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287A -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287A
KR20210013287A KR1020217001817A KR20217001817A KR20210013287A KR 20210013287 A KR20210013287 A KR 20210013287A KR 1020217001817 A KR1020217001817 A KR 1020217001817A KR 20217001817 A KR20217001817 A KR 20217001817A KR 20210013287 A KR20210013287 A KR 20210013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elevator
hoistway
mainten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448B1 (ko
Inventor
아키히로 나카야
마사야 아베
와타루 후시미
겐이치 고이즈미
다쿠야 하시구치
도모히로 하토리
세이치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3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의 화상을 제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검출 장치가 검출한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취득된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연직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시킨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이상(異常)음 감시 장치를 개시한다. 해당 이상음 감시 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 중의 이상음을 검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037561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상음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이상음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의 화상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상의 발생 원인의 조사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의 화상을 제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검출 장치가 검출한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취득된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연직(鉛直)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시킨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부를 구비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와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연직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된다. 이 때문에,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1)는 도시되지 않은 건축물의 각층을 관통한다. 기계실(2)은 승강로(1)의 바로 위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건축물의 각층에 마련된다.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은, 승강로(1)에 대향한다.
권상기(4)는 기계실(2)에 마련된다. 주 로프(5)는 권상기(4)에 감긴다.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1)의 내부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6)은 주 로프(5)의 일측에 매달린다. 균형 추(7)는 승강로(1)의 내부에 마련된다. 균형 추(7)는 주 로프(5)의 타측에 매달린다.
복수의 승강장 도어(8)의 각각은, 복수의 승강장(3)의 각각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9)는 엘리베이터 칸(6)의 출입구에 마련된다.
제어 장치(10)는 기계실(2)에 마련된다. 제어 장치(10)는 권상기(4)와 엘리베이터 칸(6)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장치(10)는 엘리베이터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감시 장치(11)는 기계실(2)에 마련된다. 감시 장치(11)는 제어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감시 장치(11)는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정보 센터 장치(12)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축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정보 센터 장치(12)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회사에 마련된다. 정보 센터 장치(12)는 감시 장치(1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수 단말(13)은 점검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에게 휴대된다. 보수 단말(13)은 엘리베이터 칸(6)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엘리베이터의 이상 점검시에 있어서,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6)의 외측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검출 장치로서 마이크(14)와 진동 센서(15)를 장착한다. 보수원은 보수 단말(13)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장치(10)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6)을 승강시킨다.
이 때, 보수 단말(13)은 마이크(14)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기억한다. 보수 단말(13)은 진동 센서(15)로부터의 진동 정보를 기억한다. 보수 단말(13)은 엘리베이터 칸(6)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와 마이크(14)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와 진동 센서(15)로부터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정보를 동시를 표시한다. 이 때, 보수 단말(13)은 소리 정보도 동기시켜 출력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보수 단말(13)은 기억부(13a)와 정보 취득부(13b)와 동기부(13c)와 출력 제어부(13d)를 구비한다.
기억부(13a)는 엘리베이터 칸(6)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3a)는 엘리베이터의 신설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이 저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6)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180도 카메라 또는 360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계 정보로부터 Virtial Reality 기술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정보를 기억한다.
정보 취득부(13b)는 마이크(14)로부터 소리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취득부(13b)는 진동 센서(15)로부터 진동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취득부(13b)는 제어 장치(10)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로서 엘리베이터 칸(6)의 이동 개시 위치 정보와 이동 방향의 정보와 가속도의 정보와 이동 시간의 정보를 취득한다.
동기부(13c)는 기억부(13a)에 기억된 화상 정보와 정보 취득부(13b)에 취득된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동기시킨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동기부(13c)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연직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시킨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동기부(13c)는 정보 취득부(13b)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와 점검 화상 정보를 동기시킨다.
출력 제어부(13d)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6)의 연직 방향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동기부(13c)에 의해 동기된 점검 화상 정보를 보수 단말(13)의 표시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 때, 출력 제어부(13d)는 점검 화상 정보에 동기시킨 소리 정보를 보수 단말(13)의 도시되지 않은 스피커에 출력시킨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의 표시 화면을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는 표시 화면의 상부에 표시된다. 소리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의 바로 아래에 표시된다.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소리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의 바로 아래에 표시된다. 엘리베이터 칸(6)의 좌우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의 바로 아래에 표시된다. 엘리베이터 칸(6)의 상하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좌우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의 바로 아래에 표시된다. 시크 바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상하 방향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의 바로 아래에 표시된다.
