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203A -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203A
KR20230058203A KR1020210141516A KR20210141516A KR20230058203A KR 20230058203 A KR20230058203 A KR 20230058203A KR 1020210141516 A KR1020210141516 A KR 1020210141516A KR 20210141516 A KR20210141516 A KR 20210141516A KR 20230058203 A KR20230058203 A KR 20230058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 plate
mold
rolling
material clad
em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788B1 (ko
Inventor
배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클래드텍
Priority to KR102021014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788B1/ko
Priority to CN202211286971.8A priority patent/CN116000560A/zh
Publication of KR2023005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판상의 표면에 사방연속된 육각형 음각과 각각의 육각형 내부 중앙에 형성된 도트 음각이 형성된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알루미늄을 중간층으로 해서 그 내외로 스테인레스층이 접합된 3중 클래드판 소재를 마련하는 단계, 압연롤의 가동 받침판에 구비된 금형 지지틀 내에 상기 금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소재 클래드판의 표면이 상기 금형 지지틀 내에 장착된 금형과 면접촉을 이루는 상태로 겹쳐진 상태로 정착시키는 단계, 압연롤 장치를 가동하여 하부롤의 가압회전과 함께 가동 받침판의 이동으로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소재 클래드판의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에 논-스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양각부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선택적으로 연마해서 제거해 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은 압연롤 장치를 이용한 냉간 압연에 의한 소재 클래드판 표면의 소성 변형의 결과로 양각부와 음각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바닥 표면부가 생성되므로 종래의 에칭을 통한 바닥 표면부 요철표면 형성 방식에 비해서 작업 공정과 작업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Description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BOTTOM SURFACE OF PAN}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사용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중간에 알루미늄층이 개재된 3중 클래드판의 표면에 압연으로 사방 연속된 육각형의 양각부와 양각부로 둘러싸인 음각부 중앙에 양각 도트가 형성되도록 하 고, 음각부에만 논-스틱(non-stick) 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한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의 조리시에 가열기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내부에 담겨진 조리 대상t식재료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금속 재질의 팬이나 냄비 등의 조리 용기의 경우, 조리 중에 종종 식재료가 용기 바닥의 표면에 눌어붙게 되어 원래 의도한 조리가 제대로 이루이지지 않게 되고, 그와 같은 조리 용기의 세척시 눌어붙은 식재료를 제거해 내는 것이 수월치 않아서 부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조리 용기 바닥면에의 눌어붙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리 용기의 바닥에 논-스틱 기능이 구비된 코팅층을 형성하여 식재료가 금속재 요리용기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논-스틱 특성과 더불어 내부식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한 조리 용기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 조리 용기용 논-스틱 코팅층은 불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테프론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지층과 세라믹층을 적층시킨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소재와 적층 형태가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논-스틱 코팅층에 대한 개발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논-스틱 코팅층은 조리 용기의 사용 초기에는 대체로 만족스러운 기능을 발휘하기는 하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리 과정이나 세척 과정에서 코팅층에 접촉하는 다른 물체, 특히 금속성 조리용구나 세척솔을 비롯한 수세미 등과의 접촉 과정에서, 때로는 외부로부터 코팅층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마찰 등에 의해서 논-스틱 코팅층이 손상되거나 벗겨져 나가서 원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조리 용기의 사용 수명을 다하게 됨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일상이라 할 것이다.
