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93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939A
KR20210131939A KR1020210140889A KR20210140889A KR20210131939A KR 20210131939 A KR20210131939 A KR 20210131939A KR 1020210140889 A KR1020210140889 A KR 1020210140889A KR 20210140889 A KR20210140889 A KR 20210140889A KR 20210131939 A KR20210131939 A KR 2021013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rol button
washing machine
elast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207B1 (ko
Inventor
김동원
김진두
김영만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0579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1319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939A/ko
Priority to KR102022015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전방에 마련되고 세탁물을 회전조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 투입구를 포함하는 프런트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고 탑 프레임에서 바텀 프레임까지 연장되고 내부 투입구에 대응되는 외부 투입구를 포함하고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커버를 포함하여, 세탁기의 전면에 라인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커버를 구비하여 외관이 향상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가전 기기이다.
특히,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고, 회전조는 대략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회전조가 회전하면서 회전조 내부의 리프터가 세탁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한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의 전면은 철판 재질로 프레스 성형되거나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 전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조작 패널을 설치하도록 전면 프레임의 상측 일부에 부착되고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패널 커버로 구성되거나, 전면 프레임과, 패널 커버와, 패널 커버로 커버되지 못하는 전면 프레임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철판 재질로 프레스 성형되거나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된 하부 커버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드럼 세탁기의 전면은 상부와 하부 사이에 필연적으로 라인이 형성되므로 외관이 심플하지 못하고 심미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전면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라인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심플해지고 심미감이 향상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나사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향상된 프런트 커버의 결합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나사 부재의 사용이 최소화되고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한 프런트 커버의 결합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프런트 커버와, 프레스 성형된 사이드 프레임의 벤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외관이 향상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심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탑 프레임을 갖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탁기 내부구성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탑 프레임의 조립 및 장착이 용이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컨트롤버튼의 눌림력을 향상시킨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조를 갖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서 상기 바텀 프레임까지 연장되고, 이음새가 없는(seamless) 프런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세탁물을 상기 회전조로 투입하기 위한 내부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내부 투입구에 대응되는 외부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패널부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후크는, 상기 패널부에 연결되는 뿌리부;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헤드부; 및 상기 뿌리부와 상기 헤드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의 착탈 시의 진행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줄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평면 또는 곡면의 패널부와, 상기 바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닥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전면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전면부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밀착부와 상기 벤딩부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상기 벤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필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외부 투입구와 상기 내부 투입구를 연결하는 링 형상의 가이드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투입구의 직경은 상기 내부 투입구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커버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외부 투입구에 인접한 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고, 세탁물이 회전조로 투입되고 도어가 결합되는 투입구와,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함이 결합되는 세제함 설치구를 포함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고, 세탁물이 회전조로 투입되고 도어가 결합되는 투입구와,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받는 부속 패널이 설치되는 부속패널 설치구를 포함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부속 패널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속 패널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패널이 설치되는 조작 패널 설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및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내부에 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탑 프레임은, 외관을 이루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밀착배치되며, 상기 외부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에 대해 결합방향과, 상기 결합방향과 반대되는 분리방향을 슬라이딩이동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내부프레임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후크유닛이 상기 내부프레임에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후크삽입홀; 및 상기 후크삽입홀에서 상기 결합방향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유닛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인접한 상기 내부프레임보다 돌출형성되는 후크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후크몸체; 및 상기 후크몸체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외부프레임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이 상기 내부프레임과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유닛에서 상기 분리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외부프레임의 상기 분리방향으로의 진행을 제한하는 분리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로 유입된 물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수분침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침투방지부재는, 상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기 수분침투방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분산시켜 배출하는 유입가이드부; 및 상기 내부프레임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유입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가이드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사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배출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분산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분산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분산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분산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가이드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흐르도록 상기 수분침투방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수분침투방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런트 프레임쪽이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부의 상기 프런트 프레임쪽 단부와, 상기 배출가이드부의 상기 프런트 프레임쪽 단부가 밀착하여, 상기 배출유로의 상기 프런트 프레임쪽 방향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이드부는, 분산가이드바닥면과, 상기 분산가이드바닥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산가이드바닥면과 함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분산유로를 형성하는 분산가이드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배출가이드바닥면과, 상기 배출가이드바닥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바닥면과 함께 상기 유입가이드부로부터 배출된 물이 흐르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가이드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가이드플랜지의 내측면은 상기 분산가이드플랜지의 외측면과 밀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유입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사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유로를 흐르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유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홀로 과잉배출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배출저수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탑 프레임이 끼움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측방이동제한부와, 상기 측방이동제한부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탑 프레임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이동제한부와, 상기 탑 프레임이 상기 결합보조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측방이동제한부와 상기 전방이동제한부를 연결하는 이탈방지부를 갖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보조부재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결합보조부재에 고정되는 고정영역과,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결합보조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영역을 갖는 고정삽입홀; 및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분리영역에서 상기 고정영역으로 이동시에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측방이동제한부와, 상기 전방이동제한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리어 프레임보다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핸들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은, 그 하부에 마련되며, 인접한 상기 핸들유닛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외관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강성보강을 위한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을 가로지르는 제 1중심선(M) 및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 1중심선(M)에 직교하는 제 2중심선(N)은 교점(Q)을 형성하고, 상기 비드는 상기 교점(Q)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원 및 타원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 1 비드와, 상기 제 1 비드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제 1 비드와 동심을 갖는 원 및 타원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 2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내부에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부를 갖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부에서의 동작을 입력하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버튼을 갖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컨트롤버튼의 배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유닛을 갖고, 상기 컨트롤패널과 결합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컨트롤버튼이 치우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버튼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탄성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리브는,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고, 그 양 단부가 상기 컨트롤버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컨트롤버튼의 배면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리브는, 탄성을 가지고, 굽힘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컨트롤버튼이 눌리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의 탄성을 갖도록, 일측이 개방된 C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인쇄회로기판의 온/오프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지지유닛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기의 진퇴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가입돌기로의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컨트롤버튼의 배면에서 상기 컨트롤버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리브; 및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서 상기 컨트롤버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리브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리브와 밀착배치되는 제 2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리브는 상기 제 2 가이드리브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는 탑 프레임으로부터 바텀 프레임까지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므로 세탁기의 전면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라인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세탁기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크 또는 탄성 픽서를 통해 프런트 프레임 또는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므로 프런트 커버가 프런트 프레임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후크는 프런트 커버를 잡아 당기면 회전 모멘트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프런트 커버의 탈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를 바텀 프레임 또는 프런트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나사 부재는 하측에서 상측 또는 상측에서 하측의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여 체결될 수 있으므로 나사 부재가 전방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는 프런트 커버와 사이드 프레임의 벤딩부의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돌출되는 필러부를 포함하므로 필러부에 의해 프런트 커버와 사이드 프레임의 벤딩부의 갭이 가려질 수 있고 따라서 외관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탑 프레임을 복수의 패널로 구성함에 따라 심미감의 향상 및 강도보강이 가능하다.
또한, 탑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세탁기 내부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탑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핸들유닛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세탁기의 운반 또는 탑 프레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탑 프레임을 세탁기에 용이하게 조립 및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측면 프레임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측면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세탁과정 중 측면 프레임의 중심부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 및 진동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에 곡면 및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는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세탁기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컨트롤버튼의 눌림력을 향상시켜 컨트롤버튼이 함몰되거나,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버튼 어셈블리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조를 갖음으로써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와, 프런트 프레임 및 캐비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탄성 후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의 후방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픽서 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탑 프레임을 분해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2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26,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시, 후크유닛과 후크삽입홀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28,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과 결합보조부재의 결합시, 고정돌기와 고정삽입홀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30,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과 결합보조부재의 결합시 고정돌기와 고정삽입홀의 결합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2는 도 23의 E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와 탑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핸들유닛을 확대한 도면.
도 36은 도 3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7은 도 35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
도 40은 도 39의 S-S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1은 도 39의 제 1중심선(M)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2는 도 39의 제 2중심선(N)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3은 도 39의 직선(A)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6, 4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버튼 어셈블리의 탄성지지유닛의 확대도.
도 49, 5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에서 수분의 흐름에 관한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5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와, 프런트 프레임 및 캐비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80)와, 터브(8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90)와, 회전조(90)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조(90)에는 전방에 개구(93)가 형성되고, 대략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9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들어 올리는 리프터(91)가 마련되고, 회전조(90)가 회전하면 리프터(91)가 세탁물을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회전조(90)의 둘레에는 터브(80)의 세탁수가 유출입되도록 통공(9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조(90)의 후방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95)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90)와 모터(95)의 사이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96)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축(96)의 일단은 회전조(9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구동축(96)의 타단은 터브(80)를 관통하여 모터(95)에 연결될 수 있다.
터브(80)의 후벽에는 구동축(9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97)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97)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고, 터브(80)를 사출할 때 터브(20)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97)과 구동축(96)의 사이에는 구동축(96)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베어링(98)이 마련될 수 있다.
터브(80)의 상부에는 터브(8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6)이 마련될 수 있다. 급수관(6)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급수관(6)의 타측은 세탁수 공급 장치(7)에 연결될 수 있다. 세탁수 공급 장치(7)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80)에 연결될 수 있다.
