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515A -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515A
KR20210109515A KR1020217000741A KR20217000741A KR20210109515A KR 20210109515 A KR20210109515 A KR 20210109515A KR 1020217000741 A KR1020217000741 A KR 1020217000741A KR 20217000741 A KR20217000741 A KR 20217000741A KR 20210109515 A KR20210109515 A KR 2021010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acid
heparin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미야지마
유나 스미요시야
야요이 카와하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7Heparin; Hepar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를 함유하고, pH가 4 이상인 피부 외용 조성물.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

Description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본 발명은 헤파린 유사물질 및 비타민B6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파린 유사물, 및 유기산 또는 이들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는 피부 표면의 각질층에 수분이 충분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 표면을 덮는 피지의 분비량이 저하하거나, 피부중의 각층 세포간 지질이 감소하거나 하면, 각질층의 수분량이 저하하여 건조 피부로 된다. 특히, 공기의 건조, 나이가 듬, 스트레스 등의 원인에 의해 피부가 건조하면, 피부의 배리어 기능이 저하하고,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한 붉은 기나 가려움 등이 발생하여, 건조성 피부질환 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종래, 건조 피부의 처치에는, 보습성분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보습성분 중에서도, 헤파린 유사물질은 콘드로이틴이 다황산화된 무코다당이며, 혈류촉진 작용, 항염증 작용, 보습 작용, 피부 구조의 개선 효과 등이 알려져 있고, 또한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피부 외용약의 유효성분으로서 건조성 피부질환의 치료약 등에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헤파린 유사물질의 상위개념인 다당류는, 산성 조건 하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당의 성질에 따라 분해되는 조건은 크게 다르다.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은 안정성이 양호하고,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비타민B6은, 피지분비 작용의 억제·정상화 작용이 알려져, 발모촉진제, 구각염, 지루성 피부염의 치료약에 사용되고 있다. 비타민B6은 열 또는 광에 의해서 불안정화되는 것이 알려지고, 산성 조건 하에서 안정적이며, 중성∼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불안정인 것이 알려져 있다.
비타민B6은 당알콜류의 첨가(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에 의해 광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고, 또한 당알콜류의 첨가에 의해 용도가 한정된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피부의 건조 상태가 계속되었을 경우,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과잉 분비된 피지가 모공을 막음으로써 피부 표면에 피지막이 형성되지 않아 더욱 건조가 진행된다. 이러한 피부건조에 대하여, 피부의 건조 개선 효과를 갖는 헤파린 유사물질과, 피지분비 억제·정상화 작용을 갖는 피리독신 염산염 등의 비타민B6을 배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피부건조의 개선 효과가 기대되지만, 이것들을 동시에 배합한 예는 없고, 병용함으로써 생기는 과제나 효과에 대해서는 유추조차 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은, 저온에서 장기보존하면 침전물이 생기기 때문에, 조성물의 저온보존 안정성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는, 헤파린 유사물질의 안정성에 과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소 60-1127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07-206664호 공보
히루도이드 의약품 인터뷰 폼
본 발명자들은, 헤파린 유사물질과 비타민B6을 동시에 배합했을 경우, 어느 하나의 성분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양자를 병용했을 경우에 동시에 안정화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를 찾아냈다. 즉, 본 발명은 양쪽 성분이 안정적으로 배합된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 배합하여, 저온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헤파린 유사물질과 비타민B6을 병용함과 아울러 양자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의 pH를 4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자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의하면, 헤파린 유사물질 및 비타민B6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양쪽 성분의 경시적인 함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보존해도 양쪽 성분의 작용을 유지해서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로 함으로써, 헤파린 유사물질의 안정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의 저온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함유하고, pH가 4 이상인 피부 외용 조성물.
2. (B)성분이 피리독신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인 1 기재의 피부 외용 조성물.
3. 락트산, 인산, 말산, 붕산, 시트르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1 또는 2 기재의 피부 외용 조성물.
4. 크림제, 로션제, 겔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유액제 또는 팩제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외용 조성물.
5.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
6.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고, 포말상으로 분출되는 5 기재의 에어로졸제.
