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758A - 유중수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758A
KR20210092758A KR1020217017464A KR20217017464A KR20210092758A KR 20210092758 A KR20210092758 A KR 20210092758A KR 1020217017464 A KR1020217017464 A KR 1020217017464A KR 20217017464 A KR20217017464 A KR 20217017464A KR 20210092758 A KR20210092758 A KR 2021009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nent
oil
mass
oi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세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1009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 등이 없는 양호한 사용성을 갖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유중수형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 (A) 내지 (D): 성분 (A)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 5 내지 30질량%; 성분 (B) 극성 오일; 성분 (C) 실리콘 오일; 및 성분 (D) 물을 함유하되, 성분 (A)는,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인 것이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중수형 조성물
본 발명은, 유중수형 조성물(water-in-oil composition)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외용제나 화장료에는,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자외선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될 경우가 있고,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타늄 등의 금속산화물 분체 등을 함유함으로써,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을 지니는 피부외용제나 화장료가 개발되어 있지만, 운동 시나 해수욕 시 등, 높은 내수성이 요구될 경우가 많다.
자외선 방어 효과를 지니는 피부외용제나 화장료로서, 유중수형 조성물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은, 수상비(水相比)가 50질량% 이상인 고내상(高內相) 유중수 자외선차단 화장료로서, (A) 가교형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실리콘 0.1 내지 10질량% 및 (B)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자외선차단 화장료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a) 소수화(疎水化) 처리 산화아연 및 소수화 처리 산화티타늄: 10 내지 30질량%, (b)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질량%, (c) N-라우로일L-글루타민다이(피토스테릴, 2-옥틸도데실), 마카다미아 너트 지방산 피토스테릴, 마카다미아 너트 지방산콜레스테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오일 성분: 1 내지 5질량%, (d)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또는 탄화수소오일: 10 내지 40질량%, (e) 물: 5 내지 3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차단 화장료를 개시한다.
JP 2016-145157 A JP 2013-43875 A JP(특표)2001-518111 A JP 2008-208045 A JP 6334167 B
B.Binks et. al,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00-102, 503-546(2003)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지니는 피부외용제나 화장료에 있어서, 유중수형 조성물은 외상이 오일이므로 물에 잘 융합되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내수성이 기대되었지만, 가교형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실리콘의 특정량의 함유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 도막과 물이 접촉한 때에, 유화가 생겨 버리므로, 도막의 내수성은 낮았다. 그 결과, 금속산화물 등은 탈락되어, 자외선 방어 효과가 뒤떨어질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은, 특정량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하고, 그 결과, 끈적거림이 강하고, 사용성이 악화될 경우가 있었다. 또한, 그 도막과 물이 접촉했을 때, 유화가 생겨버리기 때문에, 내수성을 저하시켜 버릴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타늄 등의 금속산화물 분체를 안정적으로 함유하기 위해서, 분말을 이용해서 유화를 행하는 피커링 에멀션(pickering emulsion)(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내지 5, 비특허문헌 1 참조)의 활용에 의해, 내수성을 향상시킨 유중수형 조성물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특허문헌 3의 기술은, 1) 오일상 2) 수상 및 3) a) 200㎚ 미만의 평균 입도를 지니고, 그 입자가 b) 친수성 및 친유성의 양자의 특성을 지니고, 따라서 양친매성의 특징을 지니고, 그리고 물/오일의 계면에 따라 정렬하고, 그리고 c) 금속산화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 경우에 따라서는 표면 피막을 갖는, 1종류 이상의 미세화 무기안료를 함유하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적 첨가제 및/또는 활성제로서 그 밖의 화장품 또는 제약학적 물질을 함유하는, 수중 오일형의 미세분산계를 나타내는,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적 조제물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4의 기술은, (a) 물에 분산되지 않는 분말 성분을 1 내지 40질량%, (b)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0.001 내지 1질량%, (c) 오일상 성분, (d) 수상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5의 기술은,
a) 유성상인 연속상,
b) 수상인 분산상, 및
c) 수평균 입자 직경이 200㎚ 이상 1㎛ 이하이며, 적어도 1종의 N-아실화 글루탐산염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는 입자
를 포함하는 유중수 에멀션의 형태의 화장품조성물로서,
상기 N-아실화 글루탐산염이 Mg, Al, Ca, Zn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의 수산화물이고 상기 입자에 이온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입자가 상기 연속상과 상기 분산상 사이의 계면에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하의 적어도 1종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품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3 내지 5의 기술을 이용해도, 번들거리는 사용감에 의해, 끈적거림이 강하고, 사용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이 뒤떨어질 경우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함유하는 유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경시안정성이 뒤떨어질 경우가 있었다.
즉,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이 우수하고, 끈적거림 등이 없는 양호한 사용성을 갖는 유중수형 조성물은 이제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분체에 착안하고, 또한 그 중에서도,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을 이용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한 유중수형 조성물을 얻고자 예의 검토한 결과,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으로서,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인 것을 함유하고, 또한 그것이 특정 함유량이고, 그리고 극성 오일(polar oil),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조성물이,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경시안정성이 양호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성분 (A) 내지 (D);
성분 (A)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 5 내지 30질량%
성분 (B) 극성 오일
성분 (C) 실리콘 오일
성분 (D) 물
을 함유하고,
성분 (A)는,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인 것으로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중수형 조성물이 피커링 에멀션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5 내지 30질량%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함유 질량비율 (B)/(C)가 0.1 내지 8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내지 500㎛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B)로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과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상과 오일상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오일상)이 0.3 내지 5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상과 상기 성분 (A)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A)이 0.75 내지 10인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40g에 대하여, 0.25질량%가 되도록, 표 1 내지 표 4에 있어서의 성분 (1) 내지 (5)를, 0.1g 칭량하고, 그 칭량 직후에, 진탕기 YS-8D(야요이사(Yayoi Co., Ltd.) 제품)에서 250회/분, 30초간의 조건으로 혼합을 행한 후, 광로길이 10㎜×광로폭 10㎜의 플라스틱 셀에 3.5g 넣고, 혼합 후 3분 경과 시점의 용액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이며, 시료는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성분 (1), 성분 (2), 성분 (3), 성분 (4), 성분 (5)의 용액이다.
