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1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12A
KR20230001312A KR1020210084038A KR20210084038A KR20230001312A KR 20230001312 A KR20230001312 A KR 20230001312A KR 1020210084038 A KR1020210084038 A KR 1020210084038A KR 20210084038 A KR20210084038 A KR 20210084038A KR 20230001312 A KR20230001312 A KR 2023000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ircumference
main surface
flange portion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율기
이규철
이현승
신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12A/ko
Publication of KR2023000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방측에 위치되는 탑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차폐하는 메인면 및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메인면을 둘러싸는 패널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면은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만입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나 회전하는 드럼 등이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캐비닛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설계적으로 요구되는 형상에 부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패널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캐비닛을 구성하는 패널들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방측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이루는 탑패널이 마련된다.
탑패널은 메인면과 상기 메인면을 둘레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패널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면에는 하방으로 만입되어 아치 형태를 가지며 탑패널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의 최대깊이는 패널둘레부의 돌출높이 이상으로 마련되어 탑패널의 진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만입부는 메인면에 전체로서 형성되어 메인면 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에 만입부가 형성됨으로써 캐비닛 내부에서 탑패널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만입부의 최대깊이가 플랜지부의 하단까지 거리의 절반 이하로 마련됨으로써 캐비닛 내부에서 불필요한 구성간 접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및 드럼을 포함한다. 캐비닛은 상방측에 위치되는 탑패널을 포함하고, 드럼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된다.
상기 탑패널은 메인면과 패널둘레부를 포함한다. 메인면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차폐하고, 패널둘레부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메인면을 둘러싼다.
상기 메인면은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만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높이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만입부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로부터 상기 메인면의 중앙까지 연속하여 만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면은 포밍 공정을 통해 중앙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상기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만입부는 하방으로 상기 터브를 직접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이 상기 메인면의 둘레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기 메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의 둘레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하단까지 거리의 대해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를 이루는 복수의 모서리마다 각각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기 탑패널 사이에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패널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패널지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널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의 개구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구조를 통해 캐비닛을 구성하는 패널들에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외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지지부로부터 프론트패널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지지부와 인터페이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의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인코더 및 인코더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인코더 및 인코더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표시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의 상방측에 마련되는 탑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탑패널을 S-S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플랜지부와 측방플랜지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플랜지부에 결합된 차폐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폐브라켓이 결합된 후방플랜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플랜지부와 측방플랜지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과 탑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패널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지지부와 탑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P)를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 기재된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11), 및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에 고정된 패널(13, 프론트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프론트패널(13)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 바디(11)의 전방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패널(13)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투입구(13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 대상물의 총칭)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터브 지지부(22)가 스프링(터브 바디의 상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 및 댐퍼(터브 바디의 하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패널 투입구(131)를 향하는 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 투입구(131)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캐비닛(1)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와 펌프(252)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31),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로워 하우징(241), 상기 드로워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결관(242), 및 상기 프론트패널(13)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2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248)은 상기 드로워 투입구(133)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 패널(248)에는 드로워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 및 상기 드럼 바디(21)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를 향하는 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패널 투입구(131),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3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12)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된 물이나 세제는 상기 드럼 관통홀(31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1)와 로터(322)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패널(13)은 패널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3)은 상기 패널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지지부(12)에는 상기 드로워(243)가 관통하는 드로워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패널지지부(12)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론트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4, 제1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5, encoder), 상기 프론트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에 연결된 액추에이터(7), 상기 프론트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표시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구동부(32), 상기 급수밸브(233), 상기 펌프(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41)를 통해 상기 프론트패널(13) 또는 패널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상기 프론트패널(13) 또는 상기 패널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케이스(41)가 일면(패널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보스가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8)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 도 4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제2입력부(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패널(13)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3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3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36, 13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입력부(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액추에이터(7)를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액추에이터(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8)가 고정되는 고정부(51), 상기 고정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액추에이터(7)가 고정되는 회전부(52), 및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512), 상기 고정바디(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511),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관통홀(42)에 연결(제1보스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의 원주면 또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면(제1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는 기판 체결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513)가 삽입되는 인코더 고정홀(44, 도 5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체결부(513) 및 상기 인코더 고정홀(44)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고정홀들(44)은 상기 기판 관통홀(4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관통홀(514) 내부에는 상기 표시부(8)를 상기 고정부(51)에 체결하는 체결바디 고정부(531), 및 상기 표시부(8)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표시부(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표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설정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는 상기 지지바디(511)와 고정바디(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가 지지바디(5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51)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지지바디(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디(5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지지바디(511)가 관통하는 회전바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522)는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바디(512)나 지지바디(51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미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면(프론트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521)가 