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069A -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069A
KR20210091069A KR1020210077554A KR20210077554A KR20210091069A KR 20210091069 A KR20210091069 A KR 20210091069A KR 1020210077554 A KR1020210077554 A KR 1020210077554A KR 20210077554 A KR20210077554 A KR 20210077554A KR 20210091069 A KR20210091069 A KR 2021009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light
terminal
light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칭 황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 (센젠)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 (센젠)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바이두 인터내셔널 테크놀로지 (센젠)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9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3Data selection, e.g. prioritizing information, managing message queues, se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roadside individual el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7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with respect to certain areas, e.g. forbidden or allowed areas with possible alerting when inside or outside boundar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인공 지능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스마트 교통 및 운전 보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안내 정보는 단말의 이동 방향을 따른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의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상기 방향의 신호등 정보를 보여줄 수 있어, 다수의 방향을 동시에 보여주는 신호등 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불명확하고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SIGNAL LAMP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나아가 스마트 교통 및 운전 보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교통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풍부한 교통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시스템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점점 더 많은 단말들이 사용자에게 교차로의 신호등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교차로의 신호등 정보는 흔히 다수의 이동 방향에 대한 것이다. 단말이 교차로에 도착한 후, 교차로의 각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고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방법은,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함 - ;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를 포함함 - ;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장치는,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획득 유닛 -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을 따른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함 - ;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 유닛 -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함 - ;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 및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되,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가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되도록 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되도록 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안에 따르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상기 방향의 신호등 정보를 보여줄 수 있어, 다수의 방향을 동시에 보여주는 신호등 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불명확하고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를 방지한다.
아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열독 및 참조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응용될 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일 응용 장면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은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아래 도면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에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사항들이 포함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 및 간략을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또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의 실시예가 응용될 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처(10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단말 기기(101, 102, 103), 네트워크(104) 및 서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단말 기기(101, 102, 103)와 서버(105) 사이에서 통신 링크의 매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104)는 다양한 연결 타입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유선, 무선 통신 링크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이다.
사용자는 단말 기기(101, 102, 10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04)를 통해 서버(105)와 인터랙션함으로써 메시지 등을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에는 다양한 통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타입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타입 애플리케이션, 라이브 방송 애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지 도구, 메일 클라이언트, 소셜 플랫폼 소프트웨어 등이다.
여기서 단말 기기(101, 102, 103)는 하드웨어일 수 있고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하드웨어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차량(예를 들어 차량용 브레인), 스마트폰, 태블릿 PC, e북 리더, 휴대형 랩톱 컴퓨터 및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열거된 전자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면 분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서버(105)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 기기(101, 102, 103)에 지원을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서버이다. 백그라운드 서버는 수신된 사전 설정 위치 조건 등 데이터에 대해 분석 등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 결과(예를 들어, 울타리 범위)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은 서버(105) 또는 단말 기기(101, 102, 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응하게,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는 서버(105) 또는 단말 기기(101, 102, 103)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1 중의 단말 기기, 네트워크 및 서버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실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의 단말 기기, 네트워크 및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의 과정(200)을 도시한다. 상기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을 따른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은 상기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 또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어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정보는 단말의 이동 방향에서의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내비게이션의 경우, 단말이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 어떤 방향 전환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정보는 좌회전, 우회전, 직진 및 유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구체적인 방향 전환 정보에는 좌회전 후 우측에서 주행, 좌회전 후 좌측에서 주행 등과 같은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행 주체 또는 다른 전자 기기는 동일한 방향 전환의 구체적인 방향 전환 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위 두 가지를 좌회전으로 분류함으로써,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202)에서,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고,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단말의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최근접 교차로의 신호등 단말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신호등은 교차로에 설치되어 차량 정지 또는 통행을 지시하는 전등이며,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교통 신호등일 수 있다.
획득된 것은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이고, 즉 다수의 신호등 정보이다. 각각의 신호등 정보는 하나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신호등 정보는 좌회전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일 수 있다.