시크 바의 좌측은 승강로(1)의 하측에 대응한다. 시크 바의 우측은 승강로(1)의 상측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는 승강로(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동영상으로서 재생된다. 이 때, 시크 바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동영상의 생성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의 위치는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에 대응한 소리 정보와 진동 정보의 위치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이상 점검시의 소리 정보와 진동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와 이상 점검시의 소리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와 이상 점검시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동기시켜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점검 화상 정보를 재생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와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는, 연직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된다. 이 때문에,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1)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원의 감각에 의지하지 않고, 이상의 발생 원인을 단시간에 찾아낼 수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점검 화상 정보의 재생 개시 위치와 재생 속도와 재생 종료 위치가 결정된다. 이 때문에,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로서 1개의 파일을 참조하는 것만으로 된다. 그 결과, 보존 데이터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
덧붙여, 이상 점검시에 있어서는, 카메라가 불필요하고, 마이크(14)와 진동 센서(15)를 휴대하는 것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필요한 센서류를 최소한으로 하여, 염가의 점검 툴로 할 수 있다.
또, 마이크(14)와 진동 센서(15)를 상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행시에도 이상을 점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6)을 타고 있을 때밖에 발생하지 않는 이상도 검출할 수 있다.
또, 소리 정보는 점검 화상 정보와 동기한다. 이 때문에, 이상음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1)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다. 이 때문에, 현실에 맞은 상태에서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1)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는, 엘리베이터의 설계 정보로부터 생성된다. 이 때문에, 승강로(1)의 내부가 어두운 경우에도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1)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16a)와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17)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16a)와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를 구비하는 경우,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적어도 한쪽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記述)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적어도 한쪽은,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에 격납된다.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16a)는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16a)는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17)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은, 각각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은, 통합하여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17)로 실현하고, 다른 부분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동기부(13c)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용 하드웨어(17)로서의 처리 회로로 실현하고, 동기부(13c)의 기능 이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16a)가 적어도 1개의 메모리(16b)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17),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제어 장치(10)의 각 기능도,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회로와 동등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감시 장치(11)의 각 기능도,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회로와 동등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정보 센터 장치(12)의 각 기능도, 보수 단말(13)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 회로와 동등한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실시 형태 2.
도 6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블록도이다. 덧붙여,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형태 2의 보수 단말(13)은, 실시 형태 1의 보수 단말(13)에 대해서 차분 산출부(13e)와 시각적 이펙트 결정부(13f)가 부가된 보수 단말이다.
차분 산출부(13e)는 이상 점검시와 정상시에 있어서의 소리 정보의 차분 또는 진동 정보의 차분이 생기는 범위의 시각을 산출한다. 시각적 이펙트 결정부(13f)는 차분 산출부(13e)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펙트를 결정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의 표시 화면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이상 점검시와 정상시에 있어서의 소리 정보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차분보다도 큰 경우, 시각적 이펙트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의 색이 해당 차분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스노 노이즈(snow noise) 이펙트 등의 노이즈 이펙트가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에 더해진다.
도 7에 있어서, 이상 점검시와 정상시에 있어서의 진동 정보의 차분이 미리 설정된 차분보다도 큰 경우, 시각적 이펙트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가 해당 차분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흔들린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의 전후 방향의 진동이 큰 경우,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가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의 좌우 방향의 진동이 큰 경우,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가 왼쪽으로 움직이거나 오른쪽으로 움직이거나 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의 상하 방향의 진동이 큰 경우,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가 위로 움직이거나 아래로 움직이거나 한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보수 단말(13)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로서의 보수 단말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1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이상 점검시의 소리 정보와 진동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정상시의 소리 정보와 진동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이상 점검시와 정상시에 있어서의 소리 정보의 차분 또 진동 정보의 차분이 생기는 범위의 시각을 산출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적 이펙트를 결정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5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6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와 이상 점검시의 소리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와 이상 점검시의 진동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동기시켜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스텝 S17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보수 단말(13)은 점검 화상 정보를 재생한다. 그 후, 보수 단말(13)은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보수 단말(13)은 이상 점검시의 정보와 정상시의 정보의 차분에 기초한 시각적 이펙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로부터 시각화된 화상 정보로는 알기 어려운 이상도 적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로부터 시각화된 화상 정보를 익숙해지지 않은 보수원이라도, 이상의 유무 및 이상의 발생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덧붙여, 정보를 정기적으로 취득하여, 전(前)회에 얻어진 정보와 이번에 얻어진 정보의 차분에 기초한 시각적 이펙트를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소리 정보 또는 진동 정보로부터 시각화된 화상 정보로는 알기 어려운 열화도 적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보수 단말(13)에 있어서, 과거의 복수의 시점에서의 정보를 늘어놓아 시각화한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보수원의 감각으로는 알기 어려운 이상의 진행을 적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보수 단말(13)을 기계실(2)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의 화상을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보수 단말(13)을 태블릿 단말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태블릿 단말의 방향의 변화에 따라 승강로(1) 내부의 화상 정보의 방향을 변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 이상의 발생 위치에 대응한 승강로(1)의 화상을 보다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기계실
3: 승강장 4: 권상기
5: 주 로프 6: 엘리베이터 칸
7: 균형 추 8: 승강장 도어
9: 엘리베이터 칸 도어 10: 제어 장치
11: 감시 장치 12: 정보 센터 장치
13: 보수 단말 13a: 기억부
13b: 정보 취득부 13c: 동기부
13d: 출력 제어부 13e: 차분 산출부
13f: 시각적 이펙트 결정부 14: 마이크
15: 진동 센서 16a: 프로세서
16b: 메모리 17: 하드웨어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를 기억한 기억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검출 장치가 검출한 소리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취득된 정보를 시각화한 화상 정보를 연직 방향의 위치에 맞춰 동기시킨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와 상기 점검 화상 정보를 동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이상 점검시의 정보와 정상시의 정보의 차분에 기초한 시각적 이펙트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기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과거의 복수의 시점의 정보를 늘어놓아 시각화한 점검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정보를 기억한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승강로 내부의 화상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설계 정보로부터 생성된 화상 정보를 기억한 엘리베이터의 점검 장치.
