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050B1 - Lng 벙커링 로딩암 - Google Patents

Lng 벙커링 로딩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050B1
KR102003050B1 KR1020190022776A KR20190022776A KR102003050B1 KR 102003050 B1 KR102003050 B1 KR 102003050B1 KR 1020190022776 A KR1020190022776 A KR 1020190022776A KR 20190022776 A KR20190022776 A KR 20190022776A KR 102003050 B1 KR102003050 B1 KR 10200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boom
transfer
manifol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도
Original Assignee
최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도 filed Critical 최재도
Priority to KR102019002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벙커링 로딩암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의 LNG 스테이션으로부터 LNG 벙커링선으로 LNG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 관로를 LNG 벙커링선 상의 매니폴드와 연결하는 로딩암에 있어서, 하단이 지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선회 가능하게 구동되는 선회지지부; 상기 선회지지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아암부; 상기 선회지지부 및 아암부에 걸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 관로에 연결되는 이송부; 일측에 상기 이송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LNG를 매니폴드로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아암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NG 벙커링 로딩암{LNG bunkering loading arm}
본 발명은 로딩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LNG를 저장하는 지상 터미널로부터 해상에 대기하는 LNG 벙커링선에 LNG를 공급하기 위해 터미널로부터 LNG를 이송하는 이송 관로를 LNG 벙커링선과 연결할 수 있게 하는 LNG 벙커링 로딩암에 관한 것이다.
LNG 벙커링은 LNG를 선박용 연료로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 이러한 LNG 벙커링은 저장탱크 내의 LNG를 액화된 상태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LNG 벙커링은 부유식 해상구조물(FPSO)들이나 지상에서 LNG를 저장하는 터미널(terminal) 또는 스테이션(station)으로부터 LNG를 엔진 연료탱크에 공급하거나 카고에 저장한 후 수요지로 이동하여 저장된 LNG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한다.
이 과정에서 LNG 벙커링선과 지상의 터미널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사이에는 LNG의 이송을 위한 이송 관로가 상호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NG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수직지지대(10)가 설치되고, 수직지지대에 로딩 암(20)이 결합된다. 로딩 암(20)은 제1 암(21)과 제2 암(22)으로 구성되는데, 제1 암(21)은 수직지지대(10)의 상부에 일정 각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연결되고, 제2 암(22)은 제1 암(21)의 상부에 일정 각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연결된다.
수직지지대(10)와 제1 암(21)을 거쳐 제2 암(22) 내부에는 LNG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P)이 설치되어 부유식 해상 구조물 내부의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를 공급한다.
이송관의 끝단부에는 연결부(30)가 설치되어, LNG 운반선의 관로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이하 '매니폴드'라 함)와 연결되어 LNG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암(21)의 중량에 의한 로딩 암(2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암(21)의 단부에 제1 중량보상부(40)가 제1 암(21)의 길이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2 암(22)의 중량에 의한 로딩 암(2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직지지지대(10)의 상부에 제2 중량보상부(50)가 구비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LNG 이송장치는 수직지지대(10)의 회전운동과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선회 운동에 의해 연결부(30)를 LNG 운반선 또는 지상의 터미널의 관로에 형성된 매니폴드로 이동시켜 결합한 후, LNG를 이송시킨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LNG 이송장치는 험한 해상 환경에서는 파도와 바람에 의해 LNG 운반선에 흔들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LNG 이송작업시 로딩 암(20)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연결부의 피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LNG 유출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매우 큰 위험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진 선박에 로딩해야 하고, 조수간만의 차가 수시로 발생하는 경우 로딩 암의 높이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연결부와 매니폴드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맞추는 정밀한 작업이 필요하다.
