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671A - 유체 화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화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671A
KR20210128671A KR1020200046597A KR20200046597A KR20210128671A KR 20210128671 A KR20210128671 A KR 20210128671A KR 1020200046597 A KR1020200046597 A KR 1020200046597A KR 20200046597 A KR20200046597 A KR 20200046597A KR 20210128671 A KR20210128671 A KR 2021012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frame
fluid cargo
link memb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786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배관이 구비되며, 공급배관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부와, 일측이 공급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호스에 하 방향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장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화물 이송 장치{APPARAUS FOR TRANSFERRING FLUID CARGO}
본 발명은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된 유체 화물을 선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석탄등과 같은 원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조경유, 타르 등의 부산물은 로딩암 설비를 통해 부두에 정박된 선박에 선적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7865호(2011.05.09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용 로딩 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의 위치변화에 대응되어 유체화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배관이 구비되며, 공급배관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부와, 일측이 공급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와,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호스에 하 방향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장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공급배관을 무게를 지지하고, 공급배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과, 제1 가이드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과, 제1 가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는 수직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는 수직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작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회전 작동 프레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부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회동 작동 프레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력 감지부는 제2 가이드 프레임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와, 제1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2 링크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과, 제2 링크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와, 제1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감지 프레임과, 제2 링크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과 감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제2 링크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감지 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감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 센서와 공급부에 연결되어,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유체 화물의 유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선박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탄성 부재에 감지 센서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어부에 의해 공급배관의 유로를 다시 개방시킬 수 있어 작동의 가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장력 감지부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는 제철소의 부두, 항구 또는 선박, 부유체 구조물 등에 해당하는 베이스(2)상에 설치되어 유체 화물을 선박(3)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유체 화물은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석탄 등의 원료의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조경유, 타르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 기체 상태의 화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장력 감지부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1)는 공급부(100)와, 지지 프레임부(200)와, 플렉시블 호스(250)와, 장력 감지부(300)를 포함한다.
공급부(100)는 베이스(2)에 설치되어 유체 화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0)는 유체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미도시)와, 저장된 유체 화물에 외력을 가해 저장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200)는 베이스(2)상에 설치되고, 공급부(100)로부터 유체 화물을 공급 받으며, 선박(3)의 상부에서 높이 또는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즉, 지지 프레임부(200)는 공급부(100)로부터 선박(3)으로 유체 화물을 로딩(loading)하거나 선박(3)으로부터 액체 화물을 언로딩(unlodaing)하는 경우, 공급배관(L)의 위치 및 방향을 가변시킴으로써, 공급배관(L)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250)를 선박(3)에 설치된 매니폴드(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프레임(210)과, 수직 프레임(220)과,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200)는 공급배관(L)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이 높은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은 공급배관(L)의 무게를 지지하고, 공급배관(L)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해 공급배관(L)의 상측과 하측에서 공급배관(L)을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211)가 구비된다.
수직 프레임(220)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이 수직 프레임(220)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됨으로써,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지지된 공급배관(L)의 상하 방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급배관(L)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250)를 지지하며, 플렉시블 호스(250)가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회동 작동한다.
지지 프레임부(200)는 수직 프레임(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40)의 일측에는 수직 프레임(220)을 회전시키는 작동 실린더(420)와 작동 실린더(420)가 설치되는 회전 작동 프레임(410)을 구비하는 회전 작동 프레임부(4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작동 프레임부(400)의 작동 실린더(420)에 의해 수직 프레임(220)이 베이스 프레임(24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수직 프레임(220)에 연결된 제1 가이드 프레임(220)은 수직 프레임(220)과 더불어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프레임(220)에 지지된 공급배관(L)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회전 작동 프레임부(40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직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수직 프레임(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지지 프레임부(200)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와이어(530)를 구비하는 회동 작동 프레임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회동 작동 프레임부(5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에 도르레 장치가 마련되는 회동 작동 프레임(510)과, 회동 작동 프레임(5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520)와, 일측은 모터(520)에 연결되어 도르레 장치를 거쳐 감기거나 풀리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구비되는 브라켓(212)에 연결되는 와이어(530)를 포함한다.
