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82Y1 - 전동식 목재 침대 - Google Patents

전동식 목재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82Y1
KR200483182Y1 KR2020160005294U KR20160005294U KR200483182Y1 KR 200483182 Y1 KR200483182 Y1 KR 200483182Y1 KR 2020160005294 U KR2020160005294 U KR 2020160005294U KR 20160005294 U KR20160005294 U KR 20160005294U KR 200483182 Y1 KR200483182 Y1 KR 200483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plate
fixed frame
pai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이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혜 filed Critical 이은혜
Priority to KR2020160005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본체에 지지되는 상판이 인체 부위별(두부, 흉부(등),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다리))에 대응하여 두부판, 흉부판, 둔부판, 대퇴부판 및 하퇴부판으로 각각 분할되고, 이와 대응하여 이들을 회동시키는 회동 프레임 또한 두부대, 흉부대, 둔부대, 대퇴부대 및 하퇴부대로 분할되어 이들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목재 침대{ELECTROMOTIVE WOOD BED}
본 고안은 사용자가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도록 제공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로 이루어지면서, 상판이 인체 부위별(두부, 흉부(등),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다리))로 회동 프레임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식 목재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구의 일종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매트리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침대는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목재(합판), 금속 및 각종 합성수지 등을 혼용하여 제작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를 이용한 목재 침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목재 침대는 친환경 목재의 상판이 한 장의 원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체의 부위별로 각도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병원 등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전동식 침대와 같이, 전동식이 적용된 목재 침대는 아직까지 제한된 바 없었다.
KR 20-0456261 Y1, 2011. 10. 1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로 이루어지면서, 상판이 인체 부위별(두부, 흉부(등),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다리))로 회동 프레임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식 목재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고정 프레임; 목재로 이루어지고, 인체의 두부, 흉부,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두부판, 흉부판, 둔부판, 대퇴부판 및 하퇴부판으로 각각 분할된 상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고, 서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두부판, 상기 흉부판, 상기 둔부판, 상기 대퇴부판 및 상기 하퇴부판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부대, 흉부대, 둔부대, 대퇴부대 및 하퇴부대를 포함하는 회동 프레임; 및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두부대, 상기 흉부대, 상기 대퇴부대 및 상기 하퇴부대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둔부판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판, 상기 흉부판, 상기 대퇴부판 및 상기 하퇴부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두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대를 상기 흉부대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시키는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흉부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 일측부가 상기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의 타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둔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흉부대를 일정 각도로 절곡시키는 흉부 각도 조절링크; 제1 구동링크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제1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둔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두부대와 상기 흉부대를 일정 각도로 조절하는 제1 구동수단;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퇴부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퇴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하퇴부대를 절곡시키는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 및 제2 구동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대퇴부대를 일정 각도로 조절하는 제2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와 나란하도록 양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링크; 일측부가 상기 수평 지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퇴부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각도가 조절된 상기 하퇴부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 및 일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흉부대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흉부대가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흉부대 고정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흉부 각도 조절링크는 회동시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간섭되지 않도록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부대, 상기 흉부대, 상기 둔부대, 상기 대퇴부대 및 상기 하퇴부대는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부에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상판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이 인체 부위별(두부, 흉부(등),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다리))에 대응하여 두부판, 흉부판, 둔부판, 대퇴부판 및 하퇴부판으로 각각 분할되고, 이와 대응하여 이들을 회동시키는 회동 프레임 또한 두부대, 흉부대, 둔부대, 대퇴부대 및 하퇴부대로 분할되어 이들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목재 침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일례로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동식 목재 침대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목재 침대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과 회동 프레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10)는 본체(11), 고정 프레임(12), 상판(13), 회동 프레임(14) 및 각도 조절부(15)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 예를 들면 원목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는 도 2와 같이, 사각 프레임 구조의 지지 프레임(111)과, 지지 프레임(1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112)와, 지지 프레임(111)의 두부쪽에 상부로 세워진 머리 받침대(113)를 포함한다. 또한 다리(112)의 지지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리(112)에 덧대진 보강편(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2)은 도 2와 같이, 본체(11) 혹은 보조 다리(16)의 상부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111)의 상부 또는 지지 프레임(111)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편(미도시)에 지지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12)은 상부에 안착되는 회동 프레임(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량화 측면을 고려하여 내부가 빈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3)은 도 2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때 사용자를 두부, 흉부(등),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5개의 분할판을 포함한다. 즉, 상판(13)은 인체의 두부, 흉부,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된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을 포함한다.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지지 프레임(111)의 길이방향, 즉 두부측에서 하퇴부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은 인체를 지지하는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UV 코팅 또는 옻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물질들이 코팅될 수도 있다.