도 2는, 표 1 내지 표 4에 있어서의 성분 (1)인 MZY-500SHE(테이카사 제품), 성분 (2)인 FINEX-52W-LP2(사카이카가쿠코교사(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성분 (4)인 MZ-500(테이카사(TAYCA CORPORATION) 제품)을 각각 투과형 전자현미경(H-7650, 히타치하이테크놀러지즈사(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제품) 관찰한 화상이다(측정 조건: 가속 전압 80KV).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는,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하, 단지 "투과율"이라 지칭할 경우가 있음)이 0.8 내지 20인 것이다.
본 발명의 성분 (A)에 있어서의 산화아연은, 자외선을 흡수, 산란, 반사, 소광 등 하는 것에 의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분체이며, 입자 직경이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성분 (A)의 산화아연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향장품에 배합할 때의 취급 용이성이나, 경시안정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 (A)의 산화아연의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 방법은,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임의의 시야의 입자 100개에 대해서, 입자 직경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산출한다.
본 발명의 성분 (A)의 산화아연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의 관점에서, 부정형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장축 직경/단축 직경)가 1.2 내지 1.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 (A)에 있어서의 실리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 (A)에 있어서, 실리카 대신에,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나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친수화 처리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들의 친수 정도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성분 (A)의 유수계면에의 선택적 배향이 뒤떨어지고, 경시안정성이 우수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성분 (A)에 있어서의 소수화 처리제는, 공지의 표면 처리방법에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루오린화합물 처리, 실리콘 처리, 실리콘 수지 처리, 펜던트 처리, 실란 커플링제 처리, 티타늄 커플링제 처리, 지방산 처리, 실란 처리, 유제 처리, N-아실화 라이신 처리, 덱스트린 처리, 세라마이드 처리, 금속비누 처리, 금속산화물 분체 처리 등의 방법으로 표면 처리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소수화 처리제 중에서도, 성분 (A)의 유수 계면에의 배향과 분산성,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실리콘 처리, 실란 커플링제 처리, 티타늄 커플링제 처리, 지방산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실리콘 처리, 실란 커플링제 처리, 지방산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은 아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40g에 대하여, 0.25질량%가 되도록, 성분 (A)를, 0.1g 칭량하고, 그 칭량 직후에, 진탕기 YS-8D(야요이사 제품)에서 250회/분, 30초간의 조건으로 혼합을 행한다. 혼합 후, 광로길이 10㎜×광로폭 10㎜의 플라스틱 셀에 3.5g 넣고, 혼합 후 3분 경과 시점의 용액을, 분광 광도계 UV-2500PC(시마즈세이사쿠쇼사 제품)를 이용해서, 파장: 700㎚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품(reference)에는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은, 해당 용매에 분산시키는 분체 표면의 친수소수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는, 친수성이 높은 용매라고 할 수 있다. 해당 용매에 분산시키는 분체 표면의 소수성이 높다면, 분체 표면에의 젖음성이 낮기 때문에, 분체는 기액계면으로 이동하고, 투과율은 높아진다. 한편으로, 해당 용매에 분산시키는 분체 표면의 친수성이 높다면, 분체 표면에의 젖음성이 높아지므로, 분체는 기액계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투과율은 낮아진다. 이상으로부터,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은, 해당 용매에 분산시키는 분체 표면의 친수소수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 (A)의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은 0.8 내지 20의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해당 투과율은 1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6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3 내지 12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의,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을 조정하기 위한 수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표면 처리 수법, 예를 들어, 실리카, 소수화 처리제의 표면 처리량을 적당히 변화시키거나, 실리카의 입자 직경 등을 적당히 변화시키는 것 등으로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의 표면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 등에 의해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소수화 처리제 표면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 등에 의해 투과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성분 (A)에 있어서의, 실리카, 소수화 처리제의 각각의 처리제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실리카 처리량은, 성분 (A)의 산화아연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1 내지 4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소수화 처리제 처리량은, 성분 (A)의 산화아연의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2미만인 것밖에 함유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경시안정성이 우수하지 않고, 또한 내수성, 사용성도 뒤떨어질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20을 초과하는 것밖에 함유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경시안정성이 우수하지 않고, 또한 내수성, 사용성도 뒤떨어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A)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MZY-500SHE(테이카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표 1 내지 3에 있어서의 성분 (1)인 MZY-500SHE(테이카사 제품), 성분 (2)인 FINEX-52W-LP2(사카이카가쿠코교사 제품), 성분 (4)인 MZ-500(테이카사 제품)을 각각 투과형 전자현미경(H-7650, 히타치하이테크놀러지즈사 제품) 관찰한 화상이다(측정 조건: 가속 전압 80KV). 도 2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성분 (4)는, 입자의 윤곽뿐만 아니라 입자 전체의 콘트라스트가 불명료하므로, 산화아연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전자밀도가 낮은 실리카가 산화아연 표면에 치밀하게 피복되어 있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성분 (2)는, 입자의 윤곽 및 입자 전체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하고, 산화아연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성분 (1)은, 입자의 윤곽부는 약간 불명료하지만, 입자 전체의 콘트라스트는 명료하고, 산화아연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전자밀도가 낮은 실리카가 산화아연 표면에 고르지 않게 피복되어 있는 특징을 지녀, 이들의 표면상태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A)의 함유량은, 유중수형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5 내지 30질량%이다. 성분 (A)의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내수성, 경시안정성이 뒤떨어질 경우가 있고, 30질량%를 초과하면, 사용성이 뒤떨어질 경우가 있다. 성분 (A)의 함유량은, 5 내지 30질량%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수성,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8 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B) 극성 오일은, 극성을 지니는 오일이며,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B) 극성 오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라이(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다이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라이카프릴산글리세릴, 세틸아이소옥타네이트,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트라이옥탄산글리세릴, 다이아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다이글리세릴, 트라이베헨산글리세릴, 로진산펜타에리트리틸 에스터, 다이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터, N-라우로일-L-글루탐산다이(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아이소옥탄산세틸, 라우르산헥실, 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프로필, 아이소팔미트산 옥틸, 아디프산다이아이소프로필, 아디프산다이2-에틸헥실, 세바스산다이에틸, 세바스산다이아이소프로필, 세바스산다이옥틸, 아이소노난산아이소노닐, 아이소노난산 아이소트라이데실, 석신산다이에스터, 스테아르산 경화 피마자유, 호호바오일, 2-에틸헥산산세틸, 피토스테롤지방산 에스터, 말산다이이소스테아릴, 트라이멜리트산트라이트라이데실, 트라이멜리트산트라이2-에틸헥실, 벤조산알킬(C12-15), 세바스산다이아이소프로필, 다이네오펜탄산다이에틸펜탄다이올, 다이네오펜탄산메틸펜탄다이올 등이나, 자외선흡수제로서 이용되는 유제,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로서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나트륨, 2,2'-다이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나트륨, 2,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4,6-트라이아닐리노-파라-(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라이아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을 들 수 있고, PABA계로서는, p-아미노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에틸, p-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p-다이메틸 아미노벤조산 아밀, p-다이메틸 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p-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벤조산 에틸,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신남산계로서는,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4-메톡시신남산-2-에톡시 에틸 등을 들 수 있고, 살리실산계로서는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등, 다이벤조일메탄계로서는, 4-tert-4'-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등, 또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경시안정성, 사용성의 점에서, 성분 (B)로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로서는, 트라이(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트라이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라이아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라이카프릴산글리세릴 등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벤조산 알킬(C12-15), 아디프산다이아이소프로필, 세바스산다이아이소프로필, 아이소노난산아이소노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 아이소프로필, 벤조산 알킬(C12-15), 아디프산다이아이소프로필, 세바스산다이아이소프로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상이란, 상온(25℃), 상압 하에서 유동성을 지니는 것으로 한다.
