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730A - 미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730A
KR20210130730A KR1020217027203A KR20217027203A KR20210130730A KR 20210130730 A KR20210130730 A KR 20210130730A KR 1020217027203 A KR1020217027203 A KR 1020217027203A KR 20217027203 A KR20217027203 A KR 20217027203A KR 20210130730 A KR20210130730 A KR 2021013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skin
act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와타나베
다카유키 요네자와
모모카 고바야시
유키 엔도
제태 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키나와리서치센터
주식회사 오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키나와리서치센터, 주식회사 오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키나와리서치센터
Publication of KR2021013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뛰어난 천연물을 함유하는 성분이면서도 주름이나 늘어짐 등의 피부 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 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 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 등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미용용 조성물
본 발명은 미용용 조성물, 특히,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인 피부는, 생체의 최외층에서 생체 방어의 최전선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건강적으로도 심미적으로도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피부 (각질층) 는 자외선, 가령, 스트레스, 질병, 식습관 등으로부터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 피부 기능의 감퇴, 피부 노화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주름은, 가령이나 태양광에 의한 피부 노화 (광노화) 에 의해 유도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 (엘라스타제와 콜라게나제 등) 의 작용으로 형성된다. 피부 노화의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자외선은 주름 형성에 관여하는 최대의 환경 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해 생산되는 활성 산소는, 피부 그을림 등의 급성 염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생산이 만성적으로 반복됨으로써 광노화를 유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피부의 건강 및 미용을 위해서, 피부 노화를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하는 항주름제의 수요는 높다.
한편, 피부 및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는 멜라닌이라 불리는 색소성 물질이며, 표피 기저층이나 모근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 의해 생산된다. 멜라닌의 제어는, 자외선의 보호 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멜라닌 생산 능력의 결핍 또는 저하는, 백모증이나 백반증을 야기시킨다. 가령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백발도 모근의 멜라닌 생산 능력의 감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구미에 국한되지 않고, 갈색의 피부는, 건강하고 아름답다라고 하는 문화도 널리 존재하고 있으며, 피부나 머리 카락을 검은색 또는 흑갈색으로 하는 것에는 큰 수요가 있다. 태양광에 의한 피부 그을림은 자외선 노출에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암의 발생 등 큰 위험이 따르는 점에서,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는 썬탠 촉진제는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나 미용에 대한 수요는 세계 공통이며, 일본 국내에서만 보더라도 화장품의 시장 규모는 1 조엔을 넘는다.
지금까지, 주름 형성 및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것으로는,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 기질의 제어제의 이용 등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가령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백발에 대해서는 대증 요법으로서 염료로 염색을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항주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안전성의 관점에서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해당 문헌의 전체 설명은 여기에 공개로 원용된다.) 에는, 흑생강 추출물의 항주름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 (상기 문헌의 전체 설명은 여기에 공개로 원용된다.) 에는, 흑생강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을 갖는다는 기재가 있다. 또한, 하기 비특허문헌 2 (해당 문헌의 전체 설명은 여기에 공개로 원용된다.) 에는, 흑생강에 포함되는 성분 중, 5,7-디메톡시플라본은 멜라닌 형성 촉진 작용을 갖는다는 기재가 있다.
특개 2012-176976 호 공보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 30 : 237-245 (2014) Experimental Dermatology 20 (5) : 445-447 (2011)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흑생강 추출물은, 여러가지 성분을 포함하는 점에서, 흑생강 추출물이 갖는 항산화 작용은 작고, 그로 인하여 달성되는 항주름 효과는 미약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비특허문헌 2 에 기재된 5,7-디메톡시플라본이 갖는 멜라닌 형성 촉진 작용은 매우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이면서도 주름이나 늘어짐 등의 피부 노화를 억제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1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이면서도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여 모발과 피부의 백색화를 억제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 2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개발을 진행하여, 다종 다양한 천연물 및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의 생리 활성 작용에 대해 검토한 결과, 흑생강에 포함되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 11 종을 단리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이들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생리 활성 작용에 대해서 시행착오를 반복하며 시험한 결과, 놀랍게도,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에는 주름 형성에 관련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와 피부의 염증성 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에는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결국,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 및 이들 성분의 함유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결과 및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완성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1 양태에 따르면, 이하 [1] ∼ [10] 의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1]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
[2]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 작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작용을 갖는 [1] 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조성물은, 항주름용 조성물, 항늘어짐용 조성물, 항피부 염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조성물인 [1] ∼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4]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
[5]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을 갖는 [4] 에 기재된 조성물.
[6] 상기 조성물은, 항백모증용 조성물, 항백발용 조성물, 항백반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썬탠 촉진용 조성물 및 피부 흑색화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조성물인 [4]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7]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용 조성물인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8]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의 사용방법.
[9] 사용 개체에,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름, 늘어짐, 피부 염증, 노화, 피부이상, 백모증, 백발 및 백반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증상 또는 질환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방법.