회동 프레임(14)은 도 2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고, 상판(13)과 마찬가지로 서로 독립적으로 분할되어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하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두부대(141), 흉부대(142), 둔부대(143), 대퇴부대(144) 및 하퇴부대(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프레임(14)은 도 4와 같이, 고정 프레임(12)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각도 조절부(15)에 의해 회동한다. 즉, 회동 프레임(14)의 두부대(141), 흉부대(142), 대퇴부대(144) 및 하퇴부대(145)가 각도 조절부(15)에 의해 각각 둔부대(143)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조절한다.
회동 프레임(14)의 두부대(141), 흉부대(142), 둔부대(143), 대퇴부대(144) 및 하퇴부대(145)는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두부판(131), 흉부판(132), 둔부판(133),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각 프레임과, 사각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살대를 포함한다.
각도 조절부(15)는 도 4와 같이, 회동 프레임(14)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동 프레임(14)의 두부대(141), 흉부대(142), 대퇴부대(144) 및 하퇴부대(145)를 둔부대(143)를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시켜 둔부판(133)을 기준으로 두부판(131), 흉부판(132),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부(15)는 제1 슬라이딩 부재(151)와, 제2 슬라이딩 부재(152)와,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 154')와,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와,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와, 제1 구동수단(158)과,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와, 제2 구동수단(159)을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부재(151)는 도 4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의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1 슬라이딩 부재(151)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는 제1 슬라이딩 부재(151)의 양측부가 고정 프레임(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15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하퇴부대(145)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슬라이딩 부재(151)와 마찬가지로 고정 프레임(12)의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2 슬라이딩 부재(152)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는 제2 슬라이딩 부재(152)의 양측부가 고정 프레임(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 154')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일측부가 두부대(141)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부가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두부대(141)를 흉부대(142)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시켜 두부대(141)의 상부에 고정된 두부판(131)을 흉부판(132)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조절한다.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흉부대(142)의 하부에 고정되며,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 154')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 154')와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가 힌지결합되는 결합부는 두부대(141)와 흉부대(142)의 경계에 위치되어 회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부가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의 타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56)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제1 슬라이딩 부재(151)에 고정된 고정부재(1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는 제1 슬라이딩 부재(151)가 제1 구동수단(158)에 의해 고정 프레임(12)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제1 슬라이딩 부재(151)에 의해 고정부재(161)를 축으로 회동하여 둔부대(143)를 기준으로 흉부대(142)를 일정 각도로 절곡시킨다.
고정부재(161)는 제1 슬라이딩 부재(151)의 하부에 고정되고,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는 타측부가 고정부재(161)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제1 슬라이딩 부재(151)에 의해 고정부재(161)를 축으로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가 회동할 때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의 회동반경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슬라이딩 부재(151)가 위치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151)에 간섭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는 상부면이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동수단(158)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구동링크(158c)를 통해 고정부재(161)에 결합되어 고정부재(161)를 통해 제1 슬라이딩 부재(151)를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를 통해 둔부대(143)를 기준으로 두부대(141)와 흉부대(142)를 일정 각도로 조절한다.