내수성의 점에서, 성분 (B)로서,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로서는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보닐)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4-tert-부틸-4'-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트리스바이페닐트라이아진,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보닐)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4-tert-부틸-4'-메톡시다이벤조일메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형이란, 상온(25℃), 상압 하에서 반고체 내지 고체의 성상을 나타내고, 융점이 40℃ 이상인 것을 지칭한다.
성분 (B) 극성 오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M파인오일 CCT-1(미요시유시사(Miyoshi Oil & Fat Co., Ltd.) 제품), T.I.O(닛신오일리오그룹사(The Nisshin OilliO Group, Ltd.) 제품)), TISG(코큐 알코올 코교사(Kokyu Alcohol Kogyo Co. Ltd.) 제품), 이소에스테라이도 G-NP(내셔널미마츠사(National Mimatsu Co., Ltd.) 제품), 유비날 MC 80(Uvinul MC 80), 유비날 MC 80N(BASF재팬사 제품), IPM(닛폰세이카사(Nippon Fine Chemical Co., Ltd.) 제품), FINSOLV TN(Innospec Active Chemicals LLC 제품), FineNeo-DIA, FineNeo-iPSE(닛폰세이카사 제품), 사라코스99(SALACOS 99)(닛신오일리오그룹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 (B) 극성 오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균일한 도포막,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유중수형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5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분 (B)로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과,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을 함유하면, 도포할 때의, 도막 형성 시의 오일상의 유동성이 적합하게 되고, 더욱 내수성이 양호한 도막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25℃에서 액상 극성 오일과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을 합쳐서 함유할 경우, 내수성의 점에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과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의 함유 질량 비율(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은 1 내지 250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150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3 내지 15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 (C) 실리콘 오일은,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 (C) 실리콘 오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25℃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오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라이메티콘, 폴리에터 변성메틸폴리실록산, 올레일변성메틸폴리실록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경시안정성, 사용성의 점에서, 25℃에 있어서 2cs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25℃에 있어서 6cs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25℃에 있어서 10cs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트라이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사이클로메티콘, 25℃에 있어서 2cs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25℃에 있어서 6cs의 다이메틸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성분 (C) 실리콘 오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KF-96A-1cs/1, 5cs/2cs/5cs/6cs/10cs/20cs/30cs/50cs/100cs/200cs/300c/350cs/500cs/1000cs/3000cs/5000cs/6000cs, KF-96H-1만cs/1, 25만cs/3만cs/5만cs/6만cs/10만cs/30만cs/50만cs/100만cs, KF-995/994, TMF-1.5, KF-50-100cs/1000cs, KF-53, KF-54, KF-56A, KF-54HV(이상, 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SH-200 C Fluid 5CS/6CS/10CS/20CS/30CS/50CS/100CS/200CS/350CS/500CS/1000CS/3000CS/5000CS/10000CS/12500CS/30000CS/60000CS/100000CS/1000000CS, BY11-040/003/007/014/026/320, SH-556 Fluid, PH-1555 HRI Cosmetic Fluid, FZ-3156(이상, 토레·다우코닝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성분 (C) 실리콘 오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균일한 도포막,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유중수형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3 내지 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7.5 내지 20질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13 내지 18질량%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막의 균일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의 점에서, 성분 (B)와 성분 (C)의 함유 질량비율 (B)/(C)가 0.1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3.3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 내지 3.3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특히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D) 물은,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D) 물로서, 수돗물을 이용해도 되고, 증류 등으로 정제한 정제수, 온천수, 심층수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알로에베라, 위치하젤(Witch Hazel), 하마멜리스(Hamamelis), 오이, 레몬, 라벤더, 장미수 등의 식물추출액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상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10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5질량%가 더 바람직하고, 30 내지 50질량%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옥탄올/물분배 계수가 1 미만인 성분은 수상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D), 다가 알코올, 수용성 고분자, 수용성 피막형성성 수지, 보습제 등의 수성 성분이 수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에 있어서의 오일상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20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5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에 있어서의 오일상의 양은, 성분 (A)의 양을 제외하고 산출한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옥탄올/물분배 계수가 1 이상인 성분은 오일상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성분 (B), 성분 (C), 그 밖의 유성 성분이 오일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상과 오일상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오일상)은, 0.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내지 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막의 균일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상과 성분 (A)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A)는, 0.7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은, 상기 성분 (A) 내지 (D) 이외에,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성분 (B) 및 성분 (C) 이외의 유성 성분, 성분 (A) 이외의 분체, 계면활성제, 섬유, 다가 알코올, 수용성 고분자, 수용성 피막형성성 수지, 보습제 등의 수성 성분, 산화방지제, 소포제, 미용성분, 방부제,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성분 (B) 및 성분 (C) 이외의 유성 성분은,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동물오일, 식물오일, 합성 오일 등의 기원이나 반고형 오일, 액체 오일, 휘발성 오일 등의 성상을 막론하고, 탄화수소류, 유지류, 플루오린계 오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바셀린, 폴리아이소부틸렌의 탄화수소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터 등의 플루오린계 유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 이외의 분체는,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판 형상, 바늘 형상 등의 형상, 연무 형상, 미립자, 안료급 등의 입자직경,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구조 등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무기 분체류, 광휘성 분체류, 유기 분체류, 색소 분체류, 금속 분체류, 복합 