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860A - 제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860A
KR20210114860A KR1020210022138A KR20210022138A KR20210114860A KR 20210114860 A KR20210114860 A KR 20210114860A KR 1020210022138 A KR1020210022138 A KR 1020210022138A KR 20210022138 A KR20210022138 A KR 20210022138A KR 20210114860 A KR20210114860 A KR 2021011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refrigerating
freezing
refrigera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190B1 (ko
Inventor
찌야홍 루
찌야허 루
Original Assignee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프로어드밴서 로지스틱스 테크놀로지 (쑤저우)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1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4Stationary cabinets
    • F25D3/04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 캐비닛, 냉장/냉동 기구, 제냉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는 제냉 시스템을 제공하되,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통되어,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고; 상기 냉장/냉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키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빙 캐비닛 또는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온 차량을 사용하여 물품을 운송할 수 있으며, 배송 비용을 대폭 절감시킨다.

Description

제냉 시스템{REFRIG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제냉 설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제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 거래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물류 분야가 급상승하고 있으며, 신속성, 안정성은 물류 분야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요구이다. 콜드 체인 물류는 보다 특수한 물류 분야로서, 그 운송되는 상품은 0℃ 내지 5℃ 또는 -10℃ 내지 -18℃에서 보관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으로 냉장/냉동 차량을 사용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운송하는 바, 냉동식품, 유제품, 야채 과일, 백신 약품 등의 운송을 예로 들 수 있다. 흔히 보이는 냉장/냉동 차량 내에는 제냉 기기인 제냉장치, 보온 컨테이너(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 재료,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컬러 강판,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구성)와 차량 컨테이너 내 온도 계측기 등의 부재가 장착된다. 냉장/냉동 차량의 보온 컨테이너는 밀폐되어 내부와 외계의 열량 교환이 감소되어야 하며, 차량 컨테이너 내 온도 계측기는 실시간으로 차량 컨테이너 내의 온도를 계측하고 표시하며, 제냉 설비는 보온 컨테이너와 연통되어 지속적으로 제냉을 제공하여, 물품이 수납된 보온 컨테이너 내부가 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확보한다.
하지만, 상술한 방식은 보온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냉장/냉동 차량으로 운송하여야 하며, 운송 비용이 보다 높다.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이 상온 차량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하여, 배송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제냉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빙 캐비닛, 냉장/냉동 기구, 제냉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는 제냉 시스템을 제공하되,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통되어,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고; 상기 냉장/냉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킨다.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빙 캐비닛 또는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제냉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축냉 모듈 상에 상기 축냉 모듈의 내외 양측을 연통시키는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제빙 캐비닛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의 포트와 상기 제빙 캐비닛 사이는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배관 내에는 상기 축냉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른다.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을 냉각시킨다.
상술한 제냉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의 포트는 밀폐 상태이다.
상술한 제냉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빙 캐비닛 내에 장착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장착 프레임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의 박스 본체의 내벽에 축냉통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축냉통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 및 상기 외부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제냉을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 상기 냉매가 수용된다.
상기 포트는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설치된 액체 입구 및 액체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를 상기 간극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가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액체 입구에 가까운 일단 및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액체 출구에 가까운 일단에 신속 커플러가 설치된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축냉 모듈은 통풍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가스 입구 및 가스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은 상기 축냉 모듈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통풍 배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되; 상기 가스 입구는 상기 통풍 배관 내로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스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와 연통되는 중간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모듈은 증발기 및 각각 상기 증발기의 양단에 설치된 제1 송풍기 및 제2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냉 설비와 연통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바람과 상기 제냉 설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열교환시켜, 상기 제2 송풍기가 열교환된 바람을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 내부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술한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냉장치는 제1 제냉 호스트 및 상기 제1 제냉 호스트와 연통되는 제2 제냉 호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냉 호스트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기체 상태의 제냉제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로 제공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기체 상태의 제냉제가 열량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냉제로 변환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제냉 호스트는 열교환기 및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일단은 상기 응축기와 연통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타단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액체 상태의 제냉제와 상기 물탱크 내의 상기 냉매를 열교환시킨다.
본 발명의 제냉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제냉 시스템은 제빙 캐비닛, 냉장/냉동 기구, 제냉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냉을 수행한다. 상기 냉장/냉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키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빙 캐비닛 또는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된다.