상기 지지바디(51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인코더 커버(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7)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7)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611) 및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45)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들(45)은 상기 기판 체결부(5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61)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에는 커버 배출구(6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구(612)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 중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절연물질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상기 인코더(5) 및 인코더 커버(6)가 모두 결합된 뒤 상기 제1회로기판(4)에 도포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일부 영역(인코더 커버의 외부 공간)에 분사된 절연물질은 상기 커버 배출구(612)를 통해 상기 인코더 커버(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고정바디(5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커버 배출구(6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디(521) 또는 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액추에이터(7)가 상기 회전바디(5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8)는 상기 프론트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프론트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도 3 참고)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71)는 내부에 샤프트 관통홀(711)이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회전바디(521)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회전바디 체결부(712) 및 샤프트 체결부(522)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73)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상기 샤프트(7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핸들(73)에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연통하도록 상기 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31), 및 상기 핸들(73)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7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샤프트(71)에는 상기 핸들(73)이 고정되는 베이스(7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13)는 상기 샤프트(7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disk)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는 상기 핸들(73)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734) 및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714)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체결부(734)는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714)는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과 베이스(7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핸들(73)에는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73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713)에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상기 베이스(713)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핸들(73)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73)과 상기 베이스(713) 중 어느 하나에는 핸들 배출구(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715)의 깊이(D1,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가이드 홈의 바닥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의 높이(D2, 핸들에서 체결 가이드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 배출구(74)는 상기 가이드 홈(715)과 상기 체결 사이드(73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표시부(8)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바디(512)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디(512)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b), 및 상기 체결바디(8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81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81a)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811)은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에 연통한다(수용바디 관통홀은 핸들 관통홀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2는 상기 체결바디(81b)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b)에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81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하우징(81)을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나아가,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위치설정 돌기(8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형상은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위치설정홈(53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홈(5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와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결합되지 못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고정바디 체결부와 체결바디 고정부의 결합을 담보하는 수단)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된 와이어(822)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핸들(73)의 회전 시 상기 신호발생부(54)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82)과 상기 디스플레이(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상기 제2회로기판(82)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1은 상기 장착바디(831)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가 고정되는 안착홈(8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832)에는 커넥터 관통홀(8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84)에 구비된 커넥터(841, flexible PCB 등)는 상기 커넥터 관통홀(8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램프(821)가 삽입되는 램프 관통홀(8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관통홀(835)은 상기 램프(82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 관통홀(835)의 위치는 상기 안착홈(832)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 또는 상기 안착홈(832)의 하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램프 관통홀(835)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구비된 장착바디 체결부(813) 및 상기 장착바디(831)에 구비된 수용바디 체결부(833)를 통해 하우징(81)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장착바디(831)의 원주면(수용바디에 접촉하는 장착바디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가 고정되는 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83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부, 및 상기 안착면(83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하부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제2회로기판(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바디(81a)에는 커버(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수용바디(81a)와 상기 장착바디(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를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85)가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장착바디(831)를 향해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851)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851)가 결합하는 고정돌기 체결부(8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82) 역시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장착바디(831)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82)을 향해 돌출된 돌기(8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상기 돌기(838)가 삽입되는 돌기 관통홀(82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커버의 투명도를 낮추는 커버시트(8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시트의 투명도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 하기 어려운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커버시트의 투명도가 커버의 투명도보다 낮게 설정). 상기 커버시트(853)는 상기 커버(85)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시트 중 상기 램프 관통홀(835)이 투영된 영역에는 문자나 기호(H)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9)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8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9)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93), 및 상기 센서(93)와 상기 커버(85)를 연결하는 전도체(91, 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91)는 상기 커버(85)에 고정된 제1전도체(91), 및 일단은 상기 제1전도체(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93)에 연결된 제2전도체(9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제2전도체(92)가 삽입되는 전도체 관통홀(837)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전도체(91)는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어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85)의 상부공간에 표시영역(R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85)의 하부공간에 입력영역(R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를 넓게 설정하면, 상기 입력영역(R2)의 넓이가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체(91)의 넓이는 상기 커버(85) 넓이의 1/4 내지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의 인터페이스(P)는 상기 표시부(8) 및 액추에이터(7)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단이 필요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에는 상기 핸들 관통홀(732)로 유입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731)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8)에는 물이나 이물질이 하우징(8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핸들 배출구(7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731)으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표시부(8)에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75, 체결바디 실링부), 및 상기 커버(85)와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 사이의 공간을 막는 커버 실링부(8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실링부(852)는 상기 커버(85)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수용바디(81a)에 분사되어 상기 커버(85)와 상기 수용바디(812)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상기 커버(85)를 상기 수용바디(812)에 고정하는 접착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822)의 위치를 고정할 뿐 아니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로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실링부(75)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실링부(75)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는 실링바디(751), 상기 실링바디(7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822)가 삽입되는 실링바디 관통홀(752), 및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이 절개되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는 