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산화철, 카본블랙,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감청, 군청 등의 유색무기안료, 탤크, 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합성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합성 세리사이트, 황산바륨, 카올린, 탄화규소,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규조토, 규산 알루미늄, 메타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바륨, 규산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체,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산화티타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철 운모 티타늄, 감청처리 운모 티타늄, 카민처리 운모 티타늄,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올레핀 적층 필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말 등의 광휘성 분체, 스테아르산아연, N-아실라이신 등의 유기 저분자성 분체, 실크 분말, 셀룰로스 분말, 덱스트린 분말 등의 천연유기분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귤색 203호, 귤색 204호, 청색 404호, 황색 401호 등이나,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귤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분체 혹은 또한 알루미늄 가루, 금가루, 은가루 등의 금속 분체, 미립자 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티타늄, 황산 바륨 피복 운모 티타늄, 산화티타늄 함유 이산화규소 등의 복합분체, 나일론, 폴리에스터, 레이욘, 셀룰로스 등의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분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고, 더욱 표면 처리나 복합화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합물, 실리콘 오일, 분체, 유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지만,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유중수형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1질량% 이하이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사용성이 뒤떨어질 경우가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1질량% 이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수성, 사용성의 점에서, 0.6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3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0.1질량% 이하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프로필렌 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터,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터, 폴리옥시에틸렌코레스타놀에터,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터, 폴리옥시알킬렌 변성오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라우르산다이에탄올아마이드, 야자유지방산 다이에탄올아마이드,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마이드, 라우르산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 야자유지방산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 폴리옥시프로필렌 야자유지방산 모노아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 알칸올아마이드, 당 에터, 당 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 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 황산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터 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의 알킬 황산염; 테트라데센설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센설폰산 칼륨 등의 α-올레핀 설폰산염; N-라우로일이세티온산 나트륨, N-라우로일이세티온산 칼륨 등의 아실이세티온산염; N-야자유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야자유지방산 메틸타우린칼륨, 라우로일 가수분해 실크 나트륨 등의 N-아실폴리펩타이드염; 설포석신산 나트륨 등의 설포석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코올 지방산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 4급 암모늄염, 방향족 4급 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으로, 염화스테아릴트라이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라이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라이메틸암모늄, 염화다이스테아릴다이메틸암모늄, 염화다이베헤닐다이메틸암모늄, 염화다이세틸다이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다이메틸벤질암모늄, 염화다이라우릴다이메틸암모늄, 염화다이폴리옥시에틸렌(15EO) 야자유알킬메틸암모늄, 염화다이폴리옥시에틸렌(4EO) 라우릴에터다이메틸암모늄, 다이코코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설페이트, 다이스테아로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다이스테아로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다이팔미토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팔미타미도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양성계면활성제로서는, 아세트산 베타인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옥틸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릴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알킬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미리스틸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세틸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릴다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세틸다이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미다졸린형 계면활성제로서는 N-야자유지방산 아실-N-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다이아민나트륨, N-야자유지방산 아실-N-카복시메톡시에틸-N-카복시메틸에틸렌다이아민 2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등,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터, 페녹시에탄올, 1,2-펜타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미용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스타잔틴, 비타민류, 소염제, 생약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성분 (A), (B), (C)에 다른 임의 성분 등을 첨가하고, 90℃로 가열해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수상을 첨가해서 디스퍼 믹서(disper mixer) 등에 의해서 유화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중수형 조성물의 수율 향상의 점에서, 롤러 처리 공정을 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이외가 아닌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타늄 등을 함유시킬 때에는, 유중수형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롤러 처리 공정을 취할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분 (A)는, 그 자체로, 유중수형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므로, 롤러 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 겔 형태, 크림 형태, 반고형 형태, 고형 형태, 스틱 형태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중수형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커링 에멀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커링 에멀션은, 분말을 계면에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제되는 에멀션이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안정성, 사용성의 점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1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0 내지 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은, 광학현미경(올림푸스(Olympus)사 제품)을 이용해서, 실온에서 유화 점적 100개의 입자 직경을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유화 점적 안에서부터 방출되는 수적이 육안으로 관찰될 정도로 알갱이가 굵다면, 끈적거림이 없고, 게다가 촉촉하다고 하는 양호한 사용성을 지니지만,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균 입자 직경이 10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0 내지 300㎛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입자 직경은 바람직한 값일 때에, 도포할 때에 유화 점적 중에서부터 방출되는 수적의 크기가 적합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포할 때에 유화 점적 중에서부터 방출되는 수적의 크기가 바람직한 때에는, 도막 형성 시의 수상과 오일상의 국재화가 적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도막의 균일성도 양호해지고, 내수성도 우수하다.
