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516A - 액정 형성용 조성물, 액정 함유 유화제 및 크림상 또는 필름상을 나타내는 액정 함유 화장료 - Google Patents

액정 형성용 조성물, 액정 함유 유화제 및 크림상 또는 필름상을 나타내는 액정 함유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516A
KR20210109516A KR1020217007769A KR20217007769A KR20210109516A KR 20210109516 A KR20210109516 A KR 20210109516A KR 1020217007769 A KR1020217007769 A KR 1020217007769A KR 20217007769 A KR20217007769 A KR 20217007769A KR 20210109516 A KR20210109516 A KR 2021010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smetic
mass
fil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틴 핫쟈지
히로카 마루야마
세츠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치후레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후레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치후레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매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구성 성분에 의한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고,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융해된 상태에서 액정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피막 형성 고분자와 함께 함유시킴으로써, 용기 중에서는 액상으로, 및 피부 상에서는 필름상으로 안정적으로 액정 구조를 유지하는 화장료를 조제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조성물 그리고 그 조성물을 이용한 유화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 그 조성물과, 용매를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 ; 그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 등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액정 형성용 조성물, 액정 함유 유화제 및 크림상 또는 필름상을 나타내는 액정 함유 화장료
본 발명은, 액정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액정을 함유하는 유화제 그리고 크림상 및 필름상의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액정 (Liquid crystalline ; LC) 에는, 라멜라상, 헥사고날상, 큐빅상 등의 구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액정 구조를 갖는 재료는, 미용상의 이점 때문에,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품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라멜라상을 갖는 액정 및 겔, 특히 케라티노사이트 간의 라멜라 지질과 구조 및 성질이 유사한 지질을 포함하는 것은, 그것들의 보습 및 배리어 기능 때문에 피부의 수화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이 나타나 있다. 라멜라층 간의 결합 수분량 그리고 라멜라상에 포함되는 지질의 성질 및 농도는, 보습 효과 및 배리어 효과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친다.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되는 라멜라 액정은, 통상적으로, 겔, 크림, 로션 등에 포함되는 액적 에멀션으로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들 화장료 중에 형성되는 라멜라 액정은, 용매의 증발시에 농축되어 결정화가 일어난다. 또한, 화장료의 제조시 또는 피부 적용시에 기계적인 전단에 의해, 용이하게 소실될 수 있다.
만일, 화장료 중의 라멜라상 액정 방울 (라멜라 지질) 을 피부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농도로 고정화시킬 수 있으면, 라멜라 지질의 연속 시트, 즉 액정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필름을 형성하는 농축된 라멜라 지질 회합체의 존재는, 충분한 보습 기능 및 우수한 필름 배리어 기능을 동시적으로 피부에 가져와,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지질 및 수분이 라멜라상의 액정 미소 방울로서 농축된 이와 같은 라멜라 지질의 연속 시트의 실현은, 피부에 적용되는 동안에 라멜라 지질 액적이 불안정화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달성되어 있지 않다.
라멜라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조제에서는, 유화제, 주로 계면 활성제 및 극성 지질을 사용한다. 그러나, 계면 활성제는 피부의 지질 배리어를 파괴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또, 극성 지질은, 통상적으로는 세라미드나 스테롤 등의 천연의 막 지질이며, 이것들은 용해성이 낮고, 결정화도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액정 형성용의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그 문헌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개시로서 원용된다) 에는, 스테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유화제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0587호
특허문헌 1 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각질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액정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에 도포되고 있는 동안에도 액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높은 스킨 케어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제제화가 용이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유화제의 필수 성분인 스테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의 혼합물을 융해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예를 들어, 이것들을 수성 용매 또는 유성 용매로 분산시키려고 해도, 스테롤의 잔류물이나 결정의 석출물인 응집체가 계속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스테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의 혼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 기재가 있는 바와 같이, 다량의 고급 알코올을 사용해야 한다. 그 결과로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유화제를 이용하여,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유성 성분을 함유시켜야 하고, 배합하는 물의 양이 한정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피부 상에 도포하여 액정 필름을 형성할 때에, 형성된 필름에 접착성, 탄력성 및 전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피막 형성 고분자를 배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에 사용하는 피막 형성 고분자는 수용성인 것이 많아, 배합하는 물의 양이 한정되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유화제를 이용한 화장료에서는, 이와 같은 수용성의 피막 형성 고분자를 함유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의 실시예를 보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유화제에는 반드시 다량의 고급 알코올 등의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레시틴이나 피토스테롤 등의 성분보다 과잉인 양이다. 이와 같은 다량의 계면 활성제는 피부에 있어서 자극이 될 수 있다. 또, 고급 알코올 등의 계면 활성제가 다량으로 포함되는 화장료는 피부 상에서 도포시에 문지르면 비누와 같이 희게 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량의 고급 알코올을 수계의 제제에 넣은 경우, 수화 결정이 되어 겔 네트워크 구조가 구축되지만, 시간 경과적 변화와 함께 용매의 증산 등이 일어나 결정화가 일어나고, 제제가 상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매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구성 성분에 의한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고,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융해된 상태에서 액정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피막 형성 고분자와 함께 함유시킴으로써, 용기 중에서는 액상으로, 및 피부 상에서는 필름상으로 안정적으로 액정 구조를 유지하는 화장료를 조제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조성물 그리고 그 조성물을 이용한 유화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여, 예의 연구 개발을 진행한 결과,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천연 막 지질의 3 성분의 조합에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이 3 성분의 조합은, 가온함으로써 융해시킬 수 있고, 그리고, 놀랍게도, 여러 가지 수성 용매 및 유성 용매를 사용하여 팽윤시킴으로써, 상기 3 성분에 의한 잔류물이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정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더욱 놀랍게도, 상기 3 성분과 용매를 함유하는 유화제를, 여러 가지 피막 형성 고분자와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화장료는, 용기 중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여 안정적으로 액정 구조를 유지함과 함께, 피부 상에 도포하였을 때에는 필름상으로 존재하여 안정적으로 액정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상기 3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고, 추가로 유화제를 조제할 때에 이용하는 용매로서 수성 용매를 사용하고, 또한, 피막 형성 고분자로서 수용성의 피막 형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유화제를 피막 형성 고분자에 의해 덮음으로써, 용매의 증발 및 농축에 의한 라멜라 액정 방울의 응집이나 도포시의 전단, 땀이나 피지의 혼입 등에 의한 액정의 파괴를 막아,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라멜라 액정 방울이 고농도로 고정화된 필름을 형성하는 화장료를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리고 그 조성물을 이용한 유화제 및 화장료를 창작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 및 성공예에 기초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이하의 [1] ∼ [17] 의 조성물, 유화제 및 화장료가 제공된다.
[1]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2] 상기 액정 형성용 조성물은, 25 ℃ 에서 고체 상태인, [1] 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양친매성 지질인, [1] ∼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4] 상기 레시틴 및 상기 수첨 레시틴은, 각각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인,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5]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상기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이거나, 또는 상기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인,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6] 양친매성 지질 38 질량% ∼ 70 질량% 와, 스테롤 5 질량% ∼ 40 질량% 와, 직사슬 포화 지방산 10 질량% ∼ 45 질량% 를 함유하고, 또한 25 ℃ 에서 고체 상태인 액정 형성용 조성물.
[7]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과, 용매를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
[8] 상기 용매가, 물, 다가 알코올,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용매인, [7] 에 기재된 유화제.
