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012A -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012A
KR20210103012A KR1020200016827A KR20200016827A KR20210103012A KR 20210103012 A KR20210103012 A KR 20210103012A KR 1020200016827 A KR1020200016827 A KR 1020200016827A KR 20200016827 A KR20200016827 A KR 20200016827A KR 20210103012 A KR20210103012 A KR 2021010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elt
roller
clamp
suppor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537B1 (ko
Inventor
최장호
이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to KR102020001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5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07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for end faces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면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이 받침부의 받침대에 회전롤러 양단 외면에 떠받쳐 지도록 하며, 작업대 상면에 회전롤러의 받침봉 말단과 맞닿는 회전클램프를 설치하고, 회전클램프와 반대되는 작업대 상면에 받침봉 말단에 맞닿는 이동클램프를 형성하며, 작업대 상면에 정착벨트 양단을 연마하는 연마장치를 형성하여, 이 연마장치의 연마부재가 정착벨트의 양단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정착벨트 양단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가 연마부재에 의해 정착벨트 외측 방향으로 쓸림되도록, 연마부재로 연마하여 정착벨트의 내측 테두리의 버(Burr)를 제거함과 동시에 정착벨트 내측 테두리를 연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마부재가 정착벨트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착벨트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를 외측방향으로 끌어내어 버(Burr)가 제거되고, 이와 동시에, 정착벨트의 내측 테두리와 연마부재간의 마찰력에 의해 정착벨트 양단의 내측 테두리가 연마되며, 버(Burr)의 제거로 정착롤러에 정착벨트 결합시 정착롤러 외면과 정착벨트에 안내 이동되는 용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연마장치에 의해 자동 이동되는 연마부재를 정착벨트 양단에 밀착시키는 단순 과정에 의해 정착벨트 양단이 손쉽게 연마된다.

Description

정착벨트용 연마장치{Polishing equipment for fixing belt}
본 발명은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장치의 연마부재를 정착벨트의 양단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착벨트의 양단 테두리 내주면을 연마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는 절단된 물품의 단면이나 혹은 거칠은 표면 등을 갈고 닦아서 절단면 또는 표면 등을 반질반질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때, 이러한 연마장치에는 다양한 연마부재가 사용되고, 연마부재를 물품에 조사하거나 혹은 연마부재를 물품의 표면에 정해진 속도 및 시간동안 연속 마찰시켜 물품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한편, 복사기 또는 프린터기 등에 사용되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정착벨트의 경우에는,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면서 그 양단의 절단부위에 정착벨트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버(Burr)가 형성되고, 이 버는 정착벨트 양단에 마찰되는 연마장치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사포작업용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뚜껑부를 형성한 본체부와, 외면에 사포를 권취하고, 본체부의 내부공간 내에 삽입결합된 사포감기용롤을 구성된다.
