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107A -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107A
KR20210116107A KR1020200032847A KR20200032847A KR20210116107A KR 20210116107 A KR20210116107 A KR 20210116107A KR 1020200032847 A KR1020200032847 A KR 1020200032847A KR 20200032847 A KR20200032847 A KR 20200032847A KR 20210116107 A KR20210116107 A KR 2021011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oom
living room
bedroom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건설
Priority to KR1020200032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107A/ko
Publication of KR2021011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는, 평면 상에서 소정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하고,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을 정의할 때, 주방 좌측벽과 주방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주방, 상기 주방 좌측벽에서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1 침실 좌측벽과 상기 주방 좌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1 침실, 및 상기 주방의 하측에 배치되되, 거실 좌측벽과 거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거실을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침실 좌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좌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좌측벽이 위치되고, 상기 주방 우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우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우측벽이 위치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평면구조{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한 세대 내에 여러 개의 침실, 주방 및 거실을 포함한다. 이들 중 거실은 가족이 일상 모여 생활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거실에는 TV와 소파가 배치될 수 있다. TV와 소파는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거실에는 테이블이 배치될 수도 있다. 테이블에 여러 사람이 둘러앉기 위해서는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실은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면적 내에서 광폭(廣幅)의 거실을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
그리고 공동주택에는 세탁기나 보일러의 설치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용도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용도실을 본래의 목적에 맞도록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용도실이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정해진 면적 내에서 광폭의 다용도실을 구현하는 것도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광폭(廣幅)의 거실을 구현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광폭의 다용도실을 구현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수납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접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는, 평면 상에서 소정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하고,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을 정의할 때, 주방 좌측벽과 주방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주방, 상기 주방 좌측벽에서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1 침실 좌측벽과 상기 주방 좌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1 침실, 및 상기 주방의 하측에 배치되되, 거실 좌측벽과 거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거실을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침실 좌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좌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좌측벽이 위치되고, 상기 주방 우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우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우측벽이 위치되게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 좌측벽이 상기 좌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상기 좌측 경계선보다 좌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 우측벽이 상기 우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상기 우측 경계선보다 우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실의 좌측에는 현관에 인접하게 제3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침실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진입 가능한 발코니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코니의 우측에는 상기 발코니에서 접근 가능한 대피공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발코니의 좌측벽은 상기 거실 우측벽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대피공간의 우측벽은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다용도실에는 상기 다용도실을 정의하는 다용도실 외벽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다용도실 내에서 다용도실 내벽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는 실외기 설치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다용도실 외벽에는 실외기 설치실 환기를 위해 레버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그릴창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다용도실 내벽에는 난연재나 불연재로 형성되는 미닫이문과 난연재나 불연재로 형성되는 방충망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상기 주방 우측벽과 상기 주방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다용도실은, 상기 다용도실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다용도실 우측벽이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접근 가능한 드레스룸과 욕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상기 주방 우측벽과 상기 주방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접근 가능한 드레스룸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드레스룸의 좌측에는 상기 드레스룸에서 접근 가능한 욕실이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다용도실 우측벽과 상기 드레스룸의 우측벽은,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의 내부에는 상기 거실 좌측벽에 인접하게 거실장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장은, 상기 거실 좌측벽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거실장은, 상기 거실 좌측벽의 상측 말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판, 상기 상측판의 우측 말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거실장을 개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우측판, 상기 우측판의 하측 말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측판보다 짧게 구비되는 하측판, 및 상기 하측판의 좌측 말단에서 상기 거실의 하측 말단을 정의하는 거실 하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측판과 상기 연장판에 의해, 상기 거실 하측벽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내에 설치되는 커튼 레일의 좌측 말단이 설치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 제1 침실 및 거실을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광폭의 거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침실 및 다용도실을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광폭의 다용도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실 내에 거실장이 제공되기 때문에 수납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접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조가 적용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공용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로비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 중의 다용도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욕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평면구조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평면구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조가 적용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도이다. 도 1의 평면도에는 4개의 세대(10A, 10B, 10C, 10D)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세대(10A와 10B 또는 10C와 10D)에는 로비를 포함하는 별도의 공용부분(20A, 20B)이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도 1 중의 공용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특히 도 2는 도 1의 세대(10A)와 세대(10B) 사이에 마련되는 공용부분(20A)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선 소정의 평면 상에서 소정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하고, 위의 평면 상에서 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그리고 상측과 하측을 정의한다.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좌측과 우측 또는 상측과 하측은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20A)는, 로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로비(110), 복도(120), 승강기 승강로(130) 및 비상계단(140)을 포함한다.