예상외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유화 혼합 처리에 있어서의 교반 속도나 교반 시간 등 외에, 성분 (B)과 성분 (C)의 함유 질량비율(B)/(C)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함유 질량비율 (B)/(C)를 크게 하면,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을 10 내지 500㎛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 질량비율 (B)/(C)는 0.1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을 20 내지 300㎛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 질량비율 (B)/(C)는 0.4 내지 3.3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을 150 내지 300㎛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 질량비율 (B)/(C)는 1 내지 3.3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을 150 내지 200㎛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 질량비율 (B)/(C)는 1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료나, 피부외용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어, 외용 고형제, 외용액제, 스프레이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첩부제 등이나, 유액, 화장수, 팩 화장료, 세안료, 마사지용 화장료, 헤어용 화장료, 자외선차단료, 바디 크림 등의 바디용 화장료, 아이크림 등의 눈주변용 화장료, 립 에센스, 립 크림 등의 입술 케어용 화장료, 파운데이션, 베이스, 컨실러, 백분, 아이섀도, 볼연지, 입술 연지,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등의 메이크업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외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리니먼트제, 로션제, 연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내수성의 점에서, 자외선차단료, 눈 주변용 화장료, 입술 케어용 화장료, 메이크업 제제가 바람직하고, 자외선차단료, 메이크업 제제가 더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들은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1 및 비교예 1 내지 9: 유중수형 자외선차단제
1. 분체의 투과율에 대해서는, 성분 (1) 내지 (5)에 관해서, 하기(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처방의 유중수형 자외선차단제를 조제하고, 2. 도막의 균일성, 3. 내수성, 4. 경시안정성, 5. 사용성에 대해서 하기(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5개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ABC를 합격점으로 해서, 전체 평가 항목에 있어서 합격점을 얻은 것을 가능, 그 이외에는 불가로 하였다. 또 실시예에 대해서, 광학현미경(올림푸스사 제품)을 이용해서, 실온에서 유화 점적 100개의 입자 직경을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산출해서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들의 평가 결과를 아울러서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평가 항목)
1. 분체의 투과율
2. 도막의 균일성
3. 내수성
4. 경시안정성
5. 사용성
(평가 방법)
1. 분체의 투과율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40g에 대하여, 0.25질량%가 되도록, 성분 (1) 내지 (5)를, 0.1g 칭량하고, 그 칭량 직후에, 진탕기 YS-8D(야요이사 제품)에서 250회/분, 30초간의 조건으로 혼합을 행하였다. 혼합 후, 광로길이 10㎜×광로폭 10㎜의 플라스틱 셀에 3.5g 넣고, 혼합 후 3분 경과 시점의 용액을, 분광 광도계 UV-2500PC(시마즈세이사쿠쇼사 제품)를 이용해서, 파장: 700㎚에서 측정하고, 측정값(%)을 얻었다. 또한, 기준품에는 물/에탄올 혼합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를 사용하였다.
2. 도막의 균일성
실시예 1 내지 21, 비교예 1 내지 9의 각 시료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에, 두께 50㎛로 도포하고, 15분간 실온에서 건조 후, SPF 아날라이저 UV-2000S(Labsphere사 제품)로 SPF값을 10군데 측정하고, 얻어진 표준편차를 평균치로 나눈 변동 계수를 하기 <판정 기준 1>에 의해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1>
(판정): (변동 계수의 값)
A: 0 이상 0.25 이하
B: 0.25 초과 0.50 이하
C: 0.50 초과 0.75 이하
D: 0.75 초과 1.00 이하
E: 1.00 초과
3. 내수성
실시예 1 내지 21, 비교예 1 내지 9의 각 시료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에, 두께 50㎛로 도포하고, 15분간 실온에서 건조 후, SPF 아날라이저 UV-2000S(Labsphere사 제품)로 SPF값을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초기값으로 하였다. 그 후, 직경이 50㎝, 깊이가 15㎝인 대야 형태의 수조용기에 11㎝의 깊이로 25℃의 물을 넣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을 고정한 평판을 수조용기 회전축으로부터 21㎝의 거리에서, 10㎝의 깊이로 침지하도록 설치하고, 그 상태에서 수조용기를 회전시켜, 평판 앞의 수류의 유속이 24 내지 28㎝/s, 수조용기의 회전속도가 45rpm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후, 각 시료를 도포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을 평판에 고정하고, 해당 평판을 수조용기에 밑면으로부터 1㎝의 위치에 고정해서 침지시켜, 수조용기를 회전시켜서 수욕을 개시하였다. 80분간 경과한 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판을 고정한 평판을 수조용기 내로부터 꺼내어, 15분간 실온에서 건조시켜, 마찬가지로 SPF값을 3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잔존값으로 하였다. 수욕 처리 전후에서의 SPF값의 잔존율(= (잔존값)/(초기값))을 산출하고, 하기 <판정 기준 2>에 의해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2>
(판정): (잔존율의 값)
A: 잔존율이 90% 초과
B: 잔존율이 75% 초과 90% 이하
C: 잔존율이 60% 초과 75% 이하
D: 잔존율이 45% 초과 60% 이하
E: 잔존율이 45% 이하
4. 경시안정성
실시예 1 내지 21, 비교예 1 내지 9의 각 시료 30g을 유리병(6호 규격, PS-NO. 6)에 칭량해 넣고, 50℃의 항온조에 1개월 보관하고, 1개월 후의 각 시료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 <판정 기준 3>에 의해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3>
(판정): (외관의 상태)
A: 수상의 분리가 확인되지 않는다
B: 수상의 분리층이 0.5㎜ 이하로 확인되고, 각 시료를 3회 상하로 진동시키면, 분리층이 소실된다
C: 수상의 분리층이 0.5㎜ 초과 1.0㎜ 이하로 확인되고, 각 시료를 3회 상하로 진동시키면, 분리층이 소실된다
D: 수상의 분리층이 1.0㎜ 초과 1.5㎜ 이하로 확인되고, 각 시료를 3회 상하로 진동시키면, 분리층이 소실된다
E: 수상의 분리층이 1.5㎜ 초과 1.0㎜ 이하로 확인되고, 각 시료를 3회 상하로 진동시켜도, 분리층이 소실되지 않는다
5. 사용성
20대 내지 40대의 여성으로 관능평가의 훈련을 받고, 일정한 기준으로 평가가 가능한 전문 패널을 10명 선정하였다. 전문 패널이 실시예 1 내지 21, 비교예 1 내지 9의 각 시료 5g에 대해서, 상완부에 도포하고, 또 한쪽 손의 중지 및 약지로 부드럽게 원을 그림으로써 시용(施用)하고, 그 때에 느끼는 사용성을 하기 <절대 평가 기준>으로 5단계로 평가하고, 평점을 매겨, 각 시료마다, 패널 전원의 평점의 합계로부터, 그 평균점을 산출하고, 하기 <판정 기준 4>에 의해 판정하였다.
