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417A -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417A
KR20210104417A KR1020200019124A KR20200019124A KR20210104417A KR 20210104417 A KR20210104417 A KR 20210104417A KR 1020200019124 A KR1020200019124 A KR 1020200019124A KR 20200019124 A KR20200019124 A KR 20200019124A KR 20210104417 A KR20210104417 A KR 2021010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cheonggukjang
mucilage
food composition
enzym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180B1 (ko
Inventor
이성규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이성규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이정석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102020001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180B1/ko
Priority to PCT/KR2021/001940 priority patent/WO2021167311A2/ko
Publication of KR2021010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은 단독 조성물에 비해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하고 섭취시 불쾌한 맛과 향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폐기되는 장어 점액질을 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Composition of enzyme food for improving obesity and skin wrinkle comprising Rhynchosia Nulubilis cheonggukjang and mucus from eel}
본 발명은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효소 식품은 우리나라의 건강보조식품 품목 중 하나로, 식품공전에는 곡류효소식품(곡류(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배아효소식품(곡물의 배아(4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과·채류효소식품(과·채류(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기타 식물효소함유제품(곡류, 곡물배아 또는 과·채류 이외의 식물성 원료(60.0% 이상)에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키거나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50.0% 이상)로 하여 제조·가공한 것) 등의 유형이 있다. 즉, 식용미생물을 배양한 것 또는 식품에서 효소함유부분을 추출한 것 또는 이를 주원료로 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페이스트상,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등으로 가공한 것을 말하며, 신진대사 기능에 관여하고 건강증진 및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효소 식품들이 개발되어 왔다.
청국장은 콩을 원료로 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상용되어 온 전통 장류 중의 하나이다.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민족에게 결핍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및 지방산을 공급시켜 주는 식품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있는 고초균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 발효과정 중에 고초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서 그 특유의 맛과 냄새를 내며 원료콩의 당질과 단백질에서 유래된 레반형프룩탄(levan form fructan)과 폴리글루타메이트(polyglutamate)의 혼합물질인 점질물을 다량 생성한다. 발효 제조된 청국장은 소화 작용뿐만 아니라 영양면에서도 된장이나 고추장보다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양질의 콩 발효식품이다.
청국장은 다른 대두 발효식품과는 달리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고온에서 발효시키기 때문에 2~3일 정도의 짧은 시간 내에 완성할 수 있으므로 영양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높고, 항산화, 혈전 용해, 항생물질 분비, 혈당 및 혈청 지질 감소, 암세포 억제, DNA 손상 회복 작용, 비만, 암, 혈전, 당뇨, 고혈압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가루, 환, 캡슐 등 기능성 가공식품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뮤신(mucin)은 생물체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성 물질로 동물의 뇌하수체, 위점막, 연골, 침, 혈액, 콧물 등에 존재하며, 달팽이, 장어, 미꾸라지 등의 피부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뮤신의 화학적 본체는 당단백질의 일종이나, 점액의 기원이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당단백질을 함유한다. 뮤신은 물과 중성염용액에는 녹기 어렵고 산성에서는 녹지 않고 침전되나, 알칼리성에서는 점성질의 액이 되는 특성이 있다. 소화 기관에서의 뮤신은 기관의 보호 및 소화 운동의 윤활제 역할을 하며, 위점막에서의 뮤신은 펩신과 위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서 위산과다와 위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장에서의 뮤신은 아미노산이나 지방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며 대장에서 분비되는 뮤신은 장내에서 윤활제 기능을 하여 장 내강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매끄럽게 잘 떨어지게 한다. 또한, 뮤신은 콜라겐, 엘라스틴, 단백질 등 천연 복합물질인 콘드로이친을 함유하고 있어 외부의 거친 환경으로부터 수분손실을 막아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며, 상처가 난 피부를 빠르게 재생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뮤신 성분은 피부의 보습, 항산화, 주름개선, 아토피개선 등을 위한 새로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장어는 피부 보호를 위하여 피부에서 분비물을 배출하는데, 이러한 피부분비물에는 뮤신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양식도 하고 있어, 장어의 피부 분비물을 활용하여 뮤신을 추출하고 이를 화장품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뮤신의 수분보유성 및 피부의 재생능을 이용한 화장제재 및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달팽이와 마로부터 추출된 점액성 물질 즉 뮤신을 이용한 화장품은 출시되었으나, 폐기되는 장어의 점액성 물질을 활용하여 식품으로 활용된 예는 거의 없다.