단계(203)에서,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될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신호등 정보, 즉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만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가 직진을 지시하면,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가 타깃 신호등 정보이다. 획득된 다수의 신호등 정보 중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제외한 신호등 정보의 경우, 상기 수행 주체는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204)에서,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신호등 정보를 다른 전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춰 상기 방향의 신호등 정보를 보여줄 수 있어, 다수의 방향을 동시에 보여주는 신호등 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불명확하고 직관적이지 못한 문제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은 단말이 최근접 교차로의 울타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고, 울타리 범위는 교차로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울타리 반경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정보는 단말과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됨에 응답하는 단계는, 현재 거리와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현재 거리가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크기 관계가 확정되면,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단말과 최근접 교차로의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지셔닝 정보로 하고, 상기 현재 거리와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행 주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크기 관계를 비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현재 거리가 상기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판정 결과가 작거나 같으면,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형태는 울타리 반경을 통해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계(203)는,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단말이 교차로에 가까울 경우,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즉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단말의 현재 방향 전환 정보, 즉 로컬 방향 값으로 확정한다. 다음, 상기 수행 주체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형태는 단말이 교차로와 가까울 경우 단말의 방향을 업데이트하여 바람직한 방향 확정 타이밍을 찾을 수 있어, 너무 일찍 방향을 확정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방향의 불정확 또는 너무 늦게 방향을 확정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용자에게 신호등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이 너무 짧은 현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계(203)는,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직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확정될 경우, 직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는 상기 직진 정보이다. 다음, 상기 수행 주체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형태는 단말이 교차로에 멀리 떨어질 경우, 단말의 방향을 계속 주행, 즉 직진으로 설정할 수 있어, 너무 일찍 교차로의 방향 전환을 한정하여 중도에 방향 전환이 변경되어 보여진 신호등 정보가 사용자가 참조하고자 하는 신호등 정보와 일치하지 않게 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응용 장면의 일 모식도이다. 도 3의 응용 장면에서, 수행 주체(301)는 단말의 안내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안내 정보는 단말의 포지셔닝 정보(302) 및 좌회전과 같은 단말의 이동 방향에서의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303)를 포함한다. 수행 주체(301)는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304)를 획득하고, 여기서,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한다. 수행 주체(301)는 포지셔닝 정보(302)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304)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303)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305)로 한다. 수행 주체(301)는 타깃 신호등 정보(305)를 출력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과정(400)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단말에 타깃 SDK가 실행되며, 상기 과정(400)은 타깃 SDK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 타깃 SDK를 이용하여 단말의 안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은 상기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 또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어, 타깃 SDK를 이용해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정보는 단말의 이동 방향에서의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내비게이션의 경우, 단말이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 어떤 방향 전환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정보는 좌회전, 우회전, 직진 및 유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깃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단말에서 신호등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SDK일 수 있으며, 즉 신호등 데이터 SDK이다.
단계(402)에서, 타깃 SDK를 이용하여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고,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SDK를 이용하여, 단말의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최근접 교차로의 신호등 단말에서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403)에서,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타깃 SDK를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SDK를 이용하여, 포지셔닝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고, 즉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며,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행 주체는 상기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신호등 정보만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가 직진을 지시하면, 사용하고자 하는 신호등 정보는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타깃 신호등 정보이다. 획득된 다수의 신호등 정보 중 상기 사용하고자 하는 신호등 정보를 제외한 신호등 정보의 경우, 상기 수행 주체는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404)에서, 타깃 SDK에서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SDK에서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SDK에서 타깃 신호등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은 단말이 최근접 교차로의 울타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고, 울타리 범위는 교차로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울타리 반경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정보는 단말과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SDK를 이용하여, 현재 거리와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하고, 현재 거리가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크기 관계가 확정되면,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타깃 SDK를 이용하여 신호등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출력되는 타깃 신호등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에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수행 주체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고, 타깃 SDK로 출력함으로써, 타깃 SDK로 하여금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수행 주체는 타깃 신호등 정보를 타깃 