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821A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821A
KR20210098821A KR1020200107088A KR20200107088A KR20210098821A KR 20210098821 A KR20210098821 A KR 20210098821A KR 1020200107088 A KR1020200107088 A KR 1020200107088A KR 20200107088 A KR20200107088 A KR 20200107088A KR 20210098821 A KR20210098821 A KR 2021009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loading
frame
vehicle body
preliminary seedl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과제] 경량이고 간단한 구성의 예비 모종 적재부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예비 모종 적재부는 지지 프레임과, 복수의 링크암을 구비하는 링크 기구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지지 프레임은, 주행 차체의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단일의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의 상단부에 차체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도록 부착되고, 링크 기구를 지지하는 횡프레임을 구비하고 링크 기구는 2개의 링크암을 구비하고, 2개의 링크암은 모두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예비 모종 적재부는 적어도 3 스테이지 이상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복수의 링크암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링크암이며, 상기 2개의 링크암의 각 중도를, 지지 프레임의 상기 횡프레임에 설치한 2개의 피봇축에 각각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에서 모종의 이식 등의 작업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모종 이식기에는, 가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러한 예비 모종 적재대는 링크 기구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적층 상태와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로 스위칭 가능하게 상기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기체 외측으로부터 모종을 실을 때에, 상부 스테이지 또는 하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가 기체 전방까지 이동해서 레일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예비 모종이 쌓이기 쉽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6573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상술의 종래의 예비 모종 적재대는, 통상, 기체측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전후 2개의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가 3 스테이지이면, 이것들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는 3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의 모두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암과, 상부 스테이지와 중간 스테이지를 연결하는 제 2 링크암과, 중간 스테이지와 하부 스테이지를 연결하는 제 3 링크암을 구비하고 있다.
이래서는, 예비 모종 적재대의 지지 기구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부품도 증가하기 때문에 중량도 증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량으로 간단한 구성의 예비 모종 적재부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기(1)는 주행 장치(14, 15)를 구비하는 주행 차체(2)와, 상기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연결된 모종 식부부(16)와, 상기 주행 차체(2)의 측부에 설치된 예비 모종 적재부(9)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 모종 적재부(9)는 지지 프레임(98)과, 복수의 링크암(94, 95)을 구비하는 링크 기구(90)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98)에 지지되는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98)은 상기 주행 차체(2)의 차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단일의 종프레임(980)과, 상기 종프레임(980)의 상단부에 상기 차체 프레임(20)을 따라 연장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링크 기구(90)를 지지하는 횡프레임(981)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기구(90)는 2개의 링크암(94, 95)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은 모두 상기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예비 모종 적재부(9)는 적어도 3 스테이지 이상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암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링크암(94, 95)이며,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의 각 중도를, 상기 지지 프레임(98)의 상기 횡프레임(981)에 설치한 2개의 피봇축(944, 954)에 각각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이다.
제 2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의 각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951)을 통하여 하부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각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 953)을 통하여 상부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링크암(94, 95)의 각 중간 위치이며, 상기 피봇축(944, 954)과 상기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 953) 사이에 각각에 설치된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42, 952)을 통해서 중간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제 3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프레임(98)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981) 상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종프레임(980)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982)이 형성되고, 상기 횡프레임(981) 상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 구멍(982)의 근방에, 상기 링크 기구(90)를 요동시키기 위한 모터(9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제 4 본 발명은, 하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의 후단은, 상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의 후단보다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제 1 본 발명에 의해, 경량이고 간단한 구성의 예비 모종 적재부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본 발명에 의해, 제 1 본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경량이고 간단한 구성의 예비 모종 적재부(9)를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링크암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3 본 발명에 의해, 제 1 본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모터(96)에 접속되어 있는 하니스를 연통 구멍(982)으로부터 종프레임(980)의 내부를 통과해서 배색(配索)할 수 있어, 하니스와 링크암(94, 95)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제 4 본 발명에 의해, 제 1 본 발명부터 제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하방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1, 92)로부터의 모종의 인출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동의 모종 이식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모종 이식기(1)의 측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후, 좌우의 방향 기준은 조종석으로부터 본 주행 차체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전후, 좌우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기(1)의 주행 차체(2)는 좌우 한쌍의 전륜(14)과, 좌우 한쌍의 후륜(15)을 구비함과 아울러,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는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3)에 의해 승강 가능한 모종 식부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종 이식기(1)는, 주행시에 전체 차륜(전륜(14), 후륜(15))이 구동 가능한 사륜 구동차로 하고 있지만, 이륜 구동이어도 개의치 않는다.
