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433A -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433A
KR20220008433A KR1020200086303A KR20200086303A KR20220008433A KR 20220008433 A KR20220008433 A KR 20220008433A KR 1020200086303 A KR1020200086303 A KR 1020200086303A KR 20200086303 A KR20200086303 A KR 20200086303A KR 20220008433 A KR20220008433 A KR 2022000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unit
cross
ship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433A/ko
Publication of KR2022000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는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마련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기둥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기둥부 및 선박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기둥부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목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SHIPBUILDING}
본 발명은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복수의 선박 블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대형 선박을 건조할 수 있다. 복수의 선박 블록은 각각 큰 단위의 단위 블록으로, 전체 선박의 일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단위 블록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선박 블록은 규모가 상당히 크게 마련되므로, 지상에서 소조립 또는 중조립 등의 조립과정을 수행한 후 형성된 작은 단위의 블록을 드라이 도크(DRY DOCK) 또는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등에서 조립하여 건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박 블록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반목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반목 장치는 선박 블록을 도크(DOCK)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통상 반목 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의 반목 장치는 각각 선박 블록의 하면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9556호(2017.08.04. 공개)
본 실시 예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마련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기둥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기둥부; 및 선박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기둥부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둥부는 상면에 복수의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레일은 각각 상기 제2 기둥부의 단면 중심에서 단면 바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반목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브라켓부와, 상기 복수의 브라켓부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은 전개시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부와 함께 바깥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 또는 상기 브라켓부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프레임이 구비되는 하중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휠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구동휠의 전개시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이 이격되고, 상기 구동휠의 수납시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는 선박 블록의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도크의 바닥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목부와 하중분산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목부와 하중분산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바닥면(1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112)이 마련된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베이스부(110)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기둥부(120)와, 제1 기둥부(120)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제1 기둥부(120) 상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고정부(130)와, 고정부(130)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부(130)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고 고정부(130)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기둥부(140) 및 선박 블록(미도시)을 지지하며 제2 기둥부(140)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선박을 제작하는 드라이 도크(Dry dock)나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의 바닥면 상에서 선박 블록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선박은 일반적인 개념의 추진능력을 갖춘 선박 이외에도, 드릴쉽(Drill ship) 또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의 부유식 해양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 패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10)는 사각 패널 형상 이외에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는 하면이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10)는 도크(Dock)의 바닥면(10)과 접촉시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의 하중과,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는 선박 블록의 하중을 골고루 바닥면(10)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복수의 구동휠(112)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휠(112)은 바닥면(10)에서 베이스부(11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구동휠(112)은 베이스부(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구동휠(112)의 전개시 베이스부(110)와 바닥면(10)이 이격되고, 구동휠(112)의 수납시 베이스부(110)와 바닥면(10)이 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에서 구동휠(112)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에서 구동휠(112)이 베이스부(110)의 하부를 향해 전개된 경우, 베이스부(110)의 하면은 바닥면(10)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베이스부(110)의 구동휠(112)을 통해 바닥면(10)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0)에 구동휠(112)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구동휠(112)이 수납된 경우, 베이스부(110)의 하면은 바닥면(10)과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베이스부(110)의 하면이 바닥면(10)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20)는 베이스부(110)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20)는 베이스부(110) 상면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제1 기둥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기둥부(120)는 내부에 고정부(13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승하강부(121)는 제1 기둥부(120)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부(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제1 기둥부(120)의 승하강부(121)에 의해 