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11B1 -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411B1
KR102248411B1 KR1020200049533A KR20200049533A KR102248411B1 KR 102248411 B1 KR102248411 B1 KR 102248411B1 KR 1020200049533 A KR1020200049533 A KR 1020200049533A KR 20200049533 A KR20200049533 A KR 20200049533A KR 102248411 B1 KR102248411 B1 KR 10224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ontainer base
plate member
contain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킴스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겹의 다른 재질로 형성된 조리용기의 표면에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하여 시각적 효과를 상승시키고 난-스틱(non-stick) 효과와 함께 고르고 빠른 열전도 향상을 위한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가) 재질이 다른 5겹의 용기모재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S110); 나)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1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 다) 상기 제1 도료층 표면에 제1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30); 라) 상기 제1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40); 마)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제1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150); 바)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1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160); 사) 상기 용기모재 표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2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70); 아) 상기 제2 도료층 표면에 제2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80); 자) 상기 제2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90); 차)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상기 제1 음각부보다 깊게 제2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 카)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2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210); 타)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에 난스틱(non-stick)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음각부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파)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을 연마하여 다듬고 프레스장치로 수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여 마무리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Pattern cooking container for cl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겹의 다른 재질로 형성된 조리용기의 표면에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하여 시각적 효과를 상승시키고 난-스틱(non-stick) 효과와 함께 고르고 빠른 열전도 향상을 위한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목적으로 각종 조리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에 해당하는 냄비, 프라이팬 등은 조리시 음식물이 표면에 눌어붙어 깨끗한 조리상태를 얻지 못하거나, 조리시 첨가되는 각종 양념류가 지니는 화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해한 화학반응물의 생성과 부식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기의 표면에 난-스틱(non-stick)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피막을 적층시킨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난-스틱 기능이란 조리용기의 표면에 테프론이나 세라믹 등과 같은 코팅제로 피막층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용기의 표면에 눌어붙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난-스틱(non-stick) 기능의 일 예로는, 조리용기의 내부 표면에 세라믹층과 테프론층을 순차적으로 코팅 처리하여 음식물에 대한 분리성과 내식성을 증대시키고 테프론층의 양호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리용기는 모재 내면에 단순히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을 적층시켜 제조함으로서 외부충격이나 혹은 조리과정에서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견딜 수 없는 온도에 도달하면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이 쉽게 벗겨져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세라믹층이나 테프론층으로 이루어진 피막층이 훼손된 부위는 난-스틱 효과를 상실하게 되며, 또한 훼손된 피막층이 음식물에 섞여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도록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요철형태로 다수의 음각부와 양각부를 형성하고 상기 음각부에 코팅층을 형성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아래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요철형태로 양각부와 음각부를 형성할 때 실크 인쇄필름으로 인쇄를 하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나 온도에 따른 번짐이 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균일한 높이의 요철 형태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요철형태로 양각부와 음각부를 형성할 때 구멍이 형성된 실크 인쇄필름 아래에 일정공간을 유지한 채 스테인레스판을 고정시킨 다음, 실크 인쇄필름 위에 잉크를 도포하고, 고무솔 등으로 눌러 잉크를 실크 인쇄필름의 구멍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스테인레스판에 인쇄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인쇄기술의 숙련도에 따라 잉크가 번지기도 하여 전체적인 인쇄작업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을 인쇄할 때 시작부와 끝부분이 일정한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조리용기는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과 함께 디자인적인 유행이 빠르게 바뀌고 다양해 지는 시대에서 조리용기 표면에 고품질의 디자인 패턴을 새길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6146호, 발명의 명칭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등록일자(2014.1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여러 겹의 다른 재질로 형성된 조리용기의 표면에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하여 시각적 효과를 상승시키고 난-스틱(non-stick) 효과와 함께 고르고 빠른 열전도 향상을 시키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은 가) 재질이 다른 5겹의 