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510A -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 Google Patents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510A
KR20210111510A KR1020200026541A KR20200026541A KR20210111510A KR 20210111510 A KR20210111510 A KR 20210111510A KR 1020200026541 A KR1020200026541 A KR 1020200026541A KR 20200026541 A KR20200026541 A KR 20200026541A KR 20210111510 A KR20210111510 A KR 2021011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nit
head
link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823B1 (ko
Inventor
이영우
지유강
최제세
Original Assignee
(주)옵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옵토닉스 filed Critical (주)옵토닉스
Priority to PCT/KR2020/0030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77480A1/ko
Priority to KR1020200026541A priority patent/KR102393823B1/ko
Priority to CN202080000227.XA priority patent/CN113613611A/zh
Publication of KR2021011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3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47C20/045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urged into an operative or non-operative position at an end of str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8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6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61G7/07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for the head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 틸팅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베드는 길게 형성되어 상면에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안착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며 상기 안착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안착유닛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틸팅된 제1형태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 에서 상기 등받이부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틸팅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A reclining bed device with independent head control}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 베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헤드부의 틸팅 여부를 조작한 상태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을 제어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이용이 가능한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환자의 완치뿐만 아니라 편의성 또한 많이 강조가 되고 있으며,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침대나 샤워캐리어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왔다.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침대에 눕거나 이동이 어려운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동보조장치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바퀴를 손으로 직접 회전시키거나 보조자가 뒤에서 손잡이를 잡고 밀어 움직이는 수동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동으로 바퀴를 움직일 필요 없는 리클라이닝 베드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에 개발된 베드와 프레임이 분리되는 샤워캐리어의 경우 환자의 안락함을 위한 등받이나 다리받침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리클라이닝베드의 경우 정해진 자세로만 등받이가 리클라이닝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세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자세를 조정하고, 특히 헤드부의 조작을 원하는 형태로 유지한 채 등받이부의 틸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키실 수 있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베드는 길게 형성되어 상면에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안착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며 상기 안착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안착유닛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틸팅된 제1형태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 에서 상기 등받이부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틸팅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상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등받이부상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신축부와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크는 타측 끝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크에 형성된 이동축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축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위치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조절되도록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는 타측 끝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제2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링크가 상기 등받이부와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고정하여 상기 제2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형태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고정부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서 슬라이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회전링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등받이부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되어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링크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각각 상기 날개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중앙지지부의 타측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리클라이닝 베드와 등받이부와 헤드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며, 등받이부의 틸팅 시 회전링크와 등받이부의 이격간격 조절여부를 제어 함으로써 헤드부의 틸팅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해 다양한 형태로 베드의 리클라이닝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안착유닛에 헤드부와 별도로 등받이부와 틸팅 가능한 날개부 및 회전링크와 연결된 보조링크를 구비하여 헤드부와 함께 날개부도 독립적으로 틸팅 여부를 조절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틸팅조절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안착유닛이 제1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틸팅조절유닛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안착유닛이 제1형태로 등받이부가 상부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틸팅조절유닛이 헤드부를 제1형태로 틸팅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형태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형태고정부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임.
도 9는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안착유닛이 제2형태에서 등받이부가 상부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틸팅조절유닛이 헤드부를 제2형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등받이부를 팅팅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안착유닛의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며 일부가 틸팅 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베드에 관한 것으로써,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의 개략적은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틸팅조절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동침대에서 안착유닛이 제1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서 틸팅조절유닛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전동침대에서 안착유닛이 제1형태로 등받이부가 상부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전동침대에서 틸팅조절유닛이 헤드부를 제1형태로 틸팅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는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고,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면에 수평을 이루는 침대형 또는 등받이가 올라가는 의자형태로 가능하며, 크게 안착유닛(100), 지지유닛(300) 및 틸팅조절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유닛(100)은 상면에 사용자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틸팅 가능하며 연속하여 길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착유닛(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자세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유닛(100)은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10),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110)와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부(120), 상기 등받이부(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130) 및 상기 중앙지지부(12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상기 중앙지지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하부지지부(140)가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연속하여 결합되며 이들의 각도에 따라 침대형태 또는 의자행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세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유닛(100)은 복수 개의 부재가 연속하여 길게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10)와 하부지지부(14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등받이부(11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140)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각각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다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지지부(120)는 상기 지지유닛(300)과 고정 결합되며,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지지부(140)와 상기 등받이부(110)가 각각 양단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10)는 상기 중앙지지부(120)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리클라이닝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지지부(140)는 상기 중앙지지부(120)의 타측끝단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틸팅하며 사용자의 다리부분을 지지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지지부(140)는 상기 중앙지지부(120)의 타측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보조지지부(150)를 