로비는 호텔이나 극장 따위에서 응접실, 통로 등을 겸한 넓은 공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로비(110)는 공동주택의 1층에 배치되어 공동주택의 외부로 접근 가능하게 구비된다. 로비(110)는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1층에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는 호텔과 유사하게 공동주택 1층에 로비(110)를 마련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를 채택한 공동주택의 경우 호텔의 로비에서 그러는 바와 같이 거주자나 방문자가 공동주택 1층의 로비(110)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로비(110)는 거주자나 방문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공동주택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복도(120)는 로비(1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동주택의 1층에 배치되어 있는 세대의 현관(V1 또는 V2)과 로비(110)를 연결한다. 복도(120)의 좌측과 우측 중의 어느 하나에는 승강기 승강로(130)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비상계단(140)이 배치된다. 도 2에는 복도(120)의 좌측에 승강기 승강로(130)가 배치되고 복도(120)의 우측에 비상계단(140)이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거주자나 방문자는 공동주택의 외부에서 공동주택 1층의 로비(110)로 진입한 후 승강기 승강로(130)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기에 탑승하여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거나, 비상계단(140)을 걸어 올라가서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1층에 위치하는 세대로 진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도(120)는 하측 말단에서 적어도 2개 세대의 현관(V1, V2)으로 접근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로비(1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변을 각각 상측변, 좌측변, 우측변 및 하측변이라 하고, 상측변, 좌측변 및 우측변에 각각 대응되어 로비(110)를 정의하는 3개의 벽면을 각각 상측벽면(111), 좌측벽면(112) 및 우측벽면(113)이라 한다.
위와 같이 정의할 때 상측벽면(111)과 좌측벽면(11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全面)에는 자연 채광을 위해 유리창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측벽면(111)의 전면에 유리창이 설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벽면의 전체를 유리창으로 형성하면 자연 채광과 호텔식의 외관 형성에 유리하다.
로비(110)의 우측벽면(113)에는 공동주택의 외부로 접근하기 위한 개폐 도어(115)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측벽면(111)의 전체에 유리창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로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로비(110)의 좌측벽면(112)에는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로비(110)의 우측벽면(113)에는 개폐 도어(115)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로비(110)에는 소파나 테이블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비(110')의 상측벽면(111')에 개폐 도어(115')가 마련될 수 있고, 상측벽면(111)의 전면(全面) 중 개폐 도어(11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유리창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로비의 다른 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한편, 로비(110)로부터 하측으로 곧게 현관(V1, V2)까지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영역으로서 로비(110)와 동일 폭을 갖는 영역을 상정할 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도(120)는 위의 영역 중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승강기 승강로(130)는 위의 영역 중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비상계단(140)은 복도(120)의 우측으로서 위의 영역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로비(110), 복도(120), 승강기 승강로(130) 및 비상계단(140)을 배치하면,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영역 내에 로비(110) 등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공간 효율적일 수 있다.
승강기 승강로(130)가 마련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4개의 벽들(131~134) 중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31)과, 비상계단(140)이 마련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4개의 벽들(141~144) 중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41)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동주택의 1층에는 공동 현관이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공동 현관(150)은 로비(110)의 우측으로서 비상계단(1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세대는 도 1의 세대(10A)의 위층에 배치되는 세대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는 주방(210), 제1 침실(220) 및 거실(230)을 포함한다.
