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271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271A
KR20210133271A KR1020217031092A KR20217031092A KR20210133271A KR 20210133271 A KR20210133271 A KR 20210133271A KR 1020217031092 A KR1020217031092 A KR 1020217031092A KR 20217031092 A KR20217031092 A KR 20217031092A KR 20210133271 A KR20210133271 A KR 20210133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unning
storage means
condition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729B1 (ko
Inventor
데츠로 하시즈메
마사야 아베
아키히로 나카야
겐이치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11), 기억부(20), 기억부(21), 판정부(24), 기억부(22), 및 보존부(26)를 구비한다. 기억부(21)는 주행 조건을 기억한다. 판정부(24)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존부(26)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 중,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부(24)가 판정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소리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이크로폰이 구비된다. 마이크로폰이 취득한 신호의 진폭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이상이 검출된다.
일본 특개평 7-228443호 공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에 타고 있을 때에 귀에 익지 않은 소리를 들으면, 그 소리가 작은 소리여도 불쾌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는, 작은 소리가 발생한 경우여도, 그 소리가 어떤 이상에 의해서 발생했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보수 회사로의 통보가 행해진다.
이용자가 들은 소리의 발생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는, 그 소리가 발생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들은 소리는, 일정한 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들은 소리를 보수원이 재현할 수 없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진동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 혹은 진동의 발생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이 취득한 소리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조건이 기억된 제2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중,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 수단이 판정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그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된 소리 정보를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진동 센서와, 진동 센서가 취득한 진동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조건이 기억된 제2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제3 기억 수단과,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중,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 수단이 판정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그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된 진동 정보를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리 혹은 진동의 발생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제어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기간 설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추(2)는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추(2)는, 메인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3)에 매달린다.
메인 로프(4)는 권상기(5)의 구동 쉬브(6)에 감겨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은 구동 쉬브(6)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은 권상기(5)에 의해서 구동된다. 권상기(5)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1은 승강로(3) 위쪽의 기계실(8)에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가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는, 승강로(3)에 설치되어도 된다. 권상기(5)가 승강로(3)에 설치되는 경우, 권상기(5)는 승강로(3)의 꼭대기부에 설치되어도 되고, 승강로(3)의 피트에 설치되어도 된다.
도 1은 권상기(5)에 온도계(9)가 마련된 예를 나타낸다. 온도계(9)는 권상기(5)의 온도를 계측한다. 온도계(9)가 계측한 온도의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온도계(9)는 습도를 계측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장치는 온습도계를 구비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조작반(10), 마이크로폰(11), 진동 센서(12), 및 카메라(13)를 구비한다. 조작반(10)은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사람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조작반(10)에, 행선지 버튼, 열림 버튼, 및 닫힘 버튼이 구비된다. 조작반(1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7)에서는, 조작반(1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이 등록된다.
마이크로폰(11)은 조작반(10)에 구비된 인터폰의 일부여도 된다. 마이크로폰(11)이 취득한 소리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진동 센서(12)는 진동을 검출한다. 진동 센서(12)가 취득한 진동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카메라(13)는 엘리베이터 칸(1)의 내부를 촬영한다.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의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1)은 마이크로폰(11) 또는 진동 센서(12) 중 한쪽만을 구비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은 도어(14), 및 전동기(15)를 더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에 형성된 출입구는, 도어(14)에 의해서 개폐된다. 도어(14)는 전동기(15)에 의해서 구동된다. 전동기(15)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는 승강장(16)에, 도어(17)가 마련된다. 승강장(16)에 도어(17)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엘리베이터 칸(1)이 어느 승강장(16)에 정지하면, 도어(14)가 도어(17)에 대향한다. 도어(17)의 구동은, 도어(14)를 통해서 전동기(15)에 의해서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칸(1)은 저울 장치(18)를 더 구비한다. 저울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를 검출한다. 저울 장치(18)가 검출한 부하의 정보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저울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를 검출하는 수단의 일례이다. 다른 예로서, 메인 로프(4)의 단부에 마찬가지의 검출 수단이 마련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19)은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이 소지하는 단말이다. 휴대 단말(19)은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해서 제어 장치(7)에 접속된다. 휴대 단말(19)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휴대 단말(19)은 PC형의 단말이어도 된다. 휴대 단말(19)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에 이용되는 전용 단말이어도 된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기억부(20), 기억부(21), 기억부(22), 주행 제어부(23), 판정부(24), 기간 설정부(25), 및 보존부(26)를 구비한다.