비운송 과정에서, 제냉장치와 제빙 캐비닛 및 냉장/냉동 기구를 동시에 연통시키고, 축냉 모듈을 제빙 캐비닛 내에 설치함으로써, 제빙 캐비닛 내의 축냉 모듈에 대한 제냉 및 냉장/냉동 기구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구현할 수 있다. 운송 과정에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냉장/냉동 기구로부터 분리시키고,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운송 차량에 장착한 후, 축냉 모듈을 냉장/냉동 보온 박스의 축냉통 내에 설치함으로써, 운송 과정에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 내의 물품에 대한 냉장/냉동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온 차량을 통해 물품을 운송할 수 있으며, 최대한으로 배송 비용을 절감시킨다.
본 발명의 구조 및 그 기타 발명의 목적과 유리한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을 기초로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냉장치의 제1 제냉 호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냉장치의 제2 제냉 호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빙 캐비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축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냉장/냉동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냉장/냉동 기구의 중간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지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재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부재를 나타낸다.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초 상에서, 당업자에 의해 진보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어진 모든 기타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특별히 설명하면,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냉장치의 제1 제냉 호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냉장치의 제2 제냉 호스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제빙 캐비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축냉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냉장/냉동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냉 시스템의 냉장/냉동 기구의 중간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냉 시스템(100)을 제공하며, 상기 제냉 시스템(100)은 제빙 캐비닛(2), 냉장/냉동 기구(3), 제냉장치(1)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4)을 포함하되, 제냉장치(1)는 제빙 캐비닛(2) 및 냉장/냉동 기구(3)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제빙 캐비닛(2)과 냉장/냉동 기구(3) 중 적어도 하나를 제냉시킨다.
예를 들어, 제냉장치(1)는 제빙 캐비닛(2)에만 연통되어, 제빙 캐비닛(2)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고, 냉장/냉동 기구(3)에만 연통되어, 냉장/냉동 기구(3)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제빙 캐비닛(2)과 냉장/냉동 기구(3)에 연통되어, 동시에 제빙 캐비닛(2)과 냉장/냉동 기구(3)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냉장치(1)는 제1 제냉 호스트(11) 및 제1 제냉 호스트(11)와 연통되는 제2 제냉 호스트(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냉 호스트(11)는 압축기(111) 및 압축기(111)와 연통되는 응축기(112)를 포함하고, 압축기(111)는 기체 상태의 제냉제를 압축시켜 응축기(112)로 공급하고, 응축기(112)는 기체 상태의 제냉제가 열량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냉제로 변환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냉 호스트(12)는 열교환기(121)와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122)를 포함하되, 열교환기(121)의 일단은 응축기(112)와 연통되고, 열교환기(121)의 타단은 물탱크(122)와 연통되며, 열교환기(121)는 액체 상태의 제냉제와 물탱크(122) 내의 냉매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제2 제냉 호스트(12) 상에는 펌프(123)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펌프(123)를 통해 냉매를 제냉장치(1)와 제빙 캐비닛(2)를 연통시키는 배관 및/또는 제냉장치(1)와 냉장/냉동 기구(3)를 연통시키는 배관으로 펌펑하여, 제빙 캐비닛(2)과 냉장/냉동 기구(3)에 대한 신속한 제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캐비닛(2) 내에는 장착 프레임(2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축냉 모듈(4)은 탈착 가능하게 장착 프레임(22) 내에 설치된다. 이때, 축냉 모듈(4)과 제빙 캐비닛(2) 사이는 배관(21)을 통해 연통되고, 배관(21) 내에는 축냉 모듈(4)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른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배관(21)은 플레이트 형태의 관일 수 있고, 플레이트 형태의 관은 축냉 모듈(4)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축냉 모듈(4)에 대해 제냉을 수행한다. 플레이트 형태의 관 내에는 복수의 엇갈린 관로를 형성하는 히트 싱크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냉매가 플레이트 형태의 관으로 유입될 경우 보다 높은 제냉 효율을 가질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 모듈(4) 상에 축냉 모듈(4)의 내외 양측을 연통시키는 포트(41)가 설치된다. 축냉 모듈(4)이 제빙 캐비닛(2) 내에 설치될 경우, 축냉 모듈(4)의 포트(41)와 제빙 캐비닛(2) 사이는 배관(21)을 통해 연통되고, 배관(21) 내에는 축냉 모듈(4)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른다.