또 선박이 지상에서 이격되거나 매니폴드의 위치가 먼 경우에도 연결부가 도달할 수 있게 펼쳐지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매니폴드와 연결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LNG를 이송하는 시간동안 흔들리는 선박에 의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요구된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34244(2013.12.10) "액체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66744(2015.6.17) "액상화물 하역시스템의 로딩암 자동타게팅 장치 및 로딩함 자동타게팅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액상화물 하역시스템"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1705(2016.12.26) "전기 모터로 구성된 작동기를 구비한 해상 로딩암"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높낮이 또는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LNG 벙커링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LNG 벙커링 로딩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LNG 벙커링 중에 선박이 흔들림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LNG 벙커링 로딩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NG 벙커링 로딩암은, 지상의 LNG 스테이션으로부터 LNG 벙커링선으로 LNG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 관로를 LNG 벙커링선 상의 매니폴드와 연결하는 로딩암에 있어서, 하단이 지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선회 가능하게 구동되는 선회지지부; 상기 선회지지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아암부; 상기 선회지지부 및 아암부에 걸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 관로에 연결되는 이송부; 일측에 상기 이송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LNG를 매니폴드로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아암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회지지부는, 지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페데스탈과, 상기 페데스탈의 상단에 경사를 이루며 설치되는 선회포스트와, 상기 페데스탈과 선회포스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포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선회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핑붐과, 상기 선회포스트와 러핑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러핑붐을 회동시키는 러핑실린더와, 상기 러핑붐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클붐과, 상기 러핑붐과 너클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너클붐을 회동시키는 너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이송부는, 이송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선회포스트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고정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텐션유지부는, 상기 너클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벨시트와, 상기 스위벨시트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쉬브와,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쉬브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유압회로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력조절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에 정박 중인 선박의 높낮이 또는 원근에 상관없이 상기 러핑붐과 너클붐의 고각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연결부를 매니폴드에 결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LNG 벙커링이 가능하다.
그리고 LNG 벙커링 중 선박이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LNG 벙커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NG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LNG 벙커링 로딩암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텐션유지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LNG 벙커링 로딩암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된 LNG 스테이션으로부터 LNG 운반선으로 LNG를 이송하여 저장하기 위해서, 이송 관로를 LNG 운반선 상의 매니폴드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선회지지부(100), 아암부(200), 이송부(300), 연결부(400), 텐션유지부(50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선회지지부(100)는 지상에 고정되는 페데스탈(110)과 상기 페데스탈(11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포스트(120) 및 상기 선회포스트(120)와 페데스탈(110) 사이에 구비되는 선회베어링(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데스탈(110)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상에 수직으로 입설, 고정된다. 상기 페데스탈(110) 내부에는 선회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페데스탈(110)의 상단에는 선회베어링(slewing bearing)이 장착되고 상기 선회베어링(130)에 상기 선회포스트(12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선회모터의 축은 상기 선회포스트(120)와 결합되어 상기 선회모터에 의해 상기 선회포스트(120)가 회전 구동된다.
참고로 상기 선회포스트(120)의 선회각은 120°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암부(200)는 상기 선회포스트(120)에 설치되어 크레인과 같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아암부(200)는 러핑붐(210), 러핑실린더(220), 너클붐(230), 너클실린더(240)로 구성된다.
상기 러핑붐(210)은 일단이 상기 선회포스트(1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러핑붐(210)의 타단에는 상기 너클붐(23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러핑붐(210)이 벌어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기 위해 상기 선회포스트(120)와 러핑붐(210) 사이에는 러핑실린더(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러핑실린더(220)의 몸체는 상기 선회포스트(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는 상기 러핑붐(2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너클붐(230)이 벌어지거나 접히도록 구동하기 위해 상기 러핑붐(210)과 너클붐(230) 사이에는 너클실린더(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클실린더(240)의 몸체는 상기 러핑붐(2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는 상기 너클붐(2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러핑실린더(220)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러핑붐(210)이 상측으로 들리고, 상기 너클실린더(240)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너클붐(230)이 상측으로 들리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부(300)는 지상의 LNG 스테이션으로부터 LNG가 이송되는 이송 관로(p)를 LNG 운반선의 매니폴드(m)에 결착되는 상기 연결부(400)와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고정파이프(310) 및 플렉시블 호스(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파이프(310)는 상기 선회포스트(12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파이프(310)의 일단은 이송 관로(p)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파이프(310)는 내경이 서로 다른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는 상기 고정파이프(3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400)에 연결되어 이송 관로(p)를 통해 이송되는 LNG를 매니폴드(m)로 이송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물론,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도 상기 고정파이프(310)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한 쌍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의 길이는 상기 러핑붐(210)과 너클붐(230)이 최대로 상측으로 세워질 경우에도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가 상기 연결부(400)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파도나 바람으로 인해 LNG 운반선이 흔들리더라도 자체적으로 신축하거나 회전 또는 벤딩되기 때문에 장비에 인장력 또는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플렉시블 호스(320)와 연결되고 실제로 매니폴드에 결착되어 이송된 LNG를 매니폴드(m)로 전달해주기 위한 소켓이다.