터브(80)의 하부에는 터브(80)의 세탁수를 배수하거나 순환시키는 펌프(85)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는 양 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프레임들(20)과 백 프레임(50)과 탑 프레임(60)과 바텀 프레임(70)으로 구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프레임(100)과, 프런트 프레임(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커버(120)를 포함한다.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들(20)과, 백 프레임(50)은 철판 재질로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후에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00)은 사이드 프레임들(20)과 백 프레임(50)의 형태를 고정시키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프런트 프레임(101)과, 메인 프런트 프레임(102)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런트 프레임(101)과, 메인 프런트 프레임(102)은 각각 철판 재질로 프레스 성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는 달리 프런트 프레임(10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런트 프레임(100)에는 터브(80)와 회전조(90)의 개구에 연결되어 회전조(9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는 내부 투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 투입구(103)와 터브(80)의 개구(81)는 연결 부재(8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00)은 사이드 프레임(20)에 나사, 볼트, 핀, 리벳 등의 나사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는 세탁기(1)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120)는 상측의 탑 프레임(60)으로부터 하측의 바텀 프레임(70)에 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프런트 프레임(100)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즉, 프런트 커버(120)는 이음새를 갖지 않는다(seamless). 따라서, 세탁기(1)의 전면에는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외관이 단순해지고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에는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 투입구(103)에 대응되는 외부 투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외부 투입구(121)와 내부 투입구(103)를 연결하는 가이드 도어(30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도어(300)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도어(300)에는 외부 투입구(121)와 내부 투입구(103)를 개폐하는 도어(2)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2)는 가이드 도어(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외부 투입구(121)의 직경은 내부 투입구(103)의 직경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 개방감이 커 보일 수 있으며, 세탁물의 입출이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세제함(9)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11)과, 조작 패널(420)과, 펌프 필터 커버(4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커버(12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와, 조작 패널 설치구(127)와, 펌프 필터 커버 설치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틀(410)이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틀(410)에 디스플레이 패널(411)이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는 프런트 프레임(100)과, 사이드 프레임(20)과, 탑 프레임(60)과, 바텀 프레임(7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는 제 1 도어 부재(3)와, 제 2 도어 부재(4)와, 제 3 도어 부재(5)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프런트 커버(120)의 세부 구성 및 그 결합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탄성 후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프런트 커버(120)와 가이드 도어(400)의 결합 구조와, 프런트 커버(120)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120)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프런트 커버(120)의 외부 투입구(121,도 3)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내부 투입구(103,도 3)를 연결하는 가이드 도어(30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도어(300)는 프런트 커버(120)에 끼움 결합되도록 가이드 도어(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런트 커버(120)에는 가이드 도어(300)의 결합 돌기(310)가 삽입되도록 외부 투입구(1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결합홈(19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는 결합홈(190)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제 1 결합홈 형성부(191)와, 제 2 결합홈 형성부(192)와, 제 3 결합홈 형성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합 돌기(310)가 결합홈(190)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도어(300)가 프런트 커버(120)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20)은 캐비닛(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21)와, 프런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전면부(23)와, 측면부(21)와 전면부(23)를 연결하는 벤딩부(22)와, 전면부(23)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고 탄성 후크(140)가 맞물릴 수 있는 걸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는 평면 또는 곡면 형태의 패널부(122)와, 사이드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패널부(12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후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120)는 탑 프레임(60)에서 바텀 프레임(70)까지 연장되도록 길게 일체로 형성되므로, 프런트 커버(120)가 프런트 프레임(100)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탄성 후크(140)를 통해서 프런트 커버(120)가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들뜸 현상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후크(140)는 프런트 커버(120)의 상하 방향으로 군데 군데 적절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도 15).
또한, 탄성 후크(140)는 패널부(122)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나사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런트 커버(120)를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후크(1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된 프런트 커버(120)를 단순히 잡아 당김으로써 프런트 커버(120)를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서비스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자세하게, 탄성 후크(140)는 프런트 커버(120)의 패널부에 연결되어 돌출이 시작되는 뿌리부(141)와, 사이드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헤드부(146)와, 뿌리부(141)와 헤드부(146)를 연결하는 줄기부(142,143,144,145)를 포함할 수 있다.
줄기부(142,143,144,145)는 프런트 커버(120)의 착탈 시의 진행 방향(M1)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부(143,145)와, 직선부(143,145)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42,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헤드부(146)의 최내측 지점과, 뿌리부(141)의 최내측 지점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L)이 형성되고, 헤드부(146)와 뿌리부(141) 사이에 충분한 직선 거리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 커버(120)의 탈거 시에 탄성 후크(140)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탄성 후크(140)가 회전할 수 있고(M2) 탄성 후크(140)가 부러지지 않고 프런트 커버(120)가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헤드부(146)는 프런트 커버(120)의 장착 시에 사이드 프레임(20)에 접촉되면서 탄성 후크(140)가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47)과, 프런트 커버(120)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 사이드 프레임(20)에 간섭되어 탄성 후크(140)를 고정시키는 지지면(14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00)에는 탄성 후크(14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프런트 커버(120)와 사이드 프레임(20)을 접근시키면 탄성 후크(140)가 다소 벌어지면서 탄성 후크(140)의 헤드부(146)가 사이드 프레임(20)의 걸림부(24)에 간섭되어 프런트 커버(120)가 사이드 프레임(20)에 고정되게 되고, 반대로 프런트 커버(120)를 사이드 프레임(20)으로부터 끌어 당기면 탄성 후크(140)가 다소 벌어지면서 프런트 커버(120)와 사이드 프레임(2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따로 도시하지 않으나, 탄성 후크(140)는 사이드 프레임(20)이 아니라 프런트 프레임(100)에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런트 커버(1)는 복수의 탄성 후크들(140)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탄성 후크들(140)은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의 탄성 후크들(140)은 프런트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사이드 프레임(22)과 프런트 커버(120)의 측면 갭(G)을 가리기 위한 필러부(181)에 대해 상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0)은 철판 재질로 프레스 성형되므로 필연적으로 측면부(21)와 전면부(23)의 사이에 라운드를 갖는 벤딩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20)의 전면부(23)에 밀착하는 프런트 커버(120)의 밀착부(180)와, 사이드 프레임(20)의 벤딩부(22)의 사이에는 갭(G)이 발생한다. 여기서, 밀착부(180)는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갭(G)은 세탁기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외부에 노출되어 사이드 프레임(20)과 프런트 커버(120)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을 주면서 미감을 해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의 밀착부(180)는 이러한 갭(G)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사이드 프레임(20) 측으로 돌출되는 필러부(181)를 포함한다.
필러부(181)는 프런트 커버(120)의 밀착부(180)의 외곽에서 사이드 프레임(20)의 벤딩부(22)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필러부(181)는 밀착부(1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러부(181)는 벤딩부(22)의 라운드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내측 곡면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곡면부(181)는 벤딩부(22)에 밀착될 수 있다. 필러부(181)는 내측 곡면부(181)의 외측에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평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프런트 커버(120)의 상부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프런트 커버(120)의 상부와 프런트 프레임(100)의 상부는 나사 부재(S1)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커버(120)는 프런트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프런트 커버(12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70)는 대략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고, 프런트 프레임(100)의 상측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70)에는 나사 체결홀(171)이 형성되고, 프런트 프레임(100)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 체결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체결홀(171,105)에는 나사 부재(S1)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나사 부재(S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대략 수직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S1)의 상측에는 탑 프레임(6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S1)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나사 부재(S1)에 의해 외관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하부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프런트 커버(120)의 하부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프런트 커버(120)는 바텀 프레임(70)과의 결합을 위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바닥 결합부(160)를 포함한다. 바닥 결합부(160)는 바텀 프레임(70)의 아래에서 바텀 프레임(7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닥 결합부(160)는 걸림 구조를 통해 바텀 프레임(70)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 결합부(160)는 나사 부재(S2)를 통해 바텀 프레임(7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161)는 바텀 프레임(70)의 걸림 돌기(71)가 삽입되는 걸림홀(16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구조로써, 프런트 커버(120)의 하단이 별도의 나사 부재 없이 바텀 프레임(7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163)는 나사 부재(S2)가 결합되는 나사 체결홀(164)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바텀 프레임(70)에도 나사 부재(S2)가 결합되는 나사 체결홀(72)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부재(S2)는 나사 체결홀(164,72)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부재(S2)는 세탁기의 전방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세탁기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고, 프런트 커버(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부속 패널 설치구의 금형 빼기면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프런트 커버(120)의 패널부(122)는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는 평면 패널부(123)와, 평면 패널부(123)의 상측에 평면 패널부(123)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패널부(124)를 포함한다.
경사 패널부(124)에는 디스플레이 패널(411,도 1)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와, 조작 패널(420,도 1)이 설치되는 조작 패널 설치구(127) 등의 부속 패널 설치구(12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 패널부(124)에 부속 패널 설치구(125)가 마련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411) 및 조작 패널(420)이 다소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세탁기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작동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는 상측 금형 빼기면(128)과, 하측 금형 빼기면(129)을 포함한다. 조작 패널 설치구(127)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나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120)는 평면 패널부(123)와 경사 패널부(124)를 포함하여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변형 코어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금형 비용을 저감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의 상측 금형 빼기면(128)과 하측 금형 빼기면(12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사 패널부(124)가 아니라 수평면(H)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마련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126)의 상측 금형 빼기면(128)과 수평면(H)의 각도를 θ라고 하면 θ는 수평면(H)의 아래 방향으로 10ㅀ 내지 윗 방향으로 45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픽서 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프런트 커버(120)의 구성에 대해 부연 설명하고, 탄성 픽서(240)에 의한 프런트 커버(120)와 프런트 프레임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프런트 커버(120)에는 배수 펌프(미도시) 등이 연결되는 펌프 연결 프레임(13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커버(120)에는 프런트 프레임(100)에 지지되도록 외부 투입구(121)에 인접한 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20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는 수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프런트 커버(120)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에 프런트 커버(120)가 프런트 프레임(100) 측으로 함몰될 수 있는 바, 지지 레그(200)에 의해서 이와 같은 함몰 현상이 방지되고, 프런트 커버(12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에는 탄성 후크(140) 이외에 프런트 커버(120)를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 픽서(24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픽서(240)는 전술한 술한 탄성 후크(140,150)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프런트 커버(120)를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 후크(140,150)는 프런트 커버(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탄성 픽서(240)는 프런트 커버(120)와 별도로 마련된다.
