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957A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957A
KR20140105957A KR1020130019794A KR20130019794A KR20140105957A KR 20140105957 A KR20140105957 A KR 20140105957A KR 1020130019794 A KR1020130019794 A KR 1020130019794A KR 20130019794 A KR20130019794 A KR 20130019794A KR 20140105957 A KR20140105957 A KR 2014010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stainless steel
steel plate
engraved portio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795B1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진 filed Critical 박수진
Priority to KR102013001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7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각부의 중앙에 도트를 돌출 형성하여 음각부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이 조리기구에 직접 접촉되어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바닥과 측벽을 갖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는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도트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er}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내면에 음각부를 형성하고, 더불어 음각부의 중앙에 도트를 돌출 형성하여 음각부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이 조리기구에 직접 접촉되어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목적으로 각종 조리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에 해당하는 냄비, 후라이팬등은 조리상황시 음식물이 표면에 눌어붙어 깨끗한 조리상태를 얻지 못하거나, 조리시 첨가되는 각종 양념류가 지니는 화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해한 화학반응물의 생성과 부식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용구의 내면 표피에는 논-스틱(NON-STICK)기능( 즉, 음식물이 용기의 표면에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피막을 적층시킨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1937 호(출원번호 : 제 91-16005 호)에는 조리용기의 표면 피막처리 기술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소개된 기술내용을 보면, 조리용구에 해당하는 솥, 냄비, 후라이팬 등이 알루미늄 소재 또는 알루미늄합금 소재로 제조된 것에 있어서, 조리면에 해당하는 내면부위에 세라믹층과 테프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음식물에 대한 분리성과 내식성을 증대시키고 테프론층의 양호한 접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조리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조리용기는 모재 내면에 단순히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을 적층시켜 제조함으로서, 외부 충격이나 혹은 조리과정에서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견딜 수 없는 온도에 도달하면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쉽게 벗겨져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으로 이루어진 피막층이 훼손된 부위는 논-스틱 효과를 상실하게 되며, 또한 훼손된 피막층이 음식물에 섞여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한편, 종래의 조리용기는 언급한 바와 같이, 빠른 열전도를 고려하여 알루미늄재질을 사용하게 되는 데, 상기 알루미늄 재질은 내구성이 취약해 외부 충격으로 조리용기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선행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1937 호(출원번호 : 제 91-16005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용기 바닥면에 요철형태로 다수의 음각부와 양각부를 형성시키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음각부의 바닥면 중앙에 도트를 돌출 형성하여 음각부의 바닥면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층이 조리기구에 직접 접촉되어 벗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바닥과 측벽을 갖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에는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도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트의 돌출 높이는 상기 음각부의 깊이 보다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는 표면으로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 그리고 도트가 형성된 스테인레스판과, 상기 스테인레스판의 외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판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부스테인레스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상기 스테인레스판의 외곽 둘레면에 형성된 양각부 및 음각부 그리고 도트는 연마기에 의해 제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 바닥면에 음각부를 함몰 형성하여 음식물과 용기본체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음식물이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음각부의 바닥면 중앙에 도트를 돌출 형성하여 조리기구인 뒤집개가 음각부의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서 음각부의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용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 바닥면에 음각부를 함몰 형성하여 음식물과 용기본체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음식물이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음각부의 바닥면 중앙에 도트를 돌출 형성하여 조리기구인 뒤집개가 음각부의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서 음각부의 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성형된 조리용기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성형된 조리용기에 대하여 하나의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하지만 아래에 기술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사상을 이루기 위한 최상의 실시 예를 기술하고 있다 할 것이므로, 상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는 원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부(12)를 가지는 용기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스테인레스판(14)을 원형 혹은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절단한 후,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상단이 개방되고 측벽과 바닥을 갖도록 성형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단일구조의 스테인레스판(14)으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외면에 알루미늄판(16)을 부착하고 또한 상기 알루미늄판(16) 외면에 다시 외부스테인레스판(18)을 부착시켜 3중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테인레스판(14)과 외부스테인레스판(18)은 용기본체(10)의 내면과 외면을 각각 구성하게 되는 데, 이는 열의 전도성은 떨어지지만 뛰어난 내구성 및 내식성을 가져 조리용기가 강도를 가지도록 함과 더불어 중앙에 삽입되는 알루미늄판(16)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14)과 외부스테인레스판(18) 사이에 끼워지는 알루미늄판(16)은 상기 스테인레스판(14)과 외부스테인레스판(18)에 비해 내구성 및 내식성은 취약하지만 열의 전도성이 높아 외면을 구성하는 외부스테인레스판(18)으로 가해지는 열을 