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3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34A
KR20230001234A KR1020210083899A KR20210083899A KR20230001234A KR 20230001234 A KR20230001234 A KR 20230001234A KR 1020210083899 A KR1020210083899 A KR 1020210083899A KR 20210083899 A KR20210083899 A KR 20210083899A KR 20230001234 A KR20230001234 A KR 2023000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unting panel
shielding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일
이규철
진율기
김한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34A/ko
Priority to PCT/KR2022/008610 priority patent/WO2023277413A1/ko
Priority to AU2022304420A priority patent/AU2022304420A1/en
Priority to CN202280058690.9A priority patent/CN117881833A/zh
Publication of KR2023000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Abstract

본 출원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 상기 캐비닛 바디에 고정된 패널 지지부, 상기 패널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장착 패널, 및 상기 장착 패널을 관통하는 패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차폐바디,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장착 패널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패널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건조하거나 의류의 섬유를 관리하는 등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 중 세탁기는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교반식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한다. 와류식 세탁기는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좌우로 회전시켜 생기는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내면에 다수의 리프터(lifter)가 돌출된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드럼세탁기관한 것이 있다(공개특허공보 10-2016-0029389). 이를 살펴보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또한,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통,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도록 구비된 조작부,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버튼,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이 결합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전면패널과 조작 패널 사이의 간극 또는 캐비닛과 조작 패널 사이의 간극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되어 내부에 구비된 전자장치에 고장이 발생될 수 있었으며, 캐비닛과 조작 패널 사이에 일체성이 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심미성이 하락될 수 있었다. 또한, 조작 패널이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이 조작 패널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것이 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외관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가 노출되어, 노출된 부위에 의류가 걸려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장착 패널과 패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 상기 캐비닛 바디에 고정된 패널 지지부, 상기 패널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장착 패널, 및 상기 장착 패널을 관통하는 패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차폐바디,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장착 패널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패널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제2체결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는 패널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2체결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패널리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2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널 결합홀과 연통하는 차폐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 결합홀과 연통하는 지지부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홀, 상기 차폐부 결합홀 및 상기 지지부 결합홀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패널리브와 상기 지지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패널리브 및 상기 지지부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에서 상기 제2체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 바디에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바디는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지지부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바디에서 상기 장착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차폐바디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제2체결부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 바디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는 상기 패널 지지부와 상기 커버 패널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의 일측은 상기 장착 패널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 패널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바디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는 차폐면 및 상기 차폐면과 상기 장착 패널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장착 패널에서 상기 차폐면을 향해 경사진 평면 또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차폐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장착 패널의 상면, 상기 패널 투입구가 형성되는 일면을 제공하는 장착 패널의 전면 및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과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을 연결하는 장착 패널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은 상기 차폐면과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은 상기 장착 패널을 관통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관통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에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샤프트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핸들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 따라 기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를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외관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사이의 연결부위가 노출되어, 노출된 부위에 의류가 걸려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캐비닛과 인터페이스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장착 패널과 캐비닛 바디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장착 패널과 차폐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1체결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장착 패널, 차폐부, 패널 지지부, 캐비닛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장착 패널, 차폐부, 패널 지지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패널 지지부와 커버 패널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차폐바디와 장착 패널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차폐바디와 커버 패널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와 도 15는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인코더 및 인코더 커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표시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인터페이스의 조립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실링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서에 기재된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11), 및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에 고정된 패널(13, 장착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장착 패널(13)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전방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패널(13)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투입구(13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 대상물의 총칭)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터브 지지부(22)가 스프링(터브 바디의 상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 및 댐퍼(터브 바디의 하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패널 투입구(131)를 향하는 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 투입구(131)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캐비닛(1)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와 펌프(252)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31),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로워 