[9] 상기 용매의 함유량은 50 질량% ∼ 90 질량% 인, [7]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제.
[10]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형성용 조성물과, 다가 알코올,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용매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
[11]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함수량이 50 % 이하가 된 경우에 필름상을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액정상을 함유하는, [10] 에 기재된 화장료.
[12]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로서, 그 유화제의 함유량은 5 질량% ∼ 15 질량% 이고, 그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2 질량% ∼ 10 질량% 이고, 또한, 그 물의 함유량이 80 질량% ∼ 90 질량% 인, 상기 화장료.
[13]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크림상의 액정 함유 화장료로서, 그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2 질량% ∼ 10 질량% 인, 상기 화장료.
[14]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함수량이 50 % 이하가 된 경우에 필름상을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액정상을 함유하는, [12]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15]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양친매성 지질인, [12] ∼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16] 상기 레시틴 및 상기 수첨 레시틴은, 각각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인, [15] 에 기재된 화장료.
[17]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상기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이거나, 또는 상기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인, [12] ∼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이하의 [A1] ∼ [A9] 의 조성물, 유화제 및 화장료가 제공된다.
[A1]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A2]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양친매성 지질인, [A1] 에 기재된 조성물.
[A3] 상기 레시틴 및 상기 수첨 레시틴은, 각각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인, [A1] ∼ [A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A4]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상기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이거나, 또는 상기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인, [A1] ∼ [A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A5] [A1] ∼ [A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에 조성물과, 용매를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
[A6] 상기 용매가, 다가 알코올 또는 물인, [A5] 에 기재된 유화제.
[A7] [A5] ∼ [A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
[A8] 상기 유화제의 함유량은 5 질량% ∼ 20 질량% 이고, 상기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2 질량% ∼ 10 질량% 이고, 또한, 상기 물의 함유량은 80 질량% ∼ 90 질량% 인, [A7] 에 기재된 화장료.
[A9] 상기 화장료는 함수량이 50 % 이상인 경우에 크림상을 나타내고, 또는 함수량이 50 % 이하인 경우에 필름상을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액정상을 함유하는, [A7] ∼ [A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 유화제 및 화장료에 의하면, 개선된 보습 능력을 나타내고, 생체 적합성이 높고, 또한, 사람의 피부에 우수한 감촉을 갖는 액정 재료와 피막 형성 고분자의 복합체 필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광범위의 화장품용 용매에 있어서 안정적인 액정상을 형성하고, 또한 각층 (角層) 의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구성 및 구조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복합체 필름을 피부 표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그 보습성 지질 복합체 및 결합성 층간수 (bound interlamellar water) 에 의해 실현되는 액정 성분의 완전한 습윤성이 보증되고, 그 뿐만 아니라 필름의 우수한 배리어 특성을 동시에 피부에 부여할 수 있다. 그 복합체 필름의 원하는 보습 및 배리어의 효과는, 액정 성분 및 필름 성분에 의해 상승적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피부에 국소 적용함으로써, 습도가 풍부한 라멜라 액정상을 미소 액적 분산체로서 다량으로 포함하는 액정 함유 필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체 필름은, 보습성, 장시간 착용성, 투과성 및 광택을 구비할 수 있고, 케라틴 물질의 화장용 물리적 차폐재로서도 사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전의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크림 상태에 있어서의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이다.
도 1B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 8 시간의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이다.
도 2A1 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전의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크림 상태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2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전의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크림 상태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1 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의 8 시간의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2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의 8 시간의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1 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비교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의 8 시간에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2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비교예 1 의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의 8 시간에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실시예 13 ∼ 14 의 유화제 및 비교예 6 의 유화제에 대하여,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이다.
도 4A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in vivo 보습성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in vivo 보습성에 대하여, 실시예 11 의 화장료와 비교예 5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폐색성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접착성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인 조성물, 유화제 및 화장료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본 항목의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각 용어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당업자에 의해 통상 사용되고 있는 의미로 사용되며, 부당하게 한정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루어져 있는 이론이나 추측은, 본 발명자들의 지금까지의 지견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와 같은 이론이나 추측에 의해서만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나열 기록한 복수의 관련 항목 중 어느 하나, 또는 2 개 이상의 임의의 조합 혹은 모든 조합을 의미한다.
「함유량」은, 농도와 동일한 의미이고,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의 전체량에 대한 성분의 양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함유량의 단위는「질량% (wt%)」를 의미한다. 단, 성분의 함유량의 총량은, 10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수치 범위의「∼」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이며, 예를 들어,「0 질량% ∼ 100 질량%」는 0 질량% 이상이고, 또한, 100 질량% 이하인 범위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액정 형성성」은, 용매로 팽윤시킴으로써, 리오트로픽 액정을 형성하는 기능이다.
「액정의 안정성」은, 용기 중 또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형성되는 필름 중에서 액정 형성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발생시키는 기능이다.
「보습성」은, 피부에 있어서의 각층 수분량을 유지하는 기능이다.
「폐색성」은,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기능이다.
「접착성」은, 피부 상에서 필름상으로 전연한 상태에서 피부에 부착되는 기능이다.
이들 특성은, 각각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 및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액정의 구성 성분을 적어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는, 액정의 구성 성분과 용매를 적어도 함유함으로써, 액정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액정의 구성 성분을 용매로 팽윤시켜, 액정 구조를 갖는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한 경우에, 박리 가능하고, 보습성 및 배리어 기능을 갖는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갖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1.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액정의 구성 성분 (이하, 액정 성분이라고도 부른다) 으로서,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적어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액정 성분을 함유하면 되고, 피부 자극성을 초래하는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 또, 액정 성분은, 각각 천연 성분에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적합하고, 각질층 중의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구성 및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친매성 지질은, 분자 내에 친수기와 친유기를 갖는 지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인 지질, 스핑고 지질, 당 지질 등을 들 수 있는데, 각질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레시틴, 수소 첨가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이 바람직하다. 양친매성 지질은, 상기한 것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친매성 지질에는, 상기 열거한 것을 효소 처리 등에 의해 모노아실체로 한 리소체 등이어도 된다. 단, 양친매성 지질에는,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수첨 대두 레시틴, 수첨 난황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유화제 및 화장료 그리고 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액정 필름이 안정적인 액정 구조를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 (PC) 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 중, 수첨 레시틴이 보다 바람직하다.