내면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판(14)으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전도시키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면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판(14)에는 일정 패턴 형태로 양각부(30) 및 음각부(20)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음각부(20)는 요리과정에서 음식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고, 더불어 조리과정에서 음각부(20)에 담겨지는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용기본체(10)의 스테인레스판(14)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음식물을 조리하기 전, 용기본체(10)내로 먼저 기름을 부은 후, 용기본체(10)를 가열시키게 되면 가열된 기름은 용기본체(10)의 스테인레스판(14)에 형성된 음각부(20)내에 담겨지게 되고, 이후 음식물을 용기본체(10)에 넣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가열시키게 되면 상기 음각부(20)에 담겨져 있는 기름은 끓어 오르며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음식물은 상기 기포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서 미세하게 들려지게 됨으로서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음각부(20)에는 일정 두께만큼의 코팅층(40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400)은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재차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팅층(400)은 음각부(20)의 깊이(H1)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하여 코팅층(400)이 음각부(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음각부(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도트(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도트(40)는 조리과정에서 조리기구인 뒤집개(500)가 음각부(20)의 바닥면에 닿으려 할 때, 상기 도트(40)가 뒤집개(500)를 막아주도록 하여 뒤집개(500)가 음각부(20)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서 음각부(20)의 코팅층(400)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트(40)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음각부(20)가 가지는 깊이(H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각부(20)의 깊이(H1)가 대략 0.2~0.25mm로 형성될 때, 상기 도트(40)의 돌출 높이(H2)는 대략 0.1~0.15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4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제 1단계(S1)]
먼저, 용기본체(10)의 소재가 되는 스테인레스판(14)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스테인레스판(14) 위에 잉크구멍(110) 및 도트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10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필름(100)에 형성된 잉크구멍(110)은 스테인레스판(14)에 형성될 양각부(4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도트구멍(120)은 스테인레스판(14)의 음각부(20)에 형성될 도트(3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100)의 재질로는 실크원단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트구멍(120)은 상기 잉크구멍(110)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음 공정의 잉크 도포단계에서 잉크구멍(110) 및 도트구멍(120)으로 잉크가 함침될 때, 상기 잉크구멍(110)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된 도트구멍(120)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잉크가 투입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잉크구멍(110)에 함침된 잉크층(200)과 도트구멍(120)에 함침된 도트잉크층(210)의 두께차이가 나도록 바람직하게는 도트구멍(120)에 도포되는 도트잉크층(210)의 두께(T2)를 잉크구멍(110)의 잉크층(200) 두께(T1)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도트구멍(120)에 투입된 도트잉크층(200)의 두께가 낮게 형성되어 짐으로서 후술하는 부식 단계에서 부식액(300)이 도트구멍(120)에 도포된 도트잉크층(210)을 부식(즉, 갉아먹음)시켜 부식액(300)이 잉크층(200)이 도포되지 않은 곳의 스테인레스판(14) 표면을 부식하며 음각부(20)를 형성할 때, 상기 도트잉크층(210)이 도포된 표면까지 어느 정도 부식시키도록 하여(즉, 도트잉크층(200)의 두께(T2)가 얇아 부식액(300)이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 결과적으로 음각부(20)의 바닥면 중앙에 도트(4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트(40)의 돌출높이(H2)가 상기 음각부(20)가 가지는 깊이(H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도트(40)의 돌출높이(H2)를 음각부(20)의 깊이(H1)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서 조리과정에서 뒤집개(500)가 도트에 걸리지 않을 뿐더러 뒤집개(500)가 음각부(20)로 진입할 때, 상기 도트(40)가 뒤집개(500)를 막아줌으로서 음각부(20)에 코팅층(40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 2단계(S2)]
다음, 상기 스테인레스판(14) 위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100)에 잉크를 도포하여 상기 필름(100)의 잉크구멍(110) 및 도트구멍(120)으로 잉크가 함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잉크 도포방법으로는 페인팅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를 페인팅롤러에 묻친 다음, 필름에 직접 칠하는 방법으로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제 3단계(S3)]
다음, 상기 필름(100)의 잉크구멍(110) 및 도트구멍(120)에 함침되어 있는 잉크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필름(100)을 스테인레스판(14)에서 떼어내 상기 스테인레스판(14) 표면(일면)에 상기 잉크구멍(110)과 동일한 패턴의 잉크층(200) 그리고 상기 도트구멍(120)과 동일한 패턴의 도트잉크층(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도트구멍(120)의 크기는 상기 잉크구멍(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트잉크층(210)의 두께(T2)가 잉크층(200)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한다.
[제 4단계(S4)]
상기 잉크층(200)과 도트잉크층(210)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4)을 뒤로 엎은 다음,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부식액(300)을 상기 잉크층(200)과 도트잉크층(210)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에 부식액(300)을 분사시키도록 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14)에 부식액(300)을 분사시키게 되면 상기 부식액(300)은 잉크층(200)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에는 반응하지 않고, 상기 잉크층(20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과, 두께가 얇은 도트잉크층(210)이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4) 표면에만 반응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제 1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에는 잉크층(200)에 의해 부식되지 않은 양각부(30)와, 부식으로 인해 함몰 형성된 음각부(20)가 자연스럽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음각부(20)의 중앙에 도트(30)가 돌출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부식액(300)으로는 잉크층(200)과의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염화 제 2철(FeCl3)용액을 사용토록 한다.