모터(52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30)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지지되는 공급배관(L)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회동 작동 프레임부(50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을 상하 방햐응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장력 감지부(300)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230)에 설치된다. 장력 감지부(300)는 선박(3)의 위치가 내려감으로써, 플렉시블 호스(250)에 하 방향의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플렉시블 호스(250)의 파손이 발생하여 유체 화물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유체 화물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장력 감지부(300)는 파도, 조수 차로 인해 선박(3)과 베이스(2)의 높이 변화가 발생 되어 플렉시블 호스(250)에 한계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기 이전에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감지부(300)는 제2 가이드 프레임(230)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310)와, 제1 링크 부재(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320)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제2 링크 부재(3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330)과, 제2 링크 부재(32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330)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340)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33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 센서(351)가 설치되는 감지 프레임(350)과, 제2 링크 부재(320)의 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330)과 감지 프레임(350) 사이에 위치되어 제2 링크 부재(3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감지 센서(351)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감지 블록(360)을 포함한다. 제2 링크 부재(320)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34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321)이 형성된다.
감지 센서(351)는 감지 프레임(350)이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330)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감지 센서(351)는 감지 블록(360)과 접촉될 시 가해지는 압력, 접촉여부등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과 같은 접촉센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감지 블록(360)과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스위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310)에는 장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홀(311)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 프레임(230)에는 가이드 홀(311)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231)가 구비되며, 가이드 홀(311)과 가이드 돌기(231)에 의해 제1 링크 부재(310)와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의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이 일정 범위 내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감지 센서(351)와 공급부(100)에 연결되어, 감지 센서(351)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부(1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감지 센서(351)와 감지 블록(360)의 접촉이 해제되면 공급배관(L)의 유로가 다시 개방되도록 공급부(1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600)는 감지 센서(351)로부터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부(1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감지 센서(351)와, 공급부(100)에 구비되는 펌프에 연결되어 감지 센서(351)로부터 전달받은 측정신호를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비된다.
공급배관(L)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공급부(100)의 펌프 등과 연결되어 유체 화물을 공급받고, 타측은 플렉시블 호스(2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공급배관(250)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가이드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211) 사이에 배치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공급배관(250)은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이 회동 작동하는 부분과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의 회동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성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25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공급 배관(L)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4)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된다. 플렉시블 호스(250)는 공급배관(L)에 삽입되거나 끼움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공급배관(L)과 연통될 수 있고, 별도의 브라켓(미도시)등의 부재에 의해 연통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렉시블 호스(250)는 제1 가이드 프레임(210)의 가동범위와 매니폴드(4)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렉시블 호스(250)가 공급배관(L)과 연통된 측과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는 선박에(3) 구비되는 매니폴드(4)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접속부(5)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5)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니폴드(4)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플렉시블 호스(250)는 고무, 고분자 소재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시블 호스(250)는 파도와 바람에 의하여 선박(3) 등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시블 호스(250)가 자체적으로 신축하거나 회전하기 때문에 제2 가이드 프레임(230)에 직접적으로 인장력 또는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감지부(300)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장력 감지부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감지부(300)는 파도, 조수 차로 인해 선박(3)이 화살표(D)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하여 선박(3)과 베이스(2)의 높이 변화가 발생 되어 플렉시블 호스(250)에 한계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기 이전에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한다.