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LIPOID P75」(에이치·홀스타인사 제조),「Basis LP-20H」(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Basis LS-60HR」(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NIKKOL Lecinol S-10」(닛코 케미컬즈사 제조),「NIKKOL Lecinol S-10EX」(닛코 케미컬즈사 제조),「NIKKOL Lecinol S-10E」(닛코 케미컬즈사 제조),「NIKKOL Lecinol S-10M」(닛코 케미컬사 제조),「Phospholipon (등록 상표) 80H」(에이치·홀스타인사 제조),「COATSOME NC-21」(니치유사 제조),「COATSOME NC-61」(니치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라미드는, 스핑고신 및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스핑고 지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세라미드 1, 세라미드 2, 세라미드 3, 세라미드 3B, 세라미드 4, 세라미드 5, 세라미드 6, 세라미드 6Ⅰ, 세라미드 6Ⅱ 및 이것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피부 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지질이라는 관점에서, 세라미드 3, 세라미드 3B, 세라미드 4, 세라미드 6Ⅱ 및 이것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세라미드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CERAMIDE 2」(구로다 재팬사 제조),「CERAMIDE Ⅰ」(Evonik Nutrition & Care GmbH 사 제조),「CERAMIDE Ⅲ」(Evonik Nutrition & Care GmbH 사 제조),「CERAMIDE ⅢB」(Evonik Nutrition & Care GmbH 사 제조),「CERAMIDE Ⅵ」(Evonik Nutrition & Care GmbH 사 제조),「CERAMIDE TIC-001」(타카사고 향료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테롤은, 스테로이드 골격 (시클로펜타하이드로페난트렌) 의 A 고리의 3 위치에 OH 기를 갖는 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β-시토시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캄페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에르고스테롤 등의 식물 스테롤 (피토스테롤) ; 콜레스테롤, 콜레스탄올, 라노스테롤, 디하이드로스테롤 등의 동물 스테롤 ; 마이코스테롤, 지모스테롤 등의 미생물 유래의 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또, 스테롤은, 라우로일글루타민산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올레산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 너트 지방산 피토스테릴 등의, 스테롤의 OH 기에 임의의 아미노산이나 지방산 등이 결합된 스테롤에스테르여도 된다. 스테롤은, 천연 유래의 것이어도 되고, 합성 화합물이어도 되며, 이것들을 안정화를 위해 수소 첨가 등의 처리에 제공한 것이어도 되는데,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나 액정을 안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천연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고, 피토스테롤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테롤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피토스테롤 (QI)」(타마 생화학사 제조),「피토스테롤 (SKP)」(타마 생화학사 제조),「피토스테롤」(에자이 푸드·케미컬사 제조),「콜레스테롤 JSQI」(닛폰 세이카사 제조),「일본 약국방 콜레스테롤」(닛폰 세이카사 제조),「엘듀 PS-203」및「엘듀 PS-306」(각각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사 제조),「카이레이 마린 콜레스테롤에스테르」및「마린 콜레스테롤에스테르 C」(각각 닛폰 스이산사 제조),「PlandoolTM-MAS」(닛폰 세이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직사슬 포화 지방산은, 직사슬형의 알킬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 부티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린산 등을 들 수 있고, 액정을 안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탄소수가 6 ∼ 22 인 직사슬 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거나, 또는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고, 또한,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 스테롤의 함유량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의 총량보다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이 스테롤 및/또는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작아지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유화제는 액정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38 질량% ∼ 7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 6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 질량% 이다. 양친매성 지질이 레시틴 및/또는 수첨 레시틴인 경우에는, 이것들의 PC 함유율이 작을 때에는,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을 크게 하고, 그 PC 함유율이 클 때에는,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을 작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스테롤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 질량% ∼ 4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 3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 질량% ∼ 4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 3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질량% 이다. 스테롤의 함유량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의 관계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액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테롤의 함유량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은 동일한 정도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은 상기한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의 비율 (양친매성 지질 : 스테롤 : 직사슬 포화 지방산) 은, 각층의 세포 간 지질의 구성비와 유사한 배합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60 : 20 ∼ 30 : 10 ∼ 2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 : 25 : 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스테롤의 함유량 및/또는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에 대해, 10 질량% 보다 많은 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보다 많은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 보다 많은 양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을 방해하지 않는 한, 즉, 액정 형성성을 갖고, 또한 구성 성분에 의한 잔류물이 발생하지 않는 한,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에 더하여,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함유할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화장료를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천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부 자극성이 있는 계면 활성제 등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 그리고 임의로 다른 성분을 가온하면서 교반 혼합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은, 가온한 상태로부터 25 ℃ 이하로까지 냉각되면, 통상적으로는 고체 상태가 된다.
[2. 유화제]
용액상 또는 고체상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을 용매로 팽윤 또는 용매에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액정 구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적으로 화장료를 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매 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물, 다가 알코올 (글리세린, BG, PG 등), 알코올 (에탄올 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파라핀, 수첨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렌, 스쿠알란 등), 식물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 종자유, 참기름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이, 각질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액정 구조, 즉, 라멜라 액정 구조를 안정적으로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다가 알코올 또는 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에 있어서의 용매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대해 충분히 많은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 질량% ∼ 90 질량% 이고, 60 질량%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65 질량%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67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매의 함유량이 5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이 균일하게 팽윤 및 분산되지 않아, 양호한 액정 형성성이 확인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를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함유하는 액정 구조를 소실시키지 않을 정도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과 용매를 균일화될 때까지 가온 및 교반하고, 또한 실온까지 냉각시킴으로써, 용매 중에 액정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정 성분의 종류나 함유 비율 등에 기초하는 지질 구성 및 사용 용매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점성이 있는 땅콩 버터와 같은 크림상이나 유동성이 있는 페이스트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에 있어서의 액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편광 광학 현미경법 (Polarizing Optical Microscopy ; POM) 을 이용한 액정 형성성을 평가하는 방법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지만, 시차 주사 열량 측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DSC) 이나 X 선 회절 (X-Ray Diffraction ; XRD) 등의 당업계에 있어서 공지된 기술에 의해 확인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액정 성분을 용매 중에 분산시켜 액정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그 액정은 리오트로픽 액정이라고 할 수 있다. 리오트로픽 액정의 정의 및 그 상 거동 (안정성) 의 상세한 내용은,「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 Theoretic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등의 문헌 (그 문헌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개시로서 원용된다) 을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오트로픽 액정상은, 어느 온도에서 용매계 중의 양친매성 분자에 의해 형성되는 회합체를 가리킨다. 계면 활성제 및 막 지질 등의 양친매성 분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비극성 사슬에 결합된 극성 두부기 (頭部基) 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와 같은 양친매성 분자가 물과 같은 용매에 용해되면, 그것들은 극성 (친수성) 두부가 비극성 (소수성) 미부 (尾部) 를 보호하는 회합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과잉 용매 중에서는, 양친매성 분자는 미셀로서 알려져 있는 구상의 회합체를 형성하고, (용매 증발 또는 그것들의 농도의 증가에 의해) 농축되면, 통상 미셀과는 상이한 형상, 구조 또는 광학 특성을 갖는 회합체를 형성한다. 이들 회합체는, 육방정계 액정상을 포함하고, 양친매성 분자는 육각형 배열 중에 충전되는 기둥상 구조를 형성한다. 라멜라 액정상은 보다 높은 양친매성 물질 농도에서 출현되고, 양친매성 분자는 2 분자 막 구조를 형성한다. 용매 및 농축 효과에 더하여, 온도는 리오트로픽 액정상의 형성 및 안정성에 극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오트로픽 액정상이 크라프트점 (Kp) 보다 낮은 일정한 온도까지 냉각되면, 상 전이가 일어나, 겔상이 출현되는 경우가 많다. 액정상 또는 겔상의 형성은 화장료에 있어서도 볼 수 있고, 그것들의 상 전이의 제어는, 유동성 및 안정성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와 화장료의 조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고부하를 가하지 않고 교반 혼합 등을 함으로써,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얻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와 함께, 피막 형성 고분자 및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갖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적어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이다. 또한, 용매로서 유성 성분을 사용하여, 유분이 많은 화장료로 함으로써, 피부 상에 헥사고날 액정 구조를 갖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3. 