[10] 사용 개체에, [4]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썬텐을 촉진하는 방법 또는 피부를 흑색화하는 방법.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원래 생약으로 사용되는 등 그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고,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천연물인 흑생강에 포함되는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사용 개체에 대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흑생강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자생하고 있어 대량으로 입수 가능하며, 또한, 흑생강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은, 시판되고 있는 것인 점에서, 공업적 규모로 높은 경제성으로 제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 및 주름 형성과 관련된 염증성 인자의 생산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주름, 늘어짐, 피부 염증, 노화, 피부이상 등에 더하여, 다양한 피부 관련 질환 증상 및 이상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성화하는 작용을 통해, 백모증, 백발, 백반증, 노화 등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썬탠 촉진이나 피부 흑색화 등의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외용으로서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적고, 경구 섭취가 가능한 내외 미용 성분 (이너 코스메틱) 을 함유하는 것으로부터 건강 식품으로의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의, 흑생강 추출물로부터 단리한 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구조식을 나타낸다.
도 2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 되어 있는 대로의, IL-1α 자극한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엘라스타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의, IL-1α 자극한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엘라스타제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의, IL-1α 자극한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엘라스타제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 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의, UVB 조사한 사람 표피 각화 세포 주의 IL-1α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의,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및 UV-B조사한 케라티노사이트 (HaCaT) 의 공배양법에 있어서의 엘라스타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대로의,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및 UV-B 조사한 케라티노사이트 (HaCaT) 의 공배양법에 있어서의 콜라게나제 (MMP-1) 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대로의, 사람 HMV-II 멜라노마 세포의 티로시나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1 양태인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항목의 사항에 의하여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용어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되며, 부당하게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억측과 추론은 본 발명자들의 지금까지의 지식과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억측과 추론에 의해서만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 종 이상의 물질이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유효 성분과 다른 물질이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 유효 성분의 2 종 이상이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성분의 1 종 이상과 고형 성분 또는 용매 성분의 1 종 이상과 조합하여 이루어진 고체 조성물 및 액체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한 복수의 관련 항목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 또는 모든 조합을 의미한다.
「함유량」은, 농도와 동일한 의미이며,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한 성분의 양의 비율을 의미한다. 단, 성분의 함량의 총량은 100 % 를 초과하지 않는다.
수치 범위의 「 ∼ 」는, 본 명세서에서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이며, 예를 들면, 「0 질량% ∼ 100 질량%」는, 0 질량% 이상이며, 한편, 100 질량% 이하인 범위를 의미한다.
물질의 「활성화 억제 작용」이라는 용어는, 물질이 본래 갖는 촉매 작용이나 생리 작용의 정도를 감약시키는 것, 물질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저감시키는 것, 물질의 유전자 산물 (단백질) 의 번역량을 저감시키는 것 및 물질의 유전자 산물의 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을 말한다.
물질의 「활성화 촉진 작용」이라는 용어는, 물질이 본래 갖는 촉매 작용이나 생리 작용의 정도를 증강시키는 것, 물질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대시키는 것, 물질의 유전자 산물 (단백질) 의 번역량을 증대시키는 것 및 물질의 유전자 산물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을 말한다.
물질의 「생산 촉진 작용」이라는 용어는, 물질의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대시키는 것, 물질의 유전자 산물 (단백질) 의 번역량을 증대시키는 것 및 물질의 유전자 산물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용을 말한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의 조성물은,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적어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함유하는 활성 성분에 의해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억제 작용 및 피부의 염증성 인자의 활성화 억제 작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이러한 작용을 가짐으로써 대표적으로는 항주름용 조성물, 항늘어짐용 조성물, 항피부 염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및 피부이상 개선용 조성물 등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는, 사용 개체에 유효 성분을 적용하여 주름, 늘어짐, 피부 염증, 노화 및 피부이상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적어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함유하는 활성 성분에 의해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 촉진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이러한 작용을 가짐으로써, 대표적으로는 항백모증용 조성물, 항백발용 조성물, 항백반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썬탠 촉진용 조성물 및 피부 흑색화용 조성물 등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는, 사용 개체에 유효 성분을 적용하여 백모증, 백발 및 백반증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양태는, 사용 개체에 유효 성분을 적용하여 썬텐을 촉진하는 방법 또는 피부를 흑색화하는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이 함유하는 유효 성분 및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이 함유하는 유효 성분을 칭하여 「유효 성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고,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이 가질 수 있는 작용 및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이 가질 수 있는 작용을 칭하여 「유효 작용」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유효 성분]
유효 성분은,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로 분류되는 것이며, 하기 일반 식 (I)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수산기 또는 메톡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은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중 1 종 혹은 2 종 또는 3 종 모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중 1 종, 2 종, 3 종, 4 종, 5 종 혹은 6 종 또는 7 종 모두일 수 있다.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이하, 이를 총칭하여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는, 일반적으로 알려진대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합성된 것이어도 되고, 천연물에서 추출 및/또는 분리된 것이어도 된다.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에 있어서의 메톡시기 및 하이드록시기의 위치는 일반식 (I)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은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 중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함유물이어도 된다. 그 함유물은, 상기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물 추출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흑생강 추출물이다.
흑생강 (Kaempferia parviflora) 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강과 반울금속의 식물이다. 흑생강은 정력 증진, 자양강장, 혈당치의 저하, 체력 회복, 소화기계의 개선, 질대하, 치핵, 치질, 메스꺼움, 구내염, 관절통, 위통의 개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흑생강은 장기간에 걸쳐 인간에게 섭취되어 온 검증된 천연 식물로서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비경구적 또는 경구적인 형태로 복용이 가능하다.
