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905A -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 Google Patents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905A
KR20210105905A KR1020217019170A KR20217019170A KR20210105905A KR 20210105905 A KR20210105905 A KR 20210105905A KR 1020217019170 A KR1020217019170 A KR 1020217019170A KR 20217019170 A KR20217019170 A KR 20217019170A KR 20210105905 A KR20210105905 A KR 20210105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ankle
ankle collar
footwea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486B1 (ko
Inventor
티모시 피 홉킨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0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7Uppers with inserted gussets the gusset being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풋웨어 물품은, 예를 들어 착용자가 자신의 뒤꿈치를 풋웨어 물품 밖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풋웨어 물품을 착용하고 벗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팽창할 수 있는 비대칭 발목 칼라(collar)를 포함한다. 풋웨어 물품은 칼라 엘리베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본 개시내용은 비대칭 발목 칼라(collar)를 갖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며, 비대칭 발목 칼라는 외측의 특성과는 상이한 내측의 특성을 갖는다.
일부 풋웨어 물품은 풋웨어 물품을 신을 때 조작되는 발목 칼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는 착용자의 발이 갑피 내로 슬라이딩할 때 밑창을 향해 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풋웨어 물품의 일부는 발목 칼라를 눌린 상태 또는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칼라 엘리베이터의 한 유형의 일례는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 기재되어 있고,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의 예는 미국특허 공개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공개 제2018/028910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에 기재되어 있는 일부 주제는 도면을 참조하고 있으며, 그 전문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풋웨어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도 1의 풋웨어 물품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대안적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각각의 대안적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또 다른 풋웨어 물품을 도시한다.
주제는 법정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본 명세서 전체에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기재된 양태는 한정이 아닌 예시를 의도하며, 설명 자체에는 반드시 청구항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며 기타 현재의 기술 또는 장래의 기술과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요소 또는 요소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읽으면, 대안적인 양태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된 양태와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소정의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주제는 특히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며, 그와 관련된 제조 및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비대칭 발목 칼라는, 예를 들어 착용자가 자신의 뒤꿈치를 풋웨어 물품 밖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풋웨어 물품을 착용하고 벗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팽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는 비대칭 발목 칼라 및 칼라 엘리베이터를 갖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제, 도면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용어와 관련하여 일부 추가적인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단수형("a", "an", "the"),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이러한 항목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를 들어, 수량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는, 첨부된 청구항을 포함하는 문맥을 고려하여 달리 명시적으로 또는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용어 "약"이 실제로 수치의 앞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약"에 의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기술된 수치가 다소의 부정확성(값의 정확성에 약간 근접, 값에 거의 또는 합리적으로 근사, 거의)을 허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약"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확성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은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 및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범위의 개시내용은 모든 값, 및 범위 내의 추가로 분할된 범위를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언급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포괄적이며, 따라서 기술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적 또는 대안적 단계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나열된 관련 항목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 어느 하나"는 참조된 항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된 항목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 어느 하나"는 참조된 청구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 중 참조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도시된 예에 대응하는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방향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위", "아래", "상방", "하방", "상단", "하단" 등과 같은 용어는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한정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도면에 관한 설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길이 방향"은 구성요소의 길이를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길이 방향은 신발의 전족부 영역과 뒤꿈치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용어 "전방" 또는 "앞쪽"은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전족부 영역을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어 "후방" 또는 "뒤쪽"은 반대 방향, 즉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구성요소는 길이 방향 축뿐만 아니라 그 축을 따르는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식별될 수 있다.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 축은 또한 앞뒤 방향 또는 앞뒤 방향 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횡방향"은 구성요소의 폭을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외측과 내측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방향 축은 좌우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축, 또는 내외측 방향 또는 내외측 방향 축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 및 청구항에 사용될 수 있는 용어 "수직"은 일반적으로 좌우 방향 및 길이 방향 둘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밑창이 지표면에 평탄하게 장착된 경우에,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향을 나타내는 이들 형용사 각각은 밑창의 개개의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상방"은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발등, 체결 영역, 및/또는 갑피의 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하방"은 구성요소의 하단을 향하는, 상방향과는 반대인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풋웨어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하단을 향할 수 있다.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의 "내부"는 신발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의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측"은 조립된 풋웨어 물품에서 구성요소 또는 풋웨어 물품의 내부로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에서 신발의 내부로부터 멀리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경우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내측과, 조립된 풋웨어 물품의 내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는 구성요소의 외측과, 조립된 풋웨어 물품의 외부의 공간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용어 "안쪽" 및 "안쪽으로"는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며, "바깥쪽" 및 "바깥쪽으로"라는 용어는 신발 등의 풋웨어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할 것이다. 또한, 용어 "근위"는 풋웨어 구성요소의 중앙에 보다 가까운 방향을 지칭하거나, 사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함에 따라 발이 풋웨어 물품에 삽입될 때 발에 보다 가까운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용어 "원위"는 풋웨어 구성요소의 중앙으로부터 먼 상대적 위치를 지칭하거나, 사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함에 따라 발이 풋웨어 물품에 삽입될 때 발로부터 보다 먼 방향이다. 따라서,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서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여 상대적 공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양태의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는 전형적인 풋웨어 물품(10)의 요소를 설명한다. 도 1은 풋웨어 물품(10)의 외측을 도시하며, 도 2는 풋웨어 물품의 상단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도면을 설명할 때,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풋웨어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4)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주요 요소를 포함한다. 풋웨어 물품(10)을 (발에 의도대로) 착용하면, 밑창 구조체(12)는 통상적으로 족저면(즉, 발의 하단) 근처에 위치결정된다. 밑창 구조체(12)는 발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으며, 추가로, 지면 반력을 감쇄시키고, 에너지를 흡수하고, 정지마찰을 제공하고, 회내 및 회외 등의 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갑피(14)는 밑창 구조체(12)에 결합되고 밑창 구조체(12)와 함께 발 수용 캐비티(16)를 형성한다. 즉, 밑창 구조체(12)는 통상적으로 발의 하단을 에워싸지만, 갑피(14)는 발의 배측부(즉, 발의 상단 또는 발등) 위로 연장되고, 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풋웨어 물품(10)을 발에 고정시킨다. 갑피(14)는 풋웨어 물품(10)을 신을 경우, 발이 발 수용 캐비티(16) 내에 배치될 때 발이 삽입되는 발 삽입 개구(18)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웨어 물품(10)은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및 뒤꿈치 영역(24)은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4)를 통해 연장된다. 발목 영역(26)은 갑피(14)의 일부에 위치한다. 전족부 영역(20)은 일반적으로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발가락 및 관절에 대응하는, 풋웨어 물품(10)의 일부를 포함한다. 중족부 영역(22)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구역 및 발등에 대응하는 풋웨어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한다. 뒤꿈치 영역(24)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영역(26)은 발목에 대응한다.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은 풋웨어 물품(10)의 정확한 구역을 획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대신에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풋웨어 물품(10)의 일반적인 구역을 나타내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의 일부는 이들 일반적인 구역을 사용하여 상대적인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조체는 제2 구조체보다 뒤꿈치 쪽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2 구조체는 발가락 쪽에 있으며 전족부 쪽에 보다 가까울 것이다.
풋웨어 물품(10)은 또한 내측(28)(도 2에서 확인되고 도 1에서는 가려져 있음) 및 외측(30)(도 2에서 확인되고 도 1에서 볼 수 있음)을 갖는다. 내측(28) 및 외측(30)은 전족부 영역(20), 중족부 영역(22), 뒤꿈치 영역(24) 및 발목 영역(26)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풋웨어 물품(10)의 양측에 대응하고,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은 풋웨어 물품(10)의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은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 및 밑창 구조체의 최후방 지점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29)은 외측(30)에 대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통상, 내측은 발의 내측 구역(즉, 다른 발을 마주보는 표면)에 대응하고, 외측은 발의 외측 구역(즉, 다른 발로부터 먼 곳에서 다른 발을 마주보는 표면)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은 풋웨어 물품(10)의 위선 방향 중간선 기준면(3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앞쪽 부분(33) 및 뒤쪽 부분(35)을 포함한다. 위선 방향 중간선 기준면(31)은 길이 방향 중간선 기준면(29) 및 지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풋웨어 물품(10)의 최전방 지점과 풋웨어 물품(10)의 최후방 지점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추가로, 이들 용어는 다양한 구조체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풋웨어 물품의 내측 부분에 보다 가까운 제1 구조체는 제2 구조체(외측 구역에 보다 가깝고, 보다 외측에 있음)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풋웨어 물품을 설명할 때, "하위" 및 "상위"라는 상대적 용어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발이 수평인 지표면에 평탄하게 놓여 있고 사람이 똑바로 서 있을 때, 사람의 머리 방향으로 보다 가깝게 배향된 상단 부분에 대응하는 한편, 하위 부분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로부터 멀리 배향되고 지표면에 보다 가까운 하단 부분에 대응한다.