이러한 제1 구동수단(158)은 도 5와 같이, 둔부대(143)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구동모터(158a)와, 제1 구동모터(158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 구동링크(158c)를 직선운동시키는 변환기(158b)를 포함한다. 이때, 변환기(158b)는 기어 방식(랙과 피니언 기어) 또는 볼스크류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부가 제2 슬라이딩 부재(15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하퇴부대(145)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152)가 제2 구동수단(159)에 의해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 슬라이딩 부재(152)에 의해 회동하여 하퇴부대(145)를 절곡시킨다.
제2 구동수단(159)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 구동링크(159c)를 통해 제2 슬라이딩 부재(15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52)를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이를 통해 둔부대(143)를 기준으로 하퇴부대(145)와 대퇴부대(144)를 일정 각도로 조절한다.
이러한 제2 구동수단(159)은 제1 구동수단(158)과 마찬가지로, 둔부대(143)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구동모터(159a)와, 제2 구동모터(159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 구동링크(159c)를 직선운동시키는 변환기(159b)를 포함한다. 이때, 변환기(159b)는 기어 방식(랙과 피니언 기어) 또는 볼스크류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부(15)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평 지지링크(162)와,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163, 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부(15)는 한 쌍의 흉부대 고정링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지지링크(162)는 도 5와 같이, 제2 슬라이딩 부재(152)와 나란하도록 하퇴부대(145)의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부가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163, 163')를 통해 하퇴부대(145)가 수평하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163, 163')는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부가 수평 지지링크(1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부가 하퇴부대(145)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163, 163')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와 마찬가지로 타측부가 하퇴부대(145)의 하부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152)가 고정 프레임(12)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와 함께 회동하여 하퇴부대(145)의 하부를 수평 지지한다.
한 쌍의 흉부대 고정링크(164)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부가 고정 프레임(12)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부가 흉부대(142)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흉부대(142)가 고정 프레임(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10)는 제1 및 제2 구동수단(158, 159)의 동작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일례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17)은 유선통신모듈(171)과, 유선통신모듈(171)을 통해 유선 리모콘(2)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구동모터(158a, 159a)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3)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리모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예를 들면, 스마트폰)와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3)는 유선통신모듈(171) 또는 무선통신모듈(172)을 통해 유선 리모콘(2)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구동모터(158a, 159a)의 동작을 제어하여 둔부판(133)을 기준으로 두부판(131), 흉부판(132),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에는 전동식 목재 침대(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앱(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앱을 실행하여 전동식 목재 침대(10)의 제어수단(17)과 통신하여 전동식 목재 침대(1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앱을 실행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는 전동식 목재 침대(10)의 둔부판(133)의 기준으로 두부판(131), 흉부판(132),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각도 설정화면이 제공되고, 상기 각도 설정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각도를 입력하여 설정하면, 설정된 각도에 대응하여 둔부판(133)의 기준으로 두부판(131), 흉부판(132), 대퇴부판(134) 및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자동 조절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목재 침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동식 목재 침대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판(13)이 회동 프레임(14)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 구동수단(159)을 구동시켜 하퇴부판(135)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2 구동수단(159)의 제2 구동모터(159a)가 구동되면, 도 7과 같이, 제2 구동링크(159c)가 신장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152)는 발 받침대(136)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152)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 또한 제2 슬라이딩 부재(152)에 의해 발 받침대(136)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의 타측부는 제2 슬라이딩 부재(152)의 미는 힘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고, 이로 인해 하퇴부대(145) 또한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에 의해 상승하여 하퇴부판(135)을 상승시킨다. 이때, 하퇴부판(135)의 각도는 제2 슬라이딩 부재(152)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대퇴부대(144)는 하퇴부대(145)와 힌지 결합부(146)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하퇴부대(145)가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153, 153')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하퇴부대(145)에 이끌려 힌지 결합부(146)를 통해 하퇴부대(145)와 결합된 타측부 또한 상승한다. 이에 따라 대퇴부대(144)의 상부에 안착된 대퇴부판(134) 또한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두부판(131)과 흉부판(132)은 제1 구동수단(158)을 구동시켜 각도를 조절한다.