본 발명에 의하면, 헤파린 유사물질과 비타민B6을 각각 안정되게 배합할 수 있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되게 함유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온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I) 제1발명은,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함유하고, pH가 4 이상인 피부 외용 조성물이다.
(II) 제2발명은,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이다.
이하, 제1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단지 제1조성물(에어로졸제의 경우에는 원액을 의미한다), 이하, 제2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을, 단지 제2조성물,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양자의 경우에는, 조성물이라 기재할 경우가 있다.
[(A)성분]
(A)성분은 헤파린 유사물질이며, 보습 작용, 항염증 작용, 혈행촉진 작용 피부구조의 개선 효과 등을 갖는 성분이다. 헤파린 유사물질(Heparinoid)은 콘드로이틴 다황산 등의 무코다당류의 다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헤파린 유사물질의 유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코다당류를 다황산화 함으로써 얻어진 것, 식용짐승의 조직(예를 들면, 소나 돼지 등의 기관연골을 포함하는 폐장)으로부터 추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약국방 외의약품 규격(규격번호: 108548)에 정의되어 있는 헤파린 유사물질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A)성분의 함유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보습효과의 관점으로부터 조성물 중 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1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0.3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습 뿐만 아니라, 건피증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B)성분]
(B)성분은 통칭 비타민B6이며, 피지분비의 정상화, 피부세포의 활성화 효과를 갖는다. 비타민B6으로서는,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또는 이것들의 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고,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B6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리독신 염산염이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안전성이나 피부의 건조 개선 효과를 가미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제1조성물 중 0.01∼2질량%가 바람직하고, 0.05∼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지분비의 정상화, 피부의 건조 개선이나 세포의 활성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1∼2질량%로 함으로써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성분과 (B)성분의 함유 질량비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안전성이나 피부의 건조 개선 효과를 가미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B)/(A)로 나타내어지는 함유 질량비는, 0.01∼20이 바람직하고, 0.1∼10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를 0.01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지분비의 정상화와 피부의 건조 개선을 겸비한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다. 한편, 20 이하로 함으로써 안전성에 뛰어나면서도, 보습 효과와 피지분비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조성물의 pH는 4 이상이다. 상기 (A)성분 및 (B)성분을 함유하는 제1조성물의 pH를 4 이상으로 함으로써,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제1조성물 중에 안정되게 함유할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 제1조성물의 pH의 하한은 4.5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조성물의 pH의 상한은 8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pH의 측정은 제17 개정 일본 약국방·일반시험법(측정 온도: 20℃)에 의한다.
본 발명의 제1조성물의 pH가 상기 범위 내이면, pH 조절제는 반드시 함유할 필요는 없고, 임의로 함유가 가능하다. pH 조절제를 함유할 경우,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락트산, 시트르산, 말산, 인산, 붕산, 염산, 황산 및 이것들의 염이나,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산염으로서는, 인산 2수소나트륨, 인산 수소 2나트륨, 인산 3나트륨, 인산 2수소칼륨 등, 붕산염으로서는 붕사 등을 들 수 있고, 시트르산염으로서는 시트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절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B) 비타민B6의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락트산, 인산, 말산, 붕산, 시트르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붕산, 시트르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pH 조절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제1조성물이 목적의 pH로 되도록 적당하게 선정되지만, 제1조성물 중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05∼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 비율을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보다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함유 비율을 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경시에 의한 pH 조절제의 석출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및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임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적당량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하기의 것이 예시된다.
(A) 헤파린 유사물질, (B) 비타민B6 이외의, 의약품, 의약부외품 및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헤파린 유사물질 이외의 항염증제, 항히스타민제, 진양제, 창상치유제, 국소마취제, 비타민B6 이외의 비타민제, 청량화제, 보습제, 살균제, 혈관수축제 및 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는 생약성분도 포함된다.