용기모재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S110); 나)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1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 다) 상기 제1 도료층 표면에 제1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30); 라) 상기 제1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40); 마)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제1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150); 바)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1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160); 사) 상기 용기모재 표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2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70); 아) 상기 제2 도료층 표면에 제2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80); 자) 상기 제2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90); 차)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상기 제1 음각부보다 깊게 제2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 카)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2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210); 타)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에 난스틱(non-stick)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음각부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파)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을 연마하여 다듬고 프레스장치로 수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여 마무리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모재가 적어도 5개의 클래드(clad) 판재로 구성되므로, 고른 열전도, 빠른 열전도, 청소의 용이, 및 시각적 이미지 등의 이점과 함께 재질의 특징인 소독 및 항균의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는 수용부에 일부 부식시킨 제1 음각부와 전체 부식시킨 제2 음각부를 형성하고 난스틱(non-stick)을 위해 불소 코팅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시각적 이미지의 이점 및 부식되지 않는 표면은 연마하여 외관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모재의 하면는 제1 음각부와 전체 부식시킨 제2 음각부를 형성하되 코팅하지 않고 연마만하여 외부 항균 및 열전도의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 각각을 향해 동시에 조광시키므로 종래보다 작업시간 및 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를 구성한 용기모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6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10)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모재(11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10)는 원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부(100a)를 가지는 용기본체(10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용기모재(110)를 원형 혹은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절단한 후,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상단이 개방되고 측벽과 바닥을 갖도록 성형한다.
용기본체(100)는 단일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모재(110)가 내부에 다른 재질로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다겹의 5중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용기모재(110)는 제1 판부재(101), 제2 판부재(102), 제3 판부재(103), 제4 판부재(104), 및 제5 판부재(105)를 포함한다.
제1 판부재(101)는 STS 304와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용기본체(100)의 내측 표면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는 열의 전도성이 떨어지지만 뛰어난 내구성 및 내식성을 가져 조리용기가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제2 판부재(102)는 KSD 5201과 같은 황동 재질로, 제1 판부재(101)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음식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를 소독하고 항균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3 판부재(103)는 Al 3003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1 판부재(101) 및 제 4 판부재(104)에 비해 내구성 및 내식성이 취약하지만 열의 전도성이 높아 제4 및 제5 판부재(104, 105)로 가해지는 열을 내측 표면 즉, 상면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부재(101, 102)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전도시키게 한다.
제4 판부재(104)는 STS 430과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용기본체(100)의 외측 하부면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는 열의 전도성이 떨어지지만 뛰어난 내구성 및 내식성을 가져 조리용기가 강도를 가지게 하고,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인덕션을 이용한 자력 활용을 위하여 구성된다.
제5 판부재(105)는 구리(Cu) 재질로, 제4 판부재(104)를 지지하고 열전도를 높이면서 음식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를 소독 및 항균하는 기능을 가진다.
용기본체(100)는 조리용기의 바닥을 이루는 용기모재(110)의 상하 표면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패턴 형태로 제1, 제2 음각부(111, 112) 및 양각부(113)가 함몰 형성된다.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는 요리과정에서 음식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고, 더불어 조리과정에서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에 담겨지는 기름에 의해 음식물이 용기본체(100)의 제1 판부재(101)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시키게 한다.
즉, 음식물을 조리하기 전, 용기본체(100) 내로 기름을 먼저 부은 후, 용기본체(100)를 가열시키게 되면 가열된 기름은 용기본체(100)의 제1 판부재(101)에 형성된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 내에 담겨지게 되고, 이후 음식물을 용기본체(100)에 넣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가열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에 담거져 있는 기름이 끓어 오르며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음식물은 기포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표면에서 미세하게 들려지게 됨으로서 조리과정에서 음식물이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음각부(111)는 제2 음각부(112)보다 돌출 형성된다.