주방은 음식을 만들거나 차리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주방은 식사를 하기 위한 식당을 겸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주방(210)은 주방 좌측벽(211)과 주방 우측벽(212) 사이에서 정의된다. 본 실시예의 벽은 공동주택 내부의 칸막이벽, 내벽과 외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벽은 단일의 벽과 이중의 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침실은 주로 잠을 자기 위한 방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침실(220)은 잠을 자기 위한 방과 책을 읽기 위한 서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2 침실(240)과 제3 침실(251)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제1 침실(220)은 주방(210)의 좌측에 배치되며, 제1 침실 좌측벽(221)과 주방 좌측벽(211) 사이에서 정의된다. 제1 침실 좌측벽(221)은 주방 좌측벽(211)에서 좌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벽이다.
거실은 가족이 일상 모여 생활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본 실시예의 거실(230)은 주방(2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거실 좌측벽(231)과 거실 우측벽(232) 사이에서 정의된다.
제1 침실 좌측벽(221)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을 좌측 경계선이라 하고, 주방 우측벽(212)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을 우측 경계선이라 할 때, 본 실시예의 거실(230)은, 거실 좌측벽(231)이 좌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거실 우측벽(232)이 우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되게, 배치된다. 좌측 경계선은 제1 침실 좌측벽(221)의, 침실을 바라보는 내면에서 그어지는 연장선으로부터 정의될 수 있고, 우측 경계선은 주방 우측벽(212)의, 주방(210)을 바라보는 내면에서 그어지는 연장선으로부터 정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방(210), 제1 침실(220) 및 거실(230)이 배치되면 광폭(廣幅)의 거실(230)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거실(230)의 폭이 주방(210)의 폭과 제1 침실(220)의 폭을 합한 폭과 거의 같거나 이보다 클 수도 있어, 거실(230)의 폭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거실(230)은, 거실 좌측벽(231)이 좌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좌측 경계선보다 좌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거실(230)은, 거실 우측벽(232)이 우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우측 경계선보다 우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거실 좌측벽(231)이 좌측 경계선에 일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거실 좌측벽(231)의, 거실(230)을 바라보는 내면 상에 좌측 경계선이 위치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거실(230)에는 욕실(T)과 팬트리(P), 그리고 냉장고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R) 등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거실(230)의 우측에는 제2 침실(2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거실(230)의 좌측에는 현관(V3)에 인접하게 제3 침실(25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침실(240)은 거실 우측벽(232)과 제2 침실 우측벽(242) 사이에서 정의된다. 여기서 제2 침실 우측벽(242)은 거실 우측벽(232)에서 우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벽을 말한다. 제2 침실(240)의 하측에는 제2 침실(240)에서 진입 가능한 발코니(26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발코니(260)의 우측에는 발코니(260)에서 접근 가능한 대피공간(27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발코니(260)의 좌측벽(261)은 거실 우측벽(232)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고, 대피공간(270)의 우측벽(272)은 제2 침실 우측벽(242)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침실(240), 발코니(260) 및 대피공간(270)을 배치하면, 발코니(260)와 대피공간(270)을 공간 효율적으로 제2 침실(240)의 가로 범위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코니(260)의 좌측벽(261)이 거실 우측벽(232)에 대응되게 위치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거실 우측벽(232)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가상의 선에 인접하게 발코니(260)의 좌측벽(261)이 위치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주방(210)의 우측에는 다용도실(28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다용도실(280)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외기(E)가 설치되는 실외기 설치실(285)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6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 중의 다용도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외기 설치실(285)은 다용도실(280)을 정의하는 다용도실 외벽(282, 283)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외기 설치실(285)은 다용도실(280) 내의 공간으로서, 다용도실(280) 내에서 다용도실 내벽(286)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용도실 외벽(283)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레버(미도시)에 의해서 개폐가 조절되는 그릴창(289)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외기 설치실(285)의 내부는 공동주택의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릴창(289)은 PVC로 형성될 수 있다. 다용도실 내벽(286)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미닫이문(287)과 방충망(288)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주자는 다용도실(280)에서 실외기 설치실(285)로 접근할 수 있다. 