주행 차체(2)는 차체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차체 프레임(30)에 부착된 동력부(4)를 구비한다. 동력부(4)는, 주행 차체(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운전부(10)에 설치된 운전 좌석(12)의 하부에 배치된 엔진(8)과, 엔진(8)의 동력을 구동륜과 모종 식부부(16)에 전하는 후술의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종 이식기(1)는 엔진(8)의 동력이 주행 차체(2)를 전진이나 후진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부(16)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엔진(8)으로서는 디젤 기관이나 가솔린 기관 등의 열기관이 사용된다.
엔진(8)은 작업자가 승차시에 발을 얹는 플로어 스텝(11)보다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차체 프레임(30)에 설치되고,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엔진(8)을 덮는 엔진 커버(5)가 설치된다. 플로어 스텝(11)은 주행 차체(2)의 전방부와 엔진(8)의 후방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그 일부가 격자 형상으로 됨으로써 신발에 붙은 흙을 포장에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동력부(4)의 동력 전달 장치로서는, 주변속기로서의 유압식 무단 변속기(6)와,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7)와, 미션 케이스(70)를 갖는다.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7)는 유압식 무단 변속기(6)에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을 전한다. 미션 케이스(70)는 엔진(8)으로부터의 출력을 전륜(14)과 후륜(15)으로의 주행용 동력과, 모종 식부부(16)로의 구동용 동력으로 나누어서 출력한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6)는 소위 HST(Hydro Static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기이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6)는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 펌프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고, 이 유압을 유압 모터에서 기계적인 힘(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6)는, 조종부(13)에 설치된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주행 출력의 대소 및 출력 방향을 스위칭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7)는 엔진(8)의 출력축에 부착한 풀리와, 유압식 무단 변속기(6)의 입력축에 부착한 풀리와, 쌍방의 풀리에 감아 건 벨트와, 또한, 이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션 풀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7)는 엔진(8)에서 발생한 동력을 벨트를 통해 유압식 무단 변속기(6)에 전달 가능하다.
미션 케이스(70)로부터 출력되는 주행용 동력은, 일부가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31)를 통해 전륜(14)에 전달 가능하고, 나머지가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32)를 통해 후륜(15)에 전달 가능하다. 좌우 각각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31)는 미션 케이스(70)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전륜(14)은 차축을 개재하여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31)에 연결된다. 또한, 이 전륜 파이널 케이스(31)는 핸들(18)의 조타 조작에 따라 구동하고, 전륜(14)을 전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좌우 각각의 후륜 기어 케이스(32)에는 차축을 개재하여 후륜(15)이 연결된다. 한편, 구동용 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설치한 식부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고, 이 식부 클러치의 맞물림시에 식부 전동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모종 식부부(16)에 전달된다.
또한, 주행 차체(2)에는 운전 좌석(12)의 전방이며, 또한, 주행 차체(2) 앞측 중앙부에는 조종부(13)가 설치된다. 이 조종부(13)는 운전부(10)의 플로어 스텝(1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플로어 스텝(11)의 전방부측을 좌우로 분단하고 있다.