즉, 플렉시블 호스(250)에 하 방향의 장력이 가해지면, 플렉시블 호스(250)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이 제1 링크 부재(310)을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링크 부재(320)에 연결된 제2 링크 부재(330)가 화살표(C)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고, 제2 링크 부재(330)의 단부에 구비된 감지 블록(360)이 감지 센서(351)에 접촉됨으로써, 감지 센서(351)에는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제어부(600)는 감지신호에 의해 공급부(1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250)에 한계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기 이전에 유체 화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선박(3)의 움직임에 의해 플렉시블 호스(250)를 통해 제2 가이드 프레임(23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340)에 의해 제2 링크 부재(320)와 제1 링크 부재(310)와 제2 가이드 프레임(230)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제어부(600)는 감지 센서(351)와 감지 블록(360)의 접촉이 해제되면 공급배관(L)의 유로가 다시 개방되도록 공급부(100)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구성과 작동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유체 화물의 유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선박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유체 화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유체 화물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는 탄성 부재에 감지 센서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어부에 의해 공급배관의 유로를 다시 개방시킬 수 있어 작동의 가역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유체 화물 이송 장치 2: 베이스
3: 선박 4: 매니폴드
100: 공급부 200: 지지 프레임부
210: 제1 가이드 프레임 220: 수직 프레임
230: 제2 가이드 프레임 250: 플렉시블 호스
300: 장력 감지부 310: 제1 링크 부재
320: 제2 링크 부재 330: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
340: 탄성 부재 350: 감지 프레임
351: 감지 센서 360: 감지 블록
400: 회전 작동 프레임부 410: 회전 작동 프레임
420: 작동 실린더 500: 회동 작동 프레임부
510: 회동 작동 프레임 520: 모터
530: 와이어 600: 제어부

Claims (6)

  1. 저장된 유체 화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유체 화물을 공급받는 공급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배관의 배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부;
    일측이 상기 공급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이 선박의 매니폴드(manifold)에 연결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시블 호스;
    상기 지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 하 방향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장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공급배관을 무게를 지지하고, 상기 공급배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작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회전 작동 프레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회동 작동 프레임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감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감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감지 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감지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공급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화물 이송 장치.
KR1020200046597A 2020-04-17 2020-04-17 유체 화물 이송 장치 KR10239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97A KR102394786B1 (ko) 2020-04-17 2020-04-17 유체 화물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97A KR102394786B1 (ko) 2020-04-17 2020-04-17 유체 화물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71A true KR20210128671A (ko) 2021-10-27
KR102394786B1 KR102394786B1 (ko) 2022-05-04

Family

ID=7828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597A KR102394786B1 (ko) 2020-04-17 2020-04-17 유체 화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492A (ja) * 1997-05-22 1998-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振止め装置および同吊荷振止め装置をそなえたクレーン設備
KR100712076B1 (ko) *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KR20160133493A (ko) * 2014-03-24 2016-11-22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KR101933974B1 (ko) * 2017-07-26 2019-03-25 삼성중공업(주)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492A (ja) * 1997-05-22 1998-12-08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振止め装置および同吊荷振止め装置をそなえたクレーン設備
KR100712076B1 (ko) * 2005-06-28 2007-05-02 박재욱 액화가스 이송장치
KR20160133493A (ko) * 2014-03-24 2016-11-22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KR101933974B1 (ko) * 2017-07-26 2019-03-25 삼성중공업(주)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786B1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9979C (en) Pivotal and translational dock leveler lip
CA2551550C (en) Brace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t a loading dock
ES2235743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errar una abertura de descarga en un recipiente giratorio.
KR102394786B1 (ko) 유체 화물 이송 장치
US6729366B2 (en) Flow meter type liquid filling apparatus
US2980150A (en) Fluid conveying apparatus
KR102014043B1 (ko) 화물용 금속박스
KR101915224B1 (ko)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KR101954798B1 (ko) 선박용 페어리드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CN215372103U (zh) 一种具有防漏检测功能的输油管
KR102394788B1 (ko) 유체 화물 이송 장치
KR101246321B1 (ko) 연속하역기용 급수장치
KR101320032B1 (ko) 축압기
KR102483008B1 (ko) 유체 선적 및 하역 장치
KR101885263B1 (ko) 로딩 호스를 이용한 이송 장치
KR100208748B1 (ko) 스킵 호이스트의 버켓 이송장치
JP2009102157A (ja) 車両リフト装置
KR100489732B1 (ko) 에어 밸런스 리프터
JP6141749B2 (ja) 水中昇降装置
KR20130035315A (ko)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JP7215298B2 (ja) マリンホースの耐圧試験方法および装置
KR101774927B1 (ko) 유체 이송 장치 및 유체 이송 방법
JP2005060966A (ja) 重量物の連続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06881A (ja) ばら物運搬船における陸揚げ用コンベヤの位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