상기 연결부(400)는 매니폴드(m)에 직접 결착되는 커넥터(410)와, 상기 커넥터(410)가 바닥에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10)와 플렉시블 호스(320)는 T형 관(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텐션유지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텐션유지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상기 텐션유지부(500)는 상기 너클붐(230)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400)를 와이어로프(550)로 이어주면서 상기 와이어로프(550)를 감거나 풀도록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400)가 매니폴드(m)에 결착된 상태로 LNG 벙커링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와이어로프(550)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텐션유지부(500)는 행거(510), 스위벨시트(520), 윈치(530), 쉬브(540), 와이어로프(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510)는 '┗┛'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너클붐(23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행거(510)는 회전 가능하여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행거(510)의 하부에는 스위벨시트(5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위벨시트(520)는 -45°~ +45°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스위벨시트(520)에는 윈치(530)가 설치된다. 상기 윈치(530)는 상술한 플렉시블 호스(32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치(53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쉬브(5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쉬브(5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윈치에 두 개가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쉬브(540)의 외측에 CCTV 카메라(5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CCTV 카메라(560)는 상기 연결부(400)를 본선의 매니폴드(m)에 수동으로 체결시킨 후 결착상태를 작업자가 원격제어룸에서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로프(550)는 상기 윈치(530) 내부의 드럼에 감기고 상기 쉬브(540)를 경유하여 하측으로 리드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550)의 하단에는 샤클(570)이 결합되고 상기 샤클(570)이 상기 연결부(400)의 상부에 걸리면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윈치(530)는 유압회로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유압회로에는 별도로 상기 와이어로프(550)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조절회로가 포함된다.
텐션조절회로는 상기 연결부(400)가 매니폴드(m)에 결착된 후에 작동하도록 제어되는데, 상기 와이어로프(550)에 텐션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윈치(53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로프(550)를 풀어주고, 반대로 텐션이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윈치(530)가 상기 와이어로프(550)를 자동텐션모드(auto-tension mode)로 감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상기 연결부(400)를 매니폴드(m)에 결착시키고 LNG를 이송하는 동안 LNG 운반선이 흔들리면 상기 와이어로프(550)가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410)를 매니폴드(m)에 결착시키게 되면 상기 텐션조절회로가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와이어로프(550)에 걸리는 텐션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해상에 정박된 LNG 선박에 지상으로부터 LNG를 벙커링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400)를 선박의 매니폴드(m)에 정확하게 포지셔닝하여 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페데스탈(110) 측면에 설치된 컨트롤 스탠드(c)에서 전체적으로 컨트롤 가능하다.