하우징(241), 상기 드로워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결관(242), 및 상기 장착 패널(13)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2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48)은 상기 드로워 투입구(133)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패널(248)에는 드로워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 및 상기 드럼 바디(21)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를 향하는 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패널 투입구(131),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3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12)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된 물이나 세제는 상기 드럼 관통홀(31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1)와 로터(322)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패널(13)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드로워(243)가 관통하는 드로워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 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장착 패널(13)이 결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캐비닛 바디(11)와 장착 패널(13)이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패널(13)은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된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바디(11)와 상기 패널 지지부(12)가 연결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장착 패널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캐비닛 바디(1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패널(13)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장착 패널(13)의 다른 일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 중 상기 장착 패널(13)이 결합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13)을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 중 상기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된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캐비닛 바디(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캐비닛 바디(11)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차폐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패널(13)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바디(11) 또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캐비닛 바디(11)는 자체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경우 제품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 금속 재질로 외관을 형성할 경우 상기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 사이의 마감 완성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 사이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경우 심미감이 하락될 수 있다. 차폐부(14)는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 사이의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14)는 장착 패널(13)과 달리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4)는 사출 성형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차폐부(14)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성형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착 패널(13)과 캐비닛 바디(11)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바디(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를 커버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를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상기 캐비닛 바디(11) 사이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바디(11)는 캐비닛 바디의 일면을 형성하는 커버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커버 패널(111)이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커버 패널(111)은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상측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111)이 도 5와 같이 위치될 경우 상기 커버 패널(111)은 상부 패널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를 커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상기 커버 패널(111) 사이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차폐바디(141)와 상기 장착 패널(13)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는 상기 장착 패널(13)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142)가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 결합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가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는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차폐바디(141)와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제2체결부(14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의 일면은 상기 장착 패널(13)에 접촉되고 타면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서 상기 차폐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144)와 결합되는 패널리브(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차폐부(14)가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차폐부(14)가 상기 장착 패널(13)의 상부에 결합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하나의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 패널(13)은 하나의 철판을 이용하여 벤딩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외부에 노출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장착 패널의 전면(13b), 상기 차폐부(14)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착 패널의 상면(13a) 및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연결하는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는 상기 철판이 벤딩 가공되는 과정에서 접힌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제1체결부(142)가 결합 또는 고정되는 패널 고정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널 고정부(139)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14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 및 상기 패널 고정부(139)는 후크와 후크가 고정될 수 있는 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결부(142)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139)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관통하거나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체결부(142)가 패널 고정부(139)와 후크결합되는 것은 결합 방식의 일례에 불과하며 상기 제1체결부(142)가 상기 차폐바디(141)를 상기 장착 패널(13)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고정부(139)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체결부(142)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장착 패널(13)의 다양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는 상기 차폐바디(141)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전방체결부(1421), 상기 전방체결부(1421)에서 상기 캐비닛 바디(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폐바디(141)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후방체결부(1422) 및 상기 전방체결부(1421), 상기 후방체결부(1422)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측면체결부(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체결부(1421), 후방체결부(1422) 및 측면체결부(1423)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42)는 상기 전방체결부(1421), 후방체결부(1422) 및 측면체결부(1423)로 구비되어 상기 차폐바디(141)를 상기 장착 패널(13)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체결부(142)가 상기 차폐바디(141)의 일측면에만 구비될 경우 제1체결부(142)와 먼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차폐바디(141)는 결합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체결부(142)가 상기 전방체결부(1421), 후방체결부(1422) 및 측면체결부(1423)로 구비될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상기 차폐바디(141)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방체결부(1421), 후방체결부(1422) 및 측면체결부(1423)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전방체결부(1421)가 8개, 후방체결부(1422)가 4개, 측면체결부(1423)가 2개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일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142)가 전방체결부(1421), 후방체결부 및 측면체결부(1423)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체결부(142)가 결합되는 패널 고정부(139)는 전방 고정부(139a), 후방 고정부(139b) 및 측면 고정부(139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고정부(139a)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고정부(139a)는 