최근 경향의 하나로서, 논-스틱 코팅층의 장점을 유지한 가운데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스틱 코팅층이 도포된 조리 용기의 바닥 표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대상 식재료와 용기 바닥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축소해서 조리 대상물이 바닥면에 들러붙게될 여지를 낮춤과 아울러 논-스틱 코팅층이 뒤지개나 세척 용구 등의 외부 물체와 접촉하거나 충격을 받을 가능성을 낮추는 비평탄 바닥면으로 형성한 몇몇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비평탄 바닥면이 구비된 조리 용기에 관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 등록특허 제10-1392095호에는 스테인레스 판체에 투공성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여 레지스트 잉크층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부식액의 분사를 통한 선택적인 식각이 이루어지도록 해서 사방 연속된 육각형과 그 내부 중앙의 도트 부위를 제외한 육각형 내부 공간의 표면이 깍여져 나감으로써 상대적으로 돌출된 사방 연속된 육각형및 도트 양각부와 육각형 내부의 상대적으로 패여진 음각부로 이루어진 비평탄 바닥면을 형성하고 그 위에 논-스틱 코팅층을 형성하여 조리 용기의 바닥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1894663호에는 상기 등록특허 제10-1392095호와 유사하게 스테인레스 판체의 표면에 레지스트 잉크층을 형성하고 부식액으로 채워진 부식액조에 함침시켜 선택적인 표면부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닥면상에 양각부와 음각부가 연속된 비평탄 표면을 얻고, 상기 비평탄 바닥면 중에서 음각부에만 선택적으로 1차 코팅을 행한 다음에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 중간층 형성, 탑 코팅층을 순차적으로 행하여 2중층의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한 조리 용기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용기 바닥면을 에칭 용액에 노출시켜 선택적인 부식의 결과로 돌출 양각부가 상대적으로 도드라지게 하여 비평탄면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단일 재질의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스테인레스 판체의 표면에 선택적인 식각이 이루어지기까지 과정으로서의 필름을 이용한 레지스트 잉크 패턴 형성 과정과 형성된 패턴에 따라 산성 용액인 부식액에 노출 또는 침지시켜 선택적인 부식에 의한 식각이 이루어지기까지 번거로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고 부식액에 의한 최종적인 식각이 완성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함과 더불어 동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도 넓게 차지하기에 경제성 및 생산 비용의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의 에칭 방식에 의한 비평탄 바닥면 형성 방법에서는 표면 식강을 위해 사용되는 부식액이 산성 용액이기 때문에 사용된 부식액의 처리 및 폐기에 고질적인 환경적인 문제가 뒤따르고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은 부식액을 사용하여 조리 용기의 바닥면을 비평탄 요철면으로 형성하는 종래 방식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제반 문제의 단초로서 작용하는 화학적인 에칭을 통해서 요철 표면을 갖는 용기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방식으로서의 냉간 압연으로 소재의 바닥 표면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사방 연속된 육각형의 양각부와 양각부로 둘러싸인 음각부 및 음각부 중앙의 양각 도트를 포함하는 비평탄 바닥면을 형성하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압연에 의해 바닥면에 요철 무늬를 갖는 비평탄 표면부가 성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단일 재질의 금속 판체가 아닌 소성가공성이 뛰어난 연성 재질의 알루미늄을 중간층으로 해서 그 상,하부에는 스테인레스 금속 시트가 접합된 3중 클래드판을 가공대상 소재로 제공하여 단박에 원활한 비평탄면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은; 평탄한 원판상의 표면에 사방연속된 육각형 음각과 각각의 육각형 내부 중앙에 형성된 도트 음각이 형성된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알루미늄을 중간층으로 해서 그 상,하로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층이 접합된 3중 클래드판을 재단하여 소재 클래드판을 마련하는 단계; 압연롤 장치의 가동 받침판에 구비된 금형 지지틀 내에 상기 금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소재 클래드판의 표면이 상기 금형 지지틀 내에 장착된 금형에 올려놓는 단계; 상기 금형에 놓여진 소재 클래드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압연롤의 하부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압연롤 장치를 가동하여 하부롤의 가압회전과 함께 가동 받침판의 이동으로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금형으로부터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을 레벨링 기기에 통과시켜서 소재 클래드판의 휨을 보정하는 단계; 소재 클래드판의 압연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고 건조시켜서 논-스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연마기를 이용하여 양각부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연마제거하는 단계; 상기 소재 클래드판을 드로잉하여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이 용기의 바닥면을 이루는 내용적을 갖는 형태로 드로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소재 클래드판은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의 하나로, 알루미늄 중간층을 중심으로 스테인레스 상,하층이 접합된 3중(3-ply)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지는바, 이때 3중 클래드판의 전체 두께는 2.0 ∼ 3.0mm 범위가 바람직하고, 알루미늄 중가층의 두께는 스테인레스 상층과 하층의 합쳐진 두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중 클래드판의 전체 두께는 약 2.3mm 이고, 스테인레스상층은 304계열로서 그 두께는 0.4mm이며, 알루미늄 중간층 두께는 1.4mm, 그리고 스테인레스 하층은 430계열로서 두께는 0.5mm 이다.
특히, 상기 3중 클래드판에서 용기 외면을 구성하게 되는 스테인레스 하층이 430계열인 때에는 용기 전체가 인덕션 반응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열효율과 열보존율면에서도 유리하다.