탄성 픽서(240)는 프런트 커버(120)에 고정되는 고정부(241)와,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삽입되는 삽입부(242)와, 고정부(241)와 삽입부(242)를 연결하는 연결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프런트 커버(120)에는 고정부(241)가 삽입되는 고정홈(210)과, 고정부(241)가 고정홈(2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벽(211)이 형성되고,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는 삽입부(242)가 삽입되는 삽입홀(10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벽(211)에는 탄성 픽서(240)의 연결부(247)가 안착되는 안착홈(213)과, 탄성 픽서(240)의 연결부(247)를 안착홈(213)으로 안내하는 안내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 픽서(240)를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탄성 픽서(240)의 고정부(241)를 프런트 커버(120)의 고정홈(2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탄성 픽서(240)의 삽입부(242)는 삽입홀(106)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242)는 삽입부(242)가 삽입홀(106)에 진입 시에 프런트 프레임(100)에 접촉되는 제 1 경사면(243)과, 삽입부(242)가 삽입홀(106)에서 이탈될 때 프런트 프레임(100)에 접촉되는 제 2 경사면(244)을 가질 수 있다. 제 1 경사면(243)과, 제 2 경사면(244)에 의해 삽입부(242)는 원활하게 삽입홀(106)에 진입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탄성 픽서(240)가 프런트 프레임(100)의 삽입홀(106)에 접근하면 탄성 픽서(240)의 삽입부(242)가 오므라들면서 삽입홀(106)을 통과하고, 통과가 완료되면 삽입부(242)가 다시 확장되어 삽입홀(106)에 맞물림으로써 탄성 픽서(240)가 프런트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탄성 픽서(240)가 프런트 프레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픽서(240)를 잡아 당기면 탄성 픽서(240)의 삽입부(242)가 오므라들면서 삽입홀(106)을 통과하고, 따라서, 탄성 픽서(240)가 프런트 프레임(1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탄성 픽서(240)의 스커트부(246)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프런트 프레임(100)에 접촉하고, 탄성 픽서(24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 픽서(240)를 이용함으로써 프런트 커버(120)를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120)는 세탁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프런트 프레임(100)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단의 탐 프레임(60)과 하단의 바텀 프레임(70)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프런트 커버(120)의 상단과 하단은 프런트 프레임(100) 및 바텀 프레임(70)에 나사 부재(S1,S2)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나사 부재(S1,S2)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프런트 커버(12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앙부는 탄성 후크(140,150) 또는 탄성 픽서(240)에 의해 프런트 프레임(100) 또는 사이드 프레임(20)에 결합되므로 프런트 커버(120)는 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지만 들뜨거나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탄성 후크(140,150) 및 탄성 픽서(240)는 프런트 커버(120)를 잡아 당기는 동작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프런트 커버(120)의 탈거가 용이하여 서비스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세탁기(50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함(502)을 포함하고, 세제함(502)은 프런트 커버(520)를 통해 캐비닛(10,도 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함(502)은 세제, 유연제, 헹굼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세제함(502)에 세제 등을 투입한 후에 후술하는 프런트 커버(502)의 세제함 설치구(501)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의 세탁수 공급 장치(7,도 2)에 장착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세제함(502)이 장착되는 세탁수 공급 장치(7)가 마련되고, 급수관(6,도 2)을 통해 급수된 세탁수는 세탁수 공급 장치(7)에서 세제함(502)의 세제와 섞인 후에 연결관(8,도 2)을 통해 터브(80,도 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커버(520)에는 세제함(502)이 통과하는 세제함 설치구(501)가 형성될 수 있다. 세제함(502)은 세제함 설치구(501)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제함 설치구(501)는 프런트 커버(50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었으나, 세제함 설치구(50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120)는 세탁기의 전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므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는 물론이고,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함과,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 패널과, 펌프 필터 등이 설치되는 각종 설치구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세탁기(600,700,800)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20)과, 백 프레임(50)과, 탑 프레임(60)과, 바텀 프레임(70)을 포함하는 캐비닛을 갖고, 캐비닛의 전방에는 프런트 커버(610,710,810)가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610,710,810)는 세탁기(600,700,800)의 전방 외관 전체 영역을 커버한다. 프런트 커버(610,710,810)는 탑 프레임(60)에서 바텀 프레임(7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610,710,810)는 세탁기(600,700,800)의 전방 외관 전체를 커버하므로, 도어가 설치되는 투입구(621,721,821)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 패널이 설치되는 부속 패널 설치구(622,623,722,723,822,823)와, 펌프 필터가 설치되는 커버 설치구(624,724,8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으나, 세제함이 설치되는 세제함 설치구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610,710,810)는 탑 프레임(60)에서 바텀 프레임(7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나아가, 탑 프레임(60) 또는 바텀 프레임(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610)는 탑 프레임(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커버(610)와 탑 프레임(60)은 철판과 같은 동일한 재질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710)는 바텀 프레임(7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프런트 커버(710)와 바텀 프레임(70)은 철판과 같은 동일한 재질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커버(810)는 양 사이드 프레임들(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프런트 커버(810)와 사이드 프레임들(20)은 철판과 같은 동일한 재질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과 탑 프레임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2, 23을 참조하면, 세탁기(100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1052)와, 회전조(1052)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본체는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커버(1014)와, 프런트 프레임의 양 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프레임(1020)들과, 프런트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1030)과, 지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바텀 프레임(1040)으로 구성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프레임(11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조(1052)에는 전방에 개구(1052a)가 형성되고, 대략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들(1020)과, 리어 프레임(1030)은 철판 재질로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후에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1020)들과 리어 프레임(1030)의 형태를 고정시키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프런트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1020)에 나사, 볼트, 핀, 리벳 등의 나사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14)는 세탁기(1001)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1014)는 상측의 탑 프레임(1100)으로부터 하측의 바텀 프레임(1040)에 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프런트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1001)의 전면에는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외관이 단순해지고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14)와 프런트 프레임의 사이에는 가이드 도어(106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도어(1062)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14)와 프런트 프레임의 사이에는 세제함(108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14)에는 디스플레이패널(1075), 조작패널(1076)과 같은 전기부품과, 펌프필터커버(1077)가 설치될 수 있다.
탑 프레임(1100)은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을 포함한다.
외부프레임(111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내부프레임(1130)은 외부프레임(1110)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부프레임(1110)의 내측에 마련된다. 외부프레임(1110)은 내부프레임(1130)의 전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은 대략 사각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프레임(111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므로, 디자인형상을 구현하도록 일례로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성형이 용이한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내부프레임(1130)은 외부프레임(1110)의 내부, 즉 외부프레임(1110)의 하부에 밀착배치되며, 외부프레임(1110)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부프레임(1130)은 탑 프레임(1100)이 캐비닛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내부프레임(1130)은 외부프레임(1110)의 하부에서 탑 프레임(1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캐비닛의 상부의 전 영역을 걸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1110)은 내부프레임(1130)의 전 영역을 걸쳐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내부프레임(1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130)은 강도보강을 위해 일례로 철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철재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탑 프레임(1100)의 강도보강을 위한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내부프레임(1130)은 탑 프레임(1100)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볼룩부(1132a)와 오목부(1132b)를 갖는 엠보싱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130)은 프레스성형에 의해 마련될 수 있는 데, 프레스성형과정에서 내부프레임몸체에 볼룩부(1132a)와, 볼룩부(1132a)와 인접하여 볼룩부(1132a)보다 오목한 오목부(1132b)를 갖도록 하여, 내부프레임(1130)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6,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의 결합시, 후크유닛과 후크삽입홀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외부프레임(1110)은 내부프레임(113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역으로 내부프레임(1130)은 외부프레임(1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프레임(1110)은 내부프레임(1130)에 대해 결합방향(w1)과, 결합방향(w1)과 반대되는 분리방향(w2)을 이동하여 내부프레임(113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외부프레임(1110)은 외부프레임몸체(1112)와 후크유닛(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몸체(1112)는 패널의 형상을 가지고, 탑 프레임(1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크유닛(1120)은 외부프레임몸체(111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부프레임(1130)측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후크유닛(1120)이 외부프레임몸체(1112)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내부프레임(1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크유닛(1120)은 외부프레임(1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후크몸체(1122)와, 후크몸체(1122)로부터 절곡되는 후크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몸체(1122)는 외부프레임몸체(111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후크부(1124)는 이후 설명하는 후크스토퍼부(1150)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몸체(1122)로부터 절곡되어 외부프레임몸체(1112)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1124)와 외부프레임몸체(1112)사이의 후크높이(H)은 후크스토퍼부(1150)의 상하방향 두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후크스토퍼부(1150)의 상하방향두께는 후크높이(H)보다 같거나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130)은 내부프레임몸체(1132)와 후크삽입홀(1140)과 후크스토퍼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프레임몸체(1132)는 패널의 형상을 가지고, 외부프레임(1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탑 프레임(11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마련된다. 후크삽입홀(1140)은 내부프레임몸체(1132)상에 마련되며, 후크유닛(1120)에 대응되어, 내부프레임몸체(1132)상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후크삽입홀(1140)이 내부프레임몸체(1132)상에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외부프레임(1110)이 내부프레임(1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크스토퍼부(1150)는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결합시, 외부프레임(1110)의 결합방향(w1)으로의 진행을 제한하며, 후크유닛(1120)이 끼움결합되어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후크스토퍼부(1150)는 후크삽입홀(1140)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후크삽입홀(1140)의 배치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크스토퍼부(1150)는 후크삽입홀(1140)에서 결합방향(w1)측 단부에 마련되어, 후크유닛(112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인접한 내부프레임(1130)보다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즉, 후크스토퍼부(1150)는 인접한 내부프레임몸체(1132)보다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후크스토퍼부(1150)의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1124)와 외부프레임몸체(1112)사이에 형성되는 후크간격(H)보다 같거나 작도록 마련되어, 후크유닛(1120)이 후크스토퍼부(115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외부프레임(1110)은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이 결합된 후,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분리방지턱(1126)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방지턱(1126)은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이 결합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외부프레임(1110)이 임의로 분리방향(w2)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한다. 분리방지턱(1126)은 외부프레임몸체(111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후크유닛(1120)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방지턱(1126)은 후크유닛(1120)에서 분리방향(w2)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후크삽입홀(1140)의 분리방향(w2)측 단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결합시, 후크삽입홀(1140)의 일측에는 후크유닛(1120)이, 후크삽입홀(1140)의 타측에는 분리방지턱(1126)이 안착되도록 배치된다.