<절대 평가 기준>
(평점): (사용성)
5점: 시용 시, 원을 5사이클 이내로 그릴 때에 수적이 관찰되고,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는 동시에, 매우 촉촉하다
4점: 시용 시, 원을 5사이클 초과 10사이클 이내로 그릴 때에 수적이 관찰되어,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는 동시에, 촉촉하다
3점: 시용 시, 원을 10사이클 초과로 그릴 때에 수적이 관찰되지 않지만, 거의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는다
2점: 시용 시, 원을 10사이클 초과로 그릴 때에 수적이 관찰되지 않지만, 다소 끈적거림을 느끼는 도찰(塗擦)이 15사이클 초과이고, 20사이클 이내에서 수적이 관찰된다
1점: 시용 시, 원을 10사이클 초과로 그릴 때에 수적이 관찰되지 않지만, 강한 끈적거림을 느낀다
<판정 기준 4>
(판정): (평점의 평균점)
A: 4.2점 이상: 매우 양호
B: 4.2점 미만 3.4점 이상: 양호
C: 3.4점 미만 2.6점 이상: 다소 양호
D: 2.6점 미만 1.8점 이상: 다소 불량
E: 1.8점 미만: 불량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MZY-500SHE(테이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 부정형
※2: FINEX-52W-LP2(사카이카가쿠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0㎚, 부정형
※3: MZY-505S(테이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 부정형
※4: MZ-500(테이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 부정형
※5: NAI-티타늄 MP-1133(미요시카세이사(Miyoshi Kasei Industry Co.,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6: D-400(네가미코교사(Negami Chemical Industrial Co,.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15㎛
※7: 토스펄(Tospearl) 2000B(모멘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얼 재팬사(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LLC.) 제품) 평균 입자 직경 6㎛
※8: PEMULEN TR-1(LUBRIZOL ADVANCED MATERIALS사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6) 내지 (13)을 8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5) 및 성분 (14) 내지 (22)를 롤밀로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A와 혼합한다.
C: 성분 (23) 내지 (29)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D: B에 C를 첨가하고,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실온에서 5분간 유화시킨다.
E: D를 용기에 충전하고, 유중수형 자외선차단제를 얻었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유중수형 자외선차단제는,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 명확해졌다.
한편,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이 아닌 것을 이용한 비교예 1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성분 (2)가, 양친매성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유화가 양호하게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이 아닌 것을 이용한 비교예 2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성분 (3)이, 양친매성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 유화가 양호하게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무처리 산화아연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이 아닌 것을 이용한 비교예 3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성분 (4)가, 양친매성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유화가 양호하게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A)를 함유시키지 않고, 스테아로일글루탐산 2Na처리 산화티타늄이고, 그리고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이 아닌 것을 이용한 비교예 4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성분 (5)가, 유수계면에의 선택적 배향이 뒤떨어지고, 유화가 양호하게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표 2로부터, 성분 (A)가 5질량% 미만인 비교예 5에서는, 실시예와 비교해서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계면에 흡착하는 성분 (A)의 양이 부족하고, 유화가 양호하게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성분 (A)가 30질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6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것은, 성분 (A)가, 계면에 흡착되지 못했던 과잉량이 오일상 중에 분산되고, 도포 시에 성분 (A) 자체의 감촉이 지배적이 되고, 촉촉한 사용감이 얻어지지 않고, 강한 끈적거림을 느끼므로, 사용성이 결여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7에서는, 실시예와 비교해서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표 3으로부터, 각 실시예의 자외선차단제는 각 항목에 있어서 평가가 높은 것으로 되었지만, 특히 유화 점적이 150 내지 300㎛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1, 14, 15는 모든 항목에 있어서 A평가가 되고, 특히 촉촉한 양호한 사용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 함유 질량비율 (B)/(C)가 커짐에 따라서,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고, 상기 유화 점적 150 내지 300㎛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 질량 비율 (B)/(C)가 1 내지 3.3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성분 (B)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8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사용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성분 (C)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9에서는,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표 4로부터, 성분 (B) 극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8과 비교해서, 극성 오일을 배합함으로써, 도막의 균일성이나 사용성 등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특히 액상의 극성 오일과 고형의 액상 오일을 병용함으로써, 더욱 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유중수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실리카 및 소수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
※9 8
(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 아이소프로필 티타늄 처리
이산화티타늄※10 8
(3)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처리 이산화티타늄※11 2
(4)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5
(5)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1.5
(6)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
6-(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0.5
(7) 트라이(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3
(8) 라우르산 헥실 3
(9) 수첨 폴리아이소부텐※12 3
(10) 사이클로메티콘 10
(11) 메틸트라이메티콘 5
(12) 페닐트라이메티콘※13 2
(13) 라우릴 PEG-9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0.2
(14) 무수 규산※14 1.5
(15)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처리 세리사이트※15 2
(16) 정제수 잔량
(17) 에탄올 5
(18) 프로필렌 글라이콜 5
(19) 페녹시에탄올 0.3
(20)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0.5
(21) 가수분해 콜라겐 0.5
(22) 테아닌 0.5
(23) 세린 0.2
(24) 염화나트륨 0.2
(25) 소르비톨 2
(26) 흰목해파리 다당체 0.01
(27) 목단피 추출물 0.03
(28) 아스코르브산 0.001
※9: (평가 방법) 1. 분체의 투과율에 기재된 수법으로 측정한 투과율이 1.5%, 평균 입자 직경 25㎚
※10: ITT-2 TiO2 CR-50(코보 프로덕츠사(KOBO PRODUCTS, Inc.)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11: MT-05(테이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10㎚
※12: 파림(PARLEAM)4(니치유사(NOF CORPORATION) 제품)
※13: SH556 FLUID(토레·다우코닝사 제품)
※14: CHIFFONSIL P-3R(닛키쇼쿠바이카세이사(JGC Catalysts and Chemicals 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5㎛
※15: OTS-2 세리사이트 FSE(다이토카세이코교사(DAITO KASEI KOGYO CO., 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10㎛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8)을 8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3) 및 성분 (9) 내지 (15)를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실온에서 5분간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A와 혼합한다.
C: 성분 (16) 내지 (28)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D: B에 C를 첨가하고,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실온에서 5분간 유화시킨다.
