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322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322A
KR20210101322A KR1020217023221A KR20217023221A KR20210101322A KR 20210101322 A KR20210101322 A KR 20210101322A KR 1020217023221 A KR1020217023221 A KR 1020217023221A KR 20217023221 A KR20217023221 A KR 20217023221A KR 20210101322 A KR20210101322 A KR 20210101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ssage
disk
cha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415B1 (ko
Inventor
미키오 야마시타
료 시나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2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the annular discs being incorporated within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2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4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annular discs per se, singularly or in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제1 통로(72,92)에 설치되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42)와, 제2 통로(172, 182)에 설치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가지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는, 통부(112)와 바닥부(111)를 갖는 케이스 부재(107)의 통부(112)에 형성된 제1 밸브 시트(115)와,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분리 접촉부(151)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크 밸브(105)와, 디스크 밸브(105)의 제1 밸브 시트(115)와는 반대측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분리 접촉부(151)보다 직경 방향 내측을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135)를 구비하고, 제2 통로(172, 18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로부터 케이스 내실(165)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131)를 갖는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3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9-05920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동일 행정에서 개방하는 밸브를 2개 갖는 완충기가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594978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8-7692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제6391512호 공보
완충기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완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완충기의 일양태는, 피스톤에 형성되는 제1 통로에 설치되고,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한쪽 챔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제2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통부와 바닥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의 상기 통부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외주측의 분리 접촉부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분리 접촉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을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 통로부로부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사이의 케이스 내실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를 가지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개방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모두 밸브 개방된다.
상기 완충기에 의하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의 변형예 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의 변형예 4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도 3, 도 9∼도 13에서의 상측을 「상」으로 하고, 도 1∼도 3, 도 9∼도 13에서의 하측을 「하」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복통형의 유압 완충기이며,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도시 생략)이 봉입되는 실린더(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2)는, 원통형의 내통(3)과, 이 내통(3)보다 대직경이며 내통(3)을 덮도록 동심형으로 설치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외통(4)을 갖고 있다. 내통(3)과 외통(4)의 사이에 리저버실(6)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4)은, 원통형의 몸통부재(11)와, 몸통부재(11)의 하부측에 감합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몸통부재(11)의 하부를 폐색하는 바닥 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 부재(12)에는, 몸통부재(11)와는 반대의 외측 위치에 부착 아이(13)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완충기(1)는, 실린더(2)의 내통(3)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1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스톤(18)은, 내통(3) 내에, 한쪽의 실린더 내실인 상실(19)과, 다른 쪽의 실린더 내실인 하실(20)의 2개의 실을 구획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피스톤(18)은, 실린더(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2) 내를 일측의 상실(19)과 타측의 하실(20)로 구획하고 있다. 내통(3) 내의 상실(19) 및 하실(20)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내통(3)과 외통(4) 사이의 리저버실(6)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오일액과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완충기(1)는, 축방향의 일단측 부분이 실린더(2)의 내통(3)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스톤(18)에 연결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측 부분이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온 피스톤 로드(21)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상실(19) 내를 관통하고 있고, 하실(20)은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실(19)은, 피스톤 로드(21)가 관통하는 로드측실이고, 하실(20)은 실린더(2)의 바닥측의 바텀측실이다.
피스톤(18) 및 피스톤 로드(21)는 일체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상실(19)측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21)가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량을 줄이는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18)은 하실(20)측으로 이동한다.
내통(3) 및 외통(4)의 상단 개구측에는, 로드 가이드(22)가 감합되어 있고, 외통(4)에는 로드 가이드(22)보다 실린더(2)의 외부측인 상측에 시일 부재(23)가 감합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는 모두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들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의 각각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실린더(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피스톤 로드(21)를, 그 직경 방향 이동을 규제하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피스톤 로드(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시일 부재(23)는, 그 외주부에서 외통(4)에 밀착하고, 그 내주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21)의 외주부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시일 부재(23)는, 내통(3) 내의 오일액과, 외통(4) 내의 리저버실(6)의 고압 가스 및 오일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드 가이드(22)는, 그 외주부가, 하부보다 상부가 대직경이 되는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로드 가이드(22)는, 그 외주부가, 소직경의 하부에서 내통(3)의 상단의 내주부에 감합하고, 대직경의 상부에서 외통(4)의 상부의 내주부에 감합한다. 외통(4)의 바닥 부재(12) 상에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5)에 내통(3)의 하단의 내주부가 감합되어 있다. 외통(4)의 상단부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코킹되어 걸림 고정부(26)로 되어 있다. 이 걸림 고정부(26)와 로드 가이드(22)가 시일 부재(23)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주축부(27)와, 주축부(27)보다 소직경의 부착축부(28)와, 부착축부(28)의 주축부(27)와는 반대측의 나사축부(31)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21)의 주축부(27)가, 로드 가이드(22) 및 시일 부재(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된다.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 및 나사축부(31)가 실린더(2)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18) 등에 연결되어 있다. 주축부(27)의 부착축부(28)측의 단부는, 축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축단차부(29)로 되어 있다.
부착축부(28)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의 중간 위치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통로 절결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절결부(30)는, 예컨대, 부착축부(28)의 외주부를, 부착축부(28)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면에서 평면형으로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통로 절결부(30)는, 부착축부(28)의 둘레 방향의 180도 다른 2곳의 위치를 평면형으로 평행하게 절결하여 형성된, 소위 2면폭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부착축부(28)는, 통로 절결부(30) 이외의 부분이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나사축부(31)는, 피스톤 로드(21)에서의 실린더(2) 내측의 선단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나사축부(31)의 외주부에 수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기(1)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의 돌출 부분이 상부에 배치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기(1)는, 실린더(2)측의 부착 아이(13)가 하부에 배치되어 차륜측에 연결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실린더(2)측이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21)가 차륜측에 연결되도록 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8)은, 피스톤 로드(21)에 연결되는 금속제의 피스톤 본체(35)와, 피스톤 본체(35)의 외주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내통(3) 내를 슬라이딩하는 원환형의 합성 수지제의 슬라이딩 부재(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했기 때문에 1곳만 도시함)의 통로 구멍(37)과,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복수(도 2에서는 단면으로 했기 때문에 1곳만 도시함)의 통로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소결품이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1곳의 통로 구멍(39)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통로 구멍(37, 39) 중의 절반의 수를 구성한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2곳의 굴곡점을 갖는 크랭크 형상이다. 복수의 통로 구멍(37)은, 피스톤(18)의 축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피스톤(18)의 축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일측보다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축방향의 하실(20)측에, 복수의 통로 구멍(37)을 연통시키는 원환형의 고리형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55)의 하실(20)측에는,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하실(20)측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는,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신장측의 통로가 된다. 이들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에 대하여 설치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신장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통로 구멍(37, 39) 중의 나머지 절반의 수를 구성하는 통로 구멍(39)은, 피스톤 본체(35)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사이에 1곳의 통로 구멍(37)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구멍(39)은 2곳의 굴곡점을 갖는 크랭크 형상이다. 복수의 통로 구멍(39)은,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타측(도 2의 하측)이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피스톤(18)의 축선 방향 일측(도 2의 상측)이 타측보다 피스톤(18)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개구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에는, 축방향의 상실(19)측에 복수의 통로 구멍(39)을 연통시키는 원환형의 고리형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56)의 상실(19)측에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상실(19)측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는,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축소측의 통로가 된다. 이들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에 대하여 설치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소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4)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44)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45)와, 소직경 구멍부(45)보다 대직경인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46)를 갖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하실(20)측의 단부에는, 고리형 홈(55)의 하실(20)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원환형의 내측 시트부(47)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하실(20)측의 단부에는, 고리형 홈(55)의 하실(20)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상실(19)측의 단부에는, 고리형 홈(56)의 상실(19)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내측에 원환형의 내측 시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축방향의 상실(19)측의 단부에는, 고리형 홈(56)의 상실(19)측의 개구보다, 피스톤 본체(35)의 직경 방향에서의 외측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환형의 밸브 시트부(50)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삽입 구멍(44)은, 대직경 구멍부(46)가, 소직경 구멍부(45)보다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47)측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본체(35)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는,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축방향의 위치를 중합하여 항상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48)보다 직경 방향 외측은, 밸브 시트부(48)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차형 부분에, 축소측의 통로 구멍(39)의 하실(20)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피스톤 본체(35)에 있어서, 밸브 시트부(50)보다 직경 방향 외측은, 밸브 시트부(50)보다 축선 방향 높이가 낮은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이 단차형 부분에, 신장측의 통로 구멍(37)의 상실(19)측의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축방향의 피스톤(18)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장의 디스크(62)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4장)의 디스크(63)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64)를 갖고 있다. 디스크(64)의 디스크(6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소에는, 디스크(6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장의 디스크(65)와, 1장의 디스크(66)와, 1장의 고리형 부재(67)가 설치되어 있다. 고리형 부재(67)가 피스톤 로드(21)의 축단차부(29)에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62∼66) 및 고리형 부재(67)는 금속제이다. 디스크(62∼66) 및 고리형 부재(67)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62)는,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의 외경보다 대직경이자 밸브 시트부(50)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2)는 내측 시트부(49)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복수 매의 디스크(63)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 매의 디스크(63)는 밸브 시트부(50)에 시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 매의 디스크(64)는, 디스크(63)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5)는, 디스크(64)의 외경보다 소직경이자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66)는, 디스크(64)의 외경보다 대직경이자 디스크(63)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고리형 부재(67)는, 디스크(66)의 외경보다 소직경이자 피스톤 로드(21)의 축단차부(29)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고리형 부재(67)는, 디스크(62∼66)보다 두껍고 고강성으로 되어 있다.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복수 매의 디스크(63) 및 복수 매의 디스크(64)가, 변형 가능하고 밸브 시트부(50)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축소측의 메인 밸브(71)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71)는,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고리형 홈(56)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를 상실(19)로 연통시킴과 더불어, 밸브 시트부(50)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고리형 부재(67)는, 디스크(66)와 함께, 메인 밸브(71)의 개방 방향으로의 규정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의 사이의 통로와, 고리형 홈(56)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축소측의 제1 통로(72)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통로(72)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메인 밸브(71)와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이 제1 통로(7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로(72)는, 밸브 시트부(50)를 포함하는 피스톤(18)에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축소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에는, 밸브 시트부(50) 및 이것에 접촉하는 메인 밸브(71)의 어디에도, 이들이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축소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밸브 시트부(50) 및 메인 밸브(7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1 통로(72)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고 있다.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축방향의 피스톤(18)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장의 디스크(82)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5장)의 디스크(83)를 갖고 있다. 디스크(83)의 디스크(82)와는 반대측에는,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8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82∼84)는 금속제이며,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82)는,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의 외경보다 대직경이자 밸브 시트부(48)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82)는 내측 시트부(47)에 항상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82)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88)가, 직경 방향의 내측 시트부(47)보다 외측의 도중 위치로부터 내주 가장자리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8)는,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 및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항상 연통시킨다. 절결부(88)는, 디스크(82)의 프레스 성형시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매의 디스크(83)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복수 매의 디스크(83)는, 밸브 시트부(48)에 시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84)는, 디스크(83)의 외경보다 소직경이자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복수 매의 디스크(83)가, 변형 가능하고 밸브 시트부(48)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신장측의 메인 밸브(91)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 밸브(91)는,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하실(20)로 연통시킴과 더불어, 밸브 시트부(48)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의 사이의 통로와,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신장측의 제1 통로(92)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통로(92)는 피스톤(18)에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메인 밸브(91)와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이 제1 통로(9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로(92)는, 밸브 시트부(48)를 포함하는 피스톤(18)에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21) 및 피스톤(18)이 신장측으로 이동할 때에 오일액이 통과한다.
