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93A - 조리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93A
KR20210097993A KR1020200011658A KR20200011658A KR20210097993A KR 20210097993 A KR20210097993 A KR 20210097993A KR 1020200011658 A KR1020200011658 A KR 1020200011658A KR 20200011658 A KR20200011658 A KR 20200011658A KR 20210097993 A KR20210097993 A KR 2021009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intaglio
cooking
embossed
stainle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209B1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티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티,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01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요철형태의 양각 및 음각부를 형성하되, 조리용기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음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코팅층이 도포된 논-스틱음각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논-스틱 음각부에 놓인 음식물은 코팅층에 의해 눌러붙거나 타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음각부 및 양각부를 통한 음식물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눌러붙는 현상을 줄임과 더불어 논-스틱음각부를 통한 일반적인 조리용기의 논-스틱 효과까지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음식물의 눌러붙음 현상없이 조리용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요철형태의 양각 및 음각부를 형성하되, 조리용기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음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코팅층이 도포된 논-스틱음각부를 형성하여 음식물과 조리용기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목적으로 각종 조리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에 해당하는 냄비, 후라이팬등은 조리상황시 음식물이 표면에 눌어붙어 깨끗한 조리상태를 얻지 못하거나, 조리시 첨가되는 각종 양념류가 지니는 화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해한 화학반응물의 생성과 부식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용구의 내면 표피에는 논-스틱(NON-STICK)기능( 즉, 음식물이 용기의 표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피막을 적층시킨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1937 호(출원번호 : 제 91-16005 호)에는 조리용기의 표면 피막처리 기술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소개된 기술내용을 보면, 조리용구에 해당하는 솥, 냄비, 후라이팬 등이 알루미늄 소재 또는 알루미늄합금 소재로 제조된 것에 있어서, 조리면에 해당하는 내면부위에 세라믹층과 테프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음식물에 대한 분리성과 내식성을 증대시키고 테프론층의 양호한 접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조리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모재 내면에 단순히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을 적층시켜 제조함으로서, 외부 충격이나 혹은 조리과정에서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견딜 수 없는 온도에 도달하면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쉽게 벗겨져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으로 이루어진 피막층이 훼손된 부위는 논-스틱 효과를 상실하게 되며, 또한 훼손된 피막층이 음식물에 섞여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04387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형태로 절단된 스테인레스판 위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판 위에 부착된 필름에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필름의 구멍으로 잉크를 통과시켜 상기 구멍에 잉크를 채워 넣은 다음, 상기 필름을 떼어내 상기 스테인레스판 표면에 상기 구멍과 동일한 패턴의 잉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잉크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을 부식용액 속에 담궈 상기 잉크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을 부식시켜 요철형태의 음각부와 양각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테인레스판에서 잉크층을 제거한 후, 상기 스테인레스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며 바닥면으로 요철형태의 음각부와 양각부가 형성된 조리용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음각부와 양각부에 일정두께의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리용기의 양각부에 형성된 코팅층을 제거하여 음각부에만 코팅층을 제한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과 같은 조리용기는 바닥면에 형성된 음각부 및 양각부를 통해 음식물과 조리용기 바닥면과의 접촉을 줄여 음식물의 눌러붙는 현상을 줄이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의 조리용기는 요철 형태의 음각 및 양각부를 통해 조리과정에서 조리기구가 음각 및 양각부에 걸려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특히 양각부는 어쩔수 없이 음식물에 접촉할 수 밖에 없어 시중에 나와 있는 피막층을 형성하여 논-스틱 기능을 가진 일반적인 조리용기에 비해서는 음식물의 눌러붙는 현상을 효과적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1937 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80438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요철형태의 양각 및 음각부를 형성하되, 조리용기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음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코팅층이 도포되어 있는 논-스틱음각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논-스틱음각부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통해 음식물이 조리용기에 눌러붙는 것을 줄이고, 또한 양각부 및 음각부를 통한 음식물과 조리용기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 전체에 걸쳐 음각부 및 양각부가 요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기 음각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코팅층이 도포되어 있는 논-스틱 음각부가 형성된 조리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으로는 논스틱-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논스틱-구멍의 주위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필름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필름을 원형의 형상으로 절단 성형된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필름 위로 부식액을 도포하여 상기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논스틱구멍과 다수개의 구멍으로 부식액이 함침되도록 하여 상기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에 상기 논스틱구멍과 다수개의 구멍에 대응하는 논스틱 음각부과 다수개의 음각부 및 양각부를 부식시켜 형성하는 제 3단계, 상기 논스틱음각부와 음각부 및 양각부가 형성된 상기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논스틱음각부와 음각부 및 