이때, 본체부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된 사포감기용롤을 회전시켜, 사포가 풀어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이 사포가 본체부 측면 및 저면을 따라 감기도록 한 후, 사포의 말단이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의 뚜껑부를 회전시켜, 본체부 상부가 밀폐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용고리를 고정돌기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사포가 본체부 측면 및 저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사포에 연마하고자 하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마찰시켜, 물건의 절단면을 연마함으로써, 상기 물건의 절단면이 반질반질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뚜껑부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본체부의 저면에 밀착된 사포를 물건의 절단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연속하여 물건의 절단면을 마찰하게 되면, 물건과 사포간의 마찰력에 의해 물건의 절단면이 연마되어, 반질반질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사포작업용구를 파지한 상태로 물건의 절단면에 사포를 마찰시키게 되면, 절단면에 형성된 버가 사포의 이동방향으로 쓸림되고, 이 버의 쓸림으로 인해 절단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며, 또한, 본체부를 파지하여 물건에 사포면을 연속 마찰시키거나 혹은 본체부 외부로 노출된 사포면에 물건을 연속 마찰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고, 작업의 어려움으로 절단면이 고르게 연마되지 못하며, 특히, 사포작업용구로 절단된 정착벨트 양단을 연마하는 경우, 정착벨트 양단에 형성된 버가 사포 연마 방향으로 쓸림되어 정착벨트 내측 방향에 머무르게 되고, 정착벨트 내의 버가 정착롤러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며, 또한, 정착벨트 외측으로 노출된 버가 정착벨트에 안내 이동되는 용지 표면을 파고 들어 용지의 손상을 일으키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57811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 상면에 받침부를 형성하고, 이 받침부의 받침대에 회전롤러 양단 외면에 떠받쳐 지도록 하며, 작업대 상면에 회전롤러의 받침봉 말단과 맞닿아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클램프를 설치하고, 회전클램프와 반대되는 작업대 상면에 받침봉 말단에 맞닿아 자유회전되는 이동클램프를 형성하며, 작업대 상면에 회전롤러와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되어, 정착벨트의 양단을 연마하는 연마장치를 형성하여, 이 연마장치의 연마부재가 정착벨트의 양단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정착벨트 양단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가 연마부재에 의해 정착벨트 외측 방향으로 쓸림되도록, 연마부재로 연마하여 정착벨트의 내측 테두리의 버(Burr)를 제거함과 동시에 정착벨트 내측 테두리를 연마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받침대를 형성한 받침부; 원형바 형상으로 외면에 정착벨트를 삽입 결합하여, 양단 외면에 형성된 받침봉을 상기 받침부의 받침대 떠받쳐지도록 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 일측의 작업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양단에 형성된 받침봉 말단과 맞닿아 상기 회전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클램프; 상기 회전클램프와 반대되는 상기 작업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이동되되 상기 받침봉 말단에 맞닿아 자유회전되는 이동클램프; 상기 작업대 상면에서 상기 회전롤러와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 양단에 위치되어 연마부재를 상기 정착벨트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정착벨트 양단 내주면 테두리를 연마하는 연마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외면에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착벨트가 상기 회전롤러 외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석션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클램프 및 이동클램프와 맞닿는 상기 받침봉 일면에 상기 석션홀과 연통된 연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대 상면에 설치된 상기 회전클램프 및 이동클램프는 상기 받침봉의 일면과 맞닿되 상기 연통공을 통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석션홀에 흡입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클램프는, 일단이 상기 회전클램프 일 측면으로 노출되되, 상기 회전롤러의 받침봉에 밀착되고, 일면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1흡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봉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바와; 상기 회전클램프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클램프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클램프는, 하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는 수평이동판과; 상기 이동클램프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램프와 반대되는 상기 회전롤러의 받침봉에 밀착되며, 일면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2흡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자유회전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상기 연마장치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마장치는 상기 제2가이드부를 따라 수평 이동되어 상기 정착벨트 양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는,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마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롤러에서 풀림되는 연마부재를 감아 수용하는 권취롤러; 상기 공급롤러와 권취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정착벨트의 일단 중심부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에서 풀려진 연마부재가 상기 정착벨트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마찰되면서 상기 권취롤러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마부재가 정착벨트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착벨트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를 외측방향으로 끌어내어 버(Burr)가 제거되고, 이와 동시에, 정착벨트의 내측 테두리와 연마부재간의 마찰력에 의해 정착벨트 양단의 내측 테두리가 연마되며, 버(Burr)의 제거로 정착롤러에 정착벨트 결합시 정착롤러 외면과 정착벨트에 안내 이동되는 용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연마장치에 의해 자동 이동되는 연마부재를 정착벨트 양단에 밀착시키는 단순 과정에 의해 정착벨트 양단이 손쉽게 연마되어 작업시간 단축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의 연마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대(100)는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00)는 그 상면에 받침부(200), 회전클램프(400), 이동클램프(500) 및 연마장치(600)를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작업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01)는 상기 이동클램프(500)가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 (301)일단에 맞닿도록,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수평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작업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연마장치(6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102)는 상기 연마장치(600)의 안내블럭(605)이 상기 회전롤러(300)에 결합된 상기 정착벨트(V) 양단에 근접되도록 상기 연마장치(6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한다.