조종부(13)의 내부에는 각종의 조작 장치나 엔진(8)에 공급하는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 탱크 등이 설치되고, 조종부(13)의 상부에는 조작 장치를 작동시키는 각종 조작 레버 등이나 계기류, 또한 핸들(18)이 설치된다. 핸들(18)은 작업자가 전륜(14)을 조타 조작함으로써 주행 차체(2)를 조타하는 조타 부재이며, 조종부(13)내의 조작 장치 등을 통해 전륜(14)을 전타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로서는, 주행 차체(2) 전후진 및 주행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주행 조작 부재인 후술의 변속 레버나, 모종 식부부(16)의 동작 상태를, 적어도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3)에 의한 상승 상태를 포함해서 스위칭할 수 있는 식부 조작 부재인 식부 승강 레버 등이 설치된다.
또한,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부(16)를 승강시키는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3)는 승강 링크 장치(33)를 갖고 있고, 모종 식부부(16)는 이 승강 링크 장치(33)를 통해 주행 차체(2)에 부착된다. 이 승강 링크 장치(33)는 주행 차체(2)의 후방부와 모종 식부부(16)를 연결시키는 평행 링크 기구로서,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2개 링크 부재를 갖는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링크(34)와, 상부 링크(34)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링크(35)를 갖는다. 이들 상부 링크(34)와 하부 링크(35)는 모두 좌우 한쌍씩이 설치된다.
이들 상부 링크(34)와 하부 링크(35)가, 차체 프레임(30)의 후방부 끝에 세워서 설치한 배면에서 볼 때 문형(門型)의 후방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링크 베이스 프레임(3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각 링크의 타단측이 모종 식부부(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모종 식부부(16)를 승강 가능하게 주행 차체(2)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3)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유압 승강 실린더(37)를 갖고 있다. 이러한 유압 승강 실린더(37)의 신축 동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16)는 승강한다.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3)는 그 승강 동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16)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키거나, 대지 작업 위치(대지 식부 위치)까지 하강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부(16)는 1개당 2열분의 식부 작업을 행하는 식부 장치(16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종 이식기(1)를, 모종을 6개의 열에서 이식하는, 소위 6열 심기의 모종 이식기(1)로 하고 있지만, 4열 심기, 8열 심기,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열 심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주행 차체(2)의 좌우측부에는, 다음 식부열에 진행 방향의 목표로 되는 선을 형성하는 선 긋기 마커(200)가 각각 출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선 긋기 마커(200)는 좌우의 예비 모종 적재부(9)의 후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모종 이식기(1)가 포장 내에 있어서의 직진 전진시에, 포장의 두렁가에서 회전한 후에 직진 전진할 때의 마크를 포장면에 선 긋기한다. 또, 도 1에 있어서, 선 긋기 마커(200)는 상방으로 퇴피한 상태로 소위 수납 상태에 있지만, 편의상 좌측의 선 긋기 마커(200)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주행 차체(2)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2)의 후방에는 시비 장치(17)가 탑재된다. 이 시비 장치(17)는 비료를 저장하는 비료 탱크(17a)와, 비료 탱크(17a) 의 속으로부터 비료를 모종 식부부(16)측으로 이송하는 블로어(17b)를 갖는다. 또한, 시비 장치(17)는, 비료 탱크(17a)로부터 시비 호스(도시 생략)를 통해 이송된 비료를, 모종 식부열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홈 내에 떨어뜨려 넣는 작구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이러한 시비 장치(17)에 의한 시비 작업은 식부 작업시와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스텝(11)에 있어서의 조종부(13)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보급용의 모종을 실어 두는 예비 모종 적재부(9)와, 비료 탱크(17a)에 보충하기 위한 비료를 적재하는 적재대(105)가 설치된다. 예비 모종 적재부(9)에 대해서는, 상세히는 뒤에 설명하지만,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층 상태와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대략 수평 상태로 배열되는 3개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구비한다. 또, 적재대(105)는, 예를 들면 20Kg의 비료 포대를 적재할 수 있다.
도 2는 모종 이식기(1)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기(1)가 구비하는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01)와 기억부(102)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102)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02)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9)의 구동을 비롯한 모종 이식기(1)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01)로서 기능하고, 소정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제어 장치(100)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9)에 추가해, 상술한 유압 승강 실린더(37)나 블로어(17b)의 구동 모터를 비롯한 각종 액추에이터(14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 조작 스위치(110), 각종 스위치(120), 및 각종 센서(130)가 접속되어 있다.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적층 상태와 대략 수평 상태 사이에서의 자세의 변화는 전동에 의한 것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96)의 구동에 의해 링크 기구(90)가 동작하고,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의 자세가 변화된다.