흑생강의 사용 부위는 원하는 유효 작용에 기여하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부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뿌리, 줄기, 잎, 꽃, 가지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포함하는 뿌리줄기이다.
흑생강으로부터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흑생강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과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 가용성 용매를 접촉시키는 것을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흑생강 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흑생강은, 채취한 그대로의 상태의 것이어도 되고, 채취한 후에 건조 등의 가공 처리에 제공한 상태의 것이어도 된다. 채취한 후, 가공 처리까지 시간을 필요로 할 경우, 흑생강의 원료의 성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저온 저장 등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저장 수단에 의해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생강 추출물의 원료는, 사용하는 흑생강의 부위에 따라서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점에서, 건조한 상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원료의 건조 후의 질량 (건조 질량) 이 건조 전의 질량 (습 질량) 에 대해 1/2 ∼ 1/10 정도, 바람직하게는 1/3 ∼ 1/6 정도가 되도록 건조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처리는, 예를 들면, 열풍 건조, 고압 증기 건조, 전자파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열에 의한 건조는, 예를 들면, 30 ℃ ∼ 100 ℃, 24시간 ∼ 72 시간에서 가온함으로써 흑생강 추출물 원료가 변색되지 않는 온도 및 시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흑생강 추출물의 원료는, 추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파쇄, 분쇄 또는 으깬 상태의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의 파쇄, 분쇄 또는 으깨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커터, 재단기, 크러셔, 블렌더, 믹서기, 밀, 그라인더, 니더, 유발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있다.
흑생강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적어도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추출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저급 에스테르 ;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핵산,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용매로는 단독 종을 이용해도 되고, 복수 종을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해도 된다. 추출 용매로서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용매 중에 있어서의 유기 용매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체적% 이상이다. 혼합 용매 중에 있어서의 유기 용매의 함유량이 50 체적% 미만인 경우,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기 용매로서는,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및 메탄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출 조작으로서, 추출 용매 중에 흑생강 추출물의 원료를 소정시간 침지시킨다. 이러한 추출 작업에 있서는,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교반 조작, 가온 등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원료로부터 추출되는 협잡물을 삭감시키기 위해, 추출 작업에 앞서 별도의 물 추출 조작 또는 열수 추출 조작을 수행해도 된다. 폴리메톡시플라플라보노이드는, 물에 대해 불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흑생강을 예를 들어 끓는 물에 끓임으로써 불필요한 현잡물을 추출 조작에 앞서 제거 할 수 있다.
추출 작업 후에 고액 분리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흑생강 추출액과 원료의 잔류물을 분리 할 수 있다. 고액 분리 조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여과, 원심 분리 등의 공지의 분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흑생강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 농축해도 된다. 흑생강 추출액에 포함되는 추출 용매를 필요에 따라 제거함으로써 점도를 갖는 유상과 고체상의 흑생강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농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감압하에서 상온에 두거나 또는 가열하는 것에 의해 실시해도 되고, 동결 건조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흑생강에는, 유효 성분으로 들 수 있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 이외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컬럼을 이용하여 흑생강 추출물을 분획함으로써 원하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컬럼을 사용한 분리 조작에 이용되는 충전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옥타데실기를 결합한 실리카겔 등을 들 수 있다.
흑생강 추출물 중에 함유되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확인 방법 및 정량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흑생강 추출물에 있어서의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총량으로서 0.1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 ∼ 99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90 질량% 이다. 또한 흑생강 추출물의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1.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3,5,7-트리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7-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7,4'-디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3,7-디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흑생강 추출물의 질량 당, 0.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 흑생강 추출물의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총량으로서 99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염증성 인자의 활성화 억제 작용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의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이 갖는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억제 작용으로는,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 작용 중 어느 1 종의 작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양방의 작용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이 갖는 주름 형성과 관련된 염증성 인자의 활성화 억제 작용으로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 작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인터루킨 -1α (IL-1α) 활성화 억제 작용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이 갖는 유효 작용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피부 섬유아세포 또는 표피 각화 세포의 외부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효소와 염증성 인자에 관련된 활성의 역가, 유전자 발현량 및/또는 단백질 생산량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을 추가하지 않는 계를 컨트롤로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을 첨가한 계가 컨트롤 보다 세포 외부의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효소나 염증성 인자에 관련된 활성의 역가, 유전자 발현량 및/또는 단백질 생산량이 작으면,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유효 작용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이 갖는 멜라닌의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 촉진 작용으로는,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이 갖는 유효 작용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멜라노마 세포가 생산하는 효소에 관련된 활성의 역가, 유전자 발현량 및/또는 단백질 생산량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을 추가하지 않는 계를 컨트롤로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을 첨가한 계가 컨트롤 보다 세포의 효소에 관련된 활성의 역가, 유전자 발현량 및/또는 단백질 생산량이 작으면,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유효 작용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품용 조성물, 음식품용 조성물, 의약품용 조성물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양태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비경구용 또는 경구용의 화장품용 조성물, 음식품용 조성물, 의약품용 조성물, 의약부 외품용 조성물, 동물 사료용 조성물 등이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원하는 유효 작용이 인정되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비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로는 0.0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이고 ; 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로는 0.