SDK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고,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게 타깃 신호등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구현 형태의 단말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타깃 SDK 사이에서 인터랙션을 수행함으로써, 타깃 신호등 정보의 생성 및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된 방법에 대한 구현으로서, 본 발명은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며, 아래 부분에 기재된 특징을 제외하고, 상기 장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특징 또는 효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응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500)는 제1 획득 유닛(501), 제2 획득 유닛(502), 확정 유닛(503) 및 출력 유닛(5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획득 유닛(501)은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획득 유닛(502)은 단말의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며; 확정 유닛(503)은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하도록 구성되며; 출력 유닛(504)은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500)의 제1 획득 유닛(501), 제2 획득 유닛(502), 확정 유닛(503) 및 출력 유닛(504)의 구체적인 처리 및 이로 인한 기술적 효과는 각각 도 2의 대응 실시예의 단계(201), 단계(202) 및 단계(203)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은 단말이 최근접 교차로의 울타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고, 울타리 범위는 교차로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울타리 반경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정보는 단말과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함하고, 확정 유닛은 또한, 현재 거리와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하고, 현재 거리가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크기 관계가 확정되면,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함으로써,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됨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단말에 사용되고, 단말에 타깃 SDK가 실행되며, 단말은 타깃 SDK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단말에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3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수신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유닛은 또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확정 유닛은 또한,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함으로써,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장치는,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직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유닛; 및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타깃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운영 플랫폼, 개인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대형 컴퓨터, 및 다른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는 개인 디지털 처리, 셀룰러폰,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및 다른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문에서 나타낸 부재,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문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된 본 발명의 구현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및 고속 인터페이스 및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상이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공통 메인보드에 장착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메모리에서 외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표시 기기)에 GUI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필요에 따라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를 다수의 메모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각 기기는 일부 필요한 동작(예를 들어, 서버 어레이, 한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하나의 프로세서(601)를 예로 든다.
메모리(60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이다. 여기서,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602)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제1 획득 유닛(501), 제2 획득 유닛(502), 확정 유닛(503) 및 출력 유닛(504))과 같은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메모리(602)에 저장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데, 즉 상기 방법 실시예의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6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신호등 정보의 출력 전자 기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6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일시적 고체 상태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602)는 프로세서(6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등 정보의 출력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로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의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서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든다.
입력 장치(603)는 입력된 디지털 또는 캐릭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신호등 정보의 출력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널, 터치 패널, 지시 바, 하나 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 볼, 조이스틱 등 입력 장치이다. 출력 장치(604)는 표시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어, LED) 및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기는 액정 표시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 장치 및 플라스마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시 기기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전용 ASIC(전용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명령을 상기 저장 시스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고, 하이레벨 프로세스 및/또는 객체에 대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로직 장치(PLD))를 의미하고, 기계 판독 가능 신호인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 신호”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예를 들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 및 키보드 및 지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및 상기 지향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한다. 다른 타입의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지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백그라운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응용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이고,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그라운드 부재, 미들웨어 부재, 또는 프론트 엔드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로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인터랙션한다. 대응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또한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호스트라고도 하며, 기존 물리적 호스트와 VPS 서버(“Virtual Private Server”, 약칭 “VPS”)에 존재하는 관리 난이도가 높고, 비지니스 확장성이 약한 흠결을 해결하기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체계의 호스트 제품이다. 서버는 분산형 시스템의 서버일 수도 있거나, 또는 블록 체인이 결합된 서버일 수도 있다.