화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미닫이문(287)과 방충망(288)은 난연재나 불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다용도실(28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주방 우측벽(212)과, 주방 우측벽(212)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282)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다용도실(280)은, 제2 침실 우측벽(242)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다용도실 우측벽(282)이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침실(240) 및 다용도실(280)이 배치되면 광폭(廣幅)의 다용도실(280)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다용도실(280)의 폭이 제2 침실(240)의 폭과 거의 같을 수 있어, 다용도실(280)의 폭을 충분히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침실(240)과 다용도실(280) 사이에는 제2 침실(240)에서 접근 가능한 드레스룸(252)과 욕실(253)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욕실(253)은 드레스룸(252)에서 접근 가능하게 드레스룸(252)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용도실 우측벽(282)과 드레스룸의 우측벽(254)은, 제2 침실 우측벽(242)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침실(240), 드레스룸(252), 욕실(253) 및 다용도실(280)을 배치하면 드레스룸(252)과 욕실(253) 및 다용도실(280)을 공간 효율적으로 제2 침실(240)의 가로 범위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거실(230)의 내부에는 도 5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거실 좌측벽(231)에 인접하게 거실장(29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거실장(290)이 거실(230) 내에 제공되면, 거주자가 일상 거실(230)에 머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납공간인 거실장(290)에 대한 거주자의 접근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인 거실(230)에 거실장(290)을 크게 마련할 수 있어, 수납공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의 경우 광폭의 거실(230)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거실장(290)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거실(230)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5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거실장(290)은 거실 좌측벽(23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거실장(290)은, 거실 좌측벽(231)의 상측 말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판(291), 상측판(291)의 우측 말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거실장(290)을 개폐하는 도어(296)가 마련되는 우측판(292), 우측판(292)의 하측 말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되 상측판(291)보다 짧게 구비되는 하측판(293), 및 하측판(293)의 좌측 말단에서 거실(230)의 하측 말단을 정의하는 거실 하측벽(233)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판(29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293)과 연장판(294)에 의해, 거실 하측벽(233)에 인접하게 거실(230) 내에 설치되는 커튼 레일(C)의 좌측 말단이 설치되는 공간(S)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선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세대는 도 1의 세대(10D)의 위층에 배치되는 세대일 수 있다. 이하에선 실시예 2의 평면구조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의 평면구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의 평면구조는 드레스룸(352), 욕실(353) 및 다용도실(380)의 배치에 있어 실시예 2의 평면구조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2의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용도실(280)의 우측벽(282)과 드레스룸(252)의 우측벽(254)이, 제2 침실(240)의 우측벽(242)에 의해 정의되는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반해서 실시예의 3의 경우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용도실(380)의 우측벽(382), 드레스룸(352)의 우측벽(354)과 욕실(353)의 우측벽이 소정의 사선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선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그리고 이하에선 실시예 2의 평면구조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의 평면구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는 주방(210), 제1 침실(220), 거실(230), 제2 침실(240), 드레스룸(452) 및 욕실(453)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의 욕실(453)은 분리형 욕실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욕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욕실(453)은, 좌변기와 샤워기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제1 영역(453a), 세면대가 설치되는 제2 영역(453b), 좌변기와 샤워기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는 제3 영역(453c), 및 제1 내지 제3 영역(453a~453c)을 각각 구획하기 위한 2개의 칸막이(456a, 456b)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좌변기의 영역, 세면대의 영역 및 샤워기의 영역을 분리하면 위생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샤워기가 설치되는 영역에는 욕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욕실(453)에 대해 상술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영역(453a)의 우측에 제2 영역(453b)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453b)의 우측에 제3 영역(453c)이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제1 영역(453a)과 제2 영역(453b)의 사이에 제1 칸막이(456a)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453b)과 제3 영역(453c)의 사이에 제2 칸막이(456b)가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세면대의 영역이 중앙에 배치되면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욕실(453) 중 가장 빈번하게 접근하는 것이 세면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접근성의 향상은 매우 유의미하다.