만일, 매니폴드(m)의 위치가 낮은 경우 작업자는 상기 러핑실린더(220)와 너클실린더(240)의 로드를 최대로 후진시켜 상기 러핑붐(210)과 너클붐(230)의 고각을 최소로 한다.(도 2 참조)
그리고 매니폴드(m)의 위치가 높은 경우 작업자는 상기 러핑실린더(220)와 너클실린더(240)의 로드를 최대로 전진시켜 상기 러핑붐(210)과 너클붐(230)의 고각을 최대로 한다.(도 5 참조)
또 매니폴드(m)가 지상으로부터 먼 경우 작업자는 상기 러핑실린더(220)의 로드는 최대로 후진시키고, 상기 너클실린더(240)의 로드는 최대로 전진시켜 상기 러핑붐의 고각은 최소로, 상기 너클붐(230)의 고각은 최대가 되게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매니폴드(m)가 지상으로부터 가까운 경우 작업자는 상기 러핑실린더(220)의 로드는 최대로 전진시키고, 상기 너클실린더(240)의 로드는 최대로 후진시켜 상기 러핑붐(210)의 고각은 최대로, 상기 너클붐(230)의 고각은 최소가 되게 할 수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적절한 고각으로 상기 러핑붐(210)과 너클붐(23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윈치(530)를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로프(550)를 승강시켜 상기 연결부(400)가 매니폴드(m)의 정면에 근접하도록 제어한다.
선박에서 다른 작업자가 상기 연결부를 매니폴드(m)에 수동으로 결착시키거나 자동으로 결착되게 하면, LNG 공급이 시작된다. 동시에 상기 텐션조절회로 모드가 작동하면서 상기 윈치(530)는 상기 와이어로프(550)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550)를 풀거나 감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선박의 상하 또는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와이어로프(550)에 일정한 장력이 걸리게 되어 안정적인 LNG 벙커링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400)와 매니폴드(m)가 결착된 상태로 LNG 벙커링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어떤 원인에 의해 선박이 표류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감지하고자 기존에 선박과 암벽 사이에 세이프티 라인(safety line)을 설치해 놓고 있는데, 이것이 끊어지는 비상상태가 감지되면 ERS(Emergency Release System)이 작동하여 매니폴드(m)에 결착되어 있던 상기 연결부(400)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분리된 상기 연결부(400)를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로프(550)는 자동텐션모드이므로 상기 연결부(400)가 선박 위로 낙하하거나 충돌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ERS가 작동하는 순간 상기 텐션조절회로가 차단되어 자동텐션모드가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530)에서 브레이크 회로가 작동하여 상기 와이어로프(550)가 풀리는 것을 제동시킨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선회지지부 110 : 페데스탈
120 : 선회포스트 130 : 선회베어링
200 : 아암부
210 : 러핑붐 220 : 러핑실린더
230 : 너클붐 240 : 너클실린더
300 : 이송부
310 : 고정파이프 320 : 플렉시블 호스
400 : 연결부 410 : 커넥터
420 : 지지부재 430 : T형 관
500 : 텐션유지부 510 : 행거
520 : 스위벨시트 530 : 윈치
540 : 쉬브 550 : 와이어로프
560 : CCTV 카메라 570 : 샤클
p : 이송 관로 c : 컨트롤 스탠드
m : 매니폴드

Claims (5)

  1. 지상의 LNG 스테이션으로부터 LNG 벙커링선으로 LNG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 관로를 LNG 벙커링선 상의 매니폴드와 연결하는 로딩암에 있어서,
    지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페데스탈과, 상기 페데스탈의 상단에 경사를 이루며 설치되는 선회포스트와, 상기 페데스탈과 선회포스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포스트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회지지부;
    상기 선회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러핑붐과, 상기 선회포스트와 러핑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러핑붐을 회동시키는 러핑실린더와, 상기 러핑붐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클붐과, 상기 러핑붐과 너클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너클붐을 회동시키는 너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아암부;
    상기 선회지지부 및 아암부에 걸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 관로에 연결되는 이송부;
    일측에 상기 이송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LNG를 매니폴드로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아암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로프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로딩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이송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선회포스트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고정파이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로딩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유지부는,
    상기 너클붐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벨시트와, 상기 스위벨시트에 장착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쉬브와, 상기 윈치에 의해 상기 쉬브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유압회로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력조절회로가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벙커링 로딩암.