화장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수중에 약 10 ㎛ ∼ 30 ㎛ 의 액정 미소 방울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킨 크림상의 수중 유형 유화물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크림 상태에 있어서는 희고, 고점도일 수 있지만, 피부 상에 도포되어 잉여인 수분이 증산되면 필름을 형성한다. 피부 상에서 형성된 복합체 필름은, 끈적이지 않고, 반투명하고 광택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부 상에서 위화감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피막 형성 고분자를 함유함으로써, 액정의 안정화뿐만 아니라, 상승적인 보습 효과를 가져온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피부 표면 상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필름에 의해, 폐색 효과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피막 형성 고분자와 액정의 상호 작용은, 필름 형성에 있어서의 자연 증발 과정에서의 액정의 융합 및 결정화를 막고, 또한 필름에 함유시킬 수 있는 수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필름의 내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액정을 고분자 필름의 필러로서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어, 장시간의 피부에 대한 접착과 높은 수분 폐색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의 함유량은, 화장료 중 및 화장료를 피부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필름 중에 있어서 액정 형성성을 확인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질량%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 ∼ 2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 질량% ∼ 1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 질량% ∼ 1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 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의 함유량이 이들 범위에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형성되는 필름에 있어서, 안정적인 액정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피막 형성 고분자를 함유한다. 피막 형성 고분자는,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했을 때에, 필름상의 피막을 피부 상에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기능 (피막 형성 기능) 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천연 유래의 것이어도 되고, 합성하여 얻어지는 것이어도 되며, 이것들의 혼합물이어도 되고,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단, 액정 성분에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 상에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라멜라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피막 형성 고분자는 천연 유래의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생체 고분자로서 알려져 있는 것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천연 유래의 피막 형성 고분자의 구체예로는, 히알루론산염 (아세틸화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히알루론산나트륨 등), 투베로사 다당체,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키토필르머 등), 당사슬 폴리머 및 갈락탄 (갈락토만난, 황산화갈락탄), 스이젠지노리 다당체,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 알긴산염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풀루란, 카라기난, 전분 유도체 (글리코실트레할로오스, 가수 분해 수첨 전분 등), 식물성 헤테로 다당류 (틴네벨리 센나 (cassia angustifolia) 종자 다당체 등), 콜라겐 (해양 콜라겐 등), 타마린드 검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 유래의 피막 형성 고분자는, 상기한 것 등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합성품인 피막 형성 고분자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개질 다당류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르바모일풀루란,「TSPL-30-ID」(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 실리콘 고무 및 수지 (트리메틸실록시규산,「KF-9021」,「KF-7312J」,「X-21-5250L」,「X-21-5616」(각각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 실리콘 엘라스토머 (폴리실리콘 11 등),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VA 코폴리머 등), 폴리(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 (C10-30) 크로스 폴리머 등),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에테르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과 n-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쿼터늄-51 등), 폴리올레핀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나트륨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품인 피막 형성 고분자는, 상기한 것 등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피막 형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질량% ∼ 1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 질량% ∼ 1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 8 질량% 이다.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1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해도 피막상의 필름을 형성하지 않거나, 균열이나 박리 등의 형상 안정성이 부족한 필름이 형성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천연 유래의 피막 형성 고분자에 더하여, 합성품인 피막 형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액정의 안정성, 필름의 자립성, 보습성의 향상을 위해 생체 고분자가 우선적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막 형성 고분자와 함께, 겔화제로서 기능하는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피부 상에 형성한 필름에 겔의 특성 (증점성) 을 부여하거나, 또는 습도 응답성 등의 자극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겔화제로서 기능하는 고분자로는 잔탄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그 함유량은 0.1 질량% ∼ 0.5 질량% 정도이다. 또, 필름의 유연성 및 피부 표면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가 알코올이나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리코시드 등의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2 질량% ∼ 10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은, 수중 유형 화장료 가 얻어질 정도의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70 질량% ∼ 9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 9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있어서, 액정 성분은 안정적인 미소 액적 에멀션으로서 기둥상의 액정상을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화장료의 수분량이 50 질량% 이상).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물이나 그 밖의 용매를 증발시켜 고농축 조건하 (화장료의 수분량이 50 질량% 이하) 에 두면, 액정 성분은 고분자 필름 (고체) 매트릭스 중에 안정적인 미소 액적 분산체로서 라멜라 액정상을 함유하는 액정 필름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각질층의 라멜라 구조를 갖는 세포 간 지질은, 액정의 특성 때문에, 변형 가능하고, 이로써, 전단시에 서로 슬라이딩하고, 나아가서는 피부에 탄력성 및 가요성을 부여한다 (Progress in Lipid Research 42, 1-36 (2003) 을 참조 ; 그 문헌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개시로서 원용된다). 라멜라 구조를 취하는 세포 간 지질은, 첫 번째로는 각질층을 통과하는 물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경표피 수분 손실 (TEWL) 을 방지하고, 그리고 수용성 화합물 (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천연 보습 인자) 등) 이 각질 세포로부터 침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중요한 배리어 기능을 한다 (Dermatologic Therapy 17, 6-15 (2004) 를 참조 ; 그 문헌의 전체 기재는 여기에 개시로서 원용된다). 또, 세포 간 지질은, 오염 물질 및 유해한 태양 방사선 등의 환경 상해에 대한 물리적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피부 상에 형성되는 액정 필름은, 성분에 자연 유래의 막 지질을 사용한 복수의 라멜라 액정 방울이 응축됨으로써, 연속된 구조가 되어, 각질층의 세포 간 지질에서 발견되는 구성 또는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피부 상에 형성되는 액정 필름은 세포 간 지질과 동일한 보습 기능 및 배리어 기능, 또한 화장료에 허용 가능한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의 pH 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의 pH 의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 9 이고, 바람직하게는 6 ∼ 8 이다. pH 의 값이 5 ∼ 9 의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액정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안정적인 고분자 필름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한에 있어서, 그 기능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액정의 안정성에 대하여,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용기 중 및/또는 피부 상에 있어서의 액정의 안정성을 시험함으로써, 몰티즈 크로스 (Maltese cross) 를 관찰할 수 있고, 또한, 결정의 석출 및 스테롤의 불용해물을 관찰할 수 없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는, 양친매성 지질을 0.5 질량% ∼ 5.0 질량%, 스테롤을 0.1 질량% ∼ 2.0 질량%,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0.1 질량% ∼ 2.25 질량%, 다가 알코올을 2 질량% ∼ 15 질량%, 피막 형성 고분자를 2 질량% ∼ 10 질량% 및 물을 80 질량% ∼ 90 질량% 로 함유하고, 또한, 용기 중 및/또는 피부 상에 있어서의 액정의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 유형 유화 화장료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나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피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합체 액정 필름에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것들에 의해 향수되는 장점에 대하여 이하에 열거하지만, 이들 장점의 유무만으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한정되지 않는다.
(1) 화장료는, 저용해성 지질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마저 (예를 들어, 지질의 총량에 대해 30 질량%), 응집 (액적 융합) 이나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고, -10 ℃ ∼ 50 ℃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약 1 개월 간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화장료는, 주위 조건하 (온도 : 25 ℃, 상대 습도 : 50 %) 에 있어서, 특별한 탈수 처리나 그 밖의 필름 형성 기술을 적용하지 않고, 용매 및 다른 휘발성 물질의 자연 증발에 의해, 피부 상에 연속적인 필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3) 복합체 액정 필름은, 수분 및 지질이 풍부하고, 복수의 분산된 라멜라 액정 방울을 포함하는 접착 필름이다. 분산된 액정 방울은, 기계적 마찰에 의한 액정 상 전이, 액적 합체, 지질 결정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4) 복합체 액정 필름은, 함유하는 성분에 따라서는, 생체 적합성 및 통기 성이 있고, 또한 안전하고 또한 피부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자립 시트로서 벗겨낼 수 있다. 벗겨내어진 시트에 매립된 액정 액적 (라멜라 지질) 을 분해하지 않고, 박리한 자립 시트를 주위 조건 (온도 : 25 ℃, 상대 습도 : 50 %) 에서 3 개월을 초과하여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복합체 액정 필름은, 피막 형성 고분자가 수용성 고분자인 경우, 과잉의 물로 세정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6) 복합체 액정 필름은, 촉촉한 느낌, 냉기, 및 가벼운 촉감을 가져, 사용시에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다.