분리방지턱(1126)은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과 접하도록,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과 접하는 분리방지면(1126a)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방지턱(1126)은 내부프레임몸체(1132)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후크삽입홀(1140)과 인접한 내부프레임몸체(1132)의 두께(IF_t)는 분리방지면(1126a)의 높이(H_S)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결합시 안정적으로 분리방지턱(1126)이 후크삽입홀(1140)의 타측에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결합 또는 분리시에 후크유닛(1120)과 후크삽입홀(1140)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부프레임(1110)을 내부프레임(1130)에 대해 결합방향(w1)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경우, 후크유닛(1120)은 내부프레임(1130)의 후크삽입홀(1140)로 관통 또는 삽입된다.
후크유닛(1120)이 내부프레임(1130)의 후크스토퍼에 끼움결합되면, 외부프레임(1110)은 결합방향(w1)으로의 진행이 제한되고,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이 결합이 된다. 후크유닛(1120)과 후크삽입홀(1140)과 후크스토퍼부(1150)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가 마련되므로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외부프레임(1110)이 내부프레임(1130)에 결합되면, 분리방지턱(1126)은 후크삽입홀(1140)의 타측에 안착된다. 분리방지턱(1126)의 분리방지면(1126a)은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과 접하여 외부프레임(1110)이 분리방향(w2)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외부프레임(1110)이 내부프레임(1130)과 결합시, 외부프레임(1110)은 후크유닛(1120)과 후크스토퍼부(1150)의 결합으로 결합방향(w1)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분리방지턱(1126)과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의 접촉으로 분리방향(w2)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다음으로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분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과정은 결합과정에 대해 역과 같다.
분리방지턱(1126)과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과의 접촉을 해제시키도록 분리방지턱(1126)과 후크삽입홀(1140)의 외곽면(1140a)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부프레임(1110)을 가압시켜 외부프레임(1110)이 분리방향(w2)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한다.
이후 외부프레임(1110)을 분리방향(w2)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경우 후크유닛(1120)과 후크스토퍼부(1150)의 결합이 해제되고,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은 분리가 된다.
이하는 탑 프레임(1100)과 캐비닛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 2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과 결합보조부재의 결합시, 고정돌기와 고정삽입홀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0,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탑 프레임과 결합보조부재의 결합시 고정돌기와 고정삽입홀의 결합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탑 프레임(1100)은 사이드 프레임(1020), 리어 프레임(1030), 프런트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20)의 상부에는 탑 프레임(1100)이 사이드 프레임(10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보조부재(109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1090)는 사이드 프레임(102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구성으로 사이드 프레임(10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보조부재(1090)는 사이드 프레임(102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공(1091)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프레임(1130)에는 슬라이딩이동하여 결합보조부재(1090)에 장착시 나사에 간섭되지 않도록 나사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방향(w1)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간섭방지부(1134)가 마련될 수 있다.
탑 프레임(1100)은 결합보조부재(1090)에 나사결합과 같은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탑 프레임(1100)가 결합보조부재(1090)에 대해 끼움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탑 프레임(1100)은 결합보조부재(109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160)를 포함한다. 고정돌기(1160)는 탑 프레임(1100)의 결합방향(w1)에 대해 양측 단부에 마련되어, 탑 프레임(1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보조부재(109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고정돌기(1160)는 탑 프레임(1100)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에 대해 탑 프레임(1100)의 양 측방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내부프레임(1130)의 양 측방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0)는 내부프레임몸체(113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60)는 탑 프레임(1100)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측방이동제한부(1161), 측방이동제한부(1161)로부터 절곡형성되어 탑 프레임(1100)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이동제한부(1162), 탑 프레임(1100)이 결합보조부재(109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측방이동제한부(1161)와 전방이동제한부(1162)를 연결하는 이탈방지부(1163)를 포함한다. 측방이동제한부(1161)와 전방이동제한부(1162)와 이탈방지부(1163)사이에는 안착공간(1164)이 형성되는 데, 안착공간(1164)에 이후 설명하는 결합보조부재(1090)의 결합돌기(1094)가 삽입됨으로서, 탑 프레임(1100)의 측방, 전방,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결합보조부재(1090)는 고정삽입홀(109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삽입홀(1092)은 고정돌기(116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보조부재(1090)상에 고정돌기(1160)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삽입홀(1092)은 고정돌기(1160)가 결합보조부재(1090)에 고정되는 고정영역(1092a)과, 고정돌기(1160)가 결합보조부재(1090)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영역(1092b)을 포함한다. 탑 프레임(1100)의 고정돌기(1160)를 고정삽입홀(1092)의 분리영역(1092b)으로 삽입시킨 후, 탑 프레임(1100)을 결합방향(w1)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고정돌기(1160)는 분리영역(1092b)에서 고정영역(1092a)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합보조부재(109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결합보조부재(1090)는 고정돌기(1160)가 분리영역(1092b)에서 고정영역(1092a)으로 이동시에 안착공간(1164)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109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160)가 결합돌기(1094)에 결합되고, 또한 이러한 결합이 탑 프레임(1100)의 양측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탑 프레임(1100)은 측방, 전방,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하는 세탁기의 수분침투방지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도 23의 E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프런트 커버와 탑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탑 프레임(1100)은 수분침투방지부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침투방지부재(1200)는 탑 프레임(110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탑 프레임(1100)을 캐비닛에 결합시에 프런트 프레임과 탑 프레임(1100)의 연결부(1013)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연결부(1013)로 유입된 물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프레임과 탑 프레임(1100)의 연결부(1013)에 위치하도록 탑 프레임(110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탑 프레임(11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의 내부에는 물에 취약한 조작패널이나,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부(미도시)등과 같은 전기부품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분침투방지부재(1200)가 캐비닛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이동이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우회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수분침투방지부재(1200)는 유입가이드부(1210)와 배출가이드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가이드부(1210)는 외부프레임(11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연결부(1013)로 유입되는 물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유입가이드부(1210)는 프런트 프레임과 탑 프레임(1100)의 연결부(1013)의 하부에 배치되고, 캐비닛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가이드부(1210)는 연결부(1013)로부터 유입되어 수분가이드면(1201)을 따라 흐르는 물을 가이드하여, 이후 설명하는 배출가이드부(12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입가이드부(1210)는 연결부(1013)로부터 유입된 물을 수분침투방지부재(1200)의 길이방향으로 분산시켜 이후 설명하는 배출가이드부(1220)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유입가이드부(1210)는 연결부(1013)로부터 유입된 물이 분산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와,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에 의해 가이드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유입홀(1218)을 포함한다.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는 연결부(1013)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분산시켜 유입홀(1218)로 배출하게 된다. 복수의 분산가이드와 복수의 유입홀(1218)은 유입가이드부(1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결부(1013)로부터 과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분산가이드부(1212)에 의해 유입되는 물이 분산되어, 복수의 유입홀(1218)로 분산 배출됨으로서 분산가이드부(1212)로부터 미쳐 가이드되지 않은 물이 유입가이드부(1210)로부터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는 분산가이드바닥면(1214)과 분산가이드플랜지(1215)를 포함한다. 복수의 분산가이드부(1212)는 분산가이드바닥면(1214)과 분산가이드플랜지(1215)에 의해 분산유로(1216)를 형성할 수 있다.