상기 전방체결부(1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도이ㅓ 상기 전방체결부(1421)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부(139b)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서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부(139c)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서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차폐바디(141)와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차폐바디(141)와 상기 장착 패널(13)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패널리브(138)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제2체결부(144)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차폐부 결합홀(1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차폐부 결합홀(1441)에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패널리브(138) 및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결합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제2체결부(144)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연결되는 패널리브(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마주하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 단부에서 상기 차폐바디(1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패널리브(138)를 관통하는 패널 결합홀(1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138)는 상기 패널 결합홀(1381)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2체결부(144)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차폐부(14)는 상기 차폐바디(141)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43)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141)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강성이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43)는 상기 차폐바디(141)의 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폐바디(14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43)는 상기 제2체결부(144)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4)는 상기 차폐바디(141)와 직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143)는 상기 제2체결부(144) 및 상기 차폐바디(141)와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143), 상기 차폐바디(141) 및 상기 제2체결부(144)는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14) 전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43)는 서로 인접한 전방체결부(1421)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체결부(1421)는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어 힘을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보강리브(143)는 전방체결부(1421) 사이에 배치되여 상기 전방체결부(1421)의 결합력에 의해 차폐바디(141)가 뒤틀리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차폐면(1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면(1411)은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차폐면(1411)을 상기 장착 패널(13)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의 둘레에서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장착 패널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은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 또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류처리장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노출되는 장착 패널의 모든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에서 상기 차폐면(1411)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에서 상기 차폐면(1411)을 향해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의 둘레에서 상기 장착 패널을 향해 굴곡지게 연장되거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면(1412)이 상향 경사진 평면 또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연결면(1412)을 상기 패널 투입구(131)가 관통되는 방향(의류가 투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경사진 평면 또는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13)에 접촉 및 지지되는 지지면(1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연결면(141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연결면(1412) 중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에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차폐면(1411)을 상기 장착 패널(13)에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1체결부(142)가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상기 전방체결부(1421)가 전방 고정부(139a)에 결합된 상태를, 도 7(b)는 상기 후방체결부(1422)가 상기 후방 고정부(139b)에 결합된 상태를, 도 7(c)는 상기 측면체결부(1423)가 상기 측면 고정부(139c)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체결부(1421)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체결부(1421)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고정부(139a)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체결부(1421)는 상기 전방 고정부(139a)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의 하부면에 걸림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c)와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후방 고정부(139b)는 상기 패널리브(138)에서 상기 차폐바디(141)를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상기 패널리브(138)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후방 고정부(139b)에 걸림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체결부(1421)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향해 걸림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상기 패널 투입구(131)를 향하는 방향으로 걸림 및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체결부(1421)와 상기 후방체결부(142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걸림 "G 지지되어 상기 차폐바디(141)를 상기 장착 패널(13)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c)와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측면체결부(1423)는 상기 차폐바디(14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부(139c)는 상기 장착 패널(13)의 상면에서 상기 제2체결부(14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1423)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의 하부면에 걸림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1423)는 상기 차폐바디(141)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13)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체결부(1423)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상기 커버 패널(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체결부(1423)는 상기 전방체결부(1421) 및 상기 후방체결부(14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바디(141)를 상기 장착 패널(13)에 지지하여 상기 차폐바디(141)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장착 패널, 차폐부, 패널 지지부 및 커버 패널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장착 패널(13)에 차폐부(14)가 결합되고, 차폐부(14)에 패널 지지부(1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 패널(13), 차폐부(14) 및 패널 지지부(12) 결합체가 상기 커버 패널(111)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착 패널(13)에 구비된 패널리브(138)와 상기 차폐부(14)에 구비된 제2체결부(144)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144)와 상기 패널 지지부(1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제2체결부(144)와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는 상기 차폐바디(14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는 상기 차폐바디(141), 상기 제2체결부(144) 및 상기 커버 패널(11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의 일면에는 전자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는 상기 차폐부(14) 및 커버 패널(111)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전자장치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를 관통하는 지지부 결합홀(1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은 상기 제2체결부(144) 또는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은 조립과정에서 공구에 의해 상기 패널 지지부(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 지지부(12)의 상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기 위한 지지부 결합돌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에 의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는 상기 커버 패널(11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후술한다.