양각부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논스틱음각부와 음각부 및 양각부에 코팅층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의 표면을 연삭 가공하여 상기 양각부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만 연삭 제거하는 제 5단계, 상기 양각부에 코팅층이 제거된 스테인레스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조리용기로 성형하는 제 6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요철형태의 양각 및 음각부를 형성하되, 조리용기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음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코팅층이 도포된 논-스틱음각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논-스틱 음각부에 놓인 음식물은 코팅층에 의해 눌러붙거나 타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음각부 및 양각부를 통한 음식물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눌러붙는 현상을 줄임과 더불어 논-스틱음각부를 통한 일반적인 조리용기의 논-스틱 효과까지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음식물의 눌러붙음 현상없이 조리용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하나의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하지만 아래에 기술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사상을 이루기 위한 최상의 실시 예를 기술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상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100)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리용기(100)는 스테인레스판(10)을 원형으로 절단한 후,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상단이 개방되고 측벽과 바닥을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 외면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의 알루미늄판과 스테인레스판이 더 접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판은 내구성은 취약하나, 열의 전도성이 높아 스테인레스판으로 가해지는 열을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전도시키게 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은 열의 전도성은 알루미늄판에 비해 취약하나, 내구성이 높아 알루미늄판의 강도를 보강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을 이루는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즉,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일정 패턴 형태로 양각부(16) 및 음각부(1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음각부(12) 및 양각부(16)는 요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스테인레스판(10)에 눌러 붙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는 데, 이는 요철형태의 음각부(12) 및 양각부(16)가 음식물과 조리용기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줌으로서 가능해진다.
또한 조리과정에서 음각부(12)에 담겨지는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스테인레스판(10)에 눌러 붙는 것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즉, 조리용기(10)를 가열시키게 되면 기름은 조리용기의 스테인레스판(10)에 형성된 음각부(12)내에 담겨지게 되고, 이후 음식물을 조리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가열시키게 되면 상기 음각부(12)에 담겨져 있는 기름은 끓어 오르며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음식물은 상기 기포에 의해 조리용기(100)의 바닥면에서 미세하게 들려지게 됨으로서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용기(100)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음각부(12)에는 일정 두께만큼의 코팅층(212)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212)은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용기(100)의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212)은 음각부(12)의 깊이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하여 코팅층(212)이 음각부(12)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음각부(12)에만 제한적으로 코팅층(212)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는 조리과정에서 뒤집개 등의 조리기구(미 도시 함)로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긁는 과정에서 조리기구와 코팅층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조리기구에 의해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100)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된 음각부(12)에만 일정두께의 코팅층(212)이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기구는 양각부(16)에만 접촉이 일어날 뿐, 함몰부인 음각부(12)에는 조리기구가 닿이지 않음으로서 조리기구가 음각부의 코팅층에 접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 영구적으로 코팅능력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음으로서 음식물에 코팅층이 섞일 우려가 없어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바닥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논-스틱음각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논-스틱 음각부(14)는 상기 음각부(12)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되, 상기 음각부(12)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 중앙에 함몰 형성되며, 또한 상기 논-스틱 음각부(14)에는 상기 음각부(12)에 도포되는 코팅층(212)과 동일한 재질의 코팅층(2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논-스틱 음각부(14)는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음식물이 스테인레스판(10)의 내면에 눌러붙는 것을 최소화한다.
즉,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음각부(12) 및 양각부(16)를 형성하면 음식물과 스테인레스판(10)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음식물의 눌러붙음을 줄일 수 있는 반면 양각부에는 음식물이 접촉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양각부(16)에 접촉된 음식물에는 눌러붙거나 탄 흔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스테인페스판(10)의 내면 중앙에는 양각부(16)를 없애고 원형의 논-스틱 음각부(14)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논-스틱음각부(14)에 코팅층(214)을 입혀구성함으로서 상기 논-스틱 음각부(14)에 놓인 음식물은 코팅층(214)에 의해 눌러붙거나 타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음각부(12) 및 양각부(14)를 통한 음식물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눌러붙는 현상을 줄이고, 여기에 논-스틱음각부(14)를 통한 일반적인 조리용기의 논-스틱 효과까지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음식물의 눌러붙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단계(S1)]
먼저, 중앙으로는 논스틱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논스틱구멍(114)의 주위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112)이 관통 형성된 필름(110)을 제조하여 준비한다.