절개부(753, 754, 7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751)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4는 상기 실링바디(751)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지름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억지 끼움을 통해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바디(751)의 재질은 탄성력이 비교적 큰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는 제1절개면(753),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중심을 향하되 상기 제1절개면(753)과 이격된 제2절개면(754), 및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사이에 형성된 절개홈(7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절개홈(755)을 통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 삽입되거나,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1절개면(753)과 제2절개면(75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실링바디(751)가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에 삽입되었을 때, 두 절개면(753, 754)이 접촉하여 상기 절개홈(755)을 폐쇄 가능한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과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에는 제1접촉돌기(7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는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돌기(756)는 다수의 띠 형태의 돌기가 상기 실링바디(7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755)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751)에는 제2접촉돌기(75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절개면(753)과 상기 제2절개면(7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접촉돌기(757)는 상기 제1접촉돌기(756)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두 제1접촉돌기들(756) 사이에 위치된 지점(7561)과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822)와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에는 제3접촉돌기(7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의 지름(실링바디가 체결바디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의 지름)을 상기 와이어(822)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하더라도,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2)을 형성하는 상기 실링바디(751)의 면에서 상기 실링바디 관통홀(755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띠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돌기(758)는 상기 제1절개면(753)에서 상기 제2절개면(754)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접촉돌기(75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P)의 조립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인코더(5)와 인코더 커버(6)가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된 제1회로기판(4)의 표면에는 절연물질이 코팅된 상태이다.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프론트패널(13)을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패널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41)가 프론트패널(13)에 고정될 경우,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프론트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제2보스(412)에 고정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프론트패널(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3)은 볼트 등을 통해 상기 패널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13)이 패널지지부(12)에 고정된 뒤 상기 액추에이터(7)의 샤프트(71)를 상기 프론트패널에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하면, 상기 샤프트(71)는 인코더의 회전바디(521)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의 체결바디(81b)는 인코더의 지지바디(511)에 고정될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71)가 상기 패널 관통홀(134)로 삽입되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된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바디(81b)에 구비된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회전바디(52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지지바디(511)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822)는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바디 관통홀(514),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패널지지부에 구비된 와이어 관통홀(123)을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73)을 돌릴 때 마다(인코더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마다), 기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제어명령의 검색 및 변경).
원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9)를 통해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부(9)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부(47)를 통해 실행명령을 입력한 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73)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결합된 반면 상기 표시부의 하우징(81)은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핸들(73)의 회전이 구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핸들(73)과 하우징(8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 또는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에서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스페이서(814)는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핸들(73)의 원주면에서 상기 수용바디(81a)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패널(14)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의 탑패널(14)을 S-S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14)은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만입부(1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 및 드럼(3)을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1)은 상방측에 위치되는 탑패널(14)을 포함하며, 드럼(3)은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캐비닛(1)은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은 전술한 프론트패널(13)과 더불어 탑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패널(13)은 캐비닛(1)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탑패널(14)은 캐비닛(1)의 상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패널(14)은 메인면(151) 및 패널둘레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면(151)은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차폐할 수 있고, 패널둘레부(152)는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메인면(151)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면(151)은 캐비닛(1)의 내부공간을 상부에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면(151)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는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패널둘레부(15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패널둘레부(152)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메인면(151)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면(151)과 패널둘레부(152)를 포함하여 메인부(15)로 정의할 수 있고, 메인부(15)의 테두리에는 패널둘레부(152)의 일부에 해당하는 플랜지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면(151)은 상기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만입부(1511)를 포함할 수 있다. 만입부(1511)는 메인면(151)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만입되도록 휘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3)이나 구동부 등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를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1)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캐비닛(1)으로 전달되어 상기 캐비닛(1)을 진동시키거나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에 전달되는 진동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불쾌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탑패널(14)은 평판 형상의 메인면(151)을 포함하고, 프론트패널(13), 사이드패널 및 로워패널 등과 직접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패널둘레부(152)와 달리, 메인면(151)은 타구성과 결합되는 영역으로부터 멀리 위치되어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탑패널(14)의 메인면(151)에 오목한 형상의 만입부(1511)를 성형함으로써, 만입부(1511)가 가지는 아치형의 이점에 따라 메인면(151)이 진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만입부(1511)는 메인면(151)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성형 방식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하방으로 만입된 형상의 만입부(1511)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형상의 만입부(1511)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의 내부에서 메인면(151)을 지지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더라도, 메인면(151)에 만입된 형상의 만입부(1511)가 성형됨으로써, 메인면(151)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둘레부(152)는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1511)의 최대 깊이는 상기 패널둘레부(152)의 높이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는 메인면(151)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이 메인면(151)의 둘레(1512)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탑패널(14)는 둘레부를 제외하고 하방으로 함입되어 상기 메인면(15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탑패널(14)은 패널둘레부(152)에 해당하는 영역을 고정한 채 상기 패널둘레부(152)의 내측을 프레스 공법의 일종인 포밍 공정을 통해 하방으로 함입시켜 상기 메인면(15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면(15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패널둘레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면(151)의 포밍 공정에서 다이 형상을 통해 만입부(1511)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기준으로 하는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은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기준으로 하는 패널둘레부(152)의 높이 L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탑패널(14)의 성형 과정에서 패널둘레부(152)로부터 메인면(151)이 하방으로 함입되는 깊이가 L2에 해당하고, 메인면(151)에서 만입부(1511)가 만입되는 최대깊이 L1은 패널둘레부(152)로부터 메인면(151)이 하방으로 함입되는 깊이 L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입부(1511)의 만입된 형상을 통해 탑패널(14)의 메인면(15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도록,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이 패널둘레부(152)의 돌출높이 L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드럼(3), 터브(2) 또는 급수부(23) 등 캐비닛(1) 내부의 다양한 구성의 배치공간을 고려하여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은 패널둘레부(152)의 돌출높이 L2의 2배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만입부(1511)는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로부터 상기 메인면(151)의 중앙까지 연속하여 만입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만입부(1511)는 메인면(151)의 둘레(1512)에서 메인면(151)의 중앙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만입부(1511)는 메인면(151)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면(151)의 중앙에서 최대깊이 L1을 가질 수 있다.