밸브 시트부(48) 및 이것에 접촉하는 메인 밸브(91)의 어디에도, 이들이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가,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시트부(48) 및 메인 밸브(9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1 통로(92)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신장측의 메인 밸브(91)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메인 밸브(9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복수 매의 디스크(84)와, 1장의 디스크(101)와, 1장의 디스크(102)와, 1장의 디스크(103)와, 1장의 디스크(104)와, 1장의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 내경 및 동일 외경의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106)와, 하나의 케이스 부재(107)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에는, 부착축부(28)의 주축부(27)와는 반대측이자, 케이스 부재(107)보다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나사축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가 결합되어 있다. 너트(108)는 케이스 부재(107)에 접촉하고 있다. 나사축부(31)는, 너트(108)에 결합하는 완전 나사부인 수나사(32)와, 부착축부(28)측의 단부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갖고 있다. 이 불완전 나사부(109)를 케이스 부재(107)가 덮고 있다.
디스크(101∼104), 디스크 밸브(105), 디스크(106) 및 케이스 부재(107)는 모두 금속제이다. 디스크(101∼104), 디스크 밸브(105) 및 디스크(106)는, 모두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일체 성형품이다. 케이스 부재(107)는, 구멍이 있는 원판형의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바닥부(111)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원환형의 외측 통부(112)(통부)와, 바닥부(11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통부(112)와 동일한 쪽으로 돌출된 원환형의 내측 통부(113)를 갖고 있다. 외측 통부(112)와 내측 통부(113)는 동축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 통부(112)는 내측 통부(113)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바닥부(111)가,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보다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바닥부(111)의 내주부에 있어서 부착축부(28)에 감합하고,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고 있다.
외측 통부(112)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외측 통부(112)의 내주면이, 바닥부(11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외측 통부(112)의 외주면은, 바닥부(111)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통면을 구성하고 있다. 외측 통부(112)의 축방향에서의 바닥부(111)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은, 케이스 부재(107)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외측 통부(112)의 선단부면 및 내주면의 경계측의 모서리 가장자리부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가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1 밸브 시트(115)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밸브 시트(115)는,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113)는, 외주면이, 바닥부(11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 축방향에서의 바닥부(111)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이, 케이스 부재(107)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내측 통부(113)에는, 선단부면에 개구되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121)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통부(113)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는 형상이 아니라,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 바닥부(111) 및 내측 통부(113)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 및 나사축부(31)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125)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킴과 더불어 나사축부(31)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는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126)와, 소직경 구멍부(126)보다 대직경인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127)를 갖고 있다. 대직경 구멍부(127)는, 내측 통부(113)를 관통하여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내측 통부(113)측까지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 구멍부(126)는,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내측 통부(113)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직경 구멍부(127)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통로 홈(121)이 전부 개구되어 있다.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는,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축방향의 위치를 중합하여 항상 연통하고 있다. 내측 통부(113)의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가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와 항상 연통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불완전 나사부(109)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의 축방향 양측의 부착축부(28) 및 수나사(32)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바닥부(111)가 소직경 구멍부(126)에 있어서 부착축부(28)에 감합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디스크(101)는, 디스크(84)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이자 두께가 디스크(84)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디스크(102)는, 디스크(101)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이자 두께가 디스크(101)보다 얇게 되어 있다. 디스크(103)는, 디스크(102)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이자 두께가 디스크(101)보다 얇고 디스크(102)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디스크(104)는, 디스크(103)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이자 두께가 디스크(103)보다 얇게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101∼104)는,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에 가까울수록 외경이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4)의 외경은,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의 선단부면의 내경, 바꿔 말하면, 제1 밸브 시트(115)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4)의 바닥부(111)측의 단부면은,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의 선단부면, 바꿔 말하면, 제1 밸브 시트(115)의 바닥부(111)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보다 축방향에 있어서 바닥부(111)측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104)는, 축방향의 케이스 부재(107)측의 원환형의 외주부에 디스크 밸브(105)가 시팅·시팅 해제된다. 디스크(104)는, 여기에 적층된 디스크(101∼103)와 함께, 디스크 밸브(105)가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2 밸브 시트(135)는 디스크 밸브(105)를 시팅할 때에 지지한다. 디스크(101∼104)로 이루어진 제2 밸브 시트(135)는 피스톤 로드(21)를 직경 방향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제2 밸브 시트(135)는,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의 바닥부(111)측에 위치하고 있다. 디스크(101∼104)는,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107)로부터 멀수록 외경이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1∼104)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스크(101∼104)로 이루어진 제2 밸브 시트(135)는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는, 제2 밸브 시트(135)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기본적으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제2 밸브 시트(135)는, 디스크(101∼104)의 각각의 두께나 외경, 나아가 매수 등을 변경함으로써, 디스크 밸브(105)의 지지 강성을 조정할 수 있다.
디스크(106)는, 디스크(104)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6)는, 디스크(84)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6)의 외경은, 케이스 부재(107)의 내측 통부(113)의 바닥부(111)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변형 가능하다. 디스크 밸브(105)는, 완충기(1)에 삽입되기 전의 자연 상태에서는 전체가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자연 상태에 있는 디스크 밸브(10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외측 고리형부(141)와,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을 가지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내측 고리형부(142)와, 외측 고리형부(141)와 내측 고리형부(142)를 접속하는 복수,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지지부(143)를 갖고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는, 2개의 지지부(143)를 제외하고 공간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는 경면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외주면 및 내주면이 모두 원형이며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꿔 말하면, 직경 방향의 폭이 일정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내측 고리형부(142)도, 외주면 및 내주면이 모두 원형이며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꿔 말하면, 직경 방향의 폭이 일정한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2개의 지지부(143)는, 내측 고리형부(142)와 외측 고리형부(14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143)는, 내측 고리형부(142)에 외측 고리형부(141)를 동심형으로 지지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고리형부(142)는,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내측 고리형부(142)는, 내경이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하고, 외경이 디스크(104)의 외경, 즉 제2 밸브 시트(135)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경은, 케이스 부재(107)의 내측 통부(113)의 선단부면의 외경 및 디스크(106)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밸브(105)는, 내측 고리형부(142)가, 디스크(101∼104)와 함께, 디스크(84)와 디스크(106)로 축방향으로 클램프된다.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경은, 디스크(104)의 외경, 즉 제2 밸브 시트(135)의 외경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경은,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의 선단부면의 내경, 즉 제1 밸브 시트(115)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경, 즉 디스크 밸브(105)의 외경은, 메인 밸브(91)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분리 접촉부)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제1 밸브 시트(115)에 시팅되면,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폐색한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되면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개방한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디스크(104)의 제2 밸브 시트(135)에, 내주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제2 밸브 시트(135)에 시팅되면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폐색한다. 외측 고리형부(141)는,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되면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개방한다. 외측 고리형부(141)가 제2 밸브 시트(135)에 시팅된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104)는,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간극을 폐색한다.
따라서, 디스크 밸브(105)는,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밸브 시트(135)는, 디스크 밸브(105)의 축방향의 제1 밸브 시트(115)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143)는,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와,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와,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를 갖고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는, 디스크 밸브(10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일측에,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는 모두,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는, 디스크 밸브(10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 즉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와는 반대측에,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는 모두,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의 간격은,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를 연결하는 직선과,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를 연결하는 직선은 평행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점과,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내측 고리형부(142) 및 외측 고리형부(141)의 중심, 즉 디스크 밸브(105)의 중심을 통과한다.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의 거리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 거리는,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를 연결하는 거리보다 길고,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를 연결하는 거리보다 길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는, 각각이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에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를 접속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는,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와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로 한쪽의 지지부(143)를 구성하고 있다.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와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로 다른 쪽의 지지부(143)를 구성하고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동일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가, 내주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에 있어서 제2 밸브 시트(135)에 시팅되면,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는 디스크(104)는,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를 차단한다. 바꿔 말하면, 제2 밸브 시트(135)는,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를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케이스 부재(107)가, 이들의 내측에 케이스 내실(165)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와는 반대측의 소정 범위가, 피스톤 로드(21)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이 범위가 와셔부(166)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외측 통부(112)와, 내측 통부(113)와, 바닥부(111)의 축방향의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측의 소정 범위가, 챔버 통로부(131) 및 케이스 내실(165)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67)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케이스 부재(107)는, 챔버 통로부(131) 및 케이스 내실(165)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67)와, 피스톤 로드(21)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는 와셔부(166)를 포함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와셔부(166)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불완전 나사부(109)가 배치되어 있다. 와셔부(166)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와셔부(166)의 축방향 양측의 부착축부(28) 및 수나사(32)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는, 와셔부(166)가 부착축부(28)에 감합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와셔부(166)가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음으로써, 디스크(106) 등이 부착축부(28)와 축방향 위치를 완전히 중합하여 적정하게 감합할 수 있다. 너트(108)가 완전 나사부인 수나사(32)와 축방향 위치를 완전히 중합하여 적정하게 감합할 수 있다. 와셔부(166)는, 너트(108)의 체결축력의 안정화 및 균형화의 역할도 한다.
케이스 내실(165)은, 내측 통부(113)의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를 통해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와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챔버 통로부(131)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로부터 바닥부(111)와 디스크 밸브(105) 사이의 케이스 내실(165)로 연통한다. 따라서, 케이스 내실(165)은,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와, 케이스 부재(107)의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통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실(19)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포함하는 내주측은, 제2 밸브 시트(135)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서브 밸브(171)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7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하실(20)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71)는, 하실(20) 및 케이스 내실(165) 중의 케이스 내실(165)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71)는,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과,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서브 밸브(171)는 하실(20)을 상실(19)로 연통시킨다. 이 때, 서브 밸브(171)는, 제2 밸브 시트(135)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서브 밸브(171)는, 케이스 내실(165)에 하실(20)로부터 오일액을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통해 유입시킬 때에 개방되는 유입 밸브이다. 서브 밸브(171)는, 케이스 내실(165)로부터 하실(20)로의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통한 오일액의 유출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이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과, 케이스 부재(107)의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 및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2 통로(172)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72)는,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축소측의 통로가 된다.
제2 통로(17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포함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2 통로(172)의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도, 케이스 부재(107)의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에 일단이 개구되고,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에 타단이 개구되도록, 피스톤 로드(21)의 내부를 구멍형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형성해도 좋다. 따라서, 제2 통로(17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로부터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와 디스크 밸브(105) 사이의 케이스 내실(165)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131)를 갖고 있다.