받침부(2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받침대(201)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200)는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대(201)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받침부(200)의 높이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받침대(2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이격거리에 대응하도록 조절된다.
회전롤러(300)는 원형바 형상으로 외면에 정착벨트(V)를 삽입 결합하여, 양단 외면에 형성된 받침봉(301)을 상기 받침부(200)의 받침대(201)에 떠받쳐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롤러(300)는 외면에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착벨트(V)가 상기 회전롤러(300) 외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석션홀(30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클램프(400) 및 이동클램프(500)와 맞닿는 상기 받침봉(301) 일면에 상기 석션홀(302)과 연통된 연통공(301a)을 형성한다.
상기 석션홀은 외면에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은 상기 회전클램프 및 이동클램프의 제1, 제2흡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1, 제2흡입공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압에 의해 상기 석션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한다.
상기 받침봉(301) 양단 각각은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바(401) 및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502)에 맞닿도록 밀착된다.
상기 회전롤러(300)는 상기 구동바(401)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그 외면에 결합된 상기 정착벨트(V)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직경은 상기 회전롤러(300)의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회전클램프(400)는 상기 회전롤러(300) 일측의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00)의 양단에 형성된 받침봉(301) 말단과 맞닿아 상기 회전롤러(300)를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회전클램프(400)는 상기 받침봉(301)의 일면과 맞닿되 상기 연통공(301a)을 통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석션홀(302)에 흡입압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클램프(400)는 일단이 상기 회전클램프(400) 일 측면으로 노출되되,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에 밀착되고, 일면에 상기 연통공(301a)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1흡입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봉(30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바(401)와, 상기 회전클램프(40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401)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40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흡입공(401a)은 상기 연통공(301a)을 통해 상기 석션홀(302)로 공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여, 상기 석션홀(302)에 흡입압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바(401)는 상기 자유회전바(502)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이동클램프(500)는 상기 회전클램프(400)와 반대되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이동되되 상기 받침봉(301) 말단에 맞닿아 자유 회전된다.
상기 이동클램프(500)는 하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10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는 수평이동판(501)과, 상기 이동클램프(500)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램프(400)와 반대되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에 밀착되며, 일면에 상기 연통공(302a)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2흡입공(502a)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롤러(300)가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자유회전바(50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판(501)은 상기 제1가이드부(101)를 따라 수평 이동되어, 상기 자유회전바(502)가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일단에 맞닿도록 한다.
상기 자유회전바(502)는 상기 회전롤러(30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롤러(300)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자유회전바(502)는 상기 구동바(401)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흡입공(401a)은 상기 연통공(301a)을 통해 상기 석션홀(302)로 공기가 강제 흡입되도록 하여, 상기 석션홀(302)에 흡입압을 형성한다.
연마장치(600)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서 상기 회전롤러(300)와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00) 양단에 위치되어 연마부재(601)를 상기 정착벨트(V)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정착벨트(V) 양단 내주면 테두리를 연마한다.
상기 연마장치(6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마부재(601)는 플렉시블한 사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장치(600)는 상기 제2가이드부(102)를 따라 수평 이동되어 상기 정착벨트(V) 양단에 위치된다.