밑창 구조체(12)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 구조체(12)는 중창(32) 및 겉창(34)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보행, 런닝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 반력을 감쇄시키는(즉, 쿠션을 제공하는) 압축 가능한 폴리머 폼 요소(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중창(32)은 유체-충전 챔버, 플레이트, 조절기, 또는 힘을 추가로 감쇄시키거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단일의 원피스형 중창일 수 있거나, 하나의 유닛으로서 일체화된 다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중창(32)은 유니솔로서 겉창(34)과 일체화될 수 있다. 겉창(34)은 원피스형일 수 있거나, 몇몇 겉창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정지마찰을 부여하기 위해 텍스처 가공될 수 있는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중창(32)에 고정된 트레드(tread) 또는 클리트(cleat) 등의 정지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겉창(34)은 밑창의 길이 및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거나, 길이 및/또는 폭에 걸쳐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갑피(14)는 또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가죽, 텍스타일, 또는 기타 합성 또는 천연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갑피(14)는 니트 텍스타일, 직물, 편조물, 부직포, 라미네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갑피(14)는 통기성, 신장, 유연성, 위킹성(wicking), 내수성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재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갑피(14)는 통상적으로 밑창 구조체(12)와 겹치며 이에 연결되는 일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의 접합부는 바이트라인(bitelin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갑피(14)는 갑피(14)로부터 밑창 구조체(12)의 발-대면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재료 패널을 포함하는 "스트로벨(strob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트로벨은 밑창 구조체(12)가 갑피(14)에 부착될 때 갑피(14)를 라스트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풋웨어 물품(10)에 일체화된 밑창 구조체(12)는 발-대면 표면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갑피(14)는, 바이트라인 영역 근처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발-대면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패널(스트로벨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풋웨어 물품을 착용할 때, 스트로벨은 발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스트로벨은 안창 또는 다른 재료 층으로 덮일 수 있다.
갑피(14)는 다른 특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발 삽입 개구(18)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둘레를 형성하는 발목 칼라(36)를 포함한다. 또한, 갑피(14)는 흔히 발목 칼라(36)로부터 연장되는 목부(38)를 포함하며, 세장형 개구(4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따라 둘레를 형성한다. 설포(42)는 세장형 개구(40)에 위치하며, 세장형 개구(40)의 사이즈는 다양한 폐쇄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끈(44)을 도시하며, 다른 폐쇄 시스템은 탄성 밴드, 후크 앤 루프 스트랩, 지퍼, 버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포(42)의 위치, 및 폐쇄 시스템의 연결부는, 예컨대 풋웨어 물품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 개구를 보다 크게 만드는 것, 및 풋웨어 물품을 발에 고정할 때 개구를 보다 작게 만드는 것에 의해, 발 삽입 개구 및 세장형 개구의 사이즈를 변경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설포(42)는 다른 풋웨어 물품 요소 또는 착용자 등으로부터 설포에 힘 또는 조정이 가해질 때 설포의 형상 및 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설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풋웨어 물품(10)은 예컨대 러닝 또는 보행 시에 착용 가능한 운동용 신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관하여 설명된 요소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10)에 대한 설명은 다른 유형의 신발, 예를 들어 농구화, 테니스화, 미식 축구화, 축구화, 레저 또는 캐주얼화, 드레스화, 작업화, 샌들, 슬리퍼, 부츠, 하이킹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제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 각각은 밑창(312)에 결합된 갑피(314)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310)을 도시하며, 갑피(314)는 뒤꿈치 영역(324), 및 발목 칼라(336)가 있는 발목 영역(326)을 포함한다. 발목 칼라(336)는 강하 상태(도 3c에 도시됨)와 직립 상태(도 3a 및 도 3b에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강하 상태에서, 발목 칼라(336)는 밑창(312)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되며, 직립 상태에서, 발목 칼라(336)는 밑창(31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풋웨어 물품(410)은 밑창(412)에 결합된 갑피(414)를 포함하며, 갑피(414)는 뒤꿈치 영역(424), 및 발목 칼라(436)가 있는 발목 영역(426)을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310)은, 뒤꿈치 영역(324) 및/또는 발목 영역(326) 근처의 갑피(314)에 결합되며, 또한 발목 칼라(3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하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3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뒤꿈치 영역(324)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영역(326)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뒤꿈치 영역(324)과 발목 영역(326) 사이에 반드시 정확한 윤곽설정(delineation)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대신, 이들 영역에 대한 칼라 엘리베이터(350)의 위치결정을 설명하는 것은, 칼라 엘리베이터(350)가, 보다 하위에 있는 부분(밑창에 보다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보다 상위에 있는 부분(발목 칼라(336)에 보다 가까운 부분)까지 연장되는 것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칼라 엘리베이터(350)를 뒤꿈치 영역(324) 근처 및/또는 발목 영역(326) 근처의 갑피(314)에 결합하는 한, 이러한 결합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뒤꿈치 영역(324)에서 갑피에 결합되거나, 발목 영역(326)에서 결합되거나, 발목 칼라(336)에 결합될 수 있거나, 이들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칼라 엘리베이터(350)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의 한 유형의 일례이며,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 이외에 하나 이상의 대안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는, 발목 칼라(436)를 강하 상태(예를 들어, 도 4c)로부터 직립 상태(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며 칼라 엘리베이터(350)와는 다른 구조체를 갖는 칼라 엘리베이터(450)를 구비한 풋웨어 물품(410)을 도시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갑피(314) 및 갑피(414)는 가상의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칼라 엘리베이터는 갑피에 대하여 다양한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는 뒤꿈치 영역, 발목 영역, 발목 칼라,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에서, 외부 층과 내부 라이닝(inner lining)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우에 따라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갑피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라이닝의 내측 발-대면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풋웨어 물품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탭, 히트 스테이크, 본딩제, 스티치 또는 기타 이음매에 의해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각각의 레버 아암은 베이스부에 부착되고, 베이스부는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레버 아암이 변형됨에 따라 레버 아암에 대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베이스부는 풋웨어 물품의 일부, 예컨대 밑창의 일부 또는 갑피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밑창, 밑창 자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다른 앵커(anchor)일 수 있다.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는 하나 이상의 칼라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일부는 변형 가능 부재 또는 변형 가능 부재들(베이스부를 갖거나 갖지 않음)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미국 특허 제9,820,527호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미국특허 제9,820,527호에 기재되어 있는 변형 가능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 각각에는 복수의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의 일부는 컨트롤 바(베이스부를 갖거나 갖지 않음)라고 지칭되며,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미국특허 제2018/0110292호 및 미국특허 제2018/0289109호에 기재되어 있는 컨트롤 바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한다.