(7) 복합체 액정 필름은, 분산된 라멜라 액정 방울이, 고분자 필름의 보강 충전제로서 기능하여, 그 보습성, 피부에 대한 접착성 및 폐색성, 또한 광택도가 상승적으로 개선된 것이 될 수 있다.
(8) 복합체 액정 필름은, 원하는 바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할 수 있고, 그 투명도는, 예를 들어, 액정 분산물의 액적 사이즈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 가능하다. 투명성 이외에, 복합체 액정 필름의 광택도는, 지질 성분의 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산된 액정 방울은 고분자 필름의 과도한 광택을 억제할 수 있다.
(9) 복합체 액정 필름은, 내구성이 있는 장시간의 접착이 가능한 보습 필름이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가 있는 바와 같이, 8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접착한 채로 피부를 습윤 상태로 할 수 있다.
(10) 복합체 액정 필름은, 악화된 피부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 교정제 및 컨실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11) 복합체 액정 필름은,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말 및 안료에 의해 분말화 및 착색할 수 있다.
(12) 복합체 액정 필름은, 공기 중의 분진, 재, 입자상 물질 (PM), 파편, 미생물, 꽃가루 등의 오염성 물질 및 다른 유해한 환경 요인에 대해, 미용상 허용 가능한 물리적 차폐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복합체 액정 필름에 의해 얻어지는 여러 가지 기능, 작용 및 효과는, 액정 성분 및 피막 형성 고분자의 양방에 의해 상승적으로 얻어지고, 개개의 성분에 의해 달성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14) 복합체 액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 ㎛ ∼ 200 ㎛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의 함수량이 86 질량% 인 경우, 화장료 약 1.0 g 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의 피부 상에 도포하면, 약 8 × 3 ㎠ 의 면적이 되도록 균일하게 퍼지고, 이어서 주위 조건 (온도 : 25 ℃, 상대 습도 : 50 %) 하에서 약 10 분간 자연스럽게 건조시킴으로써, 그 면적으로 필름이 형성된다.
(15) 복합체 액정 필름에 포함되는 천연 막 지질은 세포 간 지질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라멜라 액정 방울 중에 담지된다.
(16) 복합체 액정 필름의 함수율은 DSC 측정에 의해, 및 액정 방울의 함수율은 (결합성 층간수로서) XRD 측정에 의해 확인한다. 그 결과, 각층의 함수율 (약 10 ∼ 20 %) 에 비해 복합체 액정 필름은 함수율이 높고 (적어도 40 질량%), 또한 복합체 액정 필름에 비해 액정 방울의 함수율이 높다. 따라서, 피부 상에 복합체 액정 필름을 도포함으로써,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구배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17) 복합체 액정 필름에 의해 피복되는 피부 영역의 연속적인 수화는, 막 폐색력과 함께 수분 구배 시스템에 의해 달성할 수 있고, 경피 수분 증산 등에 의해 피부로부터 상실된 수분을 재포착하여, 또한 복합체 액정 필름에 축적할 수 있다.
(18) 복합체 액정 필름은, 피부 수화 상태가 복합체 액정 필름에 의해 양호하게 관리되어, 과수화도 탈수도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은, 복합체 액정 필름의 수분 구배 시스템 및 수분 응답성에 의한 것이며, 피부 표면의 통합성 및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필름의 함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역적 팽윤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19) 복합체 액정 필름은, 분산된 라멜라 액정상의 원하는 기능, 예를 들어, 청정성, 광학성, 내포물 서방성 또는 보습성이 응축 필름 상태에서 증폭될 수 있다. 이것은, 필름 내에 안정적으로 매립된, 각 액적이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활성 물질에 의해 초래되고, 라멜라 액정 방울의 많은 집합의 존재에서 기인한다. 또, 복합체 액정 필름은 라멜라 액정 방울의 많은 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필름의 균질성 (고체 필름 중의 활성 물질의 분포) 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필름이 피부의 넓은 표면적에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있거나, 또는 액정 방울의 분산이 보다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장료 또는 액정의 효과는 최대화되고, 동일하게 송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다른 성분은,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을 방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착색제 및 안료, 향료, 분말, 항노화제, 항주름제, 항피부 위축제, 세포 부활제, 항오염제, 항균제 및 방부제, 피부 연화제, 보습제 및 질감 향상제, 계면 활성제, 유화제, 유용성 컨디셔닝제, 증점 폴리머, 항산화제, 겔화제, 탱탱함이나 탄력을 부여하는 성분, 미백제, 항염증제, 냉각제, 가온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무기염 및 무기물,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산란제, 자외선 차단제, 창상 치유제, 비타민 및 비타민 유도체, 박리제 및 연마제, 흡수제, 항생 물질, 응고 방지제, 생물학적 첨가제, 표백 활성화제, 화학 첨가물, 클렌저, 탈취제, 효소, 유백제, 산화제, 완충제, 가소제, 라디칼 포착제, 피부 침투 촉진제, 안정제, 미용 성분, 식물 추출물, 제한제 (制汗劑), 곤충 기피제, 항좌창제, 소독제, 피부 진정제, 피부 배리어 수복 보조제, 피부 수복제, 지질, 피지 억제제, 가려움 방지제, 모발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한 약제, 항당화제, 습윤제, 광 산란제 그 밖의 광학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은 상기한 것 등의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 질량% ∼ 10 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그 자체로 보습성이나 폐색성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지만, 활성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적용하는 피부에 대해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추가적인 기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피부를 수화시키는 것, 잔주름 및 주름의 평활화, 좌창의 미용적 처치, 피부의 조임 (퍼밍), 피부의 연화, 피부에 대한 활성 물질 등의 침투성의 촉진, 피부의 클렌징, 오래된 각층의 제거, 메이크업 리무버, 메이크업 베이스 필름, 피부의 색조 및 질감의 개선 또는 매끄럽게 하는 것, 피부의 컨실러링과 착색, 피부의 컨디셔닝, 모공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 분비물의 흡수 및 제어, 피부의 보호, 피부의 리프레시와 냉각, 염증 완화, 충격을 완화하는 것, 정화하는 것, 향기 부여, 세균 증식을 감소시키는 것, 불필요한 모발의 제거, 방충, 더러움 (오염 물질) 과 메이크업 잔여물의 제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의해 피부 상에 형성된 복합체 액정 필름은, 피부를 수화시켜, 피부를 환경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신체적 풍모를 미용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적용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얼굴 (이마, 눈가, 눈초리, 뺨, 입가 등), 팔, 팔꿈치, 손등, 손가락끝, 발,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 두피, 모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그 사용 양태나 제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킨 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프레이그런스 화장품, 보디 케어 화장품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림, 유액, 파운데이션, 화장수, 미용액, 올인원 젤, 선스크린 젤, 로션, 팩, 마스크, 포인트 마스크, 패치, 세안 크림, 핸드 크림, 메이크업 클렌징, 메이크업 베이스, 컨실러, 볼터치,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립스틱, 자외선 차단 크림, 탈모·제모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에 대해, 다른 화장료를 제조할 때의 원료 (중간 원료) 로서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함유하는 액정 구조를 소실시키지 않을 정도로 가온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유화제, 피막 형성 고분자 및 물, 그리고 임의로 그 밖의 성분을 교반 혼합 등에 의해 균일하게 액정 성분을 분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액정 필름을 형성하고, 이로써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건조한 피부를 개선하는 것 또는 추가적인 건조에 의한 악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를,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액정 필름, 바람직하게는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갖는 액정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피부 상에서의 액정 필름의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1. 피험 시료의 조제]
(1-1)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유화제 및 화장료
표 1 에 나타낸 처방에 따라,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유화제 및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중의 수첨 레시틴의 함유량은, 원료인「Basis LS-60HR」(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 포스파티딜콜린 (PC) 함유율 : 65 ∼ 75 %) 의 첨가량을 나타낸다. 표 중의 레시틴의 함유량은, 원료인「LIPOID P75」(에이치·홀스타인 주식회사 제조) 의 첨가량을 나타낸다. 표 중의 세라미드의 함유량은, 원료인「Ceramide Ⅵ」(Evonik Nutrition & Care GmbH 사 제조) 의 첨가량을 나타낸다.