항염증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르레틴산, 글리시리진산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 감초 추출물, 스테로이드 화합물(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클로베타손, 베타메타손, 덱사메타손, 코르티손, 플루메타손, 베클로메타손, 플루티카손 또는 그것들의 유도체),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피코놀, 부펙사막, 우페나메이트,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살리실산 또는 그 유도체, 디메틸이소프로필아줄렌, 당귀 추출물, 지치뿌리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펜히드라민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 클로르페니라민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 메퀴타진, 아젤라스틴, 에메다스틴, 케토티펜 또는 그것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펜히드라민,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진양제로서는, 예를 들면, 크로타미톤, 노닐산 바닐아미드, 캡사이신, 니코틴산 벤질, 고추틴크 등을 들 수 있다.
창상 치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란토인,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국소마취제로서는, 예를 들면, 리도카인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 디부카인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을 들 수 있다.
비타민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A류[비타민A유, 레티놀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레티날, 레티노산, 팔미트산 레티놀 등)], 비타민B1류[티아민 및 그 유도체, (예를 들면, 염산 티아민, 질산 티아민 등)], 비타민B2류[리보플라빈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인산 리보플라빈, 인산 리보플라빈나트륨, 부티르산 리보플라빈 및 플라빈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나트륨 등)], 비타민B3류[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벤질 등)], 비타민B5류[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판토텐산 칼슘, 판테놀, 판토테닐에틸알콜 등)], 비타민B12류[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시아노코발라민, 메코발라민, 및 염산 히드록소코발라민 등)], 비오틴, 엽산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 비타민C류[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에리소르빈산,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팔미트산 아스코르브산 등)], 비타민D류[칼시페롤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 비타민E류[토코페롤, 유비퀴논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토코페롤아세트산 에스테르, 숙신산 토코페롤칼슘 등)], 그 밖의 비타민류(예를 들면, 헤스페리딘, 카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오로트산, 루틴, 에리오시트린, 이노시톨 및 그것들의 약학상 허용되는 염) 등을 들 수 있다.
청량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l-멘톨, 캠퍼, 보르네올 또는 그것들의 유연물질, 회향유, 유칼리유, 박하유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보습인자(요소 등), 세라미드, 식물추출 추출물(카밀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염산 클로르헥시딘, 염화벤제토늄, 염화벤잘코늄, 세트리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혈관수축제로서는, 예를 들면, 나파졸린, 테트라히드로졸린, 메틸에페드린 또는 그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글리신, 알라닌, 세린, 아미노에틸술폰산(타우린) 및 그것들의 약학상 허용되는 염(예를 들면, 염산 에페드린, 염산 메틸에페노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효성분을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그 유효량의 범위이지만, 조성물 중 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기타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제, 계면활성제, 다가알콜, 고분자 화합물, 유기용제, 안정화제, 방부제,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유제로서는, 예를 들면 바셀린, 파라핀,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세레신, 겔화 탄화수소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탄화수소;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올레산 등 및 베헨산 등의 고급 지방산; 세타놀, 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및 베헤닐알콜 등의 고급 지방 알콜;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및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린 및 트리(카프릴·카프르산) 글리세릴 등의 다가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1∼30질량%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모노올레산 글리세릴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10), 모노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펜타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15)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20),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6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폴리소르베이트8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6), 테트라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60) 소르비트, 테트라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60) 소르비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60)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6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예를 들면, 10EO),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4EO)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9) 라우릴에테르(라우로마크로골), 폴리옥시에틸렌(10) 세틸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나트륨, 세틸 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1∼10질량%가 바람직하다.
다가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마크로골) 등을 들 수 있다.
다가알콜을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프로멜로스, 소수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화 전분300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검, 카라야검, 크산탄검, 캬로브검, 구아검, 구아야크 수지, 퀸스씨드, 단마르검, 트라간트, 벤조인검, 로커스트빈검, 카제인, 한천, 알긴산, 덱스트린, 덱스트란, 카라기난, 젤라틴, 콜라겐, 펙틴, 전분, 폴리갈릭투론산, 키틴 및 그 유도체, 키토산 및 그 유도체, 엘라스틴,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을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01∼5질량%가 바람직하다.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아세트산 에틸 등의 유기용제를 들 수 있다.