도시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 각각은, 내측 레버 아암(352 및 452)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시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의 각각은 외측 레버 아암(354 및 454)의 예를 각각 도시하고, 중앙 연결 밴드(356 및 456)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레버 아암(352 및 354)은 베이스부(358)에 부착되고, 레버 아암(452 및 454)은 베이스부(358)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베이스부(458)에 부착된다. 베이스부(358)는 밑창(312)의 발-대면 표면에 또는 그 근처에 부착되고, 베이스부(358)는 겉창의 일부, 중창의 일부, 안창의 일부, 스트로벨의 일부, 이러한 밑창 층 중 임의의 층 사이에 적층된 재료의 플레이트 또는 시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베이스부(358)는 레버 아암(352 및 354)이 고정되어 있는 경질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른 양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베이스부(458)는 갑피의 일부(예를 들어, 힐 카운터(heel counter)), 중창 측벽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부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458)는 베이스부(358)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는 방식으로 풋베드를 통해 연장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풋웨어 물품의 후면을 감싼다.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는 단일의 연속체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내측 레버 아암과 외측 레버 아암과 중앙 연결 밴드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및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는 성형되거나, 주조되거나, 3D 프린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일의 일체 형성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합, 마찰 끼워맞춤, 피복, 또는 기타 결합에 의해 중앙 연결 밴드에 연결되는 별도의, 개별적, 별개의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의 일부 구조적 요소에 관해 일반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제 칼라 엘리베이터의 일부 동작 양태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중앙 연결 밴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적어도 일부는 갑피의 일부에 부착된다. 일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는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 근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밴드는 접착제, 연결 탭, 히트 스테이크, 스티치 등에 의해 발목 칼라의 뒤꿈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목 칼라가 밑창에 가깝게 강하 상태로 이동하면,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보다 압축된 자세, 또는 보다 부하가 걸린 자세로 변형된다. 달리 말하면,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발목 칼라를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킬 때, 보다 덜 압축된 구성(예를 들어, 도 3a 및 도 4a)으로부터 보다 더 압축된 구성(예를 들어, 도 3c 및 도 4c)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저장한다. 위치 에너지는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칼라 엘리베이터를 덜 압축된 구성으로 되돌리며, 칼라 엘리베이터가 갑피에 부착되기 때문에, 발목 칼라도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한다.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하면(직립 상태에 비해) 칼라 엘리베이터의 압축이 커질 수 있지만, 직립 상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의 위치 에너지를 여전히 축적하여(즉, 예압 압축) 착용자의 뒤꿈치 주위에서 발목 칼라의 후방, 즉 뒤꿈치 부분의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가 상부 뒤꿈치 영역 및/또는 상부 발목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갑피의 일부는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의 예압 구성으로 칼라 엘리베이터를 유지하거나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발목 칼라가 직립 상태에 있을 때 칼라 엘리베이터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 아래의 갑피의 부분(325 또는 425)은 갑피의 다른 부분보다 유연한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의 보다 유연한 영역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힐 카운터 영역에 있을 수 있다. 특히, 갑피의 이러한 보다 유연한 부분(325 또는 425)은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보다 쉽게 꺾일 수 있으며, 칼라 엘리베이터가 덜 압축된 상태로 되돌아올 때 칼라 엘리베이터에 더 적은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풋웨어 물품의 다른 부분이나 전형적인 풋웨어 물품에서의 덜 유연한 갑피에 비하여).
일부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중앙 연결 밴드의 조합은 변형 가능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용어 "변형 가능 요소"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부재를 지칭하며, 탄성적으로 유연한 부재는 굴절시킬 수 있거나 압축할 수 있지만, 비굴절 상태 또는 비압축 상태를 향해 이동하기 위한 편향을 갖는다. 변형 가능 요소는 내측 레버 아암으로부터 외측 레버 아암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일체 형성된 변형 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내측 레버 아암 및 외측 레버 아암은 힐 피스(heel piece)로도 지칭될 수 있는, 중앙 연결 밴드에 연결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개별적인 변형 가능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장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부는 변형 가능 요소를 소정의 위치에 계합시켜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레버 아암과 베이스부 사이의 접합부(예를 들어, 359 및 459)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는 밑창(예를 들어, 안창, 중창, 겉창)의 부분과 일체 형성되고/되거나, 결합되고/되거나, 이들의 내부 또는 사이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밑창들의 사이, 상단 또는 아래에 적층되는 블록, 플레이트 또는 웨지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밑창(예를 들어, 중창)의 일부는 조각되거나 잘려나갈 수 있고, 그에 따라 앵커에 부착되거나 그를 수용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내외측 배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예를 들어, 베이스부(358))는 앵커가 저항 끼워맞춤, 압축 끼워맞춤,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연동 메커니즘/구성을 통해 결합되는 앵커 형상 수용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앵커는 갑피의 부분과 일체 형성되고/되거나, 결합되고/되거나, 이들의 내부, 사이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갑피, 힐 카운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 단일의 앵커는 풋웨어 물품의 전체 폭을 연장할 수 있거나, 2개의 앵커는 풋웨어 물품의 양측 상에(예를 들어, 내측 및 외측 상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변형 가능 부재는 베이스부 또는 앵커에 비스듬히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부재는 베이스부에 수직인 각도로 부착되며, 그 후 후방 쪽으로 만곡되거나 원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변형 가능 부재는, 후방 쪽으로 원호 형상이 되기 전에, 전방으로 경사진 각도(즉, 상방 및 전방)로, 또는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즉, 상방 및 후방)로 부착될 수 있다.
변형 가능 부재와 베이스부 또는 앵커 사이의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를 중심으로(예를 들어, 안창, 중창 또는 겉창을 중심으로) 피봇팅하지 않는다(즉, 비피봇식이다). 달리 말하면, 변형 가능 요소는 베이스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와 베이스부(또는 앵커) 사이의 계합에는 유격이 없으며, 이는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형 가능 요소는 튜브, 와이어, 스프링, 형상 기억 구조 또는 재료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형 가능 요소는 하나 이상의 재료, 예를 들어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니켈 티타늄(니티놀), 및 다른 금속 및 합금(형상 기억 또는 기타), 폴리머(형상 기억 또는 기타), 복합 재료, 폼 재료, 흑연, 탄소 섬유, 유리 섬유, TPC-ET, 실리콘, TPU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티타늄을 포함하거나, 티타늄 와이어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 요소는 제1 재료, 예를 들어 티타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변형 가능 요소는 제2 재료, 예를 들어 흑연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단일의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의 제1 단부(예를 들어, 내측 레버 아암의 단부)는 내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변형 가능 요소의 제2 단부(예를 들어, 외측 레버 아암의 단부)는 외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변형 가능 요소의 중간 부분(예를 들어, 중앙 연결 밴드)은 갑피의 뒤꿈치 부분 또는 발목 부분 주위에서 연장되거나, 몇몇 추가적인 힐 피스 구조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변형 가능 요소는 복수의 별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2개의 개별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성요소(예를 들어, 내측 레버 아암)는 내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1 단부, 및 힐 피스 또는 중앙 연결 밴드의 내측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2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제2 구성요소(예를 들어, 외측 레버 아암)는 유사하게, 외측 앵커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1 단부, 및 힐 피스 또는 중앙 연결 밴드의 외측에 내장되거나 부착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별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테이프 랩(tape wrap), 직조 인케이싱(woven encasing), 오버몰드(예를 들어, TPU), 열 수축 튜브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이한 안정성 및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는 커버, 슬리브, 오버몰드 또는 열 수축 튜브에 독립적으로 수납되거나 함께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아치형이 되고, 굴절되고, 요동친 후, 초기/정상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는 그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그의 길이를 따른 별개의 지점에서 가변의 기계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변형 가능 요소(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2개 이상의 와이어의 번들), 변형 가능 요소(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고정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 요소 및/또는 고정 장치는 그의 길이를 따라 가변 단면, 가변 밀도, 가변 재료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두께 또는 형상의 변화에 의해, 또는 그 밖에 변형 가능 요소가 일정한 두께 또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변형 가능 요소를 그의 길이를 따라 비트는 것에 의해, 가변 단면이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 가능 요소는 커버, 슬리브, 오버몰드,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변형 가능 요소의 다른 요소(예를 들어, 와이어, 스프링 등)를 보호할 수 있고, 변형 가능 요소의 굴곡 또는 압축을 제어하고/하거나, 안내하고/하거나, 지지하고/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커버는 그 제조 재료, 형상, 기하학적 구조 등에 기초하여 변형 가능 요소로부터(예를 들어, 와이어(들) 또는 스프링으로부터) 커버로 기계적 굽힘/변형의 힘을 전달함으로써 기계적 응력의 분산을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변형 가능 요소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하며, 그렇지 않으면 변형 가능 요소에 작용하는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는 응력의 분산을 돕고 변형 가능 요소의 동적 굴곡에 기여하기 위해, 그의 길이를 따라 달라지는 치수(예컨대, 깔때기 모양의 테이퍼 형상)를 가질 수 있다. 변형 가능 요소가 파손된 경우, 커버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편향을 여전히 제공함으로써, 발목 칼라를 강하 위치로부터 직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변형 가능 요소에 추가적 패딩 및/또는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변형 가능 요소를 느끼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억제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밴드는 힐 피스로도 지칭될 수 있다. 중앙 연결 밴드는 단일의 연속 유닛으로서 내측 및 외측 레버 아암과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중앙 연결 밴드는 내측 레버 아암과 외측 레버 아암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는 별개의 피스일 수 있다. 특히, 중앙 연결 밴드는 갑피로의 결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목 칼라에 프레임을 제공하여, 발이 삽입될 때 발목 칼라가 발 수용 개구 내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경우, 칼라 엘리베이터(예를 들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를 갖는 풋웨어 물품은 착용자가 풋웨어 물품을 조작하기 위해 자신의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착용자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가락은 발 삽입 개구(318 또는 418)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한편, 자신의 발의 아치 또는 뒤꿈치는 발목 칼라(336 또는 436)를 밑창(312 또는 412)을 향해 하방으로 압박하는 데 사용된다. 이처럼 발목 칼라(336 또는 436)를 밑창에 보다 가까운 강하 상태로 조정하면, 발 삽입 개구(318 또는 418)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착용자의 발이 발 수용 캐비티(316 또는 416) 내로 슬라이딩하면, 칼라 엘리베이터(350 또는 450)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즉, 도 3c 및 도 4c)로부터 직립 상태(즉, 도 3a 및 도 4a)로 이동시켜 풋웨어 물품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특히,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부 뒤꿈치 영역 및 상부 발목 영역의 잠재적인 구조적 파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직립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또는 편향되도록 동작하는 프레임의 제공에 따른 반복적인 핸즈프리 착용(hands-free donning) 덕분일 수 있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리고/또는 끈을 묶기 위해 몸을 아래로 구부리지 않고도, 구둣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또는 피팅(fit)을 위한 다른 그러한 조정 기구, 요소 또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신발을 보다 쉽게 착용하는 것(즉, 신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풋웨어 물품(310 및 410)은 발 수용 개구 내로 착용자의 발을 보다 쉽게 수용하거나, 보다 쉽게 유도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발 수용 개구에 대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으로 간단한 착용은 특히, 발목 칼라의 상단선이 발 수용 캐비티를 향해 안쪽으로 접히게 하지 않으면서 보다 큰 발 삽입 개구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 덕분일 수 있다.