서브 밸브(171)와 제2 밸브 시트(135)가 축소측의 제2 통로(172)에 설치된다. 이 제2 통로(172)를 개폐하고, 이 제2 통로(172)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고 있다.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71)는 축소측의 서브 밸브이다. 서브 밸브(171)와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피스톤 로드(21)를 직경 방향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2개의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의 하실(20)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로(172)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 부분 중에서 가장 좁아져 전후보다 좁아진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가 제2 통로(172)에서의 오리피스(175)가 된다.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71)가 개방되고, 제2 통로(172)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의 흐름의 서브 밸브(17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175)는, 제2 통로(172)에서의 서브 밸브(171)보다 상실(19)측에 배치되어 있다.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2 밸브 시트(135) 및 이것에 접촉하는 서브 밸브(171)의 어디에도, 이들이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2 밸브 시트(135) 및 서브 밸브(17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2 통로(172)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통로는 아니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제2 통로(172)는, 동일하게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통로인 제1 통로(72)와 병렬로 되어 있다. 제1 통로(7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제2 통로(172)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두 축소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를 포함하는 외주측은, 제1 밸브 시트(115)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서브 밸브(181)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8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하실(20)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81)는, 하실(20) 및 케이스 내실(165) 중의 하실(20)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케이스 내실(165)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이 때,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서브 밸브(181)는, 케이스 내실(165) 내로부터 오일액을 하실(20)에,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배출할 때에 개방되는 배출 밸브이다. 서브 밸브(181)는, 하실(20)로부터 케이스 내실(165) 내로의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한 오일액의 유입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이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 및 고리형 홈(55) 내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케이스 부재(107)의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 및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와, 케이스 내실(165)과,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2 통로(182)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82)는,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신장측의 통로가 된다.
제2 통로(18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포함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그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도, 상기와 같이, 피스톤 로드(21)의 내부를 구멍형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를 형성해도 좋다. 따라서, 제2 통로(182)는, 피스톤 로드(21)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로부터 케이스 부재(107)의 바닥부(111)와 디스크 밸브(105) 사이의 케이스 내실(165)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131)를 갖고 있다.
서브 밸브(181)와,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115)가, 신장측의 제2 통로(182)에 설치된다. 이 제2 통로(182)를 개폐하여, 이 제2 통로(182)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1 밸브 시트(115)가 케이스 부재(107)에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81)는 신장측의 서브 밸브이다. 서브 밸브(181)와 제1 밸브 시트(11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피스톤 로드(21)를 직경 방향 내측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고, 2개의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의 하실(20)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로(182)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 부분 중에서 가장 좁아져 전후보다 좁아진다.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가, 제2 통로(182)에 있어서도 오리피스(175)가 된다. 오리피스(175)는 제2 통로(172, 182)에 공통이다.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81)가 개방되어 제2 통로(182)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의 흐름의 서브 밸브(18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오리피스(17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통로(182)에서의 서브 밸브(181)보다 상실(19)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리피스(175)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를 구성하는 부품 중의, 피스톤(18)에 접촉하는 디스크(82)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1 밸브 시트(115) 및 이것에 접촉하는 서브 밸브(181)의 어디에도, 이들이 접촉 상태에 있더라도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1 밸브 시트(115) 및 서브 밸브(18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 상태에 있으면,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키지는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제2 통로(182)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통로(182)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통로가 아니다.
완충기(1)는, 적어도 피스톤(18) 내에서 축방향으로 오일액을 통과시키는 흐름으로는, 상실(19)과 하실(20)이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통해서만 연통 가능하다. 따라서, 완충기(1)는, 적어도 피스톤(18) 내를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오일액의 통로 상에는, 상실(19)과 하실(20)을 항상 연통시키는 고정 오리피스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신장측의 제2 통로(182)는, 동일하게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신장측의 통로인 제1 통로(92)와, 상실(19)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를 제외하고 병렬로 되어 있다. 병렬 부분에는, 제1 통로(9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제2 통로(182)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두 신장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는, 바닥부(111)와 외측 통부(112)와 내측 통부(113)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115)와,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105)와, 디스크 밸브(105)의 제1 밸브 시트(115)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13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2 통로(172)의 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2 통로(182)의 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4)의 바닥 부재(12)와 내통(3)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밸브(25)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을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와, 이 베이스 밸브 부재(191)의 하측, 즉 리저버실(6)측에 설치되는 디스크(192)와, 베이스 밸브 부재(191)의 상측, 즉 하실(20)측에 설치되는 디스크(193)와,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디스크(192) 및 디스크(193)를 부착하는 부착 핀(194)을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고, 직경 방향의 중앙에 부착 핀(194)이 삽입 관통된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는, 하실(20)과 리저버실(6)의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 가능한 복수의 통로 구멍(195)과, 이들 통로 구멍(195)보다 베이스 밸브 부재(191)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하실(20)과 리저버실(6)의 사이에서 오일액을 유통 가능한 복수의 통로 구멍(196)이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실(6)측의 디스크(192)는, 하실(20)로부터 통로 구멍(195)을 통한 리저버실(6)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로의 통로 구멍(195)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193)는, 리저버실(6)로부터 통로 구멍(196)을 통한 하실(20)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로의 통로 구멍(196)을 통한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한다.
디스크(192)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의해, 완충기(1)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밸브 개방되어 하실(20)로부터 리저버실(6)로 오일액을 흘림과 더불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감쇠 밸브 기구(197)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193)는, 베이스 밸브 부재(191)에 의해, 완충기(1)의 신장 행정에 있어서 밸브 개방되어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 내에 오일액을 흘리는 석션 밸브 기구(198)를 구성하고 있다. 또, 석션 밸브 기구(198)는, 주로 피스톤 로드(21)의 실린더(2)로부터의 신장에 의해 생기는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리저버실(6)로부터 하실(20)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오일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21)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의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고리형 부재(67)와, 디스크(66)와, 디스크(65)와, 복수 매의 디스크(64)와, 복수 매의 디스크(63)와, 디스크(62)와, 피스톤(18)이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피스톤(18)은, 소직경 구멍부(45)가 대직경 구멍부(46)보다 축단차부(29)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게다가,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피스톤(18)에, 디스크(82)와, 복수 매의 디스크(83)와, 복수 매의 디스크(84)와, 디스크(101)와, 디스크(102)와, 디스크(103)와, 디스크(104)와, 디스크 밸브(105)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케이스 부재(107)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는,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가 바닥부(111)보다 피스톤(18)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케이스 부재(107)는, 내측 통부(113)에서 디스크(106)에, 외측 통부(112)에서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 부재(107)보다 돌출된 피스톤 로드(21)의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를 결합시켜, 너트(108)와 축단차부(29)로 이들의 내주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 밸브(71)는, 디스크(62)를 통해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9)와 디스크(65)에 내주측이 클램프된다. 이와 함께, 메인 밸브(71)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50)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메인 밸브(91)는, 디스크(82)를 통해 피스톤(18)의 내측 시트부(47)와 디스크(84)에 내주측이 클램프된다. 이와 함께, 메인 밸브(91)는, 피스톤(18)의 밸브 시트부(48)에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는 디스크(101∼104)와, 디스크 밸브(105)가, 디스크(84)와 디스크(106)에 내주측이 클램프된다.
이 때, 디스크 밸브(105)는, 내측 고리형부(142)에 있어서 클램프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지지부(143) 및 외측 고리형부(141)는 클램프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가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에 있어서, 제2 밸브 시트(135)에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가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115)에 피스톤(18)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밸브 시트(135)는, 제1 밸브 시트(115)보다 축방향의 바닥부(111)측, 즉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밸브 시트(115) 및 제2 밸브 시트(135)에 동시에 접촉하는 외측 고리형부(141)는,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테이퍼형으로 변형된다. 바꿔 말하면, 외측 고리형부(141)는, 제1 밸브 시트(115)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제2 밸브 시트(135)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보다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측에 위치하도록 테이퍼형으로 변형된다.