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이다.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 질량% 이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사용 개체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용 개체는 동물, 그 중에서도 포유류를 들 수 있으며, 포유류로는 사람, 개, 고양이, 소, 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사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1 회의 사용량, 1 일의 사용량, 사용 기간, 사용 간격 등의 용법 및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형태와 사용 개체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사용 간격은, 예를 들어, 1 일에 1 회, 2 회, 3 회 또는 수회를 일정 기간, 즉, 2 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주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주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개월 이상,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6 개월 또는 1 년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적용은 매일하는 수행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기간 중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한,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을 매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비경구적으로 적용되는 것이어도 되고, 경구적으로 적용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유효 작용이 발휘하는 환부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점에서, 비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품용 조성물 및 비경구용 의약품용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유효 성분에 더하여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비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인 경우의 기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일반 화장품과 의약품에 함유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등의 기제, 유성 성분, 보습제, 청량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pH 조절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증점제, 미백제, 비타민류, 그외 기타 각종 약효성분, 분말, 향료, 색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성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방해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기타 성분의 일부에 대해 이하에 열거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성 성분은, 예를 들어, 유성 에몰리언트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온 (25 ℃) 에서 액체상 또는 반고형상인 유성 에몰리언트 성분이다. 유성 에몰리언트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에틸헥사노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 트리데실,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숙신산디에틸헥실, 탄소수 12 ∼ 15 의 알킬벤조에이트 등의 에스테르 오일 ;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고급알코올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의 실리콘 오일;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릴 등의 글리세라이드 오일 ; 액상 라놀린 등의 동물유 ; 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알킬에테르실리콘 등의 불소 오일 ;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라벤더 오일, 달맞이꽃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터틀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옥수수 오일, 밍크 오일, 유채씨 오일, 난황 오일, 참기름, 살구씨 오일, 밀배아 오일, 동백꽃 오일, 피마시유, 아마씨 오일, 서플라워유, 면실유, 에노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카야 오일, 미강유, 시나기리유, 일본오동나무유, 배아유 등의 천연 유성 성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성 에몰리언트 성분은 상기한 것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성 에몰리언트 성분의 함유량은, 0 질량%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레할로스, 부틸렌글리콜 (BG), 자일리톨, 말티톨, 말토오스, 소르비톨, 포도당, 과당, 가수분해 엘라스틴, 젖산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의 함유량은, 0 질량% ∼ 1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빈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의 함유량은, 0 질량%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면, 젖산, 구연산, 글리콜산, 숙신산, 주석산, 말산, 에티드론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있다. pH 조절제의 함유량은, 0 질량%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δ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티오타우린, 겹달맞이꽃 추출액, β카로틴, 카테킨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 질량%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아세틸화히알루론산, 아세틸화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후코이단, 튜베로스 다당체, 산탄검 등의 수용성 다당류 ; 카라기난, 알긴산 등의 천연 고분자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반합성 고분자 ; 카르보마,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계 폴리머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보마, 예를 들어 상품으로서, 「카보폴 980」, 「카보폴 910」, 「카보폴 934」, 「카보폴 940」, 「카보폴 941」, 「카보폴 981」 (각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제조) 등으로 시판되고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카보폴 SC-500」, 「카보폴 1382」, 「카보폴 ETD2020」, 「PEMULEN TR-1」, 「PEMULEN TR-2」 (각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제조) 등으로 시판되고 있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은, 예를 들어, 상품으로서 「CMC 다이셀」(다이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품) 등으로 시판되고 있다. 증점제는, 이들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의 함유량은, 0 질량% ∼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양태 및 제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킨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향수 화장품, 바디케어 화장품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림, 유액, 파운데이션, 화장수, 미용액, 헤어토닉, 헤어크림, 샴푸, 헤어 린스, 트리트먼트, 세안제, 파운데이션, 육모제, 수성 연고, 스프레이, 젤, 로션, 팩, 세안 크림, 핸드 크림, 메이크업 클렌징,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볼연지,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스틱, 제모ㆍ제모 크림, 올인원 화장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로서, 젤, 유액, 로션, 크림 등의 일정한 점성을 갖는 제형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피부나 모발에 좋은 사용 느낌을 가질 수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비경구용 의약품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양태 및 제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사제, 부착제, 연고, 크림 등을 들 수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이어도 되고, 이 경우, 음식품용 조성물 및 경구용 의약품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품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1 양태는, 예를 들면, 생체에 대하여 일정한 기능성을 갖는 음식품인 기능성 음식품이다. 기능성 음식품은, 예를 들어, 특정 보건용 음식품 및, 기능성 표시 음식품, 영양 기능 음식품, 보건 기능 음식품, 특별 용도 음식품, 영양보조 음식품, 건강보조 음식품, 서플리먼트, 미용 식품 등, 소위 건강 음식품에 더하여, 유아용 음식품, 임산부용 음식품, 고령자용 음식품 등의 특정자용 음식품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성 음식품은 코덱스 (FAO/WHO 합동 식품 규격위원회) 의 식품 규격에 따른 건강 강조 표시 (Health claim) 가 적용되는 건강 음식품을 포함한다.
경구용 의약품용 조성물은, 적용 후에 유효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한, 모든 경구용 의약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경구용 의약품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한, 유효 성분 이외의 유효 작용을 갖는 다른 생리 활성 물질을 배합해도 되고, 해당 생리 활성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다른 약제와 병용해도 된다.