풋웨어 물품(310 및 410)의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336 및 436)는 탄성일 수 있거나, 예컨대 발목 칼라가 강하 상태로 이동할 때,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팽창을 가능하게 하는 고어링 요소(gor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강하 상태에서, 발 삽입 개구(318 및 418)는 적어도 약 5%, 또는 적어도 약 10%, 또는 적어도 약 15%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된 팽창은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삽입 개구의 제1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일 때 측정될 수 있으며, 제2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에 비해) 밑창에 가까이 있는 제2 상태일 때 측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태에서 밑창으로부터 발목 칼라까지의 거리는 수직면(즉, 수평 기준면에 대해 수직이고, 지면-접촉 표면이 휴지 위치(at-rest position)에 안착하는 평평한 지표면을 포함함)에서 측정될 수 있고, 거리는 발목 칼라 상단선 에지의 최후방 지점으로부터 밑창의 상단선 에지(예를 들어, 바이트라인에서 밑창이 갑피에 연결되는 곳)까지의 거리로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태에서의 거리는 제2 상태에서의 거리보다 길 것이고, 일 양태에서는, 제2 거리는 제1 거리의 75% 이하이다. 상술한 예에 이어서,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원주는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10%, 또는 적어도 약 15% 팽창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원주는, 발목 칼라가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약 1.0 인치(약 2.54 센티미터)만큼 팽창할 수 있다. 발 삽입 개구(318 및 418)의 팽창량은 신발의 스타일 및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강하 상태에서의 밑창(312 및 412) 위의 발목 칼라(336 및 436)의 높이는 직립 상태에서의 높이보다 약 50% 낮지만, 다른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이는 신발의 스타일과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발목 칼라(336 및 4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킬 때 복귀력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복귀력은 약 1 파운드힘 내지 15 파운드힘이고, 이는 발목 칼라의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목 칼라는 밑창으로부터의 제1 거리를 갖는 제1 상태, 및 밑창으로부터의 제2 거리(제1 상태에서의 거리보다 짧음)를 갖는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8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75%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칼라 엘리베이터(350 및 450)는 제1 상태에서의 거리의 약 50% 이하의 거리를 갖는 제2 상태에서 약 1 파운드힘 내지 약 15 파운드힘의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복귀력은 발목 칼라의 후부가 제2 상태로부터 다시 리바운드되어 착용자의 뒤꿈치 주위에 편안하게 피팅되도록 충분히 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1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0.5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의 양태에서, 발목 칼라(336 및 436)는, 강하 상태에서의 발목 칼라와 밑창 사이의 거리가 직립 상태에서의 거리의 85% 미만, 또는 75% 미만 또는 50% 미만인 경우, 약 0.2초 미만 안에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리바운드 시간은 외력, 예컨대 착용자의 뒤꿈치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다.
이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밑창(512)에 결합된 갑피(514)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510)이 설명된다. 갑피(514)는 뒤꿈치 영역(524), 및 발목 칼라(536)를 갖는 발목 영역(526)을 포함한다. 발목 칼라(536)는 밑창(512)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예를 들어, 도 8)와 밑창(512)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예를 들어, 도 5 및 도 6)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풋웨어 물품(510)은, 갑피의 뒤꿈치 영역(524)에, 갑피의 발목 영역(526)에, 발목 칼라(536) 또는 그 근처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결합되고, 발목 칼라(536)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5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밴드(556)는 발목 칼라(536)의 후방 부분에(또는 그 근처에)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레버 아암(552 및 554)은 갑피의 뒤꿈치 영역(524)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 엘리베이터(550)는 칼라 엘리베이터의 한 유형의 일례이며,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5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다른 칼라 엘리베이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514)에는 설포가 없고, 따라서 뱀프는 전족부 영역으로부터 발목 칼라(536)의 전방의 상단선 에지까지 쭉 연장된다. 대안적 양태에서, 갑피(514)는 목부(예를 들어, 38), 설포(예를 들어, 42) 및 폐쇄 시스템(예를 들어 후크 앤 루프 스트랩, 탄성 밴드, 끈(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발목 칼라(536)는 발목 칼라의 내측 부분(560); 발목 칼라의 외측 부분(562); 및 후면을 감싸고 내측 부분(560)과 외측 부분(562)을 연결하는, 발목 칼라의 후방 횡방향 부분(564)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9에서, 부분(560, 562 및 564)은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그에 따라 발목 칼라(536)는 내측으로부터 후방 횡방향 부분을 통해 외측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부분(560, 562 및 564)은 반드시 발목 칼라(536)를 따라 정확한 경계를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으며, 특징부의 상대적 위치결정을 설명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발목 칼라(536)는 비대칭이며, 내측 부분(560)에서의 제1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며, 제1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은 외측 부분(562)에서의 제2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발목 칼라(536)는 내측 부분(560)을 따라 거싯(570)을 포함하며, 외측 부분(562)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거싯"은 발목 칼라의 일부에 부착되어 그를 팽창시키는 텍스타일 조각(예를 들어, 패널 또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거싯(570)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재료는 제1 휴지 상태를 포함하고 발목 칼라가 눌릴 경우(예를 들어, 착용자가 발 삽입 개구를 통해 자신의 발을 미끄러뜨릴 경우) 신장되며, 발목 칼라가 직립 위치로 되돌아올 경우 제1 휴지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거싯(570)은 발목 칼라(536)의 일시적인 팽창을 제공하며, 이는 발 삽입 개구(518)의 크기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착용자(W)가 발 삽입 개구(518)를 통해 자신의 왼발을 삽입하고 자신의 발을 사용하여 발목 칼라(536)를 (예를 들어, 후방 횡방향 부분(564)에서) 누르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싯(570)은 도 6에 도시된 휴지 상태에 비해 신장 상태 또는 연신 상태에 있다. 거싯(570)은 대부분 숨겨지지 않도록 도시된다. 예를 들어, 거싯은 거싯 재료 패널의 에지 주위에서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몇몇 경우에, 거싯은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고, 스트립의 적어도 일부는 발목 칼라 또는 발목 영역의 재료 층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대응하는 거싯"은 또 다른 거싯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유사한 사이즈, 형상, 재료, 각도 배향, 및 길이 방향 배향(즉, 거싯 및 대응하는 거싯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배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전방으로부터 뒤로)을 따르는 위치를 포함함)을 갖는 거싯을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풋웨어 물품은 내측 부분(예를 들어, 560)을 따라 거싯(예를 들어, 570)을 포함하며, 외측 부분(예를 들어, 562)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다. 이와 같이, 외측 부분을 따라, 풋웨어 물품은 보다 작은 거싯, 상이한 재료로 구성된 거싯, 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결정된 거싯, 상이한 각도 배향을 갖는 거싯, 또는 이들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풋웨어 물품의 외측 부분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거싯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내측 부분을 따라 거싯을 갖고 외측 부분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는 풋웨어 물품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발목 칼라(536)가 눌릴 경우, 보다 신장된 상태의 발목 칼라(536)를 갖는 풋웨어 물품(51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휴지 상태에 비해, 도 9의 발목 칼라(536)는 외측 부분(562)에서보다 내측 부분(560)에서 연신되어 있다. 