모두 신장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의 메인 밸브(91)는, 복수 매의 디스크(83)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1장의 디스크 밸브(10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서브 밸브(181)보다 강성이 높고 개방 밸브압이 높다. 따라서,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다.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모두 밸브 개방된다. 서브 밸브(181)는, 피스톤 속도가 극미 저속인 영역에서 개방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 저속 밸브이다.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상실(19)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진다. 그러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어디에도 고정 오리피스가 없기 때문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될 때까지 오일액은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피스톤 속도가 제1 소정치 v1 미만인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감쇠력은 급격히 상승한다.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되는 제1 소정치 v1보다 고속의 영역이고, 제1 소정치 v1보다 고속의 제2 소정치 v2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v1 이상 v2 미만)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81)가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2 통로(182)에서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실(19)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케이스 부재(107)의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 및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와, 케이스 내실(165)과,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v2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v1 이상 v2 미만)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 상태인 채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81)가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2 통로(18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 때, 제2 통로(182)에 있어서 메인 밸브(91)보다 하류측에 설치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오일액의 흐름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91)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차압이 높아진다. 메인 밸브(91)가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1 통로(9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따라서, 상실(19)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제1 소정치 v1 이상 제2 소정치 v2 미만의 저속 영역보다 커지지만, 제1 통로(92)는 오리피스에 의해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메인 밸브(9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과, 제2 통로(182)를 오리피스(175)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71)에는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다.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이 커지더라도,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은 서브 밸브(181)가 개방됨으로써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로(182)에 있어서 서브 밸브(171)보다 상류측에 오리피스(17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실(165)의 압력 상승이 상실(19)의 압력 상승에 대하여 완만해지고, 케이스 내실(165)과 하실(20)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외측 고리형부(141)의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71)측이 받는 케이스 내실(165)과 하실(20)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에 케이스 내실(165)측으로부터 하실(20)측을 향한 큰 배압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92)와 제2 통로(182)의 병렬로 설치하고, 메인 밸브(91)와 서브 밸브(181)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오리피스(175)는 서브 밸브(18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v2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메인 밸브(9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를 흐르는 유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181)의 밸브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피스톤 속도가 통상 속도 영역(v2 이상)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감쇠력의 증가율을 낮추는 것 등이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v2 이상)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신장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 저속 영역(v2 미만)보다 눕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모두 축소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중,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의 메인 밸브(71)는, 복수 매의 디스크(63, 64)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장의 디스크 밸브(10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의 서브 밸브(171)보다 강성이 높고 개방 밸브압이 높다. 따라서,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되고, 피스톤 속도가 이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모두 밸브 개방된다. 서브 밸브(171)는, 피스톤 속도가 극미 저속인 영역에서 개방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극미 저속 밸브이다.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이 하실(20)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진다.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의 어디에도 고정 오리피스가 없기 때문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될 때까지 오일액은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감쇠력은 급격히 상승한다.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되는 제3 소정치보다 고속의 영역이자, 제3 소정치보다 고속의 제4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71)가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2 통로(172)에서 하실(20)과 상실(19)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하실(20)의 오일액이,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과, 케이스 부재(107)의 통로 홈(121) 내의 챔버 통로부(131) 및 대직경 구멍부(127)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의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하는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상기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된 상태인 채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71)가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2 통로(1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 때, 제2 통로(172)는 오리피스(175)에 의해 오일액의 유량이 좁아졌기 때문에, 메인 밸브(71)에 생기는 차압이 커진다. 메인 밸브(71)가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1 통로(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따라서, 하실(20)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감쇠력이 피스톤 속도에 거의 비례함)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 저속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 낮아진다. 바꿔 말하면,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대한 축소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의 기울기를, 극미 저속 영역보다 눕힐 수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 커진다. 제1 통로(72)는 오리피스에 의해 좁히지 않기 때문에, 메인 밸브(7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브 밸브(171)를 흐르는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서브 밸브(171)의 밸브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낮추거나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이 때(피스톤 속도가 빠른 경우),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커지지만, 제2 통로(172)를 오리피스(175)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상실(19)에 오리피스(175)를 통해 연통하는 케이스 내실(165) 내의 압력은, 하실(20)과 상실(19) 사이의 압력이 되기 때문에, 하실(20)과의 차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 메인 밸브(7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81)에는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다.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크지만,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은 서브 밸브(171)가 개방됨으로써 연통하고 있고, 케이스 내실(165)과 상실(19)의 사이에 오리피스(1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내실(165)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하실(20)의 압력 상승에 맞춰 케이스 내실(165)의 압력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181)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면에 생기는 차압이 작고,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에 하실(20)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실(165)측으로 향한 큰 배압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완충기(1)는, 축소 행정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72)와 제2 통로(172)의 병렬로 설치하고, 메인 밸브(71)와 서브 밸브(171)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오리피스(175)는, 제2 통로(172)에 있어서 서브 밸브(17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축소 행정에서는, 감쇠 밸브 기구(197)에 의한 감쇠력 특성도 더한 특성이 된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이 커진다. 서브 밸브(181)의 개방에 의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은 연통하고 있고, 더구나 서브 밸브(171)보다 상류측에 형성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케이스 내실(165)의 압력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의 배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 커진다. 제1 통로(72)에서 오일액을 대유량으로 흘리는 것과, 제2 통로(172)의 서브 밸브(171)보다 하류측을 오리피스(175)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서브 밸브(17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17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 커진다. 제1 통로(92)에서 오일액을 대유량으로 흘리는 것과, 제2 통로(182)를 오리피스(175)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이 커진다. 서브 밸브(171)의 개방에 의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은 연통하고 있고, 더구나 케이스 내실(165)은 상실(19)과의 사이에 설치된 오리피스(175)에 의해 상실(19)에 대한 오일액의 흐름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의 차압은 작고,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의 배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밸브(18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축소 행정 및 신장 행정에서 독립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갖기 때문에, 감쇠력 특성의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상기 특허문헌 1∼3에는, 동일 행정에서 개방되는 밸브를 2개 갖는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동일 행정에서 개방되는 밸브를 2개 가지면, 구조가 복잡해져, 부품수가 증가하고, 축방향 길이가 길어져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있다. 이러한 완충기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신장 행정에서 밸브 개방되는 2개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갖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축소 행정에서 밸브 개방되는 2개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가, 바닥부(111)와 외측 통부(112)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107)의 외측 통부(112)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115)와, 케이스 부재(107)의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105)와, 디스크 밸브(105)의 제1 밸브 시트(115)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135)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품수의 저감 및 축방향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105)는, 제1 밸브 시트(115) 및 제2 밸브 시트(135)에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측 고리형부(141)와, 피스톤 로드(21)를 삽입 관통시키는 내측 고리형부(142)와, 이들을 접속하는 지지부(143)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밸브 시트(115) 및 제2 밸브 시트(135)에 분리 접촉하여 개폐하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내측 고리형부(142) 및 지지부(143)로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다른 부분에 연결되지 않는 프리 밸브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2개의 지지부(143)는, 디스크 밸브(10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일측에,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가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된다. 2개의 지지부(143)는, 디스크 밸브(10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에,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가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된다.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으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와 내측 접속부(162)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의 간격은,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의 간격보다 넓다. 따라서, 지지부(143)는, 내측 고리형부(142), 즉 피스톤 로드(21) 및 케이스 부재(107)에 대한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적정하게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프리 밸브와 동일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디스크 밸브(105)를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135)는, 변형 가능한 구성이므로, 디스크 밸브(105)의 지지점의 강성을 변경할 수 있고, 디스크 밸브(105)가 제2 밸브 시트(135)로 지지된 상태로 밸브 개방되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의 튜닝자유도가 올라간다.
케이스 부재(107)는, 챔버 통로부(131) 및 케이스 내실(165)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67)와, 피스톤 로드(21)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는 와셔부(166)를 갖는다. 이 때문에, 이들을 별체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2 통로(182)의 서브 밸브(181)가 개방되는 신장 행정시의 흐름의 서브 밸브(181)보다 상류측에 오리피스(175)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소 행정시에 하실(20)로부터 서브 밸브(171)를 개방하여 케이스 내실(165) 내로 흐르고, 상실(19)로 흐르는 오일액의 흐름을 오리피스(175)가 좁힌다. 이 때문에, 케이스 내실(165)과 하실(20)의 차압이 작아지고, 하실(20)로부터 배압을 받는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81)가, 케이스 내실(165)로부터 하실(20)과 동등한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받는 배압(차압)이 억제된다. 따라서, 서브 밸브(18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통로(172, 182)는, 항상 연통의 통로가 아니며, 항상 연통의 고정 오리피스를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브 밸브(181)가 받는 배압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
오리피스(175)가, 신장측의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중, 피스톤(18)에 접촉하는 디스크(82)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리피스(17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로(172, 182)는, 각각의 일부가 피스톤 로드(21)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통로(172, 18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 내실(165)과 하실(20)의 차압이, 신축 양 행정에 있어서 커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디스크 밸브(105)로서 박판의 프레스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디스크 밸브(105)의 제조성 및 경량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 1의 디스크 밸브(105a)를 이용해도 좋다. 디스크 밸브(105a)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한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를 갖고 있고, 지지부(143)와는 일부 상이한 2개의 지지부(143a)를 갖고 있다.
2개의 지지부(143a)는, 디스크 밸브(105a)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a)를 갖고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a)가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a)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 위상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a)는 모두,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143a)는, 디스크 밸브(105a)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a)를 갖고 있다. 이들 내측 접속부(162a)가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a)는, 내측 고리형부(142)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 위상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a)는 모두,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a)는 모두,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a) 중의 한쪽과의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서의 거리가 다른 쪽보다 가깝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a)는 모두,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a) 중의 한쪽과의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서의 거리가 다른 쪽보다 가깝게 되어 있다.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먼 외측 접속부(161a)와 내측 접속부(162a)의 거리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먼 외측 접속부(161a)와 내측 접속부(162a)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부(143a)는,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으로 먼 외측 접속부(161a)와 내측 접속부(162a)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a)가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밸브(105a)에는,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먼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a)와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a)를 접속시키는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a), 내측 접속부(162a) 및 연결 아암부(163a)가 한쪽의 지지부(143a)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a)에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먼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a)와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a)를 접속시키는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a), 내측 접속부(162a) 및 연결 아암부(163a)가 다른 쪽의 지지부(143a)를 구성하고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a)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동일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a)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 밸브(105a)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하게, 2개소의 지지부(143a)가, 내측 고리형부(142)에 대한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프리 밸브와 동일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 2의 디스크 밸브(105b)를 이용해도 좋다. 디스크 밸브(105b)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한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를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b)는, 지지부(143)와는 일부 상이한 지지부(143b)를 갖고 있다.
지지부(143b)는, 디스크 밸브(105b)에 있어서 1개소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3b)는, 디스크 밸브(105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일측에 배치된 1개소의 외측 접속부(161b)를 갖고 있다. 지지부(143b)는, 이 외측 접속부(161b)가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되어 있다. 외측 접속부(161b)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143b)는, 디스크 밸브(105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 즉 외측 접속부(161b)와는 반대측에, 디스크 밸브(105b)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b)를 갖고 있다. 이들 내측 접속부(162b)가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b)는,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에서의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 즉 외측 접속부(161b)와는 반대측에, 내측 고리형부(142)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모두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b)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점으로부터, 이 선에 수직인 직선 상에, 디스크 밸브(105b)의 중심 및 외측 접속부(161b)가 배치되어 있다. 외측 접속부(161b)와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b)의 거리는, 외측 접속부(161b)와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b)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 거리는,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b)를 연결하는 거리보다 길다.
또한, 지지부(143b)는, 1개소의 외측 접속부(161b)의 외측 고리형부(141)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양측의 내측 접속부(162)에 접속하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b)가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밸브(105b)에는, 외측 접속부(161b)와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b)를 접속시키는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b)와, 외측 접속부(161b)와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b)를 접속시키는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b)가 설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b)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르는 하나의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b)는,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동일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b)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 밸브(105b)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하게, 1개소의 지지부(143b)가, 내측 고리형부(142)에 대한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프리 밸브와 동일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 3의 디스크 밸브(105c)를 이용해도 좋다. 디스크 밸브(105c)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한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를 갖고 있고, 지지부(143)와는 일부 상이한 지지부(143c)를 갖고 있다.
지지부(143c)는, 디스크 밸브(105c)에 있어서 1개소만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3c)는, 디스크 밸브(105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일측에 배치된 1개소의 외측 접속부(161c)를 갖고 있다. 이 외측 접속부(161c)가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되어 있다. 외측 접속부(161b)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143c)는, 디스크 밸브(105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역측, 즉 외측 접속부(161c)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1개소의 내측 접속부(162c)를 갖고 있다. 이 내측 접속부(162c)가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되어 있다. 1개소의 내측 접속부(162c)는,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1개소의 외측 접속부(161c)와 1개소의 내측 접속부(162b)는, 디스크 밸브(105c)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 위상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외측 접속부(161c)와 디스크 밸브(105c)의 중심과 내측 접속부(162c)를 연결하는 선이 직선형을 이룬다.
또한, 지지부(143c)는, 외측 접속부(161c)의 외측 고리형부(141)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디스크 밸브(105)의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내측 접속부(162c)에 접속하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c)가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밸브(105c)에는, 한쪽에서 외측 접속부(161c)와 내측 접속부(162c)를 접속시키는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c)와, 다른 쪽에서 외측 접속부(161c)와 내측 접속부(162c)를 접속시키는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c)가 설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c)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르는 하나의 원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c)는,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동일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c)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와,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 거리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 밸브(105c)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하게, 1개소의 지지부(143c)가, 내측 고리형부(142)에 대한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프리 밸브와 동일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 4의 디스크 밸브(105d)를 이용해도 좋다. 디스크 밸브(105d)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한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를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d)는, 지지부(143)와는 일부 상이한 2개의 지지부(143d)를 갖고 있다.