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의 사용 양태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환제, 트로치제, 액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제에는, 당의정, 코팅정, 버칼제 등이 포함된다. 캡슐제에는, 경캡슐제, 소프트 캡슐제의 모두가 포함된다. 과립제에는, 코팅된 과립제도 포함된다. 또한, 액체에는, 현탁제, 유제, 시럽제, 엘릭서제 등이 포함된다. 시럽제에는 드라이 시럽 등이 포함된다.
음식품용 조성물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빵, 쿠키, 비스킷, 쌀밥 첨가용 보리, 잡곡, 우동, 소바, 파스타, 기타 면류, 치즈, 요구르트, 기타 유제품, 잼, 마요네즈, 된장, 간장, 기타 대두 제품, 차, 커피, 코코아, 청량 음료, 과실 음료, 기타 비알콜성 음료, 약용주, 기타 알콜성 음료, 캔디, 초콜릿, 기타 스낵 과자, 츄잉껌, 센베이, 양갱, 기타 대두를 원료로 하는 과자 등에 첨가하여 일반적인 음식품의 형태로 할 수 있다.
경구용의 미용용 조성물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그외 기타 성분과 조합시킨 것이 있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음식품용 또는 경구용 의약품용의 첨가제 등을 기타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안정제, 희석제, 증량제, 유화제, 착색료, 향료, 향유, 증점제, 광택제, 완충제 등을 기타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방해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유당, 포도당, 백당, 만니톨, 감자 전분,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결정셀룰로오스, 감초 분말, 겐티아나분말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면, 전분, 트래거캔스검, 젤라틴, 시럽,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예를 들면, 전분, 한천, 젤라틴 분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결정셀룰로오스, 탄산칼슘,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수 있다. 활택제로는, 예를 들면,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을 들수 있다. 착색제로는, 음식품 및 경구용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정제나 과립제로하는 경우에는, 희망에 따라, 백당, 젤라틴, 정제셸락, 글리세린, 소르비톨,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프탈산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이용하여 코팅해도 되며, 여러 층으로 코팅할 수도 있다. 또한, 과립제 및 분말제를 에틸셀룰로오스 및 젤라틴과 같은 캡슐에 담아 캡슐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그 제조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품, 음식품, 의약품 등의 사용 양태에 따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유효 성분 및 임의로 기타 성분을 혼합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그 사용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품, 음식품, 의약품 등의 사용 양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채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용기에 담아 밀봉한 용기에 채운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종이, PET 및 PTP등의 플라스틱, 한층 또는 적층 (라미네이트) 의 필름 봉투, 레토르트 파우치, 진공팩, 알루미늄 용기, 플라스틱 용기, 유리 용기, 병, 캔 등의 포장 용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경시적인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담아 밀봉한 후, 가압 및/또는 가열 등에 의해 살균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에 채운 조성물은, 제조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분주, 충전 및/또는 개별 포장하여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유통에 있어서 시판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의 구체적인 양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억제 작용을 통해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의 형성을 억제, 개선, 완화,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즉, 항주름용 조성물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억제 작용을 통해 항늘어짐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피부이상 개선용 조성물 등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성 인자의 활성화 억제 작용을 통해 피부의 염증을 억제, 개선, 완화,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즉, 항피부 염증용 조성물 등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 촉진 작용을 통해 피부와 모발의 멜라닌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백모증이나 백반증을 억제, 개선, 완화,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즉. 항백모증용 조성물 및 항백반증용 조성물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화 촉진 작용을 통해 항백발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썬탠 촉진용 조성물, 피부 흑색화용 조성물 등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대응하는 유효 작용을 통해 피부와 모발에 생기는, 특히 노화에 따른 피부와 모발의 증상 또는 질환의 치료, 예방, 억제, 완화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예후의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사용 개체는 건강한 정상의 개체도 좋지만, 피부에 주름, 늘어짐, 염증 등이 표출해 있거나, 또는 피부와 모발의 백색화가 표출되어 있는 개체 및 이들이 표출할 위험이 있는 개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 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용 조성물 또는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제,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용 조성물 또는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용 조성물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제 및 피부 세포에 있어서의 인터루킨-1α 활성화 억제용 조성물 또는 피부 세포에 있어서의 인터루킨-1α 활성화 억제제이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용 조성물 또는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제이다.
[방법]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은 다른 1 양태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방법은,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플라본, 5-OH-3,7,3',4'-테트라 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의 방법은, 사용 개체에,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름, 늘어짐, 피부 염증, 노화 및 피부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증상 또는 질환을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의 방법은, 사용개체에,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백모증, 백발, 백반증 및 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증상 또는 질환 치료, 예방, 억제 또는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1 양태의 방법은, 사용개체에,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썬탠을 촉진하는 방법 또는 피부를 흑색화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1 양태의 방법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상기한 공정의 전단 (前段) 또는 후단 (後段) 또는 공정 중에 다양한 공정이나 작업을 가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있는 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예 1. 메톡시플라보노이드가 갖는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의 평가]
(1-1) 피험 시료 및 재료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는 TOYOBO 사 (카탈로그 번호 : GCA10605F) 로부터 구입하였다. DMEM 은 SIGMA 사 (카탈로그 번호 : D6429-500ML) 로부터 구입하였다. 기타 시약은 후지필름 와코순약사 또는 SIGMA 사에서 구입하였다.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Nunc 사 (카탈로그 번호 : 161093) 로부터 구입하였다.