E: D를 용기에 충전하고, 유중수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16의 유중수형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7: 유중수형 데이케어용 미용액
(성분) (질량%)
(1) 실리카 및 소수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16 10
(2) 다이메틸폴리실록산처리 이산화티타늄※17 1
(3)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란처리 이산화티타늄※18 1
(4)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5
(5)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보닐)아닐리노]-
1,3,5-트라이아진 1.5
(6) 아디프산다이아이소프로필 5
(7) 아이소노난산아이소노닐 2
(8)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0.1
(9) 스쿠알란 3
(10) 아스타잔틴 0.002
(11) 아이소도데칸 3
(12) 사이클로메티콘 10
(13) 다이메틸폴리실록산※19 3
(14) 다이메틸폴리실록산※20 3
(15) 세스퀴아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 0.2
(16) 가교형 실리콘·망상형 실리콘 블록 공중합체※21 2
(17) 폴리메타크릴산 메틸※22 2
(18) 정제수 잔량
(19) 에탄올 5
(20) 트라이프로필렌글리콜 5
(21) 글리세린 2.5
(22) 다이글리세린 0.5
(23) 1,3-부틸렌글리콜 5
(24) 페녹시 에탄올 0.2
(25)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사이드 0.5
(26) 아세틸화히알루론산 나트륨 0.1
(27) 히알루론산 프로필렌 글라이콜 0.2
(28) 염화나트륨 0.2
(29) 에리트리톨 3
(30) 스이젠지노리 다당체(aphanothece sacrum polysaccharide) 0.05
(31) 뽕나무뿌리 추출물(Morus Alba Root Extract) 0.05
(32)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0.2
※16: (평가 방법) 1. 분체의 투과율에 기재된 수법으로 측정한 투과율이 18%, 평균 입자 직경 25㎚
※17: SA-티타늄MP-1133(미요시카세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18: OTS-2 TiO2 MP-1133(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19: KF-96A-1.5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20: KF-96A-6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21: 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12㎛
※22: 마쯔모토마이크로스피어 M101(마쯔모토유시세이야쿠사(松本油脂製藥)사(MATSUMOTO YUSHI-SEIYAKU CO., 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9㎛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8)을 8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3) 및 성분 (9) 내지 (17)을 롤밀로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A와 혼합한다.
C: 성분 (18) 내지 (32)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D: B에 C를 첨가하고,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실온에서 5분간 유화시킨다.
E: D를 용기에 충전하고, 유중수형 한나절용 미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17의 유중수형 한나절용 미용액은,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8: 유중수형 화장 베이스
(성분) (질량%)
(1) 실리카 및 소수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23 12
(2) 라우로일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처리 이산화티타늄※24 2.5
(3) 라우로일글루탐산 나트륨 처리 이산화티타늄※25 2.5
(4)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4
(5)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보닐)아닐리노]-1,3,5-
트라이아진 1
(6)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1
(7)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
(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1
(8) 트라이아이소스테아르산다이글리세릴 0.3
(9) 벤조산 알킬(C12-15) 5
(10)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2-에틸헥실 2
(11) 아이소도데칸 2.5
(12) 사이클로메티콘 14
(13) 다이메틸폴리실록산※26 2
(14) 다이메틸폴리실록산※27 2
(15) 트라이메틸실록시규산 2
(16) 라우릴폴리글리세릴-3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0.2
(17) 나일론-12※28 3
(18) 라우로일라이신 0.1
(19) 정제수 잔량
(20) 에탄올 3
(21) 1,2-펜탄다이올 0.5
(22) 페녹시 에탄올 0.2
(23) 다이프로필렌글리콜 3
(24) 1,3-부틸렌글리콜 5
(25) 폴리에틸렌 글라이콜※29 2
(26)(에이코산2산·테트라데칸2산)폴리글리세릴-10 0.1
(27) 트리스바이페닐트라이아진 1
(28) 메틸렌비스벤조트라이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1
(29) 히알루론산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0.3
(30) 석시닐아테로콜라겐 0.5
(31) N-아세틸-L-하이드록시프롤린 0.5
(32) 시트르산나트륨 0.05
(33) 염화칼륨 0.2
(34) 엑토인 1
(35)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공중합체 0.05
(36)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메타크릴산
부틸 공중합체액 0.5
(37) 부식토 추출물 0.05
(38) 인산L-아스코빌마그네슘 0.2
※23: (평가 방법) 1. 분체의 투과율에 기재된 수법으로 측정한 투과율이 5%, 평균 입자 직경 25㎚
※24: ASI TiO2 CR-50(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25: ASL-1 TiO2 MP-1133(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26: KF-96A-1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27: KF-96A-20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28: 오르가솔(Orgasol) 2002D(아르케마사(Arkema S.A.)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0㎛
※29: PEG-400(토호카가쿠코교사(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제조 방법)
A: 성분 (4) 내지 (8)을 8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3) 및 성분 (9) 내지 (16)을 롤밀로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A와 혼합한다.
C: 성분 (17) 내지 (38)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D: B에 C를 첨가하고,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실온에서 5분간 유화시킨다.
E: D를 용기에 충전하고, 유중수형 화장 베이스를 얻었다.
실시예 18의 유중수형 화장 베이스는,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9: 유중수형 자외선차단 스틱
(성분) (질량%)
(1) 실리카 및 소수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30 8
(2) 하이드록시프로필비스팔미타드MEA처리 이산화티타늄※31 2
(3) 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처리 이산화티타늄※32 1
(4) 스테아르산Mg처리 이산화티타늄※33 1
(5)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6
(6) 2-{4-(다이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1
(7)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
(4-메톡시페닐)-(1,3,5)-트라이아진 1
(8)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보닐)아닐리노]-1,3,5-
트라이아진 1
(9) 세바스산다이에틸 4
(10) 석신산다이에틸헥실 4
(11) 다이네오펜탄산메틸펜탄다이올 4
(12) 다이머 다이리놀산(피토스테릴·아이소스테아릴·세틸·
스테아릴·베헤닐) 2
(13) 토코페롤 0.02
(14) 폴리에틸렌※34 5
(15) 미세결정성 왁스※35 4
(16) 파라핀※36 2
(17) 다이메틸폴리실록산※37 10
(18) 바셀린 2
(19)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교차중합체 0.1
(20) (PEG-15·라우릴다이메티콘)교차중합체 0.1
(21) 무수 규산※38 3
(22) 다이메티코놀·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처리 탤크※39 2
(23) 정제수 잔량
(24) 1,3-부틸렌글리콜 2
(25) 글리세린 2
(26)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26.EO.) 2
(27) 폴리옥시프로필렌다이글리세릴에터 2
(28) 사이클로헥산-1,4-다이카복실산 비스에톡시다이글리콜 0.5
(29) 페녹시에탄올 0.2
(30) 인동넝쿨꽃 추출물 0.5
(31) 에리트리톨 1
(32) 트레할로스 1
(33) 트라이메틸 글리신 1
(34) 멘톨 0.2
※30: (평가 방법) 1. 분체의 투과율에 기재된 수법으로 측정한 투과율이 15%, 평균 입자 직경 25㎚
※31: X-CERA TiO2 R250(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32: FHS-3 TiO2 MP-1133(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33: MST-1 TiO2 R250(다이토카세이코교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250㎚
※34: PERFORMALENE 500(New Phase Technologies사 제품)
※35: MULTIWAX W445(Sonneborn사 제품)
※36: PARACERA 256(Paramelt사 제품)
※37: KF-96A-5cs(신에츠카가쿠코교사 제품)
※38: 코스메실리카 CQ4(후지실리시아카가쿠사(FUJI SILYSIA CHEMICAL LTD.) 제품) 평균 입자 직경 4㎛
※39: SE-TA-EX(미요시카세이사 제품) 평균 입자 직경 15㎛
(제조 방법)
A: 성분 (5) 내지 (16)을 90℃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킨다.