분산가이드바닥면(1214)에는 복수의 유입홀(1218)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홀(1218)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좌우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유입홀(1218)의 배치간격과 배치형태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분산가이드플랜지(1215)는 분산가이드바닥면(1214)의 일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도록 마련되며, 분산가이드바닥면(1214)을 흐르는 물이 넘쳐나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내부프레임(1130)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연결부(1013)로 유입되는 물이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유입가이드부(1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캐비닛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가이드부(1210)와 배출가이드부(122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입가이드부(1210)에 대응되도록 배출가이드부(122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유입가이드부(12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의 사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전기부품의 영향을 주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배출가이드부(1220)는 복수의 유입홀(1218)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의 사이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배출유로(1226)와, 배출유로(1226)상에 배치되어 배출유로(1226)를 흐르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홀(1227)을 포함한다. 배출홀(1227)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유로(1226)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배출유로(1226)는 유입가이드부(1210)로부터 배출된 물이 흐르도록 수분침투방지부재(1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226)는 수분침투방지부재(1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런트 프레임쪽이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1226)에서 전방을 밀폐시켜, 프런트 프레임쪽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입가이드부(1210)의 프런트 프레임쪽 단부와 배출가이드부(1220)의 프런트 프레임쪽 단부가 밀착하여 배출유로(1226)의 프런트 프레임쪽 방향을 밀폐시킬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쪽의 타측인 캐비닛의 후면쪽을 향하는 배출유로(1226)의 일측은,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의 밀착결합을 통해 밀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출유로(1226)는 유입홀(1218)과 배출홀(1227)을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배출유로(1226)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유입홀(1218)로 과잉배출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배출저수공간(228)을 포함한다. 유입홀(1218)로부터 물이 과잉배출되어 배출가이드부(1220)에서 물이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고, 일시적으로 저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배출가이드바닥면(1224)과 배출가이드플랜지(1225)를 포함한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배출가이드바닥면(1224), 배출가이드플랜지(1225)에 의해 배출유로(1226)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배출유로(1226)가 프런트 프레임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기부품은 프런트 프레임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는 데, 물이 전기부품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에는 배출홀(1227)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홀(1227)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도록 하며, 전기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출유로(1226)의 가장자리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배출홀(1227)의 수 및 배치간격, 배치형태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은 배출가이드경사면(1224a)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경사면(1224a)은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에서 배출가이드부(1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으로 물이 집수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출가이드부(1220)를 흐르는 물을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가이드플랜지(1225)는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배출가이드바닥면(1224)을 흐르는 물이 넘쳐나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배출가이드부(1220)는 유입가이드부(1210)보다 너비가 넓도록 마련되며, 배출가이드부(1220)는 유입가이드부(1210)의 하부를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마련되어 유입가이드부(12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출가이드부(1220)로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출가이드플랜지(1225)의 내측면은 분산가이드플랜지(1214)의 외측면과 밀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출유로(1226)의 프런트 프레임쪽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가이드부(1210)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211)와, 배출가이드부(1220)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홈이 결합함으로서, 유입가이드부(1210)와 배출가이드부(1220)가 이격되지 않고 안정적인 배수가 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탑 프레임(1100)과 프런트 프레임사이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수분침투방지부재(1200)에 의한 물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탑 프레임(1100)과 프런트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1013)에 물이 유입되면 물은 수분가이드면(1201)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어서 유입가이드부(1210)로 떨어지게 된다.
유입된 물은 유입가이드부(1210)의 유입홀(1218)로 바로 유입되어 배출가이드부(1220)로 배출되거나, 유입가이드부(1210)의 분산가이드부(1212)의 분산유로(1216)를 따라 흘러서, 인접한 유입홀(1218)을 통해 배출가이드부(1220)로 분산되어 배출된다.
배출가이드부(1220)로 낙하된 물은 배출유로(1226)를 따라 흘러 배출홀(1227)로 배출된다.
배출홀(1227)은 캐비닛의 좌우방향 단부와 인접하도록 마련되므로, 배출홀(1227)을 통해 배출된 물은 캐비닛의 내측면을 따라 캐비닛의 하부로 배출되거나, 별도의 배출관(미도시)를 두어 전기부품을 우회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핸들유닛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6은 도 3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탑 프레임(1100)은 그 일단에 마련되어 세탁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마련되는 핸들유닛(124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유닛(1240)은 탑 프레임(110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리어 프레임(103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세탁기의 이동을 위해 별도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탑 프레임(110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구비하여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핸들유닛(1240)은 외부프레임(11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외부핸들부(1242)와, 내부프레임(113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내부핸들부(124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핸들부(1242)는 외부프레임(1110)과 같이 플라스틱의 재질로 사출되도록 마련되어, 외부프레임(1110)과 함께 디자인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내부핸들부(1244)는 세탁기의 이동시 세탁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내부프레임(1130)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철제재질과 같은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130)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을 때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인접한 내부프레임(1130)의 하부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그립부(1245)가 마련될 수 있다.
탑 프레임(1100)의 후방에는 탑 프레임(1100)이 캐비닛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결합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결합부(1250)는 내부프레임(1130)으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내부결합부(1254)와, 외부프레임(1110)으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외부결합부(1252)를 포함한다. 내부결합부(1254)와 외부결합부(1252)는, 내부프레임(1130)과 외부프레임(1110)이 결합시 겹쳐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외부프레임(1110)과 내부프레임(1130)이 결합상태에 있는 경우, 내부결합부(1254)의 내부결합홀(1254a)과 외부결합부(1252)의 외부결합홀(1252a)은 동일한 중심선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탑 프레임(1100)을 캐비닛에 결합후에 고정결합부(1250)를 리어 프레임(103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서, 탑 프레임(1100)이 분리방향(w2)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즉, 탑 프레임(1100)이 캐비닛에 결합후에 고정결합부(1250)의 내부결합홀(1254a)과 외부결합홀(1252a)을 관통하여 리어 프레임(1030)과 고정결합부(1250)를 나사결합시켜 탑 프레임(1100)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의 S-S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의 제 1중심선(M)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39의 제 2중심선(N)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9의 직선(A)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2020)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세탁기(200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와, 회전조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양 측에 마련되는 사이드 프레임(2020)과 백 프레임(2050)과 탑 프레임(2060)과 바텀 프레임(2070)으로 구성된 캐비닛(2010)과, 캐비닛(2010)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프레임과,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런트 커버(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2020)과 백 프레임(2050)은 철판 재질로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후에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120)는 세탁기(2001)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2120)는 상측의 탑 프레임(2060)으로부터 하측의 바텀 프레임(2070)에 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프런트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2001)의 전면에는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따라서 외관이 단순해지고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120)에는 도어(2002)가 마련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12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411)과, 조작 패널(2420)과, 펌프 필터 커버(2430)가 설치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2120)는 프런트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2020)과, 탑 프레임(2060)과, 바텀 프레임(207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드 프레임(2020)에 형성되는 비드(2200) 형상에 대해 상술한다.
사이드 프레임(2020)은 사이드 프레임(2020)의 강성보강을 위한 비드(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2020)은 세탁기(2001)의 운전 및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사이드 프레임(2020)은 세탁기(2001)의 진동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세탁기(2001)의 진동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이드 프레임(202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이드 프레임(2020)에는 다양한 형상의 비드(2200)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세탁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프레임(2020)의 상하방을 가로지르는 제 1중심선(M) 및 사이드 프레임(2020)의 전후방을 가로지르고, 제 1중심선(M)에 직교하는 제 2중심선(N)은 교점(Q)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020)에 형성되는 비드(2200)는 교점(Q)에 가까워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020)은 비드(2200)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이 마련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020)은 비대칭적인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중심선(M)을 기준으로 사이드 프레임(2020)을 절개한 경우(이하, 이 때 형성되는 단면을 "단면 H"라 칭한다),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요철은 단면 H의 상측보다 하측에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 H의 상측에는 평평한 적어도 하나의 평평부(22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중심선(N)을 기준으로 사이드 프레임(2020)을 절개한 경우(이하, 이 때 형성되는 단면을 "단면 J"라 칭한다),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요철은 단면 J의 우측보다 좌측에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 J의 우측에는 평평한 적어도 하나의 평평부(22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A)을 기준으로 사이드 프레임(2020)을 절개한 경우(이하, 이 때 형성되는 단면을 "단면 K"라 칭한다),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를 향할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요철은 단면 K의 상측보다 하측에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면 K의 상측에는 평평한 적어도 하나의 평평부(2230)가 마련될 수 있다.
단면 H, 단면 J 및 단면 K에 형성되는 요철의 간격 및 돌출정도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1중심선(M) 및 제 2중심선(N)은 사이드 프레임(2020)을 복수의 영역(202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비드(2200)는 제 1 비드(2210) 및 제 2 비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복수의 영역(2021)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드(2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와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규칙적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제 1 비드(22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곡면 및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원 및 타원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서로 다른 곡률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를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제 1영역(2211) 및 제 2영역(2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2211)은 사이드 프레임(2020)의 가장자리 측에 배치되고, 제 2영역(2212)은 제 1영역(2211)에 연결되어 교점(Q)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교점(Q)에 더 가까운 제 2영역(2212)은 제 1영역(22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볼 때,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돌출 정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가 제 1 비드(2210)를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와 이격 정도가 커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돌출 정도가 작아질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가 제 1 비드(2210)를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에 가까워질 수록, 즉, 교점(Q)에 가까워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돌출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을 사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A)에 가까워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비드(220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직선(A)에 가까워질수록 사이드 프레임(2020)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비드(2200)는 직선(A)을 중심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비드(220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비드(2200)는 직선(A)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비드(2200)는 직선(A)과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사이드 프레임(20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중심(C)은 직선(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비드(2220)는 직선(A)과 적어도 하나의 교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의 중심(C)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비드(2210)는 원 및 타원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드(2210)의 중심(C)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직선(A)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비드(2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의 동심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2220)는 제 1 비드(2210)의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6, 4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버튼 어셈블리의 탄성지지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9, 5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44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는 캐비닛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캐비닛의 전면프레임(3010a)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는 세탁기의 세탁부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의 동작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160)으로부터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세탁부가 동작하게 된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는 외관패널(3110), 컨트롤패널(3120), 지지패널(3140), 인쇄회로기판(3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60)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세탁부가 해당명령을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60)은 이후 설명하는 컨트롤버튼(3124)의 이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316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120)에는 컨트롤버튼(3124)이 마련되며, 컨트롤버튼(3124)을 누름으로서, 인쇄회로기판(3160)으로 명령이 입력된다.
컨트롤패널(3120)은 컨트롤패널몸체(3122)와 컨트롤버튼(312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몸체(3122)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패널(314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122a)과 결합돌기(3122b)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지지패널(3140)에는 결합돌기(3141a), 결합홈(3141b)이 형성된다.