유기용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1∼30질량%가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티오황산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및 에데트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01∼5질량%가 바람직하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메틸(메틸파라벤),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프로필파라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염화벤잘코늄 및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01∼1질량%가 바람직하다.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러스향, 플로럴향, 로즈향 등의 조합 향료나, 유칼리유, 베르가모트유, 회향유, 로즈유, 박하유, 페퍼민트유, 스페아민트유, 로즈메리유, 라벤더유, 레몬유 등의 정유를 들 수 있다. 이들 향료 중에 함유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서는,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은, 테르펜탄화수소, 테르펜알콜, 테르펜알데히드, 테르펜케톤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에 따라, 모노테르펜, 세스키테르펜, 디테르펜, 트리테르펜, 테트라테르펜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모노테르펜이다. 바람직한 테르페노이드 화합물로서는, l-멘톨, dl-멘톨, d-캠퍼, dl-캠퍼, d-보르네올 , dl-보르네올 , 시트랄, 시트로넬랄, 리모넨, 시트로넬롤, 시네올, 게라니올, 시네올, 리날롤, 노나날, 오이게놀, 이소오이게놀, 인돌, 벤즈알데히드, 바닐린, 리모넨, 갈락소라이드, γ-노나 락톤, γ-메틸이오논, 이소 이 슈퍼(Iso E Super), Z-3-헥세닐살리실레이트, γ-운데카락톤, 5-시클로헥사데센-1-온, 2-메틸-4-페닐-2-부탄올,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β-나프틸케톤, 신나밀아세테이트, 벤질아세테이트, α-터피네올, 헥실신나밀알데히드, γ-운데카락톤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 중 0.001∼1질량%가 바람직하고, 0.01∼0.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을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제형에 따라 50∼90질량%의 범위로부터 적당하게 선정된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상법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과 함께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피부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상은, 경피 적용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액상, 고형상, 반고형상(겔상, 연고상, 페이스트상, 거품상)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제 형태는 피부 외용 의약품, 피부 외용 의약부외품, 화장료, 피부세정료 등의 어느 제제 형태라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 형태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유액제, 액제, 첩부제, 미스트상, 포말상으로 분출하는 스프레이제, 안개상, 분말상, 포말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분출하는 에어로졸제, 연고제, 팩제, 보디샴푸, 헤어샴푸, 린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크림제, 로션제, 겔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유액제, 팩제가 바람직하고, 크림제, 로션제, 유액제, 포말상으로 분출하는 에어로졸제, 포말상으로 분출하는 펌프 스프레이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크림이나 유액제 등의 유화 상태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W/O, O/W, W/O/W, O/W/O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분사제를 포함하지 않는 스프레이제는, 예를 들면 기밀용기, 펌프 본체, 액추에이터, 캡, 제1조성물로 구성된다. 에어로졸제로서는, 기본적으로,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 용기, 밸브, 액추에이터, 제1조성물(원액) 및 분사제로 구성된다. 에어로졸제에 있어서의 분사제의 함유 비율은, 제1조성물에 대하여 1∼12질량%가 바람직하고, 1∼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사제로서는 액화가스, 압축가스를 들 수 있고, 액화가스로서는 탄소수 3∼5의 탄화수소(프로판, n-부탄, i-부탄 등)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LPG), 디메틸에테르, 불화탄화수소를 들 수 있고, 압축가스로서는 탄산 가스, 질소, 아산화질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액화석유가스가 바람직하다. 스프레이제나 에어로졸제는, 포말상으로 분출시키는 용기에 충전 함으로써 피부에 바르기 쉬워진다. 또한, 에어로졸제로 함으로써 원액에 배합된 계면활성제의 저온에서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캔, 양철 캔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내면에 수지 등으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1일 1∼수회, 적당량을 환부에 문질러 바르거나, 또는 거즈 등에 발라서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프레이제, 에어로졸제는 정립∼45도 정도의 각도에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효능으로서는, 건피증, 소아의 건조성 피부, 손가락의 거침, 손발의 잔금·살갗이 틈, 팔꿈치·무릎·발뒤꿈치·복사뼈의 각화증, 동상(진무름을 제외한다), 상처·화상 후의 피부의 응어리·당김(안면을 제외한다), 타박상·염좌 후의 붓기·근육통·관절통 외,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신진대사 촉진, 피부세포 활성화, 건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 (얼굴 등의)건조를 치료하는 등을 들 수 있다.