표 중의 A 상에 대해, 각 성분을 가온 및 수동 교반에 의해 균일하게 융해되도록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조제한 A 상에, B 상을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가온 및 수동 교반에 의해 혼합하여, 크림상을 나타낸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유화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유화제에, 별도로 각 성분을 용해시킨 C 상을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가온 및 수동 교반에 의해 혼합하였다. 얻어진 유화제 및 C 상의 혼합물을 실온이 될 때까지 냉각시켜,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1-2) 비교예 1 및 비교예 5 의 화장료
표 1 에 나타낸 처방에 따라, B 상과 C 상의 각 성분을 가온 및 수동 교반에 의해 균일하게 용해되도록 혼합함으로써, 비교예 1 및 비교예 5 의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1-3) 비교예 2 ∼ 비교예 4 의 유화제 및 화장료
표 1 에 나타낸 처방에 따라, 상기 (1-1) 의 순서에 따라, 비교예 2 ∼ 비교예 4 의 유화제 및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1-4) 실시예 13 ∼ 14 의 유화제 및 비교예 6 의 유화제
표 1 에 나타낸 처방에 따라, 상기 (1-1) 의 순서에 따라, 크림상을 나타낸 실시예 13 ∼ 14 의 유화제 및 비교예 6 의 유화제를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중의 ※ 표시의 원료에 대하여,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
모노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NIKKOL 데카그린 1-SV」(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 (QI)」(타마 생화학사 제조)
라우로일글루타민산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엘듀 PS-306」(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사 제조)
올레산콜레스테릴, 콜레스테롤 :「마린 콜레스테롤에스테르 C」(닛폰 스이산사 제조)
히알루론산Na :「히알루론산액 HA-LQ1」(큐피사 제조)
아세틸화히알루론산Na :「아세틸화히알루론산나트륨」(시세이도사 제조)
히프로멜로오스 및 메틸셀룰로오스 :「METOLOSE (등록 상표) 90SH-4000」(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Glucam E-10」(Lubrizol 사 제조)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 (C10-30)) 크로스 폴리머 :「PemulenTM EZ-4U」(Lubrizol 사 제조)
폴리비닐알코올 :「고세놀 EG-40C」(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2. 평가 방법]
(2-1) 액정 형성성
실온하에서, 슬라이드 글라스에 피험 시료를 얇게 펴, 커버 유리로 덮은 후, 편광 현미경 (「BX41-P」 ; 배율 40 배 ; OLYMPUS 제조) 을 사용하여, 관찰 시야에 있어서의 몰티즈 크로스, 결정의 석출 및 스테롤의 불용해물을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분류한 후,「◎」로 평가한 것을 액정 형성성을 갖는 것으로서 평가하였다.
「◎」 : 몰티즈 크로스를 관찰할 수 있고, 또한, 결정의 석출 및 스테롤의 불용해물을 관찰할 수 없었던 것
「×」 : 몰티즈 크로스를 관찰할 수 없었던 것
「△」 : 결정의 석출이 관찰된 것
「□」 : 피토스테롤의 잔류물이 관찰된 것
(2-2) 용기 중에서의 액정의 안정성
피험 시료를 스크루관에 넣고, 실온에서 1 개월 보관 후에, 상기 (2-1) 의 액정 형성성에 의해 평가하였다.
(2-3) 피부 상에 있어서의 액정의 안정성
피험 시료를 피부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한 필름을 도포 8 시간 후에 피부로부터 벗겨내었다. 얻어진 필름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올려, 커버 유리로 덮은 후, 상기 (2-1) 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 형성성을 평가하였다.
(2-4) 액정 구조
피험 시료 및 피험 시료를 피부 상에 도포하여 형성한 필름에 대해, 다음의 순서에 의해 X 선 회절 장치 (「NANO Viewer」; Rigaku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소각 및 광각 X 선 산란 해석을 실시하여, 액정의 구조를 확인 및 평가하였다.
피부에 도포하기 전의 크림상의 피험 시료에 대해서는 유리 캐필러리 (Φ =3 ㎜) 에 직접 충전하고, 피험 시료를 피부에 적용하여, 실온 (25 ℃) 환경하에서 약 8 시간 자연 건조시킨 후에 얻어지는 필름에 대해서는, 피부로부터 벗겨내어 소편으로 절단한 후, 유리 캐필러리 (Φ = 3 ㎜) 중에 충전하였다. 어느 피험 시료도 실온 (25 ℃) 에서 소각 X 선 산란 (SAXS) 및 광각 X 선 산란 (WAXS) 을 측정하였다. XRD 회절계를 λ = 1.541 Å 의 Cu-Ka 방사선으로 조작하고, 시료로부터의 회절 X 선의 강도를 2θ 의 함수로서 기록하였다. 여기서, 2θ 및 λ 는 각각 X 선 빔의 산란각 및 파장을 나타낸다. 피험 시료에 포함되는 액정 구조 해석을 위해, 브래그의 법칙 (d = λ/2sinθ) 을 사용하여 d 간격을 계산하였다. 따라서, XRD 패턴의 회절 피크는 밀러-브라베 (Miller-Bravais) 지수 (hkl) 를 사용하여 지표화하였다.
(2-5) in vivo 보습성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의 팔뚝 내측에 피험 시료를 48 mg/㎠ 로 도포하고, 도포 후의 각층 수분량을 코르네오미터 (「Corneometer CM825」 ; Courage+Khazaka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실온 (22 ℃), 습도 50 % 의 환경하에서 측정하였다. 도포 전의 각층 수분량에 대해, 도포 6 시간 후에 형성한 필름을 벗겨낸 후의 각층 수분량의 변화량에 따라 보습성을 평가하였다.