발목 칼라(536)의 상이한 부분에서의 다양한 연신 및 팽창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 요소(예를 들어, 거싯)의 위치는 일부 착용자의 착화/탈화 기법 또는 제한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착용자는 보다 일반적으로, 외측보다는 내측에 가까운 위치(예를 들어, 275)에서 발목 칼라(236)를 누를 수 있다. 착용자는 다양한 이유로, 보다 중앙에 위치설정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275)에서 발목 칼라(236)를 누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손놀림 및 관절 가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275)가 발목 칼라를 누르기 위한 보다 용이한 표적이 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착용자가 자신의 발을 발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할 때 자신의 발의 외측 부분(예를 들어, 회외)을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비트는 것이 더욱 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의해 착용자의 뒤꿈치는 안쪽으로 조정될 수 있고 위치(275)와 보다 정렬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풋웨어 물품을 벗을 때, 착용자의 뒤꿈치는 보다 중앙에 위치결정된 개소(277)와 직접 정렬된 경로를 따라 들리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뒤꿈치는 위치(275)와 정렬된 경로를 따라 발 삽입 개구(518)로부터 당겨질 수 있고, 따라서 내측 부분(560)을 따른 팽창은 풋웨어를 벗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다른 경우에, 착용자는 보다 중앙에 위치결정된 개소(277)에서 누르는 힘을 여전히 가할 수 있으며, 외측 부분(264)을 따라 대응하는 거싯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다른 목적을 위해 외측 부분(264)의 구조를 보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거싯이 외측 부분(264)을 따라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측 부분(264)(및 발목 영역(526) 및 뒤꿈치 영역(524))의 선택된 심미성이 보존될 수 있거나, 대응하는 거싯에 의해 달리 파괴될 수 있는 외측 갑피 내에 상이한 기능적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이한 기능적 요소의 예는 강성, 상당한 통기성, 상당한 절연성, 상당한 내수성 등을 갖는 텍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외측 부분(562)이 어떠한 거싯도 포함하지 않는 일례를 도시한다. 다른 양태에서, 외측 상의 거싯이 상이한 사이즈, 상이한 형상, 위치, 상이한 각도 배향, 상이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기 때문에, 외측 부분은 대응하는 거싯이 아닌 거싯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외측 거싯(580A) 및 내측 거싯(570)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배향으로 정렬되고 유사한 각도 배향을 포함하더라도, 외측 거싯(580A)은 더 작기(즉, 더 좁기) 때문에, 외측 거싯(580A)은 내측 거싯(570)에 대해 대응하는 거싯이 아니다. 도 11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예에서, 외측 거싯(580A)은 거싯(270)과는 상이한 길이 방향 위치를 포함하며, 따라서 거싯(580A 및 570)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배향에 있어서 위선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싯(580/b)은 사이즈, 형상 및 각도 배향이 유사하더라도 대응하는 거싯이 아니다. 도 12는 또 다른 예를 제공하며, 외측 거싯(580C) 및 내측 거싯(570)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배향으로 정렬되고 유사한 사이즈 및 각도 배향을 포함하더라도, 외측 거싯(580C)은 상이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외측 거싯(580C)은 내측 거싯(570)에 대해 대응하는 거싯이 아니다. 도 13에서, 외측 거싯(580D)은 상이한 각도 배향을 갖기 때문에, 외측 거싯(580D)은 내측 거싯(570)에 대해 대응하는 거싯이 아니다. 거싯의 각도 배향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선은 거싯 베이스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거싯 마우스(gusset mouth)의 중간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기준선이 수평 기준면(예를 들어, 지면-접촉 표면이 휴지 위치에 안착하는 평평한 지표면)과 교차하는 각도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칼라 엘리베이터 및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몇몇 다양한 풋웨어 물품의 예일 뿐이며, 다른 양태에서, 외측 상의 대응하지 않는 거싯은 내측 거싯에 비해 다른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부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목 칼라(536)는 비대칭이며, 내측 부분(560)에서의 제1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며, 제1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은 외측 부분(562)에서의 제2 세트의 구조 또는 특성과는 상이하다. 도 5 내지 도 13은 일부 양태를 도시하며, 여기서 풋웨어 물품은 내측 부분(560)을 따라 거싯을 포함하며, 외측 부분(562)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다. 발목 칼라(536)는 다른 점에서 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칼라 엘리베이터(650)를 갖는 대안적인 풋웨어 물품(6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내측 부분(660)은 하나 이상의 재료 층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재료의 제1 세트를 갖는 제1 갑피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측 부분(662)은 하나 이상의 재료 층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재료의 제2 세트를 갖는 제2 갑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갑피 구성은 제2 갑피 구성과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할 수 있는 재료 특성의 예에는 탄성 계수 또는 강성이 포함된다. 이들 특성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다고 결정된 하나 이상의 표준 또는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갑피 구성 및 제2 갑피 구성의 탄성 계수는 ASTM WK 27572(2010년 2월 11일에 개시), ASTM D5034, 또는 유사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ASTM D5034가 적용되는 경우, 일 양태에서 시험편의 긴 변은 갑피를 따라 전후 배향으로 정렬될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내측 부분(660)의 제1 갑피 구성은 제2 갑피 구성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내측 부분(660)의 제1 갑피 구성은 제2 갑피 구성보다 유연하다. 또한, 내측 부분(660)은 외측 부분(662)보다 탄성도 있고 유연할 수도 있다. 보다 큰 탄성, 보다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풋웨어 물품(610)의 동작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부분(660)을 따라 보다 큰 탄성 및/또는 보다 큰 유연성을 포함하는 발목 칼라의 비대칭은, 도 9에 관하여 설명한 동작과 유사하게, 착용하고 벗는 동안 내측을 따라 보다 많은 팽창을 촉진할 수 있다.
제1 구성은 여러가지 점에서 제2 구성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은 제1 니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구성은 제2 니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니트 구조는 낮은 탄성 계수,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여하는 스티치 사이즈 또는 스티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구성은 높은 탄성사 함량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2 구성은 제1 구성에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재료 층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칼라 엘리베이터(750)를 갖는 또 다른 풋웨어 물품(7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발목 칼라의 내측 부분(760)은 내측 상단선 에지(761)를 포함하고, 외측 부분(762)은 외측 상단선 에지(763)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서, 발목 칼라(736)는 내측 상단선 에지(761)와 외측 상단선 에지(763)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비대칭이다. 예를 들어, 내측 상단선 에지(761)는 앞쪽 부분으로부터 뒤쪽 부분까지 연장됨에 따라 밑창(712)을 향해 보다 급격하게 하방으로 파여 있는 골을 갖는다. 반면, 외측 상단선 에지(763)는 외측 상단선 에지(763)가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됨에 따라, 급격하게 파이지 않으면서 보다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단선 에지(761 및 763)는 다양한 방식으로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상단선 에지(761)의 최하위 부분은 외측 상단선 에지의 최하위 부분보다 밑창(712)에 가깝다. 또한, 내측 상단선 에지(761)는 외측 상단선 에지(763)보다 길다. 예를 들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제1 기준면이 지점(780A 및 780B)을 통해 연장되고, 제1 기준면에 평행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제2 기준면이 지점(782A 및 782B)을 통해 연장되는 경우, 면들 사이의 내측 상단선 에지(761)의 길이는 면들 사이의 외측 상단선 에지(763)의 길이보다 길다.
