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82Y1 -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 Google Patents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82Y1
KR200162682Y1 KR2019970023288U KR19970023288U KR200162682Y1 KR 200162682 Y1 KR200162682 Y1 KR 200162682Y1 KR 2019970023288 U KR2019970023288 U KR 2019970023288U KR 19970023288 U KR19970023288 U KR 19970023288U KR 200162682 Y1 KR200162682 Y1 KR 200162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ib
insert
steering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825U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70023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8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구성은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다양한 적용성이 없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외방의 손잡이부인 휠림부(10) 및 중앙부인 보스부(20) 및 상기 휠림부(10)와 보스부(20)를 연결하고 그 상방에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을 구비하는 스포우크부(30)로서 구성되는 스티어링휠에 있어서, 단면 원형상의 보강림부(12)와, 상기 보강림부(12)로부터 연장되는 링형상의 보강판부(13) 및 보강판부(13)와 일체가공되는 연결리브(11)를 가지는 림인서트(10'), 상기 림인서트(10')의 연결리브(11)와 협동하여 스포우크부(30)를 구성하도록 다수개의 리브편(33)과 중앙부의 보스부(20)를 구성하는 보스판부(21)가 일체로 형성된 코어인서트(4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리브(11)와 리브편(33)을 상호 볼트접속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체를 사출성형하여 구성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휠림부를 용이하게 탈착하게 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유용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
본 고안은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향용의 휠의 구성을 개선하여 자원의 재사용 및 교체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차의 조향시스템에서 운전자가 파지하여 조작하게 되는 조향휠은 통상, 원형상의 손잡이부인 림부와, 림부 및 중앙의 보스부를 연결하는 허브형상의 스포우크부로서 구성되고, 이러한 각각의 구성부는 단일의 구성으로서 그 내방에 기본적인 금속판재 가공체인 인서트물을 삽입한 채로 사출하여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림부만을 보스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어 어느 하나의 구성부재의 파손시는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림부의 내방에는 삽입되는 인서트물로 인하여 플라스틱부를 재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 재활용이 불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부가적으로는 림부를 보스부로부터 이탈시킬 수 없음으로 인하여 차량의 폐기시까지 단조로운 단일의 손잡이만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장식을 좋아하는 자동차 애호가의 경우 전체 스티어링휠을 교환하게 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다대한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에 의하여 구성된 스티어링휠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스티어링휠에 사용되는 휠림부의 인서트물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스티어링휠에 사용되는 보스부 및 스포우크부의 인서트물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 및 3도부재의 조립상태의 인서트물조립체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림부 20 : 보스부
30 : 스포우크부 31, 32 : 누름버턴
40 : 코어인서트
본 고안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은 상술하는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림부를 보스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다양한 형상 및 색채의 림부를 교체장착가능하게 하고, 어느 한부분의 파손시에 일부만을 교체하게 함으로서 비용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며, 폐기시의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구성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에 의하여 구성된 스티어링휠의 평면도, 제 2 도는 휠림부의 인서트물의 평면도, 제 3 도는 보스부 및 스포우크부의 인서트물의 평면도, 제 4 도는 제 2 도 및 3 도부재의 조립상태의 인서트물조립체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 도에 도시되는 스티어링휠(SH)은 외방의 손잡이부인 휠림부(10) 및 중앙부인 보스부(20) 및 상기 휠림부(10)와 보스부(20)를 연결하고 그 상방에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을 구비하는 스포우크부(30)로서 대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스티어링휠(SH)의 휠림부(10), 보스부(20) 및 스포우크부(30)는 상당한 강성을 구비하는 사출성형체이어야 하므로 통상적으로는 내방에 각각의 형상을 기본적으로 가지는 금속판 가공체인 인서트물을 인서트하여 성형하게 된다.
제 2 도 이하에 본 고안의 스티어링휠에 사용되는 인서트물이 도시된다.
휠림부(10)의 림인서트(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원형상이고 전체 평면형상 또한 대직경의 원형이며, 내방의 보스부(20)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리브(11)를 다수개 일체로 성형가공한 금속판체이다.
림인서트(10')의 단면형상은 후술하는 목적을 위하여 제 6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방의 보강림부(12)와 보강림부(12)에 연결되는 보강판부(13)로서 구성되고 보강판부(13)는 보강림부(12)에 대하여 전체 휠림부(10)의 직경(D)의 반정도의 길이로서 한다.
코어인서트(4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림인서트(10')의 연결리브(11)와 협동하여 스포우크부(3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리브편(33)과 중앙부의 보스부(20)를 구성하는 보스판부(21)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리브편(33)의 단부에는 상기의 연결리브(11)의 단부의 체결공(11')과 볼트(B)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3')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통상적인 구성과 같이,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은 누름버턴(31, 32)으로서 상기의 리브편(33)과 연결리브(11)를 볼트(B)를 체결하는 체결공(11', 33') 부위를 은폐할 수 있는 위치에 구성하고, 제 7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버턴(31, 32)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단부가 양방향으로 벌어져 압입하는 형상의 체결핀(34')을 리브편(33)의 삽입체결공(33')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본원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인서트(10')의 단면형상을 개략 ""로 하여 보강림부(12)와 보강림부(12)에 연결되는 보강판부(13)로서 구성하되, 보강판부(13)는 보강림부(12)에 대하여 전체 휠림부(10)의 직경(D)의 반정도의 길이로 함으로써 보강판부(13)의 단부(13')가 거의 휠림부(10)를 구성하는 사출충진재(G)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하는 구성의 본 고안의 스티어링휠의 구성 및 사용, 재활용을 설명한다.