고정부(130)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하강부(121)는 제1 기둥부(120)의 내부에서 랙 앤 피니언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승하강부(121)는 제1 기둥부(120)의 내부에 스핀들 앤 너트 방식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승하강부(121)는 제1 기둥부(120)의 내부에서 유압 장치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승하강부(121)가 마련되어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승하강부(121)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승하강부(121)가 하강되어 제1 기둥부(120)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고정부(130)의 하면은 제1 기둥부(120)와, 제1 기둥부(120)의 승하강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승하강부(121)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승하강부(121)가 승강되어 제1 기둥부(120)에서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경우, 고정부(130)의 하면은 승하강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기둥부(120) 상면 또는 제1 기둥부(120)의 승하강부(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제1 기둥부(120)의 승하강부(121)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의 단면적은 제1 기둥부(120) 상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0)의 단면적은 고정부(13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기둥부(140)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이 고정부(130)의 외측부의 상면 및 하면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2 기둥부(140)는 고정부(130)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40)는 고정부(130) 상면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둥부(140)는 고정부(130)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둥부(140)의 단면적은 고정부(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170"은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는 선박 블록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하중센서(170)를 나타낸다. 하중센서(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둥부(14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반목부(150)는 선박 블록의 하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반목부(150)는 제2 기둥부(140)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반목부(150)는 제2 기둥부(140)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기둥부(140)는 상면에 복수의 레일(141)이 구비되며, 복수의 레일(141)은 각각 제2 기둥부(140)의 단면 중심에서 단면 바깥을 향해 연장되고, 반목부(150)는 복수의 레일(141)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브라켓부(152)와, 복수의 브라켓부(152)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패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둥부(140)는 상면에 복수의 레일(14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141)은 일단이 제2 기둥부(140)의 상면 중심에 배치되며, 타단이 제2 기둥부(140)의 단면 바깥을 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레일(141)은 각각 제2 기둥부(140)의 상면에서 일단이 제2 기둥부(140)의 중심을 향하며, 타단이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반목부(150)는 복수의 지지패널(151)과, 복수의 브라켓부(152)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선박 블록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조합되는 경우,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지지패널(151)이 조합되는 경우 원판 형상 이외에도, 다각형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8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브라켓부(152)는 각각 내부에 복수의 레일(141)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휠(미도시)과, 슬라이딩 휠(미도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각각 하면이 복수의 브라켓부(15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브라켓부(152)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패널(151)과, 복수의 브라켓부(152)는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다. 아울러, 복수의 브라켓부(152)와, 복수의 레일(141)은 각각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다.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전개시 각각 외측으로 전개되어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패널(151)은 대응하는 복수의 브라켓부(152)와 함께 각각 외측(또는 바깥)을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2는 복수의 지지패널(151)이 전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복수의 지지패널(151)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선박 블록은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10)에 단차가 있거나 또는 선박 블록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지지패널(151)이 전개되어 선박 블록에 대해 지지부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복수의 지지패널(151)이 전개되어 지지부위가 넓게 확보되므로, 선박 블록의 하면이 지지되는 부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 블록의 협소 부위에 과도하게 지지하중이 작용되지 않고, 넓은 부위에 지지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작용됨으로써 선박 블록에 파손 및 결함의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한편, 미설명된 도면부호 "142"는 제2 기둥부(140)에 마련되어 브라켓부(152)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142)을 나타낸다. 즉, 복수의 지지패널(151)이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전자석(142)이 동작되어 브라켓부(152) 및 지지패널(15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선박 블록의 하중이 1차적으로 지지패널(151)과, 제2 기둥부(140), 고정부(130), 제1 기둥부(120) 및 베이스부(110)를 통해 바닥면(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선박 블록의 하중이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의 수직축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선박 블록의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어 바닥면(10)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하중분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분산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하중분산부(160)는 복수의 브라켓부(15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중분산부(160)는 지지프레임(161)과, 회동프레임(162)과,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61)은 일측이 지지패널(151)의 하단부 또는 브라켓부(152)의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61)은 지지패널(151)의 하단부 또는 브라켓부(152)의 측면부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61)은 각각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의 바깥을 향해 연장된 후, 하방을 향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2)은 지지프레임(1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2)은 힌지축을 통해 