예비 모종 적재부 조작 스위치(110)는 운전부(10)에 설치된 운전 좌석(12)의 근방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조종부(13)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12)의 근방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 조작 스위치(110) 외에도, 다양한 장치의 온·오프에 사용하는 각종 스위치(120)가 설치된다. 또한, 각종 센서(130)로서는 모종 떨어짐 센서, 비료 센서 등이 포함된다.
이하, 도 3∼도 7을 참조하면서, 예비 모종 적재부(9)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좌측면도, 도 4는 동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6은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예비 모종 적재부(9)의 설명도이다. 또, 도 7에 있어서는, 비료 포대를 적재하는 적재대(105)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 모종 적재부(9)는 3개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와, 링크 기구(90)와, 지지 프레임(98)을 구비한다.
링크 기구(90)는 2개의 링크암, 즉 제 1 링크암(94)과 제 2 링크암(95)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2개의 링크암(94, 95)은 모두 3개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1)는 제 1 받침대 지지체(910)에, 중간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2)는 제 2 받침대 지지체(920)에, 상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3)는 제 3 받침대 지지체(930)에 지지되어 있다. 또, 제 1 받침대 지지체(910)의 후단부에는 핸들(911)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운전자의 운전 좌석(12)으로의 승강의 어시스트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제 1 받침대 지지체(910)를 제 1 링크암(94)과 제 2 링크암(95)의 하단부에, 제 2 받침대 지지체(920)를 제 1 링크암(94)과 제 2 링크암(95)의 중간부에, 또한, 제 3 받침대 지지체(930)를 제 1 링크암(94)과 제 2 링크암(95)의 상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받침대 지지체(910)와 제 1 링크암(94)을 제 1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9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 1 받침대 지지체(910)와 제 2 링크암(95)을 제 2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 2 받침대 지지체(920)와 제 1 링크암(94)을 제 1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 2 받침대 지지체(920)와 제 2 링크암(95)을 제 2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 3 받침대 지지체(930)와 제 1 링크암(94)을 제 1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 3 받침대 지지체(930)와 제 2 링크암(95)을 제 2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98)은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행 차체(2)의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단일의 종프레임(980)과, 이 종프레임(980)의 상단부에 부착된 횡프레임(981)으로 구성된다. 횡프레임(981)은 차체 프레임(30)을 따라,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링크 기구(90)의 2개의 링크암(제 1 링크암(94) 및 제 2 링크암(95))을 지지하고 있다. 즉, 제 1 링크암(94)과 제 2 링크암(95)의 각 중도는 횡프레임(981)에 설치한 2개의 피봇축(944, 954)에 각각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링크암(94) 및 제 2 링크암(95)의 각 하단부에 각각에 설치된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941, 951)을 통해서 하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각 상단부에 각각에 설치된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 953)을 통해서 상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3)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제 1 링크암(94) 및 제 2 링크암(95)의 각 중간 위치이며, 피봇축(944(954))과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953)) 사이에 각각에 설치된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42(952))을 통해서 중간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98)은 모종 적재부 연결부(300)를 통해 차체 프레임(30)에 연결된다. 즉, 모종 이식기(1)는, 지지 프레임(98)을 통해 예비 모종 적재부(9)를 차체 프레임(30)에 연결하는 모종 적재부 연결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적재부 연결부(3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이 차체 프레임(30)(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수평 돌출부(340)와, 이 수평 돌출부(340)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어서는 지주(310)와, 이 지주(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암체(320)를 구비한다.