위의 좌측과 우측은 보는 방향에 따라 상대적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는 제1 영역(453a)의 하측에 제2 영역(453b)이 배치되고, 제2 영역(453b)의 하측에 제3 영역(453c)이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칸막이(456a, 456b)에는 ㄷ 자 단면을 갖는 손잡이(457a, 457b)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457a, 457b)는 칸막이(456a, 456b)가 구획하는 영역을 향해 돌출되게 칸막이(456a, 456b)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457a, 457b))가 마련되면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칸막이(456a, 456b)는 각각의 영역을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칸막이(456a, 456b)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각각의 영역(453a~453c)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칸막이(456a)에는 제2 영역(453b)에서 제1 영역(453a)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는 제1 도어(458a)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칸막이(456b)에는 제2 영역(453b)에서 제3 영역(453c)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는 제2 도어(458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마련되면 각각의 영역이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드레스룸(452)은 드레스룸 좌측벽(452a)과 드레스룸 우측벽(452b) 사이에서 정의될 있다. 이때 드레스룸 우측벽(452b)은 제2 침실 우측벽(242)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침실 우측벽(242)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연장선 상에 드레스룸 우측벽(452b)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욕실(453)은 드레스룸 우측벽(452b)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욕실(453)은 제1 내지 제3 영역(453a~453c)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대로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드레스룸(452)의 우측에 욕실(453)이 배치되되, 욕실(453)의 제1 영역(453a)의 하측에 제2 영역(453b)이 위치되고, 제2 영역(453b)의 하측에 제3 영역(453c)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주방(210)의 우측에는 주방 우측벽(212)과, 주방 우측벽(212)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482) 사이에서 정의되는 다용도실(48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드레스룸 우측벽(452b)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욕실(453)의 우측벽(459)은 다용도실 우측벽(482)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욕실(453)의 우측벽(459)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연장선 상에 다용도실 우측벽(482)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간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실(230)은, 실시예 2의 거실(230)과 유사하게, 제1 침실 좌측벽(221)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좌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거실 좌측벽(231)이 위치되고, 주방 우측벽(212)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우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거실 우측벽(232)이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평면구조는 광폭의 거실(230)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거실(230)의 좌측에는 현관(V3)에 인접하게 제3 침실(25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A, 10B, 10C, 10D: 공동주택의 세대
20A, 20B: 로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공용부분
110: 로비
111: 상측벽면
112: 좌측벽면
113: 우측벽면
115: 개폐 도어
120: 복도
130: 승강기 승강로
131~134: 승강기 승강로가 마련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벽들
140: 비상계단
141~144: 비상계단이 마련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벽들
150: 공동 현관
210: 주방
211: 주방 좌측벽
212: 주방 우측벽
220: 제1 침실
221: 제1 침실 좌측벽
230: 거실
231: 거실 좌측벽
232: 거실 우측벽
233: 거실 하측벽
240: 제2 침실
242: 제2 침실 우측벽
251: 제3 침실
252: 드레스룸
253: 욕실
254: 드레스룸의 우측벽
260: 발코니
261: 발코니의 좌측벽
270: 대피공간
272: 대피공간의 우측벽
280: 다용도실
282: 다용도실 외벽 (다용도실 우측벽)
283: 다용도실 외벽
285: 실외기 설치실
286: 다용도실 내벽
287: 미닫이문
288: 방충망
289: 그릴창
290: 거실장
291: 상측판
292: 우측판
293: 하측판
294: 연장판
296: 도어
452: 드레스룸
452a: 드레스룸 좌측벽
452b: 드레스룸 우측벽
453: 욕실
453a~453c: 제1 내지 제3 영역
456a, 456b: 칸막이
457a, 457b: 손잡이
458a, 458b: 도어
459: 욕실의 우측벽
480: 다용도실
482: 다용도실 우측벽
V1, V2, V3: 현관

Claims (14)

  1. 평면 상에서 소정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하고,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을 정의할 때,
    주방 좌측벽과 주방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주방;
    상기 주방 좌측벽에서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1 침실 좌측벽과 상기 주방 좌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1 침실; 및