탑패널(14) 및 메인면(151)의 형상을 다양할 수 있으며,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 형상의 탑패널(14) 및 메인면(151)이 도시되어 있다. 만입부(1511)는 사각 형상을 가지는 메인면(151)의 둘레(1512)로부터 메인면(151)의 중앙까지 점진적으로 깊이가 깊어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면(1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밍 공정을 통해 중앙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상기 만입부(1511)가 형성될 수 있다.
포밍 공정은 프레싱 공법의 일종으로서, 제1다이 및 제2다이가 마련될 수 있고, 제1다이가 제2다이를 향해 이동되면서 자재를 가압하고 깊이를 가지는 부분을 성형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면(151)으로부터 하방으로 만입되는 만입부(1511)를 메인면(151)의 성형 과정에서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만입부(1511)는 하방으로 상기 터브(2)를 직접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입부(1511)의 중앙과 터브(2) 또는 드럼(3) 사이에는 상기 만입부(1511) 또는 메인면(151)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만입부(1511)와 터브(2)는 직접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상의 메인면(151)이 하방으로 쳐지거나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메인면(151)의 하방에서 상기 메인면(151)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 구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메인면(151)에 만입부(1511)를 형성함으로써 진동을 억제하고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둘레부(152)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이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는 메인면(151)의 둘레(15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은 만입부(1511)를 제외하고 메인면(15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는 메인면(151)을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 또한 사각 형상의 폐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과 메인면(151)은 단차진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둘레부(152)는 상기 메인면(15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의 둘레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16)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1511)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면(151)의 둘레(1512)에서 상기 플랜지부(16)의 하단까지 거리의 대해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둘레부(152)는 상면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면(151) 및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을 포함하여 메인부(15)로 정의될 수 있고,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부(15)의 테두리는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의 둘레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은 메인면(151)의 둘레(1512)에서 플랜지부(16)의 하단까지 거리 L3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즉, 플랜지부(16) 하단까지의 거리 L3는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16)의 하단은 캐비닛(1)을 구성하는 사이드패널, 리어패널등의 사방에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이 플랜지부(16) 하단까지의 거리 L3와 동일하게 되면 메인면(151)의 중앙이 캐비닛(1)의 내부의 터브(2) 등과 접촉될 수 있어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이 패널둘레부(152)의 돌출높이 L2 이상이 되도록 하여 만입부(1511)에 의한 진동 억제 효과를 충분히 구현함과 동시에, 만입부(1511)의 최대깊이 L1이 플랜지부(16) 하단까지의 거리 L3의 절반 이하로 마련되어 캐비닛(1) 내부의 구성과 만입부(1511)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캐비닛(1)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부(16)는 상기 플랜지부(16)는 상기 패널둘레부(152)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16)는 상기 패널둘레부(152)의 둘레를 이루는 복수의 모서리마다 각각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부(16)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후술한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14)의 후방모서리(153)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진 후방플랜지부(16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14)은 상기 캐비닛(1)의 상면을 이루는 메인부(15) 및 상기 메인부(15)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지는 플랜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6)는 상기 메인부(15)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모서리(153)에서 하방으로 접혀지는 후방플랜지부(161)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플랜지부(161)는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모서리(153)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측단부(1611)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후방노칭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6)는 메인부(15)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메인부(15)는 전술한 메인면(151)과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을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부(16)는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질 수 있다. 즉, 메인부(15)의 테두리는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의 둘레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부(16)는 프레스 공법 대신 벤딩 공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즉, 메인면(151)과 만입부(1511)가 포밍 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메인부(15)는 테두리상에 외측으로 추가 연장되는 플랜지부(16)가 마련되고, 탑패널(14)의 성형과정에서 플랜지부(16)는 벤딩 공정을 통해 메인부(15)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랜지부(16)가 메인부(15)로부터 절곡되어 성형되는 바, 탑패널(14)에서 상기 메인부(15)의 테두리가 선명한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고,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과 플랜지부(16)가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16)는 탑패널(14)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플랜지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탑패널(14)의 메인부(15)의 테두리는 전방모서리(155), 측방모서리(154) 및 후방모서리(153)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플랜지부(161)는 상기 메인부(15)의 테두리 중 후방모서리(153)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방플랜지부(161)는 후방노칭부(161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노칭부(1612)는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모서리(153)의 연장방향, 예컨대 캐비닛(1)의 측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연장될 수 있다.