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859A -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 Google Patents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859A
KR20150071859A KR1020130158932A KR20130158932A KR20150071859A KR 20150071859 A KR20150071859 A KR 20150071859A KR 1020130158932 A KR1020130158932 A KR 1020130158932A KR 20130158932 A KR20130158932 A KR 20130158932A KR 20150071859 A KR20150071859 A KR 2015007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anding
ship
personal
offsho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임호
조동현
정상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859A/ko
Publication of KR2015007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하기 위한 플랫폼이 플랫폼 타워의 상하에 높이를 달리하도록 각각 설치됨으로써,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 단차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플로터의 변경시 플로터 플랫폼의 수정이 불필요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의 소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플랫폼 타워; 및 상기 플랫폼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퍼스널 브리즈의 랜딩시 상기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Floater platform of ship 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로터에 마련된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 단차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숙박을 위하여 해상 호텔에 해당하는 플로터(floter)가 이용되는데, 이를 위해 선박과 플로터 간에 작업자의 통행을 위하여 퍼스널 브리지(personal bridge)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과 플로터 간의 퍼스널 브리지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퍼스널 브리지 설치 구조는 퍼스널 브리지(10)가 플로터(20)의 페데스탈 갱웨이(pedestal gangway; 21) 상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선박(30)의 플로터 플랫폼(floater platform; 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퍼스널 브리지 설치 구조는 플로터 플랫폼(31)의 설계 및 제작 이후에 플로터(20)가 변경될 경우, 플로터(20)에 마련된 퍼스널 브리지(10)와 선박(30)의 플로터 플랫폼(31)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퍼스널 브리지(10)가 플로터(20)로부터 어느 정도 각도 변경이 허용되나, 이러한 허용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플로터(20)의 퍼스널 브리지(10)를 플로터 플랫폼(31)에 설치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플로터 플랫폼(31)의 수정이 불가피하여, 추가적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65273호의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가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선박과 부두 또는 접안시설 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플로터(20)와 선박(30)의 작업자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로터에 마련된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 단차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이로 인해 플로터의 변경에 따른 플로터 플랫폼의 수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플랫폼 타워; 및 상기 플랫폼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퍼스널 브리즈의 랜딩시 상기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 타워가 상면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결재에 의해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 타워로부터 상방으로 폴딩되도록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 타워에 연결되는 경사재에 폴딩을 허용하도록 제 2 힌지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브리지의 랜딩을 위하여 상기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이 플랫폼 타워를 매개로 하여 높이를 달리하도록 설치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하기 위한 플랫폼이 플랫폼 타워의 상하에 높이를 달리하도록 각각 설치됨으로써,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 단차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고, 플로터의 변경시 플로터 플랫폼의 수정이 불필요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의 소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폴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과 플로터 간의 퍼스널 브리지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의 제 2 랜딩 플랫폼 폴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100)은 플로터(floater; 300)(도 3에 도시), 예컨대 해상 호텔의 퍼스널 브리지(personal bridge)가 랜딩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land platform; 110,130)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이 플랫폼 타워(platform tower; 120)를 매개로 하여 높이를 달리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제 2 랜딩 플랫폼(110,130)은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랜딩 플랫폼(110)은 예컨대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수평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처짐 등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부에 트러스 구조의 보강재(1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가 경사를 이루는 지지재(112)에 의해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다.
플랫폼 타워(120)는 제 1 랜딩 플랫폼(110)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제 2 랜딩 플랫폼(13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다수의 수직재(121), 수평재(122) 및 경사재(123)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 이동이 가능한 사다리 또는 계단, 예컨대 스크류방식의 계단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제 2 랜딩 플랫폼(130)은 플랫폼 타워(120)의 하부에 수평되도록 설치되고, 예컨대 플랫폼 타워(120)가 상면에 수직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결재(131)에 의해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브리지(310,320)의 랜딩시, 퍼스널 브리지(310,320)의 높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선박(200)이나 해양 구조물은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각각으로부터 데크 내지 선체 내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중 어느 하나만 데크나 선체 내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플랫폼 타워(120)가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간에 통행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 2 랜딩 플랫폼(13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랜딩 플랫폼(110)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높이를 달리하는 퍼스널 브리지(310,320) 각각이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각각에 랜딩을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랜딩 플랫폼(130)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플랫폼 타워(120)로부터 상방으로 폴딩되도록 제 1 힌지결합부(133)가 마련될 수 있고, 플랫폼 타워(120)에 연결되는 경사재(132)에 이러한 폴딩을 허용하도록 제 2 힌지결합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33,134) 각각은 제 2 랜딩 플랫폼(130)의 부재 구성과 경사재(132)의 개수 등에 따라 필요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힌지결합부(134)는 경사재(132)가 폴딩을 허용하기 위하여, 예컨대 경사재(132)의 양단과, 양단 사이의 적정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 2 랜딩 플랫폼(130)은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33,134)에 의해 폴딩시 원하지 않게 펼쳐지지 않도록, 체인, 고리, 벨트,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폴딩된 상태로 플랫폼 타워(120)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플로터(300)의 퍼스널 브리지(310,320)가 랜딩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110,1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랜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터(300)마다 상이한 높이를 가진 퍼스널 브리지(310,320)가 각각 랜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스널 브리지(310,320)의 높이 단차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터(300)의 변경에 따른 퍼스널 브리지(310,320)의 높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높이의 퍼스널 브리지(310,320)의 랜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플로터(300)의 변경에 따른 플로터 플랫폼(100)의 수정이 불필요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의 소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랜딩 플랫폼(130)의 경우 퍼스널 브리지(320)가 제 1 랜딩 플랫폼(11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랜딩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 1 랜딩 플랫폼(110)에 비하여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만일 제 2 랜딩 플랫폼(13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되도록 하여,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제 1 랜딩 플랫폼 111 : 보강재
112 : 지지재 120 : 플랫폼 타워
121 : 수직재 122 : 수평재
123 : 경사재 130 : 제 2 랜딩 플랫폼
131 : 연결재 132 : 경사재
133 : 제 1 힌지결합부 134 : 제 2 힌지결합부
200 : 선박 300 : 플로터
310,320 : 퍼스널 브리지