계속하여 도6을 참조하면, 축냉 모듈(4)은 외부 카세트(42)와 외부 카세트(42)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43)를 포함하고, 내부 카세트(43)의 내부에 제냉을 수행하기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외부 카세트(42)와 내부 카세트(43)와의 간극(44)에 냉매가 수용되어 있다. 내부 카세트(43)는 냉매에 침몰되고, 냉매는 내부 카세트(43)의 하우징을 통해 축냉제의 열량을 흡수하여, 내부 카세트(43) 내부의 축냉제에 대해 제냉을 수행함으로써, 축냉제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자체 및 주변의 작은 범위 내의 저온 환경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내부 카세트(43)와 외부 카세트(42)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먼저 내부 카세트(43)를 꺼내어 기타 제냉 설비에 넣고 예비 냉각시킨 후, 사용이 필요할 때에, 예비 냉각된 내부 카세트(43)를 외부 카세트(42) 내에 장입하고 냉매를 통해 내부 카세트(43)에 대해 제냉을 수행함으로써, 내부 카세트(43)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냉 모듈(4) 내외 양측을 연통시키는 포트(41)는 외부 카세트(42) 상에 설치된 액체 입구(411)와 액체 출구(412)를 포함하되, 액체 입구(411)는 냉매가 간극(44) 내에 유입되어, 냉매와 내부 카세트(43)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체 출구(412)는 열교환된 냉매를 외부 카세트(42)로부터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축냉 모듈(4)이 제빙 캐비닛(2) 내에 설치될 경우, 저온의 냉매는 액체 입구(411)를 통해 외부 카세트(42)와 내부 카세트(43)와의 간극(44)으로 유입되고, 액체 출구(412)를 통해 외부 카세트(42)로부터 유출되어, 내부 카세트(43)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다.
축냉 모듈(4)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설치될 경우, 냉장/냉동은 축냉 모듈(4)의 내부 카세트(43)에 축냉제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축냉제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자체 및 주변의 작은 범위 내의 저온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냉 시간을 보다 연장시켜, 제냉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냉 모듈(4)은 통풍 배관(4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카세트(42) 상에 가스 입구(451)와 가스 출구(452)가 설치되고, 통풍 배관(45)은 축냉 모듈(4)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통풍 배관(45)의 양단은 각각 가스 입구(451)와 가스 출구(452)와 연통된다. 여기서, 가스 입구(451)는 통풍 배관(45) 내에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가스 출구(452)는 열교환된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5 및 도6를 참조하면, 배관(21)에서 액체 입구(411)에 가까운 일단과 액체 출구(412)에 가까운 일단에 신속 커플러(211)가 설치되어, 배관(21)과 축냉 모듈(4)의 포트(41) 사이를 신속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축냉 모듈(4)은 신속 커플러(211)를 통해 제빙 캐비닛(2)에 연통되며, 축냉 모듈(4)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신속 커플러는 도구가 없이도 배관을 연통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커플러를 가리킨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커플러(211)는 공기용 신속 커플러, 액체용 신속 커플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속 커플러(211)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상술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도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냉동 기구(3)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31)을 포함하고, 냉장/냉동 유닛(31)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냉장/냉동 기구(3)는 복수의 냉장/냉동 유닛(31)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냉장/냉동 기구(3)에 구비된 냉장/냉동 유닛(31)의 수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이한 수량의 냉장/냉동 유닛(31)의 조합에 의해 냉장/냉동 기구(3)가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조작이 유연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냉장/냉동 기구(3)가 둘 또는 둘 이상의 냉장/냉동 유닛(31)을 포함할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분류하여 서로 다른 냉장/냉동 유닛(31) 내에 보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을 찾기에 편리하며, 냉장/냉동 기구(3)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냉장/냉동 유닛(31)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는 탈착 가능하게 냉장/냉동 유닛(31) 내에 설치되고,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박스 본체의 내벽에 축냉통(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축냉 모듈(4)은 탈착 가능하게 축냉통 내에 설치된다. 축냉 모듈(4)을 탈착 가능하게 축냉통 내에 설치함으로써, 축냉 모듈(4)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축냉 모듈(4)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설치될 경우, 축냉 모듈(4)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에 대해 냉각을 수행한다.
