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493A -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493A
KR20160133493A KR1020167028132A KR20167028132A KR20160133493A KR 20160133493 A KR20160133493 A KR 20160133493A KR 1020167028132 A KR1020167028132 A KR 1020167028132A KR 20167028132 A KR20167028132 A KR 20167028132A KR 20160133493 A KR20160133493 A KR 20160133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pipe
mast
drum
guide surfa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507B1 (ko
Inventor
기욤 겔랭
파트리크 엥글베르트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16013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과 설비 간에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은 선박(3)의 갑판(2)에 선회적으로 장착되도록 의도된 근접단 및 말단(6)을 포함하는 마스트(1); 마스트(1)를 따라 연장되는 유체 운송 라인(4); 유체 운송 라인(4)에 연결된 제1 종단(9) 및 설비의 매니폴드(1)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종단(10)을 포함하되, 임계값 이상의 분리력이 가해질 때 분리 방향(d)으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비상 차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를 갖춘 플렉시블 파이프(8) 및 마스트(1)에 지지되며,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8)를 안내하기 위한 볼록한 표면(30)을 포함하되, 볼록한 표면은 플렉시블 파이프(8)의 당김력을 흡수할 수 있어 분리 방향(d)으로의 비상 차단부를 갖는 연결 장치에 이 힘이 가해지게 하는 안내 요소(2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BETWEEN A SHIP AND A FACILITY, SUCH AS A CLIENT SHIP}
본 발명은 유체 운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액화 천연가스의 운송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의 2개의 선박 간의 액화 천연가스의 운송을 위한 시스템이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WO0134460는 액화 천연가스가 액화 천연가스 생산 선박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 선박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운송 시스템은 3개의 평행한 플렉시블 파이프를 포함하며, 이 파이프 중에서 2개는 생산 선박에서 운반 선박으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반면에 제3 파이프는 운반 선박에서 생산 선박으로 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탱크의 가스 상태의 상단 내의 압력의 균형을 잡으며 또한 생산 선박 상의 탱크 내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3개의 플렉시블 파이프는 생산 선박의 갑판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트(mast)에 매달려 있으며, 그리고 운송 선박 상의 상대 연결 요소와 함께 작용하는 연결 요소가 장착된 자유단을 갖는다. 연결 요소에는 비상 분리 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비상 분리 수단을 통하여 연결 요소들은 분리되고 그리고 액화 천연가스의 운송을 중단된다. 비상 분리 수단은 운송 선박으로부터 유압 회로를 통하여 원격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운송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사실, 비상 분리 연결 요소는 특히 무겁기 때문에, 플렉시블 파이프의 자유단에서의 그들의 위치는 플렉시블 파이프를 조작하는 것을 특히 복잡하게 하며 따라서 연결 동작은 수행하는데 긴 시간이 들며 그리고 매우 안전하지 않다. 이에 더하여, 비상 분리 수단을 제어하는 유압 회로의 존재는 운송 시스템의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더하여, 특별한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가해질 때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가 장착된 플렉시블 파이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선박과 벙커링 선박 간의 운송 시스템 또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비상 분리 연결 장치는 유압 제어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비상 분리 연결 장치는 각 플렉시블 파이프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며, 따라서 이 장치들은 플렉시블 파이프들의 종단들 사이에 당김력이 작용될 때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서 인장 응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운송 시스템 역시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않다. 사실, 플렉시블 파이프의 종단에서의 과도하게 큰 굽힘력의 결과로서의 플렉시블 파이프에 대한 손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파이프의 2개의 종단은 실질적으로 일직선이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비상 분리 연결 장치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당김력을 받을 때 비상 분리 연결 장치들은 일찍 분리될 수 있다. 실제로, 클라이언트 선박 상의 매니폴드 상의 한 특별한 위치를 위하여 플렉시블 파이프의 2개의 종단을 정렬하는 것만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운송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선박 상의 매니폴드의 매우 다양한 구성을 위하여 맞추어질 수 없다. 더욱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클라이언트 선박 상의 매니폴드에 연결될 때 다루어지며, 이는 연결 장치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아이디어는 간단하고, 안전하고 믿을 수 있고 그리고 매우 다양한 구성에 적합할 수 있는, 선박과 설비 사이의 유체를 위한 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박과 설비 사이에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 선박의 갑판 상에 선회적으로 창착되도록 의도된 근접 단부 그리고 말단 단부를 포함하는 마스트;
- 마스트를 따라 연장된 유체 운송 라인;
- 유체 운송 라인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유체 운송 작동 중에 설비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단부를 포함하되,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가해질 때 분리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가 장착된 플렉시블 파이프; 및
- 마스트에 의하여 운반되고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볼록한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안내 요소를 포함하되,
볼록한 안내 표면은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를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대하여 가압할 때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제2 종단 사이에 가해지는 플렉시블 파이프 상의 당김력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제2 종단 사이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파이프는 볼록한 당김 표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당김력이 분리 방향으로 비상 분리 연결 장치에 가해지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한 요소가 분리되는 분리 방향은 볼록한 안내 표면으로 접선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방식으로 볼록한 안내 표면은 비상 분리 연결 장치에 관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비상 분리 연결 장치는 유압 제어 유니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 요소는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의 종단들 사이에 가해질 때 이 당김력이 실질적으로 비상 분리 연결 장치의 2개의 분리 가능한 요소 사이에서 분리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플렉시블 파이프 상에 작용하는 힘이 제한될 수 있다. 가이드 요소는 또한 비상 분리 연결 장치의 너무 이른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 요소는 또한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운송 라인 간의 연결점에서 플렉시블 파이프 상에 작용하는 휨력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플렉시블 파이프가 이동 가능한 마스트에 매달려 있음에 따라 운송 시스템은 많은 다른 구조에 맞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운송 시스템은 하기 특징들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안내 요소는 마스트의 말단 단부에서 떨어져 마스트 상에서 움직이며, 시스템은 마스트의 말단 단부에 매달려 있는 새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를 지지하는 볼록한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 새들은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마스트의 말단 단부에 매달려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파이프 상에 어떠한 기계적인 응력을 두지 않고 플렉시블 파이프의 자유단은 설비의 매니폴드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 안내 요소와 마스트의 말단 단부 사이의 거리는 마스트가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위치될 때 플렉시블 파이프가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루프를 안내 요소와 새들 사이에 형성하도록 설정된다.