기억부(20)에, 마이크로폰(11)이 취득한 소리 정보가 기억된다. 기억부(20)에,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태 정보」라고도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에는, 이용자를 엘리베이터 칸(1)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작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에는, 승강장(16)에서 행해지는 도어(14)의 개폐 동작도 포함된다. 일례로서, 상태 정보에, 엘리베이터 칸(1)의 출발층을 나타내는 정보, 엘리베이터 칸(1)의 도착층을 나타내는 정보, 및 저울 장치(18)가 검출한 부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상태 정보에,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마이크로폰(11)이 취득한 소리 정보는, 동시각에 취득된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부(20)에 기억된다.
소리 정보와 상태 정보의 기억부(20)로의 기억은, 상시 행해져도 된다. 기억부(20)가 링 버퍼이면, 특정 시각에 취득된 소리 정보 및 상태 정보는, 그 후, 기억부(20)에 일정 기간만 기억된다. 소리 정보와 상태 정보의 기억부(20)로의 기억은,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시만 행해져도 된다.
기억부(21)에,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조건이 기억된다. 기억부(21)에 기억된 주행 조건은,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의 일부를 기억부(22)로 이동 혹은 복사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주행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이하에, 도 3 내지 도 7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장치가 가지는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제어 장치(7)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주행 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을 제어한다(S101). 예를 들면, 주행 제어부(23)는 이용자가 대기하는 출발층의 승강장(16)에 엘리베이터 칸(1)을 정지시킨다. 출발층은 승강장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눌려진 승강장(16)이 존재하는 층이다. 주행 제어부(23)는 출발층에 있어서 도어(14)를 개폐시킨다. 출발층에서 도어(14)를 닫으면, 주행 제어부(23)는 엘리베이터 칸(1)을 도착층으로 이동시킨다. 도착층은 이용자의 목적층과 같은 의미이다. 주행 제어부(23)는 도착층에 있어서 도어(14)를 개폐시킨다.
적어도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마이크로폰(11)이 취득한 소리 정보가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져 기억부(20)에 기억된다(S102). 상술한 바와 같이, 소리 정보와 상태 정보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기억부(20)에 상시 기억되어도 된다.
도 4는 제어 장치(7)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동작 흐름은, 도 3에 나타내는 동작 흐름과 병행하여 실시된다. 제어 장치(7)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1). 기억부(21)에 주행 조건이 기억되어 있으면, S2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기억부(21)에 주행 조건이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S201에서 No로 판정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직후에는, 기억부(21)에 주행 조건은 기억되어 있지 않다.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1)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귀에 익지 않은 소리를 들은 예를 생각한다. 이용자가 들은 소리가, 이상으로 판정되도록 하는 큰 소리가 아니면,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 로그는 남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용자로부터의 통보를 받은 보수원은, 휴대 단말(19)로부터 조건을 입력하고, 입력한 조건을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조건으로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이하에, 휴대 단말(19)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 조건을 설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9)은 표시기(30), 입력 장치(31), 조건 설정부(32), 및 표시 제어부(33)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31)는 보수원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휴대 단말(19)은 터치패널 방식의 입력 장치(31)를 구비해도 된다. 휴대 단말(19)은 입력 장치(31)로서 키보드 및 마우스를 구비해도 된다.
도 5는 휴대 단말(19)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31)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 제어부(33)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기(30)로 한다(S301). 조건 설정부(32)는 표시기(30)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조건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02).
보수원은 입력 장치(31)를 조작하여, 설정 화면으로부터 조건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1)의 출발층을 입력한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1)의 도착층을 입력한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범위를 입력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범위로서, 하한값만이 입력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범위로서, 「60kg 이상」이 입력된다. 보수원이 입력 완료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S3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조건 설정부(32)는 입력 장치(31)로부터 입력된 조건을 제어 장치(7)로 송신한다(S303).
제어 장치(7)에서는, 입력 장치(31)로부터 입력된 조건이 주행 조건으로서 기억부(21)에 기억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행 조건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의 출발층, 엘리베이터 칸(1)의 도착층, 및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S2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판정부(24)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24)는 현재층, 즉 엘리베이터 칸(1)이 현재 있는 층이, 주행 조건으로서 설정된 출발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S202에서 Yes로 판정되면, 판정부(24)는, 저울 장치(18)가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가, 주행 조건으로서 설정된 부하의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주행 조건으로서 부하의 하한값만이 설정되어 있다면, 판정부(24)는 저울 장치(18)가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가 하한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03).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주행 조건에 초기 조건이 포함된다. 초기 조건은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충족되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조건이다. S202 및 S203의 판정은, 초기 조건에 관한 판정이다. 즉, 판정부(24)는, S202 및 S20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이 초기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초기 조건이 충족되고 있으면, S203에서 Yes로 판정된다.