2개의 지지부(143d)는, 디스크 밸브(105d)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d)를 갖고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d)가 외측 고리형부(141)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d)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 위상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d)는 모두,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143d)는, 디스크 밸브(105d)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를 갖고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가 내측 고리형부(142)와 접속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는, 내측 고리형부(142)의 둘레 방향으로 180도 위상을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는 모두,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d)는 모두,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 중의 한쪽과의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서의 거리가 다른 쪽보다 가깝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2개소의 내측 접속부(162d)는 모두, 2개소의 외측 접속부(161d) 중의 한쪽과의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서의 거리가 다른 쪽보다 가깝게 되어 있다.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d)와 내측 접속부(162d)의 거리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d)와 내측 접속부(162d)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부(143d)는,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으로 가까운 외측 접속부(161d)와 내측 접속부(162d)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d)가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밸브(105d)에는, 한쪽에서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d)와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d)를 접속시키는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d), 내측 접속부(162d) 및 연결 아암부(163d)가 한쪽의 지지부(143d)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d)에는, 다른 쪽에서 디스크 밸브(105d)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가까운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d)와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d)를 접속시키는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외측 접속부(161d), 내측 접속부(162d) 및 연결 아암부(163d)가, 다른 쪽의 지지부(143d)를 구성하고 있다.
2개소의 연결 아암부(163d)는, 2개소의 외측 원호형부(211)와, 2개소의 접음부(212)와, 2개소의 내측 원호형부(213)를 갖고 있다. 한쪽의 연결 아암부(163d)는, 한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와, 한쪽의 접음부(212)와, 한쪽의 내측 원호형부(213)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쪽의 연결 아암부(163d)는, 다른 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와, 다른 쪽의 접음부(212)와, 다른 쪽의 내측 원호형부(213)로 이루어져 있다.
한쪽의 외측 원호형부(211)는,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d)로부터, 이것에 가까운 측의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d)를 넘어서,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d)의 바로 앞까지,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쪽의 접음부(212)는, 한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의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d)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측으로 접힌다. 한쪽의 내측 원호형부(213)는, 한쪽의 접음부(212)의 한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한쪽의 내측 접속부(162d)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외측 원호형부(211)는,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d)로부터, 이것에 가까운 측의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d)를 넘어서, 한쪽의 외측 접속부(161d)의 바로 앞까지,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접음부(212)는, 다른 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의 다른 쪽의 외측 접속부(161d)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내측 고리형부(142)측으로 접힌다. 다른 쪽의 내측 원호형부(213)는, 다른 쪽의 접음부(212)의 다른 쪽의 외측 원호형부(21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면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다른 쪽의 내측 접속부(162d)에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외측 원호형부(211) 및 다른 쪽의 외측 원호형부(211)는,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하나의 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내측 원호형부(213) 및 다른 쪽의 내측 원호형부(213)는,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와 동심의 하나의 원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 밸브(105d)는, 디스크 밸브(105)와 동일하게, 2개소의 지지부(143d)가, 내측 고리형부(142)에 대한 외측 고리형부(141)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면서, 외측 고리형부(141)를 보다 프리 밸브에 가까운 동작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9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21)와는 일부 상이한 피스톤 로드(21A)가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A)는, 부착축부(28)와는 일부 상이한 부착축부(28A)를 갖고 있다. 부착축부(28A)에는, 통로 절결부(30)보다 피스톤 로드(21A)의 축방향에서의 길이가 짧은 통로 절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 절결부(30A)는, 통로 절결부(30)에 대하여, 축단차부(29)측의 단부 위치는 동일하고, 축단차부(29)와는 반대측의 단부 위치가 축단차부(29)측에 위치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A)는, 통로 절결부(30A) 내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로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신장측의 메인 밸브(91)와 너트(108) 사이에, 메인 밸브(9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장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84)와, 제1 실시형태의 케이스 부재(107)와는 일부 상이한 케이스 부재(107A)(케이스부)와, 1장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 밸브(105)와, 1장의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104)와,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103)와는 외경이 작은 점만 상이한 1장의 디스크(103A)와, 제1 실시형태의 디스크(102)와는 외경이 작은 점만 상이한 1장의 디스크(102A)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2장)의 디스크(106)와, 와셔(221)(와셔부)가, 피스톤 로드(21A)의 부착축부(28A)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1A)의 와셔(221)보다 돌출된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108)는 와셔(221)에 접촉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A)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일체 성형품이며, 구멍이 있는 원판형의 바닥부(111A)와, 바닥부(111A)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바닥부(111A)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외측 통부(112)와, 바닥부(111A)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바닥부(111A)의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된 원환형의 내측 통부(113A)와, 바닥부(111A)의 내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바닥부(111)의 축방향 타측으로 돌출된 원환형의 내측 통부(231)를 갖고 있다.
외측 통부(112)와 내측 통부(113A)는, 동축형으로 배치되고, 바닥부(111A)로부터 축방향의 동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측 통부(112)는, 내측 통부(113A)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내측 통부(231)는, 바닥부(111A)로부터 축방향의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통부(113A)는, 그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이 케이스 부재(107A)의 중심축선에 직교하여 확대되어 있다. 내측 통부(113A)의 선단부면에 개구되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 홈(121A)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231)는, 그 축방향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이 케이스 부재(107A)의 중심축선에 직교하여 확대되어 있다. 내측 통부(231)의 선단부면의 외경이, 디스크(84)의 외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A)는,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 바닥부(111A) 및 내측 통부(113A, 2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21A)의 부착축부(28A)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125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A)는, 내측 통부(231) 및 바닥부(111A)가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A)보다 피스톤(18)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A)는, 삽입 관통 구멍(125A)에 있어서 부착축부(28)에 감합하여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125A)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통로 홈(121A)이 모두 개구되어 있다. 복수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는,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축방향의 위치를 중합하여 항상 연통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A)의 외측 통부(112)는, 디스크 밸브(105)가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제1 밸브 시트(115)를 갖고 있다.
디스크(104, 103A, 102A)는, 축방향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107A)의 바닥부(111A)에 가까울수록 외경이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6)는, 디스크(102A)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104)는, 이것에 적층된 디스크(103A, 102A)와 함께, 디스크 밸브(105)가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변형 가능한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는, 내측 고리형부(142)가 케이스 부재(107A)의 내측 통부(113A)에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와 케이스 부재(107A)가 내측에 케이스 내실(165A)을 형성하고 있다.
와셔(221)는 고리형 부재(67)와 동일한 부품이다. 와셔(221)는, 디스크 밸브(105) 및 디스크(104, 103A, 102A)보다 두껍고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와셔(221)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피스톤 로드(21A)의 불완전 나사부(109)가 배치되어 있다. 와셔(221)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와셔(221)의 축방향 양측의 부착축부(28) 및 수나사(32)도 배치되어 있다. 와셔(221)가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음으로써, 디스크(106) 등이 부착축부(28)와 축방향 위치를 완전히 중합하여 적정하게 감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너트(108)가, 완전 나사부인 수나사(32)와 축방향 위치를 완전히 중합시켜 적정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와셔(221)는, 너트(108)의 체결축력의 안정화 및 균형화의 역할도 한다.
케이스 내실(165A)은, 내측 통부(113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를 통해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챔버 통로부(131A)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로부터 바닥부(111A)와 디스크 밸브(105) 사이의 케이스 내실(165A)로 연통한다. 따라서, 케이스 내실(165A)은,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측의 서브 밸브(17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과,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을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하실(20)을 상실(19)로 연통시킨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A)과, 케이스 부재(107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통로(172)와 동일한 축소측의 제2 통로(172A)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2 통로(172A)에 설치된다.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2 통로(172A)를 개폐한다. 제2 통로(172A)에 있어서도, 서브 밸브(171)보다 상실(19)측에,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오리피스(175)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주측의 서브 밸브(181)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케이스 내실(165A)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케이스 부재(107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케이스 내실(165A)과,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통로(182)와 동일한 신장측의 제2 통로(182A)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로 이루어진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제2 통로(182A)에 설치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2 통로(182A)를 개폐한다. 제2 통로(182A)에 있어서도, 서브 밸브(181)보다 상실(19)측에,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오리피스(175)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A)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A)의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A)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고리형 부재(67)와, 디스크(66)와, 디스크(65)와, 복수 매의 디스크(64)와, 복수 매의 디스크(63)와, 디스크(62)와, 피스톤(18)이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에 더해,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A)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피스톤(18)에, 디스크(82)와, 복수 매의 디스크(83)와, 디스크(84)와, 케이스 부재(107A)와, 디스크 밸브(105)와, 디스크(104)와, 디스크(103A)와, 디스크(102A)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와셔(221)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A)는,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A)가, 바닥부(111A)보다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A)는, 내측 통부(231)에서 디스크(84)에, 내측 통부(113A) 및 외측 통부(112)에서 디스크 밸브(105)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와셔(221)보다 돌출된 피스톤 로드(21A)의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를 나사 결합시켜, 너트(108)와 축단차부(29)로 이들의 내주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 밸브(105)와,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는 디스크(104, 103A, 102A)가, 케이스 부재(107A)의 내측 통부(113A)와 디스크(106)에 내주측이 클램프된다. 이 때, 디스크 밸브(105)는, 내측 고리형부(142)가 클램프되게 되고, 지지부(143) 및 외측 고리형부(141)는 클램프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가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에 있어서, 제2 밸브 시트(135)에 피스톤(18)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가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115)에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 때, 제2 밸브 시트(135)가, 제1 밸브 시트(115)보다 축방향의 피스톤(18)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측 고리형부(141)는,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에 근접하도록 테이퍼형으로 변형된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A)는, 케이스 내실(165A)을 형성하는 케이스부로서의 케이스 부재(107A)와, 피스톤 로드(21A)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는 와셔부로서의 와셔(221)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부재(107A)의 방향을 바닥부(111A)가 메인 밸브(91)와 축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밸브(91)의 변형시에 바닥부(111A)가 메인 밸브(91)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따라서, 메인 밸브(9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상기 디스크 밸브(105a∼105d)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21A)와는 일부 상이한 피스톤 로드(21B)가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B)는, 부착축부(28A)와는 일부 상이한 부착축부(28B)를 갖고 있고, 부착축부(28B)에는, 통로 절결부(30A)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21B)의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주축부(27)측에 어긋나 있는 점이 상이한 통로 절결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B)는, 통로 절결부(30B) 내가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로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 있어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피스톤(18)과는 일부 상이한 피스톤(18B)이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18B)은, 피스톤 본체(35)와는 일부 상이한 피스톤 본체(35B)를 갖고 있다. 피스톤 본체(35B)는, 직경 방향 중앙에 형성된 삽입 구멍(44B)이 삽입 구멍(44)과는 상이하다. 소직경 구멍부(45)와 동일한 소직경 구멍부(45B)가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47)측에, 대직경 구멍부(46)와 동일한 대직경 구멍부(46B)가 축방향의 내측 시트부(49)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완충기(1B)에 있어서는, 디스크(66)와 디스크(65) 사이에, 디스크(6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실시형태의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디스크(102A)와, 디스크(103A)와, 디스크(104)와, 디스크 밸브(105)와, 케이스 부재(107A)가, 피스톤 로드(21B)의 부착축부(28B)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A)는,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A)가 바닥부(111A)보다 축단차부(29)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신장측의 메인 밸브(91)의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는, 메인 밸브(9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복수 매(구체적으로는 2장)의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84)와, 디스크(251)와, 와셔(221)가, 피스톤 로드(21B)의 부착축부(28B)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B)의 와셔(221)보다 돌출된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108)는 와셔(221)에 접촉하고 있다. 디스크(251)는, 디스크(66)와 동일한 부품이며, 메인 밸브(91)의 외경보다 소직경이고, 와셔(221)의 외경보다 대직경인 외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251)는 와셔(221)보다 얇고 강성이 낮다.