상기 연마장치(600)는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602)와, 상기 지지부(60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마부재(601)를 공급하는 공급롤러(603), 상기 공급롤러(603)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풀림되는 연마부재(601)를 감아 수용하는 권취롤러(604) 및 상기 공급롤러(603)와 권취롤러(604)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정착벨트(V)의 일단 중심부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풀려진 연마부재(601)가 상기 정착벨트(V)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마찰되면서 상기 권취롤러(604)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블럭(60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602)의 하부에는 상기 공급롤러(603) 및 상기 권취롤러(604)을 회전구동시키는 모터(M)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롤러(603) 및 상기 권취롤러(604)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블럭(605)은 그 말단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마부재(601)가 상기 정착벨트(V)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마찰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내블럭(605)은 그 외면에 상기 연마부재(601)가 상기 안내블럭(605)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미부호)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미부호)는 자유 회전되면서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권취롤러(604)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마부재(601)가 상기 안내블럭(605) 외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회전롤러(300)에 연마하고자 하는 정착벨트(V)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회전롤러(300) 외면에 상기 정착벨트(V)가 감싸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300)의 양단에 형성된 받침봉(301)을 상기 받침부(200)의 받침대(20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대(201) 상에 안착된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중앙부가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바(401) 및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502)의 중앙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일단이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바(401) 일단과 서로 맞닿아 상기 받침봉(301)의 연통공(301a)과 상기 구동바(401)의 제1흡입공(401a)이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롤러(300)를 상기 받침대(201)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수평이동판(501)이 상기 작업대(100)의 제1가이드부(101)를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클램프(500)를 상기 회전롤러(3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502) 말단이 상기 구동바(401)와 반대되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 말단에 맞닿되, 상기 자유회전바(502)의 제2흡입공(502a)이 상기 받침봉(301)의 연통공(301a)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롤러(300) 양단에 형성된 받침봉(301) 각각이 상기 구동바(401) 및 상기 자유회전바(502)에 밀착 지지된다.
이후, 상기 연마장치(600)의 지지부(602)가 상기 작업대(100)의 제2가이드부(102)를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연마장치(600)를 상기 회전롤러(300) 외면에 결합된 상기 정착벨트(V) 양단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연마장치(600)의 안내블럭(605) 말단은 상기 정착벨트 양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정착벨트(V)의 중심부 주변에 위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연마부재(601)를 상기 정착벨트(V) 양단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마부재(601)는 상기 공급롤러(603), 안내블럭(605) 및 상기 권취롤러(604)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공급롤러(603), 안내블럭(605) 및 상기 권취롤러(604) 순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상기 정착벨트(V)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바(401) 및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502)의 제1, 제2흡입공(401a, 502a)을 통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고, 상기 제1, 제2흡입공(401a, 502a)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롤러(300)의 연통공(301a)을 통해 상기 석션홀(302)로 공기가 강제 흡입되면서, 상기 석션홀(302)에 흡입압이 형성되어, 상기 정착벨트(V)가 상기 회전롤러(300) 외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모터(402)가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구동바(401)를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구동바(401)와 맞닿아 있는 상기 회전롤러(300)가 회전작동되어 상기 정착벨트(V)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바(401)와 반대되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타단은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구동바(40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된다.