기간 설정부(25)는 어느 기간에 취득된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하는지를 설정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 기간을 보존 대상 기간이라고 한다. 즉, 기간 설정부(25)는 보존 대상 기간을 설정한다. 도 6은 기간 설정부(25)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기간 설정부(25)는, S2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초기 조건이 충족된 것을 나타내는 트리거 0을 설정한다(S204). 다음으로, 기간 설정부(25)는 보존 대상 기간의 시작이 되는 트리거 1을 설정한다(S205). 도 6은 엘리베이터 칸(1)이 행한 전회의 주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보존 대상 기간에 포함되도록 트리거 1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판정부(24)는 엘리베이터 칸(1)이 이동을 개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6). S206에서 Yes로 판정되면, 판정부(24)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7). S207에서 Yes로 판정되면, 판정부(24)는 엘리베이터 칸(1)이 현재 있는 층이, 주행 조건으로서 설정된 도착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8). S208에서 No로 판정되면, 기간 설정부(25)는 S204에서 설정한 트리거 0과 S205에서 설정한 트리거 1을 파기한다(S209).
S2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주행 조건이 성립한다. 기간 설정부(25)는, S208에서 Yes로 판정되면, 보존 대상 기간의 끝이 되는 트리거 2를 설정한다(S210). S205에서 설정된 트리거 1부터 S210에서 설정된 트리거 2까지의 기간이 보존 대상 기간이다. 보존부(26)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 중 보존 대상 기간에 취득된 상태 정보와 소리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한다(S211). 그 후, 기간 설정부(25)는 S204에서 설정한 트리거 0과 S205에서 설정한 트리거 1과 S210에서 설정한 트리거 2를 파기한다(S212).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은, 기억부(22)에 보존된 정보를 휴대 단말(19)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휴대 단말(19)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입력 장치(31)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 제어부(33)는 기억부(22)에 기억된 정보를 제어 장치(7)로부터 취득한다(S401). 표시 제어부(33)는 기억부(22)에 기억된 상태 정보와 소리 정보를 표시기(30)에 표시한다(S402).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 중,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그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진 소리 정보가 기억부(22)에 보존된다. 주행 조건은, 이용자가 이음(異音)을 들었을 때의 주행에 맞추어 설정되기 때문에, 기억부(22)에 보존된 정보로부터 그 소리의 발생 원인을 특정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라면, 이용자가 들은 소리의 발생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행한 전회의 주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보존 대상 기간에 포함되도록 트리거 1을 설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 예라면, 엘리베이터 칸(1)이 어느 방향으로부터 출발층으로 왔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기간 설정부(25)는 엘리베이터 칸(1)이 행한 전회의 주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보존 대상 기간에 포함되지 않도록 트리거 1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간 설정부(25)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번 주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만이 보존 대상 기간에 포함되도록 트리거 1을 설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22)에 소리 정보와 상태 정보를 보존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을 때에 평상시 느끼지 않는 진동을 느꼈을 경우에도, 그 진동이 어떤 이상에 의해서 발생했다고 느끼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진동 센서(12)가 취득한 진동 정보에 관해서도,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기억부(22)에 보존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기억부(20)에, 진동 센서(12)가 취득한 진동 정보가 기억된다. 진동 센서(12)가 취득한 진동 정보는, 동시각에 취득된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져 기억부(20)에 기억된다. 그리고, S210에서 트리거 2가 설정되면, 보존부(26)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정보 중 보존 대상 기간에 취득된 상태 정보와 진동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한다(S211). S211에 있어서, 보존 대상 기간에 취득된 상태 정보,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해도 된다.