KR1020217001817A 2018-07-12 2018-07-12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KR102346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6348 WO2020012608A1 (ja) 2018-07-12 2018-07-12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の内部の状態を提示する機能を備えた点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287A true KR20210013287A (ko) 2021-02-03
KR102346448B1 KR102346448B1 (ko) 2022-01-03

Family

ID=6914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817A KR102346448B1 (ko) 2018-07-12 2018-07-12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80808B2 (ko)
KR (1) KR102346448B1 (ko)
CN (1) CN112351948B (ko)
WO (1) WO2020012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9281B (zh) * 2020-02-05 2022-12-06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升降机的点检辅助系统
US11390488B2 (en) * 2020-06-26 2022-07-19 Otis Elevator Company Visual inspection diagnostics
CN116997523A (zh) * 2021-03-18 2023-11-03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用于确认电梯井道底部的浸水状况的确认装置
JP7031780B1 (ja) * 2021-05-27 2022-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24009389A1 (ja) * 2022-07-05 2024-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機器の配置作業の支援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561A (ja) 2000-07-17 2002-02-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異常音監視装置
JP2008162725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リモート点検システム
KR20120005360A (ko) * 2010-07-08 2012-01-16 (주) 아인스에스엔씨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8943A (ko) * 2015-12-29 2017-07-10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엘리베이터의 고장예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053A (ja) * 1991-09-11 1993-03-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自動点検運転装置
JPH09208149A (ja) * 1996-02-06 1997-08-1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4850477B2 (ja) * 2005-10-18 2012-01-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の自動点検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832258B2 (ja) * 2011-11-30 2015-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異常診断装置
CN203333099U (zh) * 2013-05-15 2013-12-11 北京晶科华盛科技有限公司 电梯故障诊断和预警系统
TWI486904B (zh) * 2013-12-04 2015-06-01 Inst Information Industry 律動影像化方法、系統以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CN205754618U (zh) * 2016-01-13 2016-11-30 苏州市远极智能科技有限公司 电梯智能监控摄像头及电梯监控系统
JP6694600B2 (ja) * 2017-01-24 2020-05-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昇降装置の保守確認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561A (ja) 2000-07-17 2002-02-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異常音監視装置
JP2008162725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リモート点検システム
KR20120005360A (ko) * 2010-07-08 2012-01-16 (주) 아인스에스엔씨 궤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시설물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8943A (ko) * 2015-12-29 2017-07-10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엘리베이터의 고장예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51948A (zh) 2021-02-09
JP6780808B2 (ja) 2020-11-04
WO2020012608A1 (ja) 2020-01-16
CN112351948B (zh) 2022-07-22
JPWO2020012608A1 (ja) 2020-12-17
KR102346448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448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부의 상태를 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검 장치
JP7166073B2 (ja) 乗り心地モバイル端末デバイスアプリケーション
EP3409629B1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JP2018167960A (ja) 情報処理装置
WO2019167245A1 (ja) エレベーターの吊体張力測定装置
CN104444670A (zh) 电梯用举动异常监视装置
JP2015036333A (ja) エレベータの異常停止報知システム
JP7167994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の内部を点検する機能を備えた点検装置および点検システム
CN113844965B (zh) 视觉检视诊断
CN112429610B (zh) 机械设备的检查装置
JP6737254B2 (ja) 情報処理装置
WO2017195349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点検装置
WO2019142309A1 (ja) 運転制御システム及び乗客コンベア
EP3808693A1 (en) Elevator condition based maintenance using an in-car camera
JP2009220995A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WO2021156962A1 (ja) 昇降機の点検補助システム
JP6673541B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90052B1 (ko)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0790099A (zh) 在人员被困期间追踪服务技工状态
JP2013203484A (ja) 乗客コンベア
CN114007974B (zh) 检查装置
CN115066382B (zh) 升降机的诊断装置以及诊断分析装置
JPH1093955A (ja) エレベータの画像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