[제 1단계(S2)]
조리용기(100)의 소재가 되는 스테인레스판(10)을 원형의 형태로 절단하여 준비한 다음, 상기 절단된 스테인레스판(10) 위에 제 1단계의 필름(11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필름(110)에 형성된 구멍(112)들은 스테인레스판(10)의 내면에 형성될 음각부(12)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필름(110)의 중앙부에는 논-스틱구멍(11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논-스틱 구멍(114)은 스테인레스판(10)의 내면 중앙에 형성될 논-스틱 음각부(14)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제 3단계(S3)]
제 2단계를 거쳐 스테인레스판(10) 위에 필름(110)을 부착한 다음, 상기 필름(110) 위로 부식액을 도포하도록 한다. 이때 부식액(310)은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12)과 논-스틱구멍(114)을 통과하여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접촉한 다음,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을 부식시키게 된다. 즉, 필름(110)을 통과하지 못한 부식액을 제외한 상기 필름(110)의 구멍(112)과 논-스틱구멍(114)을 통과한 부식액(310)은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을 부식시키게 됨으로서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는 필름(110)의 구멍(1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음각부(12)가 형성되는 데, 이때 음각부(12)의 사이 사이에는 부식이 일어나지 않아 양각부(16)가 자연스럽게 돌출 형성된 모양이 되고 따라서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는 양각부(16) 및 음각부(12)를 통한 전체적인 요철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 중앙에는 필름(110)의 논-스틱구멍(114)에 대응하는 형상의 논-스틱 음각부(14)가 부식 형성된다.
[제 4단계(S4)]
제 3단계인 부식단계를 거쳐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음각부(12)와 양각부(16) 그리고 논-스틱음각부(14)가 형성되고 나면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코팅액(210)을 도포하여 양각부(16)와 음각부(12) 그리고 논-스틱음각부(14)에 코팅층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액은 테프론이나 세라믹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5단계(S5)]
다음,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양각부(16)에 도포되어 있는 코팅층을 벗겨 조리기구와의 접촉으로 인해 양각부(16)의 코팅층이 벗겨내도록 하여 음식물에 섞일 위험을 방지한다. 상기 양각부(16)에 형성된 코팅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연마, 혹은 연삭가공등의 기계적인 가공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회전지그에 스테인레스판(10)을 고정시킨 다음, 구동원의 동력으로 회전지그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연마지를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접촉시키게 되면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으로 돌출된 양각부(16)의 코팅층만 연마지에 닿이게 됨으로서 양각부(16)의 코팅층만 벗겨지게 되고, 음각부(12)와 논-스틱음각부(14)에는 코팅층(212, 214)이 코팅된 상태가 된다.
[제 6단계(S6)]
상기 3단계를 거쳐 양각부(16)에 코팅층을 제거된 스테인레스판(10)은 프레스금형으로 이송시켜 프레스 가공하게 되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조리용기(10)가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음각부(12) 및 양각부(16)의 요철 형태를 통해 음식물의 접촉을 줄여 음식물이 조리용기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각부(12)와 논-스틱음각부(14)에는 코팅층(212, 214)이 코팅되어 있음으로서 조리시 음식물이 논-스틱 음각부(212) 위에 놓이게 되면 일반적으로 코팅층을 가진 조리용기와 같은 논-스틱 효과를 얻어 논-스틱음각부(212)에 접촉된 음식물의 접촉면은 눌러붙지 않게되며, 따라서 음각부(12) 및 양각부(16)의 요철형태 그리고 코팅층(214)이 존재하는 논-스틱음각부(14)를 통해 조리중인 음식물이 조리용기에 눌러붙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중앙으로 논스틱 음각부가 형성되고 그 외곽면에는 음각부 및 양각부가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로 함몰 형성하되, 상기 논스틱음각부 및 음각부의 표면에는 도트잉크층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에 차이를 가진다. 상기 도트잉크층은 조리과정에서 조리기구인 뒤집개가 음각부나 논스틱음각부의 바닥면에 닿으려 할 때, 상기 도트잉크증이 뒤집개를 막아주도록 하여 뒤집개가 음각부 및 논스틱음각부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하는것을 차단하여 음각부 및 논스틱음각부의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중앙으로 논스틱 음각부가 형성되고 그 외곽면에는 음각부 및 양각부가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로 함몰 형성하되, 상기 논스틱음각부의 코팅층에 안료를 첨가하여 컬러풀한 색상의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논스틱음각부의 시각적인 차별화를 구현할 수 있다.