피스톤(18B)의 내측 시트부(49)와 메인 밸브(71)의 사이에는, 디스크(62)와는 일부 상이한 디스크(62B)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62B)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255)가, 직경 방향의 내측 시트부(49)보다 외측의 도중 위치로부터 내주 가장자리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55)는,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를,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 및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에 항상 연통시킨다. 절결부(255)는, 디스크(62B)의 프레스 성형시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8B)의 내측 시트부(47)와 메인 밸브(91)의 사이에는, 디스크(82)와는 일부 상이한 디스크(82B)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82B)에는 통로 형성용의 절결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스 부재(107A)와 디스크 밸브(105)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스 내실(165A)은, 케이스 부재(107A)의 복수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를 통해,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항상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도,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실(165A)은,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와,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고리형 홈(56)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포함하는 내주측은, 제2 밸브 시트(135)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서브 밸브(171)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7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상실(19)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실(19) 및 케이스 내실(165A) 중의 케이스 내실(165A)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71)는,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과,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과 케이스 내실(165A)을 연통시키고,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이 때, 서브 밸브(171)는, 제2 밸브 시트(135)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서브 밸브(171)는, 케이스 내실(165A)에 상실(19)로부터 오일액을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통해 유입시킬 때에 개방하는 유입 밸브이다. 서브 밸브(171)는, 케이스 내실(165A)로부터 상실(19)로의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통한 오일액의 유출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이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A)과, 케이스 부재(107A)의 복수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와,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와, 고리형 홈(56)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가, 피스톤(18B)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2 통로(172B)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72B)는, 피스톤(18B)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 즉 신장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신장측의 통로가 된다.
서브 밸브(171)와 제2 밸브 시트(135)가, 신장측의 제2 통로(172B)에 설치된다. 서브 밸브(171)와 제2 밸브 시트(135)가, 이 제2 통로(172B)를 개폐하고, 이 제2 통로(172B)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71)는 신장측의 서브 밸브이다.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피스톤 로드(21)를 직경 방향 내측에 삽입 관통시켜, 2개의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의 상실(19)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로(172B)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 부분 중에서 가장 좁아져 전후보다 좁아진다.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가, 제2 통로(172B)에서의 오리피스(175B)가 된다. 오리피스(175B)는, 서브 밸브(171)가 개방되고, 제2 통로(172B)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의 흐름의 서브 밸브(17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리피스(175B)는, 제2 통로(172B)에서의 서브 밸브(171)보다 하실(20)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신장측의 제2 통로(172B)는, 동일하게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신장측의 통로인 제1 통로(92)와 병렬로 되어 있다. 제1 통로(9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제2 통로(172B)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두 신장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를 포함하는 외주측은, 제1 밸브 시트(115)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한 서브 밸브(181)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81)는,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상실(19)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실(19) 및 케이스 내실(165A) 중의 상실(19)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케이스 내실(165A)과 상실(19)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이 때,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와의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서브 밸브(181)는, 케이스 내실(165A) 내로부터 오일액을 상실(19)에,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배출할 때에 개방되는 배출 밸브이다. 서브 밸브(181)는, 상실(19)로부터 케이스 내실(165A) 내로의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한 오일액의 유입을 규제하는 체크 밸브이다.
피스톤(18B)의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와,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와,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케이스 부재(107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케이스 내실(165A)과,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2 통로(182B)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182B)는,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 즉 축소 행정에 있어서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을 향해 오일액이 유출되는 축소측의 통로가 된다.
서브 밸브(181)와 제1 밸브 시트(115)가, 축소측의 제2 통로(182B)에 설치된다. 이 제2 통로(182B)를 개폐하고, 이 제2 통로(182B)로부터 상실(19)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로 되어 있다.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를 구성하는 서브 밸브(181)는 축소측의 서브 밸브이다. 서브 밸브(181)와 제1 밸브 시트(115)로 이루어진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피스톤 로드(21B)를 직경 방향 내측에 삽입 관통시켜, 2개의 상실(19) 및 하실(20) 중의 한쪽의 상실(19)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통로(182B)에 있어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가, 유로 단면적이 고정 부분 중에서 가장 좁아져 전후보다 좁아진다. 디스크(62B)의 절결부(255) 내의 통로가 제2 통로(182B)에 있어서도 오리피스(175B)가 된다. 오리피스(175B)는 제2 통로(172B, 182B)에 공통이다. 오리피스(175B)는, 서브 밸브(181)가 개방되어 제2 통로(182B)에서 오일액이 흐를 때의 오일액의 흐름의 서브 밸브(18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오리피스(175B)는, 제2 통로(182B)에서의 서브 밸브(181)보다 하실(20)측에 설치되어 있다. 오리피스(175B)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를 구성하는 부품 중, 피스톤(18B)에 접촉하는 디스크(62B)를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제2 통로(182B)는, 동일하게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 가능한 축소측의 통로인 제1 통로(72)와, 하실(20)측의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를 제외하고 병렬로 되어 있다. 이 병렬 부분에는, 제1 통로(72)에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제2 통로(182B)에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두 축소측인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 183)는, 바닥부(111A)와 외측 통부(112)와 내측 통부(113A, 231)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107A)의 외측 통부(112)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115)와, 케이스 부재(107A)의 제1 밸브 시트(115)에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105)와, 디스크 밸브(105)의 제1 밸브 시트(115)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135)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21B)에 피스톤(18B) 등을 조립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B)의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B)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축단차부(29)에, 고리형 부재(67)와, 디스크(66)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디스크(102A)와, 디스크(103A)와, 디스크(104)와, 디스크 밸브(105)와, 케이스 부재(107A)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A)는,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A)가 바닥부(111A)보다 축단차부(29)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이에 더해,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케이스 부재(107A)에, 디스크(65)와, 복수 매의 디스크(64)와, 복수 매의 디스크(63)와, 디스크(62B)와, 피스톤(18B)이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피스톤(18B)은, 대직경 구멍부(46B)가 소직경 구멍부(45B)보다 축단차부(29)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이에 더해,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피스톤(18B)에, 디스크(82B)와, 복수 매의 디스크(83)와, 복수 매의 디스크(84)와, 디스크(251)와, 와셔(221)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와셔(221)보다 돌출된 피스톤 로드(21B)의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를 나사 결합시켜, 너트(108)와 축단차부(29)로 이들의 내주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 밸브(105)와,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는 디스크(104, 103A, 102A)가, 케이스 부재(107A)의 내측 통부(113A)와 디스크(106)에 내주측이 클램프된다. 이 때, 디스크 밸브(105)는, 내측 고리형부(142)가 클램프되는 게 되고, 지지부(143) 및 외측 고리형부(141)는 클램프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가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에 있어서, 제2 밸브 시트(135)에 피스톤(18B)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가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115)에 피스톤(18B)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 때, 제2 밸브 시트(135)가 제1 밸브 시트(115)보다 축방향의 피스톤(18)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측 고리형부(141)는,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에 근접하도록 테이퍼형으로 변형된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B)이 상실(19)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실(19)의 압력이 높아지고 하실(20)의 압력이 낮아진다.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되는 제1 소정치보다 고속의 영역이자, 제1 소정치보다 고속의 제2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71)가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2 통로(172B)에서 상실(19)과 하실(20)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상실(19)의 오일액이,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A)과, 케이스 부재(107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B)와, 피스톤(18B)의 고리형 홈(56)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가 밸브 개방된 상태인 채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71)가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2 통로(172B)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이 때, 제2 통로(172B)의 서브 밸브(171)보다 하류측에 설치된 오리피스(175B)에 의해 오일액의 흐름이 좁아지는 것에 의해, 메인 밸브(91)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차압이 높아지고, 메인 밸브(91)가 밸브 시트부(48)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신장측의 제1 통로(92)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린다. 따라서, 상실(19)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91) 및 밸브 시트부(48)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 저속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신장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 낮아진다.
신장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2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상실(19)과 하실(20)의 차압은, 제1 소정치 이상 제2 소정치 미만의 저속 영역보다 커진다. 제1 통로(92)는 오리피스에 의해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메인 밸브(9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9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과, 제2 통로(172B)를 오리피스(175B)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81)에는 상실(19)과 케이스 내실(165A)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다. 서브 밸브(171)가 개방되어 상실(19)과 케이스 내실(165A)이 연통하고 있고, 제2 통로(172B)를 오리피스(175B)에 의해 좁히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내실(165A)의 압력 상승이 상실(19)의 압력 상승과 동등해지고, 케이스 내실(165A)과 상실(19)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81)가 받는 케이스 내실(165A)과 상실(19)의 압력차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에 상실(19)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실(165A)측으로 향한 큰 배압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B)는, 신장 행정에서 상실(19)로부터 하실(20)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92)와 제2 통로(172B)의 병렬로 설치하고, 메인 밸브(91)와 서브 밸브(171)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오리피스(175B)는 서브 밸브(17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피스톤(18B)이 하실(20)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실(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실(19)의 압력이 낮아진다. 피스톤 속도가,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되는 제3 소정치보다 고속의 영역이자, 제3 소정치보다 고속의 제4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81)가,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2 통로(182B)에서 하실(20)과 상실(19)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하실(20)의 오일액이,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와, 오리피스(175)와, 피스톤(18B)의 대직경 구멍부(46B)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B)의 통로 절결부(30B)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B)와, 케이스 부재(107A)의 통로 홈(121A) 내의 챔버 통로부(131A)와, 케이스 내실(165A)과,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보다 저속인 극미 저속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상기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 상태인 채로,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2)가 밸브 개방된다. 즉, 서브 밸브(181)가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2 통로(182B)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릴 때, 제2 통로(182B)는 오리피스(175B)에 의해 오일액의 유량이 좁아졌기 때문에, 메인 밸브(71)에 생기는 차압이 커진다. 따라서, 메인 밸브(71)가 밸브 시트부(50)로부터 시팅 해제되어, 축소측의 제1 통로(72)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린다. 따라서, 하실(20)의 오일액이, 복수의 통로 구멍(39) 내 및 고리형 홈(56) 내의 통로와, 메인 밸브(71) 및 밸브 시트부(50)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른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도 밸브 특성의 감쇠력이 얻어진다.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측의 감쇠력의 증가율은, 극미 저속 영역에서의 피스톤 속도의 증가에 대한 축소측의 감쇠력의 증가율보다 낮아진다.