더 포함하여 종아리부분을 분할해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유닛(100)은 상기 헤드부(130), 상기 등받이부(110), 상기 중앙지지부(120) 및 상기 하부지지부(140)와 함께 추가적으로 상기 하부지지부(140)에 연속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끝단부에 결합된 보조지지부(15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지지부(140)와 함께 각각 사용자의 허벅지와 종아리 부분을 분할하여 지지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등받이부(11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110)와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술하는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에 의해 배면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30)는 선택적으로 틸팅 여부가 결정되어 상기 안착유닛(100)에서 상기 헤드부(130)가 틸팅되는 제1형태 또는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헤드부(130)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중앙지지부(120)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110)의 타측에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고, 후술하는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유닛(100)은 상기 등받이부(110), 중앙지지부(120), 헤드부(130) 및 상기 하부지지부(1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틸팅되며 틸팅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조절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유닛(100)은, 상기 등받이부(110)와 별도로 날개부(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60)는 상기 등받이부(110)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110)와 함께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160)는 사용자의 등을 후방에서 상기 등받이부(110)와 함께 만곡진 형태로 경사를 이루며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이부(110)상에서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160)는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10)를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틸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유닛(100)은 상기 날개부(160)를 더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헤드부(130)와 함께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틸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300)은 기본적으로 상기 리클라이닝 베드의 하부에서 이동을 담당하며 전체를 지지하여 상기 안착유닛(100)이 일정높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유닛(300)은 하부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310)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4개의 이동바퀴(310)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퀴(310)의 구동 또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유닛(300)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안착유닛(100)도 함께 이동하여 휠체어 또는 이동식 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일부가 틸팅 됨으로써 상기 안착유닛(100)의 상하방향에 따른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300)의 높이 조절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300)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유닛(100)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100)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 자세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300)상에서 일부가 틸팅되며 상기 등받이부(110) 및 상기 헤드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10)를 상부로 틸팅시키며, 이와 별도로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상기 헤드부(130)를 틸팅시키는 제1형태 또는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헤드부(130)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가 되도록 조절한다.본 발명에서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은 크게 신축부(210), 회전링크(220), 간격조절부(240), 및 보조링크(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링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300)상에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유닛(10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간부가 제1회전축(A1)을 가지며 상기 등받이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일측이 후술하는 상기 신축부(2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기 신축부(210)는 상기 지지유닛(300)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120)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링크(220)의 일측에 연결 됨으로써 신축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링크(220)가 회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부(210)는 일반적이 액츄에이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2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회전모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2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220)는 상기 신축부(210)에 의해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등받이부(110)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등받이부(110)의 틸팅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링크(220)는 타측 끝단부가 상기 세드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면에 접촘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상기 헤드부(130)를 밀어올려 틸팅 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링크(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끝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30)의 배면에 제2회전축(A3)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등받이부(110)와 접촉하기 전에 상기 헤드부(130)를 먼저 밀어올리며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헤드부(130)를 틸팅시키며 상기 제1형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회전링크(220)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제2회전축(A3)을 가지며 상기 회전링크(220)와 결합 시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상기 제2회전축(A3)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관통되는 형태로 결합 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의 일측 끝단부가 상기 헤드부(130)를 밀어올리는 경우 일정 수준의 자유도를 보장함으로써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22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며, 타측 끝단부가 상기 헤드부(130)와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 상기 헤드부(130)의 틸팅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110)의 틸팅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크(220)에 형성된 이동축(A2)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22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A1)과 상기 제2회전축(A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상기 회전링크(220)에 형성된 이동축(A2)이 관통 결합되되 상기 이동축(A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슬릿 형태의 홀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의 위치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조절되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제2형태에서는 가상의 연장선인 L1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형태에서는 가상의 연장선인 L2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 홀을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축(A2)의 이동 반경이 결정되며 이는 상기 L1과 L2의 이동 반경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부(240)는 상기 등받이부(110)상에서 상기 이동축(A2)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링크(220)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반경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10)가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링크(230)는 상기 회전링크(220)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기 날개부(16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링크(230)는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헤드부(130)와 연결되어 틸팅 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날개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틸팅 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링크(230)는 상기 회전링크(220)상에서 폭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끈단부가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각각 제3회전축(A4)을 가지고 상기 날개부(16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 시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과 연동하여 상기 보조링크(230)가 함께 등받이부(11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양측 끝단부가 상부로 밀려 올려지며 상기 날개부(160)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링크(230) 역시 상기 헤드부(130)와 마찬가지로 날개부(16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160)는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과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160)를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틸팅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링크(230)는 상기 회전링크(220)와 일체로 구성되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관과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헤드부(130)와 함께 상기 날개부(160)가 틸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은 상술한 상기 신축부(210), 회전링크(220), 간격조절부(240), 및 보조링크(230)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210)의 틸팅에 의해 상기 회전링크(22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회전링크(220)의 이격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헤드부(130) 및 상기 날개부(160)가 틸팅되는 제1형태가 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210)에 의해 상기 회전링크(220)가 일부 회전하며 상기 등받이부(110)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보조링크(230)에 의해 상기 헤드부(130)와 상기 날개부(160)가 각각 상기 등받이부(110)에서 상부로 틸팅하여 상기 제1형태가 된다.