즉 제1 음각부(111)는 제2 음각부(112)가 가지는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높이를 달리 함으로서 음식물을 쉽게 뒤집을 수 있게 하면서 상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외관상 입체감 및 심미감을 더 해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16은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S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1. 용기모재 (110) 준비단계(S110);
용기모재 준비단계(S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5중의 클래드(다겹) 구조를 가지도록 용기모재(110)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용기모재(110)는 제1 판부재(101), 제2 판부재(102), 제3 판부재(103), 제4 판부재(104), 및 제5 판부재(105)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판부재(101)는 STS 304와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용기본체(100)의 내측 표면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는 열의 전도성이 떨어지지만 뛰어난 내구성 및 내식성을 가져 조리용기가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제2 판부재(102)는 KSD 5201과 같은 황동 재질로, 제1 판부재(101)를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음식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를 소독하고 항균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3 판부재(103)는 Al 3003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1 판부재(101) 및 제 4 판부재(104)에 비해 내구성 및 내식성이 취약하지만 열의 전도성이 높아 제4 및 제5 판부재(104, 105)로 가해지는 열을 내측 표면 즉, 상면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판부재(101, 102)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전도시키게 한다.
또한, 제4 판부재(104)는 STS 430과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용기본체(100)의 외측 하부면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는 열의 전도성이 떨어지지만 뛰어난 내구성 및 내식성을 가져 조리용기가 강도를 가지게 하고,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인덕션을 이용한 자력 활용을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5 판부재(105)는 구리(Cu) 재질로, 제4 판부재(104)를 지지하고 열전도를 높이면서 음식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를 소독 및 항균 기능을 가진다.
특히, 용기모재(1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혹은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절단하여 클래드(다겹)의 플레이트(plate) 형상 판부재로 제작한다.
2. 제1 도료층 형성단계(S120);
제1 도료층 형성단계(S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모재(110) 표면에 자외선(UV)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1 도료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1 도료층(120)은 도 4와 같이, 용기모재(110)의 상면(p)과 하면(q) 양방향으로 도포되는 데,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가 소정 두께 형성되고, 용기모재(110)의 하면(q)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가 소정 두께 형성된다.
3. 제1 필름 부착단계(S130);
제1 필름 부착단계(S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료층(120) 표면에 제1 필름(13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1 필름(130)은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 도포된 제1 도료층(120) 위를 덮고, 용기모재(110)의 하면(q)에 도포된 제1 도료층(120) 아래를 덮는다.
이때, 제1 필름(130)은 도 5와 같이, 제1 음각부(111)에 대응하는 흑색부(130a)와 투명부(13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필름(130)은 다양한 디자인의 모양 및 패턴이 되어 있는 필름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송이 형상이 형성된 필름을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에 사용할 수 있다.
4. 제1 필름 조사단계(S140);
제1 필름 조사단계(S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130)을 조사(照射)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필름(130)이 덮여진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장치(u)로 제1 필름(130)을 조광시킨다. 이때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 각각을 향해 동시에 조광시키므로 종래보다 작업시간 및 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UV) 등으로 제1 필름(130)을 조광시키게 되면 투명부(130b)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2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부(120b)를 형성하고, 흑색부분(130a)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20)은 빛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에 경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비경화부(120a)를 형성한다.
5. 제1 침지단계 (S150);
제1 침지단계(S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 조사단계(S14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 필름(130)의 흑색부(130a)의 아래에 있는 제1 도료층(120)은 자외선을 받지 못해 경화되지 않아 박탈되면서 침지부(111a)는 제1 음각부(111)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 필름(130)의 투명부(130b)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2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었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침지단계(S1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모재(110) 표면을 부식 처리하여 제1 음각부(111)와 양각부(113)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용기모재(110)의 표면에 부식액을 침지하면 부식되지 않은 양각부(113)와, 부식으로 인해 함몰 형성된 제1 음각부(111)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용기모재(110)의 표면은 제1 음각부(111)와 양각부(113)를 통한 요철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침지부(111a)는 상대적으로 얇게 부식시켜 제1 음각부(111)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는 부식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여 양각부(113)를 유지한다.