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는 캐비닛(1)의 측방향을 기준으로 한 후방플랜지부(161)의 단부에 해당하고, 후방플랜지부(161)는 메인부(15)의 후방모서리(153)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과정에서 표면상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후방플랜지부(161)의 벤딩 과정에서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는 표면상의 구겨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 완성도를 저하시키거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할 내용과 같이 탑패널(14)의 측방모서리(154)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는 측방플랜지부(162)의 벤딩 과정이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로 응력을 전달하여 상기 측단부(1611)의 변형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후방플랜지부(161)의 표면상 구겨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후방노칭부(1612)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노칭부(1612)는 메인부(15)의 후방모서리(153)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측방향을 따라 후방플랜지부(161)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후방노칭부(1612)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는 후방플랜지부(161)는 벤딩과정에서 후방모서리(153)로부터 후방플랜지부(161)로 전달되는 응력이 단절되고, 후방모서리(153)에 인접한 부위로부터 나머지 부위로 표면의 구겨짐이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부(15)의 테두리로부터 플랜지부(16)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메인부(15)의 테두리를 선명하게 성형하거나 플랜지부(16)와 메인부(15)가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후방노칭부(1612)를 마련함으로써 후방플랜지부(161)의 성형 과정에서 후방플랜지부(161)의 표면에 발생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는 후방사이드모서리(1613)가 마련되고, 상기 후방노칭부(1612)는 상기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는 후방플랜지부(161)에서 캐비닛(1)의 측방향에 따란 양단에 위치되는 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는 후방모서리(15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노칭부(1612)는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로부터 후방모서리(15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방플랜지부(161)는 한 쌍의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노칭부(1612)는 어느 하나의 후방사이드모서리(1613)에서 나머지 하나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방노칭부(1612)는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로부터 연장되는 바, 후방노칭부(1612)는 일단이 측방향으로 개방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방플랜지부(161)는 벤딩과정에서 상기 후방사이드모서리(1613)측에 응력이 집중되어 표면상의 구겨짐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노칭부(1612)가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로부터 연장됨으로써 후방사이드모서리(1613) 측에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플랜지부(161)는 상기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홈(16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절개홈(1618)은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618)은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절개홈(1618)은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에서 개방되는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개홈(1618)은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 중 메인부(15)의 후방모서리(153)를 향하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절개홈(1618)은 복수로 마련되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플랜지부(161)는 측단부(1611)에 후방노칭부(1612)가 형성되어 벤딩 과정에서 상기 측단부(1611)에 발생되는 변형을 억제하더라도, 상기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에서는 여전히 응력이 집중되어 후방플랜지부(161)의 변형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후방플랜지부(161)의 둘레에 절개홈(1618)을 형성함으로써, 후방플랜지부(161)의 벤딩 과정에서 후방노칭부(1612)의 둘레측이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후방노칭부(1612) 주변의 변형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는 상기 후방모서리(153)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부(15)의 측방에 위치되는 측방모서리(154)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을 측방향을 따라 측방모서리(154)와 후방사이드모서리(1613)의 이격거리 L4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플랜지부(161)가 캐비닛(1)의 측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후방모서리(153)보다 더 짧게 마련되어 후방사이드모서리(1613)와 측방모서리(154)간의 이격거리 L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사이드모서리(1613)와 측방모서리(154)간의 이격거리 L4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측방플랜지부(162)와 후방플랜지부(161)간의 결합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고 측방플랜지부(162)와 후방플랜지부(161)간의 물리적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플랜지부(161)에 결합되는 차폐브라켓(1614)이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도 18의 후방플랜지부(161) 및 차폐브라켓(1614)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노칭부(1612)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브라켓(1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탑패널(14)에서 메인면(151) 및 패널둘레부(152)의 상면(1521)을 포함하는 메인부(15)는 캐비닛(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메인부(15)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플랜지부(161)는 캐비닛(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탑패널(14)의 플랜지부(16)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후방플랜지부(161)에 마련되는 후방노칭부(1612)는 의류처리장치(100) 외관상 완성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노칭부(1612)는 탑패널(1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의 형태를 가지므로, 후방노칭부(1612)를 통해 불필요한 이물질이 탑패널(1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브라켓(1614)이 후방노칭부(1612)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브라켓(1614)은 상기 후방노칭부(1612)와 함께 상기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상 품질 향상과 강성 증가를 위해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로부터 연장되는 후방노칭부(1612)를 형성할 수 있고, 나아가 차폐브라켓(1614)을 통해 상기 후방사이드모서리(1613) 및 후방노칭부(1612)를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외관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브라켓(1614)은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후방노칭부(1612)를 관통하는 후크부(1615)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브라켓(1614)은 후방플랜지부(161)를 향하는 일면이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에 면착될 수 있고, 후크부(1615)는 차폐브라켓(1614)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후방플랜지부(161)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1615)는 후방노칭부(1612)를 관통하여 탑패널(1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후크부(1615)의 단부에는 후크돌기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후크돌기는 탑패널(14)의 내부에서 후방노칭부(1612) 또는 후방플랜지부(161)에 걸려질 수 있다. 