이하에, 본 엘리베이터 장치가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억부(20)에 기억하는 상태 정보에, 온도계(9)가 계측한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권상기(5)의 온도의 범위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온도계(9)는 제어 장치(7)의 온도를 계측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제어 장치(7)의 온도의 범위가 설정된다. 온도계(9)는 승강로(3)의 온도를 계측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온도의 범위가 설정된다. 온도계(9)가 습도를 계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태 정보에 습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행 조건으로서, 습도의 범위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이음의 발생 및 진동의 발생은, 계절 혹은 빌딩의 공조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 예라면, 이용자가 이음을 들었을 때의 주행에 보다 가까운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 장치(7)는 검출부(27)를 더 구비해도 된다. 검출부(27)는, 기억부(20)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간에 엘리베이터 칸(1)이 기동한 횟수를 검출한다. 상기 특정 기간은 미리 설정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 횟수는, 엘리베이터 칸(1)이 주행을 행한 횟수와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특정 기간에 엘리베이터 칸(1)이 기동한 횟수의 범위가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1)이 기동한 횟수의 범위는, 상한값만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음의 발생 및 진동의 발생은,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 횟수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기동 횟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윤활유의 점도가 커져, 이음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예라면, 이용자가 이음을 들었을 때의 주행에 보다 가까운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 장치(7)는 분포 산출부(28)를 더 구비해도 된다. 분포 산출부(28)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분포를 산출한다. 분포 산출부(28)가 산출한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억부(20)에 상태 정보의 일부로서 기억된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분포의 범위가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분포의 범위는, 예를 들면 부하의 치우침을 나타내는 값의 하한값만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음의 발생 및 진동의 발생은,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부하가 극단적으로 치우쳤을 경우에, 이음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예라면, 이용자가 이음을 들었을 때의 주행에 보다 가까운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 장치(7)는 거리 산출부(29)를 더 구비해도 된다. 거리 산출부(29)는 엘리베이터 칸(1)과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를 산출한다. 인접 엘리베이터 칸은 승강로(3)에 인접하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이다. 거리 산출부(29)가 산출한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억부(20)에 상태 정보의 일부로서 기억된다. 이러한 경우, 주행 조건으로서, 엘리베이터 칸(1)과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의 범위가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1)과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의 범위는, 하한값만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음의 발생 및 진동의 발생은, 엘리베이터 칸(1)과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이 인접 엘리베이터 칸과 엇갈리는 때의 풍압에 의해서, 이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예라면, 이용자가 이음을 들었을 때의 주행에 보다 가까운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2)에 보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20~29는,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8은 제어 장치(7)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41)와 메모리(4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40)를 구비한다. 기억부(20~22)가 가지는 기능은 메모리(42)에 의해서 실현된다. 메모리(42)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이다. 메모리(42)는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어도 된다. 제어 장치(7)는, 메모리(4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4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23~29에 나타내는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9는 제어 장치(7)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41), 메모리(42), 및 전용 하드웨어(4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40)를 구비한다. 도 9는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4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4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43)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혹은 진동 센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엘리베이터 칸 2 : 균형추
3 : 승강로 4 : 메인 로프
5 : 권상기 6 : 구동 쉬브
7 : 제어 장치 8 : 기계실
9 : 온도계 10 : 조작반
11 : 마이크로폰 12 : 진동 센서
13 : 카메라 14 : 도어
15 : 전동기 16 : 승강장
17 : 도어 18 : 저울 장치
19 : 휴대 단말 20 : 기억부
21 : 기억부 22 : 기억부
23 : 주행 제어부 24 : 판정부
25 : 기간 설정부 26 : 보존부
27 : 검출부 28 : 분포 산출부
29 : 거리 산출부 30 : 표시기
31 : 입력 장치 32 : 조건 설정부
33 : 표시 제어부 40 : 처리 회로
41 : 프로세서 42 : 메모리
43 : 전용 하드웨어

Claims (11)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이 취득한 소리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조건이 기억된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상기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제3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중, 상기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그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된 소리 정보를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존 대상 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건에 초기 조건이 포함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상기 초기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기간 설정 수단은,
    상기 초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보존 대상 기간의 시작이 되는 제1 트리거를 설정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보존 대상 기간의 끝이 되는 제2 트리거를 설정하며,
    상기 보존 수단은 상기 제1 트리거부터 상기 제2 트리거까지의 상기 보존 대상 기간에 취득된 상태 정보와 소리 정보를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에 구비된 진동 센서와,
    상기 진동 센서가 취득한 진동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 조건이 기억된 제2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상기 주행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제3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 중, 상기 주행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주행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그 상태 정보와 연관지어 기억된 진동 정보를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보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보존 대상 기간을 설정하는 기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건에 초기 조건이 포함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이 상기 초기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기간 설정 수단은,
    상기 초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보존 대상 기간의 시작이 되는 제1 트리거를 설정하고,
    상기 주행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보존 대상 기간의 끝이 되는 제2 트리거를 설정하며,