- 안내 요소는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다.
- 플렉시블 파이프와 유체 운송 라인 간의 연결 영역에서, 유체 운송 라인은 마스트의 말단 단부 또는 근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마스트의 축에 관하여 길이 방향 요소를 갖는 유체 운송 라인의 종단 방향을 향한다. 볼록한 안내 표면은 마스트의 말단 단부 또는 근접 단부를 향하고, 유체 운송 라인이 향하는 방향의 길이 방향 요소는 마스트를 향한다.
- 유체 운송 라인의 종단의 방향은 볼록한 안내 표면에 접선적으로 놓여있다.
- 비상 분리 연결 장치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에 위치하여 플렉시블 파이프와 유체 운송 라인을 연결한다.
- 플렉시블 파이프는 그의 제1 종단과 비상 분리 연결 장치 사이에서 연장된 제1 플렉시블 부분 및 비상 분리 연결 장치와 그의 제2 종단 사이에서 연장된 제2 플렉시블 부분을 포함한다.
-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2 플렉시블 부분은 부표와 관련이 있다.
- 유리하게는, 부표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에 인접한 제2 플렉시블 부분에 부착된다.
- 마스트를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유체 운송 라인 및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포함하되, 각 플렉시블 파이프는 유체 운송 라인에 연결된 제1 종단, 설비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종단 및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가해질 때 분리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제2 종단 사이에 작용하는 당김력이 볼록한 안내 표면에 대하여 플렉시블 파이프를 가압할 때 분리 가능한 요소가 분리되는 분리 방향은 볼록한 안내 표면으로 접선적으로 연장되어 당김력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에 분리 방향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볼록한 안내 표면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에 관하여 배치된다.
- 각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하여 볼록한 안내 표면은 안내 그루브를 포함하며, 각 안내 그루브는 분리 벽에 의하여 테두리가 이루어진다.
- 안내 요소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갖춘 정점을 포함하는 중공 벨 부분의 형상이다.
- 볼록한 안내 표면은 비점착성 코팅부로 덮여 있다.
- 볼록한 안내 표면에는 회전하기 위하여 장착된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 비상 분리 동안에 플렉시블 파이프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장치를 포함하며, 이 제동 장치는,
- 드럼;
- 드럼에 부분적으로 감겨지고 그리고 비상 분리 연결 장치의 분리 가능한 요소 중 하나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케이블;
-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는 드럼과 관련된 샤프트;
- 샤프트에 회전 적으로 결합된 로터가 장착된 계량 펌프; 및
- 계량 펌프와 관련되고 그리고 흐름 조절기가 장착된 폐루프 유압 회로를 포함한다.
- 시스템은 마스트를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유체 운송 라인 및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포함하되, 각 플렉시블 파이프는 유체 운송 라인에 연결된 제1 종단, 설비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종단 및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각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하여 제동 장치는 드럼 및 드럼에 감겨지고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의 비상 분리 연결 장치의 분리 가능한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견고하게 부착된 케이블을 포함한다; 각 파이프는 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자유로운 휠을 갖는 장치 또는 비복귀 장치에 의하여 샤프트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의 회전은 샤프트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리고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지 않고 샤프트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 케이블의 한 종단은 핀에 부착되어 있으며, 드럼은 핀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를 포함한다.
- 시스템은 또한 제동 장치의 드럼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고 그리고 드럼의 회전이 감지될 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비상 분리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 경보 신호 및/또는 유체 운송 라인과 플렉시블 파이프를 통한 선박과 설비 사이의 유체의 운송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펌프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비상 분리 감지 장치가 배치된다.