한편,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과 관련된 종래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60669호에는 점액성 표피를 갖는 어류(바다장어, 뱀장어, 먹장어, 메기)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미백, 보습, 아토피개선, 피부장벽개선,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었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02337호에는 검은콩(서목태, 서리태, 흑태) 청국장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5202호에는 청국장과 한약소재(쥐눈이콩 포함)를 포함하는 체지방 조절용 청국장 환이 개시되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7236호에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발효서목태 엑기스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쥐눈이콩 청국장 분말 및 장어 점액질 분말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한 이전 보고는 아직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소 식품 조성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60669호,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014년 11월 05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002337호, 홍삼액이 함유된 검은콩 청국장 제조방법, 2019년 07월 16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5202호, 체지방 조절용 청국장 환 및 그 제조방법, 2009년 10월 07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7236호,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발효서목태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2019년 03월 1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한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은 시판되는 제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제조하는 경우에도 통상의 청국장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쥐눈이콩 청국장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은 원물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용이 섭취가 가능한 건조(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영양소 손실이 거의 없도록 동결건조방법으로 건조한 쥐눈이콩 청국장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장어 점액질은 바람직하게 살아있는 장어에 자극이나 스트레스(전기 등)를 가하여 장어 피부로부터 분비된 점액질을 채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취된 점액질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건조(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 분말을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한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감미료는 설탕을 대체하여 단맛을 주는 저칼로리 감미료로서 스테비아, 꿀, 아스파탐,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대추야자, 메이플시럽, 아가베시럽, 수카나트 등을 사용하거나, 과일을 동결건조한 분말(딸기 분말, 복숭아 분말 등)을 사용하는 등 과잉 섭취에서 생기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저칼로리 감미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는 6.5~8:1~2:0.1~1.5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조건을 벗어나서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임의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만 및 피부 주름의 동시 개선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모두 포함하더라도 상기 혼합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낮거나 효과 상승폭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효소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및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식품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은 단독 조성물에 비해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하고 섭취시 불쾌한 맛과 향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폐기되는 장어 점액질을 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효소 식품 조성물 제조>
본 발명 효소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은 하기와 같이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하였고, 감미료는 시판 제품 또는 천연 과일 동결건조 분말을 사용하였다.
먼저 쥐눈이콩 청국장은 쥐눈이콩을 세척하여 12시간 이상 물에 불린다음 뜨거운 물에 삶아서 2~3시간 약불로 쥐눈이콩이 으깨질정도가 되면 고초균(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을 접종하여 35~40℃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발효된 쥐눈이콩 청국장을 동결건조하여 쥐눈이콩 청국장 동결건조 분말을 얻었다.
다음으로 장어 점액질은 장어를 전기충격으로 집단 기절시킴으로써 장어의 표면에 있는 점액질 분비를 촉진시킨 후, 살아있는 장어표피부분의 점액질을 재취하였다. 상기 점액질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뮤신 성분이 함유된 장어 점액질 동결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 과정으로부터 얻은 쥐눈이콩 청국장 동결건조 분말 및 장어 점액질 동결건조 분말과 감미료를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효소 식품 조성물을 얻었다.