Claims (6)

  1.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 1 랜딩 플랫폼;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플랫폼 타워; 및
    상기 플랫폼 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퍼스널 브리즈의 랜딩시 상기 퍼스널 브리지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 타워가 상면에 수직되게 연결되고, 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결재에 의해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고정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플랫폼 타워로부터 상방으로 폴딩되도록 제 1 힌지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 타워에 연결되는 경사재에 폴딩을 허용하도록 제 2 힌지결합부가 마련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5. 플로터의 퍼스널 브리지가 랜딩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브리지의 랜딩을 위하여 상기 선박이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랜딩 플랫폼이 플랫폼 타워를 매개로 하여 높이를 달리하도록 설치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랜딩 플랫폼은,
    상기 제 1 랜딩 플랫폼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KR1020130158932A 2013-12-19 2013-12-19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KR20150071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932A KR20150071859A (ko) 2013-12-19 2013-12-19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932A KR20150071859A (ko) 2013-12-19 2013-12-19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859A true KR20150071859A (ko) 2015-06-29

Family

ID=5351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932A KR20150071859A (ko) 2013-12-19 2013-12-19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1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3606A (zh) * 2016-06-20 2016-10-26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可调节式舷梯
KR20190079049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3606A (zh) * 2016-06-20 2016-10-26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可调节式舷梯
KR20190079049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운반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773B1 (ko) 플로팅 풍력 터빈 조립체 및 상기 플로팅 풍력 터빈 조립체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CN105035278B (zh) 低升沉半潜式海上结构
US10766578B2 (en) Floating platform with 3 canted columns converged at center
KR101271741B1 (ko)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설치방법
US11034417B2 (en) Floating catamaran production platform
US20090114139A1 (en) Dual Column Semisubmersible for Offshore Application
KR20100090991A (ko) 히브 댐퍼를 갖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US5567086A (en) Tension leg caisson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KR20150071859A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플로터 플랫폼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EP2364909A2 (en) Deep Water Offshore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US20160201285A1 (en) Floating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Platfor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Deploying Same
JP6577633B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準備方法
KR101592922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US9352808B2 (en) Offshore platform having SCR porches mounted on riser keel guide
NO337401B1 (no) Hevbar pidestall med personellpassasje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WO2014039466A1 (en) Platform deck installation and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KR102071010B1 (ko)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KR20140068457A (ko) 애드벌룬형 레이더 마스트의 라이팅 포스트
EP3137370B1 (en) Floating unit for drilling operations
KR200480134Y1 (ko) 선박 출입용 사다리 시스템
KR101973102B1 (ko) 데크박스 구조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CN205404138U (zh) 月池车试验平台
JP2021080711A (ja) 移動通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