그리고, 연마장치(600)의 공급롤러(603) 및 권취롤러(604)가 모터(M)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상기 연마부재(601)를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연마부재(601)가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풀려지면서 상기 안내블럭(605)을 경유하여 상기 권취롤러(604)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블럭(605)을 경유하는 연마부재(601) 외면은, 상기 정착벨트(V)의 양단 내측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정착벨트(V)의 내주면과 마찰되고, 이에따라, 상기 정착벨트(V) 내주면이 상기 연마부재(601)에 의해 연마됨과 동시에 상기 정착벨트(V) 양단 내주면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가 상기 정착벨트(V)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착벨트(V)는 상기 회전롤러(30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연속 회전되면서, 그 양단이 상기 연마부재(601)와 마찰 됨으로써, 상기 정착벨트(V)의 양단 테두리의 연마 및 버(Burr)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정착벨트(V)의 연마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바(401) 및 상기 자유회전바(502)의 제1, 제2흡입공(401a, 502a)의 흡입이 정지되고, 이후, 상기 연마장치(600) 및 상기 이동클램프(500)를 원위치로 복귀되면, 그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300)에 결합된 상기 정착벨트(V)를 이탈시켜, 연마가 완료된 상기 정착벨트(V)를 획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정착벨트(V)를 상기 회전롤러(300)에 결합하여 상기 정착벨트(V)를 연마하는 것이고, 만약, 상기 정착벨트(V)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이 정착벨트(V) 직경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롤러(300)를 상기 받침부(200)의 받침대(201) 상에 올려놓은 후, 상기 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이 상기 회전클램프(400)의 구동바(401) 및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자유회전바(502)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롤러(300)에 결합된 정착벨트(V)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연마부재(600)를 이동시켜, 연마부재(600)로 정착벨트(V) 양단 내측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함과 동시에 정착벨트(V)의 내주면을 연마하는 구조는, 연마부재(601)가 정착벨트(V)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착벨트 (V)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버(Burr)를 외측 방향으로 끌어내어 버(Burr)가 제거되고, 이와 동시에, 정착벨트(V)의 내측 테두리와 연마부재(601)간의 마찰력에 의해 정착벨트(V) 양단의 내측 테두리가 연마되며, 버(Burr)의 제거로 정착롤러에 정착벨트(V) 결합시 정착롤러 외면과 정착벨트(V)에 안내 이동되는 용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우려가 없고, 연마장치(600)에 의해 자동 이동되는 연마부재(601)를 정착벨트(V) 양단에 밀착시키는 단순 과정에 의해 정착벨트(V) 양단이 손쉽게 연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착벨트용 연마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작업대 101 : 제1가이드부
102 : 제2가이드부 200 : 받침부
201 : 받침대 300 : 회전롤러
301 : 받침봉 301a : 연통공
302 : 석션홀 400 : 회전클램프
401 : 구동바 401a : 제1흡입공
402 : 구동모터 500 : 이동클램프
501 : 수평이동판 502 : 자유회전바
502a : 제2흡입공 600 : 연마장치
601 : 연마부재 602 : 지지부
603 : 공급롤러 604 : 권취롤러
605 : 안내블럭 M : 모터
V : 정착벨트

Claims (7)

  1.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면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받침대(201)를 형성한 받침부(200);
    원형바 형상으로 외면에 정착벨트(V)를 삽입 결합하여, 양단 외면에 형성된 받침봉(301)을 상기 받침부(200)의 받침대(201) 떠받쳐지도록 하는 회전롤러(300);
    상기 회전롤러(300) 일측의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00)의 양단에 형성된 받침봉(301) 말단과 맞닿아 상기 회전롤러(300)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클램프(400);
    상기 회전클램프(400)와 반대되는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 이동되되 상기 받침봉(301) 말단에 맞닿아 자유회전되는 이동클램프(500);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서 상기 회전롤러(300)와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00) 양단에 위치되어 연마부재(601)를 상기 정착벨트(V)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정착벨트(V) 양단 내주면 테두리를 연마하는 연마장치(6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300)는 외면에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정착벨트(V)가 상기 회전롤러(300) 외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석션홀(30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클램프(400) 및 이동클램프(500)와 맞닿는 상기 받침봉(301) 일면에 상기 석션홀(302)과 연통된 연통공(301a)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대(100) 상면에 설치된 상기 회전클램프(400) 및 이동클램프(500)는 상기 받침봉(301)의 일면과 맞닿되 상기 연통공(301a)을 통해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석션홀(302)에 흡입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0)는,
    상, 하로 승강 이동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받침대(201)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그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클램프(400)는,
    일단이 상기 회전클램프(400) 일 측면으로 노출되되,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에 밀착되고, 일면에 상기 연통공(301a)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1흡입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봉(30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바(401)와;
    상기 회전클램프(40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401)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4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클램프(50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클램프(500)는,
