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857B1 - 중량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857B1 KR101456857B1 KR1020130010231A KR20130010231A KR101456857B1 KR 101456857 B1 KR101456857 B1 KR 101456857B1 KR 1020130010231 A KR1020130010231 A KR 1020130010231A KR 20130010231 A KR20130010231 A KR 20130010231A KR 101456857 B1 KR101456857 B1 KR 101456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d rail
- link beam
- skid
- rail
- heavy obj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3/00—Easily dismountable or movable tracks, e.g. temporary railways;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1B23/10—Shiftable tracks for heavy loads, e.g. carrying exca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중량물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안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1 스키드 레일, 선체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로부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2 스키드 레일 및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링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안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1 스키드 레일, 선체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로부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2 스키드 레일 및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링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지에서 선박으로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에서 건조한 중량물(3)을 선박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로드아웃을 수행한다. 이 때, 중량물(3)의 원활한 로드아웃 작업을 위하여 육상에 설치된 스키드 레일과 선체(2)에 설치된 스키드 레일의 상, 하 레벨 및 좌, 우 위치가 일정 기준 내에서 컨트롤 되어야 한다. 또한, 안정적인 로드아웃을 위하여 육상 안벽(1)에 설치되는 스키드 레일과 선체(2)에 설치되는 스키드 레일 사이가 이격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육상 안벽(1)에 설치되는 스키드 레일을 제 1 스키드 레일(10), 선체(2)에 설치되는 스키드 레일을 제 2 스키드 레일(2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은 안벽 및 선체에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계류용 로프(30)를 이용하여 선체(2)를 안벽(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벽(1)과 선체(2) 사이에는 조류에 의한 선체(2)의 이동에 따른 안벽(1)과 선체(2)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계류용 로프(30)로 선체(2)를 안벽(1)에 고정하여 중량물(3)을 이송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계류용 로프(30)의 연신율에 의해 선체(2)가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어긋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선체(2)의 좌, 우 움직임은 계류력에 의해 결정된다. 계류용 로프(30)로 선체(2)를 안벽(1)에 고정하는 경우, 로프(30)의 연신율로 인하여 바람, 조류 등에 의한 선체(2)의 이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의 이동에 따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함께 이동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둘째,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키드 레일 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중량물(3)의 이송을 위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가 일치해야 한다.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선박의 씨체스트로 해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하는 벨러스트 컨트롤로 선체(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가 이격되고, 조수 변동이 발생하여 중량물(3)이 제 1 스키드 레일(10)에서 제 2 스키드 레일(20)로 이동하는 순간에 중량물(3)의 무게에 의해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3)과 제 2 스키드 레일(20)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중량물(3)에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계류용 로프(30)가 다수 추가되어야 한다.
넷째, 중량물(3)의 무게에 의해 과도한 국부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의 높이 차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중량물(3)이 제 2 스키드 레일(20)에 도달하는 동안 제 1 스키드 레일(10)의 끝단에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량물(3) 이송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제 1 스키드 레일에 대한 제 2 스키드 레일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을 제한하여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이 상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중량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중량물이 제 1 스키드 레일에서 제 2 스키드 레일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스키드 레일의 일부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에 따른 제 1 스키드 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중량물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제 1 스키드 레일, 제 2 스키드 레일 및 링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은 안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상부로는 중량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은 선체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로부터 중량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빔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빔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빔의 일측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링크 빔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선체와 마주보는 측에는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핀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빔의 일측에는 상기 핀 삽입홀과 연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 삽입홀과 상기 결합홀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링크 빔이 상기 핀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 빔은 일측이 안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링크 빔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안벽에 대하여 상기 링크 빔을 지지하는 링크 빔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빔 서포트는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는 안벽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링크 빔이 놓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크 빔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상부를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하는 제 3 스키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 빔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에는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안벽과 마주보는 측에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은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에 링크 빔이 핀결합되어 제 2 스키드 레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여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이 상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의 서로 이격되는 부분에 링크 빔이 구비되어 중량물이 제 1 스키드 레일에서 제 2 스키드 레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 및 링크 빔의 상면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여 제 1 스키드 레일의 일부에 국부 응력이 발생하여 제 1 스키드 레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중량물의 이송에 따라 제 2 스키드 레일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링크 빔이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안벽 및 선체에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어긋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의 높이 차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 중 링크 빔이 설치되는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빔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안벽 및 선체에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어긋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과 제 2 스키드 레일의 높이 차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 중 링크 빔이 설치되는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빔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 중 링크 빔이 설치되는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제 1 스키드 레일(110), 제 2 스키드 레일(120) 및 링크 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키드 레일(110)은 안벽(1)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 1 스키드 레일(110)의 상부로는 중량물(3)이 이동할 수 있다.