축소 행정에 있어서, 피스톤 속도가 제4 소정치 이상인 통상 속도 영역에서는,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저속 영역보다 커진다. 그러나, 제2 통로(182B)에는, 서브 밸브(181)보다 상류측에 오리피스(175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밸브(181)로의 유량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메인 밸브(7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서브 밸브(181)를 흐르는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서브 밸브(181)의 밸브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속도가 통상 속도 영역에서의 감쇠력을 낮추거나 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이 때(피스톤 속도가 빠른 경우),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커지지만, 제2 통로(182B)를 오리피스(175B)에 의해 좁히는 것에 의해, 케이스 내실(165A) 내와 상실(19)의 차압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밸브(71)가 개방됨으로써 오일액을 제1 통로(72)를 통해 대유량으로 흘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81)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폐쇄 상태의 서브 밸브(171)에는 케이스 내실(165A)과 상실(19)로부터 반대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다. 하실(20)과 상실(19)의 차압은 크지만, 상실(19)과 케이스 내실(165A)은, 서브 밸브(181)가 개방됨으로써 연통하고 있고, 서브 밸브(171)의 상류측이 되는 케이스 내실(165A)과 하실(20)의 사이에 오리피스(17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내실(165A)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에 생기는 차압이 작고, 외측 고리형부(141)의 서브 밸브(171)측에 케이스 내실(165A)측으로부터 상실(19)측을 향한 큰 배압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기(1)는, 축소 행정에서 하실(20)로부터 상실(19)로 오일액을 흘리는 유로를 제1 통로(72)와 제2 통로(182B)의 병렬로 설치하고, 메인 밸브(71)와 서브 밸브(181)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오리피스(175B)는, 제2 통로(182B)에 있어서 서브 밸브(181)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축소 행정에 있어서는, 감쇠 밸브 기구(197)에 의한 감쇠력 특성도 더한 특성이 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상기 디스크 밸브(105a∼105d)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12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디스크(84)와 디스크(103A)의 사이에, 디스크(84)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 실시형태의 케이스 부재(107A)와는 일부 상이한 케이스 부재(107C)와, 1장의 디스크(261)와, 제2 실시형태의 디스크(104)는 외경이 소직경이 되는 점만 상이한 1장의 디스크(104C)가, 피스톤 로드(21A)의 부착축부(28A)를 각각의 내측에 감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C)는, 제2 실시형태의 내측 통부(113A)보다 축방향 길이가 짧은 내측 통부(113C)를 갖고 있다. 내측 통부(113C)에는, 통로 홈(121A)보다 깊이가 얕은 통로 홈(121C)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 홈(121C) 내가 챔버 통로부(131C)로 되어 있다. 디스크(261)는 금속제이며, 내측에 피스톤 로드(21A)의 부착축부(28A)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261)는, 외주면이 원통면이며, 내측 통부(113C)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C)는, 외측 통부(112)의 축방향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외주측으로부터 바닥부(111A)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통형의 선단 통부(236)(규제부)를 갖고 있다.
선단 통부(236)는, 외측 통부(112)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으로부터 이 선단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닥부(111A)의 외주면과, 외측 통부(112)의 외주면과, 선단 통부(236)의 외주면은, 동일 원통면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 통부(236)의 내주면은, 이 동일 원통면의 중심축선, 즉 케이스 부재(107C)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하는 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선단 통부(236)에는, 그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면에 개구되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홈(237)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에 있어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디스크 밸브(105)와는 일부 상이한 1장의 디스크 밸브(105C)가 이용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C)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와 동일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플레인 디스크이다. 디스크 밸브(105C)는,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경과 동등한 외경이며,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경보다 소직경인 내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C)의 내경은, 디스크(104C)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디스크(261)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C)에는, 디스크 밸브(105)와 같은 내측 고리형부(142) 및 지지부(143)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디스크(261)의 두께는, 디스크 밸브(105C)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C)의 외측 통부(112)는, 디스크 밸브(105C)가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C)에 있어서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제1 밸브 시트(115)를 구성하고 있다. 외측 통부(112)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에 설치된 선단 통부(236)는, 디스크 밸브(105C)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인 내경으로 되어 있고, 디스크 밸브(105C)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디스크 밸브(105C)에 접촉하여 규제한다.
디스크(104C)는, 이것에 적층된 디스크(103A, 102A)와 함께, 디스크 밸브(105C)가 내주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C)에 있어서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변형 가능한 제2 밸브 시트(135)를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C)와, 디스크 밸브(105C)와, 디스크(104C)와, 디스크(261)가, 내측에 케이스 내실(165C)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내실(165C)은, 내측 통부(113C)의 통로 홈(121C) 내의 챔버 통로부(131C)를 통해,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C)의 내주측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C)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171C)는, 제2 실시형태의 서브 밸브(171)와 동일하게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을 통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C)을 연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하실(20)을 상실(19)로 연통시킨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71C)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C)과, 케이스 부재(107C)의 통로 홈(121C) 내의 챔버 통로부(131C)와,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제2 통로(172, 172A)와 동일한 축소측의 제2 통로(172C)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71C) 및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C)는, 제2 통로(172C)에 설치되고, 제1, 제2 실시형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2 통로(172C)를 개폐한다. 제2 통로(172C)에 있어서, 서브 밸브(171C)보다 상실(19)측에 오리피스(175)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C)의 외주측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C)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181C)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서브 밸브(181)와 동일하게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1 밸브 시트(115)와의 간극을 통해 케이스 내실(165C)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A)의 통로 절결부(30A)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A)와, 케이스 부재(107C)의 통로 홈(121C) 내의 챔버 통로부(131C)와, 케이스 내실(165C)과,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81C) 및 제1 밸브 시트(115)의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제2 통로(182, 182A)와 동일한 신장측의 제2 통로(182C)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81C) 및 제1 밸브 시트(115)로 이루어진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C)는, 제2 통로(182C)에 설치되고, 제1, 제2 실시형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2 통로(182C)를 개폐한다. 제2 통로(182C)에 있어서, 서브 밸브(181C)보다 상실(19)측에 오리피스(175)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A)에 피스톤(18) 등을 조립하는 경우, 피스톤 로드(21A)의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A)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축단차부(29)에, 고리형 부재(67)와, 디스크(66)와, 디스크(65)와, 복수 매의 디스크(64)와, 복수 매의 디스크(63)와, 디스크(62)와, 피스톤(18)과, 디스크(82)와, 복수 매의 디스크(83)와, 디스크(84)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그리고, 나사축부(31) 및 부착축부(28A)를 삽입 관통시키면서, 디스크(84)에, 케이스 부재(107C)와, 디스크(261) 및 디스크 밸브(105C)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때, 케이스 부재(107C)는, 외측 통부(112) 및 내측 통부(113C)가, 바닥부(111A)보다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디스크(261) 및 디스크 밸브(105C)에, 디스크(104C)와, 디스크(103A)와, 디스크(102A)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와셔(221)가 순서대로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와셔(221)보다 돌출된 피스톤 로드(21)의 나사축부(31)의 수나사(32)에 너트(108)를 나사 결합시켜, 너트(108)와 축단차부(29)로 이들의 내주측을 축방향으로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 밸브(105C)의 서브 밸브(171C)가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C)에 있어서, 제2 밸브 시트(135)에 피스톤(18)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하고, 디스크 밸브(105C)의 서브 밸브(181C)가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C)에 있어서, 제1 밸브 시트(115)에 피스톤(18)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접촉한다. 이 때, 제2 밸브 시트(135)가 제1 밸브 시트(115)보다 축방향의 피스톤(18)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105C)는, 직경 방향 내측일수록 축방향에 있어서 피스톤(18)에 근접하도록 테이퍼형으로 변형된다. 디스크 밸브(105C)는, 축방향으로 전혀 클램프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전체로서 다른 부품에 연결되지 않는 완전한 프리 밸브가 된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 1A)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4 실시형태의 완충기(1C)는, 디스크 밸브(105C)가, 다른 부품에 연결되지 않는 프리 밸브이기 때문에 변형에 제한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디스크 밸브(105C)를 보다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107C)의 외측 통부(112)의 바닥부(111A)와는 반대측에, 디스크 밸브(105C)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선단 통부(23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통부(236)가, 케이스 부재(107C)에 대하여 디스크 밸브(105C)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부품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밸브(105C)가,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떨어져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C)가 개방되어 버리는 것, 및, 디스크 밸브(105C)가 제1 밸브 시트(115)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C)가 개방되어 버리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제4 실시형태의 케이스 부재(107C), 디스크(261), 디스크 밸브(105C) 및 디스크(104C)를, 제3 실시형태의 케이스 부재(107A), 디스크 밸브(105) 및 디스크(104) 대신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를 주로 도 13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케이스 부재(107) 대신, 케이스 부재(107D)와 와셔(221D)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D)는,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기판부(271)와, 기판부(27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축방향 일측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넓어지는 원환형의 내측 테이퍼부(272)와, 내측 테이퍼부(272)의 기판부(271)와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축방향 역측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넓어지는 원환형의 외측 테이퍼부(273)와, 외측 테이퍼부(273)의 내측 테이퍼부(272)와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기판부(271)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선단판부(274)를 갖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D)는, 1장의 평판형의 판재로부터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07D)는, 기판부(271) 및 선단판부(274)가 바닥부(111D)를 구성하고 있고, 내측 테이퍼부(272) 및 외측 테이퍼부(273)가 통부(112D)를 구성하고 있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D)는, 바닥부(111D)로부터 통부(112D)가 피스톤(18)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되어 있다. 기판부(271)에는, 절결부(277)가, 직경 방향의 디스크(106)보다 외측의 도중 위치로부터 내주 가장자리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77)도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77)는,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케이스 부재(107D)는, 디스크 밸브(105)보다 두께가 두껍고 강성이 높다. 절결부(277)는, 케이스 부재(107D)의 프레스 성형시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테이퍼부(272) 및 외측 테이퍼부(273)의 경계측의 모서리부는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시팅·시팅 해제되는 제1 밸브 시트(115D)로 되어 있다. 제1 밸브 시트(115D)는, 통부(112D)에 형성되어 있고,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는,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제1 밸브 시트(115D)에 시팅되면 제1 밸브 시트(115D)와의 간극을 폐색하고, 제1 밸브 시트(115D)로부터 시팅 해제되면 제1 밸브 시트(115D)와의 간극을 개방한다.
디스크 밸브(105)와, 복수 매의 디스크(106)와, 케이스 부재(107D)가, 내측에 케이스 내실(165D)을 형성하고 있다.