조건 혼합비
쥐눈이콩 청국장 동결건조 분말 장어 점액질
동결건조 분말
감미료
실시예 1 7 2 1(스테비아)
실시예 2 8 1 1(스테비아)
실시예 3 7.9 2 0.1(스테비아)
실시예 4 6.5 2 1.5(스테비아)
실시예 5 7 2 1(딸기분말)
실시예 6 7 2 1(복숭아분말)
실시예 7 7 2 0.5(스테비아),
0.25(딸기분말),
0.25(복숭아분말)
<비교예 1. 비교대상 효소 식품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쥐눈이콩 청국장 동결건조 분말 및 장어 점액질 동결건조 분말과 감미료를 이용하되 하기 표 2의 혼합비를 참고하여 비교대상 효소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혼합비
쥐눈이콩 청국장 동결건조 분말 장어 점액질
동결건조 분말
감미료
비교예 1 10 0 0
비교예 2 0 10 0
비교예 3 5 5 0
비교예 4 6 4 0
비교예 5 9 1 0
비교예 6 4 6 0
비교예 7 3 7 0
비교예 8 7
(일반 메주콩 청국장 분말)
2 1(스테비아)
<실험예 1. 비만 개선 효과 확인>
지방세포인 3T3-L1 세포에서 본 발명 효소 식품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지방 축적 억제 효과로부터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3T3-L1 세포의 배양과 유지를 위해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하여 37℃ 및 5% CO2 조건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3T3-L1 지방세포를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세포가 100%로 성장(confluent stage)하면, 2일 후 10% FBS, 0.5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 인슐린, 1μM 덱사메타손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3일 후 10% FBS, 10㎍/㎖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고 2일 동안 처리한 다음,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여 2일 더 추가 처리하였다. 본 발명 효소 식품 조성물은 DMSO에 녹여 분화 유도 시점부터 분화유도 배지와 함께 200㎍/㎖로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10% 포름알데히드로 1시간 이상 고정한 다음, 60% 이소프로판올로 세포를 3~4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Oil red O 용액을 넣고 10분 동안 염색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이후 100% 이소프로판올로 Oil red O 염료를 녹여 지방을 추출한 다음 520㎚의 흡광도에서 지방구 축적률을 평가하였다.
조건 지방구 축적률(%)
대조군(무처리군) 100
실시예 1 65
실시예 2 60
실시예 3 61
실시예 4 66
실시예 5 65
실시예 6 64
실시예 7 65
비교예 1 62
비교예 2 97
비교예 3 82
비교예 4 80
비교예 8 85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의 효소 식품 조성물(200㎍/㎖ 처리)은 지방구 축적 억제에 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혼합비로 효소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고 지방구 축적률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혼합비로 제조한 조성물의 경우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낮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쥐눈이콩 청국장 분말인 실시예 1 내지 7은 일반 메주콩을 사용한 청국장 분말인 비교예 8에 비해 항비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비만 개선시 본 발명과 같이 특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MMP-1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먼저 HaCaT 세포(인간각질형성세포)의 배양을 위해 DMEM 배지에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하여 37℃ 및 5% CO2 조건에서 계대배양하였다.
플레이트에 계대 배양한 HaCaT 세포를 분주하고 본 발명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효소 식품 조성물을 DMSO에 녹여 200㎍/㎖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UV-B(30mJ/㎠)를 조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로부터 MMP-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고,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조건 mRNA 발현량(%)
대조군(무처리군) 100
실시예 1 45
실시예 2 48
실시예 3 48
실시예 4 50
실시예 5 53
실시예 6 55
실시예 7 51
비교예 1 99
비교예 2 40
비교예 5 83
표 4를 참고하면, 자외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본 발명의 효소 식품 조성물을 처리하는 경우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mRNA 발현량 감소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소 식품 조성물은 항비만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한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효소 식품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훈련된 패널요원 20명이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식품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된 효소 식품 조성물 10g을 물 100㎖에 녹여 효소 식품 조성물의 맛과 향에 대해 기호도를 확인하였다. 청국장 또는 장어 점액질의 불쾌한 맛 또는 향에 대한 저감 효과가 높으면 높은 수치(7점)로 평가하였고 저감 효과가 없으면 낮은 수치(0점)로 평가(저감 효과 매우 높음(7점), 저감 효과 높음(5점), 저감 효과 보통(3점), 저감 효과 낮음(1점), 저감 효과 없음(0점))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는 20명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소수점 1자리까지만 나타내었다.