제1 구동수단(158)의 제1 구동모터(158a)가 구동되면, 도 7과 같이, 제1 구동링크(158c)가 신장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151)는 머리 받침대(113)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딩 부재(151)에 힌지결합된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 또한 제1 슬라이딩 부재(151)의 미는 힘에 의해 머리 받침대(113) 방향으로 이동된다.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가 도 7과 같이, 머리 받침대(113)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바(156)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 또한 흉부 각도 조절링크(157)의 이동에 따라 머리 받침대(113)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155, 155')의 미는 힘에 의해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의 일측부(즉, 두부대(141)와 힌지결합된 결합부)는 일정 높이로 서서히 상승한다.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154)의 일측부가 상승하면, 두부대(141) 또한 상승하여 두부판(131)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두부판(131)의 각도는 제1 슬라이딩 부재(151)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조절된다. 그리고 흉부대(142)는 두부대(141)와 힌지 결합부(146)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흉부대(142) 또한 두부대(141)에 이끌려 상승하고, 이에 따라 흉부대(142)의 상부에 안착된 흉부대판(132) 또한 일정 각도가 조절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폰) 2 : 유선 리모콘
10 : 전동식 목재 침대 11 : 본체
12 : 고정 프레임 13 : 상판
14 : 회동 프레임 15 : 각도 조절부
16 : 보조 다리 17 : 제어수단
111 : 지지 프레임 112 : 다리
113 : 머리 받침대 114 : 보강편
131 : 두부판 132 : 흉부판
133 : 둔부판 134 : 대퇴부판
135 : 하퇴부판 136 : 다리 받침대
141 : 두부대 142 : 흉부대
143 : 둔부대 144 : 대퇴부대
145 : 하퇴부대 146 : 힌지 결합부
151 : 제1 슬라이딩 부재 152 : 제2 슬라이딩 부재
153, 153' :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 154, 154' : 두부 각도 조절링크
155, 155' : 흉부 지지링크 156 : 연결바
157 : 흉부 각도 조절링크 158 : 제1 구동수단
158a : 제1 구동모터 158b : 변환기
158c : 제1 구동링크 159 : 제2 구동수단
159a : 제2 구동모터 159b : 변환기
159c : 제2 구동링크 161 : 고정부재
162 : 수평 지지링크 163, 163' : 하퇴부대 지지링크
164 : 흉부대 고정링크 171 : 유선통신모듈
172 : 무선통신모듈 173 : 제어부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안착된 고정 프레임;
    목재로 이루어지고, 인체의 두부, 흉부, 둔부, 대퇴부 및 하퇴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하여 두부판, 흉부판, 둔부판, 대퇴부판 및 하퇴부판으로 각각 분할된 상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고, 서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두부판, 상기 흉부판, 상기 둔부판, 상기 대퇴부판 및 상기 하퇴부판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부대, 흉부대, 둔부대, 대퇴부대 및 하퇴부대를 포함하는 회동 프레임; 및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두부대, 상기 흉부대, 상기 대퇴부대 및 상기 하퇴부대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둔부판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판, 상기 흉부판, 상기 대퇴부판 및 상기 하퇴부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두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대를 상기 흉부대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시키는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흉부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두부 각도 조절링크의 타측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
    일측부가 상기 한 쌍의 흉부 지지링크의 타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둔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흉부대를 일정 각도로 절곡시키는 흉부 각도 조절링크;
    제1 구동링크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제1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둔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두부대와 상기 흉부대를 일정 각도로 조절하는 제1 구동수단;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고, 일측부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퇴부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퇴부대를 기준으로 상기 하퇴부대를 절곡시키는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 및
    제2 구동링크를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를 회동시켜 상기 대퇴부대를 일정 각도로 조절하는 제2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와 나란하도록 양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링크;
    일측부가 상기 수평 지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하퇴부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퇴부 각도 조절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각도가 조절된 상기 하퇴부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하퇴부대 지지링크; 및
    일측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가 상기 흉부대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흉부대가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흉부대 고정링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각도 조절링크는 회동시 이웃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에 간섭되지 않도록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대, 상기 흉부대, 상기 둔부대, 상기 대퇴부대 및 상기 하퇴부대는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부에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목재 침대.