축냉 모듈(4)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배치될 경우, 축냉 모듈(4)의 포트(401)는 밀폐 상태로서, 축냉 모듈(4)의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가 포트(401)를 통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축냉통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박스 본체 저부에 설치될 수 있고,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박스 본체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박스 덮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 외에,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박스 본체 저부, 박스 본체 측벽과 박스 덮개 중 적어도 둘 상에 축냉통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축냉통 내부마다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4)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는 단열 박스 본체일 수 있으며, 단열 박스 본체는 축냉 모듈(4) 내의 축냉제가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외부와 열교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4)은 탈착 가능하게 제빙 캐비닛(2) 또는 냉장/냉동 유닛(31) 내에 설치되며, 아래의 두가지 구현방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4)은 탈착 가능하게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비운송 과정에서, 제냉장치(1)는 각각 제빙 캐비닛(2) 및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와 동시에 연통되고,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냉장/냉동이 필요한 물품이 수납되며, 제냉장치(1)는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의 물품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축냉 모듈(4)이 제빙 캐비닛(2) 내에 설치되고, 제냉장치(1)와 제빙 캐비닛(2)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냉장치(1)는 동시에 제빙 캐비닛(2) 내의 축냉 모듈(4)에 대해서도 제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4)은 탈착 가능하게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운송 과정에서, 제빙 캐비닛(2) 내의 축냉 모듈(4)을 꺼내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에 설치하고, 운송 차량을 사용하여 물품이 수납된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를 운송한다. 축냉 모듈(4)이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의 물품에 대해 냉장/냉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온 차량을 사용하여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를 운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대한으로 배송 비용을 절감시킨다.
특별히 설명하면, 상술한 상이한 구현방식은 제냉 시스템(100)의 상이한 사용 시나리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냉 시스템(100)은 상이한 시나리오(비운송 과정 또는 운송 과정)에 따라, 상응하게 상이한 구현방식을 선택하여, 상응한 제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냉 모듈(4)의 수량은 하나, 둘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축냉 모듈(4)의 구체적인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축냉 모듈(4)은 복수개로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마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축냉 모듈(4)이 장착되어 있다. 사용 시, 축냉 모듈(4)을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부로부터 꺼내어 제빙 캐비닛(2)에 넣고, 제냉장치(1)를 통해 제빙 캐비닛(2)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여, 축냉 모듈(4)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축냉 모듈(4)의 설정온도는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각각에 저장된 물품이 필요한 냉장/냉동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설정온도에 도달한 축냉 모듈(4)을 대응되는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에 장입하여, 축냉 모듈(4)이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 내의 밀폐 공간에 대해 제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가 상이한 냉장/냉동 온도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냉장/냉동이 필요한 물품을 상응한 냉장/냉동온도를 갖는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에 넣어 냉장/냉동시킴으로써,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의 물품에 대한 냉장/냉동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냉동 유닛(31)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와 연통되는 중간모듈(312)을 더 포함하되; 중간모듈(312)은 증발기(3121) 및 각각 증발기(3121)의 양단에 설치된 제1 송풍기(3122) 및 제2 송풍기(3123)를 포함하고, 증발기(3121)는 제냉장치(1)와 연통되고, 증발기(3121)는 제1 송풍기(3122)에 의해 흡입된 바람과 제냉장치(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열교환시켜, 제2 송풍기(3123)가 열교환된 바람을 냉장/냉동 보온 박스(311)로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냉장/냉동 박스(311)의 저부에는 유니버셜 휠(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장/냉동 박스(311)의 이동이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냉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제냉 시스템은 제빙 캐비닛, 냉장/냉동 기구, 제냉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되, 제냉장치는 제빙 캐비닛 및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어, 제빙 캐비닛 및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냉을 수행한다. 냉장/냉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냉장/냉동 유닛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키고,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제빙 캐비닛 또는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된다.