(2-6) 폐색성
직경 14.5 ㎝ 의 플라스틱 디쉬에, 피험 시료를 15.75 g 을 도포하여 50 ℃ 의 항온조에서 1 일 정치 (靜置) 함으로써, 0.3 g/㎠ 의 필름을 형성시켰다. 스크루관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항온조 (온도 : 39.6 ℃, 습도 : 7 %) 에 24 시간 정치하고, 중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험 시료의 필름으로 덮은 스크루관의 중량 (샘플 변화량) 과 덮지 않은 스크루관의 중량 (컨트롤 변화량) 으로 나눔으로써 수분 증발률을 산출하였다.
(2-7) 접착성
피험자의 팔뚝 내측에, 피험 시료를 48 mg/㎠ 로 도포하였다. 도포 직후, 도포 5 시간 후 및 도포 8 시간 후에 피부 상에 형성된 필름을 관찰함으로써, 육안에 의해 필름의 접착성을 확인하였다.
[3. 평가 결과]
(3-1) 액정 형성
피험 시료에 대해 평가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유화제 및 화장료는, 모두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화장료는, 도포 8 시간 후에 있어서도, 기계적인 부하, 수분 증발, 땀이나 피지 등의 접촉 등에 의해서조차, 액정이 파괴되지 않고 피부 상에서 액정 필름상을 유지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화장료는, 1 개월의 보관 후에 있어서도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어, 액정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6 및 실시예 11 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액정 필름은, 라멜라상을 형성하고 있었다.
액정 형성 및 안정성에 관한 전형적인 예로서, 피험 시료에 대해, 편광 현미경 관찰 및 X 선 산란 해석에 의한 결과를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다. 즉,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해, 피부 도포 전의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크림상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을 도 1A 에 나타내고,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 및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각각 도 2A1 및 도 2A2 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피부 도포 후 8 시간의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필름 형성 후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을 도 1B 에 나타내고,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 및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각각 도 2B1 및 도 2B2 에 나타낸다. 또, 비교예 1 의 화장료에 대해, 피부 도포 후 8 시간의 수분이 자연 증발하여 필름 형성 후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액정 구조에 관련된 소각 X 선 산란 해석 및 광각 X 선 산란 해석의 결과를 각각 도 2C1 및 도 2C2 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해, 피부 도포 전후에 있어서, 피토스테롤의 잔류물이나 결정의 석출물은 관찰되지 않고, 액정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A 및 도 1B 의 편광 현미경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해, 분산된 미소 액정 방울 (LC Microdroplet ; 약 30 ㎛) 로서의 안정적인 액정상의 존재를, 몰티즈 크로스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분 증발된 후의 필름은, 수많은 미소 액정 방울이 폴리머 필름 내에 안정적으로 농도가 높은 상태로 고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보습성 및 폐색성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A1 및 도 2B1 의 SAXS 해석 결과, 그리고 도 2A2 및 도 2B2 의 WAXS 해석 결과로부터는, 실시예 1 의 화장료에 대해, 크림상으로 있는 경우 (함수량 > 80 질량%) 에는 기둥상 구조를 갖는 액정상이 형성되고, 필름상으로 있는 경우 (함수량 < 50 중량%) 에는 라멜라상에 의한 액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도 2B2 의 WAXS 해석 결과로부터는, 부분적인 겔의 피크가 확인되었다. 전부가 겔이라고 가정한다면, WAXS 의 결과는 보다 폭이 좁고 샤프한 피크로 되어 있었을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SAXS 의 결과 및 WAXS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의 화장료는 액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장료가 크림상으로 있는 경우에는 기둥상 구조를 갖는 액정인 것으로부터, 수분을 강고하게 유지하고 용기 중에서 처방을 안정화한다. 한편으로, 화장료가 필름상으로 있는 경우에는 라멜라 액정인 것으로부터, 수분의 포획 및 배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을 통해 수분을 피부에 부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형성된 필름에는 안정적인 라멜라 액정 방울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이 라멜라 액정상의 층 간격은 약 7 ∼ 8 ㎚ 였다. 이것은 각층의 세포 간 지질 중의 단주기 라멜라의 층 간격 (6 ㎚) 과 유사하다. 이와 같은 층 간격을 갖는 라멜라 액정상은, 주위로부터의 수분의 저장 및 재포획에 유익하고, 필름의 질감으로는 습윤성, 유연성 및 탄성을 지속시키는 것이 기대된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5 의 화장료는, 어느 것에 있어서도,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도 2C1 및 도 2C2 의 SAXS 및 WAXS 의 해석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의 화장료는, 액정 형성 조성물을 배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액정상에 특유의 피크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의 유화제 및 화장료는, 모두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2 의 화장료는, 1 개월간 보관함으로써, 결정의 석출이 확인되는 것이었다.
비교예 3 의 유화제는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었지만, 비교예 3 의 화장료는 결정의 석출이 확인되는 것이었다.
비교예 4 의 유화제 및 화장료는, 피토스테롤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피토스테롤의 잔류물이 확인되는 것이었다.
실시예 13 ∼ 실시예 14 의 유화제 및 비교예 6 의 유화제에 대해, 액정 형성성에 관련된 편광 현미경의 관찰 사진을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 ∼ 실시예 14 의 유화제는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비교예 6 의 유화제는, 많은 피토스테롤의 잔류물이 확인되는 것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실시예 14 의 유화제 및 화장료는, 조제시에 있어서 액정의 형성이 확인되는 것이었다. 또, 실시예 1 ∼ 실시예 12 의 화장료는, 액정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고, 피부 상에 도포함으로써 라멜라상의 액정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었다.
(3-2) 필름 특성
in vivo 보습성에 대해,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및 실시예 11 의 화장료와 비교예 5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각각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11 의 화장료는, 각각 비교예 1 및 비교예 5 의 화장료와 비교하여, 보습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폐색성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화장료는, 비교예 1 의 화장료와 비교하여, 고분자 필름 중에 액정이 존재함으로써 내수성 및 수분 유지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정제수의 증발량이 적고, 폐색성이 높은 것이었다.
접착성에 대해, 실시예 1 의 화장료와 비교예 1 의 화장료를 비교한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화장료 및 비교예 1 의 화장료에 의해 형성한 필름을 피부 상에 장시간 접착시켰을 때, 비교예 1 의 화장료에서는 벗겨지려고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지만, 실시예 1 의 화장료는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 높아, 8 시간을 경과해도 밀착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고분자 필름 중의 액정 방울은 보습성이나 폐색성 뿐만 아니라, 충전제로서도 기능하는 것으로부터, 액정 방울이 존재함으로써, 땀이나 피지에 대한 내성이 향상되어, 장시간의 접착이 가능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또, 필름 상으로부터 파우더 파운데이션이나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등을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였다.
[4. 처방예]
상기 (1-1) 의 순서에 따라, 각각 여러 가지 농도의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A 상을 조제하고, 이어서 A 상에 B 상을 첨가하여 유화제를 조제하고, 액정 형성성을 평가하였다.