제 2 스키드 레일(120)은 선체(2)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10)로부터 중량물(3)이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스키드 레일(110) 및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하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가 구비되어 제 1 스키드 레일(110) 및 제 2 스키드 레일(12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는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크 빔(130)은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빔(130)은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이 서로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링크 빔(130)에 의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 중 링크 빔이 설치되는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 빔(130)의 일측은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결합되고, 링크 빔(130)의 타측은 제 2 스키드 레일(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10)의 선체(2)와 마주보는 측에는 제 1 스키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핀 삽입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빔(130)의 일측에는 핀 삽입홀(112)과 연통되는 결합홀(132)이 형성되어 핀 삽입홀(112)과 결합홀(132)에 핀(160)이 삽입됨으로써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링크 빔(130)이 핀(16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링크 빔(130)의 일측은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핀결합 되어 위, 아래 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빔(130)의 타측에는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안착부(134) 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스키드 레일(110)에는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안벽(1)과 마주보는 측에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안착부(134)가 안착되는 안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키드 레일(120)은 안착홈(122)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어 안착부(134)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빔(130)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134)가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됨으로써 제 2 스키드 레일(120)은 링크 빔(130)에 대하여 위, 아래 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종래에는 선체(2)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계류용 로프(30)를 이용하여 육상 안벽(1)에 선체(2)를 고정하였다. 이 때, 선체(2)의 좌, 우 움직임은 계류용 로프(30)의 계류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계류용 로프(30)로 선체(2)를 안벽(1)에 고정하는 경우, 로프(30)의 연신율로 인하여 바람, 조류 등에 의한 선체(2)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선체(2)의 이동에 따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함께 이동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중량물(3)의 이송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제 1 스키드 레일(110)은 안벽(1)에 지지되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고, 제 2 스키드 레일(120)은 선체(2)에 고정되기 때문에 선체(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링크 빔(130)은 상기와 같은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스키드 레일(110)에 대한 링크 빔(130)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고, 링크 빔(130)에 대한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므로 결과적으로는 링크 빔(130)에 의해 선체(2)의 이동에 따른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상, 하 이동은 가능하되, 수평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키드 레일(110), 제 2 스키드 레일(120) 및 링크 빔(130)은 모두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한편,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는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키드 레일 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선박의 씨체스트로 해수를 유입하거나 배출하는 벨러스트 컨트롤로 선체(2)의 높이를 조절하였다.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가 이격되고, 조수 변동이 발생함에 따라 중량물(3)이 제 1 스키드 레일(10)에서 제 2 스키드 레일(20)로 이동하는 순간에 중량물(3)의 무게에 의해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3)이 균형을 잃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조수의 변동에 의해 선체(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스키드 레일(20)의 높이가 제 1 스키드 레일(10)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중량물(3)과 제 2 스키드 레일(20)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링크 빔(130)이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을 연결하고, 중량물(3)이 링크 빔(130)의 상부를 통하여 제 2 스키드 레일(120)로 이송되기 때문에 중량물(3)이 균형을 잃거나 중량물(3)과 제 2 스키드 레일(12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 1 스키드 레일(10)과 제 2 스키드 