비운송 과정에서, 제냉장치와 제빙 캐비닛 및 냉장/냉동 기구를 동시에 연통시키고, 축냉 모듈을 제빙 캐비닛 내에 설치함으로써, 제빙 캐비닛 내의 축냉 모듈에 대한 제냉 및 냉장/냉동 기구 내의 물품에 대한 제냉을 구현할 수 있다. 운송 과정에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냉장/냉동 기구로부터 분리시키고,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운송 차량에 장착한 후, 축냉 모듈을 냉장/냉동 보온 박스의 축냉통 내에 설치함으로써, 운송 과정에서 냉장/냉동 보온 박스 내의 물품에 대한 냉장/냉동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온 차량을 통해 물품을 운송할 수 있으며, 최대한으로 배송 비용을 절감시킨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상", "하", "전", "후", "수직", "수평" , "위", " 아래", "내", "외" 등의 용어가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기반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이며, 일컫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복수"는 별도의 명확한 구체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둘 또는 둘 이상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술한 도면에서 "제1 ", "제2 ", "제3", "제4" 등(만약 존재한다면)의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순서거나 선후 순서를 나타낼 필요는 없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합한 경우에 서로 바뀌어 사용됨으로써 여기에 기재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되거나 기재된 것 이외의 순서로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포함", "구비"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될 필요가 없이,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기기의 고유적인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비록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당업자는 여전히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수정을 진행하거나, 그 중 부분 또는 전부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동등한 치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치환에 의해 대응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제냉 시스템 1 : 제냉장치
11 : 제1 제냉 호스트 111 : 압축기
112 : 응축기 12 : 제2 제냉 호스트
121 : 열교환기 122 : 물탱크
123 : 펌프 2 : 제빙 캐비닛
21 : 배관 211 : 신속 커플러
22 : 장착 프레임 3 : 냉장/냉동 기구
31 : 냉장/냉동 유닛 311 : 냉장/냉동 보온 박스
312 : 중간모듈 3121 : 증발기
3122 : 제1 송풍기 3123 : 제2 송풍기
4 : 축냉 모듈 41 : 포트
411 : 액체 입구 412 : 액체 출구
42 : 외부 카세트 43 : 내부 카세트
44 : 간극 45 : 통풍 배관
451 : 가스 입구 452 : 가스 출구

Claims (10)

  1. 제냉 시스템에 있어서,
    제빙 캐비닛, 냉장/냉동 기구, 제냉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축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냉장치는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연통되어, 상기 제빙 캐비닛 및 상기 냉장/냉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냉을 수행하고; 상기 냉장/냉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냉장/냉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물품을 냉장/냉동시키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빙 캐비닛 또는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되는 것인 제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모듈 상에 상기 축냉 모듈의 내외 양측을 연통시키는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제빙 캐비닛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의 포트와 상기 제빙 캐비닛 사이는 배관을 통해 연통되고, 상기 배관 내에는 상기 축냉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르고;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모듈이 상기 냉장/냉동 유닛 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축냉 모듈의 포트는 밀폐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캐비닛 내에 장착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장착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냉장/냉동 보온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의 박스 본체의 내벽에 축냉통이 설치되고, 상기 축냉 모듈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축냉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모듈은 외부 카세트 및 상기 외부 카세트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카세트의 내부에 제냉을 위한 축냉제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카세트와 상기 내부 카세트와의 간극에 상기 냉매가 수용되며;
    상기 포트는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설치된 액체 입구 및 액체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입구는 상기 냉매를 상기 간극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냉매와 상기 내부 카세트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체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매가 상기 외부 카세트로부터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액체 입구에 가까운 일단 및 상기 배관에서 상기 액체 출구에 가까운 일단에 신속 커플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 모듈은 통풍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카세트 상에 가스 입구 및 가스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통풍 배관은 상기 축냉 모듈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통풍 배관의 양단은 각각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되; 상기 가스 입구는 상기 통풍 배관 내로 냉각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스 출구는 열교환된 상기 냉각 기류가 유출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냉동 유닛은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와 연통되는 중간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모듈은 증발기 및 각각 상기 증발기의 양단에 설치된 제1 송풍기 및 제2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냉 설비와 연통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바람과 상기 제냉 설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열교환시켜, 상기 제2 송풍기가 열교환된 바람을 상기 냉장/냉동 보온 박스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냉장치는 제1 제냉 호스트 및 상기 제1 제냉 호스트와 연통되는 제2 제냉 호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냉 호스트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기체 상태의 제냉제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로 제공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기체 상태의 제냉제가 열량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냉제로 변환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제냉 호스트는 열교환기 및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일단은 상기 응축기와 연통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타단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액체 상태의 제냉제와 상기 물탱크 내의 상기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냉 시스템.