스티어링휠(SH)을 구성하기 위하여, 림인서터트(10') 및 코어인서트(40)를 리브편(33)과 연결리브(11)에서 볼트(B) 체결하고 이 상태에서 사출성형하여 사출충진재(G)서 전체 휠을 구성하되,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부인 리브편(33)과 연결리브(11)를 볼트(B) 체결하는 체결공(11', 33') 부위를 개방되도록 사출성형하여 누름버턴(31, 32)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체결핀(34')을 리브편(33)의 삽입체결공(33')에 삽입하여 체결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을 이탈시키면,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부인 리브편(33)과 연결리브(11)를 볼트(B) 체결하는 체결공(11', 33') 부위가 개방되어 볼트(B)를 해제하고 다른 형상과 모양, 색채장식을 가지는 다양한 휠림부(1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적용성을 증대하게 되고 파손되는 부위만을 교체가능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사출충진재(G)를 가지는 휠림부(10)에서, 림인서트(10')를 단면 원형상의 보강림부(12)와 보강림부(12)로부터 연장된 보강판부(13)로서 구성하되, 보강판부(13)는 보강림부(12)에 대하여 전체 휠림부(10)의 직경(D)의 단부(13')가 만나는 사출충진재(G)측을 일부 절개하면(사실상, 단부면까지 보강판부(13)가 연장하여 있어 절개가 불필요하다.), 개략 단면 링형상의 사출충진재(G)는 용이하게 보강림부(1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되어 버림으로써 플라스틱 및 금속부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은,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휠림부를 용이하게 탈착하게 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외방의 손잡이부인 휠림부(10) 및 중앙부인 보스부(20) 및 상기 휠림부(10)와 보스부(20)를 연결하고 그 상방에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을 구비하는 스포오크부(30)로서 구성되는 스티어링휠에 있어서; 단면 원형상의 보강림부(12)와, 상기 보강림부(12)로부터 연장되는 링형상의 보강판부(13) 및 보강판부(13)와 일체가공되는 연결리브(11)를 가지는 림인서트(10'), 상기 림인서트(10')의 연결리브(11)와 협동하여 스포우크부(30)를 구성하도록 다수개의 리브편(33)과 중앙부의 보스부(20)를 구성하는 보스판부(21)가 일체로 형성된 코어인서트(40)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리브(11)와 리브편(33)을 상호 볼트접속하여 구성되는 인서트체를 사출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음기의 누름버턴(31, 32)은 상기 리브편(33)과 연결리브(11)를 볼트(B) 체결하는 체결공(11', 33') 부위를 은폐할 수 있는 위치 개방사출성한 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단부가 양방향으로 벌어져 압입하는 체결핀(34')을 리브편(33)의 삽입체결공(33')에 삽입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인서트(10')의 보강림부(12)에 대하여 전체 휠림부(10)의 직경(D)의 반의 길이로 연장한 보강판부(13)를 구성함으로써 보강판부(13)의 외방측 단부(13')가 휠림부(10)를 구성하는 사출충진재(G)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가능한 자동차스티어링휠.
KR2019970023288U 1997-08-20 1997-08-20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KR200162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88U KR200162682Y1 (ko) 1997-08-20 1997-08-20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88U KR200162682Y1 (ko) 1997-08-20 1997-08-20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25U KR19990009825U (ko) 1999-03-15
KR200162682Y1 true KR200162682Y1 (ko) 1999-12-15

Family

ID=1950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88U KR200162682Y1 (ko) 1997-08-20 1997-08-20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77A (ko) * 2001-06-27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25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621A (en) Plastic hub cap
US6752576B2 (en) Dismountable clip, and a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lip
KR100460655B1 (ko) 자동차용휠
JP2003534199A (ja) 自動車のハンドルカバー
KR100288068B1 (ko) 빌트인 에어백을 갖는 스티어링 휘일
US6666488B2 (en) Bumper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JP2002002433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200162682Y1 (ko) 재활용 가능한 자동차 스티어링휠
JP201025419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538964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5199917A (ja) エアバッグ装置、モジュールカバー及びエンブレム
JP4269492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US6546829B1 (en) Marine steering wheel assembly
WO2017126449A1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3204481A (en) Handle bar joint casing
JP622491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040154429A1 (en) Two-piece steering wheel back cover
US8166846B2 (en) Steering handle
JPH11152073A (ja) 複合樹脂製ペダル滑り止め体
JPH0524847Y2 (ko)
US2920921A (en) Wheel cover
KR100510412B1 (ko) 에어백 조립체의 체결구조
KR200311112Y1 (ko) 인디케이터링
JPH0811912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
JP4167020B2 (ja) 車両用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