한편, 압연 단계에서 금형과 직접 접촉하는 스테인레스 상층의 두께는 그 안쪽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의 알루미늄 중간층 두께의 절반 이하로 얇기 때문에 압연 단계에서 하중이 가해졌을 때 스테인레스 상층과 함께 그 안쪽의 알루미늄 중간층에서도 동반해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면서 금형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요철면을 갖는 표면으로의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소재 클래드판의 압연 단계에 사용되는 압연롤 장치는 상부롤과 하부롤로 구성되는바, 하부롤은 직접 소재 클래드판과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워크롤의 기능을 하고 상부의 상대적으로 큰 롤은 워크롤을 통한 힘의 전달과정에서 워크롤이 휘어지게 될 경우를 감안하여 이를 받쳐주기 위한 백업롤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롤의 아래쪽에는 하부롤을 중심으로 왕복 수평이동이 가능한 금형 받침판이 위치하고 그 금형 받침판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금형 지지틀 내에 요철면을 갖는 원판상의 금형 표면이 위쪽을 향해 노출된 상태로 안착된다.
한편, 상기 압연롤 장치는 장치를 중심으로 양쪽편에 작업자가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압연롤의 회전방향을 바꿔가면서 압연을 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압연의 결과로 반대편으로 이동되어 나온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을 새로운 소재 클래드판으로 교체해서 올려 놓은 상태로 압연롤의 회전 방향을 이전과 반대로 해서 작동시키게 되면 소재 클래드판이 이번에는 반대편 작업자 측으로 이동하면서 압연이 이루어지게 되어, 두 작업자는 똑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행하게 됨으로써 신속하게 압연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상기의 압연 공정을 통해서 소재 클래드판의 표면에는 금형에 상응하는 요철 표면으로서 사방 연속된 육각형 양각부와 각 육각형으로 둘러싸인 음각부 및 음각부 내부 중앙에 돌출된 양각 도트가 형성된 비평탄 바닥 표면부가 형성된다. 이때 '육각형 양각부'는 자체 두게를 갖는 육각형의 돌출 테두리로서 그 돌출 테두리 내부는 빈 공간이 되고, 그 빈 공간의 바닥부가 음각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마 공정을 통해서 육각형 양각부와 양각 도트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던 코팅층만이 제거되고, 음각부의 코팅층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서는 내부식성과 위생적인 측면에서 신뢰성이 담보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양각부 표면층이 국부적으로 드러난 채 그 아래에 코팅된 음각층이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서 논-스틱 특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재 뒤지개를 사용하더라도 음각부의 코팅층 손상이 방지되고, 더 나아가서는 조리 용기의 세척시 3M 녹색 수세미나 3M 철 수세미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은 압연롤 장치를 이용한 원-패스 (one-pass)의 냉간 압연에 의한 소성 변형의 결과로 양각부와 음각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바닥 표면부가 생성되므로 종래의 에칭을 통한 바닥 표면부 요철표면 형성 방식에 비해서 작업 공정과 작업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압연롤 장치의 조작에 숙련을 요하지 않는 간편한 작업으로 압연이 이루어지고 압연롤 장치 자체도 간단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압연 공정의 수행에 수반되는 설비비나 소요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산성 용액을 사용한 에칭 방식에서 초래되던 환경 문제와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적 방식에 해당한다.
도1의 (가),(나)는 본 발명에서 압연롤 장치를 사용한 압연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2는 (가) 내지 (라)는 본 발명 방법의 단계별 소재 클래드판의 변화 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가)는 압연 전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고,
(나)는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며,
(다)는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에 도포된 코팅층의 연마 전 단면도이고,
(라)는 연마 공정을 통해 양각부 상면의 코팅층이 제거된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다.
도3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방법에 의해 가공된 주방 용기의 사진으로서,
(가)는 용기 전체을 보인 것이고,
(나)는 일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 특징적인 공정과 구성을 비롯한 특유의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이 동반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의 (가),(나)는 본 발명에서 압연롤 장치를 사용한 압연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와 종단면도이고, 도2는 (가) 내지 (라)는 본 발명 방법의 단계별 소재 클래드판의 변화 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가)는 압연 전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고, (나)는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며,(다)는 압연된 소재 클래드판에 도포된 코팅층의 연마 전 단면도이고, (라)는 연마 공정을 통해 양각부 상면의 코팅층이 제거된 소재 클래드판의 단면도이다.