- 비상 분리 감지 장치는 드럼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운동 센서를 포함한다. 운동 센서(들)는 롤러 센서, 선형 변위 센서와 같은 운동 센서, 자기 센서와 광섬유 센서와 같은 무접촉 센서에서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운송 시스템을 갖춘 선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운송 작동 중에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제2 종단 사이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파이프가 볼록한 안내 표면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마스트가 위치되는 유체의 운송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플렉시블 파이프 배수 작동을 포함하되, 이 작동 동안에 플렉시블 파이프 내에 존재하는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파이프가 마스트에서 선박의 매니폴드를 향하는 하향 슬로프를 점유하는 위치로 마스트가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비상 분리 연결 장치를 갖춘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장치를 제공하고, 각 파이프를 위하여 제동 장치는 드럼 및 드럼에 부분적으로 감겨지고 그리고 비상 분리 연결 장치의 분리 가능한 요소들 중 하나에 부분적으로 부착된 드럼을 포함하며; 제동 장치는 이동 가능한 샤프트, 샤프트에 회전적으로 결합된 로터를 갖춘 계량 펌프 그리고 흐름 조절기가 장착된 계량 펌프와 관련된 폐루프 유압 회로를 포함하고, 각 드럼은 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자유로운 휠을 갖는 장치 또는 비복귀 휠에 의하여 샤프트와 관련이 있어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의 회전은 샤프트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리고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드럼을 회전시키지 않고 샤프트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 장치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운송 시스템 이외의 운송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동 장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를 갖추고 있고 그리고 비상 분리를 겪을 때 낙하가 제동되어야 하는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포함하는 모든 운송 시스템에서 적용을 찾을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순수하게 설명의 형태로 그리고 제한없이 제공된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 실시예의 하기 설명을 읽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세부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더 분명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설비에 선박을 연결하기 위하여 운송 시스템을 조작하는 단계를 도시한 유체 운송 시스템의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5 내의 운송 시스템의 단부의 상세도.
도 7a 및 도 7b는 연결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의 비상 분리 연결 장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송 시스템의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지지부 및 안내부의 도식적인 도면.
도 9 및 도 13은 5개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운송 시스템의 도식적인 도면으로서, 각 도면은 플렉시블 파이프의 휴지 위치를 실선으로서 도시하며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의 제1 종단과 제2 종단 사이에 가해진 당김력이 가이드 요소에 대하여 플렉시블 파이프를 누를 때의 플렉시블 파이프의 위치를 점선으로서 도시함.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안내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파이프를 위한 안내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비상 분리 동안 플렉시블 파이프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동 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동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케이블이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는 핀을 구비한 도 16 및 도 17의 제동 장치의 드럼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6 및 도 17 내의 제동 장치의 횡단면의 도식적인 도면.
도 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분리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분리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분리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공급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사이에서 액화 천연가스(LNG)와 같은 유체를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운송 시스템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공급 선박은 예를 들어 LNG로 다른 선박의 연료 재급유를 담당하는 벙커링(bunkering) 선박이며, 그리고 클라이언트 선박은 LNG에 의하여 추진되는 선박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운송 시스템이 공급 선박(3)의 갑판(2) 상에 장착된 격자 마스트(1)를 포함하는 것이 보여질 것이다. 격자 마스트(1)는 다수의 버팀 횡단 부재에 의하여 조립된 3개의 직립부를 포함하며, 이 횡단 부재는 직립부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마스트(1)는 마스트를 따라 연장된 다수의 운송 라인(4)을 갖고 있다. 운송 라인(4)은 강체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트(1)는 3개의 운송 라인(4)을 갖는다. 운송 라인(4) 중 2개는 공급 선박(3) 상의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연결되고 그리고 공급 선박(3)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3 운송 라인(4)은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가 클라이언트 선박(5)에서 공급 선박(3)을 향하여 추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제3 운송 라인(4)은 공급 선박(3) 상에 탑재된 천연가스 재액화 플랜트에 연결될 수 있다. 액화 천연가스의 운송을 위하여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 선박(3) 상에 장착된 펌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선박(5) 상에 장착된 펌프가 유리하게는 사용된다.
운송 라인(4)은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서 떨어져 연장된 말단(6)을 갖는다. 운송 라인(4)들의 말단(6)들 각각은 플렉시블 파이프(8)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파이프(8)는 운송 라인(4)에 연결된 제1 종단(9) 및 클라이언트 선박(5)의 매니폴드(11)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자유 종단(10)을 포함하며, 따라서 유체는 공급 선박(3)과 클라이언트 선박(4) 사이에서 운동될 수 있다.
플렉시블 파이프(8)는 유리하게는 복합 재료 파이프 또는 이중 벽 파이프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극저온 파이프를 포함하며, 이 파이프 내에서 중간 공간은 절연 재료로 채워져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는 부압 하에서 위치되어 절연 특성이 향상된다.
마스트(1)는 공급 선박(3)의 갑판(2) 상에 관절부(articulartion)로 장착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수축 위치에서 도 4에 도시된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 사이에서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마스트(1)가 장착된다.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마스트(1)는 공급 선박(3)의 갑판(2)에 대하여 약 60°의 경사로 경사진다. 마스트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스트(1)는 또한 장착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마스트(1)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베이스(12)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마스트(1)는 수축된 위치와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운송 시스템에는 한 세트의 작동 잭(13)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각 작동 잭은 마스트(1)의 직립부 상에 관절부로 장착된 한 종단 및 베이스(12) 상에 관절부로 장착된 제2 종단을 갖는다.
운송 시스템은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 매달려진 플렉시블 파이프(8)를 지지하는 새들(14; saddle)을 포함한다. 새들(14)은 플렉시블 파이프(8)를 지지하는 상부 볼록 표면(15)을 포함한다. 상부 볼록 표면(15)은 곡률 반경이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아치형 표면이다. 최소 허용 곡률 반경은 플렉시블 파이프(8)가 손상 없이 또는 수명 감축 없이 굽혀질 수 있는 반경의 최소값에 대응한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제조 회사에 의하여 특정된다. 한 예로서, 약 170mm의 외부 직경을 갖는 극저온 파이프의 경우에 최소 허용 곡률 반경은 약 700mm이며, 그리고 약 100mm의 외부 직경을 갖는 이러한 극저온 파이프를 위해서는 약 500mm이다.