즉, 차폐브라켓(1614)은 후방노칭부(1612)를 관통하는 후크부(1615)를 통해 후방플랜지부(16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노칭부(1612) 및 후방사이드모서리(1613)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브라켓(1614)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차폐브라켓(1614)의 후크부(1615)가 삽입되기 위한 별도의 홈이나 홀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차폐브라켓(1614)의 후크부(1615)가 후방노칭부(1612)에 삽입되어 차폐브라켓(1614)과 후방플랜지부(161)간의 효과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플랜지부(161)는 상기 메인부(15)의 상기 후방모서리(153)의 반대측에 하단모서리가 마련되고, 상기 차폐브라켓(1614)은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방에서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상기 하단모서리가 삽입되는 모서리삽입홈(16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방플랜지부(16)의 하단모서리는 하방플랜지부(16)를 기준으로 메인부(15)의 후방모서리(153)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양단에 하단사이드모서리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단모서리, 하단사이드모서리 및 하방모서리를 함께 사각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차폐브라켓(1614)은 후방플랜지부(161)의 하단모서리가 상방에서 삽입되는 모서리삽입홈(1616)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삽입홈(1616)은 차폐브라켓(1614)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차폐브라켓(1614)은 후방플랜지부(161)를 향하는 일면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돌출된 부분에 상기 모서리삽입홈(1616)이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삽입홈(1616)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방플랜지부(16)의 하단모서리는 차폐브라켓(1614)에 마련되는 모서리삽입홈(1616)에 삽입될 수 있다. 차페브라켓은 하부에서 하단모서리가 모서리삽입홈(1616)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후크부(1615)가 후방노칭부(1612)에 삽입되어 상부가 결합됨으로써, 후방플랜지부(161)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부(16)는 상기 메인부(15)의 측단에 위치되는 측방모서리(154)에서 하방으로 접혀지는 측방플랜지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방플랜지부(162)는 상기 측방플랜지부(162)의 후단부(1621)에서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를 향하여 접혀지고,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와 결합되는 후방결합부(162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플랜지부(162)는 메인부(15)의 측방모서리(154)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될 수 있다. 측방플랜지부(162)는 후단부(1621)가 상기 후방플랜지부(161)를 향하고, 전단부(1623)는 후술할 전방플랜지부(163)를 향할 수 있다.
측방플랜지부(162)의 후단부(1621)에 후방결합부(16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결합부(1622)는 측방플랜지부(162)로부터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와 나란하게 접혀지고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부(15)의 테두리에 포함되는 후방모서리(153) 및 측방모서리(154)에 각각 후방플랜지부(161) 및 측방플랜지부(162)가 마련되어 플랜지부(16)의 벤딩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나아가 측방플랜지부(162)의 후방결합부(1622)를 통해 측방플랜지부(162)와 후방플랜지부(161)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탑패널(14)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과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차폐브라켓(1614) 및 결합부재(1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617)는 상기 후방결합부(1622), 상기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 및 상기 차폐브라켓(1614)을 관통하며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측방플랜지부(162)로의 후단부(1621)로부터 후방플랜지부(161)를 향해 절곡되는 후방결합부(1622)는 후방플랜지부(16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 중 일부를 형성하는 후방플랜지부(161)상에 후방결합부(1622)에 의해 단차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617)는 후방결합부(1622), 후방플랜지부(161)의 측단부(1611) 및 차폐브라켓(1614)을 함께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1617)에 의해 후방결합부(1622)와 후방플랜지부(161)가 결합될 수 있고, 차폐브라켓(1614)이 후방플랜지부(161)상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결합부(1622)는 결합부재(1617) 외에도 후방플랜지부(161)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후방결합부(1622)의 개구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부재(1617)는 볼트 등의 형태로 마련되어 후방결합부(1622) 또는 후방플랜지부(161)에 나사 결합되거나 탑패널(14) 내측에 위치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패널(14)의 전방플랜지부(163) 및 측방플랜지부(16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부(16)는 상기 메인부(15)의 전단에 위치되는 전방모서리(155)에서 하방으로 접혀지는 전방플랜지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플랜지부(162)는 상기 측방플랜지부(162)의 전단부(1623)에서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를 향하여 접혀지고,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와 결합되는 전방결합부(16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플랜지부(163)는 메인부(15)의 테두리 중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모서리(155)로부터 하방으로 접혀지며 성형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부(163)는 후방플랜지부(161)의 후방노칭부(1612)와 대응되는 전방노칭부(1635)를 포함하여 표면상의 구겨짐이 방지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부(163)는 프론트패널(13)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플랜지부(163)는 프론트패널(13)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부(163)와 측방플랜지부(162)는 전방결합부(1624)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전방결합부(1624)는 