상기 음각부(20)의 바닥면 중앙에 부식에 의해 도트(3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트(30)의 돌출높이(H2)는 상기 음각부(20)가 가지는 깊이(H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지며, 이를 통해 조리과정에서 뒤집개(500)가 도트(30)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불편함을 방지하면서도 뒤집개(500)가 음각부(20)로 진입할 때, 상기 도트(30)가 뒤집개(500)를 막아줌으로서 음각부(200)의 코팅층(40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 5단계(S5)]
이후, 스테인레스판(14)에 형성된 잉크층(200)과 도트잉크층(210)을 계면활성제등의 세척제로 제거하게 되면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에는 양각부(30)와, 부식 처리된 음각부(20)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음각부(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도트(30)가 돌출 형성된다.
[제 6단계(S6)]
다음, 상기 스테인레스판(14)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양각부(30)와 음각부(20) 그리고 도트(40)에 일정두께의 코팅층(400)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액의 재질로는 불소수지로 잘 알려진 테프론이나 또는 세라믹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 7단계(S7)]
다음, 스테인레스판(14)의 음각부(20)와 도트(30)에만 코팅층(400)이 제한적으로 존재하도록 스테인레스판(14)의 양각부(30)에 형성된 코팅층(400)을 제거토록 한다. 상기 양각부(30)에 형성된 코팅층(400)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연마, 혹은 연삭가공등의 기계적인 가공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제 8단계(S8)]
다음, 스테인레스판(14)의 양각부(30)에 형성된 코팅층(400)을 제거하고 난 뒤,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상면 외곽 둘레면(14a)(도 1참조)에 형성된 양각부(30) 및 음각부(20) 그리고 도트(40)는 기계식 연마툴로 깍아내 스테인레스판(14)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상면 외곽은 후술하는 프레스 공정시 용기본체(10)의 측벽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음식물과 접촉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서 음각부(20) 및 도트(40)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무엇보다도 스테인레스판(14)의 재질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소비자들이 조리용기의 재질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 9단계(S9)]
다음,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을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시켜 프레스 가공하게 되면 내부에는 수용부(12)를 구비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바닥과 측벽을 갖는 용기본체(10)가 성형 완료된다.
10: 용기본체 14: 스테인레스판
20: 음각부 30: 양각부
40: 도트 100: 필름
110: 잉크구멍 120: 도트구멍
200: 잉크층 210: 도트잉크층
300: 부식액 400: 코팅층

Claims (4)

  1.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수용부(12)를 구비하며 상단은 개방되고 바닥과 측벽을 갖는 용기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면에는 양각부(30) 및 음각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음각부(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도트(40)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40)의 돌출 높이(H2)는 상기 음각부(20)의 깊이(H1) 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표면으로 상기 양각부(30)와 음각부(20) 그리고 도트(40)가 형성된 스테인레스판(14)과;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외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판(16) 및 ;
    상기 알루미늄판(16)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부스테인레스판(1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레스판(14)의 외곽 둘레면(14a)에 형성된 양각부(30) 및 음각부(20) 그리고 도트(40)는 연마기에 의해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1020130019794A 2013-02-25 2013-02-25 조리용기 KR10146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94A KR101468795B1 (ko) 2013-02-25 2013-02-25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94A KR101468795B1 (ko) 2013-02-25 2013-02-25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7A true KR20140105957A (ko) 2014-09-03
KR101468795B1 KR101468795B1 (ko) 2014-12-08

Family

ID=517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94A KR101468795B1 (ko) 2013-02-25 2013-02-25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518A1 (ko) * 2017-02-03 2018-08-09 (주)네오플램 조리 용기
KR102105069B1 (ko) * 2019-09-27 2020-05-29 장민재 프라이팬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41B1 (ko) 2020-10-29 2022-07-19 남경호 조립식 조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38Y1 (ko) * 2005-03-08 2005-05-25 박성빈 광고용 빵 및 빵틀
KR100804387B1 (ko) * 2007-07-09 2008-02-15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518A1 (ko) * 2017-02-03 2018-08-09 (주)네오플램 조리 용기
KR102105069B1 (ko) * 2019-09-27 2020-05-29 장민재 프라이팬 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795B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387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392095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US11058252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n interior surface of partially coated stainless steel
US757153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68795B1 (ko) 조리용기
CN205166315U (zh) 烹饪器具
KR10192280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087738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JP2010279673A (ja) 調理器具
KR102351209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JP2016097303A (ja) 調理容器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220164884A (ko) 조리용기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945631B1 (ko) 곡면 요철 바닥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KR100977667B1 (ko) 조리용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178071A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JPH0958658A (ja) 断熱性紙カップ
JPS6127103Y2 (ko)
JP2001238791A (ja) 炊飯器用内釜
KR20090003320U (ko) 베이커리용 프라이팬
KR101971835B1 (ko) 곡면 요철 바닥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제조장치
KR20120002501U (ko)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