컨트롤패널몸체(3122)에는 진퇴가능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버튼(3124)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버튼(3124)은 외부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진퇴이동하여,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3160)의 스위치(3162)를 온/오프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124)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제 1 위치(P1,도 49)와,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위치(P1)로부터 가압된 제 2 위치(P2,도 50)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124)은 버튼몸체(3126)와, 버튼몸체(3126)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리브(312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몸체(3126)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가 버튼몸체(3126)를 가압함으로서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게 된다.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3160)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게 되어 세탁부가 해당명령을 동작하게 된다. 버튼몸체(3126)는 캐비닛에 마련되는 버튼홀(3011)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몸체(3126)는 인접한 컨트롤패널몸체(3122)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리브(3128)는 버튼몸체(3126)가 컨트롤패널몸체(312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지지리브(3128)는 컨트롤패널몸체(3122)와 동일평면에 형성되며, 버튼몸체(3126)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버튼몸체(3126)가 탄성을 가지고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 지지리브(3128)는 일단이 버튼몸체(3126)에 연결되고, 타단이 컨트롤패널몸체(3122)에 연결되어, 버튼몸체(3126)에 외력이 가해지면 컨트롤패널몸체(3122)로부터 버튼몸체(3126)가 탄성적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컨트롤패널(3120)은 컨트롤버튼(3124)의 눌림에 의해 스위치(3162)가 눌려지도록 가압돌기(3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60)은 지지패널(314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는 데, 가압돌기(3130)는 컨트롤버튼(3124)의 진퇴이동과 함께 진퇴하면서 인쇄회로기판(3160)의 스위치(3162)를 가압하여, 스위치(3162)가 온/오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돌기(3130)는 컨트롤버튼(3124)의 버튼몸체(3126) 배면에서 막대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컨트롤버튼(3124)의 진퇴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돌기(3130)의 일단은 버튼몸체(3126)의 배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가압돌기(3130)의 타단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316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3162)가 눌려지도록 마련된다.
지지패널(3140)에는 컨트롤버튼(3124)의 진퇴이동에 의해 가압돌기(3130)가 이동할 때, 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3143)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143)는 그 내부에 지지패널(3140)을 관통하는 가이드홀(3143a)이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홀(3143a)을 통해 가압돌기(3130)가 지지패널(3140)을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돌기(3143)는 가압돌기(3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돌기(3143)와 가압돌기(313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는 그 내부에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하며, 인쇄회로기판(3160)으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는 가이드리브(3171,317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의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조에 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관패널(3110)은 컨트롤패널(3120)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외관패널(3110)은 외관패널몸체(3112)와, 외관패널몸체(3112)상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관통되는 외관패널홀(3114)과, 컨트롤버튼(3124)의 측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버튼가이드부(3116)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패널몸체(3112)는 컨트롤패널(3120)의 전면에서 컨트롤패널(31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외관패널몸체(3112)는 컨트롤패널(3120)의 전면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112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컨트롤패널(3120)에는 결합돌기(3121a)가 형성된다.
외관패널홀(3114)은 버튼홀(3011)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튼몸체(3126)가 외관패널(3110)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버튼가이드부(3116)는 버튼몸체(3126)의 둘레를 덮도록 리브형상으로 마련되며, 버튼몸체(3126)와 밀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튼가이드부(3116)와 버튼몸체(3126)사이로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패널(3140)은 컨트롤패널(31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지지패널(3140)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유닛(31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150)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치우침과 눌림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탄성지지유닛(3150)은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124)이 흔들리거나 어느 일측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124)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컨트롤버튼(3124)의 눌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탄성지지유닛(315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3143)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그러나 탄성지지유닛(3150)의 배치와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지지유닛(3150)은 탄성을 가지고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리브(3154)와, 복수의 탄성리브(3154)를 지지패널몸체(3141)에 지지하는 리브고정부(315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고정부(3152)는 복수의 탄성리브(3154)가 지지패널(31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리브고정부(3152)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돌기(3143)를 중심으로 상하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리브고정부(3152)의 일면에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내부의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3152a)이 형성된다.
리브고정부(3152)는 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지지패널몸체(3141)로부터 전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리브고정부(3152)의 형상과 배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고정부(3152)는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이후 설명하는 지지부(3158)가 안착되는 안착면(315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3153)은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지지부(3158)가 안착될 수 있게 마련되고, 또한 지지부(3158)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탄성리브(3154)는 리브고정부(315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컨트롤버튼(3124)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탄성리브(3154)는 리브고정부(3152)로부터 연장형성될 수도 있으나, 지지패널(3140)의 전면에서 리브고정부(3152)와 무관하게 지지패널(3140)로부터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리브(3154)는 리브고정부(3152)로부터 연장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리브(3154)는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인 피가압면(3126a)을 지지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리브(3154)는 지지패널(3140)로부터 분기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리브(3154)는 리브고정부(3152)로부터 분기되는 한 쌍의 탄성리브(31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탄성리브(3154)는 리브고정부(3152)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분기되고,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인 피가압면(3126a)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된다. 즉, 분기된 양 단부가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으로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리브(3154)는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리브(3154)가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기됨에 따라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을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을 지지함에 따라 컨트롤버튼(3124)의 일측이 치우쳐서 눌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유닛(3150)은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한 쌍이 마련되고, 탄성리브(3154)는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마련되므로, 네 개의 탄성리브(3154)가 컨트롤버튼(3124)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을 사각형상으로 지지하게 되어, 컨트롤버튼(312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탄성지지유닛(3150)의 수와 탄성리브(3154)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리브(3154)는 컨트롤버튼(3124)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컨트롤버튼(3124)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버튼(3124)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탄성리브(3154)가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을 가압하여 지지함에 따라, 컨트롤버튼(3124)이 흔들리거나 어느 일측이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리브(3154)는 탄성을 가지고 굽힘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부(3156)와, 탄성부(3156)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컨트롤패널(312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58)는 탄성부(3156)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몸체(3158a)와, 지지몸체(3158a)의 단부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돌기(3158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리브(3154)는 탄성부(3156)에 의해 대부분의 탄성력이 발생되나, 지지부(3158) 또한 탄성적인 재료로 마련되어, 지지부(3158)에서도 탄성이 이루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지지돌기(3158b)부분이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고,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지지돌기(3158b)뿐만 아니라 지지몸체(3158a)도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하게 된다.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3158)의 상면인 지지면(158c)과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이 밀착된다.
탄성부(3156)는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의 탄성을 갖도록 마련된다. 탄성부(3156)는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과 지지패널(3140)의 전면사이에서 압축과, 인장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탄성부(3156)는 측부가 개방된 C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가압방향에 대해 탄성을 가지며 인장 또는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외력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고, 탄성에 의해 직경이 복귀되도록 마련된다.
탄성부(3156)는 그 내측면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탄성면(3156a)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면(3156a)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부(3156)가 탄성을 가지고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는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탄성부(3156)가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3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3126b)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인 피가압면(3126a)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탄성부(3156)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탄성부(3156)가 컨트롤버튼(3124)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리브(3154)와 리브고정부(3152)사이에는 탄성부(3156)의 인장, 압축에 의해 탄성리브(3154)가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간(3144)이 형성된다. 이동공간(3144)은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지지패널(3140)은 구획리브(315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120)에서 컨트롤버튼(3124)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는 데, 구획리브(3159)는 지지패널몸체(314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복수의 컨트롤버튼(3124)사이를 구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버튼(3124)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제 1 위치(P1)와,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위치(P1)로부터 가압된 제 2 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3158)의 일부인 지지돌기(3158b)만이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을 지지한다. 이 경우에도 탄성지지유닛(3150)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있어서 컨트롤버튼(3124)이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버튼(3124)에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가압되는 경우, 탄성부(3156)는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축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된다.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3158)의 지지몸체(3158a)와 지지돌기(3158b)가 컨트롤버튼(3124)의 피가압면(3126a)에 접하게 되고, 탄성부(3156)의 상부가 컨트롤버튼(3124)의 안착홈(3126b)에 안착된다. 또한 지지부(3158)는 리브고정부(3152)의 안착면(3153)에 안착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탄성지지유닛(3150)이 탄성력을 최대로 갖게 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3156)가 수축과정에서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서 제 1 위치(P1)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면서 탄성지지유닛(3150)이 동작하게 된다.
이를 컨트롤버튼(3124)을 가압하는 힘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한다.
컨트롤버튼(3124)은 제 1 위치(P1)에서 탄성리브(3154)에 의해 F1의 지지력을 받고, 제 2 위치(P2)에서는 탄성리브(3154)에 의해 F1보다 큰 F2의 지지력을 받게 된다.
컨트롤버튼(3124)은 제 1 위치(P1)에서 탄성리브(3154)에 의해 F1의 지지력을 받는다. 컨트롤버튼(3124)의 외부에서 외력 F2가 가해지는 경우, 탄성리브(3154)는 탄성부(3156)의 수축과 지지부(3158)의 이동에 의해 F1보다 큰 F1'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후 외력 F2가 사라지게 되면, F1'의 탄성력에 의해 컨트롤버튼(3124)은 제 1 위치(P1)로 복귀하게 된다.
이를 복수의 탄성리브(3154)와 지지패널(3140)사이의 높이(h)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한다.
지지패널몸체(3141)의 바닥면과 복수의 탄성리브(3154)의 단부사이의 높이(h)는 컨트롤버튼(3124)의 동작에 의해 변화하게 된다.
컨트롤버튼(3124)과 복수의 탄성리브(3154)가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높이를 h0이라고 할 때,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에 있는 경우 높이는 h0보다 작은 h1이 되며,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높이는 h1보다 작은 h2가 된다.
즉,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에 있는 경우 복수의 탄성리브(3154)는 높이(h)가 h0에서 h1으로 가압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도 흔들리거나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컨트롤버튼(3124)이 제 2 위치(P2)에 있는 경우 복수의 탄성리브(3154)는 높이(h)가 h1에서 h2로 가압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제 1 위치(P1)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하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및 이를 갖는 세탁기의 수분 배출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에서 수분의 흐름에 관한 도면이다.