KR2020160005294U 2016-09-08 2016-09-08 전동식 목재 침대 KR200483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94U KR200483182Y1 (ko) 2016-09-08 2016-09-08 전동식 목재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294U KR200483182Y1 (ko) 2016-09-08 2016-09-08 전동식 목재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82Y1 true KR200483182Y1 (ko) 2017-04-13

Family

ID=5860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294U KR200483182Y1 (ko) 2016-09-08 2016-09-08 전동식 목재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480A1 (ko) * 2020-03-03 2021-09-10 (주)옵토닉스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KR20240040204A (ko) 2022-09-21 2024-03-28 이재덕 근적외선 방출형 전동 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415A (ja) * 1999-11-26 2001-06-05 Sankyo Frontier Co Ltd ベッドの改造方法
KR200301909Y1 (ko) * 2002-11-02 2003-01-29 성낙훈 매트리스 받침대
KR200456261Y1 (ko) 2009-01-29 2011-10-21 원욱성 조립식 목재침대
JP2016093430A (ja) *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メイフェア 可動式ベッド
US20160206487A1 (en) * 2015-01-19 2016-07-21 Sino Europe Gmbh & Co. Kg Slatted bed b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415A (ja) * 1999-11-26 2001-06-05 Sankyo Frontier Co Ltd ベッドの改造方法
KR200301909Y1 (ko) * 2002-11-02 2003-01-29 성낙훈 매트리스 받침대
KR200456261Y1 (ko) 2009-01-29 2011-10-21 원욱성 조립식 목재침대
JP2016093430A (ja) * 2014-11-17 2016-05-26 株式会社メイフェア 可動式ベッド
US20160206487A1 (en) * 2015-01-19 2016-07-21 Sino Europe Gmbh & Co. Kg Slatted bed b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480A1 (ko) * 2020-03-03 2021-09-10 (주)옵토닉스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CN113613611A (zh) * 2020-03-03 2021-11-05 股份公司欧特尼斯 独立控制床头部的倾斜床
KR20240040204A (ko) 2022-09-21 2024-03-28 이재덕 근적외선 방출형 전동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41B1 (ko)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US11925597B1 (en) Multi-function adaptable lift system
RU264203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ая кровать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ложения поясницы и головы
US5537701A (en) Adjustable articulated bed
US20140041121A1 (en) Lumbar Folding Bed
US4361917A (en) Portable orthopedic bed
KR101398388B1 (ko) 요양침대용 조절식 프레임
US20130212807A1 (en) Bed chair
CN205586175U (zh) 一种医用护理床
GB2362566A (en) Adjustable / gatch platform, with longitudinally displaceable pivots and supports bridging gaps in semi recumbent configuration
US6880186B2 (en) Arrangement in a bed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ed provided with the said arrangement
JP2008509790A (ja) 椅子
JPH11500337A (ja) すべりの減少した回動と段差床との組み合わせを有するベッド
US9554957B2 (en) Bed chair
US10568434B2 (en) Adjustable foundation
RU201512093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двигательной активности
ES2562263B1 (es) Cama de volteo para personas con discapacidad
EP2777671A1 (en) Patient table
KR200483182Y1 (ko) 전동식 목재 침대
CN105726237A (zh) 一种整体旋转翻身床
US20060260051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KR101522929B1 (ko) 침대와 좌변기 부설 휠체어로 변환가능한 환자용 베드체어
KR102175145B1 (ko) 모션 베드
CN106377380B (zh) 一种妇科检查床
CN212345983U (zh) 一种可调整姿态的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