(II) 제2발명은,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이다.
[(A)성분]
(A)성분은 상기 제1발명과 같고, 바람직한 성분 및 범위도 제1발명과 같다.
[(C)성분]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C)성분을 배합함으로써 헤파린 유사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에 있어서,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C)성분으로서는,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주석산, 아디프산, 푸말산, 말레산, 말론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시트르산, 말산, 주석산이 바람직하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시트르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C)성분은 히드록시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의 유도체라도 좋다.
(C)성분의 함유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제2조성물 중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05∼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A)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고, 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저온보존 안정성이 향상한다.
[(D)성분]
제2조성물에는, 저온보존 안정성 향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제1발명에 기재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면 좋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바람직하고,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20),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6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8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6)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15) 올레산 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6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폴리소르베이트8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6)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 비율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제2조성물 중 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저온보존 안정성이 보다 향상한다. 1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끈적임이 적어져서 사용성이 향상한다.
제2조성물의 pH는 4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2조성물의 pH의 하한은 4.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조성물의 pH의 상한은 8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pH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A) 헤파린 유사물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 pH의 측정은 일본 약국방·일반시험법(측정 온도: 20℃)에 의한다.
본 발명의 제2조성물의 pH가 상기 범위 내이면, pH 조절제는 반드시 함유할 필요는 없고 임의로 함유가 가능하다. pH 조절제를 함유할 경우,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붕산, 염산, 황산 및 이것들의 염이나,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산염으로서는, 인산 2수소나트륨 등, 붕산염으로서는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절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인산, 붕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붕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pH 조절제를 배합할 경우의 함유 비율은, 조성물이 목적의 pH로 되도록 적당하게 선정되지만, 조성물 중 0.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05∼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 비율을 5질량% 이내로 함으로써 경시에 의한 pH 조절제의 석출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제2조성물의 그 밖의 임의 성분으로서는, 상기 제1발명의 임의 성분으로부터 (C) 및 (D)성분 및 pH 조절제를 제외한 것을 들 수 있다.
[분사제]
분사제로서는 액화가스, 압축가스를 들 수 있고, 액화가스로서는 탄소수 3∼5의 탄화수소(프로판, n-부탄, i-부탄 등)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화석유가스(LPG), 디메틸에테르, 불화탄화수소를 들 수 있고, 압축가스로서는 탄산 가스, 질소, 아산화질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액화석유가스가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제2조성물은, 예를 들면, (A) 헤파린 유사물질과,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상법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과 함께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에어로졸제]
제2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에어로졸제이다. 제2조성물(원액)의 유화 상태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W/O, O/W, W/O/W, O/W/O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제로서는, 기본적으로,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 용기, 밸브, 액추에이터, 제2조성물(원액) 및 분사제로 구성된다. 분사제의 함유 비율은, 제2조성물에 대하여 1∼12질량%가 바람직하다. 포말상으로 분출에 적합한 용기에 충전함으로써, 거품으로 되어서 토출되기 때문에 피부에 바르기 쉬워진다. 또한, 에어로졸제로 함으로써 헤파린 유사물질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제2조성물(원액)에 배합된 계면활성제의 저온에서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캔, 양철 캔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내면에 수지 등으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조성물의 사용 방법 및 효과 효능은 제1조성물과 같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하기의 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가 없는 경우에는, 조성의 「%」는 질량%, 비율은 질량비를 나타내고, 표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 환산한 양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1∼1-19 및 비교예 1-1∼1-2]
표 1∼표 3에 나타내는 성분을 정제수에 녹이고, 피부 외용 조성물(액제)을 조제했다. 얻어진 피부 외용 조성물 50g을 유리제 바이알 용기(용량 50mL)에 충전하고, 뚜껑을 해서 밀폐한 후, 50℃·2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의 조성물의 pH를 일본 약국방·일반시험법에 의거하여 측정해(측정 온도: 20℃), 보존 전후의 pH의 차를 pH 변동으로서 산출했다.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고,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을 하기 식에 근거해 산출했다.