새들(14)은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 매달려진다. 리프팅 장치는 케이블 리프팅 장치이다. 리프팅 장치는 모터 의하여 회전 구동될 수 있는 드럼(16),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 위치된 리턴 풀리(17) 및 리턴 풀리와 함께 작용하는 케이블(18)을 포함하며, 리턴 풀리는 드럼(16)에 부분적으로 감겨져 있으며 그리고 새들(14)에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도 6을 참고하면, 파이프의 제1 종단(9)에 근접한 플렉시블 파이프(8)가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를 갖고 있음이 보여질 것이다. 한 예로서, 이러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가 도 7a 내의 연결된 상태 그리고 도 7b 내의 분리된 상태에서 상세하게 도시된다.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는 2개의 분리 가능한 요소(20, 21)를 포함한다.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작용될 때 2개의 요소(20, 21)는 분리 방향(d)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요소(20, 21) 각각은 중공 원통형 몸체(22)를 가지며, 유체는 이 몸체를 통하여 순환할 수 있다. 개의 요소(20, 21) 각각은 부착 플랜지(23)를 가지며, 이 부착 플랜지는 다른 요소의 부착 플랜지(23)로의 누설 밀봉 연결을 제공한다. 부착 플랜지(23)들은 부착 부재(24)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며, 여기서 특정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 상에 가해질 때 부서지도록 절단 부재는 설계된다.
분리 가능한 요소(20, 21) 각각에는 요소(20, 21)를 분리시켜야 하는 유체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25)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개방 위치와 도 7b에 도시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중공 원통형 몸체(22) 내에서 이동하도록 역류 방지 밸브(25)는 장착된다. 여기서 개방 위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25)는 유체가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25)는 중공 원통형 몸체(22)의 숄더(26)에 대하여 누설 밀봉 접촉을 형성하여 유체의 통과를 방지한다. 역류 방지 밸브(25)는 스프링(27)에 의하여 그들의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더하여, 역류 방지 밸브(25)는 스프링(27)을 압축하기 위한 그리고 역류 방지 밸브(25)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2개의 요소(20, 21)가 연결될 때 서로에 대하여 작용하는 디스크 부재(28)들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한 실시예에서, 열림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도록 역류 방지 밸브가 장착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운송 시스템이 또한 안내 요소(29)를 갖추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서 플렉시블 파이프(8) 상에 당김력이 가해질 때, 이 힘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에 분리 가능한 요소(20, 21)들이 분리되는 방향(d)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플렉시블 파이프(8)가 안내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질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와 운송 라인의 종단(6) 사이에서 연장된다는 것이 보여질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통하여,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8) 상에 가해질 때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분리 방향(d)이 이상적으로 위치된다.
안내 요소(29)는 볼록한 안내 표면(30)을 포함한다. 볼록한 안내 표면(30)은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아치 형상이다.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파이프(8)는 안내 표면(29)에 대하여 가압되며, 그러면 안내 표면은 당김력을 받아들인다. 운송 라인(4)의 종단(6)과 안내 요소(28) 사이에서 연장된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은 그후 긴장 상태 하에서 위치되며 따라서 분리 방향(d)은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접선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당김력은 분리 방향(d)으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 상에 가해진다.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운송 라인(8) 사이의 연결부에서 플렉시블 파이프에 작용하는 휨 응력을 제한하기 위하여, 운송 라인의 종단(6)이 마스트(1)의 말단 단부(7)를 향할 때 볼록한 안내 표면(30)은 마스트(1)의 말단 단부(7)를 향한다. 역으로,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아래에 보여질 바와 같이, 운송 라인의 종단(6)이 마스트(1)의 근접 단부를 향할 때 볼록한 안내 표면(30)의 볼록함은 편리하게 마스트(1)의 근접 단부를 향한다. 더욱이, 운송 라인(1)의 종단(6)은 또한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접선적으로 향해야 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더욱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1)가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위치할 때 플렉시블 파이프(8)가 플렉시블 파이프(8)의 최소한의 허용 가능한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루프(31)를 형성하도록 새들(14)이 매달려 있는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와 안내 요소(29) 사이의 거리(x)가 결정된다.
도 1 내지 도 5는 공급 선박(3)과 클라이언트 선박(5) 사이에서의 유체 운송 동안 운송 시스템을 조작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수축된 위치에서, 마스트(1)는 실질적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된다. 공급 선박(3)과 클라이언트 선박(5)이 함께 계류될 때, 마스트(1)는 이동되며 따라서 그 말단 단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선박(5) 상의 매니폴드(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클라이언트 선박(5)의 갑판 상에 새들(14)을 놓기 위하여 새들(14)을 리프팅시키는 장치가 그후 제어된다. 그러면 플렉시블 파이프(8)가 클라이언트 선박(5)의 매니폴드(11)에 연결되고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 천연가스가 공급 선박(3)과 클라이언트 선박(5)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다.
액화 천연가스의 운송이 끝나면, 마스트(1)는 도 4에 도시된 배수 위치로 이동하며, 이 위치에서 플렉시블 파이프(8)는 마스트(1)에서 클라이언트 선박(4)의 갑판을 향하는 하향 슬로프를 채택하며 따라서 플렉시블 파이프(8) 내에 존재하는 액화 천연가스는 중력에 의하여 클라이언트 선박(5)의 매니폴드(11)를 향하여 흐를 수 있다. 플렉시블 파이프(8)는 그후 클라이언트 선박(5)의 매니폴드(11)에서 분리되며, 그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14)은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어 플렉시블 파이프(8)의 종단을 들어올린다. 마스트(1)는 그후 도 1에 도시된 그의 수축 위치로 복귀된다.