이후, 상기 회전링크(220)가 추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팅팅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별도의 형태고정부(250)를 더 포함한 구성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형태고정부(2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형태고정부(250)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안착유닛(100)이 제2형태에서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의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틸팅조절유닛(200)이 헤드부(130)를 제2형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등받이부(110)를 팅팅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에서 상기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은 별도의 형태고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태고정부(250)는 상기 회전링크(220)의 회전 시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태고정부(250)는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등받이부(110)와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고정 함으로써 상기 제2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형태고정부(250)는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면과 상기 회전링크(220)의 이격간격이 변화하는 것을 고정 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보조링크(230)가 각각 상기 헤드부(130)와 상기 날개부(160)를 밀어올리지 않고 상기 등받이부(110)만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태고정부(250)는 크게 고정부재(252) 및 조작수단(254)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면에서 슬라이딩항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회전링크(220)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부재(252)는 상기 간격조절부(24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52)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A2)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110)의 배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52)는 상기 등받이부(110)상에 슬라이딩 하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이동축(A2)과 상기 회전링크(220)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252)를 선택적으로 배치 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이격간격 조절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수단(254)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10)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252)와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상기 등받이부(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부재(252)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상기 등받이부(110)와 상기 회전링크(220)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형태고정부(250)가 상기 고정부재(252) 및 조작수단(254)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이격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고정 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가 상기 제1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 하더라도 상기 제1형태로 상기 헤드부(130)가 틸팅되지 않고 상기 제2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조작수단(254)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부재(252)가 일부 슬라이딩 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에 구비된 상기 이동축(A2)의 움직임을 제약하는 수단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전링크(22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의 이격간격이 감소하며 상기 헤드부(130)가 상부로 틸팅하는 제1형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조작수단(254)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52)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회전링크(220)에 구비된 상기 이동축(A2)과 상기 등받이부(11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링크(2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링크(220)와 상기 등받이부(110) 사이의 이격간격이 유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2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회전링크(220)가 회전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10)가 상부로 틸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베드는 상기 틸팅조절유닛(200)을 통해 등받이부(110)와 헤드부(130)를 틸팅시킨 제1형태 또는 헤드부(130)와 등받이부(110)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유지한 채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부(110)를 상부로 틸팅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안착유닛
200: 틸팅조절유닛
300: 지지유닛
A1: 제1회전축
A2: 이동축
A3: 제2회전축
A4: 제3회전축

Claims (9)

  1. 길게 형성되어 상면에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일측에서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안착유닛;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며 상기 안착유닛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서 상기 안착유닛과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유닛의 틸팅을 조절하여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틸팅된 제1형태 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헤드부가 거의 수평을 이루는 제2형태 에서 상기 등받이부를 선택적으로 틸팅시키는 틸팅조절유닛;
    을 포함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지지유닛 또는 상기 중앙지지부상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등받이부상에서 제1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신축부와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회전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크는 타측 끝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 중 어느 하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크에 형성된 이동축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축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위치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조절되도록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는,