도 9에는 상기 장착 패널(13), 상기 차폐부(14), 상기 패널 지지부(12) 및 상기 캐비닛 바디(11)가 결합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단면을 수직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b)는 단면을 상기 캐비닛 바디 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c)는 단면을 상기 장착 패널 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체결부(144)는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결합홀(1381)은 상기 패널리브(138)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 결합홀(1441)은 상기 제2체결부(144)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 결합홀(1441)은 상기 패널 결합홀(1381)과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은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은 상기 차폐부 결합홀(1441)과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결합홀(1381), 상기 차폐부 결합홀(1441) 및 상기 지지부 결합홀(1251)은 모두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결합홀(1381), 차폐부 결합홀(1441) 및 지지부 결합홀(1251)에는 패널 결합홀(1381), 차폐부 결합홀(1441) 및 지지부 결합홀(1251)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 차폐부(14),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결합부재(15)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는 패널리브(138), 제2체결부(144), 지지부 결합부(125)를 밀착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패널 지지부(12) 사이는 차폐부(14)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5)는 볼팅결합되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구성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에서 상기 장착 패널(13)과 멀어지는 방향에는 상기 캐비닛 바디(11)가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에서 상기 장착 패널(13)과 멀어지는 방향에는 커버 패널(111)이 위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패널 지지부와 커버 패널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 패널(111)은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1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삽입홈(1111)은 상기 커버 패널(1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 패널(111)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커버 패널의 전면(111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돌기삽입홈(1111)은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111a)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삽입홈(1111)은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11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는 상기 돌기삽입홈(1111)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에서 상기 제2체결부(14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125)의 측면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삽입홈(1111) 또한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111a)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 및 상기 돌기삽입홈(111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126)와 돌기삽입홈(1111)이 의류처리장치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총 두개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면의 일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커버 패널(111)을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차폐부와 출입패널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는 단면을 전방측에서 바라본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b)에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패널(13)은 패널 투입구(131)가 형성되는 장착 패널의 전면(13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패널(13)은 상기 차폐부(14)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과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은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 및 장착 패널의 전면(13b)을 연결하는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은 하나의 철판을 접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벤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패널(13)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장착 패널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차폐면(1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면(1411)은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차폐면(1411)의 둘레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면(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을 상기 장착 패널(13)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 중 외부에 노출되는 면은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과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13a)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폐바디(141)가 상기 장착 패널(13)에 결합되었을 때 일체성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면(1412)이 상기 차폐면(1411)과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에도 상기 연결면(1412)이 상기 차폐면(1411)과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연결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에서 상기 차폐면(1411)을 향해 상향 경사진 평면 또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과 상기 차폐면(1411)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면(1412)은 경사지거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면(1412)에 의류가 걸려서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과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의 둘레 일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제2체결부(144)가 구비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차폐면(1411)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면(1411)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의 네 면중 상기 캐비닛 바디(11)와 인접한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면(1411)은 상기 연결면(1412)에 의해 상기 장착 패널(13)과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장착 패널(1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상기 차폐면(1411)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을 향해 연장될수록 경사가 급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면(1411)과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면(1412)의 일단은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412)은 장착 패널(13)에 지지되는 지지면(1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차폐면(14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13)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면(1412) 중에서 상기 장착 패널(13)에 접촉되는 부분이 지지면(14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되는 상기 장착 패널(13)의 일면보다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 보다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차폐바디(141)의 일단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이 구비될 경우 차폐바디(141)의 단부에 의류가 걸려 손상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려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이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과도하게 이격될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심미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장착 패널(13)과 차폐부(14)의 일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상기 지지면(1413)의 이격거리(l1)는 0.1mm보다 크고 0.5mm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이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 보다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가깝게 위치될 경우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면(1413)은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폐바디(141)가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13c)를 일부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면(1412)은 기 설정된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장착 패널(13)과 접촉되는 부분인 지지면(1413)은 상기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되는 상기 장착 패널(13)의 일면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면(1413)에 한해서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이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지지면(1413) 중 외부에 노출되는 일면이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면(1412) 중 지지면(1413)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장착 패널(13)과 접촉되는 지점부터 장착 패널(1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면(1413)의 길이(d1)는 0.1mm보다 크거나 같고 1mm보다 작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413)이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13b)과 나란하게 구비될 경우 연결면(1412)의 곡률에 의해 상기 연결면(1412)과 장착 패널(13)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바디(141)와 장착 패널(13)의 틈에 의류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차폐바디와 캐비닛 바디가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단면을 캐비닛 바디에서 장착 패널을 향하는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b)는 수직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상기 캐비닛 바디(11)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면(1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면(1414)은 상기 차폐면(1411)에서 상기 커버 패널(111)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1414)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상기 