도 9 내지 도 13은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요소(29) 그리고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배치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플렉시블 파이프(8)의 휴지 위치는 실선으로 도시된 반면에, 당김력이 가해질 때의 플렉시블 파이프(8)의 위치는 파선에 의하여 나타내어 진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6 내의 실시예의 도식적인 도면이다.
축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가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에, 즉 운송 라인(4)과 플렉시블 파이프(8) 간의 접합부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도 10의 실시예는 도 9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는 마스트(1)에 대하여 고정된다. 각 안내 부재(29)는 제자리에서 마스트(1)에 부착되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가 분리되는 방향(d)은 실질적으로 접선적으로 볼록한 안내 표면(30)으로 연장된다.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가 안내 부재(29)와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2 종단(10)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도 11의 실시예는 도 9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 운송 라인의 종단(6)이 마스트(1)의 근접 단부(7)를 향하는 길이 방향 요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볼록한 안내 표면(30)의 볼록함은 마스트의 근접 단부를 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분리가 일어날 경우에 플렉시블 파이프(8)의 회수를 돕기 위하여 각 플렉시블 파이프(8)는 부표(4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부표(45)는 비상 분리가 일어날 경우에 바다로 떨어지도록 의도된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 즉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와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2 종단(10) 사이에서 연장된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부표(45)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에 인접한 플렉시블 파이프(8)에 부착된다.
도 14 및 도 15는 2개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부재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는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안내 그루브(32)를 포함한다. 각 그루브(32)는 벽(33)에 의하여 테두리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벽은 플렉시블 파이프(8)가 측면으로 안내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크든 작든 돌출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29)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통로를 위한 개구(33)를 구비한 정점을 갖는 벨(bell)의 중공 부분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한 안내 표면(30)은 비점착성 코팅부로 덮여 있어 볼록한 안내 표면(30)과 플렉시블 파이프(8)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비점착성 코팅부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되도록 그리고 따라서 볼록한 안내 표면(30)과 플렉시블 파이프(8)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안내 표면(30)에는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운송 시스템은 도 16, 도 17 및 도 19에 상세하게 도시된, 비상 분리가 일어난 경우에 플렉시블 파이프(8)가 떨어지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동 장치(34)를 갖추고 있다. 각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하여, 제동 장치(34)는 드럼(35) 및 각 드럼(35)에 부분적으로 감겨진 케이블(36)을 포함하고 있으며, 케이블은 비상 분리 동안에 떨어질지도 모르는 플렉시블 파이프(8) 또는 플렉시블 파이프(8)의 부분에 연결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요소(20)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드럼(35) 각각은 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장치 또는 비복귀 장치(38)에 의하여 샤프트(37)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35)의 회전은 샤프트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야기하는 반면에, 역으로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야기하지 않고 샤프트는 이 제1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 드럼(35)의 케이블은 따라서 독립적으로 풀려질 수 있다.
더욱이, 샤프트(37)는 플렉시블 파이프가 떨어지는 속도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회전 제어 유니트와 관련이 있다. 속도 제어 유니트는 계량 펌프(39)를 포함하며, 이 계량 펌프에는 샤프트(37)에 회전 결합된 로터가 장착되어 있다. 계량 펌프(39)는 정량 밸브와 같은 흐름 조절기(41)가 장착된 폐루프 유압 회로(40)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계량 펌프(39)가 그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는 흐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흐름 조절기 또한 펌프로부터의 흐름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샤프트(37)의 회전 속도 그리고 따라서 플렉시블 파이프(8)의 낙하 속도는 제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이 그의 드럼(35)에서 완전하게 풀려질 때 케이블(36)이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동 장치(34)는 배치된다. 이 작동을 하기 위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한 종단은 케이블(36)이 삽입 및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아이(43; eye)를 구비한 핀(42)에 부착된다. 드럼(35)은 드럼(35)의 원통형 표면 내에 이루어진 그루브(44)를 포함하며, 이 그루브는 드럼(35)의 원통형 표면의 모선(generatrix)을 따라 연장한다. 핀(42)을 수용하도록 그루브(44)는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36)이 완전하게 풀려질 때에만 핀(42)은 드럼(3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상 분리 감지 장치(46)는 제동 장치(4)와 관련이 있다. 감지 장치(46)는 다수의 운동 센서(47)를 포함하며, 드럼의 회전 이동이 감지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각 운동 센서에는 하나의 드럼(35)과 함께 작용하는 롤러가 장착되어 있다. 운동 센서(47)는 처리 유니트(48)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운동 센서(47)가 관련된 드럼(35)의 회전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때 처리 유니트(48)는 운동 센서(47)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감지 시스템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처리 유니트(48)는 특히 비상 분리 직원에게 경고를 주는 경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펌프가 공급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또는 클라이언트 선박에서 공급 선박으로 액화 천연가스를 운송하지 못하게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분리가 발생하는 경우에 펌프를 정지시키는 것은 운송 라인(4) 내에 그리고 유체가 공급 선박에서 클라이언트 선박으로 운송될 때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부분 -즉, 운송 라인(4)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의 종단과 비상 분리 연결 장치 사이의 부분- 내에; 그리고 유체가 클라이언트 선박에서 공급 선박으로 운송될 때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2 부분 -즉 클라이언트 선박 상의 매니폴드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의 종단과 비상 분리 연결 장치 사이의 부분- 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운동 센서(49)가, 드럼의 회전 운동이 운동 센서(49)의 선형 변위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하나의 드럼(35) 상에서 움직이는 콘택트 편(50)과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선형 변위 센서 또는 센서들이라는 점에서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대안적으로, 운동 센서(47)는 또한 자기 센서와 같은 콘택트가 없는 센서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운동 센서(51)는 이미터, 리시버 그리고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센서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센서(51)는 한 종단이 드럼(35)에 부착되고 그리고 따라서 배치되어 드럼(35)이 회전할 때 깨지는 광섬유(52)를 포함하며, 따라서 센서는 드럼(35)의 회전을 감지할 것이다.