내측 상단선 에지(761)의 비교적 하위에 있는 부분, 비교적 긴 길이의 내측 상단선 에지(761), 또는 이들의 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풋웨어 물품(710)의 동작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선 에지(761 및 763)의 차이를 포함하는, 발목 칼라의 비대칭은 도 9에 관하여 설명한 동작과 유사하게, 착용하고 벗는 동안 내측을 따라 보다 많은 팽창을 촉진할 수 있다. 동작 중에, 발목 칼라가 눌리는 사이클을 거칠 경우(예를 들어, 발이 발목 칼라를 아래쪽으로 압박할 경우, 핸즈프리 착용 동작 중에), 보다 수직적이고 보다 상위에 있는 외측 상단선 에지(763)는 내측 상단선 에지(761)에 비해, 눌리는 사이클의 초기에(및 눌리는 사이클 전체에 걸쳐) 후방으로의 꺾임에 대한 장력 및 저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갑피(724)의 내측 뒤꿈치 부분의 변형에 비교적 취약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는 도면에 제공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출원 시의 본 출원의 하나 이상의 청구항 또는 항목, 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출원에 포함되는 관련 주제일 수 있는,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지만, 청구항 또는 항목은 이 설명의 하기 부분에 설명되는 주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추가 양태는 도면에 의해 도시된 특징, 도면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특징,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양태를 설명하는 경우, 예시의 목적으로 도면에 의해 도시된 요소를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밑창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다. 풋웨어 물품은 또한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밑창에 결합된 갑피를 포함한다. 추가로, 풋웨어 물품은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된 발목 칼라를 포함한다. 발목 칼라는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포함하며, 여기서 발목 칼라는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풋웨어 물품은, 적어도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은 발목 칼라 내측을 따라 위치결정된 거싯을 포함하고, 발목 칼라 외측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밑창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다. 풋웨어 물품은 또한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밑창에 결합된 갑피를 포함한다. 풋웨어 물품은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된 발목 칼라도 포함한다. 발목 칼라는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발목 칼라는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발목 칼라 내측은 내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며, 발목 칼라 외측은 내측 상단선 에지의 거울상이 아닌 외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풋웨어 물품은 적어도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이는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밑창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에 관한 것이다. 풋웨어 물품은 또한,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칼라가 있는 발목 영역을 갖는, 밑창에 결합된 갑피를 포함한다. 발목 칼라는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포함한다. 발목 칼라 내측은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발목 칼라 외측보다 낮은 탄성 계수,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발목 칼라는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로부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로 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추가로, 풋웨어 물품은,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가해진 힘이 제거될 경우,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조에 고유하고 당업자에 의해 실현될 다른 장점과 함께 상기에 설명된 모든 목표 및 목적을 성취하도록 잘 조정되는 것임을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정의 특징 및 하위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있다.
많은 가능한 양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 설명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이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 및 이하에 나열된 청구항과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 중 임의의 항목(any of clauses)"이라는 용어 또는 상기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청구항/항목의 특징이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해석되는 것을 의도한다. 예컨대, 예시적인 항목 4는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장치를 나타낼 수 있고, 이는 항목 1 및 항목 4의 특징이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2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1, 항목 2,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2,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항목 1, 항목 2, 항목 3, 및 항목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변형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항목 중 임의의 항목"이라는 용어 또는 상기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상기 제공된 예 중 일부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항목 중 어느 하나(any one of clauses)" 또는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다음 항목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이다.
항목 1.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갖는 발목 칼라로서, 발목 칼라는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 적어도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 및 발목 칼라 내측을 따라 위치결정된 거싯을 포함하고, 발목 칼라 외측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는, 풋웨어 물품.
항목 2.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발목 칼라를 직립 상태로부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축적하며, 위치 에너지는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칼라 엘리베이터를 제1 구성으로 되돌리는, 장치.
항목 3.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내측 레버 아암을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발목 칼라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하는, 장치.
항목 4.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
항목 5.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보다 작은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6.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제1 재료를 포함하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고, 제1 재료는 거싯의 제2 재료보다 탄성이 작은, 장치.
항목 7.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보다 앞쪽에 위치결정된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8.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과는 상이한 각도 배향을 갖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9.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10.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갖는 발목 칼라로서, 발목 칼라는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발목 칼라 내측은 내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고, 발목 칼라 외측은 내측 상단선 에지의 거울상이 아닌 외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는, 발목 칼라; 및 적어도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1.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내측 상단선 에지는 앞쪽 부분으로부터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외측 상단선 에지는 앞쪽 부분으로부터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은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에 비해 더 깊은 골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12.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의 최하위 부분은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의 최하위 부분보다 밑창에 가까운, 장치.
항목 13.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은 제2 상단선 에지 부분보다 긴, 장치.
항목 14.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칼라가 있는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포함하는 발목 칼라로서,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발목 칼라 내측은 발목 칼라 외측보다 낮은 탄성 계수,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발목 칼라는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로부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로 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가해진 힘이 제거될 경우, 발목 칼라를 강하 상태로부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항목 15.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내측은 제1 니트 구조를 포함하고, 발목 칼라 외측은 제2 니트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니트 구조는 낮은 탄성 계수,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여하는 스티치 사이즈 또는 스티치 유형을 포함하는, 장치.
항목 16.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발목 칼라 내측은 하나 이상의 내측 텍스타일을 포함하고, 발목 칼라 외측은 하나 이상의 외측 텍스타일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내측 텍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외측 텍스타일보다 높은 탄성사 함량을 포함하는, 장치.

Claims (20)

  1.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상기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상기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collar)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갖는 발목 칼라로서, 상기 발목 칼라는 상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상기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발목 칼라; 적어도 상기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강하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 및 상기 발목 칼라 내측을 따라 위치결정된 거싯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을 따라서는 대응하는 거싯이 없는, 풋웨어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직립 상태로부터 상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축적하며, 상기 위치 에너지는 상기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를 상기 제1 구성으로 되돌리는, 풋웨어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상기 내측 레버 아암을 상기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상기 발목 칼라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거싯을 포함하지 않는, 풋웨어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상기 거싯보다 작은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제1 재료를 포함하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재료는 상기 거싯의 제2 재료보다 탄성이 작은, 풋웨어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상기 거싯보다 앞쪽에 위치결정된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상기 거싯과는 상이한 각도 배향을 갖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상기 거싯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대응하지 않는 거싯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0.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상기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상기 발목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갖는 발목 칼라로서, 상기 발목 칼라는 상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와, 상기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발목 칼라 내측은 내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상기 내측 상단선 에지의 거울상이 아닌 외측 상단선 에지를 포함하는, 발목 칼라; 및 적어도 상기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강하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직립 상태로부터 상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축적하며, 상기 위치 에너지는 상기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를 상기 제1 구성으로 되돌리는, 풋웨어 물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상기 내측 레버 아암을 상기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상기 발목 칼라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상단선 에지는 앞쪽 부분으로부터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상단선 에지는 상기 앞쪽 부분으로부터 상기 뒤쪽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은 상기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에 비해 더 깊은 골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의 최하위 부분은 상기 제2 상단선 에지 부분의 최하위 부분보다 상기 밑창에 가까운, 풋웨어 물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선 에지 부분은 상기 제2 상단선 에지 부분보다 긴, 풋웨어 물품.
  16. 풋웨어 물품으로서, 밑창; 상기 밑창에 결합되고 뒤꿈치 영역, 및 발목 칼라가 있는 발목 영역을 갖는 갑피; 발목 칼라 내측 및 발목 칼라 외측을 포함하는 상기 발목 칼라로서,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상기 발목 칼라 내측은 상기 발목 칼라 외측보다 낮은 탄성 계수,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 칼라는 상기 가해진 힘에 응답하여, 상기 밑창으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결정된 직립 상태로부터 상기 밑창에 보다 가깝게 위치결정된 강하 상태로 가역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발목 칼라; 및 상기 뒤꿈치 영역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가해진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강하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칼라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가해진 힘이 상기 발목 칼라를 상기 직립 상태로부터 상기 강하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위치 에너지를 축적하며, 상기 위치 에너지는 상기 가해진 힘의 제거 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를 상기 제1 구성으로 되돌리는, 풋웨어 물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엘리베이터는 내측 레버 아암, 외측 레버 아암, 및 상기 내측 레버 아암을 상기 외측 레버 아암에 결합하고 상기 발목 칼라의 후방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 밴드를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내측은 제1 니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제2 니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니트 구조는 상기 낮은 탄성 계수, 상기 큰 유연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여하는 스티치 사이즈 또는 스티치 유형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칼라 내측은 하나 이상의 내측 텍스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발목 칼라 외측은 하나 이상의 외측 텍스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내측 텍스타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외측 텍스타일보다 높은 탄성사 함량을 포함하는, 풋웨어 물품.