커버 패널(111)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1414)은 상기 커버 패널(111)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면(1414)은 상기 커버 패널의 모서리(111c)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111)과 접촉되는 상기 연장면(1414)의 일단은 상기 커버 패널의 모서리(111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면(1414)의 일단은 커버 패널의 전면(111a)과 커버 패널의 모서리(111c)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단의 상측은 상기 커버 패널의 모서리(111c)에 대응되도록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일단의 하측은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111a)에 대응되도록 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면(1414)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될 경우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커버 패널(111)에 더욱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바디(141)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와 상기 커버 패널(11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장면(1414)이 상기 커버 패널(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의류처리장치 외관의 일체성이 향상되어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4, 제1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5, encoder), 상기 장착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에 연결된 액추에이터(7), 상기 장착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표시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구동부(32), 상기 급수밸브(233), 상기 펌프(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41)를 통해 상기 장착 패널(13) 또는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상기 장착 패널(13)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3은 상기 케이스(41)가 일면(패널 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는 상기 보스가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8)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 도 4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패널(13)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3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3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36, 13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입력부(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액추에이터(7)를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액추에이터(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8)가 고정되는 고정부(51), 상기 고정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추에이터(7)가 고정되는 회전부(52), 및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512), 상기 고정바디(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511),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관통홀(42)에 연결(제1보스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의 원주면 또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면(제1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는 기판 체결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513)가 삽입되는 인코더 고정홀(44, 도 1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체결부(513) 및 상기 인코더 고정홀(44)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고정홀들(44)은 상기 기판 관통홀(4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관통홀(514) 내부에는 상기 표시부(8)를 상기 고정부(51)에 체결하는 체결바디 고정부(531), 및 상기 표시부(8)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표시부(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표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설정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는 상기 지지바디(511)와 고정바디(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가 지지바디(5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51)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지지바디(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디(5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지지바디(511)가 관통하는 회전바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522)는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바디(512)나 지지바디(51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미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면(장착 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521)가 상기 지지바디(51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인코더 커버(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611) 및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들(45)은 상기 기판 체결부(5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에는 커버 배출구(6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구(612)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 중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절연물질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상기 인코더(5) 및 인코더 커버(6)가 모두 결합된 뒤 상기 제1회로기판(4)에 도포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부 영역(인코더 커버의 외부 공간)에 분사된 절연물질은 상기 커버 배출구(612)를 통해 상기 인코더 커버(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고정바디(5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커버 배출구(6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디(521)를 감싸는(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회전바디(5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장착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장착 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도 3 참고)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71)는 내부에 샤프트 관통홀(711)이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회전바디(521)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회전바디 체결부(712) 및 샤프트 체결부(522)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73)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상기 샤프트(7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핸들(73)에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연통하도록 상기 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31), 및 상기 핸들(73)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7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샤프트(71)에는 상기 핸들(73)이 고정되는 베이스(7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13)는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disk)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는 상기 핸들(73)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734) 및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714)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체결부(734)는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714)는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핸들(73)에는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73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713)에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상기 베이스(713)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핸들(7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73)과 상기 베이스(713) 중 어느 하나에는 핸들 배출구(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715)의 깊이(D1,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가이드 홈의 바닥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의 높이(D2, 핸들에서 체결 가이드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 배출구(74)는 상기 가이드 홈(715)과 상기 체결 가이드(73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표시부(8)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바디(512)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디(512)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b), 및 상기 체결바디(8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81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81a)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811)은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에 연통한다(수용바디 관통홀은 핸들 관통홀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0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b)에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81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하우징(81)을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나아가,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위치설정 돌기(8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형상은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위치설정홈(53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홈(5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와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결합되지 못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고정바디 체결부와 체결바디 고정부의 결합을 담보하는 수단)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된 와이어(822)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핸들(73)의 회전 시 상기 신호발생부(54)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과 상기 