KR1020210022138A 2020-03-10 2021-02-18 제냉 시스템 KR102488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285852.0 2020-03-10
CN202020285852.0U CN211903455U (zh) 2020-03-10 2020-03-10 制冷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860A true KR20210114860A (ko) 2021-09-24
KR102488190B1 KR102488190B1 (ko) 2023-01-13

Family

ID=7332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138A KR102488190B1 (ko) 2020-03-10 2021-02-18 제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41194B2 (ko)
KR (1) KR102488190B1 (ko)
CN (1) CN211903455U (ko)
TW (1) TWI7753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4254A (zh) * 2021-01-05 2021-04-13 广州市鑫湖能源科技有限公司 车载蓄冷系统及冷链运输车
TWI768835B (zh) * 2021-04-20 2022-06-21 國立中央大學 攜帶型蓄冷蓄熱裝置的充能系統及其導熱結構
CN113108531B (zh) * 2021-05-25 2024-02-09 安徽永民种业有限责任公司 一种小麦种子低温冷藏设备
GB2607965A (en) * 2021-06-18 2022-12-21 Hubl Logistics Ltd A dockable pod system, a docking station, and a temperature-controlled transport p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7222A (en) * 1984-06-08 1987-01-20 Nippondenso Co., Ltd. Refrigerator for vehicle
KR20090126772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리우스 축냉팩의 교환이 용이한 축냉식 냉장고
JP2015017796A (ja) * 2013-07-12 2015-01-29 アイ・ティ・イー株式会社 冷材装入タイプのトラックの荷室/貨物専用コンテナおよび温度−保持ボックス
JP2016507042A (ja) * 2013-01-28 2016-03-07 ザ・シュア・チ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The Sure Chill Company Limited 冷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2939A (ja) * 1983-10-27 1985-05-24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冷蔵庫
JPS60261738A (ja) * 1984-06-08 1985-12-25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冷蔵庫
JPH075019B2 (ja) * 1984-12-27 1995-01-25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冷蔵庫
JPS63144568U (ko) * 1987-03-14 1988-09-22
JPH058446Y2 (ko) * 1988-07-19 1993-03-03
JPH0618174Y2 (ja) * 1990-06-28 1994-05-11 サンデン株式会社 クーリングコンテナの蓄冷装置
JPH0540779U (ja) * 1991-10-25 1993-06-01 サンデン株式会社 蓄冷装置
JP2001066028A (ja) 1999-08-27 2001-03-16 Sanden Corp 保冷庫及びこれに用いる蓄冷剤入替装置並びに物品輸送システム
TWM386479U (en) * 2010-01-25 2010-08-11 Tfs United Technology Corp Refrigerating equipment
CN107514850A (zh) * 2017-07-19 2017-12-26 茂进物流科技(苏州)有限公司 制冷装置、冷藏箱及冷藏系统
CN208291920U (zh) * 2018-04-10 2018-12-28 石河子大学 一种便携式低温蓄冷箱
CN108375262B (zh) * 2018-04-27 2024-03-22 成都歆雅春风科技有限公司 冷藏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7222A (en) * 1984-06-08 1987-01-20 Nippondenso Co., Ltd. Refrigerator for vehicle
KR20090126772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리우스 축냉팩의 교환이 용이한 축냉식 냉장고
JP2016507042A (ja) * 2013-01-28 2016-03-07 ザ・シュア・チ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The Sure Chill Company Limited 冷蔵装置
JP2015017796A (ja) * 2013-07-12 2015-01-29 アイ・ティ・イー株式会社 冷材装入タイプのトラックの荷室/貨物専用コンテナおよび温度−保持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903455U (zh) 2020-11-10
JP7141194B2 (ja) 2022-09-22
TWI775339B (zh) 2022-08-21
TW202134579A (zh) 2021-09-16
KR102488190B1 (ko) 2023-01-13
JP2021143818A (ja)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4860A (ko) 제냉 시스템
US8806886B2 (en) Temperature controlled devices
US7980093B2 (en) Combined refrigerant compressor and secondary liquid coolant pump
JP6107954B2 (ja) 保冷庫
US20110011119A1 (en) High efficiency refrigerator
KR101855689B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US20240027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ler Conversion to a Refrigerator
US9746209B2 (en) Modular low charge hydrocarbo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WO2011114656A1 (ja) 冷蔵庫
US20050109040A1 (en) Merchandising cooler having large packout and small footprint
CN215951876U (zh) 冷藏冷冻装置
CN215260731U (zh) 蓄冷剂冻结柜
CN103140730B (zh) 冰箱
JP2006189209A (ja) 冷却庫
JP2001066028A (ja) 保冷庫及びこれに用いる蓄冷剤入替装置並びに物品輸送システム
CN218722506U (zh) 多温度组合的智能柜
CN217274927U (zh) 具有复叠式制冷系统的制冷设备
CN214582036U (zh) 制冷墙及制冷系统
CN217465054U (zh) 制冷设备
CN115978878A (zh) 冷库用制冷装置及冷库
WO2016140108A1 (ja) 冷却用装置および冷蔵庫
KR100705088B1 (ko) 냉장고
EP4343237A1 (en) Eutectic refrigeration system
JPH10132440A (ja) 保冷装置
JP4247131B2 (ja) 保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