본 발명이 다수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면 본 발명은 그들의 조합과 함께 위에서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용어 "포함하는" 또는 "갖는" 그리고 그의 활용형은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또는 단계를 위한 부정 관사의 사용은 다수의 이러한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내의 도면 부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Claims (23)

  1. 선반과 설비 사이에 유체를 운송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 선박(3)의 갑판(3) 상에 선회적으로 창착되도록 의도된 근접 단부 그리고 말단 단부(7)를 포함하는 마스트(1);
    - 마스트(1)를 따라 연장된 유체 운송 라인(4);
    - 유체 운송 라인(4)에 연결된 제1 단부(9) 및 유체 운송 작동 중에 설비의 매니폴드(11)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단부(10)를 포함하되,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가해질 때 분리 방향(d)으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20, 21)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가 장착된 플렉시블 파이프(8); 및
    - 마스트(1)에 의하여 운반되고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볼록한 안내 표면(30)을 포함하는 안내 요소(29)를 포함하되,
    볼록한 안내 표면은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8)를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대하여 가압할 때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 가해지는 플렉시블 파이프(8) 상의 당김력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파이프(8)는 볼록한 당김 표면(30)에 대하여 가압되고, 당김력이 분리 방향(d)으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0)에 가해지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한 요소(20, 21)가 분리되는 분리 방향(d)은 볼록한 안내 표면(30)으로 접선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볼록한 안내 표면(30)은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에 관하여 배치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29)는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서 떨어져 마스트(1) 상에서 움직이며, 시스템은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 매달려 있는 새들(14)을 포함하며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8)를 지지하는 볼록한 상부 표면(30)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새들(14)은 리프팅 장치에 의하여 마스트(1)의 말단 단부(7)에 매달려 있는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29)와 마스트(1)의 말단 단부(7) 사이의 거리는 마스트(1)가 최대로 들어올려진 위치에 위치될 때 플렉시블 파이프(8)가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루프(31)를 안내 요소(29)와 새들(14) 사이에 형성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29)는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한 최소 허용 곡률 반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파이프(8)와 유체 운송 라인(4) 간의 연결 영역에서, 마스트(1)의 축에 관하여 길이 방향 요소를 갖는 유체 운송 라인(4)의 종단 방향에 관하여 유체 운송 라인(4)은 마스트(1)의 말단 단부 또는 근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향하며, 그리고 여기서 볼록한 안내 표면(30)의 볼록함은 마스트의 말단 단부 또는 근접 단부를 향하고, 유체 운송 라인의 종단 방향의 길이 방향의 요소는 마스트를 향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유체 운송 라인(4)의 종단의 방향은 볼록한 안내 표면(30)으로 접선적으로 향하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는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에 위치하여 플렉시블 파이프(8)와 유체 운송 라인(4)을 연결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파이프(8)는 그의 제1 종단(9)과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 사이에서 연장된 제1 플렉시블 부분 및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와 그의 제2 종단(10) 사이에서 연장된 제2 플렉시블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2 플렉시블 부분은 부표(45)와 관련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트(1)를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유체 운송 라인(4) 및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8)를 포함하되, 각 플렉시블 파이프는 유체 운송 라인(4)에 연결된 제1 종단(9), 설비의 매니폴드(11)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종단(10) 및 임계값보다 큰 분리력이 가해질 때 분리 방향(d)으로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20, 21)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를 포함하며,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 작용하는 당김력이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대하여 플렉시블 파이프(8)를 가압할 때 분리 가능한 요소(20, 21)가 분리되는 분리 방향(d)은 볼록한 안내 표면(30)으로 접선적으로 연장되어 당김력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에 분리 방향(d)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 볼록한 안내 표면(30)이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에 관하여 배치된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하여 볼록한 안내 표면(30)은 안내 그루브(32)를 포함하며, 각 안내 그루브(32)는 분리 벽(33)에 의하여 테두리가 이루어진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29)는 플렉시블 파이프(8)의 통과를 위한 개구(30)를 갖춘 정점을 포함하는 중공 벨 부분의 형상인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표면(30)은 비점착성 코팅부로 덮여 있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표면(30)에는 회전하기 위하여 장착된 다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 분리 동안에 플렉시블 파이프(8)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장치(34)를 포함하되, 제동 장치는,
    - 드럼(35);
    - 드럼(36)에 감겨지고 그리고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분리 가능한 요소(20, 21) 중 하나에 또한 부착된 케이블(36);
    - 드럼(36)과 관련되어 회전 운동할 수 있어 케이블(36)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37);
    - 샤프트(37)에 회전 적으로 결합된 로터가 장착된 계량 펌프(39); 및