KR1020217019170A 2018-12-21 2019-12-19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KR102559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30,912 US10897956B2 (en) 2018-12-21 2018-12-21 Footwear article with asymmetric ankle collar
US16/230,912 2018-12-21
PCT/US2019/067599 WO2020132317A2 (en) 2018-12-21 2019-12-19 Footwear article with asymmetric ankle coll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905A true KR20210105905A (ko) 2021-08-27
KR102559486B1 KR102559486B1 (ko) 2023-07-24

Family

ID=6918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170A KR102559486B1 (ko) 2018-12-21 2019-12-19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897956B2 (ko)
EP (2) EP4111901A3 (ko)
JP (2) JP2022514060A (ko)
KR (1) KR102559486B1 (ko)
CN (2) CN115644560A (ko)
WO (1) WO20201323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9206B2 (ja) * 2016-07-19 2019-06-1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US10455898B1 (en) 2018-12-21 2019-10-29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US10617174B1 (en) 2018-12-21 2020-04-14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US10721994B2 (en) 2018-12-28 2020-07-28 Nike, Inc. Heel structure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O2020139486A1 (en) 2018-12-28 2020-07-02 Nike Innovate C.V. Footwear element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11344077B2 (en) 2018-12-28 2022-05-31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CN115413853A (zh) 2018-12-28 2022-12-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竖直延伸的鞋跟稳定器的鞋类
CN112839539B (zh) 2019-01-07 2022-07-15 飞思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具有可压缩格状结构的快速进入式鞋
KR102580099B1 (ko) * 2019-02-13 2023-09-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힐 서포트 기구
EP4003084A4 (en) * 2019-07-29 2023-08-02 Fast IP, LLC QUICK ENTRY SHOE WITH STABILIZER AND ELASTIC ELEMENT
CA3194271A1 (en) * 2020-10-13 2022-04-21 Craig Cheney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rotating rear portion and a fulcrum
US11622598B2 (en) * 2021-08-16 2023-04-11 Orthofeet, Inc. Easy-entry shoe with a spring-flexible rear
GB2623458A (en) * 2021-10-15 2024-04-17 Skechers Usa Inc Ii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US11910867B2 (en) * 2022-03-28 2024-02-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ntry device
US20240081465A1 (en) 2022-09-14 2024-03-14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Upper for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Butterfly Workpie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5630A1 (en) * 2015-08-25 2017-03-02 Nike, Inc. Shoe with collapsable heel
US9820527B2 (en) * 2016-04-22 2017-11-21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US20180110292A1 (en) * 2016-10-26 2018-04-26 Nike, Inc. Footwear heel sp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6110A (en) 1956-02-28 hardimon
US91547A (en) * 1869-06-22 Improvement in boots and shoes
US219436A (en) * 1879-09-09 Improvement in button-gaiters
US827330A (en) 1905-01-05 1906-07-31 William H Tillson Overshoe attachment.
US863549A (en) 1906-07-23 1907-08-13 Henry Metz Overshoe.
US911025A (en) * 1907-01-30 1909-02-02 Charles L Blaisdell Boot or shoe.
US1081678A (en) 1911-07-06 1913-12-16 Meyer Langerak Shoe.
US1028598A (en) 1911-10-23 1912-06-04 George Papp Shoe-tongue supporter.
US1155354A (en) 1914-12-23 1915-10-05 Daniel Y Hallock Tongue for shoes.
US1275895A (en) 1918-05-13 1918-08-13 Raphael A Fox Shoe-tongue pad.
US1494236A (en) 1923-05-19 1924-05-13 Holly G Greathouse Overshoe clasp
US1686175A (en) 1924-08-11 1928-10-02 David Y Read Footwear retainer
US2097810A (en) * 1935-03-23 1937-11-02 Robert T Dawes Shoe gore
US2069752A (en) 1935-08-17 1937-02-09 Maxwell E Sparrow Slipper, sandal, and the like
GB503525A (en) * 1937-10-06 1939-04-06 Robert Taylor Dawes Improvements relating to elastic fabrics and elastic gores for boots and other apparel or the like
US2450250A (en) 1945-03-14 1948-09-28 John R Napton Hinged heel shoe
US2452502A (en) 1945-04-25 1948-10-26 John P Tarbox Shoe construction
FR1083503A (fr) 1953-04-29 1955-01-10 Rival Fils Et Cordier Freres E Nouvel article chaussant
US2920402A (en) 1957-03-18 1960-01-12 Salvador A Minera Shoe with movable counter
US3146535A (en) 1963-06-13 1964-09-01 David Clayman Overshoe
US3192651A (en) 1963-12-16 1965-07-06 Robert D Smith Shoe having a rear opening
FR1474203A (fr) * 1966-02-11 1967-03-24 Procédé nouveau de réalisation de tiges montantes pour chaussures
JPS5813165B2 (ja) * 1980-10-22 1983-03-12 アキレス株式会社 スラッシュ靴の製造方法
US4489509A (en) 1983-09-28 1984-12-25 Libit Sidney M Overshoe
EP0149362A3 (en) 1984-01-13 1985-09-25 Wolverine World Wide, Inc. Shoes with heel counters
US4876806A (en) * 1986-01-29 1989-10-31 Nike, Inc. Asymmetric shoe
JPS6481910A (en) 1987-09-24 1989-03-28 Nec Corp Spectral element
US5317819A (en) 1988-09-02 1994-06-07 Ellis Iii Frampton E Shoe with naturally contoured sole
US6314662B1 (en) 1988-09-02 2001-11-13 Anatomic Research, Inc. Shoe sole with rounded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AR248218A1 (es) 1989-06-03 1995-07-12 Dassler Puma Sportschuh Zapato provisto de un dispositivo de cierre.
US5090140A (en) 1989-08-28 1992-02-2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with integrated counterpocket shoe horn
DE3928625A1 (de) * 1989-08-30 1991-03-07 Adidas Ag Sporthalbschuh mit erhoehtem fersenscheitelbereich
US4972613A (en) 1989-10-10 1990-11-27 Wolverine World Wide, Inc. Rear entry athletic shoe
US5054216A (en) 1990-04-19 1991-10-08 Lin Kuo Yang Kind of leisure shoes
US5184410A (en) 1991-06-13 1993-02-09 Hamilton Paul R Pivoting shoe construction
DE9209867U1 (de) 1992-07-22 1993-11-25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 oder Freizeitschuh
US5282327A (en) 1993-02-16 1994-02-01 Ogle Estel E Pivotal heel for footwear
US5371957A (en) 1993-12-14 1994-12-13 Adidas America, Inc. Athletic shoe
US5467537A (en) 1994-03-18 1995-11-21 Nike, Inc. Shoe with adjustable closure system
US5481814A (en) 1994-09-22 1996-01-09 Spencer; Robert A. Snap-on hinged shoe
DE19534249A1 (de) 1995-09-18 1997-03-20 Siegfried Drost Schuhwerk
FR2745474B1 (fr) * 1996-03-04 1998-05-07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DE19611797A1 (de) * 1996-03-26 1997-10-02 Richter Monika Dr Schuh, der ohne Hände oder andre Hilfsmittel angezogen werden kann
US5826353A (en) 1997-01-13 1998-10-27 Mason Shoe Manufacturing Co. Closure for boot tongue
US5842292A (en) 1997-03-14 1998-12-01 Kathy J. Siesel Shoe insert
FR2765083B1 (fr) 1997-06-27 1999-08-27 Salomon Sa Semelle multicouche couplee a un renfort de la tige de la chaussure
US6189239B1 (en) 1997-10-31 2001-02-20 D. Gasparovic Articulated footwear having a flexure member
US6896128B1 (en) 1998-03-26 2005-05-24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DE29809404U1 (de) 1998-05-13 1998-08-06 Ruloff Daniel Behindertengerechte Fußbekleidung
JP2000139502A (ja) * 1998-11-16 2000-05-23 Araco Corp 靴 体
ATE244519T1 (de) 1998-12-07 2003-07-15 Burton Corp Snowboardstiefel mit weichen oder hybriden oberteil mit zungenversteifung
JP2000184902A (ja) * 1998-12-24 2000-07-04 Mizuno Corp
EP1059044A1 (de) 1999-06-11 2000-12-13 Peter Niggli Fussbekleidung mit schwenkbarem Fersenteil
CN2438353Y (zh) 2000-07-28 2001-07-11 周龙交 变比传控式鞋带自动系解互动的鞋子
US7392603B1 (en) 1999-11-15 2008-07-01 Ringstar, Inc. Padded shoe
JP2001149394A (ja) 1999-11-30 2001-06-05 Keiai Gishi Zairyo Hanbaisho:Kk 小児用整形靴
US6378230B1 (en) 2000-11-06 2002-04-30 Visual3D Ltd. Lace-less shoe
ITVR20010019A1 (it) 2001-02-16 2002-08-16 Lotto Sport Italia Spa "contrafforte per calzature"
FR2823077B1 (fr) 2001-04-06 2003-07-18 Salomon Sa Chaussure de marche comportant un renfort de tige amovible, et renfort pour une telle chaussure
US6557271B1 (en) 2001-06-08 2003-05-06 Weaver, Iii Robert B. Shoe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support
CN1403041A (zh) 2001-09-11 2003-03-19 江登逢 活动式鞋后包部
US7685747B1 (en) 2002-04-29 2010-03-30 Hatchbacks, Inc. Footwear architecture(s) and associated closure systems
US6785985B2 (en) 2002-07-02 2004-09-07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DE10247163B4 (de) 2002-10-05 2015-11-19 Prüf- und Forschungsinstitut Pirmasens e.V. Ohne Hilfsmittel, ohne Hilfe der Hände oder ohne entweder Lösen oder Öffnen von Verschlusselementen an- und ausziehbarer Schuh
ES1053061Y (es) 2002-10-28 2003-06-16 Francis Raluy Calzado con cierre automatico.