지지프레임(16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동프레임(162)은 고정부(130)에 가까워지도록 회동하거나 또는 고정부(130)에서 멀어지도록 회동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2)은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지지프레임(162)에 결합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은 회동프레임(162)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은 각각 회동프레임(162) 상에서 회동프레임(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은 상방 파지프레임(163a)과 하방 파지프레임(163b)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 또는 회동프레임(162)에는 고정부(130)와의 이격거리와, 고정부(130)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3과 같이 고정부(130)를 파지하여 고정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지프레임(163)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2와 같이 고정부(130)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한편, 하중분산부(160)는 도 3과 같이 고정부(130)를 파지함으로써 선박 블록의 하중이 하중분산부(160)를 통해서도 고정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선박 구조용 반목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례로, 제어부(미도시)는 선박 블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 정보에 근거하여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가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동휠(1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가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며, 구동휠(112)이 베이스부(110) 내부로 수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승하강부(121)가 고정부(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지지패널(151)이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하중분산부(160)의 파지프레임(163)이 고정부(130)를 파지하거나 또는 파지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하중센서(170)로부터 지지되는 선박 블록의 하중 정보를 감지하여, 이 하중정보를 통신을 통해 작업자나 사용자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자석(142)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자석(142)이 지지패널(151) 및 브라켓부(152)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고정을 해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10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바닥면 100 :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110 : 베이스부 120 : 제1 기둥부
130 : 고정부 140 : 제2 기둥부
150 : 반목부 160 : 하중분산부

Claims (6)

  1.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구동휠이 마련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기둥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 상면의 단면적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기둥부; 및
    선박 블록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기둥부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목부;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둥부는
    상면에 복수의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레일은 각각 상기 제2 기둥부의 단면 중심에서 단면 바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반목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브라켓부와, 상기 복수의 브라켓부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패널은
    전개시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부와 함께 바깥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선박 블록을 지지하는 부위가 확장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의 하단부 또는 상기 브라켓부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프레임이 구비되는 하중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구동휠의 전개시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이 이격되고, 상기 구동휠의 수납시 상기 베이스부와 바닥면이 밀착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부는
    상기 제1 기둥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부가 구비되는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KR1020200086303A 2020-07-13 2020-07-13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KR20220008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03A KR20220008433A (ko) 2020-07-13 2020-07-13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303A KR20220008433A (ko) 2020-07-13 2020-07-13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433A true KR20220008433A (ko) 2022-01-21

Family

ID=8005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303A KR20220008433A (ko) 2020-07-13 2020-07-13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280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556A (ko) 2016-01-27 2017-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반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556A (ko) 2016-01-27 2017-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반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280B1 (ko) * 2022-10-13 2023-10-12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862B2 (ja) 杭保持システム
KR101118781B1 (ko) 3차원 형상의 오목, 볼록 판재 겸용 자동경사조절 장치
JP4688824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及び天井走行車システムの周囲の処理装置の搬出入方法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CN103328317B (zh) 移动设备和在移动设备之间的对接方法
KR20220008433A (ko)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JP6596644B2 (ja) 走行試験台の姿勢制御装置
US20090008513A1 (en) Pipe roller assembly
TWI664515B (zh) Processing device
US20090304480A1 (en) Large-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JP2018504586A (ja) 均一性試験システム
KR20210037365A (ko) 선박 블록용 반목 장치
JP2010024776A (ja) 建材の建て起こし装置、建材の建て起こし方法
KR20190001451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JP6366312B2 (ja) 建設機械
KR20220011827A (ko) 써포트 장치
US8646716B2 (en) Carousel for flexible product
JP5301246B2 (ja) 荷受台昇降装置
US20210178536A1 (en) Workpiece Support System For Rotary Machine
KR102448827B1 (ko) 크레인 붐 지지 장치
JP6170423B2 (ja) 機械式駐車設備
EP1681395A2 (en)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operations on or in a substrate, such as driving or extracting a slim object
KR20170044431A (ko) 컨테이너선용 컨테이너 크레인
KR101814759B1 (ko) 터렛 위치 조정 장치
JP6300614B2 (ja) 船上クレー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