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24B1 -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 Google Patents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24B1
KR101915224B1 KR1020170093290A KR20170093290A KR101915224B1 KR 101915224 B1 KR101915224 B1 KR 101915224B1 KR 1020170093290 A KR1020170093290 A KR 1020170093290A KR 20170093290 A KR20170093290 A KR 20170093290A KR 101915224 B1 KR101915224 B1 KR 10191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loading hose
support
clamp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윤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유체의 이송을 위한 로딩 호스를 선체로 안내하기 위한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가 소개된다.
이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는 로딩 호스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유닛과, 로딩 호스가 서포트유닛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서포트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와, 선체에 착탈가능한 베이스와, 서포트유닛이 승강되도록 서포트유닛과 베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SADDLE APPARATUS OF LOADING HOSE}
본 발명은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선박 간에 액화 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운송하기 위해, 이들 선박은 운송 시스템(Transfer System)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선박과 액화 천연가스의 운반을 위한 운반 선박 간에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해서, 종래 운송 시스템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이용하여, 생산 선박에서 생산된 액화 천연가스를 운반 선박으로 운송하거나, 운반 선박 내 저장된 액화 천연가스를 생산 선박으로 운송하기도 한다.
이때, 사용되는 플렉시블 파이프(로딩 호스)는 생산 선박의 갑판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트(mast)에 의해 고정되고, 운송 선박 상의 상대 연결 요소와 함께 작용하는 비상 분리 수단이 장착되며, 유압 회로를 통해 비상 분리 수단이 원격적으로 제어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운송 시스템의 경우, 선박의 가장자리에 간섭 구조물(예를 들면, 난간, 핸드레일 등)이 돌출되어 위치되면, 이 간섭 구조물로 인해, 플렉시블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므로, 원활한 유체의 이송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플렉시블 파이프가 선박의 가장자리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특허 10-2015-0128694호 (2015. 11. 1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로딩 호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는, 유체의 이송을 위한 로딩 호스를 선체로 안내하기 위한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로서, 상기 로딩 호스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유닛; 상기 로딩 호스가 상기 서포트유닛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상기 서포트유닛에 제공되는 클램프; 선체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유닛이 승강되도록 상기 서포트유닛과 상기 베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새들 장치는 상기 새들 장치의 무게중심이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로딩 호스의 거치각도에 맞추어 상기 로딩 호스를 곡률지게 지지하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 바디; 및 일면이 상기 지지 바디의 양측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 및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유닛에 설치되는 승강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에는 새들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걸림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선체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간섭 구조물이 인입 가능한 지지 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서포트유닛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지그 및 제 2 고정지그; 일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지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편; 및 상기 클램프편의 타단부를 상기 제 2 고정지그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는 새들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로딩 호스가 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간섭 구조물에서, 플로딩 호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난간(핸드 레일) 높이에 맞추어,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높이에서 로딩 호스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가 선체의 난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로딩 호스와 매니폴드 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에서 서포트유닛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새들 장치를 크레인이 리프트편을 통해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가 선체의 난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로딩 호스와 매니폴드 간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장치에서 서포트유닛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40)는, 서포트유닛(100), 클램프(700), 베이스(200), 승강유닛(300) 및 웨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들 장치는 로딩 호스(3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 새들 장치는 공급처(10: 다른 선박, 항구에 설치된 터미널, 또는 운반차량 등)에서 제공하는 유체(예를 들면, 액화 천연가스, 오일 등)를 수요처(선체(20) 내 저장 탱크)에 이송하는 모든 로딩 호스(3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로딩 호스(30)는 유체를 항만(10)에서 선체(20)로 이송하기 위한 연질의 호스(튜브)로, 크레인(50)에 구속되어, 크레인(50)의 작동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50)은 로딩 호스(30)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지지 구조체(예를 들면, 벙커링 마스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50)은 구조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아암(51)과, 제 1 아암(51)에 힌지 연결되는 제 2 아암(52)과, 새들 장치(40)를 이송하기 위한 와이어(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딩 호스(30)의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아암(51), 제 2 아암(52) 및 와이어(53)로 구성된 크레인(50)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제 1 아암(51), 제 2 아암(52) 및 와이어(53)로 구성된 크레인(50) 이외에도, 로딩 호스(30)를 안정적으로 위한 다양한 형태/종류의 크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서포트유닛(100)은 로딩 호스(30), 보다 자세하게는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지지/구속하여, 로딩 호스(30)와 선체(20)의 메니폴드(22: maniford) 간에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유닛(100)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 바디(110)와, 지지 바디(110)의 양단부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디(110)는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우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바디(110)는 로딩 호스(30)의 거치각도에 맞추어 로딩 호스(30)를 곡률지게 지지함으로써, 로딩 호스(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바디(110)의 상부에는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가 안착 가능한 안착홈(112) 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2)은 토출구(31)의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지지 바디(110)의 하부에는 지지 슬릿(113)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슬릿(113)은 선체의 가장자리부에 간섭 구조물(예를 들면, 핸드 레일(21))이 설치된 경우, 간섭 구조물이 인입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지 바디(110)와 간섭 구조물 간의 충돌/간섭없이 새들 장치를 선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할 수 있다. 지지 바디(110)의 상부 양측에는 지지 플레이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0)는 일면이 지지 바디(110)의 양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20)는 지지 바디(110)의 일단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와, 지지 바디(110)의 타단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에는 지지 바디(110)에 안착된 로딩 호스(30)를 구속하기 위한 클램프(700)가 설치될 수 있다.