도면의 흐름도 및 블록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구현 가능한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도시한다. 이 점에서, 흐름도 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은 지정된 논리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에서, 블록에 표기된 기능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표현된 2개의 블록은 실제로 병렬 실행될 수 있고, 관련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 블록의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유닛은 또한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1 획득 유닛, 제2 획득 유닛, 확정 유닛 및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들 유닛의 명칭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유닛 자체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획득 유닛은 “단말의 안내 정보를 획득하는 유닛”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장치에 포함될 수 있거나 상기 장치에 조립되지 않고 별도로 존재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베어링되어,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하며;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적용된 기술의 원리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에 언급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기술적 특징의 특정 조합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기술적 특징 또는 그 등가 특징에 대해 임의로 조합하여 형성된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 예를 들어, 상기 특징과 본 발명에 공개된(단 이에 한정되지 않음)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적 특징을 서로 교체하여 형성된 기술적 해결수단을 포함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으로서,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positioning)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최근접 교차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최근접 교차로의 울타리 범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울타리 범위는 교차로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울타리 반경 내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거리와 상기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거리가 상기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상기 크기 관계가 확정되면,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사용되고, 상기 단말에 타깃 SDK가 실행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타깃 SDK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을 수행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직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7.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로서,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획득 유닛 - 상기 안내 정보는 상기 단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최근접 교차로의 방향 전환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의 상기 최근접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 유닛 - 상기 신호등 정보는 다수의 방향 전환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신호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 및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최근접 교차로의 울타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울타리 범위는 교차로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울타리 반경 내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교차로 중심 사이의 현재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현재 거리와 상기 울타리 반경 사이의 크기 관계를 확정하고,
    상기 현재 거리가 상기 울타리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상기 크기 관계가 확정되면,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함으로써,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도록 구성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사용되고, 상기 단말에 타깃 SDK가 실행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타깃 SDK를 이용하여 상기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3 획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획득 유닛은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수신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안내 정보 및 포지셔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유닛은 또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상기 타깃 SDK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타깃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함으로써,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상기 안내 정보 중의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하도록 구성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포지셔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사전 설정 위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는 경우, 직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현재 방향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유닛; 및
    상기 다수의 신호등 정보에서 업데이트 후의 현재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타깃 신호등 정보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타깃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 출력 장치.
  13.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되도록 하는 전자 기기.
  14.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5.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7554A 2020-12-03 2021-06-15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10091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393947.5 2020-12-03
CN202011393947.5A CN112489460A (zh) 2020-12-03 2020-12-03 信号灯信息的输出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69A true KR20210091069A (ko) 2021-07-21

Family

ID=7493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54A KR20210091069A (ko) 2020-12-03 2021-06-15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10311492A1 (ko)
EP (2) EP3862727A2 (ko)
JP (1) JP2022028669A (ko)
KR (1) KR20210091069A (ko)
CN (1) CN1124894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0070A (zh) * 2022-07-22 2022-12-06 中智行(苏州)科技有限公司 基于车路协调的自动驾驶交通信号灯信息获取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6398A1 (de) * 2001-09-20 2003-04-17 Siemens Ag System zum Steuern von Lichtsignalgebern an Kreuzungen
JP2005147865A (ja) * 2003-11-17 2005-06-09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242888A (ja) * 2005-03-07 2006-09-14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584752B2 (ja) 2005-04-01 2010-11-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端末装置