US6684533B1 (en) 2002-11-20 2004-02-03 Cheng-Wen Su Pivotal back for a sandal style shoe
FR2848390B1 (fr) * 2002-12-12 2005-07-08 Salomon Sa Article chaussant notamment pour l'escalade
US6925732B1 (en) 2003-06-19 2005-08-09 Nike, Inc. Footwear with separated upper and sole structure
US6938361B2 (en) 2003-10-14 2005-09-06 Cheng-Wen Su Pivotal counter assembly for a shoe
US7178270B2 (en) 2003-10-21 2007-02-20 Nike, Inc. Engaging element useful for securing objects, such as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DE102004005288A1 (de) 2004-02-03 2005-08-11 Florian Meyer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mit einem schnell und sicher handhabbaren Verschlusssystem
US7171766B2 (en) * 2004-03-12 2007-02-06 Bouche Richard T Ankle and foot stabilization support
US7225563B2 (en) 2004-08-10 2007-06-05 Eddie Chen Shoe with adjustable fitting
US7204043B2 (en) 2004-08-11 2007-04-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support assembly
KR100662805B1 (ko) 2004-08-19 2006-12-28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발등조임장치.
SG131774A1 (en) 2005-10-05 2007-05-28 Ching Ting Leong Retractable type lining foot-wears
ES2258936B1 (es) 2006-01-13 2007-04-01 Francis Raluy Calzado con dispositivo automatico de cierre en el empeine.
US7439837B2 (en) 2006-01-30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heel strap system
US8069538B2 (en) 2006-03-10 2011-12-06 Robert Wilcox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US7552547B2 (en) 2006-05-03 2009-06-30 Converse, Inc. Slip on athleisure shoe
US8887411B2 (en) * 2006-08-01 2014-11-18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thletic shoe having a segmented upper
US8087188B2 (en) 2006-10-15 2012-01-03 Frederick Labbe Weight-activated tying shoe
JP4684986B2 (ja) * 2006-11-29 2011-05-18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アッパー構造
US8161669B2 (en) 2007-01-11 2012-04-24 X-Swiss, Inc. Infant shoe having a pivoting heel portion
US7793438B1 (en) 2007-01-26 2010-09-14 Reebok International Ltd. Rear entry footwear
US7823299B1 (en) 2007-02-07 2010-11-02 Brigham John P Interchangeable flip-flop/sandal
CN201005111Y (zh) 2007-03-29 2008-01-16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一种可快速穿脱的鞋
US8020317B1 (en) 2007-04-05 2011-09-20 Nike, Inc. Footwear with integrated biased heel fit device
US7676957B2 (en) 2007-06-14 2010-03-16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US7975403B2 (en) 2007-10-09 2011-07-12 Mercury International Trading Corporation Footwear with pivoting tongue
NZ585957A (en) 2008-01-16 2012-09-28 James Neville Somerville Sandal with spring loaded heel strap
US8499474B2 (en) 2008-03-05 2013-08-06 Steven Kaufman Hands-free step-in closure apparatus
US8065819B2 (en) 2008-03-05 2011-11-29 Steven Kaufman Hands-free step-in closure apparatus
WO2009154350A1 (ko) * 2008-06-16 2009-12-23 Shim Sang-Ok 신발용 뒤축 보조구
US8677656B2 (en) 2008-09-30 2014-03-25 Asics Corporation Athletic shoe with heel counter for maintaining shape of heel section
JP2010104416A (ja) * 2008-10-28 2010-05-13 Kazuo Miyamoto かかと部を踏みつけて履いても、元に戻る靴
WO2010059716A2 (en) 2008-11-18 2010-05-27 Weaver Robert B Footwear with impact absorbing system
US9877542B2 (en) * 2009-11-12 2018-01-30 Fast Ip, Llc Rapid-entry shoe
ITAN20100032U1 (it) * 2010-05-31 2011-12-01 Din Mahamed Sayed Muslim Mirza Stivaletto in materiali plastici dotato di un fondo ammortizzante ventilato.
USD648512S1 (en) 2010-08-09 2011-11-15 Davmar, Inc. Footwear
JP2012061046A (ja) 2010-09-14 2012-03-29 Kazuo Miyamoto 履き易い靴
US20120079742A1 (en) 2010-10-01 2012-04-05 Converse Inc. Easy Slip Shoe
JP5912392B2 (ja) * 2010-11-03 2016-04-27 アキレス株式会社
DE202010017401U1 (de) 2010-11-04 2011-09-29 Stefan Lederer Luftdurchlässige zunge für schuhe mit einem rigiden und dennoch flexiblen zungenteil
US8769845B2 (en) * 2011-01-18 2014-07-08 Shu-Hua Lin Shoe conveniently put on and taken off
US8683716B2 (en) 2011-02-01 2014-04-01 Skechers U.S.A., Inc. Ii Shoe tongue securing device
US9320318B2 (en) * 2012-03-22 2016-04-26 Nike, Inc. Articulated shank
GB2517399A (en) 2013-06-21 2015-02-25 Muhammad Arslaan Malik The press-on footwear
GB2517148A (en) 2013-08-12 2015-02-18 Leonard William Thompson Heel slider
US20150059209A1 (en) * 2013-08-29 2015-03-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n Integral Knit Ankle Cuff
US20150305432A1 (en) 2014-04-28 2015-10-29 Dutch Ideas, Llc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JPWO2016002412A1 (ja) 2014-07-03 2017-04-27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月形芯及び靴
DE102014213366B4 (de) * 2014-07-09 2020-01-02 Adidas Ag Schuh mit einer Fersenkappe sowie Schuh mit einem Knöchelkragen
DE102015219636B4 (de) * 2015-10-09 2023-11-23 Adidas Ag Herstellungs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Gewebes mit einer dreidimensionalen Form
EP3487347B1 (en) 2016-10-10 2021-08-04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midsole bodies
US10743616B2 (en) * 2016-10-26 2020-08-18 Nike, Inc. Footwear heel spring device
US10470524B2 (en) * 2017-03-30 2019-11-12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US10159310B2 (en) 2017-05-25 2018-12-25 Nike, Inc.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US11000091B1 (en) * 2017-09-01 2021-05-11 Kentigern Kyle Bimodal shoe
US10455898B1 (en) 2018-12-21 2019-10-29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US10617174B1 (en) 2018-12-21 2020-04-14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CA3130777A1 (en) * 2019-02-26 2020-09-03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heel arm and a resilient me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5630A1 (en) * 2015-08-25 2017-03-02 Nike, Inc. Shoe with collapsable heel
US9820527B2 (en) * 2016-04-22 2017-11-21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US20180110292A1 (en) * 2016-10-26 2018-04-26 Nike, Inc. Footwear heel sp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486B1 (ko) 2023-07-24
WO2020132317A2 (en) 2020-06-25
EP3897266B1 (en) 2022-09-07
CN113242702A (zh) 2021-08-10
EP3897266A2 (en) 2021-10-27
US20240114993A1 (en) 2024-04-11
EP4111901A2 (en) 2023-01-04
CN115644560A (zh) 2023-01-31
JP2023101652A (ja) 2023-07-21
US20200196703A1 (en) 2020-06-25
EP4111901A3 (en) 2023-02-08
CN113242702B (zh) 2022-11-04
JP2022514060A (ja) 2022-02-09
WO2020132317A3 (en) 2020-07-23
US20210112915A1 (en) 2021-04-22
US10897956B2 (en)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486B1 (ko) 비대칭 발목 칼라를 갖는 풋웨어 물품
US11633016B2 (en)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KR102581124B1 (ko) 도핑 레지를 갖는 풋웨어 물품
EP3902431B1 (en)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US20230165339A1 (en)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