흑생강으로부터 유기 용매에 의한 액액분배, 역상계 수지 (미쓰비시 화학사 제조, 다이아 이온 HP20) 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계 ODS 컬럼 (후지필름 와코 순약사 제조 Wakopak Wakosil-II 5C18RS Prep 28 Х 250mm) 을 이용한 분취 HPLC 등에 의해 사용하는 화합물을 단리하고, NMR 의 구조 해석에 의해 각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또한, 흑생강 추출물 중에 함유되는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의 확인 방법 및 정량 방법은 역상계 ODS 컬럼 (후지필름 와코 순약사 제조, Wakopak Wakosil-II 5C18RS Prep 4.6 Х 250mm) 을 이용한 고속액체크로마토 그래피 (HPLC)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을 DMSO 를 사용하여 희석함으로써 시험 시료를 제조하였다.
(1-2) 전 (前) 배양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는, IL-1α 자극에 의해 엘라스타제 활성이 상승한다. 그래서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배지 (10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한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5.0 Х 104 세포/ml 가 되도록 조제하고, 이것을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00μl/웰로 분주하였다. 24 시간, 37 ℃, 5 %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1-3) 엘라스타제 효소 활성 시험
전 배양한 배양플레이트의 각 웰에, IL-1α (최종 농도 0.1nM) 와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15 또는 3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피험 시료를 첨가한 플레이트를 72 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청을 빼냈다. 이어서, 웰에 남아있는 세포에 0.5 vol% TritonX-100 용액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또한, 기질 완충액을 첨가함으로써 엘라스타제의 효소 활성을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또한, 기질로는 Suc-(Ala)3-pNA (STANA) 를 사용하여 엘라스타제가 작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p-니트로아닐린의 양을 405nm 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피험 시료 대신 DMSO 를 첨가하여 시험하여 얻어진 결과를 컨트롤 (CN) 로 하였다. IL-1α 자극하지 않는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피험 시료 및 DMSO 를 첨가하지 않고 시험하여 얻어진 결과를 브랭크 (BL) 로 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피험 시료 대신에 30μM 레스베라트롤을 사용하고 시험하여 얻어진 결과를 얻었다. 얻어진 값을 CN 에 대해 Dunnet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위험률 5 % 및 1 % 로 하였다.
(1-4) 엘라스타제 유전자 발현 시험
전배양한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3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피험 시료를 첨가한 플레이트를 24 시간 배양한 후 세포에서 Thermo Fisher Scientific 사의 TRIZOL 시약 (카탈로그 번호 : 15596-018) 을 사용하여 총 RNA 추출 및 cDNA를 조제하여 실시간 PCR 에 의해 엘라스타제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1-5) 엘라스타제 단백질 발현 시험
전 배양한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10, 15 및 3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피험 시료를 첨가한 플레이트를 24 시간 배양한 후 PBS 로 세척 후 세포를 후지필름 와코 순약사 제조 RIPA 버퍼 (카탈로그 번호 : 182-02451) 를 사용하고 용해하여 세포 추출액을 제조하고, 웨스턴 블롯법 (컨트롤 : β-액틴) 에 의해 엘라스타제 단백질 (NEP) 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1-6) 시험 결과 및 평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생강 추출물로부터 MF1 ∼ MF11 의 11 종류의 폴리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단리하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메톡시플라보노이드 중 5,7,3',4'-tetramethoxyflavone (MF1), 5,7,4'-trimethoxyflavone (MF4) 및 5-OH-3,7,3',4'-tetramethoxyflavone (MF7) 은, IL-1α 자극으로 상승하는 엘라스타제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2). 마찬가지로, MF1, MF4 및 MF7 는, IL-1α 자극으로 상승하는 엘라스타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다(도 3). 또한, MF4 는, IL-1α 자극으로 상승하는 엘라스타제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도 4).
이상과 같이, MF1, MF4 및 MF7는, 주름 형성에 관련된 단백질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를 효소 레벨, 유전자 레벨 및 단백질 레벨에서 억제하고, 이로써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부터 주름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 2. 메톡시플라보이드가 갖는 IL-1α 유전자 발현 억제 작용의 평가]
(2-1) 피험 시료 및 재료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로서, 사람 케라티노사이트 HaCaT (Normal keratinization in a spontaneously immortalized aneuploid human keratinocyte cell line.Boukamp P, Petrussevska RT, Breitkreutz D, Hornung J, Markham A, Fusenig NE.J Cell Biol.1988 Mar; 106 (3) : 761-71.) 를 사용하였다. 24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는 TPP 사 (카탈로그 번호 : 92024) 로 부터 구입하였다.
(2-2) 전 배양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 (사람 케라티노사이트 HaCaT) 는 UV-B 조사 자극에 의해 IL-1α 등의 염증성 유전자 발현이 상승한다. 그래서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를 배지 (10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5.0 Х 104 세포/ml 가 되도록 조제하고, 이것을 24 웰 멀티플레이트에 500μl/웰로 분주하였다.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를 포함하는 배양 플레이트를 24 시간, 37 ℃, 5 % CO2 존재하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배양 상청을 빼낸 후, 새로운 배지 (0.1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24 시간 더 배양하였다.