    상기 주방의 하측에 배치되되, 거실 좌측벽과 거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거실을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침실 좌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좌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좌측벽이 위치되고, 상기 주방 우측벽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우측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우측벽이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 좌측벽이 상기 좌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상기 좌측 경계선보다 좌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 우측벽이 상기 우측 경계선에 일치되게 또는 상기 우측 경계선보다 우측에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거실의 좌측에는 현관에 인접하게 제3 침실이 더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침실의 하측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진입 가능한 발코니가 더 배치되고,
    상기 발코니의 우측에는 상기 발코니에서 접근 가능한 대피공간이 더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의 좌측벽은 상기 거실 우측벽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대피공간의 우측벽은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다용도실에는 상기 다용도실을 정의하는 다용도실 외벽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또한 상기 다용도실 내에서 다용도실 내벽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되는 실외기 설치실이 더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실 외벽에는 레버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는 그릴창이 설치되고,
    상기 다용도실 내벽에는 난연재나 불연재로 형성되는 미닫이문과 난연재나 불연재로 형성되는 방충망이 설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상기 주방 우측벽과 상기 주방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다용도실은, 상기 다용도실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상기 다용도실 우측벽이 위치되게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접근 가능한 드레스룸과 욕실이 더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우측에는 상기 거실 우측벽과 상기 거실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2 침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제2 침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주방의 우측에는 상기 주방 우측벽과 상기 주방 우측벽에서 우측으로 이격되는 다용도실 우측벽 사이에서 정의되는 다용도실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침실에서 접근 가능한 드레스룸이 더 배치되고,
    상기 드레스룸의 좌측에는 상기 드레스룸에서 접근 가능한 욕실이 상기 제2 침실과 상기 다용도실의 사이에 더 배치되고,
    상기 다용도실 우측벽과 상기 드레스룸의 우측벽은, 상기 제2 침실 우측벽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말단 경계선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실의 내부에는 상기 거실 좌측벽에 인접하게 거실장이 더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실장은, 상기 거실 좌측벽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거실장은,
    상기 거실 좌측벽의 상측 말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판;
    상기 상측판의 우측 말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거실장을 개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우측판;
    상기 우측판의 하측 말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측판보다 짧게 구비되는 하측판; 및
    상기 하측판의 좌측 말단에서 상기 거실의 하측 말단을 정의하는 거실 하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판과 상기 연장판에 의해, 상기 거실 하측벽에 인접하게 상기 거실 내에 설치되는 커튼 레일의 좌측 말단이 설치되는 공간이 제공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KR1020200032847A 2020-03-17 2020-03-17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KR20210116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47A KR20210116107A (ko) 2020-03-17 2020-03-17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47A KR20210116107A (ko) 2020-03-17 2020-03-17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107A true KR20210116107A (ko) 2021-09-27

Family

ID=7792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847A KR20210116107A (ko) 2020-03-17 2020-03-17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1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099B2 (ja) 住宅
JP2015083755A (ja) 建物
JP3140203U (ja) 住宅
KR20210116107A (ko)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JP6897644B2 (ja) 住宅の屋内構造
KR20210116114A (ko) 분리형 욕실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평면구조
KR20210116117A (ko) 로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1층의 평면구조
JP2023051007A (ja) 住宅構造
JP2022139205A (ja) 住戸構造
KR20210081074A (ko)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상가의 설계구조
JP4279742B2 (ja) 建物
JP3230398U (ja) 住宅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7488411B1 (ja) 住宅
KR102538684B1 (ko)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JP2023149621A (ja) 住宅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JP3034976B2 (ja) 建築構造
JP3212344U (ja) 建物
JP2023034357A (ja) 床下収納型建築構造物
JP2023108134A (ja) 多世帯住宅
KR200380653Y1 (ko) 아파트의 구조물
JP2008266932A (ja) 二世帯住宅構造
JPH06346611A (ja) 集合住宅用建築物
JP2008214949A (ja) 住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