즉, 지주(310)는 모종 적재부 연결부(300)는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암체(320)는 기단이 지주(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선단이 종프레임(980)의 하단에 연결되어서, 이 종프레임(980)을,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먼 제 1 위치로부터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가까운 제 2 위치까지 선회시킨다. 수평 돌출부(340)의 기단에는 차체 프레임(30)(도 1 참조)과 연결되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수평 돌출부(340)와 지주(310)를 별도의 부재로서 설명했지만, 지주(310)로서, 기단에 플랜지부(26)를 갖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각통체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모두 단일의 각통체에 의해 형성된 종프레임(980)과 지주(310)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의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된다(도 3∼도 5 참조).
또한, 지주(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체(320)는, 기단부를 지주(310)의 상단부에 설치한 회동부(3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도)마다 스토퍼 핀에 의해 록킹되어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모종 이식기(1)로서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9)를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먼 제 1 위치에 위치시키는 한편, 모종 이식기(1)를 트럭 짐받이 등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헛간 등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예비 모종 적재부(9)가 주위의 물체와 간섭하지 않도록 차체 프레임(30)에 대하여 가까운 제 2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암체(320)는 주행 차체(2)의 폭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링크 기구(90)의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적층 상태(도 3 참조)와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는 전개 상태(도 5 참조) 중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암체 (320)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링크 기구(90)와 같이 예비 모종 적재부(9)를 주행 차체(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구와, 회동부(330)에 연결되는 암체 (320)와 같이, 예비 모종 적재부(9)를 주행 차체(2)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기구와의 위치가 완전히 멀어지게 되므로,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그 만큼 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예비 모종 적재부(9)는, 링크 기구(90)를 동작시켜서 전개 상태로 할 때에는, 링크 기구(90)를 구성하는 2개의 링크암(제 1 링크암(94) 및 제 2 링크암(95))끼리가 접촉함으로써 3개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의 자세가 전개 상태로 규제된다.
따라서,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의 자세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 스토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부품 삭감 및 경량화가 도모되어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98)에 있어서의 횡프레임(981)의 상면에는 연통 구멍(982)이 형성되어 있고,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종프레임(980)의 중공부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통 구멍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횡프레임(981)의 상측에는 링크 기구(90)를 요동시키기 위한 모터(96)가, 이 모터(96)의 회전축에 맞물려서 회동하는 부채 형상의 기어(97)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96)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 등을 정리한 하니스를, 연통 구멍(982)으로부터 종프레임(980)의 내부를 통과해서 배색할 수 있어, 하니스와 링크암(94, 95)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관을 손상시킬 일도 없다.
또, 부채 형상의 기어(97)는 기단부가 피봇축(954)에 고착되어, 기어(97)의 회전에 따라 제 2 링크암(95)이 회동하고, 동시에 제 1 링크암(94)도 제 2 링크암(95)과 동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1)의 후단의 위치(P1)는, 상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2, 93)의 후단의 위치(P2, P3)보다 주행 차체(2)의 후방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스테이지로부터 하부 스테이지에 걸쳐서, 예비 모종 적재대(91)의 후단이 점차 후방 근처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방부에 있어서의 하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1)와 중간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2) 사이의 공간, 및 중간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2)와 상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93)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기 때문에, 하방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91(92))로부터의 모종의 인출이 용이해진다.
