 완성형 구조 유니트를 형성하는 모든 악세사리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과, 2개의 상부 및 하부 쉘(2, 3)을 포함하며,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스티어링 컬럼(4)에 고정되는 허브 영역(5)을 가지며, 에어백 모듈(6)은 상기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고정되며, 상기 외피는 에어백 커버링(2a)을 갖는 상부 쉘(2)과 허브 영역(5)의 중앙 개구(8)를 갖는 하부 쉘(3)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분리선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2. 제1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3. 제2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은 일체형 다이캐스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캐스팅은 AL 또는 MG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2, 3)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플라스틱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적어도 외측에 폐쇄된 표면을 갖는 단단한 발포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8.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다른 플라스틱 부품을 갖는 2쉘 구조 또는 복합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영역에서 제 1 평탄부와, 스티어링 휘일 허브(5)의 영역에서 상기 제 1 평탄부에 평행한 제 2 평탄부와, 스포크(10)의 영역에서 상기 제 1 평탄부와 제 2 평탄부 사이에서의 제 3 깔때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적어도 분리면을 따라 형태 삽입방식으로 상호결합되고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분리면을 따라 텅과 홈 조인 트(19)의 방식으로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분리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나사나 리벳(11)에 의해 상호결합되고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나 리벳(11)은 스티어링 휘일 림(9)에서 간극을 통하여 연장되어 결합 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4.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스냅 연결부(20)에 의해 분리 면을 따라 상호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5.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외측 에 배치된 가요성 링(12)에 의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가요성 링(12)과 결합되는 오목부(13, 14)를 가지며, 상기 가요성 링(12)은 상부 쉘(2) 및 하부 쉘(3)의 연결 영역과 동일한 면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7. 제9항에 있어서,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가죽의 커버링 층(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8. 제17항에 있어서, 커버링 층(15)의 경계(15a, 15b)는 분리면에서 내측으로 각도를 이루고, 상부 쉘(2)과 하부 쉘(3) 사이에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19. 제9항에 있어서, 스티어일 휘일 림(9)은 하부 쉘(3)의 방향으로 분기되는 측부 레그(16a, 16b)를 갖는 U 형 단면을 포함하며, 하부 쉘(3)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U 형 단면에서 사다리꼴 단면 부분(17)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20. 제19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상기 상부 쉘(2)과 하부 쉘(3)은 분리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나사나 리벳(11)에 의해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에 연결되며, 상기 나사나 리벳(11)의 헤드(11a)는 하부 쉘(3)의 사다리꼴 단면 부분(17)의 간극 (18)에 배치되며, 나사나 리벳(11)은 스티어링 휘일 림(9)의 U 형 단면의 베이스영 역(16c)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21. 제1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스켈리턴(1)이 스포크(10) 및 스티어링 휘일 림(9)의 영역에서 하부 쉘(3)에 형성되고, 제10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부 쉘(2)은 하부 셀에 형태 삽입방식으로 결합되어 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22. 제1항 내지 제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 구조 유니트와 스티어링 컬럼(4)의 연결은 유니온 너트(7)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KR1019970071225A 1996-12-21 1997-12-20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KR100288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53798.3 1996-12-21
DE19653798A DE19653798C1 (de) 1996-12-21 1996-12-21 Lenkrad mit eingebautem Air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27A KR19980064427A (ko) 1998-10-07
KR100288068B1 true KR100288068B1 (ko) 2001-05-02

Family

ID=781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25A KR100288068B1 (ko) 1996-12-21 1997-12-20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49127B1 (ko)
JP (1) JPH10194072A (ko)
KR (1) KR100288068B1 (ko)
BR (1) BR9706391A (ko)
CA (1) CA2222856A1 (ko)
DE (2) DE19653798C1 (ko)
ES (1) ES225687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17868U1 (de) 1998-10-06 1998-12-1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elüftetes Lenkrad
DE19904746A1 (de) * 1999-02-05 2000-08-1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Lenkradummantelung
DE20006621U1 (de) 2000-04-11 2000-08-1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20009877U1 (de) * 2000-05-24 2000-08-10 Petri Ag Lenkradverkleidung
ES2188321B1 (es) * 2000-06-15 2004-10-16 Dalphi Metal España, S.A. Sistema mejorado de personalizacion de volantes de direccion.