DE102008010968A1 (de) 2008-02-25 2009-09-17 Robert Bosch Gmbh Anzeige eines relevanten Verkehrszeichens oder einer relevanten Verkehrseinrichtung
KR101729102B1 (ko) 2009-10-27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26197A (ko) 2012-05-11 2013-11-20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경로변경 안내방법
JP5797293B2 (ja) * 2014-03-03 2015-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DE102015204122A1 (de) 2014-05-12 2015-1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mpel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mit einer Anzeigeeinrichtung
CN105160917B (zh) * 2015-08-24 2017-09-29 武汉理工大学 基于车路协同的信号控制交叉口车速引导系统及方法
WO2017070373A1 (en) * 2015-10-20 2017-04-27 St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pedestrians and small vehicles at roadway intersections
US9633560B1 (en) * 2016-03-30 2017-04-25 Jason Hao Gao Traffic prediction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traffic flows at traffic intersections
CN107767680B (zh) 2016-08-22 2021-11-05 福特环球技术公司 路口交通信号提醒方法及车辆多功能氛围灯系统
CN108932855A (zh) * 2017-05-22 2018-12-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道路交通控制系统、方法以及电子设备
CN109243191A (zh) * 2017-06-01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07449435B (zh) * 2017-06-30 2020-10-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导航方法及装置
WO2019087595A1 (ja) * 2017-11-06 2019-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分布状況予測装置及び移動体分布状況予測方法
KR20190061403A (ko) * 2017-11-28 2019-06-05 문병석 Iot 방범 골목길 신호등
US10210755B1 (en) * 2018-05-07 2019-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traffic signal cycle timer
US10964207B2 (en) * 2018-11-19 2021-03-30 Fortran Traffic System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raffic flow using connected vehicle data
CN111489544B (zh) * 2019-01-28 2022-11-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构建路网预测树的系统及ehp客户端
JP7195202B2 (ja) * 2019-03-29 2022-1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支援装置、運転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運転情報配信方法
CN109887319A (zh) * 2019-04-09 2019-06-14 曹桂硕 一种基于导航的智能交通灯显示方法
CN110211403A (zh) * 2019-06-19 2019-09-06 广州市高速公路有限公司营运分公司 一种道路信息共享方法及系统
US11217094B2 (en) * 2019-06-25 2022-01-0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llaborative distributed agent-based traffic light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0728840A (zh) * 2019-10-22 2020-01-24 宋海南 交通控制方法和智能导航系统
CN112802326B (zh) * 2019-11-13 2022-03-04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交通方案控制方法和装置
CN111081044A (zh) * 2019-12-17 2020-04-28 国汽(北京)智能网联汽车研究院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的自动驾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127937B (zh) * 2019-12-30 2021-12-24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交通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CN111179613A (zh) * 2020-02-20 2020-05-19 李迎 一种车辆基于交通信号灯行驶的方法
CN111311936B (zh) * 2020-03-05 2021-01-08 星觅(上海)科技有限公司 车辆可通行状态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369820A (zh) * 2020-03-06 2020-07-03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车辆行驶状态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554108A (zh) 2020-04-30 2020-08-18 深圳市金溢科技股份有限公司 交通信号灯显示方法、车载单元、路侧单元及系统
CN111536984A (zh) * 2020-05-11 2020-08-1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和装置、车端设备、车辆、电子设备和定位系统
CN111899539A (zh) * 2020-06-09 2020-11-06 酷派软件技术(深圳)有限公司 交通信息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载终端
CN111885500B (zh) * 2020-07-22 2023-03-24 深圳市Tcl云创科技有限公司 基于窄带物联网的路况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968376B (zh) * 2020-08-28 2022-06-28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路况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0743A1 (en) 2022-06-09
EP3919868B1 (en) 2023-05-17
US20210311492A1 (en) 2021-10-07
JP2022028669A (ja) 2022-02-16
EP3919868A3 (en) 2022-05-04
US11740639B2 (en) 2023-08-29
CN112489460A (zh) 2021-03-12
EP3919868A2 (en) 2021-12-08
EP3862727A2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3549A1 (en) Method for detecting map quality,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694973B (zh) 自动驾驶场景的模型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
CN112415552A (zh) 车辆位置的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245745A1 (en) Cruise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US118286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point cloud
JP7200277B2 (ja) ワードスロット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9337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rajectory, roadside device and cloud control platform
US11867513B2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lane where vehicle located
US11468769B2 (en)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queue length
CN112346612B (zh) 页面显示方法和装置
CN111597287B (zh) 地图生成方法、装置及设备
JP2022006160A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091069A (ko) 신호등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CN112102417B (zh) 确定世界坐标的方法和装置
US20210180975A1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r navigation
CN110728721B (zh) 外参的获取方法、装置和设备
KR20210037635A (ko) 데이터 씨닝 방법, 데이터 씨닝 장치, 전자 기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445983A (zh) 搜索结果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31493B (zh) 快捷功能配置方法和装置
CN112530184A (zh) 信号灯倒计时的方法和装置
CN111947680B (zh) 用于展示数据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EP4056424A1 (en) Audio signal playback delay estimation for smart rearview mirror
KR20220056839A (ko) 도로 정보 결정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1099376A (ja) データ処理方法と装置、車端機器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14415932A (zh) 头戴式显示设备控制方法、头戴式显示设备和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