컨트롤버튼(3124)은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내부에 고이게 되거나 인쇄회로기판(3160)으로 침투하여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또는 인쇄회로기판(3160)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도록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는 배출유닛(31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닛(3170)은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로 유입되는 수분이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이를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의 인쇄회로기판(316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배출유닛(3170)은 가이드리브(3171, 3172), 배출홀(3174)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3174)은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캐비닛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지지패널(3140)의 하부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내부에 유입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리브(3171, 3172)는 캐비닛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 인쇄회로기판(3160)으로 유입되거나,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 내부에 적체되지 않도록, 컨트롤패널(3120)과 지지패널(31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를 통해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로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홀(3174)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3171, 3172)는 제 1 가이드리브(3171)와 제 2 가이드리브(3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리브(3171)는 컨트롤패널(312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컨트롤버튼(3124)의 버튼몸체(3126) 배면에서, 버튼몸체(3126)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리브(3172)는 리브고정부(3152)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리브고정부(3152)를 제 2 가이드리브(3172)라고 명명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리브(3172)는 제 1 가이드리브(3171)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가이드리브(3172)는 가이드돌기(3143)를 중심으로 상하로 한쌍이 마련되며, 상호 나란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돌기(3143)의 상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수분이 가이드돌기(3143)를 회피하여 흐르도록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제 1 가이드리브(3171)는 버튼몸체(3126)의 배면에 마련되므로,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면 제 1 가이드리브(3171)도 함께 진퇴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제 2 가이드리브(3172)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 1 가이드리브(3171)는 제 2 가이드리브(3172)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호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분은 제 1 가이드리브(3171)와 제 2 가이드리브(3172)사이로 유입되지 않고, 가이드리브의 가이드면(3152a)을 따라 흘러 배출홀(3174)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유닛(3170)에는 가이드리브를 따라 흐르는 수분이 배출홀(317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리브상에 마련되는 리브홀(31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컨트롤버튼어셈블리(3200)는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280)는 가압돌기(3130)와 가이드돌기(3143)의 외주면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80)의 일단은 버튼몸체(3126)의 배면을 지지하고, 타단은 지지패널몸체(3141)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컨트롤버튼(3124)은 탄성리브(3154)와 함께 탄성부재(3280)에 의해 지지패널(3140)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컨트롤버튼의 구성을 달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버튼어셈블리(3300)는 컨트롤패널(3320)을 포함한다.
컨트롤패널(3320)은 컨트롤패널몸체(3322)와 컨트롤버튼(332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몸체(3322)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패널(314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322a)과 결합돌기(3322b)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지지패널(3140)에는 결합돌기(3141a), 결합홈(3141b)이 형성된다.
컨트롤패널몸체(3322)에는 컨트롤버튼(3324)가 삽입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버튼홀(3324a)을 포함한다. 컨트롤버튼(3324)은 컨트롤버튼홀(3324a)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관통되어 진퇴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홀(3324a)은 컨트롤패널몸체(3322)상에 컨트롤버튼(332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324)은 외부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진퇴이동하여,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3160)의 스위치(3162)를 온/오프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324)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제 1 위치(P1)와,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위치(P1)로부터 가압된 제 2 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324)은 버튼몸체(3326)와, 버튼몸체(3326)가 컨트롤패널몸체(332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몸체(3326)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지지리브(3328)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버튼몸체(3326)는 컨트롤버튼홀(3324a)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지지리브(3328)는 버튼몸체(3326)의 일측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324)이 컨트롤패널(3320)에서 빠지지 않도록 컨트롤버튼(3324)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버튼몸체(3326)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가 버튼몸체(3326)를 가압함으로서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게 된다.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3160)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게 되어 세탁부가 해당명령을 동작하게 된다. 버튼몸체(3326)는 캐비닛에 마련되는 버튼홀(3011)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몸체(3326)는 인접한 컨트롤패널몸체(3322)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100)와 외관패널과 컨트롤패널의 구성을 달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버튼어셈블리(3400)는 지지패널(3410)과 컨트롤패널(3420)을 포함한다.
컨트롤패널(3420)은 컨트롤패널몸체(3422)와 컨트롤버튼(342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몸체(3422)는 이후 설명하는 지지패널(314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3422a)과 결합돌기(422b)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지지패널(3140)에는 결합돌기(3141a), 결합홈(3141b)이 형성된다.
컨트롤패널몸체(3422)에는 진퇴가능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버튼(3424)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버튼(3424)은 외부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진퇴이동하여,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3160)의 스위치(3162)를 온/오프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424)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제 1 위치(P1)와,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위치(P1)로부터 가압된 제 2 위치(P2)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버튼(3424)은 버튼몸체(3426)와, 버튼몸체(3426)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리브(342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몸체(3426)는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사용자가 버튼몸체(3426)를 가압함으로서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게 된다. 스위치(3162)를 작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3160)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게 되어 세탁부가 해당명령을 동작하게 된다. 버튼몸체(3126)는 캐비닛에 마련되는 버튼홀(3011)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몸체(3426)는 인접한 컨트롤패널몸체(3422)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외관패널(3410)은 컨트롤패널(3420)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외관패널(3410)은 필름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관패널(3410)은 캐비닛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400)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관패널(3410)은, 외관패널(3410)상에 마련되며 컨트롤버튼(3424)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외관패널(3410)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외관버튼부(34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패널(3410)은 컨트롤패널(3420)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되어, 컨트롤버튼어셈블리(3400)의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컨트롤버튼어셈블리(34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5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지지패널의 구성을 달리한다.
지지패널(3540)은 컨트롤패널(31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지지패널(3540)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유닛(35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550)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의 치우침과 눌림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탄성지지유닛(3550)은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124)이 흔들리거나 어느 일측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124)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컨트롤버튼(3124)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컨트롤버튼(3124)의 눌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탄성지지유닛(3550)은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컨트롤버튼(3124)에 대응되도록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컨트롤버튼(312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컨트롤버튼(3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550)은 탄성을 가지고 컨트롤버튼(3124)의 배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리브(3554)와, 복수의 탄성리브(3554)를 지지패널몸체(3541)에 지지하는 리브고정부(355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고정부(3552)의 일면에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500) 내부의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3552a)이 형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3541a, 3541b, 3543a, 3559는 각각 결합돌기(3141a), 결합홈(3141b), 가이드홀(3143a), 구획리브(3159)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롤버튼 어셈블리(36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컨트롤버튼어셈블리에서 컨트롤패널과 지지패널의 구성을 달리한다.
지지패널(3640)은 컨트롤패널(36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컨트롤패널(3620)은 그 배면에 마련되어 지지패널(3640)에 대해 컨트롤버튼(36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유닛(365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탄성지지유닛(3650)은 제 1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3640)에 마련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유닛(3650)은 컨트롤패널(3620)에서 컨트롤버튼(3624)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650)은 컨트롤버튼(36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624)의 치우침과 눌림력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탄성지지유닛(3650)은 컨트롤버튼(3624)이 가압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624)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624)이 흔들리거나 어느 일측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컨트롤버튼(3624)이 가압되는 상태에서는 컨트롤버튼(3624)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컨트롤버튼(3624)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컨트롤버튼(3624)의 눌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탄성지지유닛(3650)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624)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363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이 마련된다. 그러나 탄성지지유닛(3650)의 배치와 개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지지유닛(3650)은 탄성을 가지고 지지패널(3640)의 지지패널몸체(3641)의 전면에 대해 컨트롤버튼(3624)을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리브(3654)와, 복수의 탄성리브(3654)를 버튼몸체(3626)에 지지하는 리브고정부(3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3621a, 3622, 3622a, 3641a, 3641b, 3643, 3659, 3671는 각각 결합돌기(3121a), 컨트롤패널몸체(3122), 결합홈(3622a), 결합돌기(3141b), 가이드돌기(3143), 구획리브(3159), 가이드리브(3171)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버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700)는 제 6 실시예에서의 컨트롤버튼어셈블리에서 컨트롤패널의 구성을 달리한다.