잔존율(%)=보존 후의 성분 함량/초기의 성분 함량×100
헤파린 유사물질의 잔존율은, 피부 외용 조성물로부터 시료를 정칭하고, 아세트산 칼륨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해서(이소옥탄을 추가로 첨가할 경우도 있다) 진탕하고, 원심분리해서 얻은 잔류물을 견고한 후, 일본 약국방 외의약품 성분 규격 2002 헤파린 유사물질의 정량법(3) 기재의 유기황산기 측정법에 의해, 자외 가시 흡광도 측정법에 의해 함량을 산출했다.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은 HPLC법(절대검량선법)에 의해 함량을 산출했다.
또, 초기의 성분 함량이란 피부 외용 조성물을 조제한 직후(5℃ 보존, 7일 이내)에 측정한 성분 함량이다.
헤파린 유사물질의 잔존율,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에 근거하여, 하기 평가기준으로 나타낸다.
<헤파린 유사물질의 잔존율: 헤파린 유사물질의 안정성>
85% 미만: 1점
85% 이상 90% 미만: 2점
90% 이상 95% 미만: 3점
95% 이상: 4점
2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 피리독신 염산염의 안정성>
80% 미만: 1점
80% 이상 85% 미만: 2점
85% 이상 90% 미만: 3점
90% 이상: 4점
2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pH 변동: pH 안정성>
1 이상: 1점
0.5 이상 1 미만: 2점
0.2 이상 0.5 미만: 3점
0.2 미만: 4점
2점 이상을 합격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 1-20]
표 4에 나타내는 성분을 상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녹이고, 로션제를 조제했다. 얻어진 로션제 50g을 유리제 바이알 용기(50mL)에 충전하고, 뚜껑을 해서 밀폐한 후, 50℃·2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의 로션제의 pH, pH 변동,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21∼1-26]
표 5에 나타내는 성분을 상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녹이고,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을 조제했다.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의 캔(내층에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층;외층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인쇄 도료층/폴리에스테르아미노 수지층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캔, 30mL)에, 얻어진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 27.0∼28.5g을 충전하고, 감압 하에서 밸브(S13 밸브, 스템 구멍 0.5, 하우징 구멍 1.5, (주)미타니밸브제)를 부착한 후, 스루밸브 방식으로 분사제 1.5∼3.0g을 충전하고, 액추에이터(FD150, (주)미타니밸브제), 캡을 부착하고, 포말상으로 분출하는 에어로졸제를 얻었다. 그 후에 에어로졸제를 45℃·3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 캔을 잘 진탕하고, 액추에이터로부터 에어로졸제의 내용물을 밀전 용기에 꺼내고, 방치해서 분사제를 방출시킨 후, 피부 외용 조성물의 pH, pH 변동,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1-27]
표 6에 나타내는 성분을 상법에 따라 유화시켜, 수성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수성 크림제를 알루미늄제 튜브(다이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에 24g 충전해서 밀폐한 후, 50℃·2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의 수성 크림의 pH, pH 변동,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28]
표 7에 나타내는 성분을 상법에 따라 유화시켜, 유성 유액(W/O 유액)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성 유액 30g을 폴리프로필렌제 바이알 용기(30mL)에 충전하고, 뚜껑을 해서 밀폐한 후, 50℃·2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의 유성 유액의 pH, pH 변동, 헤파린 유사물질 및 피리독신 염산염의 잔존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2-1∼2-3, 비교예 2-1, 2-2]
표 7에 나타내는 성분을 상법에 따라서 정제수에 녹이고,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을 조제했다. 내압에 견디는 내압성의 캔(내층에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층;외층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인쇄 도료층/폴리에스테르아미노 수지층이 코팅되어 있는 알루미늄 캔, 30mL)에, 얻어진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 28.2g을 충전하고, 감압 하에서 밸브(S13 밸브, 스템 구멍 0.5, 하우징 구멍 1.5, (주)미타니밸브제)를 부착한 후, 스루밸브 방식으로 분사제 1.8g을 충전하고, 액추에이터, 캡을 부착하여, 포말상으로 분출하는 에어로졸제를 얻었다. 또, 밸브 및 액추에이터는 실시예 1-21과 같은 것을 사용하고, 비교예 2-1은 실시예 2-3에 준해서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을 조제하고, 얻어진 피부 외용 조성물 50g을 유리제 바이알 용기(50mL)에 충전하고, 뚜껑을 해서 밀폐했다. 그 후에 에어로졸제(비교예 2-1은 원액)를 45℃·3개월간 보존했다. 보존 전후, 캔을 잘 진탕하고, 액추에이터로부터 에어로졸제의 내용물을 용기에 꺼내고, 방치해서 분사제를 방출시킨 후(비교예 2-1의 피부 외용 조성물(원액)은, 그대로 용기에 인출), 피부 외용 조성물의 pH, pH 변동, 헤파린 유사물질의 잔존율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저온 안정성의 평가는 내압성의 캔 대신에 내압 유리병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충전하고, -5℃·2개월간 보존했다. 유리병의 외측으로부터 외관을 관찰하고, 2개월 후에 석출 등의 침전물이 보였을 경우를 ×, 2개월 후도 석출 등의 침전물을 발생시키지 않았을 경우를 ○로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중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8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나타낸다.