KR1020190022776A 2019-02-26 2019-02-26 Lng 벙커링 로딩암 KR10200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76A KR102003050B1 (ko) 2019-02-26 2019-02-26 Lng 벙커링 로딩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776A KR102003050B1 (ko) 2019-02-26 2019-02-26 Lng 벙커링 로딩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50B1 true KR102003050B1 (ko) 2019-07-23

Family

ID=674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776A KR102003050B1 (ko) 2019-02-26 2019-02-26 Lng 벙커링 로딩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043B1 (ko) * 2020-11-20 2021-04-27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벙커링 시스템
KR102275629B1 (ko) 2020-11-04 2021-07-09 반태행 Lng 벙커링에 사용되는 로딩암용 스위블 조인트
KR102583769B1 (ko) * 2023-05-10 2023-09-27 제일기술산업(주) 로딩암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딩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4244A (ko) 2012-05-30 2013-12-1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KR20140092875A (ko) * 2011-11-03 2014-07-2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유체 전달 호스 조작기 및 유체 전달 방법
KR20150066744A (ko) 2013-12-09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의 로딩암 자동 타게팅 장치 및 로딩암 자동 타게팅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
KR101691705B1 (ko) 2008-05-22 2016-12-30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전기 모터로 구성된 작동기를 구비한 해상 로딩 암
KR20170002206U (ko) * 2015-12-14 2017-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보급기능을 갖는 군수 지원함용 크레인 및 이를 갖는 군수 지원함
KR101915224B1 (ko) * 2017-07-24 2018-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705B1 (ko) 2008-05-22 2016-12-30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전기 모터로 구성된 작동기를 구비한 해상 로딩 암
KR20140092875A (ko) * 2011-11-03 2014-07-2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유체 전달 호스 조작기 및 유체 전달 방법
KR20130134244A (ko) 2012-05-30 2013-12-1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KR20150066744A (ko) 2013-12-09 2015-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의 로딩암 자동 타게팅 장치 및 로딩암 자동 타게팅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액상화물 하역 시스템
KR20170002206U (ko) * 2015-12-14 2017-06-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보급기능을 갖는 군수 지원함용 크레인 및 이를 갖는 군수 지원함
KR101915224B1 (ko) * 2017-07-24 2018-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629B1 (ko) 2020-11-04 2021-07-09 반태행 Lng 벙커링에 사용되는 로딩암용 스위블 조인트
KR102244043B1 (ko) * 2020-11-20 2021-04-27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벙커링 시스템
KR102583769B1 (ko) * 2023-05-10 2023-09-27 제일기술산업(주) 로딩암 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딩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050B1 (ko) Lng 벙커링 로딩암
KR102249003B1 (ko) 탄화수소 함유 유체의 이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5070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ying down, abandoning, and recovering a pipe on the sea floor
KR100643554B1 (ko) 현가식 배관 장치를 갖는 근해 하역 시스템
US90041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oading a hydrocarbon fluid
US8864420B2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KR20110119764A (ko) 유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325366C (zh) 传送液体产品的系统
AU2008288209B2 (en) Pi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EP2678216A2 (fr)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notamment du gaz de petrole liquefie entre une premiere installation de surface et une deuxieme installation de surface
CN108502110B (zh) 落管抛石船
EP2193299B1 (fr) Methode d'installation d'une conduite tubulaire sous-marine
US3409055A (en) Apparatus for handling liquid cargo
US10946938B2 (en) Coupling system for transfer of hydrocarbons at open sea
RU2489303C2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с поворотной стрелой
JP3485321B2 (ja) 船底の受入れ空間内に積込み/積降しブイを案内する装置
US20210078840A1 (en) A lifting device
KR102662432B1 (ko) 액체 화물 이송장치
KR101933969B1 (ko)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JP6919109B1 (ja) ローディングシステム
CN104590494B (zh) 一种无码头油轮近岸输油方法
RU21620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жидкого груз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 морской стационарной платформы на танкер
RU21960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жидкого груз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 морской стационарной платформы на танк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