    - 계량 펌프(39)와 관련되고 그리고 흐름 조절기(41)가 장착된 폐루프 유압 회로(40)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마스트(1)를 따라서 연장된 다수의 유체 운송 라인(4) 및 다수의 플렉시블 파이프(8)를 포함하되, 각 플렉시블 파이프는 유체 운송 라인(4)에 연결된 제1 종단(9), 설비의 매니폴드(11)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제2 종단(10) 및 자동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2개의 요소(20, 21)를 포함하는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를 포함하며, 제동 장치(34)는 각 플렉시블 파이프(8)를 위하여 드럼(35) 및 드럼(35)에 감겨지고 그리고 플렉시블 파이프(8)의 비상 분리 연결 장치(19)의 분리 가능한 요소들 중 어느 하나(20)에 견고하게 부착된 케이블(36)을 포함하고, 각 드럼(35)은 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자유로운 휠을 갖는 장치 또는 비복귀 장치(38)에 의하여 샤프트(37)와 관련이 있어 케이블(36)이 풀려지는 방향으로의 드럼(35)의 회전은 샤프트(37)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그리고 케이블이 풀려지는 방향으로 드럼(37)을 회전시키지 않고 샤프트(37)는 제1 회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케이블의 한 종단은 핀(42)에 부착되어 있으며, 드럼(35)은 핀(42)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44)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동 장치의 드럼(35)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고 그리고 드럼(35)의 회전이 감지될 때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비상 분리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경보 신호 및/또는 유체 운송 라인(4)과 플렉시블 파이프(8)를 통한 선박과 설비 사이의 유체의 운송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펌프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비상 분리 감지 장치(46)가 배치된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송 라인을 갖춘 선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운송 시스템에 의하여 선박과 설비 간에 유체를 운송하는 방법으로서, 운송 작용 중에 당김력이 플렉시블 파이프(8)의 제1 종단(9)과 제2 종단(10) 사이에 가해질 때 플렉시블 파이프(8)가 볼록한 안내 표면(30)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에 마스트(1)가 위치되는 유체 운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파이프가 마스트(1)에서 설비(5)의 매니폴드(11)를 향하는 하향 슬로프를 따라가는 위치로 안에서 마스트(1)가 이동하는 플렉시블 파이프(8)를 배수시키는 작동을 포함하여 플렉시블 파이프 내에 존재하는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흐를 수 있는 유체 운송 방법.
KR1020167028132A 2014-03-24 2015-03-16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KR102301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471A FR3018766B1 (fr) 2014-03-24 2014-03-24 Systeme pour le transfert de fluide entre navire et une installation, telle qu'un navire client
FR1452471 2014-03-24
PCT/FR2015/050628 WO2015145020A1 (fr) 2014-03-24 2015-03-16 Système pour le transfert de fluide entre un navire et une installation, telle qu'un navire cl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493A true KR20160133493A (ko) 2016-11-22
KR102301507B1 KR102301507B1 (ko) 2021-09-14

Family

ID=5093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32A KR102301507B1 (ko) 2014-03-24 2015-03-16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086914B2 (ko)
EP (1) EP3122622B1 (ko)
JP (1) JP6461188B2 (ko)
KR (1) KR102301507B1 (ko)
CN (1) CN106458300B (ko)
AU (1) AU2015238099B2 (ko)
ES (1) ES2674528T3 (ko)
FR (1) FR3018766B1 (ko)
MY (1) MY178828A (ko)
PH (1) PH12016501869A1 (ko)
RU (1) RU2657146C2 (ko)
SG (1) SG11201607823PA (ko)
WO (1) WO20151450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71A (ko) * 2020-04-17 2021-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 화물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8766B1 (fr) * 2014-03-24 2016-04-01 Gaztransp Et Technigaz Systeme pour le transfert de fluide entre navire et une installation, telle qu'un navire client
US10358338B2 (en) * 2016-04-02 2019-07-23 Xuejie Liu Auto-balancing hose system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IT201700008503A1 (it) * 2017-01-26 2018-07-26 Mib Italiana Spa Sistema di supporto anticaduta per tubi flessibili impiegati per il trasferimento di prodotti petroliferi fluidi tra una postazione mobile, in particolare su nave, ed una postazione fissa, in particolare su terra.
KR101973121B1 (ko) * 2017-05-15 2019-04-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딩 호스의 새들 장치
FR3083791B1 (fr) * 2018-07-12 2020-08-28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eme de transfert de gaz liquefie
USD940045S1 (en) * 2020-03-09 2022-01-04 Naval Group Ship mast
FR3109775B1 (fr) * 2020-04-30 2022-04-08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ème de transfert et de drainage gravitationnel d’un gaz sous forme liqu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437A (ko) * 1998-01-30 2001-05-15 내비언 에이에스에이 Lng 적재 운송 시스템
US20100263389A1 (en) * 2009-04-17 2010-10-21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Dockside Ship-To-Ship Transfer of LNG
JP2012158337A (ja) * 2011-01-28 2012-08-23 Niigata Loading Systems Ltd 船舶受渡し用流体荷役装置並びに搬送ボート
US8490565B1 (en) * 2011-02-11 2013-07-23 Atp Oil & Gas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and moving liquefied natural gas with dynamic posit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616A (en) * 1977-03-04 1978-10-24 Fmc Corporation Articulated fluid loading arm
US4135543A (en) * 1977-11-17 1979-01-23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Hose storage and supply apparatus
US4315533A (en) * 1978-06-30 1982-02-16 Gec Mechanical Handling Limited Transfer systems
US4261398A (en) * 1979-06-13 1981-04-14 Fmc Corporation Deepwater offshore loading apparatus
US4393906A (en) * 1979-10-01 1983-07-19 Fmc Corporation Stern to bow offshore loading system
FR2487807B1 (fr) * 1980-08-04 1985-11-15 Fmc Europe Procede et agencement hydromecanique permettant, notamment, le degagement d'un bras articule de transfert de produits fluides, en deconnexion d'urgence
JPS57123800U (ko) * 1981-01-23 1982-08-02
JPS60122761U (ja) * 1984-01-27 1985-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ホ−ス類の支持装置
JPS60122762U (ja) * 1984-01-30 1985-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ホ−ス支持装置
NL8602526A (nl) * 1986-10-08 1988-05-02 Single Buoy Moorings Werkeiland, dat door middel van op trek belaste spanorganen is verankerd en is voorzien van middelen voor het afmeren van een schip.