    하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10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는 수평이동판(501)과;
    상기 이동클램프(500)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램프(400)와 반대되는 상기 회전롤러(300)의 받침봉(301)에 밀착되며, 일면에 상기 연통공(302a)과 연통되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제2흡입공(502a)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롤러(300)가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자유회전바(5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연마장치(6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마장치(600)는 상기 제2가이드부(102)를 따라 수평 이동되어 상기 정착벨트(V) 양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7.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600)는,
    정해진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602)와;
    상기 지지부(60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마부재(601)를 공급하는 공급롤러(603);
    상기 공급롤러(603)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풀림되는 연마부재(601)를 감아 수용하는 권취롤러(604);
    상기 공급롤러(603)와 권취롤러(604) 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단이 정착벨트(V)의 일단 중심부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공급롤러(603)에서 풀려진 연마부재(601)가 상기 정착벨트(V) 양단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마찰되면서 상기 권취롤러(604)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블럭(60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KR1020200016827A 2020-02-12 2020-02-12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KR10231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27A KR102317537B1 (ko) 2020-02-12 2020-02-12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827A KR102317537B1 (ko) 2020-02-12 2020-02-12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12A true KR20210103012A (ko) 2021-08-23
KR102317537B1 KR102317537B1 (ko) 2021-10-28

Family

ID=7749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827A KR102317537B1 (ko) 2020-02-12 2020-02-12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85B1 (ko) 2021-11-30 2022-04-08 (주)필스톤 폴리이미드(pi) 정착벨트용 폴리실록산계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9342A (ja) * 1984-12-27 1986-07-19 Asaina Eng:Kk ロ−ル加工装置
JP2002301643A (ja) * 2001-04-06 2002-10-1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搬送用ローラの研磨装置
JP2004109929A (ja) * 2002-09-20 2004-04-08 Ricoh Co Ltd 定着ロー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57811Y1 (ko) 2009-08-07 2012-01-05 강성일 액상 내용물을 분말상의 화장료를 향해 분무시키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9342A (ja) * 1984-12-27 1986-07-19 Asaina Eng:Kk ロ−ル加工装置
JP2002301643A (ja) * 2001-04-06 2002-10-1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搬送用ローラの研磨装置
JP2004109929A (ja) * 2002-09-20 2004-04-08 Ricoh Co Ltd 定着ロー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57811Y1 (ko) 2009-08-07 2012-01-05 강성일 액상 내용물을 분말상의 화장료를 향해 분무시키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85B1 (ko) 2021-11-30 2022-04-08 (주)필스톤 폴리이미드(pi) 정착벨트용 폴리실록산계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537B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6016B1 (en) Wafer notch polishing machine and method of polishing an orientation notch in a wafer
US10414013B2 (en) Polishing method and polishing apparatus
KR102063157B1 (ko) 스프링 연마장치
KR102317537B1 (ko) 정착벨트용 연마장치
JP2012183637A (ja) 基板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CN114131441B (zh) 一种玻璃杯杯口打磨装置
JP2022075785A (ja) 電動機用回転子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CN217453388U (zh) 一种物料完成度高的继电器触点加工用抛光机
US20020182985A1 (en) Polishing method for removing corner material from a semi-conductor wafer
CN216940097U (zh) 一种减速机壳体端面打磨装置
CN216967337U (zh) 一种轮圈抛光机
US3857205A (en) Device for the feeding of optical glasses, particularly for spectacles, to a glass-treating machine and for the removal of said glasses therefrom
CN216151886U (zh) 一种晶棒外圆滚磨机
JP6441709B2 (ja) バリ取り装置及びバリを除去する方法
CN209095237U (zh) 一种滑板支架打磨设备
CN211332616U (zh) 一种大圆环打磨装置
CN112809524A (zh) 一种旋转式内抛机
JPH01310865A (ja) 超精密研削装置
GB656686A (en) Improvements in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and polishing workpieces
US3114989A (en) Doctor blade grinding machine
JP2000127028A (ja) ウエハの研磨装置及び研磨パッドの交換方法
CN220463423U (zh) 一种硬质合金抛光设备
CN216781352U (zh) 砂带式抛光装置
CN211361859U (zh) 胶辊用工装夹具
CN214923229U (zh) 一种旋转式内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