레일(20)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중량물(3)이 제 2 스키드 레일(20)에 도달하는 동안 제 1 스키드 레일(10)의 끝단에 국부적인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선체(2)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링크 빔(130)에 의하여 제 1 스키드 레일(110)과 제 2 스키드 레일(120) 및 링크 빔(130)의 상면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 1 스키드 레일(110)의 일부에 국부 응력의 발생에 의한 제 1 스키드 레일(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 빔(130)의 상부에는 제 1 스키드 레일(110) 및 제 2 스키드 레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3)의 이동 시 중량물(3)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퀴가 홈에 의해 가이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스키드 레일(210), 제 2 스키드 레일(220) 및 링크 빔(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제 1 스키드 레일(210) 및 제 2 스키드 레일(2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링크 빔(230)은 일측이 안벽(1)에 의해 지지되고, 링크 빔(230)의 타측은 제 2 스키드 레일(2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는 안벽(1)에 대하여 링크 빔(230)을 지지하는 링크 빔 서포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빔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빔 서포트(240)는 제 1 지지부(242)와 제 2 지지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242)는 안벽(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244)는 제 1 지지부(24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1 지지부(242)와 제 1 스키드 레일(2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244)의 상부에는 링크 빔(230)이 놓일 수 있다.
이 때, 링크 빔 서포트(240)의 높이는 제 2 지지부(244)의 상부에 링크 빔(230)이 고정되었을 때 링크 빔(230)의 높이가 제 1 스키드 레일(210) 및 제 2 스키드 레일(220)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 1 지지부(242)는 안벽(1)의 상부에 고정되고, 링크 빔(230)의 일측은 제 1 지지부(242)와 힌지결합되는 제 2 지지부(244)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 하 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되 수평방향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링크 빔(230)의 타측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2 스키드 레일(2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스키드 레일(220)의 안벽(1)과 마주보는 측에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빔(230)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부가 제 2 스키드 레일(220)의 안착홈에 안착됨으로써 제 2 스키드 레일(220)은 링크 빔(230)에 대하여 위, 아래 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링크 빔(230)은 일측이 링크 빔(230) 서포트(240)에 의해 안벽(1)에 지지되어 상, 하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수평 이동은 제한되고, 제 2 스키드 레일(220)은 링크 빔(230)에 대하여 상, 하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는 링크 빔(230)에 의해 선체(2)의 이동에 따른 제 2 스키드 레일(220)의 상, 하 이동은 가능하되, 수평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링크 빔(230)의 상부에는 제 1 스키드 레일(210)과 제 2 스키드 레일(220)의 상부를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하는 제 3 스키드 레일(2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링크 빔(230)이 제 1 스키드 레일(2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스키드 레일(210)과 링크 빔(23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중량물(3)의 이동에 있어서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 장치의 효과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안벽 2: 선체
3: 중량물 10: 제 1 스키드 레일
20: 제 2 스키드 레일 30: 계류용 로프
40: 완충부재 110: 제 1 스키드 레일
112: 핀 삽입홀 120: 제 2 스키드 레일
122: 안착홈 124: 캡
130: 링크 빔 132: 결합홀
134: 안착부 160: 핀
210: 제 1 스키드 레일 220: 제 2 스키드 레일
230: 링크 빔 240: 링크빔 서포트
242: 제 1 지지부 244: 제 2 지지부
250: 제 3 스키드 레일
3: 중량물 10: 제 1 스키드 레일
20: 제 2 스키드 레일 30: 계류용 로프
40: 완충부재 110: 제 1 스키드 레일
112: 핀 삽입홀 120: 제 2 스키드 레일
122: 안착홈 124: 캡
130: 링크 빔 132: 결합홀
134: 안착부 160: 핀
210: 제 1 스키드 레일 220: 제 2 스키드 레일
230: 링크 빔 240: 링크빔 서포트
242: 제 1 지지부 244: 제 2 지지부
250: 제 3 스키드 레일
Claims (7)
- 안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1 스키드 레일;
선체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로부터 중량물이 이동하는 제 2 스키드 레일; 및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을 연결하며,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이 서로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링크 빔;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빔의 일측은 안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링크 빔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과 결합되며,