·헤파린 유사물질: 일본 약국방 외의약품 규격, (주)토우리제
·피리독신 염산염: 일본 약국방, DSM(주)제
·판테놀: 일본 약국방 외의약품 규격, DSM(주)제
·디펜히드라민: 일본 약국방, 콘고 카가쿠(주)제
·비타민A유: 일본 약국방, DSM(주)제
·토코페롤아세트산 에스테르: 일본 약국방, DSM(주)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오사카 카세이(주)
·염산: 일본 약국방, 간토 카가쿠(주)제
·수산화나트륨: 일본 약국방, 수산화나트륨 「제조 전용」, 후지필름 와코쥰야쿠(주)제
·시트르산 나트륨: 일본 약국방, 시트르산 나트륨 수화물, 후소 카가구 고교(주)제
·시트르산: 일본 약국방, 시트르산 수화물, (주)쓰리F제
·락트산: 일본 약국방, 90% 락트산, 쇼와 카코(주)제
·말산: 식품첨가제, 말산 후소L, 후소 카가쿠 고교(주)제
·인산 2수소나트륨: 의약 첨가물 규격, 인산 2수소나트륨 수화물, 후지필름 와코쥰야쿠(주)제
·붕사: 일본 약국방, 코자카이 세이야쿠(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의약 첨가물 규격, 미츠이 카가쿠 파인(주)
·글리세린: 일본 약국방, 사카모토 야쿠힝 고교(주)
·프로필렌글리콜: 일본 약국방, (주)ADEKA
·1,3-BG: 의약 첨가물 규격, 1,3-부틸렌글리콜, 다이셀 카가쿠 고교(주)
·에탄올: 일본 약국방, 에탄올 「제조 전용」, 후지필름 와코쥰야쿠(주)
·마크로골20000: 일본 약국방, 산요 카세이 고교(주)
·스테아릴알콜: 의약 첨가물 규격, 칼콜8098, 카오(주)
·옥틸도데칸올: 의약 첨가물 규격, 에누제콜200A, 신니폰 리카(주)
·스쿠알란: 화장품 원료 기준,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의약 첨가물 규격, NIKKOL IPM-100,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크산탄검: 의약 첨가물 규격, 에코검T, DSP 고쿄 푸드 & 파인 케미컬(주)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의약 첨가물 규격, CRBOPOL980 Noveon Co.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일본 약국방, 우에노 세이야쿠(주)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일본 약국방, 우에노 세이야쿠(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의약 첨가물 규격, 후지필름 와코쥰야쿠(주)
·에데트산 나트륨 수화물: 일본 약국방, 에데트산 나트륨, 츄부키레스트(주)
·LPG: 의약 첨가물 규격, LPG20℃=0.43MPa, 다이요 에키카 가스(주)
·라우로마크로골: 일본 약국방, NIKKOL BL-21,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모노라우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의약 첨가물 규격, NIKKOL MYL-10,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폴리소르베이트20: 의약 첨가물 규격, NIKKOL TL-10,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폴리소르베이트60: 의약 첨가물 규격, NIKKOL TS-10MV,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10: 의약 첨가물 규격, NIKKOL HCO-10,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식품 첨가제, NIKKOL Decaglyn 5-OV, 니폰 설펙턴트 고교(주)

Claims (6)

  1. (A) 헤파린 유사물질과 (B) 비타민B6을 함유하고, pH가 4 이상인 피부 외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B)성분이 피리독신 또는 그 약학상 허용되는 염인 피부 외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락트산, 인산, 말산, 붕산, 시트르산 및 이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유액제 또는 팩제인 피부 외용 조성물.