    타측 끝단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배면에 제2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링크가 상기 등받이부와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고정하여 상기 제2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형태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고정부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서 슬라이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회전링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등받이부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되어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조절유닛은, 상기 회전링크를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부로 절곡 형성되며 각각 상기 날개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링크를 더 포함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중앙지지부의 타측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1020200026541A 2020-03-03 2020-03-03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10239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003 WO2021177480A1 (ko) 2020-03-03 2020-03-03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1020200026541A KR102393823B1 (ko) 2020-03-03 2020-03-03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CN202080000227.XA CN113613611A (zh) 2020-03-03 2020-03-03 独立控制床头部的倾斜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41A KR102393823B1 (ko) 2020-03-03 2020-03-03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10A true KR20210111510A (ko) 2021-09-13
KR102393823B1 KR102393823B1 (ko) 2022-05-04

Family

ID=7761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41A KR102393823B1 (ko) 2020-03-03 2020-03-03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3823B1 (ko)
CN (1) CN113613611A (ko)
WO (1) WO2021177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052B1 (ko) 2023-01-31 2024-03-13 이재홍 디지털 헬스케어 수면무호흡 및 코골이 증상 개선 치료용 침대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730A (en) * 1995-05-11 1997-06-24 Maxwell Products, Inc. Adjustable articulated bed with tiltable head portion
JP2000201981A (ja) * 1999-01-19 2000-07-25 Paramount Bed Co Ltd 背上げ機構を有するベッド
KR20110043357A (ko) * 2009-10-21 2011-04-27 이대훈 접이식 침대
US20150107023A1 (en) * 2013-10-18 2015-04-23 Chi-Tzung Huang Electric bed structure
KR20170106900A (ko)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KR20170123024A (ko) * 2016-04-28 2017-11-07 정용채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KR20170143378A (ko) * 2016-06-21 2017-12-29 서광훈 인체공학적 전동침대
US20190021510A1 (en) * 2016-12-30 2019-01-24 Zhejiang Sidoo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Back Adjustable Electrical Bed Fr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597B2 (ja) * 2002-09-04 2007-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可動ベッド
US7036165B2 (en) * 2003-04-02 2006-05-0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able bed with automatic adjusting head section
KR200400925Y1 (ko) * 2005-08-19 2005-11-09 정경채 인체관절 형 침대
JP5244538B2 (ja) * 2008-10-22 2013-07-24 エムデー研究所有限会社 起立型マッサージ装置
TWI606816B (zh) * 2012-06-28 2017-12-01 亞果摩炫公司 具有腰部及頭部調整之連接床
US10639221B2 (en) * 2016-02-24 2020-05-05 Dreamwell, Ltd. Adjustable foundation and mattress assembly
WO2017183670A1 (ja) * 2016-04-20 2017-10-26 株式会社プラッツ リクライニング式ベッド
KR200483182Y1 (ko) * 2016-09-08 2017-04-13 이은혜 전동식 목재 침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730A (en) * 1995-05-11 1997-06-24 Maxwell Products, Inc. Adjustable articulated bed with tiltable head portion
JP2000201981A (ja) * 1999-01-19 2000-07-25 Paramount Bed Co Ltd 背上げ機構を有するベッド
KR20110043357A (ko) * 2009-10-21 2011-04-27 이대훈 접이식 침대
US20150107023A1 (en) * 2013-10-18 2015-04-23 Chi-Tzung Huang Electric bed structure
KR20170106900A (ko) * 2016-03-14 2017-09-2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KR20170123024A (ko) * 2016-04-28 2017-11-07 정용채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KR20170143378A (ko) * 2016-06-21 2017-12-29 서광훈 인체공학적 전동침대
US20190021510A1 (en) * 2016-12-30 2019-01-24 Zhejiang Sidoo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Back Adjustable Electrical Bed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823B1 (ko) 2022-05-04
CN113613611A (zh) 2021-11-05
WO2021177480A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762A (en) Biomechanical body support with tilting leg rest tilting seat and tilting and lowering backrest
JP5583856B2 (ja) 医療用電動折り畳みベッド
CN107184323B (zh) 轮椅
TWI717715B (zh) 提升機構及椅
KR101799971B1 (ko)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US7585019B2 (en) Seat reclining mechanism for power wheelchair
WO2014138128A1 (en)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JPH0245901B2 (ko)
KR20210096580A (ko)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102340780B1 (ko)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
JP3171562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KR102393823B1 (ko)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JP2006034469A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EP1525867B1 (en) Auxiliary device intended for addition to an article of seating furniture for raising and/or tilting thereof
GB2369566A (en) Support seat for the disabled
JP3706231B2 (ja) 椅子
KR200336152Y1 (ko) 휠체어
JP2005124795A (ja) 肘掛け椅子
JP2004160055A (ja) 身体障害者用椅子
JP3219802U (ja) 車椅子
JPH05261133A (ja) 寝たきり病人・老人用ベッド
JP3540762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JPH10229924A (ja) 理美容椅子
JP200408135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