클램프(700)는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서포트유닛(100)에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서포트유닛(100)의 지지 플레이트(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로딩 호스(30)가 서포트유닛(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클램프(700)는 서포트유닛(100)에 투입된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 플랜지부를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700)는 서포트유닛(100)의 양측부, 다시 말해, 제 1 지지 플레이트(120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120b)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고정지그(710a) 및 제 2 고정지그(710b)와, 양단부가 제 1 고정지그(710a) 및 제 2 고정지그(710b)에 조립 가능한 클램프편(720)과, 클램프편(720)의 일단부를 제 1 고정지그(7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740)과, 클램프편(720)의 타단부를 제 2 고정지그(710b)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딩 호스(30)를 서포트유닛(100)에 구속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핀(740)을 회전축으로 하여 클램프편(720)을 일방향 회전시킨 상태에서, 로딩 호스(30)를 서포트유닛(100)의 지지 바디(110) 상측에 위치시킨 후, 클램프편(720)을 원래 위치의 타방향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프(700)는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구속할 수 있다.
클램프(700)에는 이송수단(예를 들면, 크레인)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걸림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721)은 클램프(700)의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므로, 새들 장치(40)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크레인(50)의 와이어/후크/리프트편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새들 장치를 크레인이 리프트편을 통해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태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새들 장치(40)는 걸림홀(721)을 통해 크레인(50)의 리프트편(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크레인(50) 작동시, 다수개의 새들 장치(40)가 크레인(5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물론, 걸림홀(721)은 클램프(700) 이외에도, 새들 장치(4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걸림홀(721)은 서포트유닛(100)의 지지 플레이트(120) 상부에 걸림고리 형상의 지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클램프(700)가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후방측을 구속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40')에서는, 두 개의 클램프(700),(700')를 서포트유닛(100)의 전,후방측에 각각 설치하여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전,방후방측에서 구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클램프(700),(700') 사이에 로딩 호스(30)의 토출구(31)를 위치시키면, 로딩 호스(30)는 두 개의 클램프(700),(70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새들 장치(40)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새들 장치(40)를 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베이스(200)의 상면에는 승강 유닛(300)을 매개로 서포트유닛(10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200)의 하면은 선체(20)의 갑판 상에 밀착 가능한 넓은 접촉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베이스(200)는 선체(20)의 가장자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200)에는 일정 중량을 제공하여 새들 장치(4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웨이트(400)가 마련될 수 있다.
웨이트(400)는 다수개의 중량체로 이루어지거나, 물이 저장 가능한 저장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웨이트(400)는 새들 장치(40)의 무게 중심으로 선체의 내측방향(도 4 및 도 5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새들 장치(40)의 무게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승강 유닛(300)은 서포트유닛(100)과 베이스(200) 사이를 연결하고, 선체(20)의 간섭 구조물(핸드 레일(21))의 높이에 따라 서포트유닛(1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닛(300)은 베이스(20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310)와, 서포트유닛(100)에 설치되어 승강 가이드(310)를 따라 승강 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박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 박스(320)에는 승강 가이드(3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의 구동력을 승강 가이드(310)에 전달하는 웜휠이 구비될 수 있고, 승강 가이드(310)는 웜휠에 맞물림이 가능한 웜기어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승강모터, 웜휠 및 웜기어축 간 구동 전달 방식은, 승강모터의 구동력이 웜휠 및 웜기어축을 통해 전달되는 통상의 동력전달 방식과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모터의 구동력이 웜휠 및 웜기어축을 통해, 서포트유닛(100)의 승강력으로 전달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서포트유닛(100)을 승강시키기 위한 다양한 승강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승강 가이드(310)에 레크를 구성하고, 승강 박스(320)내 레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함으로써, 승강모터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 및 레크를 통해 서포트유닛(100)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40")에서, 지지 바디(110")의 상부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홈(112')은 로딩호스(30)의 외경면에 대응되는 내경면을 가지므로, 로딩호스(30)는 안착홈(112')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바디(110")의 상부면에 2개의 안착홈(112')이 형성된 경우, 하나의 지지 바디(110")에는 2개의 로딩 호스(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바디(110")의 상부면에는 2개의 안착홈(112') 사이로 걸림편(11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걸림편(114)은 크레인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새들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로딩 호스(30)의 새들 장치(40)는, 서포트유닛(100), 클램프(700), 베이스(200), 승강유닛(300), 웨이트(400), 감지 센서(500) 및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500) 및 컨트롤러(6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서포트유닛(100), 클램프(700), 베이스(200), 승강유닛(300) 및 웨이트(400)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포트유닛(100), 클램프(700), 베이스(200), 승강유닛(300) 및 웨이트(40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 센서(500)는 서포트유닛(100)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기 위치 센서로, 서포트유닛(100)의 일측 높이와, 서포트유닛(100)의 타측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서포트유닛(100)의 