와셔(221D)는, 금속제이며, 내측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 가능한 일정 두께의,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와셔(221D)에는, 그 직경 방향의 중앙에,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281)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81)은, 피스톤 로드(21)의 부착축부(28)를 감합시키는 축방향 일측의 소직경 구멍부(282)와, 소직경 구멍부(282)보다 대직경인 축방향 타측의 대직경 구멍부(283)를 갖고 있다. 와셔(221D)는, 대직경 구멍부(283)가 소직경 구멍부(282)보다 피스톤(18)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와셔(221D)는, 판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부재(107D)보다 강성이 높고, 케이스 부재(107D)의 기판부(271)에 면으로 접촉하여 이것을 피스톤(18)과는 반대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와셔(221D)는, 피스톤 로드(21)의 불완전 나사부(109)를 덮는 와셔부이며, 케이스 부재(107D)는, 케이스 내실(165D)을 형성하는 케이스부로 되어 있다. 케이스 내실(165D)은, 케이스 부재(107D)의 절결부(277) 내의 챔버 통로부(131D)를 통해 와셔(221D)의 대직경 구멍부(28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 내실(165D)은, 절결부(277) 내의 챔버 통로부(131D)와, 와셔(221D)의 대직경 구멍부(28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를 통해 상실(19)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와셔(221D)의 소직경 구멍부(282)의 축방향의 범위 내에, 피스톤 로드(21)의 불완전 나사부(109)의 전체가 배치되어 있고, 그 축방향 양측의 수나사(32) 및 부착축부(28)도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내주측 분리 접촉부(152)를 포함하는 내주측의 서브 밸브(171)는, 제2 밸브 시트(135)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2 밸브 시트(135)와의 간극과,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실(20)과 케이스 내실(165D)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하실(20)을 상실(19)로 연통시킨다.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의 사이의 통로와,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 및 내측 고리형부(142)의 사이의 통로와, 케이스 내실(165D)과, 케이스 부재(107D)의 절결부(277) 내의 챔버 통로부(131D)와, 와셔(221D)의 대직경 구멍부(283)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고리형 홈(55) 내 및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하실(20)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하실(20)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실(19)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통로(172)와 동일한 축소측의 제2 통로(172D)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71) 및 제2 밸브 시트(135)로 이루어진 축소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는, 제2 통로(172D)에 설치되고, 제1 실시형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7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제2 통로(172D)를 개폐한다.
디스크 밸브(105)의 외측 고리형부(141)의 외주측 분리 접촉부(151)를 포함하는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D)에 시팅·시팅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브 밸브(181)는, 제1 밸브 시트(115D)로부터 시팅 해제됨으로써, 제1 밸브 시트(115D)와의 간극을 통해 케이스 내실(165D)과 하실(20)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실(19)을 하실(20)로 연통시킨다.
피스톤(18)의 복수의 통로 구멍(37) 내 및 고리형 홈(55) 내의 통로와, 디스크(82)의 절결부(88) 내의 통로와, 피스톤(18)의 대직경 구멍부(46) 내의 통로와, 피스톤 로드(21)의 통로 절결부(30) 내의 피스톤 로드 통로부(51)와, 와셔(221D)의 대직경 구멍부(283) 내의 통로와, 케이스 부재(107D)의 절결부(277) 내의 챔버 통로부(131D)와, 케이스 내실(165D)과, 밸브 개방시에 출현하는 서브 밸브(181) 및 제1 밸브 시트(115D)의 사이의 통로가, 피스톤(18)의 상실(19)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2)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실(19)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하실(20)에 오일액이 유출되는, 제1 실시형태의 제2 통로(182)와 동일한 신장측의 제2 통로(182D)를 구성하고 있다. 서브 밸브(181)와, 케이스 부재(107D)의 외측 통부(112D)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115D)가, 신장측의 제2 통로(182D)에 설치되고, 제1 실시형태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이 제2 통로(182D)를 개폐하고, 이 제2 통로(182D)로부터 하실(20)로의 오일액의 유동을 억제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D)를 구성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는,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제5 실시형태의 완충기(1D)에 의하면, 케이스 부재(107D)가, 1장의 평판형의 판재로부터, 바닥부(111D) 및 통부(112D)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진다. 케이스 부재(107D)는, 챔버 통로부(131D)를 형성하는 절결부(277)도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밸브(105) 대신에, 상기 디스크 밸브(105a∼105d)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제5 실시형태는, 복통식의 유압 완충기에 본 발명을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통을 없애고 실린더(2) 내의 하실(20)의 상실(19)과는 반대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획체로 가스실을 형성하는 모노 튜브식의 유압 완충기에 이용해도 좋고, 디스크에 시일 부재를 설치한 구조의 패킹 밸브를 사용한 압력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모든 완충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개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온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챔버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챔버에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상기 2개 챔버 중의 한쪽 챔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통부와 바닥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의 상기 통부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외주측의 분리 접촉부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분리 접촉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을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 통로부로부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사이의 케이스 내실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를 가지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개방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모두 밸브 개방된다. 이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키는 내측 고리형부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내측 고리형부를 접속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내측 고리형부의 사이를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 양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지지부는 2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일측에,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에,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가 상기 내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가까운 상기 외측 접속부와 상기 내측 접속부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가 설치되고, 2개소의 상기 내측 접속부의 간격은, 2개소의 상기 외측 접속부의 간격보다 넓다.
제4 양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지지부는 2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가 상기 내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먼 상기 외측 접속부와 상기 내측 접속부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5 양태는, 제1 내지 제4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를 지지하는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변형 가능한 구성이다.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5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챔버 통로부 및 상기 케이스 내실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불완전 나사부를 덮는 와셔부를 갖는다.
제7 양태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와 와셔부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8 양태는, 제1 내지 제6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를 상기 분야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완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1A∼1D : 완충기
2 : 실린더
18, 18B : 피스톤
19 : 상실
20 : 하실
21, 21A, 21B : 피스톤 로드
41, 42 :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51, 51A, 51B : 피스톤 로드 통로부
72, 92 : 제1 통로
105, 105a∼105d, 105C : 디스크 밸브
107 : 케이스 부재
107A, 107C, 107D : 케이스 부재(케이스부)
109 : 불완전 나사부
115, 115D : 제1 밸브 시트
131, 131A, 131C, 131D : 챔버 통로부
135 : 제2 밸브 시트
141 : 외측 고리형부
142 : 내측 고리형부
143, 143a∼143d : 지지부
151, 151C : 외주측 분리 접촉부(분리 접촉부)
161, 161a∼161d : 외측 접속부
162, 162a∼162d : 내측 접속부
163, 163∼163d : 연결 아암부
166 : 와셔부
167 : 케이스부
172, 172A∼172D, 182, 182A∼182D : 제2 통로
173, 173C, 183, 183C, 183D :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221, 221D : 와셔(와셔부)
236 : 선단 통부(규제부)

Claims (8)

  1.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2개 챔버로 구획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어 나온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의 상류측이 되는 상기 챔버로부터 하류측이 되는 상기 챔버로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제1 통로 및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통로에 설치되고,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상기 2개 챔버 중의 한쪽 챔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통로와는 병렬의 상기 제2 통로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2 감쇠력 발생 기구
    를 가지며,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통부와 바닥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의 상기 통부에 형성된 고리형의 제1 밸브 시트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외주측의 분리 접촉부가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분리 접촉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을 분리 접촉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밸브 시트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로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절결 또는 관통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 통로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 통로부로부터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부와 상기 디스크 밸브 사이의 케이스 내실로 연통하는 챔버 통로부
    를 가지며,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는 밸브 개방되고,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 큰 속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감쇠력 발생 기구 및 상기 제2 감쇠력 발생 기구가 모두 밸브 개방되는 것인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밸브 시트에 분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키는 내측 고리형부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내측 고리형부를 접속하는 지지부
    를 가지며,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삽입 관통시켜,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상기 내측 고리형부의 사이를 차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지지부는 2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일측에,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보다도 동일한 역측에,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가 상기 내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가까운 상기 외측 접속부와 상기 내측 접속부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가 설치되고, 2개소의 상기 내측 접속부의 간격은, 2개소의 상기 외측 접속부의 간격보다 넓은 것인 완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지지부는 2개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외측 접속부가 상기 외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 2개소의 내측 접속부가 상기 내측 고리형부와 접속되고,
    상기 디스크 밸브의 둘레 방향으로 먼 상기 외측 접속부와 상기 내측 접속부를 접속시키도록 2개소의 연결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를 지지하는 상기 제2 밸브 시트는 변형 가능한 구성인 것인 완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는,
    상기 챔버 통로부 및 상기 케이스 내실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불완전 나사부를 덮는 와셔부를 갖는 것인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와 와셔부가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디스크 밸브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KR1020217023221A 2019-03-26 2020-01-10 완충기 KR102587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9207 2019-03-26
JPJP-P-2019-059207 2019-03-26
PCT/JP2020/000676 WO2020195011A1 (ja) 2019-03-26 2020-01-10 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322A true KR20210101322A (ko) 2021-08-18
KR102587415B1 KR102587415B1 (ko) 2023-10-10

Family

ID=7261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221A KR102587415B1 (ko) 2019-03-26 2020-01-10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3087A1 (ko)
JP (1) JP7170840B2 (ko)
KR (1) KR102587415B1 (ko)
CN (1) CN113631832A (ko)
DE (1) DE112020001493T5 (ko)
WO (1) WO202019501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789U (ja) 1982-09-24 1984-04-0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ベ−ンポンプ
JPS6391512U (ko) 1986-11-29 1988-06-14
JPH03123130U (ko) * 1990-03-27 1991-12-16
JP2014035050A (ja) * 2012-08-10 2014-02-24 Kayaba Ind Co Ltd 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2018076920A (ja) 2016-11-09 2018-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789B2 (ja) 1976-12-29 1984-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リガ発振器
JPS58182029U (ja) * 1982-05-31 1983-12-05 トキコ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5905805B2 (ja) 2012-09-21 2016-04-20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及びバルブ
JP5949789B2 (ja) 2014-01-10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6391512B2 (ja) 2015-03-25 2018-09-19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DE112016003952T5 (de) 2015-08-31 2018-05-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789U (ja) 1982-09-24 1984-04-0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ベ−ンポンプ
JPS6391512U (ko) 1986-11-29 1988-06-14
JPH03123130U (ko) * 1990-03-27 1991-12-16
JP2014035050A (ja) * 2012-08-10 2014-02-24 Kayaba Ind Co Ltd バルブおよび緩衝器
JP2018076920A (ja) 2016-11-09 2018-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1493T5 (de) 2022-01-13
JP7170840B2 (ja) 2022-11-14
KR102587415B1 (ko) 2023-10-10
JPWO2020195011A1 (ja) 2021-11-25
WO2020195011A1 (ja) 2020-10-01
CN113631832A (zh) 2021-11-09
US20220163087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9319A2 (en) Shock absorber
US10995813B2 (en) Shock absorber
CN111630295B (zh) 阻尼阀和缓冲器
KR102232127B1 (ko) 완충기
JP2022132595A (ja) 緩衝器
JP4356016B2 (ja) 油圧緩衝器
KR20210101322A (ko) 완충기
JP7206174B2 (ja) 緩衝器
JP7412095B2 (ja) 緩衝器
US20230279920A1 (en) Shock absorber
JP7129937B2 (ja) 緩衝器
JP7055236B2 (ja) 緩衝器
WO2022024755A1 (ja) 緩衝器
US20230272835A1 (en) Shock absorber
US20240151290A1 (en) Shock absorber and frequency sensitive mechanism
JP7154166B2 (ja) 緩衝器
JP2023005202A (ja) 緩衝器
KR20240045275A (ko) 완충기
JP2021169829A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