안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링크 빔이 놓이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여 안벽에 대하여 상기 링크 빔을 지지하는 링크 빔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중량물 이송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빔의 일측은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링크 빔의 타측은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과 결합 되는 중량물 이송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선체와 마주보는 측에는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핀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 빔의 일측에는 상기 핀 삽입홀과 연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 삽입홀과 상기 결합홀에 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링크 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물 이송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빔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키드 레일과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상부를 동일한 평면으로 연결하는 제 3 스키드 레일이 구비되는 중량물 이송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빔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핀 형태로 구비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스키드 레일의 안벽과 마주보는 측에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는 중량물 이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0231A KR101456857B1 (ko) | 2013-01-30 | 2013-01-30 | 중량물 이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0231A KR101456857B1 (ko) | 2013-01-30 | 2013-01-30 | 중량물 이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8877A KR20140098877A (ko) | 2014-08-11 |
KR101456857B1 true KR101456857B1 (ko) | 2014-11-04 |
Family
ID=5174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0231A KR101456857B1 (ko) | 2013-01-30 | 2013-01-30 | 중량물 이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8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33283B (zh) * | 2017-11-01 | 2019-08-23 |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大直径超长hdpe管道陆上出运方法 |
CN111472215B (zh) * | 2020-04-14 | 2021-08-10 | 天津华宁电子有限公司 | 煤矿机器人用轨道系统及其全向变形连接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553A (ko) * | 2004-10-08 | 2006-04-1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
KR20120057993A (ko) * | 2010-11-29 | 2012-06-07 | 도일웅 | 선박의 육상수리공법 |
-
2013
- 2013-01-30 KR KR1020130010231A patent/KR1014568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1553A (ko) * | 2004-10-08 | 2006-04-1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
KR20120057993A (ko) * | 2010-11-29 | 2012-06-07 | 도일웅 | 선박의 육상수리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8877A (ko) | 2014-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15753B1 (en) | Mooring apparatus | |
US5924822A (en) | Method for deck installation on an offshore substructure | |
US9463848B2 (en) |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 |
KR101456857B1 (ko) | 중량물 이송 장치 | |
KR20210111782A (ko) |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요크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이 요크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계류 어레인지먼트 | |
BR112014019390B1 (pt) | Plataforma semissubmersível | |
US6299383B1 (en) | Method for deck installations on offshore substructure | |
JP2017094988A (ja) |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 |
KR20110073273A (ko) |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 |
KR101715704B1 (ko) | 선박의 이동량 보상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이동량 보상 방법 | |
KR101322088B1 (ko) | 물양장용 부함 | |
KR102050794B1 (ko) |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 |
KR20140068457A (ko) | 애드벌룬형 레이더 마스트의 라이팅 포스트 | |
KR102247757B1 (ko)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 |
KR20150071859A (ko) |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 |
KR101801803B1 (ko) | 무어링장치 및 무어링시스템 | |
KR101873982B1 (ko) | 탑 사이드 모듈 | |
CN116495100B (zh) | 一种配备浮动式甲板的船舶 | |
KR102333070B1 (ko) | 해양구조물의 높이조절형 액화가스 하역 시스템 및 하역 방법 | |
US11866130B2 (en) | System for restriction of hawser movement in a tandem mooring and loading | |
KR101589130B1 (ko) | 확장 플랫폼을 구비한 헬리데크 | |
JPS6341796B2 (ko) | ||
KR20210098011A (ko) | 해양구조물의 선체 보호장치 | |
KR101563961B1 (ko) | 선박간 중량물의 해상 전달 시스템 | |
KR20130017855A (ko) |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