후방결합부(1622)와 유사하게 측방플랜지부(162)의 전단부(1623)로부터 전방플랜지부(163)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결합부(1624)는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와 결합됨으로써, 전방결합부(1624)에 의해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에 단차진 형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방플랜지부(162)의 전방결합부(1624) 및 후방결합부(1622)를 통해 측방플랜지부(162)와 전방플랜지부(163) 및 후방플랜지부(161)가 결합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벤딩 공정을 통해 성형되는 각 플랜지부(16)가 상호 결합관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방플랜지부(162) 대신 프론트패널(13)에 의해 가려지는 전방플랜지부(163)나 차폐브라켓(1614)이 결합되는 후방플랜지부(161)상에 노칭부가 형성되고 결합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 전체의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에는 상기 전방결합부(1624)를 향해 돌출되는 삽입볼록부(1632)가 마련되고, 상기 전방결합부(1624)에는 상기 삽입볼록부(163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1625)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플랜지부(163)의 외면상에 단차 형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방결합부(1624)는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에는 상기 전방결합부(1624)를 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볼록부(163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결합부(1624)는 상기 삽입볼록부(1632)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홀(162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플랜지부(163)는 삽입볼록부(1632)가 전방결합부(1624)의 삽입홀(1625)에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상호간의 결합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방플랜지부(163)와 전방결합부(1624)가 삽입볼록부(1632) 및 삽입홀(1625)을 통해 형성하는 결합관계는 후방플랜지부(161)와 후방결합부(16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볼록부(1632)는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의 일부가 상기 전방결합부(1624)를 향해 돌출되도록 휘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의 일부는 삽입볼록부(1632)로서 상기 전방에서 바라볼 때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방에서 바라볼 때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에 단순한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전방결합부(1624)와 전방플랜지부(163)가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볼록부(1632)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프론트패널(13)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패널지지부(12)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2에는 프론트패널(13), 패널지지부(12) 및 전방플랜지부(163)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 내지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1)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13)과 상기 탑패널(14) 사이에는 상기 캐비닛(1)의 전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패널지지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지지부(12)는 프론트패널(13) 및 탑패널(14)의 강성을 보강하여 캐비닛(1)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프론트패널(13)의 전방으로 노출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고정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의 전면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전방플랜지부(163)가 패널지지부(12)와 결합됨으로써 프론트패널(13) 내부공간을 침범하지 않더라도 전방플랜지부(163)가 패널지지부(12)를 통해 프론트패널(13)과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지지부(12)는 상기 플랜지부(16)와 상기 프론트패널(13)의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13)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널지지부(12)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패널(13)의 개구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지지부(12) 및 상기 프론트패널(13)은 관통부재(138)에 의해 관통되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 및 상기 전방결합부(1624)는 상기 관통부재(138)로부터 멀어지도록 만입되는 만입수용홈(1633)이 형성되어 상기 패널지지부(12)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관통부재(138)의 일부가 상기 만입수용홈(1633)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패널(13)과 패널지지부(12)는 서로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프론트패널(13)의 전면과 패널지지부(12) 사이에는 전술한 인터페이스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지지부(12)는 프론트패널(13)의 일부 또는 인터페이스 등과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재(138)를 통해 패널지지부(12)는 프론트패널(13)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에는 만입수용홈(1633)이 마련될 수 있다. 만입수용홈(1633)은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가 패널지지부(12)로부터 멀어지도록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입수용홈(1633)에는 관통부재(138)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재(138)는 볼트와 같은 종류로 마련될 수 있고, 관통부재(138)의 헤드가 전방플랜지부(163)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전방플랜지부(163)는 관통부재(138)의 헤드 등에 해당하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만입수용홈(163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입수용홈(1633)은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 전체에 대해 형성되거나 상기 측단부(1631)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측방플랜지부(162)의 전방결합부(1624)는 상기 만입수용홈(1633)과 대응되는 만입된 형상을 가지거나, 편평한 형태로 마련되어 전방플랜지부(163)의 만입수용홈(1633)의 만입면 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론트패널(13)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인터페이스 등이 내장될 수 있고, 프론트패널(13)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된 구비되는 패널지지부(12)를 통해 인터페이스 등이 고정되거나 전방플랜지부(163)와의 결합관계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프론트패널(13) 또는 인터페이스와 패널지지부(12)간의 결합을 위한 관통부재(138)가 패널지지부(12)로부터 후방으로 일부 돌출되더라도 전방플랜지부(163)의 만입수용홈(1633)에 의해 상기 관통부재(138)의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효율적인 배치관계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플랜지부(163)의 상기 삽입볼록부(1632)는 상기 만입수용홈(163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삽입볼록부(1632)와 만입수용홈(1633)이 프레스 