10: 스테인레스판 12: 음각부
14: 논-스틱음각부 16: 양각부
110: 필름 112: 구멍
114: 논스틱구멍 310: 부식액
210: 코팅액 212, 214: 코팅층

Claims (1)

  1. 바닥면 전체에 걸쳐 음각부(12) 및 양각부(16)가 요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기 음각부(1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코팅층이 도포되어 있는 논-스틱 음각부(14)가 형성된 조리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으로는 논스틱-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논스틱-구멍(114)의 주위를 따라 다수개의 구멍(112)이 관통 형성된 필름(110)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필름(110)을 원형의 형상으로 절단 성형된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필름(110) 위로 부식액(310)을 도포하여 상기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는 논스틱구멍(114)과 다수개의 구멍(112)으로 부식액이 함침되도록 하여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상기 논스틱구멍(114)과 다수개의 구멍(112)에 대응하는 논스틱 음각부(214)과 다수개의 음각부(212) 및 양각부(216)를 부식시켜 형성하는 제 3단계;
    상기 논스틱음각부(214)와 음각부(212) 및 양각부(216)가 형성된 상기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논스틱음각부(14)와 음각부(12) 및 양각부(16)에 코팅층(212, 214, 216)을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논스틱음각부(14)와 음각부(12) 및 양각부(16)에 코팅층(212, 214, 216)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0)의 표면을 연삭 가공하여 상기 양각부(16)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만 연삭 제거하는 제 5단계;
    상기 양각부(16)에 코팅층이 제거된 스테인레스판(10)을 프레스 가공하여 조리용기로 성형하는 제 6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0200011658A 2020-01-31 2020-01-31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5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58A KR102351209B1 (ko) 2020-01-31 2020-01-31 조리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58A KR102351209B1 (ko) 2020-01-31 2020-01-31 조리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93A true KR20210097993A (ko) 2021-08-10
KR102351209B1 KR102351209B1 (ko) 2022-01-14

Family

ID=7731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58A KR102351209B1 (ko) 2020-01-31 2020-01-31 조리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03A (ko) * 2021-10-22 2023-05-03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87B1 (ko) 2007-07-09 2008-02-15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30026049A (ko) * 2011-09-05 2013-03-13 오기환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구조 및 코팅방법
KR20140036638A (ko) * 2012-09-17 2014-03-26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KR101392095B1 (ko) * 2013-02-25 2014-05-07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894663B1 (ko) * 2017-04-18 2018-09-04 박정빈 조리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87B1 (ko) 2007-07-09 2008-02-15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30026049A (ko) * 2011-09-05 2013-03-13 오기환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구조 및 코팅방법
KR20140036638A (ko) * 2012-09-17 2014-03-26 쿠쿠전자주식회사 조리기용 내솥
KR101392095B1 (ko) * 2013-02-25 2014-05-07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894663B1 (ko) * 2017-04-18 2018-09-04 박정빈 조리용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1937 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203A (ko) * 2021-10-22 2023-05-03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09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387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US757153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US11058252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n interior surface of partially coated stainless steel
CN109349912B (zh) 一种带凹凸花纹的异型不粘锅制作工艺
KR101324031B1 (ko)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방법
CN1110391A (zh) 具有消除底部变形功能的炊具
US10716425B2 (en) Item of cookware having a textured outer face made of textured stainless steel
KR10192280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51209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392095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067297B1 (ko)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KR101468795B1 (ko) 조리용기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220164884A (ko) 조리용기
KR102248411B1 (ko)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60128264A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0977667B1 (ko) 조리용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75891A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00034138A (ko)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20061315A (ko) 음각부식표면 문양을 갖는 스텐레스 주방용품
KR20170057188A (ko) 조리용기
KR20170104960A (ko) 기능성 프라이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