먼저, 평탄한 원판상의 표면에 사방 연속된 육각형 테두리 음각과 각각의 육각형 테두리 내부 중앙에 형성된 음각 도트가 형성된 금형(M)을 제작하여 도1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롤(2)과 하부롤(3)이 구비된 압연롤 장치(1)의 가동 받침판(4)의 금형 지지틀(5) 내에 고정시켰다. 이때 상기 금형 지지틀(5)에 고정된 금형(M)은 요철 표면부가 금형 지지틀(5)의 상단부와 동일한 평면을 이룬 상태로 금형 지지틀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다음, 도2의 (가)에서와 같은 알루미늄 중간층(11)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스테인레스 하층(12)이, 그리고 위로는 스테인레스 상층(13)이 접합된 3중 클래드판으로 이루어진 소재 클래드판(10)을 마련하였다. 상기 소재 클래드판(10)의 전체 두께는 2.3mm로서, 그 중 스테인레스 상층(13)의 두께는 0.4mm, 알루미늄 중간층의 두께는 1.4mm, 스테인레스 하층(12)는 0.5mm이었다.
상기 소재 클래드판(10)은 상기 금형(M)에 비해 약간 큰 직경을 원판상으로 재단하여 도1의 (가)에서와 같이 금형 지지틀(5)에 기 고정된 금형(M) 위에 올려놓았다. 이어서, 도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받침판(4)을 압연롤 장치(1)의 하부롤(3) 하단에 접촉하도록 밀어넣은 상태에서 압연롤 장치(1)를 가동시켜서 상부롤(2)과 하부롤(3)의 회전에 의해 하부롤(3)과 접촉 상태에 있는 소재 클래드판 (10)이 말려 들어가면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금형(M)과 소재 클래드판(10)의 접촉면간 압착으로 소재 클래드판(10)의 스테인레스 상층(13)에 양각부와 음각부가 생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압연롤 장치(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120톤 정도였다. 도1에서 미설명 부호 R은 가동 받침판(4)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봉상의 회전 롤러이다.
상기의 압연 공정은 압연롤 장치의 일측으로부터 공급된 소재 클래드판(10)을 포함한 금형(M)이 가압 접촉상태로 회전하는 하부롤(3)의 회전에 의해 반대쪽으로 빠져 나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소재 클래드판(10)이 상기 하부롤(3)을 벗어남으로써 압연 공정이 완료된다.
도2의 (나)는 압연 공정이 완료된 소재 클래드판(10)의 단면을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클래드판(10)의 스테인레스 상층(13)은 도2의 (가)에서와 같은 압연 전에 비해 돌출된 양각부(Sa)와 양각부 사이 사이의 상대적으로 패여진 음각부(Sb)가 연속된 비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양각부(Sa)는 사방 연속된 육육각형 돌출부로 둘러싸인 음각부(Sb)의 중앙에 돌출된 양각 도트(Saa)를 포함한 다.
상기와 같이 압연 전에 평탄하던 스테인레스 상층(13)이 압연 공정을 거치면서 서로 표면의 높이 차이가 있는 양각부(Sa)와 음각부(Sb)가 교호로 연속되는 비평탄면으로 소성변형을 하는 과정에서 그 아래쪽에 있는 상대적으로 연질인 알루미늄 중간층(11)도 상기 스테인레스 상층(13)의 변형에 동반해서 변형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조리 용기에 논-스틱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소재 클래드판(10)의 스테인레스 상층(13)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도2의 (다)에서와 같이 전체 영역에 걸쳐 코팅층(cl)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코팅층의 조성은 불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존이 테프론 코팅재로서 여기에 붉은색 계통의 안료가 첨가된 조성이 사용되었으며, 코팅층의 두께는 주방 용기 바닥면에 일반적으로 도포되는 코팅층의 두께 범위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코팅된 소재 클래드판(10)의 표면에 대하여 회전연마기를 이용하여 연마 작업을 행하였다. 이때의 연마는 상기 스테인레스 상층(13)의 양각부 (Sa, Saa) 상면에 국한하여 선택적인 코팅층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2의 (라)는 연마 작업에 의해서 양각부(Sa, Saa)의 코팅층이 제거된 상태의 소재 클래드판 단면도로서, 상기 양각부 상단면 이외의 음각부(Sb)는 코팅층 (cl) 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한편, 도3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방법에 의해 가공된 주방 용기의 사진으로서,(가)는 용기 전체을 보인 것이고, (나)는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서 바닥면 전체 영역 중에서 음각부(Sb)가 차지하는 비율이 양각부(Sa, Sa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음을 알 수 있다.