(2-3) IL-1α 유전자 발현 시험
전 배양한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10, 20 및 3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피험 시료를 첨가한 배양 플레이트에 50mJ/cm2 로 UV-B를 조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배양 후 세포에서 총 RNA를 회수하여 실시간 PCR 법에 의해 IL-1α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값을 CN에 대해 Dunnet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위험률 5 % 및 1 % 로 하였다.
(2-4) 시험결과 및 평가
메톡시플라보노이드 중, 5,7,4'-trimethoxyflavone (MF4) 는 UV-B 자극으로 상승하는 IL-1α 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5).
이 결과로부터, MF4 가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전자 레벨에서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 3. 메톡시플라보노이드가 갖는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콜라게나제 (MMP-1) 활성화 억제 작용의 평가]
(3-1) 피험시료 및 재료
12 웰 공배양 시스템 플레이트는 Falcon 사 (카탈로그 번호 : 353043) 로부터 구입하였다.
(3-2) 전 배양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는 UV-B 자극한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 (사람 케라티노사이트 HaCaT) 와 공배양함으로써 엘라스타제 효소 활성 및 콜라게나제 (MMP-1) 유전자 발현이 상승한다. 그래서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를 배지 (10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5.0 Х 104 세포/ml 가 되도록 조제하고, 이것을 12 웰 공배양 시스템 플레이트의 트랜스웰에 500μl/웰로 분주하였다.
이어서,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를 배지 (10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5.0 Х 104 세포/ml 가 되도록 조제하고, 이것을 12 웰 공배양 시스템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웰에 1,500μl/웰로 분주하였다.
정상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와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를 포함하는 배양 플레이트를 24 시간, 37 ℃, 5 % CO2 존재하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배양 상청을 빼낸 후, 새로운 배지 (0.1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24 시간 더 배양하였다.
(3-3) 콜라게나제 (MMP-1) 유전자 발현 시험
트랜스웰의 사람 표피 각화 세포주 (사람 케라티노사이트 HaCaT) 에만 UV-B를 50mJ/cm2 로 조사하여 트랜스 플레이트의 각 웰에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15 및 3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배양 플레이트를 24 시간 배양한 후, 배양 후의 세포로부터 총 RNA를 회수하여 실시간 PCR 법에 의해, 콜라게나제 (MMP-1)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3-4) 엘라스타제 효소 활성 시험
배양플레이트를 48 시간 배양한 후, 상기 (1-3) 과 동일하게 하여 엘라 스타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3-5) 시험 결과 및 평가
메톡시플라보노이드 중, 5,7,4'-trimethoxyflavone (MF4) 은 엘라스타제 활성의 상승을 억제하였다(도 6). 또한, MF4는 콜라게나제 (MMP-1) 유전자의 발현 상승도 억제하였다(도 7).
이러한 결과로부터, MF4 는 UV-B 노출된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섬유아세포의 엘라스타제 효소 활성의 상승 및 콜라게나제 (MMP-1)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는 점에서, 주름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 4. 메톡시플라보노이드가 갖는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의 평가]
(4-1) 피험 시료 및 재료
사람 HMV-II 멜라노마 세포주는, RIKEN BRC (카탈로그 번호 : RCB07777) 로부터 구입하였다. Ham's F-12 배지는 후지필름 와코 순약사 (카탈로그 번호 : 087-08335) 로부터 구입하였다. 기타 시약은 후지필름 와코순약사 또는 SIGMA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4-2) 전 배양
사람 HMV-II 멜라노마 세포주를 배지 (10 vol% FBS (태아 혈청) 를 포함하는 DMEM 배지) 를 사용하여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0 Х 104 세포/웰로 파종하여 24 시간, 37 ℃, 5 % CO2 존재하에서 배양하였다.
(4-3)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시험
전 배양한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피험 시료를, 단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40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피험 시료를 첨가한 플레이트를 72 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청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웰안에 남아있는 세포에, T. A Lysis 버퍼 (1% sodium deoxycholate + 0.5% TritonX-100 + 100mM PMSF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20μL 를 첨가하여 30 분간 진탕함으로써 세포를 용해시켰다.
진탕한 후, 각 웰로부터 세포 용해액 5μL 를 꺼내 BCA Protein Assay 키트를 사용하여 흡광도 570nm 를 측정하여 단백질량으로 하였다.
나머지 세포 용해액에, Mixed 버퍼 (N, N-dimethylformamide + L-DOPA (3,4-dihydroxy-L-phenylalanine) + MBTH (3-methyl-2-benzo-thiazolinone hydrazine hydrochloride)) 200μL 를 첨가하였다. 37 ℃ 에서 배양하면서 10 분 간격으로 흡광도 505nm 를 측정하였다.
1 시간 당의 흡광도의 차이를 구하고, 단백질 1mg 당의 효소 활성 (△ 흡광도 / h / mg) 을 구하였다.