JPH08312669A (ja) * 1995-05-17 1996-11-26 Saitou Tomonao 緊急時密封容易なカプリング装置
NO312715B1 (no) * 1999-10-27 2002-06-24 Statoil Asa System for offshore overför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EP1308384B1 (en) * 2001-08-06 2006-01-11 Single Buoy Moorings Inc. Hydrocarbon fluid transfer system
WO2003076262A2 (en) * 2002-03-08 2003-09-18 Fmc Technologies, Inc. Disconnectable mooring system and lng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7810520B2 (en) * 2003-05-05 2010-10-12 Single Buoy Moorings Inc. Connector for articulated hydrocarbon fluid transfer arm
CN1946606B (zh) * 2004-04-29 2010-11-10 辛格尔浮筒系船公司 并列式碳氢化合物转移系统
WO2007113201A1 (en) * 2006-03-30 2007-10-11 Single Buoy Moorings Inc.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AP3660A (en) * 2010-08-13 2016-04-08 Horton Do Brasil Technologia Offshore Ltda Offshore fluid offloading systems and methods
JP5688843B2 (ja) * 2011-02-02 2015-03-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R2971762B1 (fr) * 2011-02-22 2015-05-01 Technip France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notamment du gaz de petrole liquefie entre une premiere installation de surface et une deuxieme installation de surface
FR2973771B1 (fr) * 2011-04-11 2015-07-17 Fmc Technologies Sa Systeme et procede de transfert de fluide offshore
FR3018766B1 (fr) * 2014-03-24 2016-04-01 Gaztransp Et Technigaz Systeme pour le transfert de fluide entre navire et une installation, telle qu'un navire cli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437A (ko) * 1998-01-30 2001-05-15 내비언 에이에스에이 Lng 적재 운송 시스템
US20100263389A1 (en) * 2009-04-17 2010-10-21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Dockside Ship-To-Ship Transfer of LNG
JP2012158337A (ja) * 2011-01-28 2012-08-23 Niigata Loading Systems Ltd 船舶受渡し用流体荷役装置並びに搬送ボート
US8490565B1 (en) * 2011-02-11 2013-07-23 Atp Oil & Gas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and moving liquefied natural gas with dynamic position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71A (ko) * 2020-04-17 2021-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유체 화물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6195A1 (en) 2017-04-06
CN106458300B (zh) 2018-09-28
RU2016140525A3 (ko) 2018-04-25
ES2674528T3 (es) 2018-07-02
KR102301507B1 (ko) 2021-09-14
FR3018766A1 (fr) 2015-09-25
EP3122622B1 (fr) 2018-05-09
RU2657146C2 (ru) 2018-06-08
US10086914B2 (en) 2018-10-02
MY178828A (en) 2020-10-20
PH12016501869A1 (en) 2016-12-19
RU2016140525A (ru) 2018-04-25
FR3018766B1 (fr) 2016-04-01
SG11201607823PA (en) 2016-11-29
EP3122622A1 (fr) 2017-02-01
JP2017510495A (ja) 2017-04-13
AU2015238099A1 (en) 2016-10-06
WO2015145020A1 (fr) 2015-10-01
AU2015238099B2 (en) 2018-06-28
JP6461188B2 (ja) 2019-01-30
CN106458300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3493A (ko) 선박과 클라이언트 선박과 같은 설비 간의 유체 운송을 위한 시스템
KR102002182B1 (ko)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345B1 (ko) 이동선박 및 해안설치물 사이의 유체 생산품 운송 시스템
CN106061831B (zh) 用于传输lng和/或电力的传输结构、传输系统和方法
CN105209336A (zh) 用于柔性管道的搬运系统
KR102348628B1 (ko) 플로팅 베슬을 위한 무어링 조립체
EP3484762B1 (en) Coupling system for transfer of hydrocarbons at open sea
CN111372847B (zh) 在并排布置的两艘船之间输送低温制品的系统
US8827596B2 (en) Hois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bandoning and/or recovering an underwater pipeline from a laying vessel, and lay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hoisting assembly
WO2019077058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LEXIBLE LINE ON A SURFACE INSTALLATION AND ASSOCIATED METHOD
AU2011213355B2 (en) System for handling a transfer device
NO780443L (no) Slangelagrings- og forsyningsinnretning
CN104044703A (zh) 用于在船和装于船中的转台结构之间传送流体的传送组件
US11987328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OA18195A (en) Deformable coupling device for underwater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