공법 등을 통해 동시에 성형되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지지부(12)에는 상기 전방플랜지부(163)의 측단부(1631) 및 상기 전방결합부(1624)를 향해 돌출되는 삽입돌출부(139)가 마련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입수용홈(1633) 및 상기 전방결합부(1624)에는 상기 삽입돌출부(139)에 의해 관통되는 삽입관통홀(163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출부(139)는 패널지지부(12)에서 전방플랜지부(163)를 향하는 후면상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돌출부(139)는 전방플랜지부(163) 및 전방결합부(1624)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방플랜지부(163) 및 전방결합부(1624)에는 삽입돌출부(13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통홀(1634)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관통홀(1634)에 삽입돌출부(139)가 삽입됨으로써 패널지지부(12), 전방플랜지부(163) 및 전방결합부(1624)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삽입관통홀(1634)은 전방플랜지부(163)에 마련되고 삽입돌출부(139)는 전방플랜지만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삽입돌출부(139)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삽입관통홀(1634)은 삽입돌출부(139)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돌출부(139)는 예컨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태로 마련되어 전방플랜지부(163) 및 전방결합부(1624)의 삽입관통홀(1634)에 삽입됨으로써, 전방플랜지부(163)와 전방결합부(1624)가 캐비닛(1)의 측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삽입관통홀(1634)은 전방플랜지부(163)의 만입수용홈(1633) 내에 배치되어 상기 만입수용홈(1633)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삽입관통홀(1634)이 동시에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2: 패널지지부 121: 드로워 관통홀
123: 와이어 관통홀 13: 프론트 패널
131: 패널 투입구 132: 도어
133: 드로워 투입구 134: 노브 관통홀
135: 윈도우 고정홀 136: 제1버튼 장착부
137: 제2버튼 장착부 138: 관통부재
139: 삽입돌출부 14: 탑패널
15: 메인부 151: 메인면
1511: 만입부 1512: 메인면의 둘레
152: 패널둘레부 153: 후방모서리
154: 측방모서리 155: 전방모서리
16: 플랜지부 161: 후방플랜지부
1612: 후방노칭부 1613: 후방사이드모서리
1614: 차폐브라켓 1615: 후크부
1616: 모서리삽입홈 1617: 결합부재
1618: 절개홈 162 : 측방플랜지부
1622: 후방결합부 1624: 전방결합부
163: 전방플랜지부 1632: 삽입볼록부
1633: 만입삽입홈 1634: 삽입관통홀
1635: 전방노칭부 2: 터브
21: 터브 바디 211: 터브 투입구
212: 가스켓 22: 터브 지지부
23: 급수부 231: 급수관
232: 급수밸브 24: 세제공급부
241: 드로워 하우징 242: 연결관
243: 드로워 248: 드로워 패널
25: 배수부 3: 드럼
31: 드럼 바디 311: 드럼 투입구
32: 구동부 5: 제2인터페이스
51: 제2케이스 52: 제2PCB
521: 램프(LED) 53: 제2장착부
531: 램프 관통홀 54: 제2디스플레이
55: 터치필름 56: 제2윈도우

Claims (12)

  1. 상방측에 위치되는 탑패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탑패널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차폐하는 메인면; 및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메인면을 둘러싸는 패널둘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면은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만입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높이 이상으로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로부터 상기 메인면의 중앙까지 연속하여 만입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면은 포밍 공정을 통해 중앙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만입되어 상기 만입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만입부는 하방으로 상기 터브를 직접 마주보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이 상기 메인면의 둘레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둘레부는 상기 메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면의 둘레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메인면의 둘레를 기준으로 상기 만입부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면의 둘레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하단까지 거리의 대해 절반 이하인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를 이루는 복수의 모서리마다 각각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기 탑패널 사이에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패널지지부가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둘레부의 둘레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패널지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프론트패널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널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의 개구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84038A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38A KR2023000131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38A KR2023000131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12A true KR20230001312A (ko) 2023-01-04

Family

ID=8492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38A KR20230001312A (ko) 2021-06-28 2021-06-2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6599B2 (ja) 洗濯機
KR20220038317A (ko) 세탁기
KR20020008874A (ko) 세탁기의 캐비넷
KR20060039185A (ko) 세탁기의 도어
KR100484830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KR202300013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300A (ko) 의류처리장치
EP415544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11459693B2 (en) Sensor modul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27480B1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180089991A (ko) 의류처리장치
EP436536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61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59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EP4365357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P436536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5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4365352A1 (en)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interface
EP4365353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KR2023000123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11043A (ko) 세탁기
JP3439156B2 (ja) 洗濯機
KR20040020719A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2023008581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9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