6. 제1 세척단계(S160);
제1 세척단계(S160)는 제1 침지단계(S15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 표면을 1차 세척하여 제1 도료층(12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용기모재(110) 상면(p) 및 하면(q)에 형성된 제1 도료층(120)을 세척하여 제거하게 되면 용기모재(110)의 표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처리된 제1 음각부(111) 및 양각부(113)가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침지단계(S150)를 수행하여 제1 음각부(111) 및 양각부(113)가 형성된 용기모재(110)를 세척액으로 세척을 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도료층(120)은 깨끗하게 씻겨지게 되고 용기모재(110)에는 요철형태의 제1 음각부(111)와 양각부(11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7. 제2 도료층 형성단계(S170);
제2 도료층 형성단계(S1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모재(110) 표면에 자외선(UV)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다시 도포하여 제2 도료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 도료층(140)은 제1 도료층(120) 형성과 동일하게 용기모재(110)의 상면(p)과 하면(q) 양방향으로 도포되는 데,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가 소정 두께 형성되고, 용기모재(110)의 하면(q)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가 소정 두께 형성된다.
8. 제2 필름 부착단계(S180);
제2 필름 부착단계(S1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료층(140) 표면에 제2 필름(15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2 필름(150)은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 도포된 제2 도료층(140) 위를 덮고, 용기모재(110)의 하면(q)에 도포된 제2 도료층(140) 아래를 덮는다.
이때, 제2 필름(150)은 도 12와 같이,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d에 제2 음각부(112)에 대응하는 흑색부(150a)와 투명부(150b)를 포함한다.
9. 제2 필름 조사단계(S190);
제2 필름 조사단계(S19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름(150)을 조사(照射)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필름(150)이 덮여진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장치(u)로 제2 필름(150)을 조광시킨다. 이때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 각각을 향해 동시에 조광시키므로 종래보다 작업시간 및 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UV) 등으로 제2 필름(150)을 조광시키게 되면 투명부(150b)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4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부(140b)를 형성하고, 흑색부분(150a)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40)은 빛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에 경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비경화부(140a)를 형성한다.
10. 제2 침지단계 (S200);
제2 침지단계(S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름 조사단계(S19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 필름(150)의 흑색부(150a)의 아래에 있는 제2 도료층(140)은 자외선을 받지 못해 경화되지 않아 박탈되면서 침지부(112a)는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필름(150)의 투명부(150b)의 아래에 있는 도료층(14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었기 때문에 도 15와 같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침지단계(S200)는 용기모재(110) 표면을 부식 처리하여 제2 음각부(112)와 양각부(113)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용기모재(110)의 표면에 부식액을 침지하면 부식되지 않은 양각부(113)와, 부식으로 인해 함몰 형성된 제2 음각부(11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용기모재(110)의 표면은 제2 음각부(112)와 양각부(113)를 통한 요철형태를 가지게 된다.
특히, 침지부(112a)는 제1 음각부(111)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부식시켜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게 되고 나머지는 부식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여 양각부(113)를 유지시키는데, 제2 음각부(112)는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서 제1 판부재(101)을 관통하여 제2 판부재(102)에 닿아, 황동 재질의 제2 판부재(102)가 음식물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독소를 소독하고 항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음각부(112)는 용기모재(110)의 하면(p)에서 제5 판부재(105)을 관통하여 제4 판부재(104)에 닿아,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4 판부재(104)가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인덕션을 이용한 자력 활용을 위하여 간접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한다.
11. 제2 세척단계(S210);
제2 세척단계(S210)는 제2 침지단계(S20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 표면을 세척하여 제2 도료층(14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용기모재(110) 상면(p) 및 하면(q)에 형성된 제2 도료층(140)을 세척하여 제거하게 되면 용기모재(110)의 표면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 처리된 제1, 제2 음각부(111, 112) 및 양각부(113)가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침지단계(S200)를 수행하여 제2 음각부(112) 및 양각부(113)가 형성된 용기모재(110)를 세척액으로 세척을 하게 되면, 도 15와 같이 도료층(140)은 깨끗하게 씻겨지게 되고 용기모재(110)에는 요철형태의 제1 음각부(111)와 함께, 제2 음각부(112) 및 양각부(11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12. 코팅단계(S220);
코팅단계(S2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척단계(S21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 상면(p)의 표면에 난스틱(non-stick) 코팅액을 도포하여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에 일정두께의 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액은 테프론이나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코팅단계(S210)에서 조리용 열기가 직접 닿는 용기모재(110) 하면(q) 표면에는 코팅액을 도포하지 않는다.