일측 높이 및 타측 높이에 대한 높이 정보를 컨트롤러(600)에 인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감지 센서(500)로부터 서포트유닛(100)의 일측 높이 및 타측 높이에 대한 높이 정보를 인가받아, 서포트유닛(100)의 수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서포트유닛(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600)는 서포트유닛(10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서포트유닛(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승강박스(320) 내 승강모터(330)에 작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500)가 서포트유닛(100)의 수평 상태와 관련된 높이 정보를 컨트롤러(600)에 인가하면, 컨트롤러(600)는 감지 센서(500)로부터 인가받은 높이 정보를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기울어진 서포트유닛(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승강박스(320) 내 승강모터(330)를 작동시켜, 서포트유닛(10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간섭 구조물에서, 로딩 호스가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원활한 유체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고, 선박의 난간(핸드 레일) 높이에 맞추어,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높이에서 로딩 호스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서포트유닛 110 :지지 바디
120 :지지 플레이트 200 :베이스
300 :승강 유닛 310 :승강 가이드
320 :승강 박스 400 :웨이트

Claims (8)

  1. 유체의 이송을 위한 로딩 호스를 선체로 안내하기 위한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로서,
    상기 로딩 호스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유닛;
    상기 로딩 호스가 상기 서포트유닛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상기 서포트유닛에 제공되는 클램프;
    상기 서포트유닛과 연결되고, 선체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베이스; 및
    상기 서포트유닛이 승강되도록 상기 서포트유닛과 상기 베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장치의 무게중심이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유닛은,
    상기 로딩 호스의 거치각도에 맞추어 상기 로딩 호스를 곡률지게 지지하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지지 바디; 및
    일면이 상기 지지 바디의 양측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드; 및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유닛에 설치되는 승강 박스를 포함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새들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걸림홀이 마련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선체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한 간섭 구조물이 인입 가능한 지지 슬릿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서포트유닛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 1 고정지그 및 제 2 고정지그;
    일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지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편; 및
    상기 클램프편의 타단부를 상기 제 2 고정지그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핀을 포함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새들 장치의 이동을 위한 이송수단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걸림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로딩 호스가 안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KR1020170093290A 2017-07-24 2017-07-24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KR10191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0A KR101915224B1 (ko) 2017-07-24 2017-07-24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290A KR101915224B1 (ko) 2017-07-24 2017-07-24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24B1 true KR101915224B1 (ko) 2018-11-05

Family

ID=643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290A KR101915224B1 (ko) 2017-07-24 2017-07-24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050B1 (ko) * 2019-02-26 2019-07-23 최재도 Lng 벙커링 로딩암
KR20210043809A (ko) * 2019-10-14 2021-04-22 호산테크(주) 케미컬 이송용 자동 청정 접속장치
WO2023214073A1 (en) * 2022-05-05 2023-11-09 Econnect Energy As Hang-off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hang-off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050B1 (ko) * 2019-02-26 2019-07-23 최재도 Lng 벙커링 로딩암
KR20210043809A (ko) * 2019-10-14 2021-04-22 호산테크(주) 케미컬 이송용 자동 청정 접속장치
KR102295510B1 (ko) 2019-10-14 2021-08-31 호산테크 주식회사 케미컬 이송용 자동 청정 접속장치
WO2023214073A1 (en) * 2022-05-05 2023-11-09 Econnect Energy As Hang-off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hang-off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224B1 (ko)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JP7295862B2 (ja) 杭保持システム
US6915753B1 (en) Mooring apparatus
KR101432416B1 (ko) 수송 바지선, 해상 구조물 설치 시스템 및 해상 구조물 설치 방법
EA015985B1 (ru) Узел подвижной платформы для судн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одъема или спуска тендерного судна ил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US20110170988A1 (en) Cargo transfer system
US10889356B2 (en) Upending device for upend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EP2266873B1 (en) Fall pipe assembly and operation system
KR20110092004A (ko) 해양 구조물의 거중 설비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CN105752279A (zh) 一种用于舟桥的拼装式操舟机挂架
EP2240362B1 (en)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a pivotal boom
US20210078840A1 (en) A lifting device
KR101438076B1 (ko)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
JPS6058120B2 (ja) 関節式流体荷役ア−ム
KR102095252B1 (ko) 계류장치
KR101933969B1 (ko)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KR101973121B1 (ko)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KR101739345B1 (ko) 선박 승강 자동화 시스템
KR101762829B1 (ko) 리프팅 지그
KR102060490B1 (ko) 유체이송호스 지지용 새들
KR101456857B1 (ko) 중량물 이송 장치
KR20220090618A (ko) 보트 이송용 행거
KR20220008433A (ko)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KR101824577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