A 상에 있어서의 양친매성 지질, 직사슬 포화 지방산 및 스테롤의 농도가 하기 표 2 ∼ 표 4 에 기재된 농도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액정 형성성을 갖는 것 (「◎」) 으로서 평가할 수 있었다. 또, B 상으로서, 표 5 에 기재된 것이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수용성 고분자로서 표 6 에 기재된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하고, 수용성 고분자의 농도 범위를 2 ∼ 10 wt%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처방 및 상기 (1-1) 의 순서에 따라, 화장료를 조제하고, 액정 형성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어느 화장료도 액정 형성성을 갖는 것 (「◎」) 으로서 평가할 수 있었다. 또, 얻어진 화장료를 피부 상에 도포한 결과, 필름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성된 필름은 안정적인 라멜라 액정 방울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피막 형성 고분자와 라멜라 액정 방울의 조합은, 각층의 배리어 기능을 담당하는 세포 간 지질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층과 동일한 기능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조성물 및 유화제는, 용기 중에서는 액상으로, 및 피부 상에서는 필름상으로 안정적으로 액정 구조를 유지하는 화장료를 조제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화장료는, 피부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라멜라 액정 구조를 구비한 복합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크림, 유액, 팩 등의 화장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화장료를 사용함으로써, 일상적으로 쾌적하게, 피부의 건조를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고, 피부 상태의 개선, 또한 피부의 보호를 할 수 있게 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2477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기재는, 여기에 개시로서 원용된다.

Claims (17)

  1. 양친매성 지질과, 스테롤과,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형성용 조성물은, 25 ℃ 에서 고체 상태인, 조성물.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양친매성 지질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및 상기 수첨 레시틴은, 각각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상기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이거나, 또는 상기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인, 조성물.
  6. 양친매성 지질 38 질량% ∼ 70 질량% 와, 스테롤 5 질량% ∼ 40 질량% 와, 직사슬 포화 지방산 10 질량% ∼ 45 질량% 를 함유하고, 또한 25 ℃ 에서 고체 상태인, 액정 형성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과, 용매를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다가 알코올,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용매인, 유화제.
  9. 제 7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함유량은 50 질량% ∼ 90 질량% 인, 유화제.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형성용 조성물과, 다가 알코올, 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및 식물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용매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함수량이 50 % 이하가 된 경우에 필름상을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액정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12.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화장료로서, 그 유화제의 함유량은 5 질량% ∼ 15 질량% 이고, 그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2 질량% ∼ 10 질량% 이고, 또한, 그 물의 함유량이 80 질량% ∼ 90 질량% 인, 상기 화장료.
  13. 양친매성 지질, 스테롤 및 직사슬 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액정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정 함유 유화제와, 피막 형성 고분자와, 물을 함유하는 크림상의 액정 함유 화장료로서, 그 피막 형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2 질량% ∼ 10 질량% 인, 상기 화장료.
  14.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하여 함수량이 50 % 이하가 된 경우에 필름상을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액정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은, 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라미드 및 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양친매성 지질인, 화장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및 상기 수첨 레시틴은, 각각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인 레시틴 및 수첨 레시틴인, 화장료.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지질의 함유량은, 상기 스테롤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이거나, 또는 상기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함유량보다 많은 양인, 화장료.
KR1020217007769A 2018-12-28 2019-12-25 액정 형성용 조성물, 액정 함유 유화제 및 크림상 또는 필름상을 나타내는 액정 함유 화장료 KR20210109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7793A JP6629421B1 (ja) 2018-12-28 2018-12-28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JPJP-P-2018-247793 2018-12-28
PCT/JP2019/050781 WO2020138150A1 (ja) 2018-12-28 2019-12-25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516A true KR20210109516A (ko) 2021-09-06

Family

ID=6914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769A KR20210109516A (ko) 2018-12-28 2019-12-25 액정 형성용 조성물, 액정 함유 유화제 및 크림상 또는 필름상을 나타내는 액정 함유 화장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29421B1 (ko)
KR (1) KR20210109516A (ko)
WO (1) WO2020138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5160B (zh) * 2019-04-04 2022-02-11 广东华润顺峰药业有限公司 一种类脂液晶复合物及其制备方法
JPWO2021002337A1 (ko) * 2019-07-03 2021-01-07
CN111568829B (zh) * 2020-06-03 2022-07-22 上海新高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高含量神经酰胺修护霜及其制备方法
JP2022131398A (ja) * 2021-02-26 2022-09-07 太陽油脂株式会社 化粧料用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13244116B (zh) * 2021-04-27 2023-04-28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结构化组合物及其应用
CN117122523A (zh) * 2023-08-21 2023-11-28 广州泰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仿生液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0587A (ja) 2009-06-03 2010-12-16 Nikko Chemical Co Ltd 液晶形成用乳化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液晶形成乳化組成物並びに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485A (ja) * 1991-08-02 1993-02-19 Kose Corp 液晶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683473B2 (ja) * 1992-04-17 1997-11-26 花王株式会社 新規ステ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H07187987A (ja) * 1993-12-24 1995-07-25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3383496B2 (ja) * 1995-10-26 2003-03-04 カネボウ株式会社 液晶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液晶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ATE468889T1 (de) * 2000-02-25 2010-06-15 Kuhs Gmbh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alternder und/oder gestresster haut
JP5342736B2 (ja) * 2005-04-06 2013-11-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CA2665552C (en) * 2006-10-13 2013-02-19 Evonik Goldschmidt Gmbh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2009013134A (ja) * 2007-07-06 2009-01-22 Maruho Co Ltd バリア機能回復促進剤
WO2009019891A1 (ja) * 2007-08-09 2009-02-12 Kao Corporation 逆ベシクル組成物
KR101018818B1 (ko) * 2008-07-11 2011-03-04 (주)아모레퍼시픽 유사지질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70430A (ko) * 2012-11-29 2014-06-10 (주)네오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79063B1 (ko) * 2013-09-26 2015-12-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세포간지질을 함유하는 다층 라멜라 액정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092657B1 (ko) * 2013-11-20 2020-03-2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9420B1 (ko) * 2013-11-29 2020-03-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0587A (ja) 2009-06-03 2010-12-16 Nikko Chemical Co Ltd 液晶形成用乳化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液晶形成乳化組成物並びに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150A1 (ja) 2020-07-02
JP6629421B1 (ja) 2020-01-15
JP2020105146A (ja)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9421B1 (ja)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CN111615379A (zh) 包括含有高含量的神经酰胺的粒子的化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
ES2641867T3 (es) Cosmético para la piel
JP690475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7219697B2 (ja) 液晶形成用組成物、液晶含有乳化剤及びクリーム状又はフィルム状を呈する液晶含有化粧料
KR101507883B1 (ko)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S2607930T3 (es) Agente para mejorar las arrugas finas
WO2012017733A1 (ja) 皮膚化粧料
NZ526343A (en) Hypoallergenic and non-irritant skin care formulations
EP2194953A1 (de) Wasser- und wirkstoffhaltiges gel
WO2024083001A1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EP3468523A1 (en) Hydrating lip balm composition
WO1998013436A1 (fr) Composition d'humectant, base la contenant, produit cosmetique ou preparation a usage externe la contenant
JP6900002B2 (ja) 液晶混晶型乳化組成物、液晶型乳化化粧料、液晶混晶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US20220023159A1 (en) Sheet-type mask gel composition, mask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sheet
DE10057767A1 (de) Deodorant- und Antitranspirantprodukte mit einem Gehalt an dispersen Flüssigkristallen, welche kubische Phasen darstellen
JP4855133B2 (ja) 化粧料
JP2000327516A (ja) ゲル状皮膚外用組成物
KR20210118879A (ko)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및 피부 또는 점막의 외용제의 기제
CN113347958A (zh) 包含呈粒径分布状环糊精的化妆品组合物
JP2017530166A (ja) 分散液中の化粧品および/または医薬組成物、皮膚を整えるための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20160121723A (ko) 액정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3113043A (ja) 睫用化粧料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041706A1 (en) Skin dough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