    상기 보존 수단은 상기 제1 트리거부터 상기 제2 트리거까지의 상기 보존 대상 기간에 취득된 진동 정보와 소리 정보를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간 설정 수단은, 상기 초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행한 전회의 주행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상기 보존 대상 기간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1 트리거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장치 및 표시기를 가지는 휴대 단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조건을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조건 설정 수단과,
    상기 제3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태 정보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발층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층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검출한 부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출발층,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도착층,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의 범위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시키는 권상기, 상기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하는 승강로 중 어느 하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태 정보에, 상기 온도계가 계측한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하나의 온도의 범위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특정 기간에 기동한 횟수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특정 기간에 기동한 횟수의 범위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의 분포를 산출하는 제1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산출 수단이 산출한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부하의 분포의 범위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2 산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접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하는 승강로에 인접하는 승강로를 이동하고,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산출 수단이 산출한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주행 조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인접 엘리베이터 칸의 거리의 범위가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17031092A 2019-06-06 2019-06-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2562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22500 WO2020245969A1 (ja) 2019-06-06 2019-06-06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271A true KR20210133271A (ko) 2021-11-05
KR102562729B1 KR102562729B1 (ko) 2023-08-03

Family

ID=700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092A KR102562729B1 (ko) 2019-06-06 2019-06-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3541B1 (ko)
KR (1) KR102562729B1 (ko)
CN (1) CN113905969B (ko)
WO (1) WO2020245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3091A (zh) * 2021-03-19 2023-11-10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443A (ja) 1994-02-15 1995-08-2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657A (ja) * 1993-02-24 1994-09-0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
JPH1149444A (ja) * 1997-07-29 1999-02-2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運転時録音装置
JP3623704B2 (ja) * 1999-12-03 2005-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gps受信機および携帯端末
JP3872252B2 (ja) * 2000-03-31 2007-01-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異常音検出装置及び方法
JP4115260B2 (ja) * 2001-12-11 2008-07-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異常検出装置
JP2003182943A (ja) * 2001-12-14 2003-07-03 Otis Elevator Co ノイズ補償装置付きエレベータ
JP2004277118A (ja) * 2003-03-17 2004-10-07 Toshiba Elevator Co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443191B2 (ja) * 2003-10-31 2010-03-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走行データ収集装置
JP2005247468A (ja) * 2004-03-02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4910626B2 (ja) * 2006-10-23 2012-04-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US8172044B2 (en) * 2007-03-26 2012-05-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2013119446A (ja) * 2011-12-06 2013-06-17 Hitachi Ltd エレベータ遠隔監視装置
JP2014213976A (ja) * 2013-04-23 2014-11-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保守・点検システム
JP5941013B2 (ja) * 2013-04-23 2016-06-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異常診断装置
JP6378659B2 (ja) * 2015-09-16 2018-08-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ドア異常診断装置、エレベータードア異常診断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191723B1 (ja) * 2016-04-19 2017-09-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診断システム
JP6776955B2 (ja) * 2017-03-09 2020-10-2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異常音の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443A (ja) 1994-02-15 1995-08-2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3541B1 (ja) 2020-03-25
CN113905969A (zh) 2022-01-07
KR102562729B1 (ko) 2023-08-03
CN113905969B (zh) 2023-09-12
WO2020245969A1 (ja) 2020-12-10
JPWO2020245969A1 (ja)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9607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監視プログラム
JPWO2018034006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内操作盤の外付け報知装置
JP20182034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WO2017022709A1 (ja) 破断検出装置
KR20210013287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JP6702518B1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システム
JP6673541B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26240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1109364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992387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JP5939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35441B2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JP4867813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JP6982143B1 (ja) ロープ検査装置
JP4861721B2 (ja) エレベータ
JP6648864B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173388A (ja) エレベータ運転管理装置
JP6399232B2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装置及び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WO2024042642A1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変形検出システムおよび変形検出方法
WO2011016132A1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JP6989057B2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5960646B2 (ja) 遠隔監視支援装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監視プログラム
WO2021186621A1 (ja) エレベーターの情報収集システム
JP5007583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JP2019043747A (ja) エレベーター地震時自動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