13. 연마 및 마무리단계(S230);
연마 및 마무리단계(S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단계(S210)를 수행한 용기모재(110) 표면을 연마하여 다듬고, 프레스장치 등으로 수용부(100a)가 형성되게 성형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용기모재(110) 상면(p)은 일부 부식시킨 제1 음각부(111)와 전체 부식시킨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고 난스틱(non-stick)을 위해 불소 코팅하며, 부식되지 않는 표면은 연마하여 외관 이미지 효과를 만든다.
또한, 용기모재(110) 하면(q)은 제1 음각부(111)와 전체부식시킨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되 코팅하지 않고 연마만하여 외부 항균과 열전도 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용기모재(110)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작업으로 상단은 개방되고 바닥면과 측벽을 갖는 일반적인 용기본체(100)를 성형한다.
즉, 제1, 제2 음각부(111, 112)가 마련된 용기모재(110)를 프레스금형으로 이송시켜 프레스 가공하게 되면 내부에는 수용부(100a)를 구비하고 상단이 개방되는 용기본체(100)를 성형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00)를 포함하여 마무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S100)은 가) 재질이 다른 5겹의 용기모재(110)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S110); 나) 상기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에 자외선(UV)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1 도료층(120)을 형성하는 단계(S120); 다) 상기 제1 도료층(120) 표면에 제1 필름(130)을 부착하는 단계(S130); 라) 상기 제1 필름(130)에 자외선 조사장치(u)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40); 마) 상기 용기모재(110)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제1 음각부(111)를 형성하는 단계(S150); 바) 상기 용기모재(110) 표면을 세척하여 제1 도료층(120)을 제거하는 단계(S160); 사) 상기 용기모재(110) 표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2 도료층(140)을 형성하는 단계(S170); 아) 상기 제2 도료층(140) 표면에 제2 필름(150)을 부착하는 단계(S180); 자) 상기 제2 필름(150)에 자외선 조사장치(u)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90); 차) 상기 용기모재(110)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상기 제1 음각부(111)보다 깊게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는 단계(S200); 카) 상기 용기모재(110) 표면을 세척하여 제2 도료층(140)을 제거하는 단계(S210); 타) 상기 용기모재(110)의 상면(p)에 난스틱(non-stick)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음각부(111, 112)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170)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파) 상기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을 연마하여 다듬고 프레스장치로 수용부(100a)가 형성되게 성형하여 마무리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모재(110)는 순차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1 판부재(101), 황동 재질의 제2 판부재(102), 알루미늄 재질의 제3 판부재(103),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4 판부재(104), 및 구리(Cu) 재질의 제5 판부재(105)를 포함하여 5중의 클래드(clad)이고, 상기 제2 음각부(112)는 상기 제1 판부재(101)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판부재(102)에 닿고 상기 제 5 판부재(105)를 관통하여 상기 제4 판부재(104)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10)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10) 및 이의 제조방법(S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용기모재(110)가 적어도 5개의 클래드(clad) 판재로 구성되므로, 고른 열전도, 빠른 열전도, 청소의 용이, 및 시각적 이미지 등의 이점과 함께 재질의 특징인 소독 및 항균의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100)는 수용부(100a)에 일부 부식시킨 제1 음각부(111)와 전체 부식시킨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고 난스틱(non-stick)을 위해 불소 코팅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시각적 이미지의 이점 및 부식되지 않는 표면은 연마하여 외관 이미지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모재(110)의 하면(q)은 제1 음각부(111)와 전체 부식시킨 제2 음각부(112)를 형성하되 코팅하지 않고 연마만하여 외부 항균 및 열전도의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모재(110)의 상면(p) 및 하면(q) 각각을 향해 동시에 조광시키므로 종래보다 작업시간 및 공수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리용기
100 : 용기본체
100a : 수용부
110 : 용기모재
111 : 제1 음각부
112 : 제2 음각부
113 : 양각부
200 : 손잡이부

Claims (3)

  1. 가) 재질이 다른 5겹의 용기모재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S110);
    나)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1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
    다) 상기 제1 도료층 표면에 제1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30);
    라) 상기 제1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40);
    마)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제1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150);
    바)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1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160);