조건 맛에 대한 기호도 향에 대한 기호도
실시예 1 6.8 6.9
실시예 2 6.9 6.9
실시예 3 6.7 6.6
실시예 4 6.9 6.9
실시예 5 6.9 6.9
실시예 6 6.9 6.9
실시예 7 6.8 6.8
비교예 1 1.1 1.0
비교예 2 0.7 1.0
비교예 3 1.5 1.3
비교예 5 1.1 1.1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소 식품 조성물은 섭취시 불쾌한 맛과 향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쥐눈이콩 청국장 분말 및 장어 점액질 분말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은 체중 감량시 나타날 수 있는 피부 주름을 방지하면서도 항비만 효과는 우수하고 섭취시 불쾌한 맛과 향이 제거되어 섭취가 용이하며 폐기되는 장어 점액질을 활용할 수 있어,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 장어 점액질 및 감미료는 6.5~8:1~2:0.1~1.5의 혼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는 스테비아, 꿀, 아스파탐,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대추야자, 메이플시럽, 아가베시럽, 수카나트 및 천연 과일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저칼로리 감미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은 동결건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KR1020200019124A 2020-02-17 2020-02-17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KR10245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24A KR102453180B1 (ko) 2020-02-17 2020-02-17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PCT/KR2021/001940 WO2021167311A2 (ko) 2020-02-17 2021-02-16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24A KR102453180B1 (ko) 2020-02-17 2020-02-17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17A true KR20210104417A (ko) 2021-08-25
KR102453180B1 KR102453180B1 (ko) 2022-10-11

Family

ID=7739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24A KR102453180B1 (ko) 2020-02-17 2020-02-17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3180B1 (ko)
WO (1) WO2021167311A2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37A (ko) 2000-06-23 2002-01-05 이주영 인터넷을 이용한 포토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5202A (ko)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두향원 체지방 조절용 청국장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669B1 (ko) 2012-11-23 2014-11-11 주식회사 뉴메디온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7152B1 (ko) * 2016-07-12 2017-01-17 주식회사 리온메디코스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KR20190027236A (ko) 2017-09-06 2019-03-14 (주)할머니청국장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발효서목태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393B1 (ko) * 2009-02-06 2012-03-23 정윤자 한방약재가 함유된 청국장 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청국장 환
KR101003463B1 (ko) * 2009-03-24 2010-12-28 정윤자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20120057013A (ko) * 2010-11-26 2012-06-05 최형찬 쥐눈이콩과 양파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676318B1 (ko) * 2015-04-29 2016-11-29 주식회사 리온메디코스 장어 피부로부터 대량의 분비물을 생성시켜 채취하고 채취된 장어 피부 분비물로부터 뮤신을 추출하는 장치
CN106727243A (zh) * 2016-12-29 2017-05-31 邓运春 一种含有鳝鱼粘液提取物的护肤品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002337B1 (ko) * 2019-02-12 2019-07-22 유시호 홍삼액이 함유된 검은콩 청국장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37A (ko) 2000-06-23 2002-01-05 이주영 인터넷을 이용한 포토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05202A (ko)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두향원 체지방 조절용 청국장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669B1 (ko) 2012-11-23 2014-11-11 주식회사 뉴메디온 점액을 분비하는 어류로부터 수득한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7152B1 (ko) * 2016-07-12 2017-01-17 주식회사 리온메디코스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KR20190027236A (ko) 2017-09-06 2019-03-14 (주)할머니청국장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발효서목태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성인병을 다스리는 발효서목태의 항비만 효과 검증 및 기능성 제품 개발’에 대한 최종보고서. 주관연구기관 ㈜할머니청국장. 주관부처 중소기업청(2016.08.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311A2 (ko) 2021-08-26
KR102453180B1 (ko) 2022-10-11
WO2021167311A3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212B2 (ja) 皮膚改善剤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20051616A (ko) 배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배 발효액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4436A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2631A (ko) 아로니아 분말이 포함된 아로니아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453180B1 (ko) 쥐눈이콩 청국장 및 장어 점액질을 포함하는 비만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효소 식품 조성물
KR20090103823A (ko) 항노화제, 피부외용제 및 음식품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249711B1 (ko)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00084560A (ko) 피조개 가수분해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20150062553A (ko) 씀바귀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씀바귀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120323B1 (ko)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200081550A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1238B1 (ko) 달팽이 진액 및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55017A1 (ko)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육포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1221B1 (ko) 참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참마 고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