(4-4) 시험 결과 및 평가
메톡시플라보노이드 중, 3,5,7,3',4'-pentamethoxyflavone (MF2), 3,5,7-trimethoxyflavone (MF5), 3,5,7,4'-tetramethoxyflavone (MF6), 5-OH-3,7,3',4'-tetramethoxyflavone (MF7), 5-OH-7-methoxyflavone (MF8), 5-OH-7,4'-dimethoxyflavone (MF9), 5-OH-3,7-dimethoxyflavone (MF10) 및 5-OH-3,7,4'-trimethoxyflavone (MF11) 는 사람 HMV-II 멜라노마 세포주에 있어서 멜라닌 합성의 율속 효소인 티로시나제 활성을 상승시켰다(도 8).
이러한 결과로부터, MF2, MF5, MF6, MF7, MF8, MF9, MF10 및 MF11 는 사람 세포에 있어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촉진시키고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나 피부의 흑화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산업 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1 양태의 조성물은, 흑생강 유래의 메톡시플라보노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인자 억제 작용에 근거하는 항염증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 작용에 근거하는 항주름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 및 멜라닌 생산 촉진 작용에 근거하는 머리카락과 피부의 흑화 촉진 효과를 발휘하는 음용, 식용 및 향장품용 조성물로서, 특히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피부 대사 개선용 조성물 및 미용용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관련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 년 1 월 25 일에 출원된 일본특허 출원 2019-010756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설명은 여기에 공개로 원용된다.

Claims (7)

  1. 5,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 활성화 억제 작용, 콜라게나제 활성화 억제 작용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 억제 작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작용을 갖는, 미용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주름용 조성물, 항늘어짐용 조성물, 항피부 염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및 피부이상 개선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조성물인, 미용용 조성물.
  4.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5,7-트리메톡시플라본, 3,5,7,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3,7,3',4'-테트라메톡시플라본, 5-OH-7-메톡시플라본, 5-OH-7,4'-디메톡시플라본, 5-OH-3,7-디메톡시플라본 및 5-OH-3,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이들의 적어도 1 종의 성분의 함유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용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화 촉진 작용을 갖는, 미용용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백모증용 조성물, 항백발용 조성물, 항백반증용 조성물, 항노화용 조성물, 썬탠 촉진용 조성물 및 피부 흑색화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조성물, 미용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용 조성물인, 미용용 조성물.
KR1020217027203A 2019-01-25 2020-01-24 미용용 조성물 KR20210130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10756 2019-01-25
JPJP-P-2019-010756 2019-01-25
PCT/JP2020/002464 WO2020153466A1 (ja) 2019-01-25 2020-01-24 美容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730A true KR20210130730A (ko) 2021-11-01

Family

ID=7173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203A KR20210130730A (ko) 2019-01-25 2020-01-24 미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20153466A1 (ko)
KR (1) KR20210130730A (ko)
WO (1) WO20201534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976A (ja) 2012-06-04 2012-09-13 Maruzen Pharmaceut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2(MMP−2)活性阻害剤、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9(MMP−9)mRNA発現上昇抑制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アンドロゲンレセプター拮抗剤、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エンドセリン−1mRNA発現上昇抑制剤、及びSCFmRNA発現上昇抑制剤、並びに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2264A (ja) * 2002-04-18 2004-01-08 Tokai Univ メラニ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組成物
AU2005298653A1 (en) * 2004-10-25 2006-05-04 Symrise Gmbh & Co. Kg Use of glycosylated flavanones for the browning of skin or hair
KR100883357B1 (ko) * 2006-08-16 2009-02-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저색소증 질환 개선제 조성물
SG11201609243SA (en) * 2014-05-09 2016-12-29 Suntory Holdings Ltd Fat or oil extract of black gi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799365B2 (ja) * 2015-02-26 2020-12-16 株式会社東洋新薬 化粧用組成物、美容組成物、関節保護組成物、組成物
JP6541061B2 (ja) * 2015-04-30 2019-07-10 株式会社東洋新薬 時計遺伝子発現促進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6976A (ja) 2012-06-04 2012-09-13 Maruzen Pharmaceut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2(MMP−2)活性阻害剤、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9(MMP−9)mRNA発現上昇抑制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アンドロゲンレセプター拮抗剤、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エンドセリン−1mRNA発現上昇抑制剤、及びSCFmRNA発現上昇抑制剤、並びに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perimental Dermatology 20 (5) : 445-447 (2011)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 30 : 237-245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466A1 (ja) 2020-07-30
JPWO2020153466A1 (ja)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9408B2 (en) Use of lignan-type compounds or extract of nutmeg or aril of nutmeg comprising the sam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07261987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その製法およびその応用
CN111944870B (zh) 余甘子萃取发酵物及其制备与应用
KR101460569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0555894B2 (en) Plant extract comprising sucrose esters as an active agent for use in cosmetic, dermatological or nutricosmetic composition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0153466A1 (ja) 美容用組成物
KR20190077156A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2649B1 (ko)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JP7477129B2 (ja) 皮膚外用剤
CN110974737A (zh) 包含葛根提取物或由此衍生的化合物的改善皮肤用组合物
KR102631500B1 (ko) 헴프씨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66131B1 (ko) 인삼 및 뽕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06620B1 (ko) 크리소에리올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7262319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の製造方法
KR102134968B1 (ko) 우절 추출물 및 미숙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6106993A1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210091540A (ko) 대왕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CN118055768A (zh) 包含聚半乳糖苷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癌症的组合物
KR20230152257A (ko) 구기자 잎의 생물전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86684B1 (ko) (2S)-1-O-리놀레오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