    사) 상기 용기모재 표면에 자외선에 반응하는 감광용 도료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제2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170);
    아) 상기 제2 도료층 표면에 제2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S180);
    자) 상기 제2 필름에 자외선 조사장치로 조사(照射)하는 단계(S190);
    차) 상기 용기모재를 산화 제2철화학물에 침지(浸漬)하여 상기 제1 음각부보다 깊게 제2 음각부를 형성하는 단계(S200);
    카) 상기 용기모재 표면을 세척하여 제2 도료층을 제거하는 단계(S210);
    타)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에 난스틱(non-stick)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음각부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및
    파) 상기 용기모재의 상면 및 하면을 연마하여 다듬고 프레스장치로 수용부가 형성되게 성형하여 마무리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모재는 순차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1 판부재, 황동 재질의 제2 판부재, 알루미늄 재질의 제3 판부재,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4 판부재, 및 구리(Cu) 재질의 제5 판부재(105)를 포함하여 5중의 클래드(clad)이고
    상기 제2 음각부는 상기 제1 판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판부재에 닿고 상기 제 5 판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4 판부재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KR1020200049533A 2020-04-23 2020-04-23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33A KR102248411B1 (ko) 2020-04-23 2020-04-23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33A KR102248411B1 (ko) 2020-04-23 2020-04-23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411B1 true KR102248411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533A KR102248411B1 (ko) 2020-04-23 2020-04-23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29B1 (ko) * 2022-05-03 2022-09-26 이정한 인덕션 기능을 갖는 황동 재질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90A (ko) * 2001-08-31 2001-09-29 김진영 항균성 금속용기
KR20030082771A (ko) * 2002-04-18 2003-10-23 홍유표 Cu판을 포함하는 다층의 클래드 판재 제조 방법
KR101392095B1 (ko) * 2013-02-25 2014-05-07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76146B1 (ko) 2013-12-06 2014-12-24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90A (ko) * 2001-08-31 2001-09-29 김진영 항균성 금속용기
KR20030082771A (ko) * 2002-04-18 2003-10-23 홍유표 Cu판을 포함하는 다층의 클래드 판재 제조 방법
KR101392095B1 (ko) * 2013-02-25 2014-05-07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76146B1 (ko) 2013-12-06 2014-12-24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129B1 (ko) * 2022-05-03 2022-09-26 이정한 인덕션 기능을 갖는 황동 재질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2132B (zh) 一种不锈钢或复合钢的不粘锅的制造方法
US11058252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king vessel comprising an interior surface of partially coated stainless steel
KR102248411B1 (ko) 클래드 패턴 조리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757153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oking vessel
EP307830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oking vessel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30026049A (ko)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구조 및 코팅방법
US10716425B2 (en) Item of cookware having a textured outer face made of textured stainless steel
CN107495826A (zh) 一种具有防粘结构的不粘锅
KR101392095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067297B1 (ko)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US10244882B2 (en) Cooking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0755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oup pot with partial concave-convex patterns on outer surface thereof
JP6864961B2 (ja) 化粧吸水性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5315B1 (ko)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97993A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RU2112605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кухонную посуду
JP2000087016A5 (ko)
JP2012005627A (ja) 調理用鍋
KR100977667B1 (ko) 조리용구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760773A (zh) 具有温度和油量指示的金属不粘器具的加工方法及产品
KR20200112464A (ko)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 기구의 제조 방법
KR20220164884A (ko) 조리용기
KR102570788B1 (ko) 조리 용기의 바닥면 가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