  5. (A) 헤파린 유사물질, 및 (C) 유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과, 분사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제.
  6. 제 5 항에 있어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고, 포말상으로 분출되는 에어로졸제.
KR1020217000741A 2018-12-27 2019-12-27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KR20210109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4852 2018-12-27
JP2018244852 2018-12-27
PCT/JP2019/051382 WO2020138403A1 (ja) 2018-12-27 2019-12-27 皮膚外用組成物及びエアゾール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515A true KR20210109515A (ko) 2021-09-06

Family

ID=7112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741A KR20210109515A (ko) 2018-12-27 2019-12-27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0138403A1 (ko)
KR (1) KR20210109515A (ko)
CN (1) CN113286590A (ko)
WO (1) WO2020138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0165A (ja) * 2020-10-02 2022-04-14 花王株式会社 炭酸エアゾール皮膚外用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2708A (ja) 1983-11-24 1985-06-19 Maruho Kk 皮膚用保湿剤
JPH07206664A (ja) 1994-01-13 1995-08-08 Lion Corp 入浴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518A (ja) * 1998-11-12 2000-05-23 Lion Corp 皮膚外用剤
JP4032246B2 (ja) * 2003-04-17 2008-01-16 ライオン株式会社 白髪防止・改善剤
JP5371235B2 (ja) * 2006-12-06 2013-12-1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1144123A (ja) * 2010-01-13 2011-07-28 Ikeda Mohando:Kk 皮膚外用剤
JP2013095717A (ja) * 2011-11-02 2013-05-20 Nikko Chemical Co Ltd 皮膚外用剤、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5988406B2 (ja) * 2014-04-30 2016-09-07 マルホ株式会社 起泡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2708A (ja) 1983-11-24 1985-06-19 Maruho Kk 皮膚用保湿剤
JPH07206664A (ja) 1994-01-13 1995-08-08 Lion Corp 入浴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히루도이드 의약품 인터뷰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8949A (zh) 2020-11-01
WO2020138403A1 (ja) 2020-07-02
CN113286590A (zh) 2021-08-20
JPWO2020138403A1 (ja)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markin Foam: A unique delivery vehicle for topically applied formulations
TWI417112B (zh) 乳化組成物
JP6666068B2 (ja) 外用組成物
RU2699651C1 (ru) Распыляемые носитель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фосфатидилхолин
BRPI0612428A2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higroscópica, veìculo farmacêutico espumoso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espumosa
KR20010012244A (ko) 활성형 비타민 d3 유제성 로션제
EP2977043A2 (en) Penetrating pharmaceutical foam
UA124181C2 (uk) Знеболююча композиція місцевої дії
CN110352052A (zh) 阿普斯特的局部治疗组合物
JP2009184951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584365B1 (ko) 거품 발생성 외용 조성물
JP2018021002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してなる医薬製剤
JP2016523960A (ja) 限局性強皮症の膏薬療法
KR20210109515A (ko)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에어로졸제
KR20190049529A (ko) 조성물
JP2017137304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製剤
US901194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skin disorders
TWI839432B (zh) 皮膚外用組成物和氣溶膠劑
EP367726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JP4450545B2 (ja) エアゾール製剤
JP2002020294A (ja) 皮膚外用剤
JP2018021027A (ja) ロキソ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医薬製剤
JP2018030829A (ja) ロキソプロフェン含有の医薬製剤
JP5876103B2 (ja) 皮膚外用剤
WO2021240505A1 (en)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psoriasis of the sca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