1. 압연롤 장치 2. 상부롤
3. 하부롤 4.가동 받침판
5. 금형 지지틀 M. 금형
10. 소재 클래드판 11.알루미늄 중간층
12. 스테인레스 하층 13. 스테인레스 상층
Sa. 양각부 Saa. 양각 도트
Sb. 음각부

Claims (6)

  1. 원판상의 표면에 사방연속된 육각형 테두리 음각과 각각의 육각형 내부 중앙에 도트 음각이 형성된 금형을 마련하는 단계;
    알루미늄을 중간층으로 해서 그 상,하로 알루미늄 이외의 금속층이 접합된 3중 클래드판을 제조하여 상기 금형에 상당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소재 클래드판을 마련하는 단계;
    압연롤 장치의 가동 받침판에 구비된 금형 지지틀 내에 상기 금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소재 클래드판이 상기 금형 지지틀 내에 장착된 금형과 겹쳐진 상태로 놓여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놓여진 소재 클래드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압연롤 장치의 하부롤 아래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압연롤 장치를 가동하여 하부롤의 가압회전과 함께 가동 받침판의 이동으로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압연에 의해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소재 클래드판의 표면에 논-스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연마기를 이용하여 양각부 상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제거해 내는 단계;
    상기 소재 클래드판을 드로잉하여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이 용기의 바닥면을 이루는 내용적을 갖는 형태로 드로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클래드판은 알루미늄 중간층의 상,하에 스테인레스 상층과 스테인레스 하층이 접합된 3중 클래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중간층의 두께는 상기 스테인레스 상층과 스테인레스 하층 두께의 합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중 클래드판의 전체 두께는 2.0 ∼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사방으로 연속된 육각형과 각각의 육각형으로 둘러싸인 음각부 중앙에 돌출된 양각 도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단계와 코팅층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소재 클래드판을 레벨링 기기에 통과시켜서 압연 공정에서 발생된 소재 클래드판의 휨을 보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바닥면 가공 방법.
KR1020210141516A 2021-10-22 2021-10-22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KR10257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16A KR102570788B1 (ko) 2021-10-22 2021-10-22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CN202211286971.8A CN116000560A (zh) 2021-10-22 2022-10-20 一种炊具底面的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16A KR102570788B1 (ko) 2021-10-22 2021-10-22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203A true KR20230058203A (ko) 2023-05-03
KR102570788B1 KR102570788B1 (ko) 2023-08-28

Family

ID=8603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516A KR102570788B1 (ko) 2021-10-22 2021-10-22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0788B1 (ko)
CN (1) CN11600056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9A (ja) * 2000-08-25 2002-03-05 Nisshin Steel Co Ltd 調理器用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0849Y1 (ko) * 2003-06-17 2003-10-22 이용근 후라이팬
KR100928428B1 (ko) * 2007-07-23 2009-11-24 신대양캣치올(주) 삼중구조를 갖는 대형 솥을 구비한 대용량 가스 국솥 및 대형 솥의 제조방법
KR101476146B1 (ko) * 2013-12-06 2014-12-24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210097993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이씨티 조리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9A (ja) * 2000-08-25 2002-03-05 Nisshin Steel Co Ltd 調理器用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0849Y1 (ko) * 2003-06-17 2003-10-22 이용근 후라이팬
KR100928428B1 (ko) * 2007-07-23 2009-11-24 신대양캣치올(주) 삼중구조를 갖는 대형 솥을 구비한 대용량 가스 국솥 및 대형 솥의 제조방법
KR101476146B1 (ko) * 2013-12-06 2014-12-24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210097993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이씨티 조리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00560A (zh) 2023-04-25
KR102570788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7247B1 (en) Cookware with selectively bonded layers
KR102349011B1 (ko) 부분적으로 코팅된 스테인레스강 내부면을 포함하는 요리 용기 및 요리 용기의 제조 방법
JP2006503731A (ja) 金属の装飾処理の方法
CN106820939A (zh) 复合底锅具的生产工艺
KR101856100B1 (ko) 논스틱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6681833B2 (ja) 模様付きステンレス鋼で作られた模様付き外側面を有する調理器具の製品
JP6419431B2 (ja) フッ素樹脂塗装さ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製品
KR102570788B1 (ko)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KR101087738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028419B1 (ko)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EP0928588B1 (en) Article of cookware with non-stick coat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92280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JP5236168B2 (ja) メッシュ一体型マスクの原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4972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FI100580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eittoastian, kuten paistinpannun tai kattilan valmistamiseksi
KR20140105957A (ko) 조리용기
EP1080806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non-stick frying-pan or saucepan
JP3639173B2 (ja) 炊飯器用内釜
CN111760773A (zh) 具有温度和油量指示的金属不粘器具的加工方法及产品
KR101286822B1 (ko) 조리용기의 색채 가공용 연마장치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EP1034859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ooking vessels and vessel obtained according to such process
KR102113051B1 (ko) 클래드재의 엠보싱 가공 방법
KR101293429B1 (ko) 조리용기의 색채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