디스플레이(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상기 제2회로기판(82)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9는 상기 장착바디(831)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가 고정되는 안착홈(8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832)에는 커넥터 관통홀(8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84)에 구비된 커넥터(841, flexible PCB 등)는 상기 커넥터 관통홀(8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램프(821)가 삽입되는 램프 관통홀(8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관통홀(835)은 상기 램프(82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 관통홀(835)의 위치는 상기 안착홈(832)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 또는 상기 안착홈(832)의 하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램프 관통홀(83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구비된 장착바디 체결부(813) 및 상기 장착바디(831)에 구비된 수용바디 체결부(833)를 통해 하우징(81)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장착바디(831)의 원주면(수용바디에 접촉하는 장착바디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가 고정되는 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홈(83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부, 및 상기 안착홈(83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하부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홈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제2회로기판(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바디(81a)에는 커버(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수용바디(81a)와 상기 장착바디(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를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85)가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장착바디(831)를 향해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851)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851)가 결합하는 고정돌기 체결부(8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 역시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장착바디(831)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82)을 향해 돌출된 돌기(8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상기 돌기(838)가 삽입되는 돌기 관통홀(82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커버의 투명도를 낮추는 커버시트(8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시트의 투명도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 하기 어려운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커버시트의 투명도가 커버의 투명도보다 낮게 설정). 상기 커버시트(853)는 상기 커버(85)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시트 중 상기 램프 관통홀(835)이 투영된 영역에는 문자나 기호(H)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9)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8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9)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93), 및 상기 센서(93)와 상기 커버(85)를 연결하는 전도체(91, 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91, 92)는 상기 커버(85)에 고정된 제1전도체(91), 및 일단은 상기 제1전도체(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93)에 연결된 제2전도체(9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제2전도체(92)가 삽입되는 전도체 관통홀(837)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전도체(91)는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어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85)의 상부공간에 표시영역(R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85)의 하부공간에 입력영역(R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를 넓게 설정하면, 상기 입력영역(R2)의 넓이가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는 상기 커버(85) 넓이의 1/4 내지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의 인터페이스(P)는 상기 표시부(8) 및 액추에이터(7)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단이 필요하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에는 상기 핸들 관통홀(732)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7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8)에는 물이나 이물질이 하우징(8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핸들 배출구(7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731)으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표시부(8)에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75, 체결바디 실링부), 및 상기 커버(85)와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 사이의 공간을 막는 커버 실링부(8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실링부(852)는 상기 커버(8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수용바디(81a)에 분사되어 상기 커버(85)와 상기 수용바디(81a)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상기 커버(85)를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하는 접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822)의 위치를 고정할 뿐 아니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실링부(75)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의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는 실링바디(751), 상기 실링바디(7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822)가 삽입되는 실링바디 관통홀(752), 및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이 절개되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는 절개부(753, 754, 7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51)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2는 상기 실링바디(751)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지름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억지 끼움을 통해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바디(751)의 재질은 탄성력이 비교적 큰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는 제1절개면(753),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되 상기 제1절개면(753)과 이격된 제2절개면(754), 및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7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절개홈(755)을 통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 삽입되거나,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1절개면(753)과 제2절개면(75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실링바디(751)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었을 때, 두 절개면(753, 754)이 접촉하여 상기 절개홈(755)을 폐쇄 가능한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는 제1접촉돌기(7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는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다수의 띠 형태의 돌기가 상기 실링바디(7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755)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에는 제2접촉돌기(7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접촉돌기(756)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두 제1접촉돌기들(756) 사이에 위치된 지점(7561)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822)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는 제3접촉돌기(7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지름(실링바디가 체결바디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의 지름)을 상기 와이어(822)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하더라도,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형성하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5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접촉돌기(75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고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P)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인코더(5)와 인코더 커버(6)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 제1회로기판(4)의 표면에는 절연물질이 코팅된 상태이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장착 패널(13)을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41)가 장착 패널(13)에 고정될 경우,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장착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스(412)에 고정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장착 패널(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장착 패널(13)은 볼트 등을 통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패널(13)이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된 뒤 상기 액추에이터(7)의 샤프트(71)를 상기 장착 패널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하면, 상기 샤프트(71)는 인코더의 회전바디(521)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의 체결바디(81b)는 인코더의 지지바디(511)에 고정될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71)가 상기 패널 관통홀(134)로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바디(81b)에 구비된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회전바디(52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지지바디(51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822)는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바디 관통홀(514),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패널 지지부에 구비된 와이어 관통홀(123)을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73)을 돌릴 때 마다(인코더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마다), 기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제어명령의 검색 및 변경).