B: 성분 (1) 내지 (4) 및 성분 (17) 내지 (22)를 롤밀로 균일하게 혼합 분산시키고, A와 혼합한다.
C: 성분 (23) 내지 (34)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D: 90℃에서 B에 C를 첨가하고, 디스퍼 믹서에서 2000rpm, 90℃에서 5분간 유화시킨다.
E: D를 용기에 충전하고, 냉각 고형화시키고, 유중수형 자외선차단 스틱을 얻었다.
실시예 19의 유중수형 자외선차단 스틱은, 도막의 균일성, 내수성, 경시안정성, 사용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Claims (8)

  1. 유중수형 조성물(water-in-oil composition)로서,
    이하의 성분 (A) 내지 (D);
    성분 (A) 실리카 및 소수화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 5 내지 30질량%
    성분 (B) 극성 오일(polar oil)
    성분 (C) 실리콘 오일
    성분 (D) 물
    을 함유하되,
    성분 (A)는, 물/에탄올 용매(질량비 물:에탄올=3:1) 중에 0.25질량%로 혼합했을 때의, 파장 700㎚의 광의 투과율이 0.8 내지 20인 것이고,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조성물이 피커링 에멀션(pickering emulsion)인, 유중수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이 5 내지 30질량%인, 유중수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의 함유 질량비율 (B)/(C)가, 0.1 내지 8인, 유중수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조성물의 유화 점적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내지 500㎛인, 유중수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로서, 25℃에 있어서의 액상 극성 오일과 25℃에 있어서의 고형 극성 오일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과 오일상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오일상)이, 0.3 내지 5인, 유중수형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과 상기 성분 (A)의 함유 질량 비율 (수상)/(A)가 0.75 내지 10인, 유중수형 조성물.
KR1020217017464A 2018-11-16 2019-10-29 유중수형 조성물 KR20210092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5365 2018-11-16
JP2018215365 2018-11-16
PCT/JP2019/042348 WO2020100573A1 (ja) 2018-11-16 2019-10-29 油中水型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758A true KR20210092758A (ko) 2021-07-26

Family

ID=707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464A KR20210092758A (ko) 2018-11-16 2019-10-29 유중수형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54141B2 (ko)
KR (1) KR20210092758A (ko)
CN (1) CN112969443A (ko)
TW (1) TW202033177A (ko)
WO (1) WO2020100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7365A (ja) * 2021-01-08 2022-07-21 ピアス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WO2023085106A1 (ja) * 2021-11-10 2023-05-19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167B2 (ko) 1978-08-09 1988-07-08 Mitsubishi Chem Ind
JP2001518111A (ja) 1997-03-25 2001-10-09 バイヤースドルフ・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乳化剤を含まない水中油型の微細分散系
JP2008208045A (ja) 2007-02-23 2008-09-11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3043875A (ja) 2011-08-26 2013-03-0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6145157A (ja) 2015-02-06 2016-08-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2112A1 (fr) 1999-01-11 2000-07-20 Showa Denko K. K. Preparation cosmetique, particules d'oxyde metallique enrobees d'un sol de silice rendues hydrophobes en surface, oxyde metallique revetu de sol de silice et procedes de production
JP2002154915A (ja) 2000-09-11 2002-05-28 Showa Denko Kk 化粧料
JP5711720B2 (ja) 2012-11-13 2015-05-07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6433802B2 (ja) 2015-02-05 2018-12-05 株式会社ノエビア 油中水乳化型紫外線防御用化粧料
JP7260981B2 (ja) 2018-09-14 2023-04-19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167B2 (ko) 1978-08-09 1988-07-08 Mitsubishi Chem Ind
JP2001518111A (ja) 1997-03-25 2001-10-09 バイヤースドルフ・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乳化剤を含まない水中油型の微細分散系
JP2008208045A (ja) 2007-02-23 2008-09-11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13043875A (ja) 2011-08-26 2013-03-0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6145157A (ja) 2015-02-06 2016-08-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Binks et. al,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00-102, 503-546(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00573A1 (ja) 2021-10-21
WO2020100573A1 (ja) 2020-05-22
JP7354141B2 (ja) 2023-10-02
CN112969443A (zh) 2021-06-15
TW202033177A (zh)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076B2 (en) Cosmetic
JP7076941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DE102005026278A1 (de) Kosmetische, pharmazeu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Homo- und/oder Copolymerwachse aus den Monomeren Ethylen und/oder Propylen
JP2006137757A (ja) コポリマーワックスを含有する化粧料、薬剤および皮膚剤
JP6869149B2 (ja) 油中水型化粧料
JP5770492B2 (ja) 微粒子金属酸化物分散組成物
JP6526999B2 (ja) 毛髪化粧料
JP635929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4141B2 (ja) 油中水型組成物
JP2019131541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823931B2 (ja) 油性液状サンスクリーン剤
JP7152161B2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6923338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3095874A (ja) 睫用化粧料
JP6796013B2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831737B2 (ja) 水中油型化粧料
JP4919543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545702B2 (ja) 乳化化粧料
JP2004137226A (ja) 化粧料
JP2020147502A (ja) 油性口唇化粧料
JP6935202B2 (ja) 油中水型日焼け止め料
JP7242257B2 (ja) ゴニオクロマチック顔料及び白色顔料を含むメークアップ用の液状組成物
JPH1179966A (ja) 化粧料
JP202215977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22176122A (ja) 油性パウダーファンデーショ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