1 : 모종 이식기
2 : 주행 차체
9 : 예비 모종 적재부
14 : 전륜(주행 장치)
15 : 후륜(주행 장치)
16 : 모종 식부부
30 : 차체 프레임
90 : 링크 기구
91 : 하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
92 : 중간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
93 : 상부 스테이지의 예비 모종 적재대
94 : 제 1 링크암
95 : 제 2 링크암
98 : 지지 프레임
300 : 모종 적재부 연결부
310 : 지주
320 : 암체
941 :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
951 :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
942 :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
952 :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
943 :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
953 :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
944 : 피봇축
954 : 피봇축
980 : 종프레임
981 : 종프레임
982 : 연통 구멍

Claims (4)

  1. 주행 장치(14, 15)를 구비하는 주행 차체(2)와, 상기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연결된 모종 식부부(16)와, 상기 주행 차체(2)의 측부에 설치된 예비 모종 적재부(9)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 모종 적재부(9)는 지지 프레임(98)과, 복수의 링크암을 구비하는 링크 기구(90)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98)에 지지되는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98)은, 상기 주행 차체(2)의 차체 프레임(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단일의 종프레임(980)과, 상기 종프레임(980)의 상단부에 상기 차체 프레임(20)을 따라 연장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링크 기구(90)를 지지하는 횡프레임(981)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기구(90)는 2개의 링크암(94, 95)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은 모두 상기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91, 92, 9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예비 모종 적재부(9)는 적어도 3 스테이지 이상의 예비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암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링크암(94, 95)이며,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의 각 중도를, 상기 지지 프레임(98)의 상기 횡프레임(981)에 설치한 2개의 피봇축(944, 954)에 각각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링크암(94, 95)의 각 하단부에 각각에 설치된 하부 스테이지 회동축(951)을 통해서 하부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각 상단부에 각각에 설치된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 953)을 통해서 상부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링크암(94, 95)의 각 중간 위치이며, 상기 피봇축(944, 954)과 상기 상부 스테이지 회동축(943, 953) 사이에 각각에 설치된 중간 스테이지 회동축(942, 952)을 통해서 중간 스테이지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9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98)에 있어서의 상기 횡프레임(981) 상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종프레임(980)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982)이 형성되고, 상기 횡프레임(981) 상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 구멍(982)의 근방에, 상기 링크 기구(90)를 요동시키기 위한 모터(9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의 후단은, 상부 스테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의 후단보다, 상기 주행 차체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KR1020200107088A 2020-02-03 2020-08-25 모종 이식기 KR20210098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6589 2020-02-03
JP2020016589A JP7001109B2 (ja) 2020-02-03 2020-02-03 苗移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21A true KR20210098821A (ko) 2021-08-11

Family

ID=7703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88A KR20210098821A (ko) 2020-02-03 2020-08-25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01109B2 (ko)
KR (1) KR20210098821A (ko)
CN (2) CN113207374A (ko)
TW (2) TWM61113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5739A (ja) 2013-06-07 2013-08-29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5315B2 (ja) 2008-03-28 2013-09-11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5625418B2 (ja) 2010-03-19 2014-11-1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5633547B2 (ja) 2012-09-28 2014-12-0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13243951A (ja) 2012-05-24 2013-12-09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5159777A (ja) 2014-02-28 2015-09-07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485113B2 (ja) 2015-02-27 2019-03-2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5739A (ja) 2013-06-07 2013-08-29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07374A (zh) 2021-08-06
TWM611130U (zh) 2021-05-01
JP7001109B2 (ja) 2022-01-19
TW202130263A (zh) 2021-08-16
JP2021122207A (ja) 2021-08-30
CN213960731U (zh)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30094A (ja) 歩行型田植機及び歩行型田植機のスタンド
KR20210098821A (ko) 모종 이식기
JP3756843B2 (ja) 乗用型多条植移植機
JP2009131152A (ja) 苗植機
JP2009131152A5 (ko)
JP6135049B2 (ja) 苗移植機
JP6776863B2 (ja) 作業車両
JP5348310B2 (ja) 苗移植機
JP2007159592A (ja) 乗用型苗植機
JPH04103476A (ja) 農用作業車
JP2015159777A (ja) 苗移植機
JP2015195742A (ja) 苗移植機
JP7342914B2 (ja) 作業車両
JP2012175978A (ja) 苗移植機
JP7359190B2 (ja) 乗用型苗植機
WO2022014187A1 (ja) 水田作業機
JP5510589B2 (ja) 苗移植機
JP5114888B2 (ja) 苗移植機
JP6020652B2 (ja) 苗移植機
JP3248714B2 (ja) 乗用農作業機
JP2024008650A (ja) 乗用型苗植機
JP2024042441A (ja) 乗用型苗植機
JPH0321521A (ja) 農作業機
JP5776742B2 (ja) 苗移植機
JP2020195309A (ja) 作業車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