KR100795054B1 (ko) * 2002-05-02 2008-01-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장치의 타이로드
DE102004027870A1 (de) 2004-05-14 2005-12-0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Lenkrad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04012304U1 (de) * 2004-08-05 2004-12-09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Lenkrad mit Dekorelement
WO2008024956A2 (en) * 2006-08-25 2008-02-28 Toyoda Gosei Co. Ltd. Molded steering w heel
CN101284545B (zh) * 2007-04-10 2011-05-25 Lg化学株式会社 方向盘及其制作方法
FR2918948B1 (fr) * 2007-07-19 2010-03-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olant de vehicule et procede d'assemblage d'un tel volant
DE102008035100A1 (de) 2008-06-19 2009-1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Lenkrad mit Schwingungsdämpf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5799768A (zh) * 2016-05-09 2016-07-27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方向盘以及具有其的车辆
DE102018115568A1 (de) * 2018-06-28 2020-01-02 Dalphi Metal Espana, S.A. Befestigungssystem für abdeckungsbauteile eines lenkrads, lenkrad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nkra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336B2 (ja) * 1991-04-30 1997-02-12 豊田合成株式会社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5243877A (en) * 1992-03-30 1993-09-14 Ryusaku Numata Steering wheel rim
AU7941794A (en) * 1993-10-15 1995-05-04 Gersteen Steering wheel for motor vehicles, mounting component and steering column cooperating with said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e
FR2716857B1 (fr) * 1994-03-03 1997-07-18 Autoliv Dev Volant avec dispositif de protection anti-choc à sac gonflable prémonté.
DE4423963A1 (de) * 1994-07-07 1996-01-11 Trw Repa Gmbh Fahrzeuglenkrad für die Bestückung mit einem integrierten Gassack-Rückhaltesystem
DE29515265U1 (de) * 1995-09-23 1996-01-11 Knapp Hartmut Lenkradverkleidungen für Kraftfahrzeuge
US5765864A (en) * 1996-02-26 1998-06-16 Winget; Larry J. Unitary composite steering wheel and air bag cov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22856A1 (en) 1998-06-21
EP0849127A2 (de) 1998-06-24
EP0849127A3 (de) 2000-01-12
EP0849127B1 (de) 2006-01-11
DE19653798C1 (de) 1998-06-25
DE59712545D1 (de) 2006-04-06
ES2256870T3 (es) 2006-07-16
JPH10194072A (ja) 1998-07-28
KR19980064427A (ko) 1998-10-07
BR9706391A (pt) 200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068B1 (ko)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US6928898B2 (en) Steering wheel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KR100192997B1 (ko) 일체형 가스백 제한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의 조종휠
US7264295B2 (en) Vehicle cockpit attachment structure with integrated plastic composite functional molded features
US6193278B1 (en) Splash guard and method of making
US20050248211A1 (en) Wheel and overlay assembly
JPH10138701A (ja) 自動車のためのホイール
US20020030352A1 (en) Air bag cover with ornament
US20120242065A1 (en) Airbag cover
GB2324591A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CN100411931C (zh) 汽车方向盘及其制造方法
US6546829B1 (en) Marine steering wheel assembly
US3204481A (en) Handle bar joint casing
CN113544042B (zh) 方向盘制作方法
US11919252B2 (en) Joining method while producing an improved heat-staked rivet connection
US20060214461A1 (en) Instrument panel having flexible steering wheel column closeou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5971428A (en) Vehicle steering wheel for equipment with an integrated gas bag restraint system
EP2783923B1 (en) Airbag housing assembly
US20220017173A1 (en) Decorative molded article
CA226196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teering-wheel cover
JPS61225035A (ja) 自動車用フェンダープロテクタ
KR200162682Y1 (ko)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US6089523A (en) Integral mirror bracket using gas assist
JPH1081189A (ja) ガスバッグモジュール用カバー
US11745784B2 (en)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