원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9)를 통해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부(9)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부(47)를 통해 실행명령을 입력한 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73)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결합된 반면 상기 표시부의 하우징(81)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핸들(73)의 회전이 구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 또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에서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에서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제어방법, 및 조립방법 등은 인터페이스 및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11: 커버 패널
12: 패널 지지부 125: 지지부 결합부 1251: 지지부 결합홀
126: 지지부 결합돌기 13: 장착 패널 131: 패널 투입구
132: 도어 133: 드로워 투입구 134: 패널 관통홀
138: 패널리브 1381: 패널 결합홀 139: 패널 고정부
14: 차폐부 141: 차폐바디 1411: 차폐면
1412: 연결면 1413: 지지면 1414: 연장면
142: 제1체결부 143: 보강리브 144: 제2체결부
1441: 차폐부 결합홀 15: 결합부재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급수부 24: 세제공급부
25: 배수부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2: 기판 관통홀 44: 인코더 고정홀 45: 인코더 커버 고정홀
46: 제1입력부 47: 제2입력부 5: 인코더
51: 고정부 52: 회전부 54: 신호발생부
6: 인코더 커버 61: 고정바디 커버 62: 커버 관통홀
63: 지지바디 커버 7: 액추에이터 71: 샤프트
73: 핸들 74: 핸들 배출구 75: 실링부
8: 표시부 81: 하우징 82: 제2회로기판
83: 장착부 84: 디스플레이 9: 선택부

Claims (18)

  1.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 상기 캐비닛 바디에 고정된 패널 지지부, 상기 패널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는 장착 패널, 및 상기 장착 패널을 관통하는 패널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 차폐바디,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장착 패널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차폐바디와 상기 패널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착 패널과 상기 패널 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제2체결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는 패널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2체결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패널리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패널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2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널 결합홀과 연통하는 차폐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 결합홀과 연통하는 지지부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결합홀, 상기 차폐부 결합홀 및 상기 지지부 결합홀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패널리브와 상기 지지부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패널리브 및 상기 지지부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에서 상기 제2체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 바디에 결합되는 지지부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바디는 상기 지지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지지부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차폐바디에서 상기 장착 패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차폐바디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제2체결부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바디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커버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바디는 상기 패널 지지부와 상기 커버 패널 사이의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바디의 일측은 상기 장착 패널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 패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바디는
    상기 장착 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는 차폐면; 및
    상기 차폐면과 상기 장착 패널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장착 패널에서 상기 차폐면을 향해 경사진 평면 또는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패널은 상기 차폐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장착 패널의 상면, 상기 패널 투입구가 형성되는 일면을 제공하는 장착 패널의 전면 및 상기 장착 패널의 상면과 상기 장착 패널의 전면을 연결하는 장착 패널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은 상기 차폐면과 상기 장착 패널의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장착 패널을 관통하는 패널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패널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관통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에 연통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샤프트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 및 상기 핸들 관통홀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바디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83899A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99A KR20230001234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08610 WO2023277413A1 (ko) 2021-06-28 2022-06-17 의류처리장치
AU2022304420A AU2022304420A1 (en) 2021-06-28 2022-06-17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2280058690.9A CN117881833A (zh) 2021-06-28 2022-06-17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99A KR20230001234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34A true KR20230001234A (ko) 2023-01-04

Family

ID=8469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899A KR20230001234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34A (ko)
CN (1) CN117881833A (ko)
AU (1) AU2022304420A1 (ko)
WO (1) WO20232774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02B1 (ko) * 2005-06-30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KR100867121B1 (ko) * 2007-02-14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CN103547724B (zh) 2011-04-14 2016-05-04 Lg电子株式会社 洗涤方法
KR101962814B1 (ko) * 2012-05-31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부커버를 가지는 세탁기
KR102318188B1 (ko) * 2014-02-11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70522B1 (ko) 2014-09-05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3168357B1 (en) * 2015-11-16 2020-01-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81833A (zh) 2024-04-12
AU2022304420A1 (en) 2024-01-18
WO2023277413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9219A (zh) 衣物处理装置
US1143459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11181A (ko) 의류처리장치
CA22531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pump to a washing machine
KR100484830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KR2023000123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410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829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컨트롤 장치
US11459693B2 (en) Sensor modul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27480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23000130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12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02593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01241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0273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3000123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9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1024162B1 (ko) 세탁기의 노이즈 필터 안착구조
KR20230001237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8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90023447A (ko) 복합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4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