지지패널(3640)은 컨트롤패널(36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지지패널(3640)은 컨트롤버튼(36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624)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유닛(37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750)은 컨트롤버튼(3624)의 배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버튼(3624)에 대응되도록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지지유닛(3750)은 탄성을 가지고 컨트롤버튼(3624)의 배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리브(3754)와, 복수의 탄성리브(3754)를 지지패널몸체(3641)에 지지하는 리브고정부(375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고정부(3752)의 일면에는 컨트롤버튼 어셈블리(3700) 내부의 수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3752a)이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세탁기 2 : 도어
3 : 제 1 도어 부재 4 : 제 2 도어 부재
5 : 제 3 도어 부재 6 : 급수관
7 : 세탁수 공급 장치 8 : 연결관
9 : 세제함 10 : 캐비닛
20 : 사이드 프레임 21 : 측면부
22 : 벤딩부 23 : 전면부
24 : 걸림부 50 : 백 프레임
60 : 탑 프레임 70 : 바텀 프레임
71 : 걸림 돌기 72 : 나사 체결홀
80 : 터브 81 : 개구
82 : 연결 부재 85 : 펌프
90 : 회전조 91 : 리프터
92 : 통공 93 : 개구
95 : 모터 96 : 구동축
97 : 베어링 하우징 98 : 베어링
100 : 프런트 프레임 101 : 상부 프런트 프레임
102 : 메인 프런트 프레임 103 : 내부 투입구
104 : 통과홀 105 : 상부 나사 체결홀
106 : 삽입홀 120 : 프런트 커버
121 : 외부 투입구 122 : 패널부
123 : 수직 패널부 124 : 경사 패널부
125 : 부속 패널 설치구 126 :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
127 : 조작 패널 설치구 128,129 : 상,하측 금형 빼기면
130 : 펌프 필터 커버 설치구 131 : 펌프 연결 프레임
140 : 탄성 후크 141 : 뿌리부
142 : 절곡부 143 : 직선부
144 : 절곡부 145 : 직선부
146 : 헤드부 147 : 경사면
148 : 지지면 150 : 탄성 후크
151 : 뿌리부 152 : 절곡부
153 : 직선부 154 : 절곡부
155 : 직선부 156 : 헤드부
160 : 바닥 결합부 161 : 제 1 결합부
162 : 걸림홀 163 : 제 2 결합부
164 : 나사 체결홀 170 : 상부 결합부
171 : 나사 체결홀 180 : 밀착부
181 : 필러부 182 : 내측 곡면부
183 : 외측 평면부 190 : 가이드 도어 결합홈
191 : 제 1 결합홈 형성부 192 : 제 2 결합홈 형성부
193 : 제 3 결합홈 형성부 200 : 지지 레그
210 : 고정홈 211 : 고정벽
212 : 안내홈 213 : 안착홈
240 : 탄성 픽서 241 : 고정부
242 : 삽입부 243 : 제 1 경사면
244 : 제 2 경사면 245 : 지지면
246 : 스커트부 247 : 연결부
300 : 가이드 도어 310 : 결합 돌기
410 :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틀 411 : 디스플레이 패널
420 : 조작 패널 430 : 펌프 필터 커버
1100 : 탑 프레임 1110 : 외부 프레임
1130 : 내부 프레임 1200 : 수분침투방지부재
2200 : 비드 2210 : 제 1 비드
2220 : 제 2 비드 2230 : 편평부
3100,3200,3300,3400,3500,3600,3700 : 컨트롤버튼 어셈블리
3120 : 컨트롤패널 3140 : 지지패널
3150 : 탄성지지유닛 3154 : 탄성리브

Claims (3)

  1.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들과, 백 프레임과, 탑 프레임과, 바텀 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고, 세탁물이 회전조로 투입되고 도어가 결합되는 투입구와,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입력받는 부속 패널이 설치되는 부속패널 설치구를 포함하는 프런트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패널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패널 설치구는 상기 세탁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 패널이 설치되는 조작 패널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210140889A 2014-02-11 2021-10-21 세탁기 KR10247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630A KR102591374B1 (ko) 2014-02-11 2022-11-24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5607 2014-02-11
KR1020140015607 2014-02-11
KR1020140016853 2014-02-13
KR20140016853 2014-02-13
KR20140033677 2014-03-21
KR1020140033677 2014-03-21
KR20140033574 2014-03-21
KR1020140033574 2014-03-21
KR1020140186393A KR102318188B1 (ko) 2014-02-11 2014-12-22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93A Division KR102318188B1 (ko) 2014-02-11 2014-12-22 세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630A Division KR102591374B1 (ko) 2014-02-11 2022-11-24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39A true KR20210131939A (ko) 2021-11-03
KR102472207B1 KR102472207B1 (ko) 2022-11-30

Family

ID=540579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93A KR102318188B1 (ko) 2014-02-11 2014-12-22 세탁기
KR1020210140889A KR102472207B1 (ko) 2014-02-11 2021-10-21 세탁기
KR1020220159630A KR102591374B1 (ko) 2014-02-11 2022-11-24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93A KR102318188B1 (ko) 2014-02-11 2014-12-22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630A KR102591374B1 (ko) 2014-02-11 2022-11-24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6940B2 (ko)
EP (2) EP3533918B1 (ko)
KR (3) KR102318188B1 (ko)
CN (1) CN1061332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479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6934169B2 (ja) * 2017-04-14 2021-09-15 株式会社パロマ 給湯器
JP7086538B2 (ja) * 2017-07-27 202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N107354684B (zh) * 2017-08-30 2020-02-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箱体框架和具有其的箱体及滚筒洗衣机
CN109811516B (zh) * 2017-11-21 2022-09-1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前维修滚筒洗衣机及其拆卸方法
CN110306326A (zh) * 2018-03-20 2019-10-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后盖板、洗衣机壳体及洗衣机
KR102525817B1 (ko) * 2018-04-30 2023-04-2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물 침투 방지 케이싱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KR102650116B1 (ko) 2018-09-11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CN111519407B (zh) 2019-02-01 2022-10-2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1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2B (zh) 2019-02-01 2023-01-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DE102020100945B4 (de) 2019-02-01 2022-12-08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111519409B (zh) 2019-02-01 2022-09-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6A (zh) 2019-02-01 2020-08-1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0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6B (zh) 2019-02-01 2023-05-3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DE102021203744A1 (de) * 2021-04-15 2022-10-20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KR2023000123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USD1017149S1 (en) * 2021-10-15 2024-03-0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70Y1 (ko) * 2005-04-1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80081808A (ko) * 2007-03-06 200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70524A1 (es) 1978-05-26 1979-02-01 Domar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bastidores y carcasas de maquinas lavadoras de ropa
US4242546A (en) * 1978-11-06 1980-12-3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push-button switch
IT1159765B (it) * 1982-09-28 1987-03-04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lavabiancheria di tipo modulare
JPH0635560A (ja) * 1992-07-15 1994-02-10 Sanyo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EP0588100B1 (de) 1992-08-21 1996-10-23 Miele & Cie. GmbH & Co. Wäschebehandlungsmaschine
JPH08299684A (ja) * 1995-05-10 1996-11-19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前面パネルの取付構造
US5881576A (en) * 1997-10-29 1999-03-16 Maytag Corporation Shroud mounted door
KR100379426B1 (ko) * 2000-07-03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컨트롤러 어셈블리의 방수장치
GB2366807B (en) * 2000-09-16 2004-10-20 Notetry Ltd A laundry appliance
GB0118472D0 (en) * 2001-07-28 2001-09-19 North John 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KR100595181B1 (ko) * 2002-07-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어셈블리 조립 구조
AU2003262464B2 (en) * 2002-11-28 2006-07-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0457571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착구조
KR100463546B1 (ko) * 2002-12-26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공진 방지 구조
KR101036468B1 (ko) * 2004-05-31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탑플레이트의 체결 구조
TR200704256T1 (tr) 2005-01-03 2007-08-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yıkayıcı kurutucu
AU2006221219B2 (en) * 2005-03-08 2009-12-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239766B1 (ko) 2005-04-06 201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US8984913B2 (en) * 2005-04-15 2015-03-24 Lg Electronics Inc.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ITTO20050453A1 (it) 2005-06-29 2006-12-30 Indesit Co Spa Sportello per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per macchina, lavasciuga o asciugabiancheria a carica frontale o sostanzialmente frontale
DE102006041789B4 (de) 2005-09-07 2014-01-23 Lg Electronics Inc. Waschmaschine
DE102006001437A1 (de) 2006-01-10 2007-07-12 Miele & Cie. Kg Gehäuse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US20080265721A1 (en) * 2007-03-06 2008-10-30 Dong Woo Ka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608760B1 (ko)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31500B1 (ko) 2008-07-14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0066653A1 (de) 2008-12-12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geprägten wand
MX2010003431A (es) 2010-03-26 2011-09-26 Mabe Sa De Cv Estampado de gabinete.
KR20120041428A (ko) * 2010-10-21 201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조립구조
KR20130011670A (ko)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KR101257377B1 (ko) 2011-07-22 2013-04-2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ir 히터를 이용한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11671A (ko) 2011-07-22 2013-01-30 주식회사 만도 터보차저용 액추에이터의 로드 조립체 구조
JP5639979B2 (ja) 2011-09-28 2014-12-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385103B1 (ko) 2012-04-04 2014-04-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CN202913245U (zh) 2012-11-07 2013-05-01 海尔集团公司 滚筒洗衣机
PL2837727T3 (pl) * 2013-08-13 2017-06-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rządzenie pralnicze z zestawem panelu sterowan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70Y1 (ko) * 2005-04-1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KR20080081808A (ko) * 2007-03-06 2008-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8342B2 (en) 2022-10-12
KR20150094502A (ko) 2015-08-19
EP3533918A1 (en) 2019-09-04
EP3533918B1 (en) 2020-10-07
CN106133231A (zh) 2016-11-16
EP3098342A4 (en) 2017-08-16
KR20220166753A (ko) 2022-12-19
CN106133231B (zh) 2019-02-19
EP3098342B1 (en) 2019-05-29
US11186940B2 (en) 2021-11-30
KR102318188B1 (ko) 2021-10-28
US20180044837A1 (en) 2018-02-15
EP3098342A1 (en) 2016-11-30
KR102472207B1 (ko) 2022-11-30
KR102591374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1939A (ko) 세탁기
JP3927542B2 (ja) 洗濯機の洗剤投入装置
US8584492B2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path
KR1014663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US10774455B2 (en) Washing machine
US20060255700A1 (en) Washing machine
US20120098394A1 (en) Washing machine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US8733133B2 (en) Washing machine and drawer assembly thereof
US20220106726A1 (en) Washing machine
KR100753440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1233196B1 (ko) 세탁기의 백 커버 설치구조
US11702788B2 (en) Dispense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US20220290358A1 (en) Washing machine
CN112095301B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2111743B1 (ko) 세탁기
JP2975734B2 (ja) 脱水兼用洗濯機
KR102334623B1 (ko) 식기 세척기
JP7017883B2 (ja) 洗濯乾燥機
JPH06335595A (ja) 洗濯機
JP7270182B2 (ja) 縦型洗濯機
KR10182498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471022B2 (en) Dish washer
JP2022051009A (ja) 洗濯機
KR20120008686A (ko) 전자동 세탁기
KR20120008685A (ko) 세탁기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